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625A -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 - Google Patents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625A
KR20160102625A KR1020150024914A KR20150024914A KR20160102625A KR 20160102625 A KR20160102625 A KR 20160102625A KR 1020150024914 A KR1020150024914 A KR 1020150024914A KR 20150024914 A KR20150024914 A KR 20150024914A KR 20160102625 A KR20160102625 A KR 20160102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gait training
user
walk
ga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1571B1 (ko
Inventor
권순철
홍현화
김영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4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57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2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11Walking coordination of arms and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1Forc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6Leg for the lower le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로서, 사용자의 좌우측 발에 상응하는 한 쌍의 발판을 보행 궤적에 대응시켜 구동시키는 발판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보행 재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보행에 따라 상기 발판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보행 센싱 수단; 및 보행 훈련을 수행하는 가상 환경에 대응시켜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보행 훈련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상기 보행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보행 훈련의 수행시 상기 발판에 가해지는 상기 사용자의 힘에 따라 가상 환경에 대응되는 힘을 피드백하도록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햅틱(haptics) 기능으로 보행 훈련을 구현하는 보행 훈련 시뮬레이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재활 장치이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햅틱 기능을 부여하여 환자별 보행 상태에 따른 다양한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가상 현실을 통해 보행 재활 장치를 이용하는 환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보행 훈련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 {Training walk apparatus of providing virtual reality with haptics}
본 발명은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재활 장치의 이용시 상황별 가상 현실을 시현시키고 상기 가상 현실에 대응되는 상황 피드백을 햅틱 기능으로 부여하여 사용자에게 힘과 운동감을 느끼도록 함으로써 보행 훈련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방안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있어서 보행은 일상 생활에서 가장 기초적이면서 필수적인 동작이다. 보행 동작은 정상적인 신체를 가지고 있으면 누구나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걷는 것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지만, 보행 동작은 신경과 골격근이 총괄적으로 사용되는 아주 복잡한 과정이며, 한쪽 다리가 입각기의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다른 다리가 몸을 앞으로 전진시키는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동작이다. 또한 100여 개의 골격근이 상지와 하지의 여러 관절과 협응을 이루어야 가능한 복합적인 동작이며 호흡 작용이나 심장 박동 등 여러 신체 활동의 협응으로 이루어진다.
질병이나 사고로 인하여 신경 기능의 손상을 입거나 근육의 불균형 발달로 인하여 제대로 걷지 못하는 환자들에게 보행 훈련을 실시하는 것은 그 환자가 일상 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첫번째 관문이 된다.
보행 재활 훈련을 위한 다양한 보행 재활 장치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보행 훈련의 강도와 형태를 다양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보행 재활 장치들은 단편적이고 일률적인 보행 훈련만을 수행하는 장치들로서 환자 상태에 따른 보행 훈련의 강도와 형태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보행재활 장치에서 반복적인 보행 훈련만이 수행됨으로써 이를 이용하는 환자들은 쉽게 지루함을 느낄 수 있고 집중력이 떨어지게 되어 보행 훈련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129651호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6048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햅틱 기능을 부여하여 환자별 보행 상태에 따른 다양한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가상 현실을 통해 보행 재활 장치를 이용하는 환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보행 훈련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보행 재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일반적으로 보행 재활 장치들이 단편적이고 일률적인 보행 훈련만을 수행함으로써 환자 상태에 따른 보행 훈련의 강도와 형태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보행재활 장치에서 반복적인 보행 훈련만이 수행됨으로써 이를 이용하는 환자들은 쉽게 지루함을 느낄 수 있고 집중력이 떨어지게 되어 보행 