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884A - 전자 장치 및 그의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의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884A
KR20160113884A KR1020150040194A KR20150040194A KR20160113884A KR 20160113884 A KR20160113884 A KR 20160113884A KR 1020150040194 A KR1020150040194 A KR 1020150040194A KR 20150040194 A KR20150040194 A KR 20150040194A KR 20160113884 A KR20160113884 A KR 20160113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ver
battery
external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0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3884A/ko
Priority to US15/076,815 priority patent/US20160286015A1/en
Priority to CN201610169595.2A priority patent/CN105990743A/zh
Priority to EP16161988.7A priority patent/EP3073719A1/en
Publication of KR20160113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8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by connection of exchangeable housing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전자 장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착탈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배터리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커버가 결합될 시, 상기 배터리 슬롯에 외부 장치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의 연결 장치{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외부 장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성 통화나 메시지 전송 등의 통신 기능으로부터, 각종 정보의 저장, 게임, 동영상 감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즐길 수 있게 하는 통신 장치를 말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 전자 수첩이나 멀티미디어 기능이 탑재되면서, 소액 결재와 같은 금융 업무, 게임/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의 다양한 콘텐츠 실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전자 장치는 초기에 음성 통화나 단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쳤으나, 전자/통신 기술이 발달하여, 점차 소형화/슬림화 및 경량화되면서, 전자 장치의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금융 업무를 가능하게 하는 보안 기능, 게임/동영상 등을 즐길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능, 인터넷이나 메일의 송수신을 포함하는 간단한 사무처리 기능 등이 탑재되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다양한 외부 장치, 즉, 전자 장치의 기능을 확대하기 위하여 부가하는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들을 구비하고 있다. 언급된 외부 장치는 음향에 관련된 부가 장치로서, 이어폰이나 헤드폰, 유선/무선 헤드셋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에 관련된 외부 장치를 통해서 사용자는 음악을 감상하거나, 통화 등을 쉽게 할 수 있었다.
외부 부가 장치들 중, 예를 들어, 유선 이어폰을 사용하여 음악을 청취하고 싶으면, 사용자는 이어폰의 플러그를 전자 장치에 있는 이어폰 소켓이나 콘넥터에 접속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부가 장치들 중, 예를 들어, 무선 헤드셋을 사용하여 상대방과 통화하거나 음악을 청취할 수 있었다. 무선 통신은 공지의 블루투스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외부 부가 장치는 전자 장치와 함께 늘 휴대되어야 사용할 수 있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커버에 장착하되, 본체의 배터리 슬롯에 수용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외부 장치를 구비하면서도 슬림화에 유리한 전자 장치 및 그의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커버에 장착하되, 본체에 수용가능하게 구성되는 슬림한 전자 장치 및 그의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커버에 실장되는 복수 개의 외부 장치 간을 자성체를 이용하여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슬림한 전자 장치 및 그의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외부 장치의 교체가 가능하여, 다양한 외부 장치의 실장이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자성체가 외부 장치 간의 전기적 신호 연결 기능을 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착탈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배터리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커버가 결합될 시, 상기 배터리 슬롯에 외부 장치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본체 리어 케이스; 및 상기 본체 리어 케이스에 구비된 배터리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슬롯은 배터리 수용 공간과 외부 장치 수용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커버; 및 상기 배터리 커버에 실장된 복수 개의 외부 장치들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 장치들 간은 복수 개의 자성체를 이용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외부 장치가 전자 장치에 슬림하게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슬림한 전자 장치 내에 내장할 수 있는 무선 이어폰을 제공함으로써, 음성 정보에 쉽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음성 인터페이스 명령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외부 장치의 일예로,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기기와 스마트폰과의 무선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외부 장치의 일예로,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와의 무선 연결을 통해서, 무선으로 데이터 연결을 구현하고, 블루투스 모듈에 내장한 마이크로 음성 명령 입력하여 전자 장치에서 연산을 통해 연결된 기기의 동작을 음성으로 다른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분리된 전자 장치의 후면에 있는 배터리 슬롯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분리된 전자 장치의 배터리 슬롯에 배터리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분리된 전자 장치의 후면에 있는 배터리 슬롯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외부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탄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2외부 장치의 대면하는 면에 각각 배치된 자성체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2외부 장치의 대면하는 면에 각각 배치된 자성체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제 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사용자 기기와 제2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 (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 