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035A - 재료처리장치, 및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 Google Patents

재료처리장치, 및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035A
KR20160102035A KR1020167019834A KR20167019834A KR20160102035A KR 20160102035 A KR20160102035 A KR 20160102035A KR 1020167019834 A KR1020167019834 A KR 1020167019834A KR 20167019834 A KR20167019834 A KR 20167019834A KR 20160102035 A KR20160102035 A KR 20160102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tainer
hole
space
separation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9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9789B1 (ko
Inventor
괴란 순트홀름
Original Assignee
마리캡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리캡 오이 filed Critical 마리캡 오이
Publication of KR20160102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1Fe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42Containers provided with, or connectable to, compa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9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from arrangements in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fuse filling means, e.g. air-locks
    • B65F1/105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fuse filling means, e.g. air-locks the filling means being pneumatic, e.g. using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0Devices for separating the materials from propellan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투입구(55)를 통하여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의 이송배관(100)으로부터 재료가 안내되어 들어오고 부분진공을 얻기 위한 수단이 연결되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과 연결되는 재료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쓰레기 용기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69)을 통하여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 내로 도입된 재료(w)에 작용하도록 배치된 가압기구/압축기구(70)와, 상기 재료 투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의 용기 공간(68)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벽(60)과, 상기 벽(60)에 배치 또는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600)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600)은 상기 투입구(55)를 통하여 공급되는 재료(w)의 이동 경로(P) 상의 상기 벽(60)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벽(60)이 용기 공간(68) 내의 재료 이동을 조절 또는 제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료처리장치, 및 쓰레기 용기/분리기구{APPARATUS FOR HANDLING MATERIAL, AND WASTE CONTAINER/SEPARATING DEVICE}
본 발명의 대상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장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또한 청구항 11의 전제부에 한정된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분진공 이송시스템과 같은 재료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쓰레기의 이송과 같은 쓰레기의 수집 및 이송에 관한 것이다.
압력 차이 또는 흡인에 의하여 배관 내에서 쓰레기를 이송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쓰레기는 이송 배관 내에서 흡인에 의하여 장거리 이송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압력 차이를 생성하기 위하여 부분 진공 장치가 사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이 장치에서 진공펌프 또는 이젝터 장치와 같은 부분 진공 생성기에 의하여 이송배관 내에 부분적인 진공이 생성된다. 이송 배관은 통상 적어도 하나의 밸브 수단을 포함하며, 이 밸브를 개폐함에 의하여 상기 이송배관 내로 도입되는 대체공기(replacement air)가 조절된다. 재료의 입력 끝단에서 쓰레기 슈트와 같은 투입지점이 시스템 내에서 사용되며, 상기 투입지점으로부터 쓰레기와 같은 재료가 시스템 내로 이송되고, 이 투입지점으로부터 배출밸브수단을 개방함에 의하여 이송대상재료가 이송배관 내로 이송된다. 상기 쓰레기의 이송은 공기 흐름에 의하여 생성되는 압력 차이에 의하여 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 흐름은 배관을 통하여 공기를 빨아들이는 것에 의하여 대개 발생한다. 쓰레기 백에 채워진 쓰레기 재료와 같은 재료가 투입지점으로부터 이송 배관 내로 이어서 분리기구로 이송되며, 이 분리기구에서 상기 쓰레기는 이송공기로부터 분리된다. 실린더-피스톤 조합체 상에 배치된 반송수단과 같은 반송수단이 상기 분리기구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반송수단에 의하여 쓰레기가 분리기구로부터 화물용기와 같은 쓰레기 용기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구성은 예컨대 사이클론 분리기 등의 별도의 분리기구, 이 분리기구와 별도의 쓰레기 용기를 포함하며, 이들은 쓰레기 스테이션을 위한 공간 조건에 설정한도가 없는 광범위한 시스템에 적합하다. 또한, 본 기술분야에서는 쓰레기 재료가 이송배관에서 직접 쓰레기 용기로 안내되는 구성도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쓰레기 용기는 동시에 분리기구로서도 기능한다. 이러한 구성은 주로 보다 작은 시스템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쓰레기 용기/분리기구는 종종 일종의 화물용기로서 배치된다. 본 기술분야에서는 이를 수평형 분리용기(horizontal separator containers)라 부른다. 