훈련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는, 사용자의 좌우측 발에 상응하는 한 쌍의 발판을 보행 궤적에 대응시켜 구동시키는 발판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보행 재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보행에 따라 상기 발판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보행 센싱 수단; 및 보행 훈련을 수행하는 가상 환경에 대응시켜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보행 훈련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상기 보행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보행 훈련의 수행시 상기 발판에 가해지는 상기 사용자의 힘에 따라 가상 환경에 대응되는 힘을 피드백하도록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햅틱(haptics) 기능으로 보행 훈련을 구현하는 보행 훈련 시뮬레이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행 훈련 프로그램은, 보행 훈련을 수행하는 가상 환경에 대응되어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의 제어 정도에 대한 제어 기준값을 포함하며, 상기 보행 훈련 시뮬레이션 수단은, 보행 훈련을 수행하는 가상 환경별 상기 보행 훈련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훈련 프로그램 저장부; 및 상기 발판에 가해지는 상기 사용자의 힘을 측정한 측정값과 상기 제어 기준값에 기초하여 피드백할 제어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값에 따라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햅틱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보행 훈련 프로그램은, 상기 가상 환경에 대응되는 환경 영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행 훈련 프로그램에 포함된 환경 영상을 시현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행 훈련 시뮬레이션 수단은,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여 상기 환경 영상 상에 상기 가상 캐릭터의 동작을 시현시키는 그래픽 시뮬레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햅틱 제어부는 상기 제어값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 영상 상에서 상기 가상 캐릭터를 동작시키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그래픽 시뮬레이터에 제공하고, 상기 그래픽 시뮬레이터는 상기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 영상에 상기 가상 캐릭터의 동작을 렌더링하여 시현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햅틱 제어부는, 상기 제어값에 대응시켜 상기 발판을 회동 및 승하강하도록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행 센싱 수단은, 상기 발판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햅틱 기능을 부여하여 환자별 보행 상태에 따른 다양한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가상 현실을 통해 보행 재활 장치를 이용하는 환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보행 훈련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실제 환경에서의 동작 느낌을 가상 현실에서 느낄 수 있도록 사용자의 보행 동작과 힘에 따른 피드백을 통한 햅틱 기능을 부여하여 실제 환경과 동일한 동작과 힘으로 보행 훈련을 수행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훈련한 사용자는 보다 빠른 시간내에 현실 상황에 적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의 주요 구성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에서 발판 구동 수단이 동작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가상 현실의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보행재활 장치의 이용시 상황별 가상 현실을 시현시키고 상기 가상 현실에 대응되는 상황 피드백을 햅틱 기능으로 부여하여 사용자에게 힘과 운동감을 느끼도록 함으로써 보행 훈련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 재활 장치의 주된 구성은 종래 제시된 다양한 보행 재활 장치에 채용이 가능하며, 보행 재활 장치의 기본적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주된 구성에 대해서 먼저 살펴본 후 이를 채용하는 보행 재활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의 주요 구성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보행 재활 장치에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좌우측 발에 상응하는 한 쌍의 발판을 보행 궤적에 대응시켜 구동시키는 발판 구동 수단(200)이 구비되며, 발판에는 사용자의 보행에 따라 상기 발판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보행 센싱 수단(250)이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보행 센싱 수단(250)을 통해 사용자가 발판에 가하는 힘에 따라 발판 구동 수단(200)을 주어지는 환경 상황별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힘 피드백을 부여하여 환경 상황을 느낄 수 있는 햅틱 기능이 채용되는데, 이와 같은 햅틱 기능은 보행 훈련 시뮬레이션 수단(300)을 통해 구현된다.
보행 훈련 시뮬레이션 수단(300)은 기본적으로 훈련 프로그램 저장부(350)와 햅틱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훈련 프로그램 저장부(350)는 다양한 보행 훈련 프로그램을 저장하는데, 상기 보행 훈련 프로그램은 가상 환경에서 상황별로 보행 훈련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가령, 모래 위를 걸어가는 환경, 진흙 위를 걸어가는 환경, 물가를 걸어가는 환경, 경사를 오르거나 내려가는 환경 등 다양한 가상 환경에서의 보행 훈련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행 훈련 프로그램에는 각각의 가상 환경에 대응되어 발판 구동 수단(200)을 제어하는 정도에 대한 제어 기준값이 가상 환경별로 매칭되어 포함된다.
