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702A - 상부녹화구조물 - Google Patents

상부녹화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702A
KR20160103702A KR1020150026370A KR20150026370A KR20160103702A KR 20160103702 A KR20160103702 A KR 20160103702A KR 1020150026370 A KR1020150026370 A KR 1020150026370A KR 20150026370 A KR20150026370 A KR 20150026370A KR 20160103702 A KR20160103702 A KR 20160103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rainage
soil
earth
block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6268B1 (ko
Inventor
김성겸
Original Assignee
에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6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268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07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Y02P60/24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1/00Planting
    • Y10S111/90Methods of planting seeds and miscellaneous composi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안하는 배수로의 배치와, 배수로를 따라 설치되는 토사유출방지필터, 플랜트흙 상부에 덮이는 토사방지유출망 및 식생매트를 이용하여 표면수의 배수 및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상부녹화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부녹화구조물{Structure for greening}
본 발명은 상부녹화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제안하는 배수로의 배치와 저수용필터, 토사유출방지망, 식생매트 및 토사유출방지필터의 설치를 통해 조경부의 토사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상부녹화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적인 주거환경에서 거주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고자 하는 국가정책과 맞물려 많은 건축물에 친환경적인 건축기법이 적용되고, 주변 환경을 최대한 자연과 가깝게 만들고 있는 실정이다.
토양이 없는 곳에 인공적으로 조경을 위한 환경을 만들고 꽃, 관목, 잔디 및 초목류를 심어 자생하게 하는 녹화구조물은 이러한 추세를 반영한 건축물이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종래의 녹화시설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12135호("실외 및 옥상 조경을 위한 조립식 구조물", 2011.02.09.)에 개시되어 있다. 옥상녹화 시설은 녹지를 확보하고 단열효과를 높여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표면수를 저장하여 위생용수와 조경용수로 재활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친환경적인 주거환경으로 주거자의 정서적 안정을 얻을 수 있다. 같은 맥락의 상부녹화구조물로는 방음터널의 상부를 녹화시켜 조경부를 만드는 녹화형 방음터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녹화구조물은 관리에 있어서 단점이 있었다. 강한 비바람을 동반한 태풍이 오거나 많은 비가 내리는 장마철에 토사가 비바람에 휩쓸려 쉽게 유실되어 유지, 관리 및 보수에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것이 그것이다. 또한, 녹화용 초목의 생육에 필요한 용수를 저장하기 위해 과도한 두께의 토사를 사용하고 있어 하부 구조물에 전달되는 하중이 증가하여 과도한 하중을 견디기 위해 추가적인 구조물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의 원인은 배수로의 배치와 토사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부가적인 장치가 없기 때문이다. 기존의 평행한 배수로의 배치는 배수가 원활하게 되지 않고, 토사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치가 없어 강한 비바람에 조경부에 위치한 토양이 비바람에 쉽게 유실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공개 제2011-0012135호, "실외 및 옥상 조경을 위한 조립식 구조물", 2011.02.0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안하는 구조로 배수로를 배치해 배수를 용이하게 하고, 저수용 필터, 토사유출방지망, 식생매트 및 토사유출방지필터와 같은 토사의 유출을 막는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표면수와 바람에 의한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여 유지 및 보수 측면에서 경제성 및 토사의 수명을 늘려 식재가 자생할 수 있는 상부녹화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배수를 위해 경사진 바닥면(10), 상기 바닥면(10) 상부에 말뚝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부(11), 상기 바닥면(10)을 방수처리 한 후 설치되는 저수용필터(12), 상기 저수용필터(12)에 미리 결정된 다각형 모양으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수로(13), 다수개의 상기 배수로(13)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폐곡선으로 둘러싸여 구획되는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는 녹화블록공간부(20), 상기 녹화블록공간부(20) 외곽에 구비되는 토사유출방지필터(14), 상기 녹화블록공간부(20) 상부에 부설되는 플랜트흙(15), 상기 플랜트흙(15) 상부에 설치되는 토사유출방지망(16) 및 상기 토사유출방지망(16) 상부에 덮이는 식생매트(17)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로(13)는 상기 토사유출방지필터(14)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13)는 바닥면과, 바닥면의 양끝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측벽 및 바닥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뚫린다.
상기 녹화블록공간부(20)는 복수개의 같거나 서로 다른 다각형이다.
상기 토사유출방지필터(14)는 저수용필터(12)보다 고밀도인 무기포 필터이다.
상기 저수용필터(12)는 차수용필터(18)를 포함한다.
상기 차수용필터(18)는 상기 토사유출방지필터(14)보다 고밀도이다.
