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757A -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전자유도 인식장치, 이를 포함하는 점자보도블록, 건축물 내·외벽용 타일 - Google Patents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전자유도 인식장치, 이를 포함하는 점자보도블록, 건축물 내·외벽용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757A
KR20160104757A KR1020150026898A KR20150026898A KR20160104757A KR 20160104757 A KR20160104757 A KR 20160104757A KR 1020150026898 A KR1020150026898 A KR 1020150026898A KR 20150026898 A KR20150026898 A KR 20150026898A KR 20160104757 A KR20160104757 A KR 20160104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uilding
impaired person
visually impaired
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명신
안석헌
정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갑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갑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갑오
Priority to KR102015002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4757A/ko
Publication of KR20160104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4Details of particular tactile cells, e.g.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layo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5Details of specially-adapted software to access information, e.g. to browse through hyperlinked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6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61H2003/063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 A61H2003/065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in the form of brail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전자유도 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점자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의 성형체 내부에 전자기 신호발생기를 내장하며, 이 전자기 신호발생기의 신호발생패턴을 변화시켜, 다양한 전자기 신호를 제공하도록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점자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을 제조하고, 시각 장애인을 위해 점자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의 성형체에서 전자기 신호발생기를 부가함에 의해, 전자기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이 전자기적 정보를 전자유도 인식장치가 포함된 시각 장애인용 수신부 지팡이에서 감지하여 음성이나 진동에 의해 시각 장애인의 보행에 편의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색인어]
시각장애인, 보도블록,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 전자 유도, 무선 인식

Description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전자유도 인식장치, 이를 포함하는 점자보도블록, 건축물 내·외벽용 타일{Electronic guiding device with electronic guiding sensor and for visually disabled person, guiding block and internal tiles and external tiles in building }
본 발명은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전자유도 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보도의 점자 보도블록의 성형체 내부 또는 건축물 내·외부 벽체용 타일에 전자기 신호발생기를 내장하며, 이 전자기 신호발생기의 신호발생패턴을 변화시켜, 다양한 전자기 신호를 제공하도록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전자유도 인식장치를 점자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장재 및 외장재에 삽입함으로서, 시각 장애인을 위해 점자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장재 및 외장재 성형체에서 전자기 신호발생기를 부가함에 의해, 전자기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이 전자기적 정보를 전자유도 인식장치가 포함된 시각 장애인용 수신부 지팡이에서 감지하여 음성이나 진동에 의해 시각 장애인의 보행에 편의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시각 장애자용 점자 보도블록의 특징은 시각장애인이 보행함에 있어 주로 발바닥이나 지팡이의 촉감으로 그 존재 및 대강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돌기를 표면에 양각시켜 통행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과 약시자의 시각에도 어느 정도 감지할 수 있는 색을 블록 상면에 적용시키는 것이 필수적 요건사항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점자 보도블록은 다수개의 감지돌기를 형성되고, 상면에 약시자들에게도 식별이 용이한 황색의 페인트가 도포된 시멘트 블록을 최초로 사용하였는데, 이는 상면에 도포된 황색의 페인트가 시간이 지나면서 벗겨져 제구실을 할 수가 없음에 따라서 시멘트 블록상면에 감지돌기를 형성하는 황색의 pvc 타일을 접착제로 부착한 것이 이후 개발되어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 또한 보행자들의 발에 의하여 부딪히고 스치면서 그 부착된 부위가 이탈되는 문제점 때문에 다시 원석이나 시멘트 등의 외면을 황색 pvc등의 합성수지로 감싼 블록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최근 개발된 종래의 시각장애자용 점자 보도블록 또한 외부에서 가해지는 반복충격 또는 태양열에 장시간 노출된 경우 쉽게 내부의 원석/시멘트가 파손되고, 외피의 합성수지제가 산화되어 그 색이 희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시공/설치시 많은 비용과 인력 등의 낭비가 요구되어 시각장애자들의 편의 시설의 확충에 상당한 부담이 되는 등 상당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개선된 점자 보도블록은 상면에 한개 이상의 감지돌기를 가지며, 상기 감지돌기 주위에 다수개의 미끄럼방지용 엠보싱돌기가 형성된 시각장애자용 점자 보도블록에 있어서, 블록의 측면 둘레에 블록간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홈을 형성시키는 것과 블록의 저면부 중앙지점과 그 둘레에 블록이 설치될 때 흔들림이나 비틀림이 없이 안착 유지될 수 있도록 안착 유지홈을 형성시키는 것과 형성된 감지돌기, 미끄럼방지용 엠보싱돌기, 연결홈 및 안착 유지홈은 전체가 일체로 성형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보도블록에 설치된 점자 보도블록은 점차 복잡해지는 도시의 보행환경에서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고 자유롭게 이동하기란 어려운 일이며,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시각장애인이 