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283A -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283A
KR20160104283A KR1020150027080A KR20150027080A KR20160104283A KR 20160104283 A KR20160104283 A KR 20160104283A KR 1020150027080 A KR1020150027080 A KR 1020150027080A KR 20150027080 A KR20150027080 A KR 20150027080A KR 20160104283 A KR20160104283 A KR 20160104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racter
portable terminal
plug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4864B1 (ko
Inventor
정상원
정회원
동방식
홍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to KR1020150027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86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액세서리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의 하부에 결합될 때 상부와 하부의 위치를 반전시켜 액세서리가 거꾸로 위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는, 휴대단말기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동작하거나 발광하는 캐릭터부; 및 휴대단말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기신호를 상기 캐릭터부로 전달하고, 상기 캐릭터부의 상부와 하부의 위치를 반전시키는 커넥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being possible revers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결합되어 동작하거나 발광하는 액세서리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의 하부에 결합될 때 상부와 하부의 위치를 반전시켜 액세서리가 거꾸로 위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가 보급되고 널리 사용됨에 따라 휴대단말기 관련 다양한 액세서리도 함께 이용되고 있다. 특히 유용한 휴대단말기 앱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활성화 됨에 따라 이러한 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와 연동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도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는 등록특허공보 제10-1275740호(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367768호(휴대단말기 액세서리)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는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어 특정 동작을 하거나 발광한다.
한편, 최근에는 이어폰 단자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휴대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부에 이어폰 단자가 형성될 경우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를 휴대단말기에 결합하면 액세서리의 상하 위치가 뒤집힌 상태로 결합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세서리를 휴대단말기의 하부에 결하시킬 때 액세서리가 거꾸로 위치하지 않도록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는, 휴대단말기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동작하거나 발광하는 캐릭터부; 및 휴대단말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기신호를 상기 캐릭터부로 전달하고, 상기 캐릭터부의 상부와 하부의 위치를 반전시키는 커넥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캐릭터부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는 플러그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부의 배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캐릭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결합홈의 상부 및 하부 형상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상부 및 하부 형상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플러그부가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캐릭터부의 상부와 하부 위치가 반전되도록 상기 캐릭터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액세서리와 플러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성회로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는 제1 플러그부와, 상기 캐릭터부에 삽입되는 제2 플러그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플러그부와 제2 플러그부는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캐릭터부와 플러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요성(可撓性) 와이어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되어 휴대단말기의 음향신호를 이어폰으로 전달하는 소켓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부의 배면은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휴대단말기의 정면과 밀착되도록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는,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단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액세서리의 상부와 하부의 방향이 일정하게 위치하도록 액세서리의 상부와 하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부와 커넥터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와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부와 커넥터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부와 커넥터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의 사시도.
본 발명은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단자의 위치에 따라 휴대단말기에 결합되는 액세서리의 상하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액세서리의 상부와 하부를 반전시켜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단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액세서리의 상부와 하부의 방향이 일정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각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부(100)와 커넥터부(200)로 이루어진다.
캐릭터부(100)는 휴대단말기(P)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부(100)는 정면이 캐릭터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부(100)의 배면은 휴대단말기(P)의 w정면 또는 휴대단말기(P)의 정면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밀착되도록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액세서리를 하부에 이어폰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휴대단말기(P)에 결합시킬 때, 캐릭터부(100)의 상하를 뒤집어 캐릭터부(100)의 배면이 휴대단말기(P)의 정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캐릭터부(100)는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동작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캐릭터부(100)의 내부에는 동작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부(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부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 자기장 내에 위치하는 코일부 및 마그네트와 코일부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동작부로 전달하는 링크장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동부는 모터를 구비하여 모터의 동력으로 동작부가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트와 코일부에 의한 전자기력을 이용함으로써 캐릭터부(100)를 소형화하면서 휴대단말기(P)와 함께 휴대하기 용이하고, 동작부의 동작 응답성을 높일 수 있다. 도면에는 구동부와 동작부를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를 참고하여 다양한 구조로 적용할 수 있다.(출원번호 10-2012-0128488, 출원번호 10-2012-0128489) 또한, 캐릭터부(100)는 휴대단말기(P)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LED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부(100)의 배면에는 결합홈(110)이 형성되고, 결합홈(110)의 양측에는 결합홈(110)과 연통되는 접속구(111)가 형성된다. 결합홈(110)은 상부 및 하부 형상이 서로 대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구(111)의 내부에는 접속단자(112)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구(111) 및 접속단자(112)는 휴대단말기(P)와 캐릭터부(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110)의 내측에는 캐릭터부(100)와 커넥터부(200)의 결합을 위한 후크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릭터부(100)의 하부에는 플러그부(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홈(110)과 연통된 플러그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액세서리는 휴대단말기(P)에 형성되어 있는 이어폰 단자의 위치에 따라 휴대단말기(P)의 상부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휴대단말기(P)의 상부에 액세서리를 결합시킬 때와 휴대단말기(P)의 하부에 액세서리를 결합시킬 때의 캐릭터부(100)와 커넥터부(200)의 결합 방향은 다르며, 설명의 편의상 휴대단말기(P)의 상부에 액세서리를 결합시키기 위한 캐릭터부(100)와 커넥터부(200)의 결합을 정방향 결합이라 하고, 휴대단말기(P)의 하부에 액세서리를 결합시키기 위한 캐릭터부(100)와 커넥터부(200)의 결합을 역방향 결합이라 한다.
