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046A - 트윈 세탁기 - Google Patents

트윈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046A
KR20130127046A KR1020120050626A KR20120050626A KR20130127046A KR 20130127046 A KR20130127046 A KR 20130127046A KR 1020120050626 A KR1020120050626 A KR 1020120050626A KR 20120050626 A KR20120050626 A KR 20120050626A KR 20130127046 A KR20130127046 A KR 20130127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tank
water supply
drai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서곤
Original Assignee
손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서곤 filed Critical 손서곤
Priority to KR1020120050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7046A/ko
Publication of KR20130127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윈 세탁기에 대하여 개시된다. 트윈 세탁기는 제1 세탁조, 제2 세탁조, 그리고, 배수 펌프를 포함한다. 배수펌프는 제1 세탁조의 배수 물을 제2 세탁조의 급수 물로 제공한다. 제1 세탁조와 제2 세탁조는 따로따로 세탁, 동시 세탁 그리고 시차 세탁 중 어느 하나의 세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윈 세탁기{Twin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따로따로 세탁, 동시 세탁 및 시차 세탁이 가능한 트윈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흰색 빨래와 검은색 빨래를 나누어 동시에 세탁할 수 있는 세탁기가 요구된다. 흰색 빨래에 사용된 물은 검은 색 빨래에 사용하게 되면 물 절약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세탁조가 2개 포함된 트윈 세탁기가 제안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따로따로 세탁, 동시 세탁 및 시차 세탁이 가능한 트윈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트윈 세탁기는 제1 세탁조, 제2 세탁조, 그리고, 제1 세탁조의 배수 물을 제2 세탁조의 급수 물로 제공하는 배수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1 세탁조와 제2 세탁조는 따로따로 세탁, 동시 세탁 그리고 시차 세탁 중 어느 하나의 세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트윈 세탁기는 제1 세탁조의 배수 물에 포함된 찌꺼기를 거르는 거름망을 더 포함하고, 배수펌프를 통해 전달되는 제1 세탁조의 세탁물이 거름망을 통과하여 제2 세탁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1 세탁조의 배수 물은 제1 세탁조의 헹굼 시작 후의 배수 물이고, 배수 물을 이용하여 제2 세탁조의 세탁을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2 세탁조의 마지막 헹굼 시 배수펌프의 동작이 차단되고,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깨끗한 물을 이용하여 마지막 헹굼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2 세탁조의 감지된 세탁물의 양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제2 세탁조의 급수 물보다 제1 세탁조의 배수 물이 적을 경우, 제2 세탁조는 추가적으로 급수관을 통해 더 급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2 세탁조의 감지된 세탁물의 양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제2 세탁조의 급수 물보다 제1 세탁조의 배수 물이 많을 경우, 필요 이상의 나머지 제1 세탁조의 배수 물은 배수 펌프와 배수 호스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1 세탁조와 상기 제2 세탁조는 드럼식 세탁조이고, 제1 세탁조와 제2 세탁조는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트윈 세탁기는 세탁 시간을 줄이고 세탁 물을 절약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트윈 세탁기를 설명하는 제1 예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트윈 세탁기의 시차 세탁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트윈 세탁기를 설명하는 제2 예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트윈 세탁기를 설명하는 제3 예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트윈 세탁기를 설명하는 제1 예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트윈 세탁기(100)는 제1 세탁조(114)와 제2 세탁조(124)를 포함한다. 제1 세탁조(114)와 제2 세탁조(124)는 따로따로 세탁하거나 동시 세탁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세탁조(114)와 제2 세탁조(124)는 시차 세탁도 가능하다. 트윈 세탁기(100)는 따로따로 세탁, 동시 세탁 및 시차 세탁에 대한 세탁 모드를 제어하는 마이콤(105)을 더 포함한다. 마이콤(105)은 세탁 모드에 따라 제1 및 제2 세탁조(114, 124)의 급수, 배수, 탈수를 제어한다.
