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202A - 테이블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테이블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202A
KR20160104202A KR1020150026887A KR20150026887A KR20160104202A KR 20160104202 A KR20160104202 A KR 20160104202A KR 1020150026887 A KR1020150026887 A KR 1020150026887A KR 20150026887 A KR20150026887 A KR 20150026887A KR 20160104202 A KR20160104202 A KR 20160104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pin
movable
heigh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6730B1 (ko
Inventor
구명화
Original Assignee
구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명화 filed Critical 구명화
Priority to KR1020150026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73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4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테이블 높이조절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테이블을 받쳐주는 서포터가 내부 서포터와 외부 서포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 서포터에 구비되는 핀 정착부; 상기 핀 정착부에 진입되거나 이탈되어 내부 서포터를 구속하거나 그 구속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가동 핀을 구비하는 스토퍼; 및 가동 핀을 작동시키기 위해 스토퍼와 작동 줄로 연결된 작동 레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테이블의 높이 를 간결하고 편리하게 조절한다.

Description

테이블 높이조절장치{HEIGHT ADJUSTING DEVICE FOR TABLE}
본 발명은 테이블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의 높이를 레버 조작을 통해 쉽고 간결하면서도 빠르게 조절하는 테이블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거 공간 또는 사무실 공간 등에서는 테이블(탁자)이 사용된다. 테이블은 간편하게 보관물품이나 소품들을 올려놓거나 보관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간단한 책상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그 테이블은 다양한 형식과 구조로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1993-0012908호에는 '절첩이 용이한 탁자'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보조다리의 걸림홈과 결합체의 걸림턱의 상호작용으로 보조다리가 견고한 지지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시된 절첩이 용이한 탁자에 관한 기술이다. 그러나 이 기술은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을 뿐더러 실내 공간에서 이동도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 있었다.
또 다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191504호에는 '장식탁자'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테이블판 상면에는 유리조각을 모자이크하여 형성한 장식유리판을 설치한 것으로 테이블을 움직이려면 테이블 전체를 움직여야하고 테이블의 높이조절도 구조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리의 높이를 조정하는 예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43555호의 '휴대용 탁자'로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상판이 두께가 작으며 강성이 적은 상판부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판을 말수 있으며, 상판을 말았을 때 부피가 적고 탁자의 무게가 가벼워서 휴대가 용이한 장점을 갖도록 한 것이고, 탁자의 다리는 고정각부와 상기 고정각부에 대해 입출 가능한 변형부로 구성되어 각각의 다리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평평한 상판을 제공하도록 제안된 기술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02028호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리가 개시되어 있다.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는 테이블도 알려져 있으나 높이를 조절하는 조작이 번거롭고 불편하다. 따라서 테이블 다리의 높이를 쉽고 빠르면서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테이블의 높이조절장치가 요구되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1993-0012908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191504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43555호
특허문헌 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02028호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의 높이를 간편하면서도 쉽게 빠르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블의 높이를 원터치로 조작할 수 있는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들은, 테이블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테이블을 받쳐주는 서포터가 내부 서포터와 외부 서포터로 이루어지며, 내부 서포터에 구비되는 핀 정착부; 상기 핀 정착부에 진입되거나 이탈되어 내부 서포터를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시키기 위해 가동 핀을 구비하는 스토퍼; 및 가동 핀을 작동시키기 위해 스토퍼와 작동 줄로 연결된 작동 레버;를 포함하는 테이블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내부 서포터는 외부 서포터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슬라이드 레일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는, 외부 서포터의 내벽에 장착되고 상기 가동 핀이 작동 줄에 