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420U - 높낮이 조절 테이블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420U
KR20150003420U KR2020140001813U KR20140001813U KR20150003420U KR 20150003420 U KR20150003420 U KR 20150003420U KR 2020140001813 U KR2020140001813 U KR 2020140001813U KR 20140001813 U KR20140001813 U KR 20140001813U KR 20150003420 U KR20150003420 U KR 201500034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ight
space
upper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명화
Original Assignee
구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명화 filed Critical 구명화
Priority to KR2020140001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420U/ko
Publication of KR201500034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2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무빙 테이블에 관하여 개시된다. 본 고안은 상판 테이블(B); 상기 상판 테이블과 일부가 결합 되어 상판 테이블을 지면과 나란히 평행하게 받쳐주는 'ㄱ' 자형 수평 지지 헤드(J), 그리고 그 수평 지지 헤드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꺾여져 내려오고 내부가 비워진 공간을 갖는 제1 프레임(C), 상기 제1 프레임의 공간을 따라 끼워지고 내부가 비워진 작동공간(E)을 갖는 제2 프레임(D)을 포함하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를 받쳐주는 'ㄷ' 자형 지지베이스(I);를 포함하며, 상기 'ㄷ' 자형 지지베이스(I)는 상기 다리부의 제2 프레임(D)의 종단과 결합되어 받쳐주는 지지대(a1)(a2)들로 이루어지고, 한쪽 방향은 공간으로 개방된 개방 공간(L1)을 형성하여 그 개방 공간(L1)을 통해 물체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리부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다리부가 높이조절장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 테이블{TABLE BEING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TABLE}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테이블에 있어서 테이블의 높낮이를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다리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실내 공간에서 자유롭게 이동시켜 움직이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 공간 또는 사무실 공간 등에서는 테이블(탁자)이 사용된다. 테이블은 간편하게 보관물품이나 소품들을 올려놓거나 보관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테이블은 다양한 형식과 구조로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1993-0012908호에는 '절첩이 용이한 탁자'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보조다리의 걸림홈과 결합체의 걸림턱의 상호작용으로 보조다리가 견고한 지지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시된 절첩이 용이한 탁자에 관한 기술이다. 그러나 이 기술은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을뿐더러 실내 공간에서 이동도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 있었다.
또 다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191504호에는 '장식탁자'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테이블판 상면에는 유리조각을 모자이크하여 형성한 장식유리판을 설치한 것으로 테이블을 움직이려면 테이블 전체를 움직여야하고 테이블의 높이조절도 구조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다리의 높이를 조정하는 예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43555호의 '휴대용 탁자'로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상판이 두께가 작으며 강성이 적은 상판부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판을 말수 있으며, 상판을 말았을 때 부피가 적고 탁자의 무게가 가벼워서 휴대가 용이한 장점을 갖도록 한 것이고, 탁자의 다리는 고정각부와 상기 고정각부에 대해 입출 가능한 변형부로 구성되어 각각의 다리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평평한 상판을 제공하도록 제안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테이블 사각일 경우 이를 지지하는 다리 최소한 3개 이상 필요하였고 이동하기도 어려워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테이블을 지지하는 다리부로 인해 하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1.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1993-0012908호
선행기술 2.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191504호
선행기술 3.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43555호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이 간편한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테이블의 높낮이를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실내 공간에서 자유롭게 이동시켜 움직이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블에 있어서 테이블을 지지하는 다리의 갯수를 최소 단위로 견고하게 상판 테이블을 지지하고 사용이 이동과 사용이 간편한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블을 지지하는 다리부를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하면서도 하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은,
물품을 올려놓거나 보관하는 상판 테이블과 다리부를 포함하는 테이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상판 테이블; 상기 상판 테이블과 일부가 결합 되어 상판 테이블을 지면과 나란히 평행하게 받쳐주는 'ㄱ' 자형 수평 지지 헤드, 그리고 그 수평 지지 헤드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꺾여져 내려오고 내부가 비워진 공간을 갖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공간을 따라 끼워지고 내부가 비워진 작동공간을 갖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를 받쳐주는 'ㄷ' 자형 지지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ㄷ' 자형 지지베이스는 상기 다리부의 제2 프레임의 종단과 결합되어 받쳐주는 양 방향 대칭 형상의 지지대들로 이루어지고, 한쪽 방향은 공간으로 개방된 개방 공간을 형성하여 그 개방 공간을 통해 물체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리부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다리부가 높이조절장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높이조절장치부는, 제1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여러 개의 핀홀들을 형성하고 제2 프레임의 작동공간에는 탄성부재로 탄지되는 푸쉬핀을 상기 핀홀을 따라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다리부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푸쉬핀의 선단부가 제1 프레임의 핀홀을 따라 탄성부재의 탄력으로 제1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고, 푸쉬핀을 가압하면 제2 프레임의 작동공간 속으로 진입하여 제2 프레임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판 테이블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판 테이블 위에 올려진 물체의 낙하를 방지하는 테두리 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의 단턱은 상판 테이블의 표면으로부터 윗면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이동이 간편하고 지면에 물체가 있더라도 일부 개방 공간을 통해 물체가 지지베이스 안으로 진입하여 실내 공간에서 공간 활용도를 높이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빙 테이블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테이블의 높낮이를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실내 공간에서 자유롭게 이동시켜 움직이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테이블을 지지하는 다리의 갯 수를 최소 단위로 견고하게 상판 테이블을 지지하고 사용이 이동과 사용이 간편한 무빙 테이블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테이블을 지지하는 다리부를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하면서도 하부 공간에 물체를 수납하거나 활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높은 테이블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입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주요 부분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의 높이조절장치부의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다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높낮이 조정 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참고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구성 및 주요 부분, 그리고 높낮이 조정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입체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사용 상태 예시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주요 부분 설명도 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의 높이조절장치부의 예시도 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다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높낮이 조정 상태 예시도 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참고 사시도 이다.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무빙 테이블을 구성하는 주요 부분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을 올려놓거나 보관하는 상판 테이블과 다리부를 포함하는 테이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무빙 테이블로 구성된다.