커넥터부(200)는 휴대단말기(P)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어 전기신호를 캐릭터부(100)로 전달하고, 캐릭터부(100)와의 결합 방향에 따라 캐릭터부(100)의 상부와 하부의 위치를 반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부(200)는 결합부(210)와 플러그부(220)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결합부(210)는 내부에 회로부(미도시)가 장착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220)가 돌출 형성되며, 결합홈(110)에 삽입되어 캐릭터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결합부(210)에는 캐릭터부(10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양측에 피씨비단자(211)가 돌출 형성된다. 피씨비단자(211)는 결합부(210)가 결합홈(110)에 삽입될 때 접속구(111)로 삽입되어 접속단자(112)와 접촉한다. 이러한 피씨비단자(211)는 결합부(210)의 양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캐릭터부(100)와 커넥터부(200)의 결합 방향이 바뀌어도 접속단자(112)가 어느 한 쌍의 피씨비단자(211)와 접촉하여 캐릭터부(100)와 커넥터부(200)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결합부(210)는 상부 및 하부 형상이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과 무관하게 결합홈(1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210)의 상하 양면에는 캐릭터부(100)와 커넥터부(200)의 결합 방향에 따라 후크돌기(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후크홈(21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서로 결합된 캐릭터부(100)와 커넥터부(200)는 후크홈(212)에 삽입된 후크돌기(113)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플러그부(220)는 결합부(210)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P)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며, 휴대단말기(P)로부터 발생된 전기신호를 회로부로 전달하여 캐릭터부(1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플러그부(22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부(100)와 커넥터부(200)의 정방향 결합시에 플러그홈(114)에 삽입되어 캐릭터부(100)의 하부로 돌출된다.
다음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와 휴대단말기의 결합방법 및 액세서리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를 휴대단말기(P)의 상부에 결합시킬 경우, 캐릭터부(100)와 커넥터부(200)는 정방향 결합이 되며, 결합부(210)는 결합홈(110)에 완전히 삽입된다. 이때, 피씨비단자(211)는 접속구(111)로 삽입되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 위치한 피씨비단자(211)가 접속단자(112)와 접촉한다. 그리고 플러그부(220)가 플러그홈(114)에 삽입되어 캐릭터부(100)의 하부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캐릭터부(100)와 커넥터부(200)가 결합됨에 따라 플러그부(220), 회로부 및 구동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플러그부(220)와 회로부는 직접 연결되며, 회로부와 구동부는 피씨비단자(211)와 접속단자(112)의 접촉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플러그부(220)가 휴대단말기(P)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면, 플러그부(220)를 통해 휴대단말기(P)의 전기신호가 구동부로 전달되어 동작부가 동작하게 된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를 휴대단말기(P)의 하부에 결합시킬 경우, 캐릭터부(100)와 커넥터부(200)는 역방향 결합이 되며, 결합부(210)는 플러그부(220)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상하를 뒤집어 결합홈(110)에 삽입된다. 이때, 결합부(21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220)로 인해 결합홈(110)에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고 전방 일부만 결합홈(110)에 삽입되며, 결합부(210)의 전방 양측에 위치한 피씨비단자(211)가 접속구(111)로 삽입되어 접속단자(112)와 접촉한다. 이와 같이 캐릭터부(100)와 커넥터부(200)가 역방향 결합되면 플러그부(220)는 캐릭터부(100)의 후방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하게 되고, 플러그부(220)를 휴대단말기(P)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어폰 단자에 삽입하면 캐릭터부(100)가 휴대단말기(P)의 정면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캐릭터부(100)의 배면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기(P)의 정면에 밀착되게 된다. 액세서리의 작동방법은 정방향 결합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부(100)와 커넥터부(200)로 이루어진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부(100)와 커넥터부(200)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이 상이하다.