따로따로 세탁의 경우, 제1 세탁조(114) 또는 제2 세탁조(124) 어느 하나만이 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세탁조(114)의 세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세탁조(114)는 제1 구동부(110)에 의해 구동되는 제1 교반기(112)가 회전하면서 세탁을 진행한다. 제1 구동부(110)는 모터, 브이벨트, 회전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의 동력은 브이벨트를 통하여 제1 교반기(112)로 전달될 수 있다. 회전 센서는 제1 세탁조(114) 내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고, 압력 센서는 제1 세탁조(114)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세탁조(114)는 감지된 세탁물의 양에 따라 급수관(101)과 제1 급수밸브(116)를 통해 급수된다. 제1 세탁조(114)로 급수가 진행되면, 증가된 수압의 변화분에 의해 수위가 감지되어 제1 세탁조(114)의 급수량이 제어된다. 급수가 완료되면, 제1 세탁조(114)는 세탁을 개시하고, 세탁이 완료되면 헹굼과 배수, 탈수를 진행한다.
탈수시에는 제1 세탁조(114)가 회전하면서 탈수를 진행한다. 제1 배수밸브(118), 배수펌프(130) 그리고 배수호스(138)를 통하여 제1 세탁조(114)가 배수된다. 이 때, 배수범프(130)는 제1 세탁조(114)의 배수를 배수호스(138)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로따로 세탁의 경우, 제2 세탁조(124)의 세탁은 제2 구동부(120)에 의해 구동되는 제2 교반기(122)가 회전하면서 진행한다. 제2 구동부(120)는, 제1 구동부(110)와 동일하게, 모터, 브이벨트, 회전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의 동력은 브이벨트를 통하여 제2 교반기(122)로 전달될 수 있다. 회전 센서는 제2 세탁조(124) 내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고, 압력 센서는 제2 세탁조(124)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세탁조(124)는 감지된 세탁물의 양에 따라 급수관(101)과 제2 급수밸브(126)를 통해 급수된다. 제2세탁조(124)로 급수가 진행되면, 증가된 수압의 변화분에 의해 수위가 감지되어 제2 세탁조(124)의 급수량이 제어된다. 급수가 완료되면, 제2 세탁조(124)는 세탁을 개시하고, 세탁이 완료되면 헹굼과 배수, 탈수를 진행한다.
탈수시에는 제2 세탁조(124)가 회전하면서 탈수를 진행한다. 제2 배수밸브(128), 배수펌프(130) 그리고 배수호스(138)를 통하여 제2 세탁조(124)가 배수된다. 이 때, 배수범프(130)는 제2 세탁조(124)의 배수를 배수호스(138)로 전달하는 배수 기능을 갖는다.
동시 세탁의 경우, 제1 세탁조(114)와 제2 세탁조(124)는 동시에 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제1 세탁조(114)는 감지된 세탁물의 양에 따라 제1 급수밸브(116)를 통해 급수된다. 제1 세탁조(114)로 급수가 진행되면, 증가된 수압의 변화분에 의해 수위가 감지되어 제1 세탁조(114)의 급수량이 제어된다. 급수가 완료되면, 제1 세탁조(114)는 제1 구동부(110)에 의해 구동되는 제1 교반기(112)가 회전하면서 세탁을 진행한다. 세탁이 완료되면 헹굼과 탈수를 진행하고, 제1 세탁조(114)가 회전하면서 탈수를 진행한다. 제1 배수밸브(118), 배수펌프(130) 그리고 배수호스(138)를 통하여 제1 세탁조(114)가 배수된다.
