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703A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703A
KR20160102703A KR1020150025104A KR20150025104A KR20160102703A KR 20160102703 A KR20160102703 A KR 20160102703A KR 1020150025104 A KR1020150025104 A KR 1020150025104A KR 20150025104 A KR20150025104 A KR 20150025104A KR 20160102703 A KR20160102703 A KR 20160102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troke
processing apparatus
amount
prog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6085B1 (ko
Inventor
허광철
이지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5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085B1/ko
Priority to AU2016224322A priority patent/AU2016224322B2/en
Priority to EP16755830.3A priority patent/EP3262225A4/en
Priority to PCT/KR2016/001713 priority patent/WO2016137180A1/en
Priority to US15/546,827 priority patent/US10544531B2/en
Priority to CN201680011802.XA priority patent/CN107257871B/zh
Publication of KR20160102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7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6Tim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4Time sett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부하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제1처리장치에 설정된 제1행정을 실행하는 1단계, 제2부하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제2처리장치에 설정된 제2행정을 실행하되, 상기 1단계의 진행 중 진행되는 2단계,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기 설정된 기준전류량 이상이면, 상기 제2처리장치가 상기 2단계를 종료하고 상기 제2행정에 필요한 시간당 전류량보다 적은 양의 전류를 소비하도록 설정된 제3행정을 실행하는 3단계, 상기 제1처리장치가 상기 제1행정을 종료하는 4단계,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거나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제3행정을 종료하고 상기 제2행정을 실행하는 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면, 상기 5단계는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5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되고,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과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면, 상기 5단계는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5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ntor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를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서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일명 드럼 세탁기)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투입하기 위해 구비된 투입구가 사용자의 허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의류를 의류처리장치에 투입하거나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를 인출할 때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고자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프론트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의 하부에 위치하여 투입구의 높이를 높일 뿐만 아니라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과 같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가 있다.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 및 보조의류처리장치는 다른 하나의 처리장치가 소비하는 시간당 전류량을 알 수 없어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 및 보조의류처리장치를 모두 작동시킨 경우 과전류에 의해 의류처리장치 및 보조의류처리장치가 모두 작동을 중단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를 위해 구비되는 적어도 두 개의 처리장치(건조기, 세탁기, 건조겸용 세탁기 등)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처리를 위해 구비된 제1처리장치와 제2처리장치를 동시에 작동시키더라도 과전류에 의해 두 처리장치가 동시에 작동을 중단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의류의 처리를 위한 제1부하부가 구비된 제1처리장치, 의류의 처리를 위한 제2부하부가 구비되는 제2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제1부하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제1처리장치에 설정된 제1행정을 실행하는 1단계; 상기 제2부하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제2처리장치에 설정된 제2행정을 실행하되, 상기 1단계의 진행 중 진행되는 2단계;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기 설정된 기준전류량 이상이면, 상기 제2처리장치가 상기 2단계를 종료하고 상기 제2행정에 필요한 시간당 전류량보다 적은 양의 전류를 소비하도록 설정된 제3행정을 실행하는 3단계; 상기 제1처리장치가 상기 제1행정을 종료하는 4단계;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거나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제3행정을 종료하고 상기 제2행정을 실행하는 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이 상기 제2행정기준시간 미만이면, 상기 5단계는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5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되고,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과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면, 상기 5단계는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5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의 기 설정된 기준비율 이상이면,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거나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과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라도 상기 5단계는 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준비율은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의 80% 이상인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4단계의 완료 후 개시되어 상기 5단계의 진행 중 진행되며, 상기 제1처리장치를 통해 상기 제1행정을 재실행하거나 상기 제1행정과 다른 제4행정을 실행하는 6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5단계 및 상기 6단계의 진행 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상기 기준전류량 이상이면, 상기 제2처리장치가 상기 5단계를 종료하고 상기 제3행정을 실행하는 7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6단계를 종료시키는 8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보다 작게 설정된 제2기준시간보다 작고,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5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7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면, 상기 제2처리장치를 통해 상기 7단계를 종료한 뒤 상기 제2행정을 재실행하는 9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5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7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면, 상기 9단계는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5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7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9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6단계를 종료시키는 8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2기준시간보다 크고,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5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7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면, 상기 제2처리장치를 통해 상기 7단계를 종료한 뒤 상기 제2행정을 재실행하는 9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5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7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면, 상기 9단계는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5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7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9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기 설정된 기준전류량 이상인지 여부는 상기 제1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상기 기준전류량 이상인지 여부를 통해 판단될 수 있다.