주요 부분은 평면 표면을 갖는 상판 테이블(B)이 구성된다. 상판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나 꽃병 등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보관이나 전시가 필요한 다양한 물건들을 필요에 따라 올려놓을 수 있다.
그리고 상판 테이블(B) 및 그 상판 테이블과 일부가 결합 되어 상판 테이블을 지면과 나란히 평행하게 받쳐주는 'ㄱ' 자형 수평 지지 헤드(J)가 구성된다.
그리고 그 수평 지지 헤드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꺾여져 내려오고 내부가 비워진 공간을 갖는 제1 프레임(C)이 구성된다.
그리고 제1 프레임의 공간을 따라 끼워지고 내부가 비워진 작동공간(E)을 갖는 제2 프레임(D)을 포함하는 다리부가 구성된다.
그리고 다리부를 받쳐주는 'ㄷ' 자형 지지베이스(I);를 포함하며, 'ㄷ' 자형 지지베이스(I)는 다리부의 제2 프레임(D)의 종단과 결합되어 받쳐주는 양 방향 대칭 형상의 지지대(a1)(a2)들로 이루어지고, 한쪽 방향은 공간으로 개방된 개방 공간(L1)을 형성하여 그 개방 공간(L1)을 통해 물체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다리부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다리부가 높이조절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장치부는, 제1 프레임(C)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여러 개의 핀홀(F)들을 형성하고 제2 프레임(D)의 작동공간(E)에는 탄성부재(K)로 탄지되는 푸쉬핀(G)을 상기 핀홀(F)을 따라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다리부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푸쉬핀(G)의 선단부가 제1 프레임(C)의 핀홀(F)을 따라 탄성부재(K)의 탄력으로 제1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고, 푸쉬핀을 가압하면 제2 프레임(D)의 작동공간(E) 속으로 진입하여 제2 프레임(D)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판 테이블(B)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판 테이블 위에 올려진 물체의 낙하를 방지하는 테두리 단턱(M)을 포함하고, 테두리의 단턱(M)은 상판 테이블의 표면으로부터 윗면 방향으로 돌출시켜 구성된다. 이렇게 하면 상판 테이블에 보관된 물품이 미끄러진다고 하여도 테두리 단턱(M)에 걸려서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다리부는, 도면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절곡되어 상판 테이블을 받쳐주는 구조로서, 이 구조는 다른 보조 구조물이나 결합을 위한 체결요소 없이 견고한 상태로 상판 테이블을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다리부를 받쳐주는 'ㄷ' 자형 지지베이스(I)는 양 방향에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다리부의 제2 프레임(D)을 양 방향에서 견고하면서도 유동 없이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다리부는 한쪽 방향이 L1의 개방 공간으로 개방되어 그 개방 공간 L1을 따라 물체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L1의 개방 공간은 바닥에 물체가 놓여 있거나 돌출된 장애물 등이 있을 때 이 개방 공간 L1 속으로 물체나 장애물을 진입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좁은 공간에서 장애물 때문에 테이블의 고정 위치를 잡지 못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바닥과 닿는 지지 베이스(I)의 저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이동 바퀴를 달아 이동이 부드럽고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바닥이 미끄러운 경우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이 아니며 이동 바퀴는 택일적인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리부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것으로, 높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핀(G)을 화살표 방향인 A방향으로 누르면 푸쉬핀이 핀홀(F)을 따라 제2 프레임(D)의 탄성부재(K)를 작동공간(E) 내에서 수축시켜 안으로 진입하여 이 상태에서 제1 프레임(C)의 높이를 결정한 후 다시 푸쉬핀의 가압력을 제거하면 푸쉬핀이 다른 핀홀을 따라 돌출 복원되어 높이 조정 상태를 유지한다.