햅틱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보행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보행 훈련을 수행시에 발판에 가해지는 상기 사용자의 힘을 측정한 측정값을 보행 센싱 수단(250)으로부터 전달받고, 수행중인 보행 훈련 프로그램에 포함된 제어 기준값과 상기 측정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할 제어값을 산출하며, 상기 제어값에 따라 발판 구동 수단(2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발판 구동 수단(200)을 제어한다.
예를 들자면, 모래 위를 걸어가는 환경에 대한 보행 훈련 프로그램에는 발이 모래에 빠지는 듯한 느낌을 부여하기 위한 제어 기준값이 포함되는데, 가령 모래 환경에 대응되어 사용자가 보행시 발판이 동작하는 방향, 속도, 시간 등이 제어 기준값으로 설정되며, 사용자의 보행에 따라 발판에 가해지는 힘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어 기준값을 추종하는 제어값을 산출한다. 즉 사용자가 얼마의 힘을 전달하는지에 따라 주어진 환경 상황에서 얼마의 힘으로 피드백하는지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상기 제어값을 기초로 사용자의 힘에 대한 피드백으로 발판 구동 수단(200)을 통해 발판의 동작 방향, 동작 속도, 동작 시간 등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햅틱 제어부(310)는 주어진 환경 상황에서 보행 훈련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발판에 가하는 힘에 환경을 반영하는 피드백을 부여함으로써 햅틱 기능으로 보행 훈련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보행 장치에는 환경 상황을 시현시키는 디스플레이(150)가 설치되며, 보행 훈련 프로그램은 환경 상황에 대응되는 환경 영상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보행 훈련의 수행시에 해당 환경 환경을 디스플레이(150) 상에 시현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 보행 훈련 시뮬레이션 수단(300)은 그래픽 시뮬레이터(3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래픽 시뮬레이터(330)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150) 상에 시현되는 환경 영상 상에 상기 가상 캐릭터를 매핑하여 시현시킴으로써 보행 훈련에 대한 가상 현실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햅틱 제어부(310)는 사용자에 대한 피드백으로 산출된 제어값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 영상 상에서 상기 가상 캐릭터를 동작시키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그래픽 시뮬레이터(330)에 제공하고, 그래픽 시뮬레이터(330)는 상기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 영상에 상기 가상 캐릭터의 동작을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시현시킬 수도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시뮬레이션 수단(300)은 보행 재활 장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서는 보행 재활 장치 외부에서 보행 재활 장치의 내부 구성들과 연동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보행 훈련 시뮬레이션 수단(300)을 통해 실제 환경에서의 동작 느낌을 가상 현실에서 느낄 수 있도록 사용자의 보행 동작과 힘에 따른 피드백을 통한 햅틱 기능을 부여하여 실제 환경과 동일한 동작과 힘으로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보행 훈련 장치(100)는 본체(110) 상에 사용자의 좌우측 발에 상응하는 한 쌍의 발판(120)이 설치되어, 발판(120)이 보행 훈련자의 발을 지지하면서 보행 궤적에 대응하여 이동하게 되며, 사용자는 발판(120)에 올라서 보행 훈련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 2 상에서 본체(110) 내부 상에 위치되어 도시되지 않았으나 발판(120)을 보행 궤적에 대응시켜 구동시키는 발판 구동 수단(미도시)이 설치된다.