의해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공간을 따라 끼워져 장착되고 상기 가동 핀을 결합하여 연동시키는 가동 블럭; 상기 가동 블럭을 상기 공간 안에서 탄지 하여 상기 가동 핀 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4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동 블럭의 일단에는 상기 작동 줄이 고정된 팁 헤드가 장착되고, 그 타단에는 상기 가동 핀의 헤드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핀 정착부는 내부 서포터를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핀 홀 또는 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높이조절장치는, 테이블의 높이를 작동 레버를 조작하여 원터치로 간편하면서도 쉽게 빠르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 위주의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고 간결한 조작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적용된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적용된 테이블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적용된 테이블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적용된 테이블의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적용된 테이블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구성하는 서포터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구성하는 서포터 부분의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의 스토퍼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의 스토퍼 작동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높이조절장치는, 도 1 내지 도 5 및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100)의 높이를 조절하고 테이블을 받쳐주는 서포터(300), 서포터(3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스토퍼(400), 스토퍼(400)에 설치되어 작동 줄(330)에 의해 움직이는 가동 핀(410), 가동 핀(410)을 움직여주는 작동 줄(330)과 연결된 작동 레버(3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서포터(3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서포터(300)는 외부 서포터(350)와 그 외부 서포터를 따라 위 아래로 이동하는 내부 서포터(360)로 조합되어 있으며, 내부 서포터(360)는 가동 핀(410)의 진입과 이탈을 유도하는 핀 정착부(361)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내부 서포터(360)는 외부 서포터(35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슬라이드 레일(370)(371)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 레일(370)(370)은 외부 서포터(350)의 내벽과 내부 서포터(360)의 외벽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자유롭게 장착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레일을 두는 경우 높이 조절을 위해 내부 서포터(360)를 올리거나 내릴 때 부드럽게 내부 서포터(360)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외부 서포터(350)의 내벽과 내부 서포터(360)의 외벽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레일(370)(371)이 설치된 예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반드시 필요한 부품은 아니다.
또한, 스토퍼(400)는, 외부 서포터(350)의 내벽에 장착되고 가동 핀(410)이 작동 줄(330)에 의해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공간(450)을 갖는 본체(46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460)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서포터(350)의 내벽에 볼트 등의 결합부재(420)로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470)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토퍼(400)는 공간(450)을 따라 끼워져 장착되고 가동 핀(410)을 결합하여 연동시키는 가동 블럭(430)을 구비할 수 있다. 가동 블럭(430)은 작동 줄(330)에 의해 공간(450)을 따라 당기는 힘의 작용 방향으로 움직이고, 당기는 힘이 없어지면 공간(450) 안에 놓인 스프링(440)의 탄력으로 공간(450)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동 블럭(430)을 공간(450) 안에서 탄지하여 가동 핀(410) 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440)으로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451'은 본체(460)의 공간(450)을 폐쇄하고 스프링(440)을 지지하는 격벽이다. 이 격벽은 그 반대편에도 존재한다.
스토퍼(400)의 가동 블럭(430)은 작동 레버(320)를 젖혀서 작동 줄(330)을 당기거나 또는 당김력을 해제하는 경우 본체(460)의 공간(450)을 따라 상대적인 동적 움직임을 나타낸다.
가동 블럭(430)의 작동 및 움직임 상태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작동 레버(320)를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젖히면 작동 줄(330)이 'A'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때 가동 블럭(430)을 당겨지는 방향인 'B'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동 핀(410)을 당기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가동 핀(410)은 핀 정착부(361)의 핀 홀 또는 핀 홈(362)으로부터 이탈되어 내부 서포터(360)에 대한 구속력을 해제한다. 반대로 작동 레버(320)를 놓으면 작동 줄(330)의 당김력이 해제되고 연속적으로 스프링(440) 탄성에 의해 가동 핀(410)은 핀 정착부(361)의 핀 홀 또는 핀 홈(362)에 진입하여 내부 서포터(360)를 구속하게 된다. 내부 서포터(360)의 구속 상태는 높이가 결정된 상태이고, 반대로 구속이 해제된 상태는 내부 서포터(360)의 높이 조절이 진행 중이거나 대기중 상태이다.