사회활동을 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일부 기업이 안내견의 육성사업을 벌이고 있지만, 분양되는 안내견의 수는 한정되어 있어, 시각장애인들의 수요를 모두 충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시각장애인들이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들에게 주변상황에 대해 좀 더 자세하고 정확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줄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도블록 등과 같은 바닥재 뿐만 아니라 벽체에 사용되는 타일 등에 삽입하는 센서의 무선기능을 활용하여 도로 및 건축물 내·외부의 벽체 등의 각종 건축 시설물, 보도용 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외부 단말기와 연동을 통해 송, 수신하여 각종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전자유도 인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 네비게이션 기술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 주위의 건물, 위험 상황 경고, 길의 안내, 이동 경로의 파악 등의 각종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장애인이 소지한 단말기나 관리자의 서버로 정보를 전송하여 줄 수 있는 전자유도 인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 몸체부의 표면에서 5mm 내지 15mm의 범위에 삽입되는 전자유도 칩과 메모리와 안테나를 포함하는 캡슐화된 통신부를 위치시킴으로써, 통신부가 외부 충격에 의한 박리, 탈락을 방지하고, 블록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점자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점자보도블록 내에 삽입되는 통신부를 외부의 충격에 의한 탈락이나 마찰에 의한 마모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신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금속, 유리, 합성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캡슐화 하여 적용할 수 있는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점자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점자보도블록의 범위를 시멘트 도는 콘크리트 블록 뿐만 아니라, 보행용 목재 재료, 대리석 재료 등에도 적용하여 수월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점자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점자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에 시작장애인을 유도하기 위한 인식장치를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설치하여 음성 안내 또는 감각 안내에 의해 시각 장애인의 보행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유도 인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점자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은,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의 외관 형태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단부 표면에서부터 5mm 내지 15mm 하부에 삽입되어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센서 칩과 메모리와 안테나를 포함하는 캡슐화 된 통신부와 상기 캡슐화 되는 통신부는 외부의 충격에 의한 탈락이나 마찰에 의한 마모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신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금속, 유리, 합성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캡슐화 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의 재질은 보도용으로서 플라스틱, 고무, 시멘트, 대리석, 금속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신부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점자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에서 송신한 정보를 인식하고 시작장애인을 유도 또는 안내하기 위한 인식장치를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에 설치하여 음성 안내 또는 진동 등의 감각 안내에 의해 시각 장애인의 보행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유도 인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전자유도 인식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무선기능을 활용하여 도로상에서의 각종 건축시설물, 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외부 단말기와 연동을 통해 송, 수신하여 각종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전자유도 인식장치 기술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 주위의 건물, 위험 상황 경고, 길의 안내, 이동 경로의 파악 등의 각종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장애인이 소지한 단말기나 관리자의 서버로 정보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의 몸체부의 표면에서부터 5mm 내지 15mm 하부에 금속, 유리, 합성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캡슐화 된 통신부가 삽입되어 통신부가 외부의 충격에 의한 탈락이나 마모에 의한 탈락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상기 통신부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점자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에 시작장애인을 유도 또는 안내하기 위한 인식장치를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에 설치하여 음성 안내 또는 진동 등의 감각 안내에 의해 시각 장애인의 보행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유도 인식장치를 제공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다양한 편익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보도블록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점자 보도블록
20 ; 통신부 21 ; 센서 칩
22 ; 메모리 칩 23 ; 안테나
30 ; 수신부 31 ; 수신기
32 ; 정보 인지부(손잡이) 33 ; 정보 인지부(이어폰 또는 스피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점자 보도블록 몸체부(10), 통신부(20), 센서 칩(21), 메모리칩(22), 안테나(23), 수신부 지팡이(30), 수신부(31), 정보 인지부(32), 스피커 또는 이어폰(33)으로 구성된다.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도블록은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 표면에서 5mm 내지 15mm 하부에 외부 인지 단말기와 정보를 송, 수신할 수 있게 센서 칩(21)과 메모리 칩(22)과 안테나(23)를 포함하는 통신부(20)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31)와 받아들인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정보 인지부(32)를 포함하는 수신부(30)를 구비한다.