쓰레기 용기와 분리기구의 종래기술의 조합체에서의 문제, 특히 수평형 분리용기에서의 문제는, 용기 공간에 재료의 일부 또는 특정 종류의 재료가 느슨하게 채워져 있어 공간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쓰레기 재료 또는 재생 가능한 재료는 많은 실시예에서 주머니나 자루(sack)에 넣어져 있으며, 이러한 재료는 이송공기를 따라 쓰레기 용기로 이동될 때 자주 깨어질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 이에 의하여 쓰레기가 쓰레기 용기 내에서 널리 흩뿌려질 수 있어 특히 위생적인 문제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압식 쓰레기이송시스템의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와 관련된 완전히 새로운 타입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및 가압기구의 조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가압기구에 의하여 재료가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용기 공간에 효율적으로 응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청구항 2~10에 서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용기/분리기구는, 청구항 11의 특징부에 기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용기/분리기구는 청구항 12~23에 서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많은 중요한 장점들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장점의 하나는 별도의 분리기구가 필요하지 않고, 대신 쓰레기 용기가 유효한 분리기구로서의 기능을 하며 동시에 재료가 그 용기 내에서 효율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 구성에 있어서, 따라서 재료는 쓰레기 용기 내로 직접 안내되고 그 안에서 압축될 수 있으며, 상기 쓰레기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화물용기 형태의 용기로 형성된다.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용기 공간에 벽을 배치하고, 상기 벽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벽의 구멍을 통한 용기 공간으로의 재료의 공급이 적어도 용기 충전의 시작단계에서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용기 공간이 상기 구멍 높이까지의 벽까지 채워졌을 때, 상기 벽은 공급된 재료 및/또는 용기 공간에서 압축된 재료가 되돌아가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공급 재료가 구멍을 통하여 더 이상 통과되지 않으면, 공급 재료는 가압작동영역으로 안내된다. 상기 구멍을 통하여 안내된 쓰레기 재료는 용기 공간 내에 이미 공급된 재료와 충돌하여, 그 속도가 효율적으로 정지되므로, 재료가 단단한 벽에 충돌하는 것보다 훨씬 부드럽게 멈춰진다. 이때 용기 내로 상당히 빠른 속도(예컨대 약 80km/h로)로 공급되는 재료도 손상되지 않게 잘 멈춰진다. 또한, 상기 구성은 소음 크기를 더 작게 그리고 소음을 더 부드럽게 함으로써 소음 문제를 약화시킨다. 상기 벽과,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벽 "뒤의" 용기 공간으로 공급한다는 구성이 조합되는 것에 의하여, 용기 공간에서의 재료 압축 및 컴팩트화, 즉 밀집화를 위한 효율적인 구성이 얻어진다. 상기 벽 뒤의 용기 공간이 채워지면, 가압에 의한 재료 압축이 시작된다. 이때 충전단계에서 가압에 의한 압축은 단지 필요할 때만 시작할 수 있고, 용기 충전의 시작단계에서 가압을 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하여 에너지가 절감된다. 상기 벽은 또한 압축된 재료가 가압기구를 지나서 용기 공간 뒤쪽으로 복귀 또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벽 부분은 따라서 압축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압축된 재료가 지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재료는 가압에 의하여 용기 공간 내로 효율적으로 밀집된다. 지지면을 가지는 이동가능부를 사용함에 의하여, 상기 벽 부분은 가압기구가 사용될 때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는 전보다 더 잘 용기부 내로 효율좋게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능부는 이동 가압 프레임과 같은 가압기구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가압기구는 여러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데, 이에 의하여 적용 장소에 따라 효율적인 압축거리와 그 외 다른 특성들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능부는 재료가 투입구를 통하여 용기 내로 안내되는 측 상에 구멍을 가지며, 이 구멍은 재료를 가압수단의 작동 범위 내로 효율적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가압기구의 가압력이 설정된 값에 이르렀을 때, 가압부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용기 공간으로부터 제거되며 이때 재료는 상기 가압부에 의하여 점유되었던 용기 공간으로 공급되어 이를 채울 수 있다. 이 경우 더 많은 재료가 상기 용기 공간에 넣어져 압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용기 공간 내로의 높은 도착속도에 관계 없이, 예컨대 주머니나 자루에 채워진 쓰레기 재료 또는 주머니에 채워진 재생 가능 재료의 저장을 용이하게 한다. 이에 의하여 용기 공간 내로 공급된 주머니 또는 자루에 채워진 재료의 예컨대 분류센터에서의 분류(sorting)가 가능하며, 이 분류센터로 용기가 비워진다. 상기 분류는 주머니 또는 주머니를 닫는 부재에 배치된 RFID 식별자 또는 다른 무선주파수 식별자 또는 광학 식별자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는 쉽게 비워질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용기 공간의 벽이 예컨대 힌지에 의하여 전방으로부터 멀어지게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상기 벽이 비움과정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1은 쓰레기용 공압식 이송시스템과 관련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순화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도 4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비어있는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은 제1위치에서의 도 7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9의 Ⅷ-Ⅷ선을 따라 취한, 제2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작동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2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취한 제2 작동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취한 제2 작동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4 작동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ⅩⅤ-ⅩⅤ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자세하게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의 일부에 대한 개략도로서, 재료 이송배관(100)과, 그 이송배관을 따라 적어도 하나, 통상은 많은 수의 투입지점(108)이 배치되어 있다. 