상기 기준전류량은 액체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제1부하부에 구비되는 제1열교환부의 작동에 필요한 시간당 전류량 또는 기체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제1부하부에 구비되는 제2열교환부의 작동에 필요한 시간당 전류량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기 설정된 기준전류량 이상인지 여부는 상기 제1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 및 상기 제2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의 합이 상기 기준전류량 이상인지 여부를 통해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가 처리 가능한 의류의 양은 상기 제2처리장치가 처리 가능한 의류의 양보다 더 많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1단계와 상기 2단계는 동시에 개시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단계가 다른 하나의 단계보다 먼저 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2단계 이전에 실행되며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를 위해 구비되는 적어도 두 개의 처리장치(건조기, 세탁기, 건조겸용 세탁기 등)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처리를 위해 구비된 제1처리장치와 제2처리장치를 동시에 작동시키더라도 과전류에 의해 두 처리장치가 동시에 작동을 중단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를 처리(세탁, 건조, 세탁 및 건조)하는 제1처리장치(1), 상기 제1처리장치와 분리된 별도의 의류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제2처리장치(3),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장치(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캐비닛(11),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처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수용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용부(13)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터브(131), 상기 제1터브(131)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13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터브(131) 및 제1드럼(133)은 제1캐비닛(11)에 구비된 투입구에 연통하며, 상기 투입구는 도어(111)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1터브(131) 내부에는 세탁수의 가열을 위한 제1열교환부(173)가 구비되고, 상기 제1터브(131)의 외부에는 상기 제1드럼(133)을 회전시키는 모터(1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로 구비되는 제1처리장치(1)의 부하(17, 제1부하부)는 모터(171) 및 제1열교환부(173)가 된다(부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대상).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제1처리장치(1)가 의류의 건조도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캐비닛(11) 내부에는 제1터브(131)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15)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덕트(15)가 제1터브(13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유로로 구비될 경우, 상기 덕트(15) 내부에는 제2열교환부(175) 및 팬(177)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2열교환부(175)는 제1터브(131)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가열하는 수단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예: 히트펌프). 이 경우, 제1부하부(17)는 모터(171), 제1열교환부(173), 제2열교환부(175) 및 팬(177)이 될 것이다.
다만, 상기 덕트(15)가 제1터브(131)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1덕트와 제1터브(131) 내부의 공기를 제1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덕트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열교환부(175, 예: 히트펌프 또는 전력을 공급받아 열을 방출하는 히터)는 제1덕트에 구비되고, 상기 팬(177)은 제2덕트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부하부(17)의 작동은 제1제어부(18)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1부하부 및 제1제어부는 제1전력선(19)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제2처리장치(3)는 제1캐비닛(11)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1처리장치(1)를 지지하는 제2캐비닛(31), 상기 제2캐비닛(3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수용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제2수용부(33)는 상기 제2캐비닛(3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터브(331), 상기 제2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33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3)가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로 구비된다면, 상기 제2터브(331)는 물을 저장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2터브(331)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353, 전력을 공급받아 열을 방출하는 수단)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터브(331)의 외부에는 상기 제2드럼(333)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5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3)의 부하(35, 제2부하부)는 구동부(351) 및 히터(353)가 될 것이다. 상기 제2부하부(35)의 작동은 제2제어부(38)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2부하부 및 제2제어부는 제2전력선(39)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제1처리장치(1)와 제2처리장치(3)는 전력제어장치(5)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데, 상기 전력제어장치(5)는 상기 제1처리장치(1)로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기 설정된 기준전류량 이상인지 여부를 제1제어부(18)와 제2제어부(3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통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전력제어장치(5)가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을 제어할 필요가 있음을 통지하는 대상은 각 처리장치(1, 3)의 의류처리용량이나 각 처리장치가 현재 진행중인 의류처리행정(또는 의류처리코스)의 중요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1은 제1처리장치(1)의 의류처리용량이 제2처리장치(3)의 의류처리용량에 비해 큰 경우를 가정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전력제어장치(5)가 제2제어부(38)에 제2부하부(35)의 전류제어가 필요함을 통지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전력제어장치(5)는 전원(7)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입력부(52), 상기 제1전력선(19)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전력선(19)을 상기 입력부(52)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착탈부(53), 상기 제2전력선(39)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전력선(39)을 입력부(52)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착탈부(54), 제1처리장치(1)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기준전류량에 도달하면 제2처리장치(3)에 이를 통지함으로써 제2제어부(38)가 제2부하부(3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전력제어부(55, 57, 591, 59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력제어장치(5)는 전원(7)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전원(7)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입력부(52)가 고정되는 하우징(51)은 상기 전원(7)에서 분리 가능하나, 후자의 경우 상기 하우징(51)은 실내(9)에 고정될 것이므로 전원(7)이 곧 입력부(52)가 될 것이다.