상기 보도블록(10)을 구성하는 기술적 수단즐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몸체부(10)는 보도블록의 외관을 형성하는데, 상기 몸체부(10)는 플라스틱, 목재류, 콘크리트류, 대리석, 금속류 등으로서 바닥을 구성하는 형태이면 가능하다.
상기 몸체부(10) 표면에서 정보의 송, 수신이 가능할 정도의 깊이인 표면에서부터 5mm 내지 15mm 깊이의 범위에 통신부(20)를 삽입한다. 상기 통신부(20)는 외부 단말기인 수신기(31)를 통하여 수신기 지팡이(30) 또는 이어폰(33)에 정보를 송, 수신할 수 있게 센서 칩(21), 메모리 칩(22), 안테나(23)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통신부(20)는 센서 칩(21), 메모리 칩(22), 안테나(23)를 포함하며, 보도블록(10)이 외부의 충격에 의한 탈락이나 마찰에 의한 마모 등에 의하여 통신부(20)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신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금속, 유리, 합성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캡슐화 하여 적용된다.
외부에서 수신기 지팡이(30)의 수신부(31)의 센서가 접근하면 일정한 정보를 수신기 지팡이(30)의 정보 인지 손잡이(32) 또는 이어폰(33)에 보내게 되며, 수신부(31)의 센서가 멀어지면 정보를 보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은 공지의 기술로서 바코드와 마그네틱 카드를 대체할 비접촉식 카드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정보 인지 기술이다.
트랜스폰더(TRANSPONDER:외부 신호에 감응하여 자동적으로 신호를 되 보내는 라디오 수신장치 또는 송수신기의 총칭)와 리더(READER/CONTROLLER)를 이용한 자동화 데이터 수집 장치의 한 분야인 무선인식 장치이다. 상기 무선인식 장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를 통해 트랜스폰더의 자료를 비접촉으로 즉, 전파를 RFID 태그에 발사하여 되돌아오는 전파에서 트랜스폰더의 자료를 읽어 들이는 방식이다.
저주파 대역(12kHz 내지 400kHz)은 짧은 거리의 전송에 사용되고 있으며, FRID 응용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오늘날 쓰이는 전형적인 캐리어 주파수(Reader's transmitting frequency)범위는 125kHz내지 2.4GHz이다. 또한 고주파(4 내지 20MHz)와 마이크로웨이브(2.45GHz)의 적용분야도 확대되고 있으며, 900M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이 RFID 분야의 표준이 되어가고 있다. 상기 금속태그(30)의 주파수대역은 저주파대역은 125kHz가 가장 바람직하고, 고주파대역은 13.56MHz와 900MHz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점자 보도블록 제조방법 및 전자유도 인식장치가 적용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로의 노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RFID 센서 칩이 내장되어 있는 보도블록(10)에 시각장애인이 리더기 또는 CDMA 통신모듈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으며, 안테나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 지팡이(30)를 들고 도로를 지나가다가 노면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록(10)에 가까이 대면, 안테나(23)에 유도전류가 형성되고, 그 전류에 의해 센서 칩(21) 및 메모리 칩(22)에서는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기 지팡이(30)의 수신기(31)에 송신하면 상기 정보를 스피커(33)를 통해 음성으로 현재 위치, 주변건물, 장애물 등의 주변상황의 정보를 시각장애인에게 알려주거나, 정보 인지 손잡이(32)에 이동 방향에 대한 진동 알림을 보내주므로 통행을 유도하고 미연의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무선기능을 활용하여 도로상에서의 각종 시설물의 관리 및 블록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외부 단말기와 연동을 통해 송, 수신하여 각종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고, 알에프 기술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 주위의 건물, 위험 상황 경고, 길의 안내, 이동 경로의 파악 등의 각종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장애인이 소지한 단말기나 관리자의 서버로 정보를 전송하여 줄 수 있으며, 몸체부에 삽입되는 통신부가 블록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 먼지, 기온, 외부 충격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통신부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시각장애인용 점자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에서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센서 칩과 메모리와 안테나를 포함하는 캡슐화 된 통신부와 통신부에서 송신된 자료를 수신하여 시각장애인을 유도 또는 안내하기 위한 수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전자유도 인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자유도 인식장치의 수신부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설치되어 통신부의 데이터를 전송 받아 음성 안내 또는 진동 등의 감각 안내에 의해 시각 장애인의 보행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전자유도 인식장치
  3.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점자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에 있어서,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의 외관 형태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단부 표면에서부터 5mm 내지 15mm 하부에 삽입되어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센서 칩과 메모리와 안테나를 포함하는 캡슐화 된 통신부와; 상기 캡슐화 되는 통신부는 외부의 충격에 의한 탈락이나 마찰에 의한 마모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신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금속, 유리, 합성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캡슐화 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점자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