제1 세탁조(114)의 세탁 중에, 제2 세탁조(124)는 감지된 세탁물의 양에 따라 제2 급수밸브(126)를 통해 급수된다. 제2 세탁조(124)로 급수가 진행되면, 증가된 수압의 변화분에 의해 수위가 감지되어 제2 세탁조(124)의 급수량이 제어된다. 급수가 완료되면, 제2 세탁조(124)는 제2 구동부(120)에 의해 구동되는 제2 교반기(122)가 회전하면서 세탁을 진행한다. 세탁이 완료되면 헹굼과 탈수를 진행하고, 제2 세탁조(124)가 회전하면서 탈수를 진행한다. 제2 배수밸브(128), 배수펌프(130) 그리고 배수호스(138)를 통하여 제2 세탁조(124)가 배수된다.
동시 세탁의 경우,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1 및 제2 세탁조들(114, 124)에 분리하여 동시에 세탁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세탁조(114)에는 흰색 계통의 세탁물을 세탁하고, 제2 세탁조(124)는 색깔이 있는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또는 제1 세탁조(114)에는 속옷을 세탁하고, 제2 세탁조(124)에는 겉옷을 세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물을 분리 세탁하여 위생적이다. 또한, 2번의 세탁을 동시에 1번으로 줄임에 따라, 세탁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시차 세탁의 경우, 제1 세탁조(114)와 제2 세탁조(124)는 시간 간격을 두고 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제1 세탁조(114)의 배수는 배수펌프(130)를 통하여 펌핑되어 내부 급수밸브(136)를 통해 제2 세탁조(124)로 급수될 수 있다. 내부 급수 밸브(136)는 제2 급수밸브(126)과 함께 시차 세탁시 제2 세탁조(124)의 급수를 담당하는 제2 세탁조(124)의 급수부(121)를 구성한다. 예컨대, 제1 세탁조(114)의 세탁물이 흰색 또는 속옷 계통인 경우, 제1 세탁조(114)의 배수는 제2 세탁조(124)의 급수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세탁조(124)의 세탁물은 유색 또는 더러운 빨래일 수 있다.
시차 세탁은 제1 세탁조(114)의 세탁 시작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제2 세탁조(124)의 세탁이 시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2 세탁조(124)의 세탁은 제1 세탁조(114)의 세탁 시작 후 1차 배수 시에 시작될 수 있다. 또는 제2 세탁조(124)의 세탁은 제1 세탁조(114)의 헹굼 시작 후 1차 배수 시에 시작될 수 있다. 이는 제1 세탁조(114)의 더러운 세탁물을 사용하지 않고 1차 헹굼시의 비교적 깨끗한 물을 제2 세탁조(124)의 세탁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예시적으로, 제1 세탁조(114)의 세탁과 제2 세탁조(124)의 세탁은 도 2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제2 세탁조(124)의 세탁이 제1 세탁조(114)의 세탁 시작 후 1차 배수 시에 시작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된다. 또한, 도 2에서 급수, 세탁, 헹굼, 배수 및 탈수에 소요되는 시간들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제1 세탁조(114)의 배수물을 제2 세탁조(124)의 세탁물로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을 지키는 범위 내에서 예시적으로 설정된다.
도 1과 연계하여 도 2를 참조하면, 제1 세탁조(114)의 세탁 시(210), 제1 급수밸브(116)를 통해 급수가 5분 정도 이루어지고(211), 세탁이 7분 정도 수행되고(212), 세탁 배수가 5분 정도 이루어진다(213). 제1 세탁조(114)의 배수 시 배수펌프(130)를 통하여 제1 세탁조(114)의 배수 물이 펌핑되어 내부 급수관(132)으로 전달된다(231). 이 때, 배수펌프(130)와 배수호스(138)의 연결은 차단된다.
배수펌프(130)의 펌핑 동작(231)에 의해, 제1 세탁조(114)의 세탁 배수 물이 제1 배수밸브(118), 배수펌프(130), 내부 급수관(132), 거름망(134) 그리고 내부 급수밸브(136)를 통하여 제2 세탁조(124)로 급수된다(241). 거름망(134)은 제1 세탁조(114)의 배수 물에 포함되어있는 찌꺼기를 걸러낸다. 제2 세탁조(124)의 급수(241)가 제1 세탁조(114)의 세탁 배수 시간인 5분 동안 이루어진다.