먼저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부(100)는 배면 하부에 커넥터부(200)와의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결합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캐릭터부(100)의 하부에는 결합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릭터부(100)는 구동부의 작동을 위하여 내부에 장착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제2 실시시예에 따른 캐릭터부(100)는 커넥터부(200)와의 결합구조 및 전기적 연결구조를 제외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커넥터부(200)는 휴대단말기(P)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어 전기신호를 캐릭터부(100)로 전달한다. 이러한 커넥터부(200)는 결합부와 플러그부(2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결합부는 고정부(230), 힌지부(240) 및 연성회로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고정부(230)에는 플러그부(220)가 돌출 형성되고, 힌지부(240)는 고정부(230)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힌지결합부(120)와 힌지결합된다. 이에 따라 캐릭터부(100)는 힌지부(24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부와 하부의 위치가 반전될 수 있다. 캐릭터부(100)의 회전 동작은 커넥터부(200)에 대한 상대적인 개념이며, 캐릭터부(100)를 중심으로 커넥터부(200)가 회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커넥터부(200)는 캐릭터부(100)와의 정방향 결합 상태에서 고정부(230)가 결합홈(110)에 삽입되고, 플러그부(220)는 캐릭터부(1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연성회로부는 일반적인 FPC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캐릭터부(100)와 플러그부(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연성회로부는 캐릭터부(100)가 회전함에 따라 휨 변형 가능하며, 캐릭터부(100)에 포함되어 있는 회로부와 플러그부(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플러그부(22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휴대단말기(P)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면 휴대단말기(P)의 전기신호를 연성회로부 및 회로부를 통해 구동부로 전달하여 동작부가 동작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는 캐릭터부(100)가 힌지부(240)를 중심으로 180°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부에 이어폰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휴대단말기(P)에 액세서리를 결합시킬 때는 고정부(230)가 캐릭터부(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10)에 삽입되고, 플러그부(220)가 캐릭터부(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이어폰 단자에 삽입된다.
그리고 하부에 이어폰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휴대단말기(P)에 액세서리를 결합시킬 때는 플러그부(220)가 액세서리의 후방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커넥터부(200)를 회전시켜 플러그부(220)를 이어폰 단자에 삽입한다.
제2 실시예에서 캐릭터부(100)는 커넥터부(200)에 대하여 180°회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캐릭터부(100)가 180°이상 회전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부(100)와 커넥터부(200)로 이루어진다.
캐릭터부(100)는 회로부를 포함하며 배면에 결합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부(200)는 휴대단말기(P)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는 제1 플러그부(250)와 결합홈(110)에 삽입되는 제2 플러그부(26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러그부(250)와 제2 플러그부(260)는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ㄱ"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플러그부(250)와 제2 플러그부(260)는 일반적인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홈(110) 역시 제2 플러그부(260)의 형상에 맞게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플러그부(250)를 휴대단말기(P)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어폰 단자에 삽입하면, 제1 플러그부(250)와 제2 플러그부(260)를 통해 휴대단말기(P)의 전기신호가 회로부로 전달되고, 회로부에 의해 구동부가 작동하여 동작부가 동작하게 된다.
한편, 하부에 이어폰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휴대단말기(P)에 액세서리를 결합시킬 때는, 제1 플러그부(250)가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제1 플러그부(250)를 제2 플러그부(260)를 중심으로 180°회전시켜 이어폰 단자에 삽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부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부(100)와 커넥터부(2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커넥터부(200)는 결합부(210)와 플러그부(220)로 이루어진다.
