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866A -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866A
KR20170047866A KR1020150148481A KR20150148481A KR20170047866A KR 20170047866 A KR20170047866 A KR 20170047866A KR 1020150148481 A KR1020150148481 A KR 1020150148481A KR 20150148481 A KR20150148481 A KR 20150148481A KR 20170047866 A KR20170047866 A KR 20170047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bile phone
case
magnetic force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283B1 (ko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이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훈 filed Critical 이동훈
Priority to KR1020150148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2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7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는, 외부기기와 휴대폰 사이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제1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결합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외부기기에 구비된 접속커넥터와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기기에 구비된 자력결합부재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자력결합부재; 및 상기 휴대폰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노출시키며, 상기 제1커넥터는 외부로 노출시키는 케이스 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수단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방식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 또는 GSM(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휴대폰'이라 함)를 통해서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음성통화 및 문자통신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 들어, 휴대폰의 보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휴대폰은 단순한 통화 및 문자를 하기 위한 휴대폰에서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유무선 통신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을 위한 도구로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폰(스마트폰)으로 자리 잡혀가고 있다.
또한, 휴대폰의 사용자들은 투박하고 두께가 두꺼운 휴대폰을 외면하고, 개인의 개성에 따라 두께가 얇은 슬림(slim)형의 가벼운 휴대폰의 스타일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휴대폰은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휴대폰에 케이스가 장착되어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휴대폰은 유선통신에 의하여 퍼스널 컴퓨터(PC)로 데이터의 전송 및 퍼스널 컴퓨터(PC)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에도 사용된다. 이와 같은 유선통신을 위해 퍼스널 컴퓨터(PC)에 설치된 USB 포트와 결합하는 USB 단자 그리고 휴대폰에 설치된 휴대폰 포트와 결합하는 휴대폰 단자가 구비된 통신 케이블(이하, '케이블'이라 함)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블은 그 종류와 크기가 다양하고 길게 늘어진 선으로 인해 사용이 불편하고, 휴대폰에 수납할 수 없기 때문에 휴대폰과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4488호(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등이 공지되었다. 종래기술은 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기술은 충전장치 또는 퍼스널 컴퓨터(PC) 등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휴대폰 케이스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케이블을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종래기술1은 케이블이 휴대폰 케이스에 수납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케이블을 휴대할 수는 있지만,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을 위해 휴대폰 케이스에 수납된 케이블을 직접 충전장치(휴대용 배터리 등)에 연결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 후 케이블을 분실할 위험성도 있다.
또한, 종래기술1은 휴대폰과 USB 포트가 구비된 외부기기(컴퓨터 등) 또는 충전장치과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 또는 충전을 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을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송수신 또는 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파지한 상태로 다른 장소로 이동하거나 휴대폰을 사용하기 불편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7002호(이하 ‘종래기술2’라 함) 등이 공지되었다. 종래기술2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무선충전 모듈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기술2는 충전패드(충전장치)에 휴대폰을 올려놓으면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휴대폰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기술이다. 