제1 세탁조(114)의 1차 탈수가 3분 정도 이루어진다(214). 이 때, 배수펌프(130)는 배수호스(138)와 연결되어, 제1 세탁조(114)의 탈수 물이 배수호스(138)를 통해 배수된다. 제1 세탁조(114)는 1차 탈수 후(214), 제1 헹굼을 위하여 제1 급수밸브(116)를 통해 1차 헹굼 급수가 5분 정도 이루어지고, 1차 헹굼 세탁이 7분 정도 이루어진다.
제2 세탁조(124)는 제1 세탁조(114)의 1차 탈수(3분)와 제1 헹굼 급수(5분)가 수행되는 8분 동안 세탁을 수행하고(242), 제1 세탁조(114)의 제1 행굼 세탁(7분)이 수행되는 동안 배수펌프(130)와 배수호스(138)를 통하여 배수(243)와 탈수(244)를 진행한다.
제1 세탁조(114)의 1차 헹굼 배수가 5분 정도 이루어진다(217). 제1 세탁조(114)의 1차 헹굼 배수 시, 배수펌프(130)를 통하여 제1 세탁조(114)의 배수 물이 펌핑되어 내부 급수관(132)으로 전달된다(232). 이 때, 배수펌프(130)와 배수호스(138)의 연결은 차단된다.
제1 세탁조(114)의 1차 헹굼 배수 물이 배수펌프(130), 내부 급수관(132), 거름망(134) 그리고 내부 급수밸브(136)를 통하여 제2 세탁조(124)로 급수된다(245). 제2 세탁조(124)의 급수(245)가 제1 세탁조(114)의 1차 헹굼 배수 시간인 5분 동안 이루어진다.
제1 세탁조(114)의 1차 헹굼 배수(217)에 이어 2차 탈수가 3분 정도 이루어진다(218). 이 때, 배수펌프(130)는 배수 호스(138)와 연결되어, 제1 세탁조(114)의 탈수 물이 배수호스(138)를 통해 배수된다. 제1 세탁조(114)는 2차 탈수 후(218), 제2 헹굼을 위하여 급수밸브(116)를 통해 2차 헹굼 급수가 5분 정도 이루어지고(219), 2차 헹굼 세탁이 7분 정도 이루어진다(220).
제2 세탁조(124)는 제1 세탁조(114)의 2차 탈수(3분, 218)와 제2 헹굼 급수(5분, 219)가 수행되는 8분 동안 세탁을 수행하고(246), 제1 세탁조(114)의 제2 행굼 세탁(7분, 220)이 수행되는 동안 배수펌프(130)와 배수호스(138)를 통하여 1차 헹굼 배수(247)와 1차 헹굼 탈수(248)를 진행한다.
제1 세탁조(114)의 2차 헹굼 배수가 5분 정도 이루어진다(221). 제1 세탁조(114)의 2차 헹굼 배수(221)는 배수펌프(130)와 배수호스(138)를 통하여 배수된다. 이 때, 제2 세탁조(124)는 2차 헹굼을 위하여 2차 헹굼 급수가 제2 급수 밸브(126)를 통해 5분 정도 급수된다(249). 이는 2차 헹굼을 마지막 헹굼이라 가정했을 때, 마지막 헹굼에서는 깨끗한 물을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제1 세탁조(114)의 2차 헹굼 배수(221)에 이어 3차 탈수가 3분 정도 이루어진 후(222), 제1 세탁조(114)의 세탁이 끝난다(223). 제2 세탁조(124)는 2차 헹굼 급수 후(249), 2차 헹굼 세탁이 8분 정도 이루어지고(250), 2차 헹굼 배수가 5분 정도 이루어지고(251), 2차 탈수가 3분 정도 이루어진 후(252) 세탁을 마친다(253).
