KR20160107420A -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420A
KR20160107420A KR1020150030031A KR20150030031A KR20160107420A KR 20160107420 A KR20160107420 A KR 20160107420A KR 1020150030031 A KR1020150030031 A KR 1020150030031A KR 20150030031 A KR20150030031 A KR 20150030031A KR 20160107420 A KR20160107420 A KR 20160107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oside
liver disease
insulin resistance
liver
alcoho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5848B1 (ko
Inventor
정원일
김선창
정주연
임완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재단법인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재단법인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30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848B1/ko
Priority to JP2016037870A priority patent/JP6218870B2/ja
Priority to EP16157991.7A priority patent/EP3064209B1/en
Priority to US15/058,609 priority patent/US20160256477A1/en
Priority to CN201610121723.6A priority patent/CN105935364B/zh
Publication of KR20160107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848B1/ko
Priority to US16/940,094 priority patent/US2021000808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L1/300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4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 A61P5/5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for increasing or potentiating the activity of insul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Obesit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F2의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간에서 지방 형성 및 축적을 억제하고, 인슐린 민감도를 향상시키며, 쿠퍼세포에서 TNF-α, IL-1β 및 IL-6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엔도카나비노이드 합성효소의 발현을 억제하여, 효과적으로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OSIDE F2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LIVER DISEASE}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F2의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우리 몸에서 각종 대사 작용, 해독, 분해, 합성 및 분비를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장기로, 그 기능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간은 에너지 대사를 관리하는 기능이 있어 음식물에서 흡수된 모든 영양소들을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물질로 대사시켜 전신에 공급하거나 저장한다. 둘째, 간은 약 2,000여종의 효소, 알부민, 응고인자들의 혈청단백, 담즙산, 인지질,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을 합성하고 저장하며 분배하는 기능이 있다. 셋째, 간은 각종 대사산물을 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배설하는 기능이 있으며, 면역기능이 있어서 우리의 생명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간은 해독 및 분해 기능이 있어 약물, 독성물질, 술 등을 해독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간의 해독기능은 간세포를 손상시키기 쉬워 약물성, 독성, 비알코올성 간 질환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한편, 진세노사이드 F2는 유방암 줄기세포(CSCs)에서 자가소화(autophagy)와 함께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유방암에서 항암 효과를 나타내며(Mai TT et al. 2012; 28; 321 (2):144-53), SD 래트의 제노그래프트 모델에서 진세노사이드 F2가 교모세포종에 대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Shin JY et al. 2012; 36 (1): 86-92). 또한, 진세노사이드 F2를 주름개선, 피부미백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한국공개특허 2014-0013795). 그러나 진세노사이드 F2의 비알코올성 간 질환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비알코올성 간 질환 및 인슐린 저항성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인삼에서 추출할 수 있는 진세노사이드 F2가 인슐린 저항성을 완화시키고 비알코올성 간 손상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간 내 중성지방 형성, 축적 및 염증을 억제하여 다양한 비알코올성 간 손상 또는 인슐린 저항성 예방 또는 치료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로서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진세노사이드 F2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환계 PPD(protopanaxadiol) 사포닌으로, 메이저 사포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흡수 및 약효가 뛰어난 마이너 사포닌의 일종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서 진세노사이드 F2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또는 자연계에서 재배 또는 채취한 인삼으로부터 분리, 또는 분리된 진세노사이드로부터 전환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진세노사이드 F2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비알코올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진세노사이드 F2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알코올성 간 질환은 과다한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알코올성 간 질환을 제외한 간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비알코올성 간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간염, 또는 비알코올성 간경변증, 바람직하게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간염은 간세포 및 간 조직의 염증을 의미하며, 만성 간염에 의하여 장기간에 걸쳐 간세포가 파괴되고 재생하는 과정이 반복되면 간에 섬유조직과 재생 결절이 증가하여 간경변 또는 간경화가 진행될 수 있다. 간경변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진행되면, 간성뇌증(Hepatic encephalopathy), 식도정맥류(Esophageal varix)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지방간(fatty liver)은 정상 간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5%)보다 많은 양의 지방이 간에 축적된 것을 의미하며, 비알코올성 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유의한 알코올의 섭취 없이 간 내 지방이 침착되는 질환이다.