이러한 종래기술2는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별도로 케이블을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휴대폰 또는 휴대폰에서 탈거시킨 배터리를 단순히 충전패드에 올려놓음으로써 무선 방식으로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2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의 최대 60% 정도만이 휴대폰의 배터리에 축전되기 때문에 충전 효율이 상당히 떨어지므로, 충전시간 또한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2는 충전패드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안에 사용자가 휴대폰을 파지한 상태로 다른 장소로 이동하거나 휴대폰을 사용하기 불편하기 때문에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 또는 휴대폰과 컴퓨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케이블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휴대폰 배터리의 무선 충전 및 휴대폰과 컴퓨터 간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적용시킬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는, 외부기기와 휴대폰 사이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제1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결합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외부기기에 구비된 접속커넥터와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기기에 구비된 자력결합부재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자력결합부재; 및 상기 휴대폰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노출시키며, 상기 제1커넥터는 외부로 노출시키는 케이스 몸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몸체는, 상기 휴대폰의 결합커넥터가 형성된 일측을 감싸며, 상기 제1커넥터 및 자력결합부재가 형성된 제1케이스 몸체; 및 상기 제1케이스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1케이스 몸체에 의해 감싸진 상기 휴대폰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감싸는 제2케이스 몸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의 출력경로를 제공하는 소정의 음향 출력홀이 형성되며, 상기 음향 출력홀은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공명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외부기기의 접속커넥터에 구비된 포고핀과 접속되는 4개의 접속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4개의 접속단자는 평면에서 볼 때 십자선 상에 나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자력결합부재는, 제1영구자석; 및 제2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영구자석 및 제2영구자석은 서로 다른 극이 하방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휴대폰 케이스는, 상기 외부기기와 휴대폰 사이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제3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커넥터는 상기 제2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몸체는 상기 제3커넥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별도로 케이블을 구비할 필요 없이 제1커넥터에 구비된 접속단자를 통해 휴대용 배터리 또는 충전장치에 휴대폰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휴대폰 배터리의 무선 충전 기술을 구현시킬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충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별도로 케이블을 구비할 필요 없이 제1커넥터에 구비된 접속단자를 통해 USB 드라이브와 휴대폰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휴대폰과 컴퓨터의 간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구현시킬 수 있다.
셋째, 자력결합부재를 구비하여 휴대폰과 휴대용 배터리 또는 USB 드라이브 상호 간의 인력을 발생시켜 전기적인 연결을 더욱 견고히 함으로써 휴대폰과 휴대용 배터리 또는 USB 드라이브를 일체로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휴대폰과 휴대용 배터리 또는 USB 드라이브 간의 부적절한 전기적인 연결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4개의 접속단자는 평면에서 볼 때 십자선 상에 나뉘어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쭉한 형상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휴대폰과 휴대용 배터리 또는 USB 드라이브 간의 부적절한 전기적인 연결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휴대폰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은 음향 출력홀을 통과하여 외부로 출력되기 때문에 음향 출력홀의 구조에 의해 음향의 공명이 발생하여 진폭이 달라짐으로써 음향이 증폭되거나 사용자가 더 듣기 좋은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저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의 제1커넥터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제1커넥터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의 공명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와 휴대폰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과 결합된 휴대폰 케이스와 휴대용 배터리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와 휴대용 배터리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와 대응되는 USB 드라이브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폰과 결합된 휴대폰 케이스와 메모리의 결합 형태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예를 들어, 제1커넥터와 접속커넥터의 전기적인 연결을 통해 휴대폰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구체적인 방법 또는 프로세스 등)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및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설명>