상기 제1착탈부(53)는 상기 제1전력선(19)에 구비된 각 핀을 입력부(52)의 각 핀에 연결하는 제1연결선(531a, 531b)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5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착탈부(54) 역시 제2전력선(39)에 구비된 각 핀을 입력부(52)의 각 핀에 연결하는 제2연결선(541a, 541b)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51)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연결선(541a, 541b)은 제1연결선(531a, 531b)에서 분지되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제1착탈부(53)로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을 측정하는 감지부(55), 상기 감지부(55)가 측정한 전류량이 상기 기준전류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57), 상기 제1착탈부(53)로 공급되는 전류량이 상기 기준전류량 이상인지 여부(신호)를 상기 제2처리장치(3)에 전송하는 통신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유선통신방식으로 제2처리장치(3)와 통신할 수도 있고, 무선통신방식으로 제2처리장치(3)와 통신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통신부는 전력제어장치(5)에 구비된 제어부(57)와 제2처리장치에 구비된 제2제어부(38)를 직접 연결하는 통신선으로 구비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57)에 연결된 제1통신부(591), 상기 제2제어부(38)에 연결된 제2통신부(593)로 구비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상기 제1통신부(591)가 전송한 신호를 상기 제2통신부(593)가 수신하면, 상기 제2제어부(38)는 제2부하부(35) 전체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거나 제2부하부(35)를 구성하는 장치들 중 일부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실내에 위치된 전원(7)은 일반적으로 전력차단장치(미도시)에 연결되는데, 전력차단장치는 전원(7)을 통해 가전기기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일정한 값을 초과하면 전원(7)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화재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는 제1부하부(17)와 제2부하부(35)가 동시에 작동할 경우 전력차단장치(미도시) 때문에 입력부(52)가 전원(7)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1)와 제2처리장치(3)의 작동 중 입력부(52)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면, 제1처리장치(1)와 제2처리장치(3) 모두 작동을 중단하게 될 것이므로 제1처리장치(1)와 제2처리장치(3) 중 어느 하나만을 작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전력공급이 차단되기 전에 진행되었던 의류처리코스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돼야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러나, 본 발명 전력제어장치(5)는 제1처리장치(1)와 제2처리장치(3)가 동시에 작동하는 동안 상기 제1처리장치(1)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상기 기준전류량에 도달하면 제2처리장치(3)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을 줄일 수 있도록 제2부하부(35)를 제어함으로써 제1처리장치(1)가 진행중이던 의류처리코스를 완료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제1처리장치(1)는 제1열교환부(173)나 제2열교환부(175)를 이용한 의류처리코스를 진행중이고, 제2처리장치(3)는 히터(353)를 이용한 의류처리코스를 진행중인 경우, 전원(7)을 통해 의류처리장치(100)로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전력차단장치(미도시)가 작동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크다. 통상적으로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부하 중 전류가 가장 많이 요구되는 부하는 열교환장치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기준전류량을 제1처리장치(1)에 구비된 제1열교환부(173)와 제2열교환부(17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할 때 필요한 시간당 전류량과 전력차단장치(미도시)가 작동하는 시간당 전류량 사이의 값으로 설정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제1처리장치(1)와 제2처리장치(3)가 동시에 작동을 중단하는 경우를 미리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감지부(55)가 제1처리장치(1)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을 측정하도록 구비된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처리장치(1)의 의류처리 용량이 제2처리장치(3)의 의류처리 용량보다 큰 경우 제1처리장치(1)에서 진행되는 의류처리코스가 제2처리장치(3)에서 진행되는 의류처리코스에 비해 우선순위가 있을 것으로 가정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55)는 제2처리장치(3)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을 측정하도록 구비되고, 제어부(57)는 제2처리장치로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기준전류량 이상일 때 상기 제1제어부(18)에 이를 통지하며, 제1제어부(18)는 제1부하부(17)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감소되도록 제1부하부(17)를 제어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상기 감지부(55)는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의 합이 기준전류량 이상일 때 제1제어부(18)와 제2제어부(38) 중 어느 하나에 이를 통지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감지부(55)는 제1착탈부(53) 및 제2착탈부(54) 각각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를 측정 가능한 위치에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작동 중에 있던 제1처리장치(1)나 제2처리장치(3)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전력제어장치(5)에 의해 작동을 중단하면 사용자는 작동을 중단한 장치의 고장을 의심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두 처리장치(1, 3)가 모두 작동을 멈추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제2처리장치(3)가 의류처리코스를 중단했거나 변경한 상황임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전력제어장치(5)에는 제2처리장치(3)가 의류처리코스를 변경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표시부(5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8)는 과전류에 의한 사고방지를 위해 제2처리장치가 실행중인 코스가 변경되었음을 외부에 표시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58)는 제2처리장치(3)가 코스의 변경 없이 의류를 처리하고 있을 때 빛을 발산하는 제1표시부(581)와 제2처리장치(3)가 코스를 변경한 때 빛을 발산하는 제2표시부(583)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예는 전력제어장치의 제어부(57)와 제2처리장치에 구비되 제2제어부(38)가 분리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지만 상기 제어부(57)와 제2제어부(38)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제어부(57)가 제2제어부(38)의 역할을 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제2제어부(38)가 제어부(57)의 역할을 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1의 실시예는 전력제어장치(5)가 의류처리장치에서 분리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지만, 상기 전력제어장치(5)는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내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1제어부(18)와 제2제어부(38)가 직접 통신 가능하고, 의류처리장치(100)로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을 측정하는 감지부(55)가 제1처리장치(1)나 제2처리장치(3)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한 뒤 사용자가 각 처리장치(1, 3)에 설정되어 있는 다수의 의류처리코스(이하, 코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스를 각 처리장치(1, 3)에 입력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
각 처리장치에 설정된 코스는 제어명령 입력부(미도시, 컨트롤패널 등)를 통해 각 처리장치(1, 3)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스는 하나 이상의 행정이 시계열적으로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행정은 의류에 공기(또는 수분)가 공급되도록 각 제어부(18, 38)가 제1부하부(17) 및 제2부하부(35)에 전송하는 시계열적 제어신호, 또는 의류가 저장된 드럼(133, 333)을 회전시키기 위해 각 제어부(18, 38)가 제1부하부(17) 및 제2부하부(35)에 전송하는 시계열적 제어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처리장치에 설정된 임의의 코스가 제1터브(131)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과정, 제1드럼(133)을 회전시키는 과정, 제1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과정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상기 코스는 제1터브에 급수하는 급수행정, 제1드럼을 회전시키는 이물질 제거행정, 제1터브에서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행정으로 구현된다고 볼 수 있다.