상술한 시차 세탁의 경우, 제1 세탁조(114)의 배수물이 배수펌프(130)를 통해 제2 세탁조(124)로 급수될 때, 제2 세탁조(124)의 감지된 세탁물의 양에 따라 제1 세탁조(114)의 배수 물이 적을 경우 추가적으로 제2 급수밸브(126)를 통해 더 급수될 수 있다. 또는 제1 세탁조(114)의 배수 물이 많을 경우, 제2 세탁조(124)가 필요로 하는 제1 세탁조(114)의 배수 물이 배수펌프(130)를 통해 제2 세탁조(124)로 급수된 후, 나머지 제1 세탁조(114)의 배수 물은 배수 펌프(130)와 배수 호스(138)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트윈 세탁기를 설명하는 제2 예의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트윈 세탁기(300)는 트윈 드럼(314, 324)을 포함한다. 트윈 드럼(314, 324)은 그 내부에 터브(Tub, 312, 322)를 포함한다. 트윈 세탁기(300)는, 도 1의 트윈 세탁기(100)와 비교하여, 제1 및 제2 세탁조(114, 124) 대신에 트윈 드럼(314, 324)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거의 동일하다.
트윈 세탁기(300)는 따로따로 세탁, 동시 세탁 또는 시차 세탁이 가능하다. 트윈 세탁기(300)는 마이콤(305)을 통해 세탁 모드를 제어하고, 마이콤(305)은 세탁 모드에 따라 제1 및 제2 드럼(314, 324)의 급수, 배수, 탈수를 제어한다.
따로따로 세탁의 경우, 제1 드럼(314) 또는 제2 드럼(324) 어느 하나만이 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제1 드럼(314)은 감지된 세탁물의 양에 따라 급수관(301)과 제1 급수밸브(316)를 통해 급수된다. 제1 드럼(314)로 급수가 진행되면, 증가된 수압의 변화분에 의해 수위가 감지되어 제1 드럼(314)의 급수량이 제어된다. 급수가 완료되면, 제1 드럼(314)은 세탁을 개시하고, 세탁이 완료되면 헹굼과 배수, 탈수를 진행한다. 탈수시에는 제1 배수밸브(318), 배수펌프(330) 그리고 배수호스(338)를 통하여 제1 드럼(314)이 배수된다. 이 때, 배수범프(330)는 제1 드럼(314)의 배수를 배수호스(338)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로따로 세탁의 경우, 제2 드럼(324)은 감지된 세탁물의 양에 따라 급수관(301)과 제2 급수밸브(326)를 통해 급수된다. 제2 드럼(324)으로 급수가 진행되면, 증가된 수압의 변화분에 의해 수위가 감지되어 제2 드럼(324)의 급수량이 제어된다. 급수가 완료되면, 제2 드럼(324)은 세탁을 개시하고, 세탁이 완료되면 헹굼과 배수, 탈수를 진행한다. 탈수시에는 제2 배수밸브(328), 배수펌프(330) 그리고 배수호스(338)를 통하여 제2 드럼(324)이 배수된다. 이 때, 배수범프(330)는 제2 드럼(324)의 배수를 배수호스(338)로 전달하는 배수 기능을 갖는다.
동시 세탁의 경우, 제1 드럼(314)과 제2 드럼(124)은 동시에 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1 및 제2 드럼들(314, 324)에 분리하여 동시에 세탁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드럼(314)에는 흰색 계통의 세탁물을 세탁하고, 제2 드럼(324)는 색깔이 있는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또는 제1 드럼(314)에는 속옷을 세탁하고, 제2 드럼(324)에는 겉옷을 세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물을 분리 세탁하여 위생적이다. 또한, 2번의 세탁을 동시에 1번으로 줄임에 따라, 세탁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시차 세탁의 경우, 제1 드럼(314)과 제2 드럼(324)은 시간 간격을 두고 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제1 드럼(314)의 배수는 배수펌프(330)를 통하여 펌핑되어 내부 급수밸브(336)를 통해 제2 드럼(324)으로 급수될 수 있다. 급수부(321) 내 내부 급수 밸브(336)는 제2 급수밸브(326)과 함께 시차 세탁시 제2 드럼(324)의 급수를 담당한다. 예컨대, 제1 드럼(314)의 세탁물이 흰색 또는 속옷 계통인 경우, 제1 드럼(314)의 배수는 제2 드럼(324)의 급수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드럼(324)의 세탁물은 유색 또는 더러운 빨래일 수 있다.