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면(100a) 중앙에 터치스크린(19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90)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100a)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상기 메인 홈 화면은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100)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화면들을 갖고 있을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상기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91-1,191-2,191-3), 메인메뉴 전환키(191-4),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인메뉴 전환키(191-4)는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에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90)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바(Status Bar;19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90)의 하부에는 홈 버튼(161a), 메뉴 버튼(161b), 및 뒤로 가기 버튼(16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 버튼(161a)은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90)에 상기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키(161a)가 터치되면,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91a)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스크린(190)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61a)은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에 최근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61b)은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뒤로 가기 버튼(16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전면(100a) 가장자리에는 제1카메라(151)와, 조도 센서(170a) 및 근접 센서(170b)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후면(100c)에는 제2카메라(152), 플래시(flash;153), 스피커(163)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측면(100b)에는 예를 들어 전원/리셋 버튼(160a), 음량 버튼(161b), 방송 수신을 위한 지상파 DMB 안테나(141a),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들(16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DMB 안테나(141a)는 장치(100)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65)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부가 장치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이의 연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구비하면서, 슬림화에 유리한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에서 착탈되는 커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40)는 본체(30) 저면에서 착탈되기 때문에, 리어 커버, 악세사리 커버 또는 배터리 커버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에서 커버(40)가 착탈되는 결합 구조는 미도시된다. 결합 구조는 공지의 돌기와 홈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분리된 전자 장치의 후면에 있는 배터리 슬롯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분리된 전자 장치의 배터리 슬롯에 배터리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30)는 다양한 전자 부품이 장착될 수 있는데, 상기 본체(30) 저면에 있는 리어 케이스(R)쪽에 배터리(B)를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 슬롯(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슬롯(31)은 배터리가 수용되는 개방 공간으로서, 수용되는 장치에 따라서 적어도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슬롯(31)은 리어 커버(R) 외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리세스된 개방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슬롯(31)은 제1,2수용 공간(310,312)으로 분할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수용 공간(310)은 배터리(B)가 장착되는 개방 공간일 수 있고, 상기 제2수용 공간(312)은 후술하는 외부 장치(41;도 6 참조)가 장착되는 개방 공간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1,2수용 공간(310,312)은 하나의 개방 공간을 수용되는 부품에 따라 구분된 것으로서, 바닥은 리어 케이스 또는 별도의 금속/박막 쉬트에 의해 폐쇄되고, 리어 케이스에 의해 둘러 싸이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 공간(310) 모서리 측벽에는 배터리와 접속되기 위한 복수 개의 연결 단자(31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슬롯(31) 상방향으로 심카드와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착탈할 수 있는 접속 모듈(M1,M2)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리어 케이스(R) 상단 영역에 카메라 모듈(C)과, 플래쉬(F)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 리어 케이스(R)에는 후술하는 외부 장치를 본체(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연결 단자(32,3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연결 단자(32)는 외부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연결 단자/충전 단자일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연결 단자(33)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연결 단자일 수 있다. 상기 본체(30)에 커버(40;도 6)가 결합될 시, 상기 각각의 연결 단자(32,33)는 후술하는 연결 단자(도 6 참조)와 접속 상태를 항시 유지하기 위하여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각각의 연결 단자(32,33)는 클립과 같은 형상으로, 접속 자유단이 탄성을 가지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리어 케이스(R) 표면에서, 탄성을 가진 자유단이 약간 돌출되게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들은 본체와 외부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분리된 전자 장치의 후면에 있는 배터리 슬롯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30)는 제1,2수용 공간(350,35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2수용 공간(350,352)은 분할 수직벽(354)에 의해 독립적으로 공간적으로 격리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2수용 공간(310,312)이 서로 공간적으로 연통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 도 5에서는 상기 제1,2수용 공간(350,352)이 공간적으로 격리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할 수직벽(354)은 상기 리어 케이스(R)에 일체형으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플레이트를 배터리 슬롯에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 수직벽(354)은 배터리 슬롯 바닥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저면에 있는 리어 케이스(R)에는 커버(40;도 6)가 착탈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배터리 슬롯(31)에 장착된 배터리(B)를 분리하기 위해 착탈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는 리어 케이스(R)에서 결합되면, 상기 리어 케이스(R)와 대면한 상태일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체에서 착탈되는 커버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410,412)를 외부 장치 장착부(41)에 실장할 수 있다. 