각 처리장치(1, 3)가 수행할 코스가 각 처리장치에 입력되면, 의류처리장치는 코스별 실행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각 코스에 설정되는 상기 코스시간은 각 처리장치에 입력된 코스의 종류와 각 처리장치가 처리해야 할 의류의 양(각 드럼에 투입된 의류의 양)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스시간은 코스를 구성하는 행정의 실행시간, 또는 코스를 구성하는 행정들의 실행시간의 합을 의미하므로 각 처리장치(1, 3)가 코스시간을 설정한다는 것은 각 처리장치(1, 3)가 각 코스에 구비된 단위 행정들의 실행시간(기준시간)을 설정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각 처리장치(1, 3)에 코스가 입력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1처리장치(1)가 수행하게 될 행정(제1행정)의 기준시간(T1) 및 제2처리장치(3)가 수행하게 될 행정(제2행정)의 기준시간(T2)을 설정하는 단계(S1)를 수행한다.
상기 제1행정(제1처리장치의 제1행정)의 기준시간과 상기 제2행정(제2처리장치의 제1행정)의 기준시간이 결정되면, 본 발명은 각 처리장치(1, 3)의 작동을 개시하는 단계(S2)를 진행한다.
각 처리장치의 작동을 개시하는 단계는 제1처리장치의 제1부하부(17)에 전력을 공급하여 제1처리장치가 제1행정을 진행하는 1단계(S21) 및 제2처리장치의 제2부하부(35)에 전력을 공급하여 제2처리장치가 제2행정을 진행하는 2단계(S23)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1단계(S21)와 상기 2단계(S23)는 동시에 개시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단계가 다른 하나의 단계보다 먼저 개시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1단계(S21)와 2단계(S23)의 개시 시점에 상관없이 상기 1단계(S21)를 수행하는 제1부하부(17)와 상기 2단계(S23)를 진행하는 제2부하부(35)가 동시에 작동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감지부(55)를 통해 의류처리장치(100)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기 설정된 기준전류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를 진행한다.
의류처리장치(100)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상기 기준전류량 이상인지 여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의 합을 기준전류량과 비교함으로써 진행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처리장치(1, 3)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기준전류량과 비교함으로써 진행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기준전류량은 전원(7)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차단장치(미도시)가 작동하는 전류량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상기 기준전류량은 제1부하부(17)를 구성하는 장치나 제2부하부(35)를 구성하는 장치 중 가장 많은 시간당 전류량을 요구하는 장치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시간당 전류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가장 많은 시간당 전류량을 요구하는 장치가 작동될 때 전력차단장치(미도시)가 작동될 위험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제1부하부(17)는 제1열교환부(173)나 제2열교환부(175)가 가장 많은 시간당 전류량을 요구하고, 제2부하부(35)는 히터(353)가 가장 많은 시간당 전류량이 요구된다.
따라서, S3단계가 제1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을 기준전류량과 비교할 경우, 상기 기준전류량은 제1열교환부(173)나 제2열교환부(175)의 작동을 위해 각 열교환부에 공급돼야하는 시간당 전류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S3단계가 제2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을 기준전류량과 비교할 경우, 상기 기준전류량은 상기 히터(353)의 작동을 위해 히터에 공급돼야하는 시간당 전류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100)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기준전류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처리장치는 제1행정을 유지하지만 제2처리장치는 상기 제2행정을 종료한 뒤 제3행정(제2행정과 구별되는 제2처리장치의 다른 행정)을 수행하는 3단계(S4)가 진행된다.
상기 3단계(S4)는 제어부(57)가 통신부(581, 583) 또는 기타의 수단을 통해 제2제어부(38)에 제2부하부(35)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의 제어가 필요함을 통지하고, 제2제어부(38)는 제어부(57)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은 때 제2처리장치가 제3행정을 수행하도록 제2부하부(35)를 제어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행정(제2처리장치의 제2행정)은 제2행정(제2처리장치의 제1행정)에 필요한 시간당 전류량보다 적은 시간당 전류량을 필요로 하는 코스로 설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2행정이 히터(353)를 이용하는 행정이었다면 제3행정은 히터(353)를 사용하지 않는 행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기준전류량에 도달한 때 제2처리장치의 행정을 변경(제2처리장치에 입력된 코스의 내용을 수정)하는 것은 의류처리장치(100)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전력차단장치(미도시)에 의해 제1처리장치(1) 및 제2처리장치(3)가 모두 작동을 중단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처리장치(1) 및 제2처리장치(3) 전체에 공급되는 전력의 차단을 방지하기 위해 제2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제2처리장치는 제1처리장치가 제1행정을 종료한 때 제2행정을 다시 시작해야 하므로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시간이 증가(전력사용량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지 않고 제2행정을 제3행정으로 변경하여 제2처리장치의 작동을 유지시키면, 제3행정에 의해 제2처리장치에 공급된 의류가 처리(세탁 또는 건조)될 것이므로 제1처리장치의 제1행정이 종료된 뒤 제2처리장치가 재개하는 제2행정의 시간을 단축해도 의류는 원하는 수준까지 세탁이나 건조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는 제1행정을 실행하고 제2처리장치는 제3행정을 실행(S4)하는 동안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1행정이 실행된 시간이 제1처리장치의 제1행정에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T1)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S5)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1단계가 진행된 시간(t11)과 3단계(S3)가 진행된 시간(t13)의 합이 제1행정의 기준시간(T1)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한다.