시차 세탁의 경우, 배수펌프(330)의 펌핑 동작에 의해, 제1 드럼(314)의 세탁 배수 물이 제1 배수밸브(318), 배수펌프(330), 내부 급수관(332), 거름망(334) 그리고 내부 급수밸브(336)를 통하여 제2 드럼(324)으로 급수된다. 거름망(334)은 제1 드럼(314)의 배수 물에 포함되어있는 찌꺼기를 걸러낸다.
시차 세탁은 제1 드럼(314)의 세탁 시작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제2 드럼(324)의 세탁이 시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2 드럼(324)의 세탁은 제1 드럼(314)의 세탁 시작 후 1차 배수 시에 시작될 수 있다. 또는 제2 드럼(324)의 세탁은 제1 드럼(314)의 헹굼 시작 후 1차 배수 시에 시작될 수 있다. 이는 제1 드럼(314)의 더러운 세탁물을 사용하지 않고 1차 헹굼시의 비교적 깨끗한 물을 제2 드럼(324)의 세탁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를 설명하는 제3 예의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세탁기(400)는, 도 3의 세탁기(300)와 비교하여, 트윈 드럼(414, 424)이 수직으로 배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1 드럼(414)은 제2 드럼(424) 상에 배치되고, 제1 드럼(414)과 제2 드럼(424) 사이에 배수펌프(430), 거름망(434) 그리고 급수부(421)가 배치된다. 세탁기(400)의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도 3의 세탁기(300)와 거의 동일하다.
세탁기(400)는 마이콤(405)을 통해 따로따로 세탁, 동시 세탁 또는 시차 세탁의 세탁 모드를 제어한다. 마이콤(405)은 세탁 모드에 따라 제1 및 제2 드럼(414, 424)의 급수, 배수, 탈수를 제어한다.
따로따로 세탁의 경우, 제1 드럼(414) 또는 제2 드럼(424) 어느 하나만이 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제1 드럼(414)은 감지된 세탁물의 양에 따라 급수관(401)과 제1 급수밸브(416)를 통해 급수된다. 제1 드럼(414)로 급수가 진행되면, 증가된 수압의 변화분에 의해 수위가 감지되어 제1 드럼(414)의 급수량이 제어된다. 급수가 완료되면, 제1 드럼(414)은 세탁을 개시하고, 세탁이 완료되면 헹굼과 배수, 탈수를 진행한다. 탈수시에는 제1 배수밸브(418), 배수펌프(430) 그리고 배수호스(438)를 통하여 제1 드럼(414)이 배수된다. 이 때, 배수범프(430)는 제1 드럼(414)의 배수를 배수호스(438)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로따로 세탁의 경우, 제2 드럼(424)은 감지된 세탁물의 양에 따라 급수관(401)과 제2 급수밸브(426)를 통해 급수된다. 제2 드럼(424)으로 급수가 진행되면, 증가된 수압의 변화분에 의해 수위가 감지되어 제2 드럼(424)의 급수량이 제어된다. 급수가 완료되면, 제2 드럼(424)은 세탁을 개시하고, 세탁이 완료되면 헹굼과 배수, 탈수를 진행한다. 탈수시에는 제2 배수밸브(428), 배수펌프(430) 그리고 배수호스(438)를 통하여 제2 드럼(424)이 배수된다. 이 때, 배수범프(430)는 제2 드럼(424)의 배수를 배수호스(438)로 전달하는 배수 기능을 갖는다.