도1은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저면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의 제1커넥터에 대한 저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제1커넥터에 대한 저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의 공명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와 휴대폰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100)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휴대폰 케이스(100)는 제1커넥터(110), 제2커넥터(120), 제3커넥터(130), 자력결합부재(140) 및 케이스 몸체(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커넥터(110) 및 제3커넥터(130)는 외부기기로부터 휴대폰(10)으로 신호의 전달 및 외부기기와 휴대폰(10) 사이의 신호 송수신(또는 중계)을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외부기기’는 아래에 설명될 휴대용 배터리(200), USB 드라이브(300)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전원 공급장치 등의 기기를 말하며, 이러한 외부기기는 제1커넥터(110) 및 제3커넥터(130)를 통해 휴대폰 케이스(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커넥터(1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접속단자(T)를 구비하여 휴대용 배터리(200)로부터 전기신호 또는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휴대폰(10)에 전달하거나 휴대폰 케이스(100)와 USB 드라이브(300) 간의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구성이다. 즉, 제1커넥터(110)는 일반적인 휴대폰(10)에 구비된 마이크로 USB 포트와 마찬가지로 휴대폰(10)의 배터리 충전 및 데이터 송수신의 역할을 하는 구성이며, 4개의 접속단자(T)를 통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4개의 접속단자(T)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두 개의 직선이 서로 직교하는 십자선(CL) 상에 각각 나뉘어 배치된다. 이는 4개의 접속단자(T) 간의 간격을 최대한 동일하고 멀게 배치함으로써 휴대용 배터리(200) 또는 USB 드라이브(300)와 자력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 정합오차가 발생하더라도 휴대폰 케이스(100)와 휴대용 배터리(200) 또는 USB 드라이브(300) 간의 부적절한 전기적인 연결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접속단자(T)들이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을 두고 일렬횡대로 배치되어 휴대용 배터리(200) 또는 USB 드라이브(300)와 자력결합이 이루어질 경우 미세한 오차로도 휴대용 배터리(200) 또는 USB 드라이브(300)에 구비된 단자들과 부적절한 연결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접속단자(T)들을 십자선(CL) 상에 나누어 배치시킴으로써 휴대용 배터리(200) 또는 USB 드라이브(300)의 위치가 좌우 방향 공차나 각도 공차 등에 의해 휴대폰 케이스(100)와 완벽하게 정합되지 않더라도 휴대폰 케이스(100)와 휴대용 배터리(200) 또는 USB 드라이브(300) 간의 부적절한 전기적인 연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접속단자(T)들의 형상은 십자선(CL) 또는 접속단자(T)의 길이방향에 따라 길쭉한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휴대용 배터리(200) 또는 USB 드라이브(300)에 구비된 포고핀들과의 접속시 완벽한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적절하게 정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휴대폰 케이스(100)와 휴대용 배터리(200) 또는 USB 드라이브(300) 간의 부적절한 전기적인 연결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제3커넥터(13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을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휴대폰(10)으로 전달하거나 외부기기와 휴대폰(10) 간의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3커넥터(110)는 케이블(C)을 통해 휴대폰(10)에 전기신호를 전달하거나 휴대폰 케이스(100)와 외부기기 간의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의 중계를 수행하기 때문에 케이블(C)에 구비된 수커넥터에 대응되도록 암커넥터 또는 USB 포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휴대폰(10) 배터리의 충전 및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마이크로 USB 포트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커넥터(110)를 통해서는 별도의 케이블이 없이 외부기기와 접속을 통해 휴대폰(10)과 외부기기 간의 신호를 송수신하며, 제3커넥터(130)를 통해서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휴대폰(10)과 외부기기 간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제2커넥터(120)는 제1커넥터(110) 및 제3커넥터(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에 구비된 결합커넥터(11)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제1커넥터(110) 및 제3커넥터(130)을 통해 오는 전기에너지를 휴대폰(10)으로 전달하거나 제1커넥터(110) 및 제3커넥터(130)와 휴대폰(10) 간의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중계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2커넥터(120)는 휴대폰(10)에 구비된 결합커넥터(암커넥터 또는 USB 포트, 11)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수커넥터 또는 USB 단자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력결합부재(140)는 자성을 가지는 영구자석 또는 자성체로 마련될 수 있고, 휴대용 배터리(200) 또는 USB 드라이브(300)에 구비된 자력결합부재(240, 340)와 자력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또한, 자력결합부재(140)는 휴대용 배터리(200) 또는 USB 드라이브(300)에 구비된 자력결합부재(240, 340)와의 자력결합이 정합되게 이루질 수 있도록 2개의 영구자석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구자석(142) 및 제2영구자석(14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영구자석(142) 및 제2영구자석(144)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극이 하방을 향하도록 구비되며, 휴대용 배터리(200)에 구비된 자력결합부재(240)의 2개의 영구자석(242, 244)과 서로 다른 극이 마주하여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휴대폰 케이스(100)를 휴대용 배터리(200)의 상면에 올려놓는 경우, 휴대폰 케이스(100)와 휴대용 배터리(200)가 완벽하게 정합되지 않더라도 제1영구자석(142) 및 제2영구자석(144)과 휴대용 배터리(200)에 구비된 2개의 영구자석(242, 244)은 상호 간의 발생하는 척력 및 인력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척력 및 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제1영구자석(142) 및 제2영구자석(144)과 2개의 영구자석(242, 244)의 위치는 각각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폰 케이스(100)와 휴대용 배터리(200) 간의 부적절한 정합 및 부적절한 전기적인 연결을 더욱 방지하여 적절한 정합 및 연결이 이루어진다.