제1처리장치가 제1행정을 진행한 시간이 기준시간(T1)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은 제2처리장치가 작동된 시간이 제2행정의 기준시간(T2)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S6)하여 제2처리장치의 작동을 종료(S61)시킨다.
상기 제2처리장치가 작동된 시간은 상기 2단계(S23)의 진행시간과 3단계(S4)의 진행시간의 합(t21+t23)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t23)만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만, 제2처리장치가 제2행정에서 제3행정으로 행정을 변경하기 전 제2행정을 진행한 시간(t21)이 기 설정된 제2기준시간(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T2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된 시간)보다 크다면, 상기 제2처리장치가 작동된 시간은 상기 2단계(S23)의 진행시간과 3단계(S4)의 진행시간의 합(t21+t23)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제2기준시간<제2행정의 기준시간).
그러나, 제2처리장치가 제2행정에서 제3행정으로 행정을 변경하기 전 제2행정을 진행한 시간(t21)이 상기 제2기준시간보다 작다면, 상기 제2처리장치가 작동된 시간은 상기 3단계(S4)의 진행시간(t23)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2행정이 상기 기준시간(T2) 동안 수행되도록 제2처리장치(3)에 제어명령을 입력한 경우라도 전력차단장치가 작동될 가능성이 있다면 제2처리장치의 제2행정을 제3행정으로 변경한 뒤 제2행정에 설정된 기준시간(T2)이 경과한 때 제2처리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제어가 가능한 것은 제2처리장치가 제3행정을 통해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의류처리(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처리장치가 제2행정을 실행한 시간(t21)이 짧다면, 의류가 처리된 시간은 제2처리장치가 제2행정을 실행한 시간을 제외한 시간(제3행정을 실행한 시간, t23)으로 설정해야 제2행정을 통해 기대했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할 것이다.
제2처리장치의 작동이 종료(S61)되면, 본 발명은 제1처리장치가 제1행정을 실행한 시간과 제1행정 기준시간(T1)을 비교하여 제1처리장치의 작동도 종료(S63, S65)시킨다.
한편, 상기 3단계(S4)의 진행 중 제1처리장치가 제1행정을 진행한 시간이 제1행정 기준시간(T1)에 먼저 도달(S5)하면, 본 발명은 제1처리장치의 제1행정을 종료시키는 4단계(S51)를 진행한다.
상기 4단계(S51)를 통해 제1처리장치의 작동이 중단되면, 본 발명은 제2처리장치가 작동된 시간(t21+t23, 또는 t23)이 제2행정 기준시간(T2)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S53)한다.
제2처리장치가 작동된 시간이 제2행정 기준시간(T2)에 도달했다면, 본 발명은 제2처리장치의 작동을 종료(S59)시킨다. 그러나, 제2처리장치가 작동된 시간이 제2행정 기준시간(T2)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본 발명은 제2처리장치가 제2행정을 다시 수행하게 하는 5단계(S55)를 진행한다.
상기 5단계의 진행 중 본 발명은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t21), 3단계의 진행시간(t23) 및 5단계의 진행시간(t25)의 합이 제2행정 기준시간(T2)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S57)하여 제2처리장치의 작동을 종료(S59)한다.
다만,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t21)이 상기 제2기준시간보다 작다면, 본 발명은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t23) 및 5단계의 진행시간(t25)의 합이 제2행정 기준시간(T2)에 도달한 때 상기 5단계를 종료(또는 제2처리장치의 작동을 종료, S59)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상기 5단계를 진행하지 않고 제2처리장치의 작동을 종료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2단계(S23)의 진행시간(t21)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의 기준비율(%)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t23)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T2) 미만이거나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과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의 합(t21+t23)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T2) 미만이라도 상기 5단계의 수행 없이 제2처리장치의 작동을 종료시킬 수 있다.
상기 2단계(S23)를 통해 제2처리장치가 제2행정을 제2행정 기준시간의 일정비율(%) 이상 진행했다면 제2행정을 통해 사용자가 의도한 의류의 처리는 마무리 단계에 있었을 것이므로 제2처리장치의 작동을 종료시켜도 무리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기준비율은 제2행정 기준시간(T2)의 50%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제2행정 기준시간(T2)의 80%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예는 의류처리장치(100)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기준전류량 이상일 때 제2처리장치(3)가 실행중에 있는 행정을 다른 행정으로 변경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제1처리장치(1)가 실행중인 행정을 다른 행정으로 변경하도록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제어방법을 통해 본 발명 제어방법은 두 개의 처리장치(1, 3)가 동시에 작동을 종료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행정을 변경한 처리장치의 작동시간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제1처리장치는 제1행정을 수행하고, 제2처리장치는 제2행정을 수행하되 경우에 따라 제2행정 대신 제3행정을 수행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인데, 제1행정과 제2행정은 제1처리장치가 수행하는 행정과 제2처리장치가 수행하는 행정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 것일 뿐 두 행정의 실행 순서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행정과 제3행정 역시 제2처리장치가 수행하는 서로 다른 행정임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명칭으로, 두 행정의 실행순서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것은 아니다.
도 3는 본 발명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제1처리장치(1)는 제1행정과 제4행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고, 제2처리장치는 제2행정을 수행하도록 제어명령이 입력된 경우, 의류처리장치(100)가 제어되는 과정을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 역시 각 처리장치(1, 3)는 코스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코스에 구비된 행정들의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단계(S1)를 포함한다.