동시 세탁의 경우, 제1 드럼(414)과 제2 드럼(424)은 동시에 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1 및 제2 드럼들(414, 424)에 분리하여 동시에 세탁할 수 있다.
시차 세탁의 경우, 제1 드럼(414)과 제2 드럼(424)은 시간 간격을 두고 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제1 드럼(414)의 배수는 배수펌프(430)를 통하여 펌핑되어 급수부(421)의 내부 급수밸브(436)를 통해 제2 드럼(424)으로 급수될 수 있다.
시차 세탁의 경우, 배수펌프(430)의 펌핑 동작에 의해, 제1 드럼(414)의 세탁 배수 물이 제1 배수밸브(418), 배수펌프(430), 내부 급수관(432), 거름망(434) 그리고 내부 급수밸브(436)를 통하여 제2 드럼(424)으로 급수된다. 거름망(434)은 제1 드럼(414)의 배수 물에 포함되어있는 찌꺼기를 걸러낸다.
시차 세탁은 제1 드럼(414)의 세탁 시작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제2 드럼(424)의 세탁이 시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2 드럼(424)의 세탁은 제1 드럼(414)의 세탁 시작 후 1차 배수 시에 시작될 수 있다. 또는 제2 드럼(424)의 세탁은 제1 드럼(414)의 헹굼 시작 후 1차 배수 시에 시작될 수 있다. 이는 제1 드럼(414)의 더러운 세탁물을 사용하지 않고 1차 헹굼시의 비교적 깨끗한 물을 제2 드럼(424)의 세탁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제1 세탁조;
    제2 세탁조; 및
    상기 제1 세탁조의 배수 물을 상기 제2 세탁조의 급수 물로 제공하는 배수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탁조와 상기 제2 세탁조는 따로따로 세탁, 동시 세탁 그리고 시차 세탁 중 어느 하나의 세탁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윈 세탁기는
    상기 제1 세탁조의 배수 물에 포함된 찌꺼기를 거르는 거름망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배수펌프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제1 세탁조의 세탁물이 상기 거름망을 통과하여 상기 제2 세탁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탁조의 배수 물은 상기 제1 세탁조의 헹굼 시작 후의 배수 물이고, 상기 배수 물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세탁조의 세탁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탁조의 마지막 헹굼 시 상기 배수펌프의 동작이 차단되고,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깨끗한 물을 이용하여 상기 마지막 헹굼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탁조의 감지된 세탁물의 양에 따라 필요로 하는 상기 제2 세탁조의 급수 물보다 상기 제1 세탁조의 배수 물이 적을 경우, 상기 제2 세탁조는 추가적으로 급수관을 통해 더 급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탁조의 감지된 세탁물의 양에 따라 필요로 하는 상기 제2 세탁조의 급수 물보다 상기 제1 세탁조의 배수 물이 많을 경우, 필요 이상의 나머지 제1 세탁조의 배수 물은 상기 배수 펌프와 배수 호스를 통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세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탁조와 상기 제2 세탁조는 드럼식 세탁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탁조와 상기 제2 세탁조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세탁기.