상기 커버(40)는 외면과 내면이 있는데, 상기 커버(40)가 본체에 결합될 시, 외부에 보이는 면이 외면이고, 상기 리어 케이스(R)와 대면하는 면이 내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내면(400)에서 상기 외부 장치(410,412)를 돌출형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40)가 상기 본체(30)에 결합되면, 상기 외부 장치(410,412)는 제2수용 공간(312;도 3)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410,412)는 커버(40)에 있는 외부 장치 장착부(41)에 내장되는 유형으로 실장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 장치(410,412)는 본체(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자 장치는 연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장치는 복수 개의 연결 단자와, 연성 회로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단자들은 본체 리어 케이스(R)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단자(32,33)와, 상기 커버(40) 내면(40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단자(4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단자(32,33;42,43)의 실장 개수는 각각 두 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외부 장치(410,412)의 종류에 따라서 한 개 또는 여러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에 상기 커버(40)가 결합될 시, 상기 제1,2단자(32,33;42,43)가 서로 접속되고, 상기 접속된 상태를 항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접속 상태를 항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단자(32,33)는 탄성을 가지는 단자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단자(42,43)는 평판한 접속면을 가지는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커버의 결합 유무를 단자의 저항 유무로 확인하여, 커버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본체에 커버 결합 시, 상기 단자들(32,33;42,43) 및 연성 회로부(44)에 의해서, 상기 외부 장치에 충전 에너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32,33)는 상기 본체 리어 케이스(R)에서 배터리 슬롯(31)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단자(42,43)는 상기 제1단자(32,33)와 대응하는 커버 내면(4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자(42,43)와 외부 장치(410,412)는 연성 회로부(44)(FPCB)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부(44)는 외부 장치(410,412)에서 제2단자(42,43)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연성 회로 기판(44)은 충전 단자 라인과 데이터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410,412)는 커버(40)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착탈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410,412)가 착탈가능하게 구성된다면, 상기 외부 장치(410,412)는 다른 외부 장치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40)에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외부 장치(410,412)는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는 2개가 장착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데, 상기 외부 장치는 음향과 관련된 부가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컨데, 블루투스 모듈(410)과 이어폰 모듈(412)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외부 장치는 불루투스 모듈(410)(이하 제1모듈이라 지칭한다)과, 상기 제1모듈(410)에 연결되는 이어폰 모듈(412)(이하 제2모듈이라 지칭한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410)과 제2모듈(412)은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자성체는 이중 기능을 담당하는데, 상기 제1,2모듈(410,412)을 전기적으로 연결을 하는 부품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제1,2모듈(410,412)을 자성에 의한 물리적 결합기능을 하는 부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연결은 제1,2모듈(410,412) 간에 각종 데이터를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물리적 결합 기능은 제1,2모듈(410,412)을 일몸체로 결합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각각의 제1,2모듈(410,412)에 구비된 자성체는 이중 기능을 담당하는 부품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외부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탄는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2모듈(410,412)의 물리적 결합 구조는 각각 요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요철 형상에 의해, 상기 제1,2모듈(410,412)의 결합 위치를 잡아줄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1모듈(410)은 대면하는 부분에 양측을 돌출되게 하고, 양측 부분 사이에 있는 가운데 부분은 리세스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과 대응하게, 상기 제2모듈(412)은 상기 대면하는 부분에 양측을 리세스 형상으로 구성하고, 양측 부분 사이에 있는 가운데 부분은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요철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2외부 장치의 대면하는 면에 각각 배치된 자성체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2모듈(410,412)은 결합될 시, 서로 대면하는 면이 있는데, 상기 제1모듈(410)의 대면하는 제1면(410a-410c)에 복수 개의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모듈(412)의 대면하는 제1면(412a-412c)에 복수 개의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41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자성체는 각각 극성을 가지게 구비된 단자가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모듈(412)에 구비된 복수 개의 자성체는 각각 극성을 가지는 단자가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2모듈(410,412)에 각각 구비된 단자들 모두 또는 적어도 일부는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가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공지의 자석이 서로 상극이어야만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N'으로 도시된 자성체는 N극을 가지는 자성체이고, 'S'로 도시된 자성체는 S극을 가지는 자성체일 수 있다.