  4. 청구항 3에 있어서,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은 재질이 도로 및 통로의 바닥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금속, 목재, 플라스틱, 콘크리트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점자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
  5. 청구항 3에 있어서,
    통신부는 외부의 충격에 의한 탈락이나 마찰에 의한 마모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신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금속, 유리, 합성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캡슐화 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록 또는 건축물 내·외벽체용 타일
KR1020150026898A 2015-02-26 2015-02-26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전자유도 인식장치, 이를 포함하는 점자보도블록, 건축물 내·외벽용 타일 KR20160104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898A KR20160104757A (ko) 2015-02-26 2015-02-26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전자유도 인식장치, 이를 포함하는 점자보도블록, 건축물 내·외벽용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898A KR20160104757A (ko) 2015-02-26 2015-02-26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전자유도 인식장치, 이를 포함하는 점자보도블록, 건축물 내·외벽용 타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757A true KR20160104757A (ko) 2016-09-06

Family

ID=56945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898A KR20160104757A (ko) 2015-02-26 2015-02-26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전자유도 인식장치, 이를 포함하는 점자보도블록, 건축물 내·외벽용 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475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0792A (zh) * 2019-04-13 2019-06-18 盐城师范学院 基于pic嵌入式芯片的建筑墙体材质判断装置
KR102221325B1 (ko) * 2020-12-04 2021-03-02 문진호 시작장애인 유도용 미끄럼방지 점자블록 시트
WO2022149630A1 (ko) * 2021-01-07 2022-07-14 주식회사 닷 사용자 반응형 스마트 보도 블럭 시스템
WO2023195921A1 (en) * 2022-04-04 2023-10-12 Techntile Llp A surface cover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0792A (zh) * 2019-04-13 2019-06-18 盐城师范学院 基于pic嵌入式芯片的建筑墙体材质判断装置
CN109900792B (zh) * 2019-04-13 2024-04-26 盐城师范学院 基于pic嵌入式芯片的建筑墙体材质判断装置
KR102221325B1 (ko) * 2020-12-04 2021-03-02 문진호 시작장애인 유도용 미끄럼방지 점자블록 시트
KR20220079362A (ko) * 2020-12-04 2022-06-13 문진호 시각장애인 유도용 미끄럼방지 점자블록 시트
WO2022149630A1 (ko) * 2021-01-07 2022-07-14 주식회사 닷 사용자 반응형 스마트 보도 블럭 시스템
WO2023195921A1 (en) * 2022-04-04 2023-10-12 Techntile Llp A surface cover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925B1 (ko)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록 인식시스템
US90726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the walking direc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using RFID blocks
KR20160104757A (ko) 전자유도 센서가 삽입된 시각장애인용 전자유도 인식장치, 이를 포함하는 점자보도블록, 건축물 내·외벽용 타일
JP6032439B2 (ja) 視覚障害者用道路案内システム
KR100847288B1 (ko) 시각 장애우 보행 경로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283026A1 (en) Detectable guidance markers for tactile navigation, including indicia of obstacle presence, type, dimensions, direction, and/or proximity
EP3038012A1 (en) Signal for identifying traffic lights for computer vision
US108698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KR20090020857A (ko)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장치
KR20140007664A (ko) 위치 안내 보도블록
WO2009001991A1 (en) Voice guidance apparatus for visually handicapped
KR20110062844A (ko) 시각장애인용 건물 내 안내 지팡이
JP2004309305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2016171972A (ja) 視覚障害者支援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視覚障害者用白杖
KR20050080187A (ko) 전파식별방식을 이용한 교통약자 횡단보행 안전지원 시스템및 그 방법
KR20190100710A (ko)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KR20090001830U (ko) 알에프 보도블록
KR100751819B1 (ko) 길안내 시스템
JP2001190589A (ja) 情報誘導案内システム
KR20210064170A (ko) 사용자 반응형 스마트 보도 블럭 시스템
KR20180061868A (ko) 센서 부착 지팡이와 블루투스 선글라스
KR100926505B1 (ko) 시각장애인용 차도 경보 장치
KR20190101789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KR20090099111A (ko) 시각장애인 보행 안내시스템
KR102100399B1 (ko) 장애인 보도블럭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