케이스 몸체(150)는 도1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되어 휴대폰(1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휴대폰(1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제1커넥터(110) 및 제3커넥터(130)는 외부로 노출시키고, 제2커넥터(120)는 휴대폰(10)에 구비된 결합커넥터(11)와 결합되도록 수용공간 내에 노출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케이스 몸체(150)는 제1케이스 몸체(152) 및 제2케이스 몸체(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케이스 몸체(152)는 도2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의 결합커넥터(11)가 형성된 일측을 감싸며, 제1커넥터(110), 제2커넥터(120), 제3커넥터(130) 및 자력결합부재(140)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케이스 몸체(152)는 휴대폰(10)의 결합커넥터(11)와 제2커넥터(120)가 결합되도록 휴대폰(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휴대폰(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폰(1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제2케이스 몸체(154)는 도2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에 결합되면 제1케이스 몸체(152)에 접촉되어 연결되고, 제1케이스 몸체(152)에 의해 감싸진 휴대폰(10)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구성이다. 또한, 제1케이스 몸체(142)와 마찬가지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폰(1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케이스 몸체(150)의 일측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에 구비된 스피커(12)로부터 출력된 음향의 출력경로(158)를 제공하는 음향 출력홀(15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홀(156)은 스피커(12)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공명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휴대폰(10)의 스피커(12)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은 음향 출력홀(156)의 출력경로(158)를 통과하면서 공명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음향의 공명에 의해 음향 출력홀(158)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스피커(12)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에 비해 음향의 진폭 또는 진동수가 달라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10)의 스피커(12)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보다 더 증폭되거나 더 듣기 좋은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음향 출력홀(156)은 스피커(12)가 구비된 위치와 대응되도록 제1케이스 몸체(15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100)는 활용영역을 확장시켜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태블릿 PC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등의 형태에도 대응되도록 제작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로 케이블(C)을 구비할 필요 없이 제1커넥터(110)에 구비된 접속단자(T)를 통해 휴대용 배터리(200) 또는 충전장치에 휴대폰(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휴대폰(10) 배터리의 무선 충전 기술을 구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케이블(C)을 구비할 필요 없이 제1커넥터(110)에 구비된 접속단자(T)를 통해 USB 포트가 구비된 외부기기(컴퓨터 등)와 휴대폰(1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휴대폰(10)과 컴퓨터의 간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구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자력결합부재(140)를 구비하여 휴대폰(10)과 휴대용 배터리(200) 또는 USB 드라이브(300) 상호 간의 인력을 발생시켜 전기적인 연결을 더욱 견고히 함으로써 휴대폰(10)과 휴대용 배터리(200) 또는 USB 드라이브(300)를 일체로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휴대폰(10)과 휴대용 배터리(200) 또는 USB 드라이브(300) 간의 부적절한 전기적인 연결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4개의 접속단자(T)는 평면에서 볼 때 십자선(CL) 상에 나뉘어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쭉한 형상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휴대폰(10)과 휴대용 배터리(200) 또는 USB 드라이브(300) 간의 부적절한 전기적인 연결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휴대폰(10)의 스피커(12)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은 음향 출력홀(156)을 통과하여 외부로 출력되기 때문에 음향 출력홀(156)의 구조에 의해 음향의 공명이 발생하여 진폭이 달라짐으로써 음향이 증폭되거나 사용자가 더 듣기 좋은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휴대용 배터리에 관한 설명>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과 결합된 휴대폰 케이스와 휴대용 배터리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와 