투입지점(108)은 이송대상 재료, 특히 쓰레기 재료의 공급 스테이션이고, 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이송하고자 하는 가정용 쓰레기와 같은 쓰레기 재료 또는 재생 가능한 재료가 이송시스템으로 공급된다. 투입지점(108)은 또한 건물의 여러 층 상에 설치된 투입구로부터 공급되는 쓰레기가 도입되는 쓰레기 슈트일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투입지점(108)을 포함할 수 있고, 이 투입지점으로부터 이송대상재료가 이송배관(100,101A,101B,101C)으로 공급된다. 공급 스테이션에 연결되는 밸브수단(104)과 같은 차단수단을 개폐함에 의하여, 재료는 투입지점(108)으로부터 이송배관(1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투입지점(108)은 밸브 측에서 이송배관(100)에 연결되거나 혹은 이송배관으로 이어지는 투입파이프(103)와 연결된다. 이송배관은 통상 주 이송배관(100)을 포함하고, 이 주 이송배관에 복수의 분기 이송배관(101A,101B)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분기 이송배관으로 복수의 공급 스테이션(108)이 차례차례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지점(108)은 지표상에 배치된 투입지점(107)이다. 상기 투입지점(108)은 공급채널(106)을 거쳐 재료 성형기(105)에 연결되는데, 상기 성형기는 재료를 성형 및 압축하여 재료를 상기 공급채널보다 직경이 작은 이송배관(103,101A,101B,101C,100)의 크기에 부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또한 재료가 투입지점으로부터 직접 이송배관으로 이송되는, 재료 성형기가 사용되지 않는 타입의 재료 이송시스템에도 적합하다. 상기 이송배관은 지하를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의 실시예에셔ㅓ는, 상기 이송배관은 대체 공기덕트(replacement air duct:102)를 포함하며, 이 대체 공기덕트에 대체공기밸브(109)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필수 기구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이며, 본 발명에 따르면 이는 용기로 형성되는 재료 수집용기와 이송공기와 이송대상재료가 서로 분리되는 수단의 조합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는 예를 들어 이른바 수평형 분리용기와 같은 이동 가능한 용기/분리기구이다. 상기 이송배관(100)은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에서 이송대상재료가 이송공기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의 벽에 이송배관(100)이 장착될 수 있는 투입구(55)가 형성되며,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벽은 도면의 단부 벽(end wall:54)이고 또한 개폐 가능한 문(door)이다. 도 2에서 상기 이송배관(100)의 단부는 상기 투입구(55)에 장착, 즉 상기 투입구의 벽(55') 내에 장착된다. 결합수단(joint means)이 상기 이송배관(10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용기 벽의 투입구(55)에 있어서 칼라(collar)와 같은 대응 결합부가 상기 벽(5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과 대응 결합부가 이 경우 예컨대 스냅온 커플링(snap-on coupling)과 같은 결합수단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에는 결합부(56)가 형성되며, 이 결합부에 부분진공 공급원의 부분진공생성기(31)의 흡인측(suction side)으로부터 나온 파이프 또는 호스(hose:34)가 대응 결합부를 구비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공압식 쓰레기이송시스템의 상기 부분진공 공급원(30)은, 부분진공생성기(31)를 포함하며, 상기 부분진공생성기(31)는 구동기구(32)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부분진공생성기(31)는 예컨대 진공펌프, 팬 또는 부압을 생성하는 다른 수단일 수 있다. 상기 부분진공생성기(31)의 흡인측이 중간 통로(34)를 통하여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에 연결된다. 이 경우 재료 이송에 필요한 흡인/압력 차이가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의 용기부(68)에 생성되고, 상기 투입구(55)를 통하여 상기 이송배관(100,101A,101B,101C)에도 생성된다. 상기 부분진공생성기(31)와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 사이에는 여과기구(filtering device:35)가 있다. 상기 부분진공생성기(31)의 송풍측(blowing side) 상에는 배기덕트(33)가 위치한다. 상기 부분진공 생성원, 즉 부분진공 생성원의 부분진공생성기(31)는 그 흡인측이 중간통로(34)를 통하여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의 결합부(56)에 배치된 대응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는 도 2 내지 도 4에 더 자세하게 나타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구성에서는,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는, 베이스(52), 단부 벽(51), 상부 벽(53), 측벽(66,67) 및 제2 단부 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부 벽은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개페 가능한 문(54)이다. 상기 벽들(51,52,53,54,66,67)은 용기 공간(68)을 획정(劃定)한다. 상기 용기 공간(68)에 벽(60)이 배치되며, 상기 벽(60)이 수직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벽은 용기의 상부로부터 용기 바닥부를 향하여 일정 거리 연장된다.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벽(60)은 그 상부(61)에서 축(61') 주위로 상기 용기 상부벽(53)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벽(60)은 가로축(61')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다. 상기 벽(60)은 용기 공간(68)의 높이의 일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벽(60)의 바닥부(62)와 용기의 베이스(52) 사이 공간은 비어있다. 상기 벽(60)은 용기 높이방향으로 투입구(55)의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용기 길이방향으로 투입구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구멍(600)이 상기 벽(60)에 형성되는데, 상기 구멍은 벽(60)의 제1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연장되는, 즉 벽을 관통하는 구멍이다. 