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735A -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735A
KR20160102735A KR1020150025184A KR20150025184A KR20160102735A KR 20160102735 A KR20160102735 A KR 20160102735A KR 1020150025184 A KR1020150025184 A KR 1020150025184A KR 20150025184 A KR20150025184 A KR 20150025184A KR 20160102735 A KR20160102735 A KR 20160102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ure
implant attachment
shape
present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2026B1 (ko
Inventor
최석원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앤비바이오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앤비바이오메디 filed Critical (주) 에이앤비바이오메디
Priority to KR1020150025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026B1/ko
Publication of KR20160102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35Magnetic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1Magnetic dental implant retention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는 접합부를자성을 가진 금속으로 형성함으로써 틀니와의 자력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틀니는 고정부에 마그넷을 내장하여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틀니는 접합부 및 고정부의 표면을 연성 재질로 코팅하여, 접합부 및 고정부의 접합시 마찰계수를 높여 틀니가 이동하지 않게 결합력을 상승시키는 한편, 틀니의 착용감을 좋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Implant attachment and artificial teeth supported by i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틀니를 지지하는 지대치부, 지대치부 상에 위치하고 금속으로 형성되며 틀니와 접합되는 접합부, 지대치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픽스춰에 체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의 접합부에 대응되는 고정부, 잇몸부, 치아부를 포함하는 틀니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건강은 인간의 오복(五福) 중 하나라 여겨진다. 치아가 건강하지 못하면 음식물을 섭취하는데 영향이 많으며, 심한 경우 건강에 위협이 되기도 한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치아 건강도 유지된다면 좋겠지만, 치주염이나 잇몸병 등 갖가지 질병에 의해 치아가 손실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최근에는 일부 치아가 손실된 경우 임플란트 시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임플란트 시술이란 인공으로 만든 치근 즉 치아뿌리를 잇몸에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치아가 손실된 경우, 손실된 모든 치아를 임플란트로 대체하기는 어렵고, 이러한 경우 틀니를 이용한다. 틀니는 인공적인 치아를 갖는 보철물로서 잇몸에 착탈이 가능하여 음식을 섭취하거나 대화를 하는 평상시에는 잇몸에 착용하였다가, 수면시 빼내어 따로 보관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틀니는 부분 틀니, 전체 틀니로 나눌 수 있으며, 자연 치아가 전부 손실된 경우 전체 틀니를 이용한다.
전체 틀니의 경우 잇몸에 고정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1864호에는 틀니가 잇몸에 잘 고정될 수 있도록 무독성 젤을 이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젤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 유지력이 약해지고, 저작 작용에 의해 틀니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잇몸에 자극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임플란트와 틀니를 결합하여 틀니를 고정시키는 것이 개발되고 있기는 하지만, 자력의 세기가 약하여 틀니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개선하는 효과가 미약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틀니를 착탈이 용이하게 하면서도 잘 고정할 수 있는, 특히 틀니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틀니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허문헌1: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1864호 (등록일: 2010.02.22)
본 발명의 목적은 마그넷을 이용하여 틀니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키면서도 착용감이 좋은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틀니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는 지대치부, 접합부, 결합부를 포함한다. 지대치부는 틀니를 지지한다. 접합부는 지대치부 상에 위치하고, 금속으로 형성되며, 틀니와 접합된다. 결합부는 지대치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픽스춰에 체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서 접합부는 자성을 가진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는 접합부의 내측에 마그넷이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서 접합부의 상부에는 원추 형상, 원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요철 형상 중 선택된 하나의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틀니는 치아부, 잇몸부, 고정부를 포함한다. 잇몸부는 치아부를 지지한다. 고정부는 잇몸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 착탈가능하도록 접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틀니에서 고정부의 하부에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의 접합부에 대응하도록 원추 형상, 원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요철 형상 중 선택된 하나의 형상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는 마그넷에 의해 틀니를 잇몸에 효과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는 틀니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서 접합부의 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서 접합부의 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가 틀니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틀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 틀니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 틀니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 틀니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서 접합부의 홈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서 접합부의 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는 지대치부(1100), 접합부(1200), 결합부(1300)를 포함한다.