휴대용 배터리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는 휴대폰(10)과 일체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휴대폰(10)의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휴대용 배터리(20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휴대폰(10)으로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휴대용 배터리(200)를 통한 휴대폰(10)의 충전을 위해 휴대용 배터리(2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휴대용 배터리(20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케이블(C)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받기 위한 전원커넥터(2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원커넥터(230)는 케이블(C)에 구비된 수커넥터 형태와 대응되는 암커넥터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휴대용 배터리(200)는 이와 같이 케이블(C)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휴대폰 케이스(100)와 결합을 통해 휴대폰(10)의 배터리를1회 이상 충전시킬 수 있는 대용량 축전모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휴대용 배터리(200)의 상면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배터리(200)의 상면에 휴대폰(10)과 일체로 결합된 휴대폰 케이스(100)가 놓일 때 휴대폰 케이스(100)의 하면에 구비된 제1커넥터(110)와 접속될 수 있는 접속커넥터(2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접속커넥터(220)는 휴대폰 케이스(100)의 제1커넥터(110)에 구비된 4개의 접속단자(T)들과 대응되도록 4개의 포고핀(P)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4개의 포고핀(P)들은 전술한 바와 같은 4개의 접속단자(T)와 맞대응되어 접속되도록 평면에서 볼 때 십자선(CL) 상에 각각 나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 케이스(100)의 4개의 접속단자(T)에 4개의 포고핀(P)들이 접속됨으로써 휴대용 배터리(200)와 휴대폰 케이스(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휴대용 배터리(200)의 상면 측에는 제1영구자석(242) 및 제2영구자석(244)을 포함하는 자력결합부재(240)가 구비된다. 이러한 2개의 영구자석(242, 244)들은 접속커넥터(220)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나뉘어 배치될 수 있으며, 휴대용 배터리(200)의 상면에 휴대폰 케이스(100)의 저면이 마주보도록 놓일 때, 휴대폰 케이스(100)에 구비된 2개의 영구자석(142, 144)들과 자력결합하게 된다. 이를 위해, 휴대용 배터리(200)에 구비된 2개의 영구자석(242, 244)들은 휴대폰 케이스(100)에 구비된 2개의 영구자석(142, 144)들과 서로 다른 극이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4개의 영구자석(142, 144, 242, 244)이 각각 인력을 발생시켜 자력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휴대용 배터리(200)를 통해 휴대폰 케이스(100)와 일체로 결합된 휴대폰(10)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좀 더 상세하게는 휴대용 배터리(200)의 접속커넥터(220)와 휴대폰 케이스(100)의 제1커넥터(110) 간의 접속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용 배터리(200)에 축전된 전기에너지 또는 전기신호를 휴대폰 케이스(100)에 전달함으로써, 휴대폰 케이스(100)를 통해 휴대폰(10) 배터리의 무선 충전 기술이 구현되는 것이다.
한편, 휴대용 배터리(200)는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전술한 바와 다른 유선통신 형태로 케이블(C’)을 통해 휴대폰(10) 또는 휴대폰 케이스(100)로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커넥터(21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커넥터(210)는 케이블(C’)에 구비된 수커넥터 형태와 대응되는 USB용 암커넥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USB 드라이브에 관한 설명>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와 대응되는 USB 드라이브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와 메모리의 결합 형태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는 휴대폰(10)과 일체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휴대폰(10)과 USB 드라이브(300)의 신호 중계를 위해 활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휴대폰 케이스(100)가 휴대폰(10)과 USB 드라이브(30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신호 중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USB 드라이브(3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9에 참조되는 바와 같이, USB 드라이브(300)는 USB 드라이브(300) 일측에 구비된 USB 플러그 또는 단자(미도시)를 통해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등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USB 드라이브(3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컴퓨터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이며, 일반적으로 ‘USB 메모리’ 또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라고도 한다.