각 행정의 종료 시점을 판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상기 기준시간 설정단계(S1)는 제1처리장치의 기준시간(T1)과 제2처리장치의 기준시간(T2)을 설정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처리장치 실행시간(T1)은 제1처리장치가 실행할 제1행정의 기준시간(T11) 및 제4행정의 기준시간(T12)을 설정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처리장치의 기준시간은 제2행정의 기준시간(T2)을 설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후 본 발명은 제1처리장치가 제1행정을 시작하는 1단계(S21) 및 제2처리장치가 제2행정을 시작하는 2단계(S23), 의류처리장치(100)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기 설정된 기준전류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를 진행한다.
상기 1단계(S21)와 상기 2단계(S23)는 동시에 시작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단계가 다른 하나의 단계보다 먼저 시작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1단계에서 상기 제1부하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시기(period)와 상기 2단계에서 상기 제2부하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시기는 서로 중첩되는 구간을 가지는 한 어느 경우에나 적용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00)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기준전류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은 제1처리장치는 제1행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되 제2처리장치는 제2행정을 종료한 뒤 제3행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3단계(S4)를 진행한다.
상기 3단계의 진행 중 본 발명은 제1처리장치가 제1행정을 수행한 시간(t11+t13)이 제1행정의 기준시간(T11)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행정이 진행된 시간(t11+t13)이 제1행정의 기준시간(T11)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은 제2처리장치가 작동된 시간이 제2행정 기준시간(T2)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S6)하여 제2행정을 종료(S61)한다. 한편, 제2처리장치에 입력된 코스가 제2행정만으로 구비되는 단일행정 코스라면 제2처리장치가 작동된 시간이 제2행정 기준시간(T2)에 도달한 때 제2처리장치의 작동도 종료될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처리장치가 작동된 시간은 상기 2단계(S23)의 진행시간과 3단계(S4)의 진행시간의 합(t21+t23)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t23)만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제2행정이 종료(S61)되면, 본 발명은 제1처리장치가 제1행정을 실행한 시간(t11+t13)과 제1행정 기준시간(T11)을 비교(63)하여 제1행정을 종료한 뒤 제4행정을 개시(S67)한다.
상기 제4행정은 제1처리장치가 제4행정을 실행한 시간(t15)이 기 설정된 제4행정 기준시간(T12)에 도달하면 종료(S68, S69)된다.
한편, 상기 3단계(S4)의 진행 중 제1처리장치가 제1행정을 수행한 시간이 제1행정 기준시간(T11)에 먼저 도달(S5)하면, 본 발명은 제1행정을 종료시키는 4단계(S51)를 진행한다.
제1행정이 종료되면(S51), 상기 제2처리장치(3)는 제3행정을 종료한 뒤 제2행정을 시작하는 5단계(S55)를 수행하고, 제1처리장치(1)는 제4행정을 진행하는 6단계(S56)를 수행한다. 다만, 상기 5단계(S55)는 상기 제2처리장치가 작동된 시간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T2)미만인 경우(S53)에만 진행된다.
상기 2단계(S23)의 진행시간(t21)이 상기 제2기준시간보다 크면, 상기 제2처리장치의 작동시간은 2단계의 진행시간(t21)과 3단계의 진행시간(t23)의 합이 된다. 그러나, 상기 2단계(S23)의 진행시간(t21)이 상기 제2기준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제2처리장치의 작동시간은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t23)이 되어야 한다.
한편, 제2처리장치의 작동시간이 제2행정 기준시간(T2)에 도달했다면, 본 발명은 제3행정을 종료(또는 제2처리장치의 작동을 종료)시키는 단계(S531), 제1처리장치가 제4행정을 진행한 시간(t15)이 제4행정 기준시간(T12)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33), 제4행정을 종료하는 단계(S535)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제2처리장치의 작동시간이 제2행정 기준시간(T2)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제1처리장치가 제4행정을 수행하는 6단계(S56)와 제2처리장치가 제2행정을 수행하는 5단계(S55)는 함께 진행될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기준전류량 이상인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S60)한다.
상기 5단계(S55)와 6단계(S56)를 함께 진행함에도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기준전류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제1처리장치(1)는 제4행정이 진행된 시간(t15)이 제4행정 기준시간(T12)에 도달한 때 종료(S72, S74)되고, 제2처리장치(3)는 제2처리장치의 작동시간(t21+t23+t25, 또는 t23+t25)이 제2행정 기준시간(T2)에 도달한 때 종료(S71, S73)된다.
그러나, 상기 5단계(S55)와 6단계(S56)의 진행 중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기준전류량을 초과(S60)하면, 본 발명은 제2처리장치의 작동시간이 제2행정 기준시간(T2)에 도달하였는지 여부(S81)에 따라 제2행정을 제3행정으로 변경하는 7단계(S82)를 진행한다.
즉, 본 발명은 제2처리장치의 작동시간(t21+t23+t25, 또는 t23+t25)이 제2행정 기준시간(T2)에 도달하였다면, 본 발명은 제2처리장치의 작동을 종료(S531)하고 제1처리장치가 제4행정을 수행하도록 제어(S533, S535)한다. 그러나, 제2처리장치의 작동시간이 제2행정 기준시간(T2)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본 발명은 제1처리장치는 제4행정을 수행하게 하고 제2처리장치는 제3행정을 수행하게 하는 7단계(S82)를 진행한다.