푸쉬핀(G)의 작동은 적은 힘으로 별도의 도구 없이 간단하게 조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높이 조절이 간단하고 간편하며 사용도 용이하고 쉽다. 도 7은 상판 테이블(J)의 높이 조정 예를 상하 화살표로 나타낸 것으로 프레임의 길이가 갖는 허용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판 테이블은 사각, 원형 등으로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상판 테이블을 원형으로 구성한 예이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B: 상판 테이블 C: 제1 프레임
D: 제2 프레임 E: 작동공간
F: 핀홀 G: 푸쉬핀
I: 지지 베이스 J: 수평 지지 헤드
K: 탄성부재 M: 단턱

Claims (4)

  1. 물품을 올려놓거나 보관하는 상판 테이블, 상기 상판 테이블을 받쳐주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상판 테이블(B); 상기 상판 테이블과 일부가 결합 되어 상판 테이블을 지면과 나란히 평행하게 받쳐주는 'ㄱ' 자형 수평 지지 헤드(J), 그리고 그 수평 지지 헤드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꺾여져 내려오고 내부가 비워진 공간을 갖는 제1 프레임(C), 상기 제1 프레임의 공간을 따라 끼워지고 내부가 비워진 작동공간(E)을 갖는 제2 프레임(D)을 포함하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를 받쳐주는 'ㄷ' 자형 지지베이스(I);를 포함하며,
    상기 'ㄷ' 자형 지지베이스(I)는 상기 다리부의 제2 프레임(D)의 종단과 결합되어 받쳐주는 지지대(a1)(a2)들로 이루어지고, 한쪽 방향은 공간으로 개방된 개방 공간(L1)을 형성하여 그 개방 공간(L1)을 통해 물체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리부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다리부가 높이조절장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높낮이 조절 테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부는,
    상기 제1 프레임(C)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여러 개의 핀홀(F)들을 형성하고 제2 프레임(D)의 작동공간(E)에는 탄성부재(K)로 탄지되는 푸쉬핀(G)을 상기 핀홀(F)을 따라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다리부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테이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핀(G)의 선단부가 제1 프레임(C)의 핀홀(F)을 따라 탄성부재(K)의 탄력으로 제1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고, 푸쉬핀을 가압하면 제2 프레임(D)의 작동공간(E) 속으로 진입하여 제2 프레임(D)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테이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테이블(B)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판 테이블 위에 올려진 물체의 낙하를 방지하는 테두리 단턱(M)을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의 단턱(M)은 상판 테이블의 표면으로부터 윗면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테이블.
KR2020140001813U 2014-03-06 2014-03-06 높낮이 조절 테이블 KR201500034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813U KR20150003420U (ko) 2014-03-06 2014-03-06 높낮이 조절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813U KR20150003420U (ko) 2014-03-06 2014-03-06 높낮이 조절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20U true KR20150003420U (ko) 2015-09-16

Family

ID=5434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813U KR20150003420U (ko) 2014-03-06 2014-03-06 높낮이 조절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42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846B1 (ko) * 2021-04-06 2021-06-29 주식회사 에스오에스정보기술 Rfid tag의 위변조 방지 시스템
KR102270801B1 (ko) * 2021-04-06 2021-06-29 주식회사 에스오에스정보기술 복합 rfid 부착 제품의 인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846B1 (ko) * 2021-04-06 2021-06-29 주식회사 에스오에스정보기술 Rfid tag의 위변조 방지 시스템
KR102270801B1 (ko) * 2021-04-06 2021-06-29 주식회사 에스오에스정보기술 복합 rfid 부착 제품의 인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77544S1 (en) Height adjustable desk with I shaped legs
USD780982S1 (en) Floor lamp
CN205250916U (zh) 桌子及其容纳装置
US20030089286A1 (en) Collapsible table
US20140360411A1 (en) Desk stand
US20150182022A1 (en) Table and Accessory Unit Assembly and Method of Docking Accessory Unit to Table
KR101804752B1 (ko) 벽부형 다목적 보관대
KR20150003420U (ko) 높낮이 조절 테이블
USD746530S1 (en) Hand truck for yard equipment
JP2008119072A (ja) 昇降天板付きデスクの棚装置
US20180228282A1 (en) Material support and storage rack
KR20180001186U (ko) 캠핑용 다용도 테이블
KR101745417B1 (ko) 접이식 파티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WO2017188854A1 (ru) Мольберт
US20160256884A1 (en) Painting Jig Assembly
KR20160072596A (ko) 수납선반을 구비하는 테이블 높낮이 조절형 이동 테이블
KR20150003421U (ko) 높낮이 조절 테이블
KR20150001666U (ko) 테이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무빙 테이블
JP4333992B2 (ja) 配膳台
KR20140008054A (ko) 의자로 변형되는 테이블
US20200031378A1 (en) Movable Vehicle Capable of Carrying Stackable Chairs
KR20150003422U (ko) 높낮이 조절 테이블
KR20150003423U (ko) 테이블
JP4648490B1 (ja) 椅子収納部付机
JP5622329B2 (ja) 昇降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