USB 드라이브(300)는 USB 커넥터 및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USB 몸체(310)와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USB 몸체(310)는 전술한 휴대폰 케이스(100)의 제1커넥터(110)에 구비된 4개의 접속단자(T)와 마찬가지로 4개의 접속단자(T’)를 구비하며, 메모리(320)는 전술한 휴대용 배터리(200)의 접속커넥터(220)에 구비된 4개의 포고핀(P)과 마찬가지로 4개의 포고핀(P’)을 구비한다. 이러한 4개의 접속단자(T’) 및 포고핀(P’)의 형태 및 배치 구조는 전술한 휴대폰 케이스(100)에 구비된 4개의 접속단자(T) 및 휴대용 배터리(200)에 구비된 4개의 포고핀(P)과 동일하며, 이를 통해 USB 몸체(310)와 메모리(3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USB 몸체(3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메모리(320)에 저장된다.
또한, USB 몸체(310) 및 메모리(320)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다른 극의 자력결합부재(340)를 각각 구비하여 USB 몸체(310)에 구비된 4개의 접속단자(T’)와 메모리(320)에 구비된 4개의 포고핀(P’) 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력결합부재(340)를 통해 메모리(320)는 USB 몸체(310)와 편리한 탈착이 가능하다.
도10에 참조되는 바와 같이, USB 드라이브(300)는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320)만 USB 몸체(310)로부터 분리하여 휴대폰(10)과 결합된 휴대폰 케이스(100)의 제1커넥터(110)에 접속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100)의 자력결합부재(140)는 제1커넥터(110) 위치의 상측 또는 인근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극으로 마련된 휴대폰 케이스(100)의 자력결합부재(140)와 메모리(320)의 자력결합부재(340) 간의 인력이 발생하여 자력결합을 이룸으로써 제1커넥터(110)의 4개의 접속단자(T)와 메모리(320)의 4개의 포고핀(P’) 간의 접속을 더욱 견고히 하여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기적인 연결을 통해 메모리(320)에 저장된 데이터는 제1커넥터(110)를 통해 휴대폰(10)으로 송신되고 휴대폰(10)에 저장된 데이터는 제1커넥터(110)를 통해 메모리(320)에 송신됨으로써 휴대폰(10)과 메모리(320) 간의 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이 구현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휴대폰 케이스
110 : 제1커넥터
120 : 제2커넥터
T : 접속단자
130 : 제3커넥터
140 : 자력결합부재
142 : 제1영구자석
144 : 제2영구자석
150 : 케이스 몸체
152 : 제1케이스 몸체
154 : 제2케이스 몸체
156 : 출력경로
158 : 음향 출력홀

Claims (6)

  1. 외부기기와 휴대폰 사이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제1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결합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외부기기에 구비된 접속커넥터와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기기에 구비된 자력결합부재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자력결합부재; 및
    상기 휴대폰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노출시키며, 상기 제1커넥터는 외부로 노출시키는 케이스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는,
    상기 휴대폰의 결합커넥터가 형성된 일측을 감싸며, 상기 제1커넥터, 제2커넥터 및 자력결합부재가 형성된 제1케이스 몸체; 및
    상기 제1케이스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1케이스 몸체에 의해 감싸진 상기 휴대폰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감싸는 제2케이스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의 출력경로를 제공하는 소정의 음향 출력홀이 형성되며,
    상기 음향 출력홀은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공명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외부기기의 접속커넥터에 구비된 포고핀과 접속되는 4개의 접속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4개의 접속단자는 평면에서 볼 때 십자선 상에 나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결합부재는,
    제1영구자석; 및
    제2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영구자석 및 제2영구자석은 서로 다른 극이 하방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6. 상기 휴대폰 케이스는,
    상기 외부기기와 휴대폰 사이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제3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커넥터는 상기 제2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몸체는 상기 제3커넥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KR1020150148481A 2015-10-26 2015-10-26 휴대폰 케이스 KR101820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481A KR101820283B1 (ko) 2015-10-26 2015-10-26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481A KR101820283B1 (ko) 2015-10-26 2015-10-26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866A true KR20170047866A (ko) 2017-05-08
KR101820283B1 KR101820283B1 (ko) 2018-01-19

Family

ID=6016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481A KR101820283B1 (ko) 2015-10-26 2015-10-26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283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2186A1 (en) * 2017-06-15 2018-12-20 Fasetto, Llc Portable storage device with modular power and housing system