상기 7단계(S82)의 진행 중 제1처리장치가 제4행정을 실행한 시간(t15+t17)이 제4행정 기준시간(T12)에 도달하면, 본 발명은 제1처리장치가 제4행정을 종료하는 8단계(S84), 제2처리장치의 작동시간이 제2행정 기준시간(T2)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85)를 진행한다.
제2처리장치의 작동시간이 제2행정 기준시간(T2)에 도달하였으면, 본 발명은 제3행정을 종료(또는 제2처리장치의 작동을 종료)시킨다. 그러나, 제2처리장치의 작동시간이 제2행정 기준시간(T2)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본 발명은 제3행정을 종료한 뒤 제2행정을 수행하도록 제2처리장치를 제어하는 9단계(S851)를 진행한다.
상기 9단계는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t21), 3단계의 진행시간(t23), 5단계의 진행시간(t25), 7단계의 진행시간(t27) 및 9단계의 진행시간(t29)의 합이 제2행정 기준시간(T2)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된다(S853).
다만,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이 상기 제2기준시간(제2행정 기준시간보다 작은 값) 미만이라면, 상기 9단계는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t23), 5단계의 진행시간(t25), 7단계의 진행시간(t27) 및 9단계의 진행시간(t29)의 합이 실행시간 T2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7단계(S82)의 진행 중 제1처리장치가 제4행정을 진행한 시간이 제4행정 기준시간(T12)에 도달(S83)하는 것보다 제2처리장치의 작동시간이 제2행정 기준시간(T2)에 먼저 도달하면(S86), 본 발명은 제3행정을 종료(또는 제2처리장치의 작동을 종료, S87)시킨 뒤 제1처리장치를 통해 제4행정을 제4행정 기준시간(T12)동안 작동시킨 뒤 제1처리장치의 작동도 종료(S88, S89)시킨다.
상술한 제1처리장치의 제4행정은 제1처리장치의 제1행정과 동일한 행정일 수도 있고, 다른 행정일 수도 있다.
제1행정과 제4행정이 서로 다른 행정일 경우, 제1행정은 제1열교환부를 이용하여 세탁수를 가열하는 행정이고, 제4행정은 제2열교환부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행정일 수 있다.
한편, 제1행정과 제4행정이 동일한 경우는 제2처리장치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제1처리장치가 실행중인 행정의 종료로 제1처리장치에 전력공급이 차단된 뒤 동일한 행정의 실행을 위해 제1처리장치에 전력이 재공급되는 경우가 일례가 될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제1처리장치는 제1행정과 제4행정을 수행하고, 제2처리장치는 제2행정을 수행하되 경우에 따라 제2행정 대신 제3행정을 수행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인데, 제1행정과 제2행정은 제1처리장치가 수행하는 행정과 제2처리장치가 수행하는 행정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 것일 뿐 두 행정의 실행 순서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행정과 제4행정은 제1처리장치가 수행하는 서로 다른 행정임을 표현하는 동시에 제2처리장치가 수행하는 행정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표현으로 제1행정, 제2행정, 제3행정, 제4행정 사이에 실행순서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제1처리장치 3: 제2처리장치 5: 전력제어장치
51: 하우징 52: 입력부 53: 제1착탈부
54: 제2착탈부 55: 감지부 56: 차단부
57: 제어부 591: 제1통신부 593: 제2통신부
58: 표시부

Claims (15)

  1. 의류의 처리를 위한 제1부하부가 구비된 제1처리장치, 의류의 처리를 위한 제2부하부가 구비되는 제2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부하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제1처리장치에 설정된 제1행정을 실행하는 1단계;
    상기 제2부하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제2처리장치에 설정된 제2행정을 실행하되, 상기 1단계의 진행 중 진행되는 2단계;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기 설정된 기준전류량 이상이면, 상기 제2처리장치가 상기 2단계를 종료하고 상기 제2행정에 필요한 시간당 전류량보다 적은 양의 전류를 소비하도록 설정된 제3행정을 실행하는 3단계;
    상기 제1처리장치가 상기 제1행정을 종료하는 4단계;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거나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제3행정을 종료하고 상기 제2행정을 실행하는 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면, 상기 5단계는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5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되거나,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과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면, 상기 5단계는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5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가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의 기 설정된 기준비율 이상 진행되었다면,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거나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과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라도 상기 5단계는 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비율은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의 80% 이상인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의 완료 후 개시되어 상기 5단계의 진행 중 진행되며, 상기 제1처리장치를 통해 상기 제1행정을 재실행하거나 상기 제1행정과 다른 제4행정을 실행하는 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 및 상기 6단계의 진행 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상기 기준전류량 이상이면, 상기 제2처리장치가 상기 5단계를 종료하고 상기 제3행정을 실행하는 7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6단계를 종료시키는 8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보다 작게 설정된 제2기준시간보다 작고,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5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7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면, 상기 제2처리장치를 통해 상기 7단계를 종료한 뒤 상기 제2행정을 재실행하는 9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5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7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면, 상기 9단계는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5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7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9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6단계를 종료시키는 8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제2기준시간보다 크고,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5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7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면, 상기 제2처리장치를 통해 상기 7단계를 종료한 뒤 상기 제2행정을 재실행하는 9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5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7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 미만이면, 상기 9단계는 상기 2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3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5단계의 진행시간, 상기 7단계의 진행시간 및 상기 9단계의 진행시간의 합이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기 설정된 기준전류량 이상인지 여부는 상기 제1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상기 기준전류량 이상인지 여부를 통해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류량은 액체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제1부하부에 구비되는 제1열교환부의 작동에 필요한 시간당 전류량 또는 기체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제1부하부에 구비되는 제2열교환부의 작동에 필요한 시간당 전류량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이 기 설정된 기준전류량 이상인지 여부는 상기 제1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 및 상기 제2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의 합이 상기 기준전류량 이상인지 여부를 