본 발명의 상부녹화구조물은 녹화블록공간부의 외곽에 토사유출방지필터를 설치함으로써 배수로로 흘러들어가는 토사를 막을 수 있고, 토사의 상부에 토사유출방지망 및 식생매트를 덮음으로써 표면수 뿐 아니라 바람에 의한 토사의 유출을 방지해 유지 및 보수 측면에서 경제적이며, 토사의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녹화구조물은 녹화블록공간부의 주변에 설치되는 다각형 구조의 배수로를 통해 표면수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녹화구조물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녹화구조물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녹화구조물에 구비되는 배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녹화구조물에 구비되는 배수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녹화구조물에 구비되는 배수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녹화구조물에 구비되는 배수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부녹화구조물에 설치되는 배수로 배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녹화구조물에 대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을 부분 확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녹화구조물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녹화구조물은 바닥면(10), 고정부(11), 저수용필터(12), 배수로(13), 토사유출방지필터(14), 플랜트흙(15), 토사유출방지망(16), 식생매트(17) 및 차수용필터(18)를 포함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녹화구조물은 배수로의 배치에 따라 나뉘는 공간인 녹화블록공간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10)은 방수 처리되며, 이 때 방수방법은 방수시트를 덮거나 방수액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10)은 도 1과 같이 배수를 위해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11)는 고정용 볼트로 방수 처리된 상기 바닥면(10)의 상부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저수용필터(12), 상기 토사유출방지망(16) 및 식생매트(17)를 관통한 후, 사각판형 너트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저수용필터(12)는 상기 바닥면(10)의 상부에 깔리며, 상기 고정부(11)로 고정된다. 상기 저수용필터(12)를 고정하는 것은 강우시 유입수에 의한 부력에 의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시예가 방음터널일 경우, 방음을 위해 바닥면이 요부와 철부를 가지는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함으로, 바닥면에 요철형상을 가진 별도의 저수용필터를 제작해 설치한다. 상기 저수용필터(12)의 두께는 5~10cm정도 두께를 가지는 평면필터를 설치하고, 실시예가 방음터널일 경우, 상기 저수용필터(12)는 데크플레이트의 요부는 꽉 채우고, 철부는 1~2cm정도 덮을 수 있는 두께로 설치한다.
상기 배수로(13)는 상기 저수용필터(12) 상부에 미리 결정된 다각형 모양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일실시예는 도 3과 도 4와 같이 사각형 모양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녹화블록공간부(20)는 상기 배수로(13)가 미리 결정된 다각형 모양으로 연결되어 구획되는 상기 저수용필터(12)의 상부 공간이다. 도 4는 상기 녹화블록공간부(20)가 사각형인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 배치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녹화블록공간부(20)가 육각형이다.
기존의 배수로 배치는 바닥면의 중앙에 일자로 배치된 중앙배수로와 중앙배수로에 직각으로 연결된 서로 평행한 다수의 하부배수로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러한 중앙배수로와 하부배수로가 직각으로 연결된 구조는, 중앙배수로를 타고 흐르는 물이 직각으로 연결된 배수로로 쉽게 흘러가지 못해서 배수가 원활히 되지 않았고, 배수로에 인접한 부분이 많지 않아 배수가 원활하지 못했다.
그에 비해 중앙배수로에서 연결된 배수로 배치가 육각형일 경우, 중앙배수로에서 배수로로 연결된 각도가 종래의 배수로 배치보다 크기 때문에, 중앙배수로를 따라 타고 흐르는 물이 육각형 모양의 배수로 배치로 쉽게 들어가 기존 배수로 배치보다 배수가 용이하고, 배수로에 인접한 부분이 기존의 평행한 배치보다 많아 배수가 용이하다.
또한 이러한 육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모양의 배수로 배치는 기존의 배수로 배치보다 배수용량이 많고, 배수용량이 많아짐에 따라 토사가 표면수에 휩쓸리는 경우를 방지해주며, 배수로의 배치가 바닥면의 중앙에서 양 옆쪽으로 흐르는 표면수의 방향을 막는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폐곡면을 형성하는 배수로의 배치만으로 토사의 유출을 막는 효과가 있다.
상기 녹화블록공간부(20)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녹화블록공간부(20)의 단부(종방향 경사면의 하부)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저수용필터(12)대신 상기 차수용필터(18)를 설치한다. 도 3및 도 4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차수용필터(18)가 설치된다면, 도 3 및 도 4의 경사방향은 상기 차수용필터(18)에 수직한 오른쪽 방향이다.