임플란트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환자 잇몸의 치조골에 픽스춰(fixture)를 식립한다. 지대부(1100)는 픽스춰(미도시)와 결합함으로써 잇몸에 식립된다. 단일의 인공 치아를 식립하는 경우 지대부와 인공 치아가 바로 연결되나, 치아 전체가 손실되어 전체 틀니를 착용하여야 할 때는 틀니를 고정할 수 있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가 필요하다. 지대치부(1100)는 잇몸에 식립되어 틀니를 지지한다. 지대치부(1100)는 스테인리스, 지르코니아, 티타늄, 귀금속, 알루미나 등으로 형성된다.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된 지대치부(1100)에 티타늄 코팅을 할 수도 있다.
접합부(1200)는 지대치부(1100)의 상부에 위치한다. 접합부(1200)는 틀니과 접합하여 틀니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접합부(1200)는 스테인리스 강,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다. 접합부(1200)는 마그넷이 내장된 틀니에 자력으로 접합된다. 접합부(1200)는 인체에 무해하도록 티타늄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 접합부(1200)는 별도로 제작되어 레이저 용접 등을 이용하여 지대치부(1100) 상에 부착되거나, 지대치부(110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1200) 내측에는 틀니와의 자력 결합이 더욱 강해지도록 마그넷(1210)을 내장할 수도 있다. 마그넷(1210)은 지대치부(1100) 및 접합부(1200)의 지름보다 작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두께는 1.5~2mm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기둥 형상의 마그넷을 이용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마그넷 가루를 압축하여 스테인리스 강 내부에 밀봉시킬 수도 있다.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에 마그넷(1210)을 내장시킴으로써 접합부(1200)의 접합력이 더욱 커질 수 있다.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된 접합부(1200) 내부에 마그넷(1210)을 내장함으로써 접합부(1200)가 틀니와 더욱 강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접합부(1200)가 외부에 노출된 부분을 티타늄 등으로 코팅함으로써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접합부(1200) 내부에 마그넷을 내장하는 외에, 접합부(1200) 자체를 자성을 가진 금속 또는 마그넷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접합부(1200) 자체가 자성을 가진 경우 틀니에 내장된 마그넷과 더욱 강하게 접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자성을 가진 금속 상 또는 마그넷 상에 티타늄 코팅을 할 수 있다.
접합부(1200) 상에는 틀니의 위치 고정이 용이하도록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의 (a)에는 접합부(1200)의 상부에 원추형의 홈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접합부(1200)의 홈(1230)은 틀니의 결합 부위에 형성된 돌기와 맞물려 틀니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틀니에는 접합부(1200)의 홈(1230)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되며, 이는 후술한다. 원추 형상의 높이는 0.5~1.5mm일 수 있다.
접합부(1200)에 형성된 홈의 형상은 원추형 뿐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기둥 형상일 수도 있으며,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날 형상으로 홈(1230)이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1200)의 홈(1230)이 톱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틀니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 틀니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4의 (b)와 같이 톱니가 한 편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경우, 틀니가 밀리는 방향의 면을 접합부(1200)에 수직이 되도록 형성하여 틀니가 저작 작용 시 앞쪽 또는 뒤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시 하악의 경우 구강 내에서 안쪽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할 때 틀니는 구강 내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톱날 형상을 구강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여 구강 내측에서 홈(1230)의 면이 접합부(1200) 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상악의 경우 구강의 바깥 방향으로 밀리므로, 구강의 외측에서 홈(1230)의 면이 접합부(1200) 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 저작 습관이 다를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틀니를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합부(1200)의 홈(1230)이 원추형, 사각 기둥, 톱니 형상인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원기둥 형상, 테이퍼 형상, 계단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1200)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티타늄으로 코팅되나, 티타늄으로 코팅된 접합부(1200)의 상부를 레진, 실리콘 등의 연성 재질로 다시 한 번 코팅할 수 있다. 코팅 두께는 10~100㎛로 할 수 있다. 접합부(1200)의 상부를 연성 재질로 코팅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높이고, 접합부(1200)에 형성된 홈(1230)과 함께 틀니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레진을 이용하는 경우 광중합형 소프트 레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접합부(1200) 상에 광중합형 소프트 레진을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연성 구조를 형성한다. 접합부(1200) 상에 연성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마찰력이 높아져 틀니가 이동하지 않게 결합력을 상승시키는 한편, 틀니의 착용감을 좋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는 결합부(1300)를 포함한다. 결합부(1300)는 지대치부(1100)의 하부에 연결된다. 결합부(13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산을 통하여 잇몸에 식립되어 있는 픽스춰와 결합한다. 결합부(1300)는 스테인리스 강을 티타늄 코팅하거나, 티타늄으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가 틀니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틀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 틀니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 틀니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는 틀니(2000)와 자력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틀니(2000)는 치아부(2100), 잇몸부(2200), 고정부(2300)를 포함한다. 치아부(2100)는 인공 치아로서 자연 치아와 가능한 유사한 재료로 형성된다. 치아부(2100)는 주로 세라믹이나 금으로 형성된다. 치아부(2100)는 저작 작용시 음식물을 부수고 씹는 역할을 한다.