WO2019079628A1 (en) * 2017-10-19 2019-04-25 Fasetto,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SYSTEMS
US10437288B2 (en) 2014-10-06 2019-10-08 Fasetto, Inc. Portable storage device with modular power and housing system
US10614234B2 (en) 2013-09-30 2020-04-07 Fasetto, Inc. Paperless application
US10712898B2 (en) 2013-03-05 2020-07-14 Fasetto, Inc. System and method for cubic graphical user interfaces
US10812375B2 (en) 2014-01-27 2020-10-20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US10848542B2 (en) 2015-03-11 2020-11-24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eb API communication
US10904717B2 (en) 2014-07-10 2021-01-26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ssage editing
US10929071B2 (en) 2015-12-03 2021-02-23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mory card emulation
US10956589B2 (en) 2016-11-23 2021-03-23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reaming media
US10979466B2 (en) 2018-04-17 2021-04-13 Fasetto, Inc. Device presentation with real-time feedback
US11089460B2 (en) 2014-10-06 2021-08-10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storage devices
US11708051B2 (en) 2017-02-03 2023-07-25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storage in keyed devices
US11985244B2 (en) 2018-11-30 2024-05-14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data encryp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677B1 (ko) * 2014-04-29 2014-09-23 (주)한국전자기술 휴대용 충전 케이스 구조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2898B2 (en) 2013-03-05 2020-07-14 Fasetto, Inc. System and method for cubic graphical user interfaces
US10614234B2 (en) 2013-09-30 2020-04-07 Fasetto, Inc. Paperless application
US11374854B2 (en) 2014-01-27 2022-06-28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US10812375B2 (en) 2014-01-27 2020-10-20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US10904717B2 (en) 2014-07-10 2021-01-26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ssage editing
US11089460B2 (en) 2014-10-06 2021-08-10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storage devices
US10437288B2 (en) 2014-10-06 2019-10-08 Fasetto, Inc. Portable storage device with modular power and housing system
US10983565B2 (en) 2014-10-06 2021-04-20 Fasetto, Inc. Portable storage device with modular power and housing system
US10848542B2 (en) 2015-03-11 2020-11-24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eb API communication
US10929071B2 (en) 2015-12-03 2021-02-23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mory card emulation
US10956589B2 (en) 2016-11-23 2021-03-23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reaming media
US11708051B2 (en) 2017-02-03 2023-07-25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storage in keyed devices
WO2018232186A1 (en) * 2017-06-15 2018-12-20 Fasetto, Llc Portable storage device with modular power and housing system
WO2019079628A1 (en) * 2017-10-19 2019-04-25 Fasetto,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SYSTEMS
US10763630B2 (en) 2017-10-19 2020-09-01 Fasetto,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systems
US11388207B2 (en) 2018-04-17 2022-07-12 Fasetto, Inc. Device presentation with real-time feedback
US10979466B2 (en) 2018-04-17 2021-04-13 Fasetto, Inc. Device presentation with real-time feedback
US11985244B2 (en) 2018-11-30 2024-05-14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data encryp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283B1 (ko) 2018-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283B1 (ko) 휴대폰 케이스
US11944172B2 (en) Portable listening device with sensors
KR10192490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장치
DK201970126A8 (en) CASE WITH MAGNETIC OVER-CENTER MECHANISM
JP2015146705A (ja) 無接点充電装置
KR101875103B1 (ko) 휴대용 배터리 및 충전기구
KR20160113884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연결 장치
KR101744115B1 (ko) Usb 플래시 드라이브
KR102188530B1 (ko) 무선 이어폰 모듈
CN219717951U (zh) 一种无线充电主体件、配件和组件
CN105898638A (zh) 耳机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