상기 제1모듈(410)은 3개의 면에 3개의 자성체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제1,2,3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2자성체 사이에 제3자성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1,2,3자성체는 단자가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모듈은 2개의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제1,2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2자성체가 서로 대치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1,2자성체는 단자가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2외부 장치의 대면하는 면에 각각 배치된 자성체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2모듈(414,416)은 결합될 시, 서로 대면하는 면이 있는데, 상기 제1모듈(414)의 대면하는 제1면(414a-414c)에 복수 개의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모듈(416)의 대면하는 제1면(416a-416c)에 복수 개의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414)에 구비된 복수 개의 자성체는 각각 극성을 가지게 구비된 단자가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모듈(416)에 구비된 복수 개의 자성체는 각각 극성을 가지는 단자가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2모듈(414,416)에 각각 구비된 단자들 모두 또는 적어도 일부는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가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공지의 자석이 서로 상극이어야만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N'으로 도시된 자성체는 N극을 가지는 자성체이고, 'S'로 도시된 자성체는 S극을 가지는 자성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연결 장치에 의해 커버에 구비된 외부 장치를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마이크나 블루투스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음성 정보가 입력되면,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 무선으로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 (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 (unit), 로직 (logic), 논리 블록 (logical block), 부품 (component), 또는 회로 (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 (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 상기 프로세서 2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 220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implement)(예: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개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착탈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배터리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커버가 결합될 시, 상기 배터리 슬롯에 외부 장치가 수용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슬롯은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는 제1슬롯; 및
    상기 외부 장치가 수용되는 제2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1,2슬롯은 중첩되지 않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2슬롯은 서로 공간적으로 연통되어 하나의 공간으로 구성되거나, 공간적으로 수직 분할벽에 의해 격리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제1슬롯에 완전히 수용되고, 상기 외부 장치는 제2슬롯에 완전히 수용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연결 장치에 의해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본체 저면 일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단자;
    상기 커버 내면 일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가 본체에 결합될 시, 상기 제1단자와 접속하고,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단자; 및
    상기 커버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단자를 외부 장치에 연결하는 연성 회로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되되,
    상기 외부 장치가 복수 개로 구성될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체를 이용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극성에 의해 외부 장치를 서로 결합시키고, 외부 장치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신호 전달이 가능한 전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외부 장치는 블루투스 모듈과, 이어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커버에 일체형으로 내장되거나,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다른 외부 장치로 교환가능한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본체 리어 케이스; 및
    상기 본체 리어 케이스에 구비된 배터리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슬롯은
    배터리 수용 공간과 외부 장치 수용 공간으로 구분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 수용 공간은 배터리 수용 공간으로부터 적층되지 않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커버; 및
    상기 배터리 커버에 실장된 복수 개의 외부 장치들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 장치들 간은
    복수 개의 자성체를 이용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는 전자 장치에서 착탈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외부 장치는 각각 자성체를 구비하여, 상기 자성체들 간의 인력으로 결합되되, 상기 각각의 자성체가 외부 장치 간의 전기 신호를 연결하는 단자 기능을 겸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서로 대면하는 면에 각각 자성체를 노출시키게 배치하고, 상기 노출된 각각의 자성체는 서로 자성에 의해 결합되어 접하고, 상기 접한 상태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자성체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음향과 관련된 외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외부 장치는