여기서, 발판(120)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데, 가령 발판(120)의 면이 발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안함을 느끼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발이 발판(120)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신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발을 고정시키는 밴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체(110) 상에는 지지부재(130)가 설치되는데, 자율적으로 보행하기 어려운 사용자가 보행 훈련 장치(100) 상에서 지지부재(130)를 통해 자신의 체중 일부를 지지하여 하중완화를 도우며, 지지부재(130)가 사용자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보행 훈련 장치(100)에서 이탈하여 낙상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도 1에서는 지지부재(130)가 사용자의 키높이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도 1 상의 지지부재(130)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는 사용자 신체를 잡아서 지지시키는 하네스 형태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110) 상에는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부(135)가 설치되어, 시트부(135)는 탑승한 사용자의 체중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자율적인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상태로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모하며, 사용자의 골반부가 부담하는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써 보행 훈련 시간을 증가시켜 보행할 수 있는 회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부(135)는 사용자의 키높이에 따라 설치 위치가 조절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위험 요소를 방지하면서 오랜 시간 보행 훈련을 수행하도록 도모하는 지지부재(130)와 시트부(13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고 또한 본체(110)에 결합되는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판 구동 수단이 제어되어 동작하기 위한 구성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에서 발판 구동 수단이 동작하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3의 (a)와 (b)는 발판 구동 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하는데, 발판 구동 수단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발판(120)이 설치되고 발판(120) 상에는 사용자가 보행 훈련을 수행하면서 발판(120)에 가하는 사용자의 힘을 측정하는 보행 센싱 수단(250)이 설치된다. 여기서 보행 센싱 수단(250)는 사용자의 보행에 따라 가해지는 힘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와 방식이 채용될 수 있는데, 간단하게는 보행 센싱 수단(250)이 발판(120) 상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보행으로 발판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을 통해 사용자의 힘을 산출할 수 있다. 가해지는 압력을 힘으로 변환하는 방식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발판(120)의 하면에는 발판 지지부(121)가 형성되고 발판 지지부(121)를 관통하여 모터(125)가 연결되며, 모터(125)의 구동을 제어하여 제어된 회전력이 발판 지지부(121)로 전달되어 발판(120)을 일정 각도 회전시킨다. 그리고 모터(125)가 설치된 커버(127) 하면에 실린더(129)가 연결되어 커버(127)를 승강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발판(120)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발판 구동 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데, 가령 상기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20)의 하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실린더(129a, 129b)가 연결되어 각각의 실린더(129a, 129b)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발판(120)을 승하강시키거나 사용자의 발이 닿는 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판 구동 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올라서는 발판(120)을 3차원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되며, 앞서 살펴본 햅틱 제어부(250)가 발판(120)에 가해지는 사용자 힘의 측정값과 환경 상황별 제어 기준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피드백할 제어값을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발판(120)을 제어함으로써 발판(120)의 3차원적 동작으로 햅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서 햅틱 기능을 가상현실에 결합하여 보행 훈련을 제공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가상 현실의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장치(100)에 대한 구성은 앞서 상기 도 2를 통해 살펴보았으므로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행 재활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선택된 보행 재활 프로그램에 포함된 환경 영상(410)이 디스플레이(150)에 시현되며,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가상 캐릭터(450)가 가상 현실로 디스플레이(150) 상에 시현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보행 재활 프로그램 상의 환경 상황에서 보행 훈련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사용자가 보행 훈련을 수행하면서 발판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상기 가상 현실에 대응되는 힘을 피드백하도록 발판 구동 수단이 제어되어 발판(120)이 동작하게 되며, 발판(120)의 동작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피드백 힘이 부여됨으로써 상기 사용자는 실제 환경 상황에서 보행 훈련을 수행하는 느낌을 받게 된다. 여기서 햅틱 기능으로 힘을 피드백하는 내용은 앞서 보행 훈련 시뮬레이션 수단을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제 환경에서의 동작 느낌을 가상 현실에서 느낄 수 있도록 사용자의 보행 동작과 힘에 따른 피드백을 통한 햅틱 기능을 부여하여 실제 환경과 동일한 동작과 힘으로 보행 훈련을 수행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훈련한 사용자는 보행 훈련의 효과가 향상되며 보다 빠른 시간내에 현실 상황에 적응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보행 재활 장치,
110 : 본체, 120 : 발판,
130 : 지지부재, 135 : 시트부,
150 : 디스플레이,
200 : 발판 구동수단,
250 : 보행 센싱 수단,
300 : 보행 훈련 시뮬레이션 수단,
310 : 햅틱 제어부, 330 : 그래픽 시뮬레이터,
350 : 훈련 프로그램 저장부.