KR1020120050626A 2012-05-14 2012-05-14 트윈 세탁기 KR20130127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626A KR20130127046A (ko) 2012-05-14 2012-05-14 트윈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626A KR20130127046A (ko) 2012-05-14 2012-05-14 트윈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046A true KR20130127046A (ko) 2013-11-22

Family

ID=4985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626A KR20130127046A (ko) 2012-05-14 2012-05-14 트윈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7046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0970A1 (zh) * 2014-12-12 2016-06-1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水重复利用的控制方法
CN105734895A (zh) * 2014-12-12 2016-07-0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水重复利用的控制方法
CN105734912A (zh) * 2014-12-12 2016-07-0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水重复利用的控制方法
CN105734894A (zh) * 2014-12-12 2016-07-0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的排水控制方法
WO2016137182A1 (en) * 2015-02-23 2016-09-01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6137180A1 (en) * 2015-02-23 2016-09-01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06319843A (zh) * 2015-07-09 2017-01-1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的排水控制方法
WO2017045611A1 (zh) * 2015-09-17 2017-03-2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的排水方法
KR20170098824A (ko) * 2014-12-12 2017-08-30 칭다오 하이어 드럼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다중세탁조 세탁기의 배수제어과정
WO2019205912A1 (zh) * 2018-04-24 2019-10-3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排水控制方法及多筒衣物处理装置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4912B (zh) * 2014-12-12 2019-02-0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水重复利用的控制方法
CN105734895B (zh) * 2014-12-12 2019-04-0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水重复利用的控制方法
KR20170098824A (ko) * 2014-12-12 2017-08-30 칭다오 하이어 드럼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다중세탁조 세탁기의 배수제어과정
CN105734894A (zh) * 2014-12-12 2016-07-0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的排水控制方法
CN105734895A (zh) * 2014-12-12 2016-07-0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水重复利用的控制方法
WO2016090970A1 (zh) * 2014-12-12 2016-06-1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水重复利用的控制方法
CN105734894B (zh) * 2014-12-12 2019-02-0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的排水控制方法
EP3231924A4 (en) * 2014-12-12 2018-07-18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Multi-drum washing machine drainage control method
KR20170095941A (ko) * 2014-12-12 2017-08-23 칭다오 하이어 드럼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멀티 드럼 세탁기의 세탁수 중복사용 제어방법
EP3231919A4 (en) * 2014-12-12 2018-01-10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Water reuse control method in multiple-drums washing machine
CN105734912A (zh) * 2014-12-12 2016-07-0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水重复利用的控制方法
US10711383B2 (en) 2014-12-12 2020-07-14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Water reuse control method of a multi-drum washing machine
WO2016137180A1 (en) * 2015-02-23 2016-09-01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6137182A1 (en) * 2015-02-23 2016-09-01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0385495B2 (en) 2015-02-23 2019-08-20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07257871B (zh) * 2015-02-23 2019-10-11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
US10544531B2 (en) 2015-02-23 2020-01-28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07257871A (zh) * 2015-02-23 2017-10-1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
CN106319843A (zh) * 2015-07-09 2017-01-1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的排水控制方法
CN106544828A (zh) * 2015-09-17 2017-03-2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的排水方法
WO2017045611A1 (zh) * 2015-09-17 2017-03-2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的排水方法
CN106544828B (zh) * 2015-09-17 2019-08-2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的排水方法
WO2019205912A1 (zh) * 2018-04-24 2019-10-3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排水控制方法及多筒衣物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7046A (ko) 트윈 세탁기
CN102137968B (zh) 滚筒洗衣机洗涤水循环装置和方法
KR20090054787A (ko) 세탁물 처리장치
EP3305960B1 (en) Control method for flocculatio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KR101328918B1 (ko) 세탁장치 및 그 운전방법
EP3351673B1 (en) Multi-drum washing machine water-draining method
KR20060111286A (ko) 헹굼제 투입장치를 갖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93643B1 (ko) 세탁기의 잔수배출 제어방법
JP2012170694A (ja) ドラム式洗濯機
US10723639B2 (en) Self-circulating flocculatio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KR101252175B1 (ko) 세탁기의 헹굼 방법
CN111676668B (zh) 衣物处理装置及其排水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3686334B1 (en) Integrated laundry washer-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3043048A (ja) 洗濯機
JP2016158745A (ja) 洗濯機
CN219218464U (zh) 洗衣机
JP3421647B2 (ja) 洗濯機
JP4007169B2 (ja) 洗濯機
KR100255848B1 (ko) 세탁기의 헹굼 제어 방법
KR101114328B1 (ko) 세탁기의 필터
KR20080073448A (ko) 알칼리수스팀 세탁을 위한 세탁기 제어방법 및 그 세탁기
KR200301976Y1 (ko) 세탁기
KR20090102023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6112090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2233689A (ja) 全自動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