    블루투스 모듈 및 이어폰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커버에서 착탈되어서, 다른 외부 장치로 교환가능한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자성체는 네오미듐 자석을 포함하는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외부 장치는 서로 대면하는 면을 각각 요철형상으로 구성하는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이나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50040194A 2015-03-23 2015-03-23 전자 장치 및 그의 연결 장치 KR2016011388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194A KR20160113884A (ko) 2015-03-23 2015-03-23 전자 장치 및 그의 연결 장치
US15/076,815 US20160286015A1 (en) 2015-03-23 2016-03-22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thereof
CN201610169595.2A CN105990743A (zh) 2015-03-23 2016-03-23 电子设备及其连接器
EP16161988.7A EP3073719A1 (en) 2015-03-23 2016-03-23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194A KR20160113884A (ko) 2015-03-23 2015-03-23 전자 장치 및 그의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884A true KR20160113884A (ko) 2016-10-04

Family

ID=5564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194A KR20160113884A (ko) 2015-03-23 2015-03-23 전자 장치 및 그의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286015A1 (ko)
EP (1) EP3073719A1 (ko)
KR (1) KR20160113884A (ko)
CN (1) CN1059907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9055A (zh) * 2017-05-16 2017-10-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智能手机
EP3689038A1 (en) * 2017-09-26 2020-08-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rules based on a status associated with a battery of a device
CN110908118B (zh) * 2019-12-06 2021-10-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头戴式设备
US11857010B2 (en) * 2021-04-30 2024-01-02 Swess, Llc Configurable garments and earpod holde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5468B2 (en) * 1998-08-20 2002-05-07 Conexant Systems, Inc. External connector and battery extension pack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7277734B1 (en) * 2001-09-28 2007-10-02 At&T Bls Intellectual Property,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ing cellular telephone audio signals
JP2004266407A (ja) * 2003-02-28 2004-09-24 Hitachi Ltd 携帯端末用アダプタおよび携帯端末ならびに携帯端末用アダプタの選択装着方法
CN201114233Y (zh) * 2007-09-28 2008-09-1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蓝牙模组的手机
US7966040B2 (en) * 2007-11-08 2011-06-21 Symbol Technologies, Inc. Magnetically attachable accessories for a mobile unit
US20110077061A1 (en) * 2009-07-03 2011-03-31 Alex Danze Cell phone or pda compact case
US9300081B2 (en) * 2010-02-02 2016-03-29 Charles Albert Rudisill Interposer connectors with magnetic components
US8264310B2 (en) * 2010-09-17 2012-09-11 Apple Inc. Accessory device for peek mode
CN103208701A (zh) * 2012-01-12 2013-07-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壳体及应用该壳体的便携式电子装置
US20140357094A1 (en) * 2013-06-04 2014-12-04 Justin Chiwon Kim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US20150156297A1 (en) * 2013-12-02 2015-06-04 New Wallet, Inc. Smart case for mobile devices
CN203851184U (zh) * 2014-05-20 2014-09-24 东莞华贝电子科技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的耳机座组件和移动终端
KR20160027743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90743A (zh) 2016-10-05
US20160286015A1 (en) 2016-09-29
EP3073719A1 (en)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1035B2 (en) Wearable computing systems
KR101820283B1 (ko) 휴대폰 케이스
JP7011751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パネルを有するスマートウォッチ
KR10192490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장치
EP3407575A1 (en) Mobile terminal
KR102275511B1 (ko) 정렬 및 상호연결 시스템
US20160043501A1 (en) Cable connector device
KR20210045668A (ko) 전자 펜을 포함하는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
US20150220172A1 (en) Wearable computing systems
US10001808B1 (en) Mobile device accessory equipped to communicate with mobile device
KR20160113884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연결 장치
KR101521539B1 (ko) 이어폰 일체형 스마트 와치
US8903459B2 (en) Connecting terminal for a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US20150200555A1 (en) Apparatus for charging a large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JP2017045043A (ja) カメラ突起アライメントを用いてドッキングするモジュラーデバイス
US10727890B2 (en) Case having extension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
CN204858116U (zh) 磁力式耳机插头及其应用于执行资料传输之生理量测装置
US9954986B2 (en) Mobile device
US10439326B2 (en) Button structure and terminal applying same
US9667760B2 (en) Module slices in modula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3462572A1 (en) Inductive interconnection systems
US20160261138A1 (en) Wireless charging receiver
JP2006314068A (ja) 無線装置用再構成可能な周辺デバイス
KR101248864B1 (ko)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
JPWO2013018438A1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