Claims (6)

  1. 사용자의 좌우측 발에 상응하는 한 쌍의 발판을 보행 궤적에 대응시켜 구동시키는 발판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보행 재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보행에 따라 상기 발판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보행 센싱 수단; 및
    보행 훈련을 수행하는 가상 환경에 대응시켜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보행 훈련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상기 보행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보행 훈련의 수행시 상기 발판에 가해지는 상기 사용자의 힘에 따라 가상 환경에 대응되는 힘을 피드백하도록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햅틱(haptics) 기능으로 보행 훈련을 구현하는 보행 훈련 시뮬레이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재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훈련 프로그램은,
    보행 훈련을 수행하는 가상 환경에 대응되어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의 제어 정도에 대한 제어 기준값을 포함하며,
    상기 보행 훈련 시뮬레이션 수단은,
    보행 훈련을 수행하는 가상 환경별 상기 보행 훈련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훈련 프로그램 저장부; 및
    상기 발판에 가해지는 상기 사용자의 힘을 측정한 측정값과 상기 제어 기준값에 기초하여 피드백할 제어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값에 따라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햅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재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훈련 프로그램은,
    상기 가상 환경에 대응되는 환경 영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행 훈련 프로그램에 포함된 환경 영상을 시현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재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훈련 시뮬레이션 수단은,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여 상기 환경 영상 상에 상기 가상 캐릭터의 동작을 시현시키는 그래픽 시뮬레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햅틱 제어부는 상기 제어값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 영상 상에서 상기 가상 캐릭터를 동작시키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그래픽 시뮬레이터에 제공하고, 상기 그래픽 시뮬레이터는 상기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 영상에 상기 가상 캐릭터의 동작을 렌더링하여 시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재활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제어부는,
    상기 제어값에 대응시켜 상기 발판을 회동 및 승하강하도록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재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센싱 수단은,
    상기 발판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재활 장치.
KR1020150024914A 2015-02-23 2015-02-23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 KR102311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914A KR102311571B1 (ko) 2015-02-23 2015-02-23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914A KR102311571B1 (ko) 2015-02-23 2015-02-23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625A true KR20160102625A (ko) 2016-08-31
KR102311571B1 KR102311571B1 (ko) 2021-10-13

Family

ID=5687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914A KR102311571B1 (ko) 2015-02-23 2015-02-23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5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680A (ko) * 2017-12-13 2019-07-05 주식회사 웰젯 뇌졸증 환자의 보행 개선을 위한 재활 치료 시스템, 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기록 매체
CN109985368A (zh) * 2018-01-03 2019-07-09 上银科技股份有限公司 复健参与度评估方法及复健机
CN110337681A (zh) * 2017-03-01 2019-10-15 三菱电机株式会社 信息处理系统
CN114366550A (zh) * 2021-11-29 2022-04-19 厦门威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虚拟现实的脚部恢复智能化系统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264A (ko) * 2002-12-12 2004-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햅틱인터페이스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현실재활시스템 및 방법
KR20040072197A (ko) * 2003-02-10 2004-08-18 광주과학기술원 가상 걸음장치
KR100793392B1 (ko) * 2007-01-03 2008-01-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조기 재활훈련장치
KR20090107277A (ko) * 2008-04-08 2009-10-13 강현웅 햅틱기술을 적용한 맞춤형 재활운동장치
KR20110060486A (ko) 2009-11-30 2011-06-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보행 재활 장치
KR20110060487A (ko) * 2009-11-30 2011-06-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수동적 보행 재활 장치