캐릭터부(100)는 회로부를 포함하며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결합부(210)는 캐릭터부(100)와 플러그부(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요성(可撓性) 와이어이며 제3 실시예의 제1 플러그부(250)와 동일하다. 이러한 결합부(210)는 플러그부(22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캐릭터부(100)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홈(110)을 통해 회로부에 직접 연결된다. 그리고 결합부(210)는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고 구부러진 형상을 유지하여 캐릭터부(10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P)에 형성되어 있는 이어폰 단자의 위치에 따라 결합부(210)를 구부려 캐릭터부(10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210)에는 이어폰을 감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한편, 결합부(210)는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되어 휴대단말기(P)의 음향신호를 이어폰으로 전달하는 소켓부(270)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소켓부(270)에는 이어폰으로 출려되는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음량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어폰으로 음향을 출력하면서 액세서리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캐릭터부, 110 : 결합홈, 111 : 접속구, 112 : 접속단자, 113 : 후크돌기, 114 : 플러그홈, 120 : 힌지결합부,
200 : 커넥터부, 210 : 결합부, 211 : 피씨비단자, 212 : 후크홈, 220 : 플러그부, 230 : 고정부, 240 : 힌지부, 250 : 제1 플러그부, 260 : 제2 플러그부, 270 : 소켓부,

Claims (8)

  1. 휴대단말기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동작하거나 발광하는 캐릭터부; 및
    휴대단말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기신호를 상기 캐릭터부로 전달하고, 상기 캐릭터부의 상부와 하부의 위치를 반전시키는 커넥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반전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캐릭터부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는 플러그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부의 배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캐릭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결합홈의 상부 및 하부 형상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상부 및 하부 형상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플러그부가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캐릭터부의 상부와 하부 위치가 반전되도록 상기 캐릭터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액세서리와 플러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성회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는 제1 플러그부와,
    상기 캐릭터부에 삽입되는 제2 플러그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플러그부와 제2 플러그부는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캐릭터부와 플러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요성(可撓性)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되어 휴대단말기의 음향신호를 이어폰으로 전달하는 소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부의 배면은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휴대단말기의 정면과 밀착되도록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20150027080A 2015-02-26 2015-02-26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1664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080A KR101664864B1 (ko) 2015-02-26 2015-02-26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080A KR101664864B1 (ko) 2015-02-26 2015-02-26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283A true KR20160104283A (ko) 2016-09-05
KR101664864B1 KR101664864B1 (ko) 2016-10-12

Family

ID=5693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080A KR101664864B1 (ko) 2015-02-26 2015-02-26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8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289Y1 (ko) * 2017-12-21 2019-01-09 신여섭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052B1 (ko) * 2011-04-14 2012-07-06 주식회사 다스텍 휴대용 단말기의 액세서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052B1 (ko) * 2011-04-14 2012-07-06 주식회사 다스텍 휴대용 단말기의 액세서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289Y1 (ko) * 2017-12-21 2019-01-09 신여섭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864B1 (ko)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045B1 (ko) 전기적 모듈러 빌딩 장치
KR20170047866A (ko) 휴대폰 케이스
US85533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KR101549074B1 (ko) 스마트안경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KR20120101957A (ko) 접속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1664864B1 (ko) 상하 반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TWM480785U (zh) 插頭電連接器之切換裝置
JP2014107635A (ja) ヘッドセットジャックおよび携帯端末
US20090068945A1 (en) Detachable earphone structure
TWI384706B (zh) 具有模式切換功能之耳機插頭
JP3180483U (ja) 照明機能を備えるコネクタ
JP3198544U (ja) 携帯端末視聴具
CN104143710B (zh) 具有旋转式音频插头的电子设备
TWI564789B (zh) 電子裝置、連接模組、聲音輸出單元以及音訊輸出的切換方法
KR101399947B1 (ko) 휴대단말기용 토이
JP2022131900A (ja) 無線通信装置
KR200293414Y1 (ko) 이어폰 소켓
JP4871932B2 (ja) 携帯端末
KR101562551B1 (ko) 휴대단말기 액세서리용 구동모듈
JP3193297U (ja) Usbコネクタ
JP3228394U (ja) モバイル電子機器用の防水ケース
CN209917266U (zh) 积木声光件
JP3182830U (ja) オーディオプラグ
US7549869B1 (en) Connector
KR200280041Y1 (ko) 3극 및 4극 겸용 이어폰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