상기 구멍(600)은 투입구(55)를 통하여 쓰레기 용기/분리기구로 공급되는 재료(w)가 지나가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8 및 도 10에서 용기 공간(68)에서의 재료의 한 이동 경로(P)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때 공급되는 재료(w)는 투입구(55)를 통하여 던져져 상기 벽(60)의 구멍(600)을 통과하여 상기 벽(60) 이후의 용기 공간(68)의 부분으로 이동된다. 상기 구멍(600)을 지나는 재료의 투척은 용기 공간(68)이 채워질 때까지 가능하며, 상기 용기 공간(68)으로 공급되어 그 공간에 축적되는 재료(w)는 상기 구멍(600)의 지점까지 차오른다. 도 4,7,9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멍(600)은 둥근 형태였지만, 이 구멍은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3에서 상기 구멍의 폭은 그 높이보다 크다. 물론, 적용장소에 따라 상기 높이를 폭보다 크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벽(60)을 옆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벽 부분으로 형성하여 그 벽 부분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600)이 형성 또는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4에서, 상기 벽(60)의 측부 가장자리와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측벽(66,67) 사이에는 간격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은 그 상부 가장자리가 힌지로 결합된 플랩(flap)이다. 도 2 내지 도 4에 있어서 상기 벽(60)은 평판형이지만, 예컨대 오목판, 볼록판 또는 주름진(corrugated) 판의 다른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벽은 예컨대 스틸과 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 고무 재료 또는 이들 재료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사용 장소에 따라 다른 적절한 재료가 선택될 수도 있다.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는 적어도 하나의 흡인파이프(57)를 가지며, 상기 흡인파이프(57)는 상기 결합부(56)로부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내측 공간으로 연장된다.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흡인파이프(57)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용기 공간(68)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길이방향에 대한 용기의 수직 단면도(도 4)에서 상기 흡인파이프(57)는 상부 벽(53)과 측벽(66,67) 사이의 코너 영역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된다.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상기 쓰레기 용기는 두 개의 흡인파이프(57)를 포함하고 있다. 이 중에서 첫번째의 흡인파이프는 용기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도(도 4)에서 상부 벽(53)과 측벽(66) 사이의 코너 영역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된다. 두번째의 흡인파이프는 상부 벽(53)과 제2의 측벽(67) 사이의 코너 영역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된다. 상기 부분진공생성기의 흡인측으로부터의 연결, 즉 흡인이 상기 양 흡인파이프 또는 상기 흡인파이프 중 하나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흡인 강도 등 흡인을 변화시켜, 다른 흡인파이프(57) 사이에 있는 재료의 균등한 배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용기의 용기 공간에서의 흡인이 작용하는 위치 또는 그 흡인작용의 강도를 변경함에 의하여, 상기 투입구(55)로부터 용기공간(68)으로 유도되는 재료의 투입방향 및 용기 공간에서의 이동경로가 영향받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흡인구(58)가 상기 흡인파이프(57)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다.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는 흡인파이프(57)의 길이를 따라 복수의 흡인구(58)가 형성되며 이는 상기 흡인파이프(57)의 벽의 림(rim) 부분상에 배치된다.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촘촘한 그물망과 같은 벽 부분(59)이 상기 용기공간(68)에 배치되며, 이 벽 부분은 공기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적어도 큰 사이즈의 쓰레기 재료 입자가 상기 흡인구(58)를 통하여 상기 흡인파이프(57) 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상기 벽 부분(59)과, 상기 용기의 상부 벽(53)과, 두 개의 측벽(66,67) 중 하나의 측벽이 용기 길이방향으로 챔버 공간을 형성하고, 이 챔버 공간에 상기 흡인파이프(57)가 배치된다. 상기 부분진공생성기(31)의 흡인측이 중간통로(34)를 통하여 상기 흡인파이프(57)의 결합부(56)에 연결되면, 흡인구(58)을 통하여 흡인이 작용하고 이 흡인은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상기 벽(59)을 지나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용기 공간(68), 그리고 이어서 상기 투입구(55)를 경유하여 이송배관(100,101A,101B,101C)까지 작용한다.
가압기구(70)의 적어도 가압부(71)를 상기 용기 공간(68)으로 도입하기 위한 구멍(69)이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에 배치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상기 구멍(69)은 용기 공간내로 연장되는 칼라(69')를 구비한다.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가압기구용의 상기 구멍(69)은 투입구(55)가 형성된 벽과 같은 벽(54)에 또한 높이방향으로 상기 투입구(55)의 아래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치(hatch:91)가 배치되어 상기 구멍(69)을 덮으며, 이 해치는 가압기구(70)가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에 연결될 때는 상기 구멍(69)으로부터 이격된다.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상기 벽(54)의 문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98) 주위로 선회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문(54)은 도 3에 점선으로 개시된 것과 같이, 개방위치에서 회전하여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측벽(67) 외측에 지지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용기가 비워질 때의 문의 바람직한 위치이다.