상기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간세포 내 중성지방의 축적으로 인한 단순 지방간(fatty liver)에서부터 염증반응을 동반한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간경화까지 넓은 진행 과정을 포함한다. 일예로 간 내의 다양한 손상 과정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염증반응과 이로 인해 나타나는 간 섬유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간 손상의 원인으로는 산화적 스트레스, 사이토카인에 의한 간 손상, 유리 지방산에 의한 간 독성, 비정상적인 콜레스테롤의 증가, 고 인슐린 혈증, 세포사멸 등이 있다. 상기 지방간은 특히 당뇨병, 고지혈증 또는 약물 등으로 인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일 수 있다.
간염과 간경변이 흔재되서 나타나게 되면 간의 합성 및 해독 기능이 저하된 상태인 간부전이 발생한다.
상기 간 질환은 AST, ALT, ALP, GGT, 또는 빌리루빈(Bilirubin)을 통하여 진단되는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에 대한 세포 및 조직의 감수성 저하로 인하여 인슐린 효과가 감소되는 상태를 통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기 인슐린 저항성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진세노사이드 F2가 고지방식이에 의해 증가된 지방합성 유전자인 SREBP1c 와 FAS의 발현을 간세포에서 억제하고, 간에서의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a 내지 도2d). 따라서 진세노사이드 F2는 간세포, 간성상 세포에서 지방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구체적으로 진세노사이드 F2가 비알코올 매개 엔도카나비노이드 발생을 억제하여 인접한 간세포 내의 CB1R 신호전달을 저해시킴으로써 간에서 지방 형성 및 축적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F2가 고지방식이를 한 마우스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3a 및 도 3b). 따라서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간 지방 형성 또는 축적으로 인한 비알코올성 간 질환 및 인슐린 저항성을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12주간 고지방식이를 먹인 마우스에서 실질적으로 간의 크기 및 질량 감소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도 1a 및 도 1b), 간 조직의 H&E 및 오일레드오(Oil Red O) 염색을 통해 지방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또한, 간세포 및 간성상세포에서 지방을 축적하는 경로를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SREBP1c와 FAS, 간세포내 지방 합성에 중요하다고 알려진 CB1R, 지방의 합성을 유도하는 엔도카나비노이드 합성효소 DAGL-α, β의 발현 증가를 억제하고, 지방산 가수분해 효소 FAAH 및 지방 합성에 관련된 유전자인 NAPE-PLD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도2 및 도 5), 진세노사이드 F2가 간에서의 지방 형성 및 축적을 예방 또는 억제하여 간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진세노사이드 F2를 급여하지 않은 마우스에 비하여 진세노사이드 F2를 급여한 마우스에서 인슐린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도 3), 진세노사이드 F2가 장기간 고지방식이를 한 마우스의 간 조직 및 간세포에서 TNF-α, IL-1β 및 IL-6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따라서 진세노사이드 F2는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감소시켜, 비알코올성 간 질환 및 이로 인한 간 손상을 완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진세노사이드 F2는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F2를 개체에 투여하여 비알코올성 간 질환의 발병 또는 인슐린 저항성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비알코올성 간 질환 발병 또는 인슐린 저항성 의심 개체에 투여하여 간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일제제로도 사용할 수 있고, 공인된 비알코올성 간 질환 치료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합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항산화제, 완충액 및/또는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0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0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조성물을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 의심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 의심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진세노사이드 F2, 비알코올성 간 질환 및 인슐린 저항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비알코올성 간 질환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구체적으로, 비알코올성 간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상기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하나의 양태로서,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진세노사이드 F2, 비알코올성 간 질환 및 인슐린 저항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F2는 인삼, 백삼, 산삼 등에서 추출 가능한 천연 물질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안정성이 입증되었으므로, 상식할 수 있으면서도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식품의 형태로 제조되어 섭취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하는데, 상기 식품은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강기능식품에 포함되는 진세노사이드 F2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건강기능식품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각종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에 방해가 되지 않는 다른 성분을 추가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생약 추출물,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식품보조첨가제는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식품에 포함되는 진세노사이드 F2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100㎖을 기준으로 1 내지 30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진세노사이드 F2, 비알코올성 간 질환 및 인슐린 저항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사료용 조성물은 사료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간에서 지방 형성 및 축적을 억제하고, 인슐린 민감도를 향상시키며, 쿠퍼세포에서 TNF-α, IL-1β 및 IL-6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엔도카나비노이드 합성효소의 발현을 억제하여, 효과적으로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진세노사이드 F2의 고지방식이 마우스에 대한 지방간 완화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2a 내지 2d는 고지방식이 마우스 간의 지방 형성 정도를 확인한 것이다.