통해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장치가 처리 가능한 의류의 양은 상기 제2처리장치가 처리 가능한 의류의 양보다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와 상기 2단계는 동시에 개시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단계가 다른 하나의 단계보다 먼저 개시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 이전에 실행되며 상기 제2행정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025104A 2015-02-23 2015-02-23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316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104A KR102316085B1 (ko) 2015-02-23 2015-02-23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U2016224322A AU2016224322B2 (en) 2015-02-23 2016-02-22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16755830.3A EP3262225A4 (en) 2015-02-23 2016-02-22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CT/KR2016/001713 WO2016137180A1 (en) 2015-02-23 2016-02-22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5/546,827 US10544531B2 (en) 2015-02-23 2016-02-22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1680011802.XA CN107257871B (zh) 2015-02-23 2016-02-22 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104A KR102316085B1 (ko) 2015-02-23 2015-02-23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703A true KR20160102703A (ko) 2016-08-31
KR102316085B1 KR102316085B1 (ko) 2021-10-25

Family

ID=5678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104A KR102316085B1 (ko) 2015-02-23 2015-02-23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44531B2 (ko)
EP (1) EP3262225A4 (ko)
KR (1) KR102316085B1 (ko)
CN (1) CN107257871B (ko)
AU (1) AU2016224322B2 (ko)
WO (1) WO201613718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0055A (ko) * 2009-05-04 201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061590A (zh) * 2009-11-16 2011-05-1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组合式洗衣烘干机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20088465A (ko) * 2011-01-31 2012-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028316A1 (en) * 2014-07-23 2016-01-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wer converter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4813A (en) 1973-02-26 1974-07-23 Gen Motors Corp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for 120 volt combination washer and dryer
US4663948A (en) 1984-10-11 1987-05-12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Control circuit for combination washer and dryer
JPH0245098A (ja) * 1988-08-05 1990-02-15 Sanyo Electric Co Ltd 衣類乾燥機
KR100331813B1 (ko) 1999-12-29 2002-04-09 구자홍 2개의 세탁조를 갖는 전자동 세탁기와 그 세탁 방법
KR101114335B1 (ko) * 2004-11-11 2012-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와 건조기의 전원공급방법
KR101075227B1 (ko) 2006-07-25 201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2조식 세탁기의 운전제어방법
WO2008148400A1 (en) 2007-06-04 2008-12-11 Mohamed Radwan Rafaat Atassi Dual drum washing machine
KR101435813B1 (ko) * 2007-11-27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76541B1 (ko) * 2008-07-14 2015-1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원장치 및 그 안전제어방법
KR101542499B1 (ko) * 2009-03-04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저전압 차단 장치 및 방법
KR20110019082A (ko) 2009-08-19 2011-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8943857B2 (en) * 2009-09-15 2015-02-03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washer demand response by duty cycling the heater and/or the mechanical action
KR20130127046A (ko) 2012-05-14 2013-11-22 손서곤 트윈 세탁기
EP2977898B1 (en) * 2014-07-11 2018-08-29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Task allocation in a computing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0055A (ko) * 2009-05-04 201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061590A (zh) * 2009-11-16 2011-05-1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组合式洗衣烘干机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20088465A (ko) * 2011-01-31 2012-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028316A1 (en) * 2014-07-23 2016-01-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wer converter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57871B (zh) 2019-10-11
KR102316085B1 (ko) 2021-10-25
EP3262225A1 (en) 2018-01-03
EP3262225A4 (en) 2018-07-18
CN107257871A (zh) 2017-10-17
AU2016224322A1 (en) 2017-08-17
US20180010277A1 (en) 2018-01-11
WO2016137180A1 (en) 2016-09-01
AU2016224322B2 (en) 2018-11-08
US10544531B2 (en)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18411B (zh) 一种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CN111041767A (zh) 一种多桶洗衣装置运行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洗衣机
US9051674B2 (en) Laundering machine and method
CN103842573B (zh) 洗衣烘干机
KR20160102701A (ko) 전력제어장치 및 상기 전력제어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180045323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60102704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1078613B2 (en) Laundry hand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40035130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2099177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322874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231608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60102705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17006574A (ja) 洗濯機
JP2007068679A (ja) ドラム式洗濯機
JP5839926B2 (ja) 洗濯機
US20190032268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189906B (zh) 电器联动控制系统和电器联动控制方法
KR20090079707A (ko) 세탁기 및 그 운전 방법
CN114481537A (zh) 洗衣机加热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240054849A (ko) 탁도를 감지하는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3111B1 (ko)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방법
CN117512935A (zh) 一种洗衣机的控制方法、装置、洗衣设备及介质
KR20140035077A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003016A (ko)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