또한, 가동 블럭(430)의 일단에는 작동 줄(330)이 고정된 팁 헤드(331)가 장착되고, 그 타단에는 가동 핀(410)의 헤드가 결합될 수 있다. 팁 헤드(331)는 작동 줄(330)의 당김력을 가동 블럭(430)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며, 가동 핀(410)의 헤드는 가동 블럭(430)의 동적 움직임을 가동 핀(410)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작동 레버(320)는, 테이블(100)의 저면에 장착하여 작동 줄(330)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블(320)의 저면에 작동 레버(320)를 장착하는 경우 잘 보이지 않으므로 미관을 나쁘게 하지 않으며 젖힘 조작에도 별다른 장애를 주지 않는다. 여기서, 작동 레버(320)는 이륜차 등에서 브레이크 핸들을 당길 때 와이어 케이블을 당겨서 브레이브 패드를 움직이는 원리와 유사하다.
또한, 핀 정착부(361)는 내부 서포터(360)를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핀 홀 또는 핀 홈(362)을 포함할 수 있다. 구멍이 뚫리는 홀 형 또는 홈으로 파여진 홈 형 이어도 가동 핀(410)의 진입과 이탈에 별다른 장애가 없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가동 핀(410)의 형상은 끝이 둥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구멍이 뚫려진 홀 형에 적합하도록 한 예시이다. 미설명 부호 200은 지지대이고 210은 다리, 211은 바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높이조절장치는, 테이블의 높이를 내부 서포터를 올리거나 내림으로서 주어진 범위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높이조절장치가 적용된 테이블의 일측면도 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테이블(100)의 저면에 작동 레버(320)를 장착한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젖히면, 작동 줄(330)에 당김력이 생기고, 작동 줄(330)은 그 당김력을 내부 서포터(360)를 구속하고 있는 스토퍼(400)의 가동 블럭(430)에 전달한다.
가동 블럭(430)은 스토퍼(400)의 본체(460) 안의 공간(450)을 따라 작동 줄(330)에서 발생되는 당김력 전달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작동 줄(330)의 당김력 방향은 화살표 'A' 방향이다. 이 조건에서 가동 블럭(430)의 이동 방향은 스프링(440)을 수축시키면서 움직이는 화살표 'B' 방향이다. 이에 따라 내부 서포터(360)의 핀 정착부(361)의 핀 홀 또는 핀 홈(362)에 삽입되어 있던 가동 핀(410)을 이탈시킨다.
가동 핀(410)이 이탈 되면 내부 서포터(360)의 구속력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내부 서포터(360)를 외부 서포터(350)를 축으로 이를 따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상태에 놓인다.
사용자는 테이블(100)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맞춘 후 작동 레버(320)의 젖힘 상태를 해제한다. 그러면 동시에 스프링(440)의 탄력으로 가동 핀(410)은 다시 내부 서포터(360)의 핀 정착부(361)에 형성된 핀 홀 또는 핀 홈(362)에 삽입되어 내부 서포터(360)를 구속한다. 이 상태는 테이블(100)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맞추고 완료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높이조절장치에 의하면, 작동 레버를 이륜차(자전거 등)의 브레이크 핸들을 조작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당기거나 젖히고 다시 원위치 복원시키는 조작으로 테이블의 높이를 빠르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테이블 200: 지지대
300: 서포터 310: 베이스
320: 작동 레버 330: 작동 줄
331: 팁 헤드 340: 신축부재
350: 외부 서포터 360: 내부 서포터
361: 핀 정착부 362: 핀 홀 또는 핀 홈
370.371: 슬라이드 레일 400: 스토퍼
410: 가동 핀 430: 가동 블럭
440: 스프링 450: 공간
460: 본체

Claims (5)

  1. 테이블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테이블(100)을 받쳐주는 서포터(300)가 내부 서포터(360)와 외부 서포터(350)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 서포터(360)에 구비되는 핀 정착부(361);
    상기 핀 정착부(361)에 진입되거나 이탈되어 내부 서포터(360)를 구속하거나 그 구속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가동 핀(410)을 구비하는 스토퍼(400); 및
    상기 가동 핀(410)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스토퍼(400)와 작동 줄(330)로 연결된 작동 레버(320);를 포함하는 테이블 높이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서포터(360)는 외부 서포터(35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슬라이드 레일(370)(371)에 의해 결합된 테이블 높이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00)는, 상기 외부 서포터(350)의 내벽에 장착되고 상기 가동 핀(410)이 작동 줄(330)에 의해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공간(450)을 갖는 본체(460);상기 공간(450)을 따라 끼워져 장착되고 상기 가동 핀(410)을 결합하여 연동시키는 가동 블럭(430); 상기 가동 블럭(430)을 상기 공간(450) 안에서 탄지 하여 상기 가동 핀(410) 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440);을 포함하는 테이블 높이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럭(430)의 일단에는 상기 작동 줄(330)이 고정된 팁 헤드(331)가 장착되고, 그 타단에는 상기 가동 핀(410)의 헤드가 결합된 테이블 높이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정착부(361)는 내부 서포터(360)를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핀 홀 또는 핀 홈(362)을 포함하는 테이블 높이조절장치.