도 3a 및 3b는 진세노사이드 F2의 인슐린 민감도 향상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4a 및 4b는 진세노사이드 F2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5는 간 성상세포에서 NAPE-PLD, FAAH, DAGLα 및 DAGLβ의 발현을 억제하는 진세노사이드 F2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지방간 및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F2의 보호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진세노사이드 F2의 제조
고려인삼, 화기삼, 죽절삼을 포함한 여타 인삼의 잎 및 뿌리를 20배 체적의 80% 주정을 가하여 2회 이상 추출하고 건조하여 조사포닌을 획득한다. 상기 조사포닌을 물에 다시 용해시켜서 HP-20 수지에 흡착시킨 후, 물 100%로 세정하여 당을 제거시킨 후, 40% 주정으로 1차 세정을 하여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계열인 진세노사이드 Re와 Rg1을 우선적으로 제거한다. 그 후, 80% 주정으로 세정을 하면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계열인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가 용출되어 나오며, 이를 건조하여 획득한다. 상기 프로토파낙사디올 진세노사이드 혼합물을 기질로 이용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3-0134930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반응 시켜 70% 이상의 진세노사이드 F2를 획득하였다. 그 후에 시료용으로 사용할 진세노사이드 F2는 ODS 수지를 활용하여 흡착한 후, 적정 농도의 주정을 농도구배분으로 연속적으로 흘려보내면 95% 이상의 순도가 높은 진세노사이드 F2 분획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건조 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지방간 완화 효과 확인
진세노사이드 F2의 지방간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지방식이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였다. 8 주령의 수컷 마우스(무게 25-28g)에게 12주 동안 고지방식이와 50mg/kg 진세노사이드 F2를 주 5일 경구로 급여하였다. 그 결과 진세노사이드 F2를 급여한 그룹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간의 크기(도 1a) 및 간의 무게(도 1b) 차이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진세노사이드 F2는 고지방식이에도 불구하고 지방간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 간 조직 분석
간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H&E(Hematoxylin and eosin) 염색을 수행하였고, 오일-레드오(Oil-red O) 염색으로 간세포의 중성지질을 염색하였으며, 상기 결과를 ×100의 배율로 나타내었다(도 2a). 그 결과 진세노사이드 F2의 투여에 의해 간세포에 지방 축적이 감소된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간 내 중성지방 수치가 떨어지고(도 2b), 지방합성에 중요한 인자인 SREBP1c, FAS의 단백질 발현과 CB1R, NAPE-PLD, SREBP1c, FAS 유전자 발현의 레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c 및 도 2d). 따라서 진세노사이드 F2가 간에서 지방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 인슐린 민감도 향상 확인
11주된 마우스에서 글루코스와 인슐린을 투여한 뒤 시간에 따라서 혈당을 체크하였다. 그 결과 진세노사이드 F2 그룹에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하여 당 수치가 떨어져, 초기 혈당 대비 혈당 감소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결론적으로 진세노사이드 F2는 고지방식이를 한 마우스에서 인슐린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 확인
고지방식이와 진세노사이드 F2를 먹인 마우스에서 진세노사이드 F2는 각종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1β 및 IL-6)의 발현을 억제시켰으며, 쿠퍼세포에서도 이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도 4).