도 5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가 비움위치에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는 용기 전방으로부터 재료를 비울 때 상기 저장 공간(68)에서 벽(60)이 그 상부 가장자리(61)의 힌지에 의해서 축(61')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재료의 비움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마찰 감소수단, 예컨대 본 도면에서는 롤러수단이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의 바닥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가압수단(71) 및 그 구동기구(72)를 포함하는, 가압기구/압축기구(70)가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에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다.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기구/압축기구(70)의 가압수단(71)은 적어도 두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71)은 이동하여 상기 용기부(68)의 쓰레기재료를 압축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은 이동하여 동시에 상기 재료(w)를 더 밀집하게, 즉 재료를 용기 공간(68) 내로 압축한다. 도 6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기구/압축기구(70)는 프레임(77)을 포함하고, 이 프레임 내에 상기 압축수단(71) 및 그 이동장치가 제1 위치, 즉 대기위치(standby position)에 있다. 상기 프레임(77)은 조인트 부품(80)을 포함하며, 이 조인트 부품은 대응 결합부, 통상적으로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의 구멍(69)의 칼라(69')에 장착되어 상기 조인트 부품(80)과 칼라(69')가 조인트를 형성한다. 도 6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상기 칼라(69')는 가압기구/압축기구(70)의 프레임(77)의 조인트 부품(80 주위에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77)은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지지 다리(78)에 의하여 지지되는 기계 베드(machine bed) 상에 배치된다. 가압수단이 이동되는 프레임(77) 내 공간으로부터 외측으로 매체 통로가 배치되고 이 통로부에는 블로우 밸브로 불리는 밸브수단(79)이 위치한다.
도 6 내지 도 14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6 내지 도 9에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의 이동과, 이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에 가압기구/압축기구(70)와 이송배관(100) 및 부분진공생성기의 통로(34)가 연결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는 가압/압축기 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압/압축기구(70)의 조인트 부품(80)과 상기 이송배관(100)의 단부 및 흡인통로(34)의 단부가 예컨대 지지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필요한 조인트를 형성하거나 형성되며,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의 대응 결합부인, 가압구(69), 투입구(55) 및 결합부(56)가 상기 조인트 부품(80), 이송배관(100) 단부 및 흡인통로(34) 단부와 접촉하도록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치(91)가 배치되어 상기 구멍(69)을 덮으며, 상기 가압기구(70)가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에 연결될 때, 상기 해치는 도 6 및 도 7의 위치로부터 도 8 및 도 9의 위치로 위로 이동하여 상기 구멍(69)으로부터 멀어진다.
도 6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기구의 이동 프레임으로서 기능하는 이동가능부(89)가 상기 가압기구/압축기구(70)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가능부는 내뻗어질 때에는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의 용기 공간(68)에 배치된 벽(60)의 바닥부(62) 부근에 위치하여, 필요하다면 상기 벽(60)이 축(61') 주위로 회전되어 투입구(55)측의 벽(54)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벽(60)을 지지한다. 상기 이동가능부(89)는 지지면(90)을 구비하여 이 지지면에 상기 벽(60)의 바닥부(62)가 기대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능부(89)는 구멍(92)을 구비하며, 이 구멍(92)은 이동가능부(89)가 제2 위치(도 10)로 이동되었을 때 투입구(55)측 상의 용기 공간으로 열려지게 된다. 가압수단이 도 10 및 도 13에 따른 위치에 있을 때,이 구멍(92)을 통하여 재료가 가압수단(71)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71)의 실제적인 가압운동 및 재료(w)의 압축은 도 13에 따라서, 즉 도 13의 위치로부터 도 11의 위치로 진행하면서 수행된다.
도 6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기구/압축기구(70)의 구동장치(72)는 이단의 배치로 이루어지는 바, 제1 구동기구(82,83)가 가압기구의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89)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배치되고, 제2 구동기구(87,88)와 이에 연결된 가압수단(71)이 제2 위치(도 10 및 도 13)에 있다.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수단(71)이 제2 구동기구(87,88)에 의하여 이동되어 도 11에 도시된 제3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도면에서 상기 제1 구동기구(82,83)는 실린더(82) 쪽의 제1 구동기구의 제1 단부(73)가 프레임(77) 구조물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 피스톤의 로드(83)쪽의 제2 단부(84)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기구(82,83)가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89)이 배치되는 결합부(85) 또는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89)의 일부인 결합부(85)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도면에서 상기 제2 구동기구(87,88)의 실린더부(87)의 제1 단부(86)는 상기 결합부(85)에 결합된다. 도면에서 상기 제2 구동기구(87,88)의 피스톤의 로드(88)쪽의 제2 단부(76)가 상기 가압수단(71)에 결합된다.