상기 차수용필터(18)는 상기 토사유출방지필터(14)보다 고밀도인 무기포 필터를 사용한다. 이는 상기 녹화블록공간부(20)의 상기 단부만 저수가 되는 현상을 방지해 각각의 상기 녹화블록공간부(20)가 개별적인 저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배수로(13)의 형상은 바닥면과, 바닥면의 양끝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측벽 및 바닥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뚫린 모양이다. 배수로는 상기 고정부(11) 혹은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1)를 통해 상기 배수로(13)가 고정되는 경우, 상기 배수로(13)의 바닥면에 뚫린 배수공에 고정용 볼트를 삽입후 사각판형 너트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배수로(13)의 바닥면에 뚫린 배수공은 강우시 상기 배수로(13)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저수용필터(12)에 용수를 공급하게 되고, 저수량을 초과하게 되면 배수공을 통해 배수구로 유입되어 초과용수를 배수한다. 또한, 상기 배수로(13)의 측벽에 뚫린 배수공은 상기 플랜트흙(15) 내부에 유입된 용수의 배수를 위한 것이다.
상기 토사유출방지필터(14)는 도 4와 같이 상기 배수로(13)의 측벽 외곽에 부착되며, 상기 저수용필터(12)보다 고밀도이고, 상기 저수용필터(12)의 단부에 설치되는 고밀도필터보다는 저밀도인 무기포필터를 사용한다. 이 때 상기 토사유출방지필터(14)로 사용되는 고밀도의 무기포필터란, 상기 플랜트흙(15)에 침투한 침출수는 상기 토사유출방지필터(14)를 통과하여 배수되고 상기 플랜트흙(15)은 배수로에 유입되지 않을 정도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의 무기포필터이다.
기존 선행기술에서는 초목의 식생을 위한 저수장치가 없어 초목의 식생 및 물의 저장을 위해 토사를 두께 100~150mm로 부설하였다. 그에 비해 본 발명은 상기 저수용필터(12), 배수로(13) 및 토사유출방지필터(14)를 구비함으로써 저수 및 배수효과를 가짐에 따라 상기 저수용필터(12) 상부에 부설하는 상기 플랜트흙(15)을 50~70mm로 절반가량만 부설하여 기존방법보다 상기 플랜트흙(15)을 적게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토사유출방지필터(14)는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나듯 상기 배수로(13)의 측벽 바깥쪽에 부착 되거나, 도 6과 같이 배수로(13)의 측벽이 토사유출방지필터(14)로 일체화 될 수 있다.
상기 토사유출방지필터(14)가 상기 배수로(13)의 측벽 외곽에 부착될 경우, 상기 토사유출방지필터(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로(13) 측벽보다 높게 부착된다. 이는 다량의 표면수가 흐를 때, 배수로로 흘러들어가는 표면수와 함께 토사가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토사유출방지필터(14)가 상기 배수로(13)의 측벽으로 형성되어 일체화 되었을 경우, 측면 바깥쪽으로 부터의 토사의 유입을 막기 위해 배수공은 배수로의 바닥면에만 뚫는다. 상기 배수로(13)와 상기 토사유출방지필터(14)가 일체화 되면 상기 배수로(13)의 제작공정이 기존방식보다 간단해지고, 제작비용에 있어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상기 플랜트흙(15)은 도 2와 같이 상기 저수용필터(12) 상부, 다시 말해 녹화블록공간부(20) 상부에 50~70mm의 일정한 두께로 부설되며, 식생용 씨앗이 포함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랜트흙(15)이 식생용 씨앗을 포함할 경우, 상기 녹화블록공간부(20)는 60~80mm의 일정한 두께로 부설된다.
상기 부설된 플랜트흙(15) 상부에는 상기 토사유출방지망(16) 및 상기 식생매트(17)가 도 2와 같이 차례로 덮인다. 이는 추가적으로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식생매트(17)는 설계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상기 토사유출방지망(16)은 안정적인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간인 1~2년 동안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대표적으로 코코넛 섬유 네트, 볏짚 거적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식생매트(17)는 식생용 씨앗이 포함된 종류일 수 있다. 상기 식생매트(17)로 녹화할 경우, 상기 플랜트흙(15)은 질소혼합재를 사용한다.