따라서 진세노사이드 F2가 고지방식이를 한 마우스에서 쿠퍼세포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여 간 염증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 간 성상세포에서 엔도카나비노이드 합성효소의 발현 억제 확인
간 성상세포에 TNF-α를 처리한 후 진세노사이드 F2를 10, 20 및 30μM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간 성상세포에서 발현 레벨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진세노사이드 F2는 엔도카나비노이드의 일종인 2-AG를 합성하는데 중요한 효소인 DAGLα 및 DAGLβ의 발현을 억제하며 그 외에도 간 손상과 관련된 인자인 NAPE-PLD, FAAH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결론적으로 진세노사이드 F2는 간 성상세포에서 엔도카나비노이드 합성효소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를 종합하면, 진세노사이드 F2는 쿠퍼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1β 및 IL-6)의 발현을 억제시키며 간 성상세포에서는 엔도카나비노이드(DAGLα 및 DAGLβ)의 합성을 억제시켰다. 또한 간세포의 경우 진세노사이드 F2에 의해서 SREBP1c, FAS, CB1R 및 NAPE-PLD 등 지방 합성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켜 간 손상을 완화시켰다. 이에 대하여 도 6에서는 지방간 및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F2의 보호 메커니즘을 도식화하여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치료 및 개선 용도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알코올성 간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간염, 또는 비알코올성 간경변증인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F2는 간에서의 지방 형성 또는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4.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6.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 의심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KR1020150030031A 2015-03-03 2015-03-03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95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031A KR101695848B1 (ko) 2015-03-03 2015-03-03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6037870A JP6218870B2 (ja) 2015-03-03 2016-02-29 ジンセノサイドf2を含む非アルコール性肝疾患又はインスリン抵抗性の予防若しくは治療用組成物
EP16157991.7A EP3064209B1 (en) 2015-03-03 2016-03-01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oside f2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sulin resistance
US15/058,609 US20160256477A1 (en) 2015-03-03 2016-03-02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liver disease or insulin resistance comprising ginsenoside f2
CN201610121723.6A CN105935364B (zh) 2015-03-03 2016-03-03 用于预防或治疗非酒精性肝病的包含人参皂苷f2的组合物
US16/940,094 US20210008088A1 (en) 2015-03-03 2020-07-27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liver disease or insulin resistance comprising ginsenoside f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031A KR101695848B1 (ko) 2015-03-03 2015-03-03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420A true KR20160107420A (ko) 2016-09-19
KR101695848B1 KR101695848B1 (ko) 2017-01-13

Family

ID=5545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031A KR101695848B1 (ko) 2015-03-03 2015-03-03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60256477A1 (ko)
EP (1) EP3064209B1 (ko)
JP (1) JP6218870B2 (ko)
KR (1) KR101695848B1 (ko)
CN (1) CN10593536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274A (ko) 2017-02-21 2018-08-29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인삼 농축액을 포함하는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90000863A (ko) 2018-12-21 2019-01-03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인삼 농축액을 포함하는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CN111315412A (zh) * 2017-09-13 2020-06-19 诺华股份有限公司 Il-1b结合抗体用于治疗酒精性肝炎的用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17559B (zh) 2017-05-18 2021-02-01 王子製藥股份有限公司 包含葫蘆巴萃取物之組合物用於製備預防非酒精性脂肪肝之醫藥組合物的用途
CA3140079A1 (en) * 2019-05-22 2020-11-26 Demetrix, Inc. Optimized cannabinoid synthase polypeptid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273A (ko) * 2002-01-30 2003-08-06 주식회사 일화 생물전환 인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533505B1 (ko) * 2005-04-29 2005-12-06 김동현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사포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알레르기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건강보조식품
KR101343857B1 (ko) * 2012-09-12 2013-12-20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발효 홍삼 유래의 진세노사이드 f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촉진용 또는 탈모방지용 외용제 조성물