도 6 내지 14의 실시예에서 상기 재료가 벽(60)의 구멍(600)을 통하여 용기 공간으로 더 이상 갈 수 없게 되었을 때는, 상기 재료는 이동가능한 부분(89)의 구멍(92)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안내되어 용기 공간 내로의 이동 및 압축을 위한 상기 가압수단의 앞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긴 압축 스트로크와 용기공간(68)으로의 효율적인 재료(w) 압축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89)의 지지면(90)은 상기 벽(60)이 투입구(55) 쪽으로 의도하지 않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공간(68)에서의 쓰레기 압축을 강화시킨다. 가압수단(71)의 벽(81)은, 상기 가압수단이 도 11의 위치, 즉 압축위치에 있을 때, 구멍(92)을 통하여 재료가 통과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89)은 튜브형태이며, 이동가능한 부분(89)이 제2 위치, 즉 용기(68) 내로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89)은 분리공간(68')을 위한 바닥벽의 부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가정용 쓰레기와 같은 재료(w)가 투입지점(108)으로부터 배관(101A,101B,101C,100)으로 공급되고, 이 배관에서 흡인/압력 차이 및/또는 배관 내를 흐르는 이송공기의 도움으로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의 투입구(55)로 이송된다.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용기 공간이 비워질 때 또는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용기 공간(68)에 소량의 재료만이 있을 때, 상기 재료의 이동 경로(P)는 전형적으로 도 8 및 도 10에 점선으로 표시된 궤적을 따른다. 이 경우 상기 재료는 투입구(55)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던져져 상기 가로벽(60)의 구멍(600)을 지나서 상기 용기 공간(68)에 이미 존재하는 재료(w)와 부딪치거나 또는 용기의 벽(51)과 충돌하여 용기 공간(68)으로 떨어진다.
상기 재료는 따라서 예컨대 충돌 및 중력의 도움으로 더 무거운 재료(w)는 용기 바닥부로 이동하는 방식에 의하여 이송공기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의 상부에는 흡인파이프(57)가 배치되고, 이 흡인파이프에 부분진공생성기(31)의 흡인측이 연결된다. 상기 이송공기는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용기부(68)를 떠나 흡인파이프(57)로 향한다. 공기 통과가 가능한 상기 벽(59)은 적어도 더 큰 재료 입자가 상기 흡인파이프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 작은 입자들은 여과기구(35)(도 1)에서 걸러진다.
도 10 및 도 11에 따라 상기 재료는 용기 공간(68)으로 유도된다. 상기 용기 공간(68)의 벽(60) 뒤쪽 부분이 채워지면, 재료는 상기 벽(60)의 구멍(600)을 지나 실질적인 용기 공간으로 더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되고, 상기 벽(60) 또는 구멍(600)에 의하여 차단된 재료(w)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구멍(92)을 통하여 가압기구의 압축수단(71)의 앞으로 떨어지며, 상기 가압수단은 도 13에 도시된 제2 위치와 도 11에 의하여 도시된 제3 위치(압축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재료는 가압수단에 의하여 밀려져 용기 공간(68)에서 더 멀리 이동된다. 상기 가압수단에 의하여 상기 재료는 상기 벽(60) 하부로부터 용기 공간(68)에서 더 멀리 이동된다. 상기 가압수단(71)은 도 13의 제2 위치와 도 11의 제3 위치 사이에서 구동장치(72)에 의하여 왕복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양단 위치 사이 거리 중 일부만을 상기 가압수단(71)이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료가 용기 공간(68)에 충분히 수집되었을 때, 상기 가압수단(71)은 이를 예컨대 단부 벽(51)에 대하여 압축하여 더 밀집되도록 한다. 용기 공간에 배치된 상기 벽(60)은 압축된 재료(w)가 용기 공간(68)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게 용기 공간(68)의 벽(60)에 대하여 투입구(55) 쪽으로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용기 공간(68)의 이 부분은 부호 68'로 표시되어 있다. 이 부분은 용기의 분리된 부분으로 부를 수 있다. 이 공간은 용기 상부 벽(53)과, 공기 통과를 허용하는 벽(59), 단부 벽(54)(즉, 문)과, 그 공간에 배치된 벽(60)에 의하여 획정되고, 또한 하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압기구/압축기구(70)가 용기 공간으로 가압되었을 때의 상기 가압기구/압축기구(70)의 적어도 하나의 벽에 의하여 획정된다. 도 11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기구의 상기 공간(68')을 획정하는 벽은 가압수단의 상부 벽(81)이다.