잇몸부(2200)는 치아부(2100)를 고정 및 지지한다. 잇몸부(2200)는 틀니를 잇몸 상에 안착시키는 것으로, 잇몸을 감쌀 수 있도록 잇몸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잇몸부(2200)는 레진, 실리콘 등으로 형성된다. 잇몸부(2200)는 입이 개방되어 있을 때 치아부(2100)와 함께 보이는 것으로 잇몸의 색상과 최대한 유사한 색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300)는 치아부(2100)의 하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고정부(2300)가 위치하는 부분의 잇몸부(2200)는 개방되어 치아부(2100) 하부의 고정부(2300)와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의 접합부(1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2300)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의 접합부(1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접합된다. 고정부(2300)에는 마그넷이 내장되어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의 접합부(1200)에 자력으로 결합한다. 고정부(2300)의 개수는 식립된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의 개수에 따라 달라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악에 두 개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를 식립하였으며, 틀니(2000)에 두 개의 고정부(2300)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300)는 치아부(2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고정부(2300)는 치아부(210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의 결합을 고려하여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2300)의 하면은 티타늄 코팅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300)의 하면 또는 티타늄으로 코팅된 고정부(2300)의 하면은 레진, 실리콘 등의 연성 재질로 다시 한번 코팅할 수 있다. 코팅 두께는 10~100㎛로 할 수 있다. 고정부(2300)의 하면을 연성 재질로 코팅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높이고, 틀니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레진을 이용하는 경우 광중합형 소프트 레진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고정부(2300) 하면에 광중합형 소프트 레진을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연성 구조를 형성한다. 고정부(2300) 하면에 연성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마찰력이 높아져 틀니가 이동하지 않게 결합력을 상승시키는 한편, 틀니의 착용감을 좋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300)의 하부에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의 접합부(1200)에 형성된 홈(1230)에 대응하는 돌기(2310)가 형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의 접합부(1200)에 원추형의 홈(1230)이 형성된 경우, 고정부(2300) 하부에 홈(1230)과 동일한 형태의 원추형 돌기(2310)가 형성되어 틀니(2000)가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에 고정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의 (b)에는 고정부(2300)에 사각 기둥 형상의 돌기(2310)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돌기(2310)의 두께는 접합부(1200)의 홈(1230)의 두께와 동일하며, 0.5~1.5mm일 수 있다.
고정부(2300)의 돌기(2310)의 형상은 톱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돌기(2310)가 톱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와 대응되는 형상의 접합부(1200)의 홈(1230)과 틀니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 틀니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9의 (b)와 같이 톱날이 한 편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경우, 틀니가 밀리는 방향의 면을 고정부(2300)의 면에 수직이 되도록 형성하여 틀니가 저작 작용 시 좌우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시 하악의 경우 구강 내에서 안쪽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할 때 틀니는 구강 내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톱날 형상을 구강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여 구강 내측에서 돌기(2310)의 면이 고정부(2300) 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상악의 경우 구강의 바깥 방향으로 밀리므로, 구강의 외측에서 돌기(2310)의 면이 고정부(2300) 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 저작 습관이 다를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틀니를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2300)의 돌기(2310)가 원추형, 사각 기둥, 톱날 형상인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원기둥 형상, 테이퍼 형상, 계단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300) 및 돌기(2310)는 그 표면이 레진이나 실리콘 등의 연성 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고정부(2300)와 돌기의 하면이 연성 재질로 코팅됨으로써, 동일 재료로 코팅된 접합부(1200)의 단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틀니는 틀니의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자력을 강화시켜 틀니 착용시 틀니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연성 재질을 사용하여 착용감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1100 : 지대치부
1200 : 접합부 1230 : 홈
1300 : 결합부 2000 : 틀니
2100 : 치아부 2200 : 잇몸부
2300 : 고정부 2310 : 돌기

Claims (6)

  1. 틀니를 지지하는 지대치부;
    상기 지대치부 상에 위치하고, 금속으로 형성되며, 틀니와 접합되는 접합부; 및
    상기 지대치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픽스춰에 체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자성을 가진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내측에 마그넷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는 원추 형상, 원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요철 형상 중 선택된 하나의 형상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5. 제4항에 기재된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 접합하는 틀니로서,