KR1020150026887A 2015-02-26 2015-02-26 테이블 높이조절장치 KR101686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887A KR101686730B1 (ko) 2015-02-26 2015-02-26 테이블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887A KR101686730B1 (ko) 2015-02-26 2015-02-26 테이블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202A true KR20160104202A (ko) 2016-09-05
KR101686730B1 KR101686730B1 (ko) 2016-12-14

Family

ID=56938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887A KR101686730B1 (ko) 2015-02-26 2015-02-26 테이블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7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2908U (ko) 1991-12-06 1993-07-26 내쇼날푸라스틱 주식회사 절첩이 용이한 탁자
JPH09262136A (ja) * 1996-03-29 1997-10-07 Koizumi Sangyo Kk 家具の天板昇降装置
KR200191504Y1 (ko) 2000-03-15 2000-08-16 세현물산주식회사 장식탁자
KR200243555Y1 (ko) 2001-04-13 2001-10-11 신형균 휴대용 탁자
KR20020002028A (ko) 2000-06-29 2002-01-09 이정곤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2908U (ko) 1991-12-06 1993-07-26 내쇼날푸라스틱 주식회사 절첩이 용이한 탁자
JPH09262136A (ja) * 1996-03-29 1997-10-07 Koizumi Sangyo Kk 家具の天板昇降装置
KR200191504Y1 (ko) 2000-03-15 2000-08-16 세현물산주식회사 장식탁자
KR20020002028A (ko) 2000-06-29 2002-01-09 이정곤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리
KR200243555Y1 (ko) 2001-04-13 2001-10-11 신형균 휴대용 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730B1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8063B2 (en) Child booster seat and height-adjustment mechanism thereof
US8985032B1 (en) Adjustable desk apparatus
US8186634B2 (en) Cable management arm supporting device
DE60318506D1 (de) Ablagestruktur
US8936306B2 (en) Composite chair
JP2017514040A (ja) 階段
US7306288B2 (en) Adjustable armrest assembly
EP2223004B1 (en) Apparatus for exercising a force on a load
GB2433196A (en) Monitor support apparatus
JP2008119072A (ja) 昇降天板付きデスクの棚装置
KR101686730B1 (ko) 테이블 높이조절장치
ATE422235T1 (de) Abfüllsystem in einer waage
KR101929833B1 (ko)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
KR101686729B1 (ko) 높이 조절 테이블
US9737136B1 (en) Overhead support for viewing media
KR101741900B1 (ko) 테이블 높이조절장치
JP2007279567A (ja) 表示装置用スタンド
TW201403208A (zh) 可調整支撐架機構及投影機
US20040226485A1 (en) Holding apparatus, which can be placed on a table and is also mobile, for a work aid
JP3208384U (ja) 理化学機器用スタンド
KR102218156B1 (ko) 자동 높이조절 보조책상
KR10175714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이동서랍
KR20150003420U (ko) 높낮이 조절 테이블
KR20160072596A (ko) 수납선반을 구비하는 테이블 높낮이 조절형 이동 테이블
CA2188585A1 (en) Adjustable arm-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