상기 가압 압력이 상승하여 설정 한계에 이르렀을 때, 압축이 끝나고 상기 가압기구는 상기 용기 공간으로부터 빠져나와 도 14의 위치로 당겨지며, 이후 상기 용기 공간은 가압기구에 의하여 유지되고 또한 상기 용기의 투입구(55)와 벽(60) 사이 공간(68')도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지 용기 충전의 최종단계에서 가압이 필요한 장치를 구비함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용기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예컨대 도 14의 실시예와 같이 벽의 구멍(600)을 폭방향으로 크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재료 충전을 훨씬 더 효율적으로 할수 있고, 예컨대 흡인 강도 등 흡인을 변화시켜, 다른 흡인파이프(57) 사이에 있는 재료의 이동 경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용기의 가로방향에서의 용기 공간(68)에서 재료의 균등한 배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용기의 용기 공간에서의 부분진공 공급원의 흡인이 작용하는 위치 또는 그 흡인작용의 강도를 변경함에 의하여, 상기 투입구(55)로부터 용기공간(68)으로 유도되는 재료의 투입방향 및 용기 공간에서의 이동경로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따라서, 투입구(55)를 통하여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의 이송배관(100)으로부터 재료가 안내되어 들어오고 부분진공을 얻기 위한 수단이 연결되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과 연결되는 재료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쓰레기 용기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69)을 통하여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 내로 도입된 재료(w)에 작용하도록 배치된 가압기구/압축기구(70)와, 상기 재료 투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의 용기 공간(68)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벽(60)과, 상기 벽(60)에 배치 또는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600)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600)은 상기 투입구(55)를 통하여 공급되는 재료(w)의 이동 경로(P) 상의 상기 벽(60)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벽(60)이 용기 공간(68) 내의 재료 이동을 조절 또는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기구/압축기구의 가압수단(71)이 구동장치(72)에 의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용기 공간에서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기구/압축기구(70)의 가압수단(71)이, 그 가압수단(71)이 본질적으로 상기 용기 공간(68)내에 있지 않은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수단이 용기 공간(68) 내에서 적어도 상기 벽(60)의 지점까지 연장되는 위치인 제2 위치로 상기 용기 공간에서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지지위치에서 상기 벽(60)을 지지하는 지지면(90)을 포함하는 이동가능부(89)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60)은 그 상부(61)에서 가로축(61') 주위로 선회되거나 구부려질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60)은 적어도 지지면(90)에 의하여 상기 벽이 지지될 때, 재료(w)에 의하여 가해지는 하중(load)를 받도록 이루어져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기구/압축기구(70)용의 구멍(69)이 상기 투입구(55) 부근, 가장 적절하게는 그 아래의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의 벽(54)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기구/압축기구(70)는 이동가능부(89)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능부는 상기 벽(60)에 대한 지지면(90)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이동가능부는 구동장치(72)에 의하여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멍(92)이 상기 이동가능부(89)에 형성되고, 이 구멍을 통하여 상기 재료가 가압수단(71)의 작동범위 내로 안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60)은, 압축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재료(w)가 상기 용기 공간(68)으로부터 통과하는 것을 제한한다.
본 발명은 따라서 재료이송배관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입구와, 부분진공생성기와 연결하기 위한 수단, 및 가압기구/압축기구와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재료의 공압식 배관이송시스템용의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는, 상기 재료의 투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용기 공간(68)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벽(60)과, 상기 벽의 제1측으로부터 제2측으로 상기 벽(60)에 배치 또는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600)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600)은 상기 투입구(55)를 통하여 공급되는 재료(w)의 이동 경로(P) 상의 상기 벽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벽이 용기 공간(68) 내의 재료 이동을 조절 또는 제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60)은 용기 공간(68)의 높이의 일부까지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60)은 그 상부(61)에서 가로축(61') 주위로 선회되거나 구부려질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60)은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상부 벽(53) 상 또는 그 상부 벽 부근에 그 벽의 상부 부분(61)이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60)은 가압기구의 지지면(90) 또는 다른 지지면 상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의 바닥부(62)가 놓여지도록 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의 재료(w)가 비워질 때, 상기 벽(60)이 전방으로부터 선회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60)은 적어도 지지면(90)에 의하여 상기 벽이 지지될 때, 재료(w)에 의하여 가해지는 하중을 받도록 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60)는 용기 공간(68)의 상부에 배치되는 흡인파이프(57)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60)에 배치된 가압용 구멍(69)과 상기 투입구(55)는 서로 인접하게,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벽(54)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60)은, 압축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재료(w)가 상기 용기 공간(68)으로부터 통과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60)은, 복수의 벽 부분들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멍은 재료(w)의 여러 이동 경로(P)를 허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용기 공간으로의 재료의 투입방향은 예컨대 다른 흡인파이프 사이의 흡인 또는 흡인 강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는 화물용기타입의 용기이다.
통상 상기 재료는 주머니에 들어있는 쓰레기와 같은 쓰레기 재료이다. 쓰레기 슈트가 공압식 쓰레기이송시스템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장착될 수 있으며, 이 슈트에 의하여 쓰레기 재료가 쓰레기 방, 쓰레기 용기 또는 그에 상응하는 용기로 안내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다른 특징들과 결합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내에 개시된 특징들은, 필요하다면 서로 별개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3)

  1. 투입구(55)를 통하여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의 이송배관(100)으로부터 재료가 안내되어 들어오고 부분진공을 얻기 위한 수단이 연결되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과 연결되는 재료처리장치에 있어서,
    쓰레기 용기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69)을 통하여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 내로 도입된 재료(w)에 작용하도록 배치된 가압기구/압축기구(70)와,
    상기 재료 투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의 용기 공간(68)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벽(60)과,
    상기 벽(60)에 배치 또는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600)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600)은 상기 투입구(55)를 통하여 공급되는 재료(w)의 이동 경로(P) 상의 상기 벽(60)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벽(60)이 용기 공간(68) 내의 재료 이동을 조절 또는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기구/압축기구의 가압수단(71)이 구동장치(72)에 의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용기 공간에서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기구/압축기구(70)의 가압수단(71)이, 그 가압수단(71)이 본질적으로 상기 용기 공간(68)내에 있지 않은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수단이 용기 공간(68) 내에서 적어도 상기 벽(60)의 지점까지 연장되는 위치인 제2 위치로 상기 용기 공간에서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처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위치에서 상기 벽(60)을 지지하는 지지면(90)을 포함하는 이동가능부(8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처리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60)은 그 상부(61)에서 가로축(61') 주위로 선회되거나 구부려질 수 있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처리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60)은 적어도 지지면(90)에 의하여 상기 벽이 지지될 때, 재료(w)에 의하여 가해지는 하중(load)를 받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처리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기구/압축기구(70)용의 구멍(69)이 상기 투입구(55) 부근, 가장 적절하게는 그 아래의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의 벽(54)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처리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기구/압축기구(70)는 이동가능부(89)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능부는 상기 벽(60)에 대한 지지면(90)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이동가능부는 구동장치(72)에 의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처리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멍(92)이 상기 이동가능부(89)에 형성되고, 이 구멍을 통하여 상기 재료가 가압수단(71)의 작동범위 내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처리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60)은, 압축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재료(w)가 상기 용기 공간(68)으로부터 통과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처리장치.