상기 토사유출방지망(16)과 상기 식생매트(17)는 상기 고정부(11)에 사용되는 고정용 볼트에 사각판형 너트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일실시예는 상부가 경사를 가지는 터널이므로 배수의 배출을 위해 도 1과 같이 배수가 끝나는 경사의 제일 아랫부분에는 배수구를 갖는 파이프가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한 일실시예는 주변에 서식하는 야생동물의 이동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조경터널 인근 생태환경과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어 생태계 보전에 유리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터널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기타 건축물 및 인공조경구조물 등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바닥면
11 : 고정부
12 : 저수용필터
13 : 배수로
14 : 토사유출방지필터
15 : 플랜트흙
16 : 토사유출방지망
17 : 식생매트
18 : 차수용필터
20 : 녹화블록공간부

Claims (7)

  1. 배수를 위해 경사진 바닥면(10);
    상기 바닥면(10) 상부에 말뚝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부(11);
    상기 바닥면(10)을 방수처리 한 후 상부에 구비되는 저수용필터(12);
    상기 저수용필터(12)에 미리 결정된 다각형 모양으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수로(13);
    다수개의 상기 배수로(13)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폐곡선으로 둘러싸여 구획되는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는 녹화블록공간부(20);
    상기 녹화블록공간부(20) 외곽에 구비되는 토사유출방지필터(14);
    상기 녹화블록공간부(20) 상부에 부설되는 플랜트흙(15);
    상기 플랜트흙(15) 상부에 설치되는 토사유출방지망(16); 및
    상기 토사유출방지망(16) 상부에 덮이는 식생매트(17);
    를 포함하는 상부녹화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13)는 상기 토사유출방지필터(14)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녹화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13)는 바닥면과, 바닥면의 양끝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측벽 및 바닥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뚫린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녹화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블록공간부(20)는 복수개의 같거나 서로 다른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녹화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유출방지필터(14)는 저수용필터(12)보다 고밀도인 무기포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녹화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용필터(12)는 차수용필터(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녹화구조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용필터(18)는 상기 토사유출방지필터(14)보다 고밀도인 무기포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녹화구조물.
KR1020150026370A 2015-02-25 2015-02-25 상부녹화구조물 KR101716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370A KR101716268B1 (ko) 2015-02-25 2015-02-25 상부녹화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370A KR101716268B1 (ko) 2015-02-25 2015-02-25 상부녹화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702A true KR20160103702A (ko) 2016-09-02
KR101716268B1 KR101716268B1 (ko) 2017-03-15

Family

ID=5694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370A KR101716268B1 (ko) 2015-02-25 2015-02-25 상부녹화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2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264B1 (ko) * 2000-11-30 2005-01-24 (주)한맥기술 대절토사면의 자연 녹지화를 유도하기 위한 구조물
KR100661485B1 (ko) * 2004-09-18 2006-1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층 저관리 옥상 녹화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10012135A (ko) 2009-07-29 2011-02-09 한치근 실외 및 옥상 조경을 위한 조립식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264B1 (ko) * 2000-11-30 2005-01-24 (주)한맥기술 대절토사면의 자연 녹지화를 유도하기 위한 구조물
KR100661485B1 (ko) * 2004-09-18 2006-1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층 저관리 옥상 녹화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10012135A (ko) 2009-07-29 2011-02-09 한치근 실외 및 옥상 조경을 위한 조립식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268B1 (ko)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08178T3 (es) Módulo y conjunto para gestionar el flujo de agua
KR101509202B1 (ko) 친환경 수로형 집수정 및 그것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친환경 도로 구조물
ES2296751T3 (es) Sistema de gestion de aguas pluviales.
CN106917522A (zh) 一种基于海绵城市理念的室外停车位系统
JP4316601B2 (ja) 雨水の貯水施設
KR101418040B1 (ko) 가변형 빗물 저장 탱크
KR100729389B1 (ko)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구조
KR100734812B1 (ko)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 계단식옹벽 및 이의시공방법
KR100478895B1 (ko)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누수막이 배수 시설물 설치구조
KR101716268B1 (ko) 상부녹화구조물
JP2005120658A (ja) 雨水等の貯水施設
CN214301528U (zh) 城市河道挡墙的海绵化改造系统
JP3974214B2 (ja) ボックス配置型貯留浸透槽
CN115075070A (zh) 一种下穿式小型动物通道
KR100799733B1 (ko) 우수 저류 장치
JP2023044149A (ja) 雨水貯留浸透緑地の排水構造
CN210315599U (zh) 一种边坡绿化水土保护结构
KR100867645B1 (ko)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
CN206752532U (zh) 一种防渗铺设结构
KR100593186B1 (ko) 친환경적 옹벽
JPH11152785A (ja) 保水構造を有する浸透施設
WO2023065647A1 (zh) 光电型透水铺面地下储水自动化系统
JP2005016125A (ja) 雨水の治水利水システム
TWI817217B (zh) 光電型透水鋪面地下儲水自動化系統
KR200402406Y1 (ko) 다공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사면 보강용 친환경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