KR101460569B1 (ko) * 2012-07-27 2014-11-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진세노사이드 f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피부미백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40390C (zh) * 2002-01-30 2006-02-08 株式会社一和 生物转化人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479803B1 (ko) * 2002-04-08 2005-03-30 홍림통산(주) 약효가 증가된 특수가공처리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뇌졸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100581565C (zh) * 2004-09-30 2010-01-20 北京世纪康医药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抗艾滋病毒的中药组合物、其制备方法及用途
CN100378117C (zh) * 2006-03-17 2008-04-02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从人参根中获得二醇型人参皂苷f2含量较高的人参皂苷粗提物的方法
CN102362841A (zh) * 2011-06-14 2012-02-29 王萍 三七养肤膏霜类化妆品
KR101433661B1 (ko) 2012-05-31 2014-08-26 한국과학기술원 신규한 진세노사이드 글리코시다제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f2의 제조방법
KR101877801B1 (ko) * 2012-07-05 2018-07-13 (주)아모레퍼시픽 수경재배 인삼 유래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21356B1 (ko) * 2014-09-05 2016-05-17 한국과학기술원 진세노사이드 f2의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273A (ko) * 2002-01-30 2003-08-06 주식회사 일화 생물전환 인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533505B1 (ko) * 2005-04-29 2005-12-06 김동현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사포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알레르기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건강보조식품
KR101460569B1 (ko) * 2012-07-27 2014-11-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진세노사이드 f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피부미백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43857B1 (ko) * 2012-09-12 2013-12-20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발효 홍삼 유래의 진세노사이드 f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촉진용 또는 탈모방지용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274A (ko) 2017-02-21 2018-08-29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인삼 농축액을 포함하는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CN111315412A (zh) * 2017-09-13 2020-06-19 诺华股份有限公司 Il-1b结合抗体用于治疗酒精性肝炎的用途
KR20190000863A (ko) 2018-12-21 2019-01-03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인삼 농축액을 포함하는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35364B (zh) 2020-02-11
JP6218870B2 (ja) 2017-10-25
US20210008088A1 (en) 2021-01-14
CN105935364A (zh) 2016-09-14
KR101695848B1 (ko) 2017-01-13
JP2016166185A (ja) 2016-09-15
EP3064209A1 (en) 2016-09-07
US20160256477A1 (en) 2016-09-08
EP3064209B1 (en)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172B1 (ko) 뮤신이 없는 배지에서 배양한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95848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1077800A1 (ja) 高脂血症改善剤、並びに、貧血改善組成物、尿酸値低下組成物及び飲食品
US8722614B2 (en) Adiponectin production enhancer
JP2012051940A (ja) ビワ葉抽出物を含有する飲食品及び医薬品
JP5594819B2 (ja) 脂質代謝改善用組成物
EP2992933B1 (en) Ginsenoside f2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JP6445686B2 (ja) ジペノサイド75の抗糖尿病効果
KR101672274B1 (ko) 자화지정 추출물 또는 자화지정, 도인, 계지, 및 감초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926616B2 (ja) 老化抑制剤
WO2018084224A1 (ja) 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疾患治療又は予防剤及び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疾患予防用食品
KR20160108771A (ko) 능이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60834B1 (ko) 지페노사이드 75의 항당뇨 효과
JP4954295B2 (ja) アラザイムを有効成分とする肝機能保護用薬学的組成物
KR101890853B1 (ko) 프로타민 및 키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80295B1 (ko)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7413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79612A (ko) 팥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4072583A (ja) Gabaを有効成分とする乳腺組織の健康維持剤
KR20240057723A (ko) 일리마퀴논을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91771A (ko) 바다포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30099467A (ko) 호비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WO2006135083A1 (ja) 内臓脂肪症候群の予防または治療薬
KR20130065989A (ko)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