JP4793746B2 (ja) * 2001-02-22 2011-10-12 株式会社セガ 歩行装置及び歩行装置制御方法
KR101180972B1 (ko) * 2008-09-01 2012-09-07 강성식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
KR20120129651A (ko) 2011-05-20 2012-11-2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투-벨트 트레드밀 및 이를 구비한 보행재활 훈련장치
KR20130095665A (ko) * 2012-02-20 2013-08-2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환자의 운동기능학적 특성 제어 기반 수중 트레드밀 플랫폼 재활훈련기기
KR20130112121A (ko) * 2012-04-03 2013-10-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진동을 이용한 회전 재활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3746B2 (ja) * 2001-02-22 2011-10-12 株式会社セガ 歩行装置及び歩行装置制御方法
KR20040051264A (ko) * 2002-12-12 2004-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햅틱인터페이스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현실재활시스템 및 방법
KR20040072197A (ko) * 2003-02-10 2004-08-18 광주과학기술원 가상 걸음장치
KR100793392B1 (ko) * 2007-01-03 2008-01-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조기 재활훈련장치
KR20090107277A (ko) * 2008-04-08 2009-10-13 강현웅 햅틱기술을 적용한 맞춤형 재활운동장치
KR101180972B1 (ko) * 2008-09-01 2012-09-07 강성식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
KR20110060486A (ko) 2009-11-30 2011-06-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보행 재활 장치
KR20110060487A (ko) * 2009-11-30 2011-06-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수동적 보행 재활 장치
KR20120129651A (ko) 2011-05-20 2012-11-2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투-벨트 트레드밀 및 이를 구비한 보행재활 훈련장치
KR20130095665A (ko) * 2012-02-20 2013-08-2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환자의 운동기능학적 특성 제어 기반 수중 트레드밀 플랫폼 재활훈련기기
KR20130112121A (ko) * 2012-04-03 2013-10-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진동을 이용한 회전 재활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7681A (zh) * 2017-03-01 2019-10-15 三菱电机株式会社 信息处理系统
KR20190078680A (ko) * 2017-12-13 2019-07-05 주식회사 웰젯 뇌졸증 환자의 보행 개선을 위한 재활 치료 시스템, 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기록 매체
CN109985368A (zh) * 2018-01-03 2019-07-09 上银科技股份有限公司 复健参与度评估方法及复健机
CN109985368B (zh) * 2018-01-03 2021-02-02 上银科技股份有限公司 复健参与度评估方法及复健机
CN114366550A (zh) * 2021-11-29 2022-04-19 厦门威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虚拟现实的脚部恢复智能化系统
CN114366550B (zh) * 2021-11-29 2023-11-14 厦门威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虚拟现实的脚部恢复智能化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571B1 (ko)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7809B1 (en) Human machine interface for lower extremity orthotics
US8790279B2 (en) Gait analysis system
JP5117726B2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並びにトレーニングのための方法及び器械
JP4270113B2 (ja) 揺動型運動装置
CN103153356B (zh) 用于人体外骨骼的人机界面
Boian et al. Haptic effects for virtual reality-based post-stroke rehabilitation
US8608623B2 (en) Leg rehabilitation system having game function
KR101694402B1 (ko) 투사 영상을 이용한 보행 재활 치료 보조 시스템 및 방법
CN102711929B (zh) 用于锻炼人体腿部的锻炼器材、用途及锻炼方法
KR100907425B1 (ko) 인체용 다리의 재활장치
KR20240052920A (ko)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20160102625A (ko)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
JP4608661B2 (ja) 立ち上がり訓練機
JP2014068659A (ja) 運動補助装置
JP2013013667A (ja) 運動能力検査装置
RU2646324C2 (ru) Способ погружения в виртуальную реальность, подвес и экзо-скелет, применяемые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20220058597A (ko) Kinoped 하지 능력 향상, 부상 방지 및 재활 시스템
US95725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pressure distribution
JP5263799B2 (ja) 体性感覚運動統合評価訓練システム
Salimi et al. Development of three versions of a wheelchair ergometer for curvilinear manual wheelchair propulsion using virtual reality
KR20130095513A (ko) 앉은 자세 훈련을 위한 정형용 기기
KR102474758B1 (ko) 가상현실 연동 복합지형 보행훈련 기능을 갖는 보행재활장치
JP4735951B2 (ja) 体性感覚運動統合評価訓練システム
JP2006239086A (ja) 歩行感覚生成装置
WO20201700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atient exercising in aquatic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