    치아부;
    상기 치아부를 지지하는 잇몸부; 및
    상기 치아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 착탈가능하도록 접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의 접합부에 대응하도록 원추 형상, 원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요철 형상 중 선택된 하나의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KR1020150025184A 2015-02-23 2015-02-23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KR101662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184A KR101662026B1 (ko) 2015-02-23 2015-02-23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184A KR101662026B1 (ko) 2015-02-23 2015-02-23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735A true KR20160102735A (ko) 2016-08-31
KR101662026B1 KR101662026B1 (ko) 2016-10-05

Family

ID=56877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184A KR101662026B1 (ko) 2015-02-23 2015-02-23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528A1 (ko) * 2019-01-24 2020-07-30 장희성 마그네틱 틀니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089B1 (ko) * 2018-12-05 2020-09-2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결손 부위 부착용 보형물, 그 제작 방법 및 장치
KR200490023Y1 (ko) * 2019-03-20 2019-09-10 윤장현 시소 운동 구조를 갖는 반구형 자석 결합형 임플란트용 틀니 구조
WO2021049687A1 (ko) * 2019-09-11 2021-03-18 (주)더덴탈솔루션 Peek와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고정형틀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정형틀니
US11273016B2 (en) * 2019-11-29 2022-03-15 Dio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digital overdenture and holder abutment mounting guide and fixing bar bending apparatus for holder device applied thereto
KR102264164B1 (ko) * 2019-11-29 2021-06-1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
KR102332973B1 (ko) * 2019-11-29 2021-11-30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홀더 어버트먼트 취부가이드
KR102332982B1 (ko) * 2019-11-29 2021-11-30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클립 취부용 홀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10U (ja) * 1993-09-06 1995-03-28 東邦チタニウム株式会社 可撤性義歯固定用磁性アタッチメント
JPH10323357A (ja) * 1997-03-22 1998-12-08 G C Dental Prod:Kk 緩圧性を有する歯科用磁性アタッチメント
KR20100001864A (ko) 2008-06-27 2010-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06826U (ko) * 2012-05-18 2013-11-27 대경 이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10U (ja) * 1993-09-06 1995-03-28 東邦チタニウム株式会社 可撤性義歯固定用磁性アタッチメント
JPH10323357A (ja) * 1997-03-22 1998-12-08 G C Dental Prod:Kk 緩圧性を有する歯科用磁性アタッチメント
KR20100001864A (ko) 2008-06-27 2010-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06826U (ko) * 2012-05-18 2013-11-27 대경 이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528A1 (ko) * 2019-01-24 2020-07-30 장희성 마그네틱 틀니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026B1 (ko)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026B1 (ko)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US6224374B1 (en) Fixed, splinted and removable prosthesis attachment
Belser et al. Prosthetic management of the partially dentate patient with fixed implant restorations Note
AU2005286092B2 (en) Temporary dental prosthesis
JP6006880B2 (ja) 有床義歯用アタッチメント
US6986661B2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TWI552731B (zh) 具有金屬假牙的活動式假牙
AU2002236309A1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KR101487216B1 (ko) 파샬 덴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220418A (ja) 部分床義歯
KR20140118136A (ko) 치과 임플란트용 티타늄금속계 다용도 지대주
Rockman et al. Magnetic retention of dental prostheses in a child with ectodermal dysplasia
KR20180093737A (ko)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
KR20180046319A (ko)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
Trushkowsky Fiber-reinforced composite bridge and splint
Spitzer et al. Achieving Ideal Esthetics in Osseointegrated Prostheses. Pert II. The Single Unit.
KR20160095260A (ko)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결합 정확성을 향상시킨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Rahajoeningsih et al. Jenis-jenis gigitiruan dukungan implan Implant-supported dentures
KR20210071682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CN111698963B (zh) 缺损牙齿补充型牙修复体
KR101784608B1 (ko) 통공이 형성된 잇몸부를 구비한 의치
US20220061968A1 (en) Dental Prosthesis
Machmud et al. Mandibular implant-retained overdenture with magnets in total edentulous patients (case report)
Swetha et al. Dental implant impression techniques-A review.
POTDUKHE et al. Attachment Retained Tooth Supported Overdentures: A Case S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