  11. 재료이송배관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입구와, 부분진공생성기와 연결하기 위한 수단, 및 가압기구/압축기구와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재료의 공압식 배관이송시스템용의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재료의 투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용기 공간(68)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벽(60)과,
    상기 벽의 제1측으로부터 제2측으로 상기 벽(60)에 배치 또는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600)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600)은 상기 투입구(55)를 통하여 공급되는 재료(w)의 이동 경로(P) 상의 상기 벽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벽이 용기 공간(68) 내의 재료 이동을 조절 또는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벽(60)은 용기 공간(68)의 높이의 일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벽(60)은 그 상부(61)에서 가로축(61') 주위로 선회되거나 구부려질 수 있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60)은 쓰레기 용기/분리기구의 상부 벽(53) 상 또는 그 상부 벽 부근에 그 벽의 상부 부분(61)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60)은 가압기구의 지지면(90) 또는 다른 지지면 상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의 바닥부(62)가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50)의 재료(w)가 비워질 때, 상기 벽(60)이 전방으로부터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60)은 적어도 지지면(90)에 의하여 상기 벽이 지지될 때, 재료(w)에 의하여 가해지는 하중을 받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60)는 용기 공간(68)의 상부에 배치되는 흡인파이프(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60)에 배치된 가압용 구멍(69)과 상기 투입구(55)는 서로 인접하게,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벽(54)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60)은, 압축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재료(w)가 상기 용기 공간(68)으로부터 통과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21.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60)은, 복수의 벽 부분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22. 제1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이 재료(w)의 여러 이동 경로(P)를 허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23. 제1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용기/분리기구가 화물용기타입의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KR1020167019834A 2013-12-20 2014-12-02 재료처리장치, 및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KR102269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36310 2013-12-20
FI20136310A FI125196B (fi) 2013-12-20 2013-12-20 Laitteisto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ja jätesäiliö/-erotinlaite
PCT/FI2014/050940 WO2015092122A1 (en) 2013-12-20 2014-12-02 Apparatus for handling material, and waste container/separa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035A true KR20160102035A (ko) 2016-08-26
KR102269789B1 KR102269789B1 (ko) 2021-06-28

Family

ID=5340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834A KR102269789B1 (ko) 2013-12-20 2014-12-02 재료처리장치, 및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435239B2 (ko)
EP (1) EP3083453B1 (ko)
JP (1) JP6535332B2 (ko)
KR (1) KR102269789B1 (ko)
CN (1) CN105849011B (ko)
AU (1) AU2014369751B2 (ko)
CA (1) CA2933694C (ko)
ES (1) ES2955444T3 (ko)
FI (1) FI125196B (ko)
RU (1) RU2662286C1 (ko)
WO (1) WO20150921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4098B (fi) * 2012-09-04 2014-03-14 Maricap Oy Laitteisto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ja puristin-/ kompaktorilaite
ES1166233Y (es) * 2016-09-15 2016-12-27 Urban Refuse Dev Slu Aparato de recogida neumatica de residuos
CN110386387A (zh) * 2019-08-23 2019-10-29 重庆科技学院 负压式垃圾收集压缩箱、系统及方法
CN114405800B (zh) * 2021-12-29 2022-12-02 北京顺景园林股份有限公司 一种园林废弃物化料处理装置
WO2024008907A1 (en) * 2022-07-08 2024-01-11 Kongskilde Industries A/S A piston compa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10700A1 (de) * 1985-01-25 1986-09-25 Bernhard 8701 Röttingen Elsner Muellsortenfahrzeug
GB2241524A (en) * 1990-03-03 1991-09-04 Andrew Marc Edwards Refuse collecting apparatus
JPH07228304A (ja) * 1994-02-21 1995-08-29 Kyokuto Kaihatsu Kogyo Co Ltd 廃棄物処理方法およびその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62147A (ko) 1964-04-06
US4601631A (en) 1984-02-10 1986-07-22 Raaij K W M Van Unloading system for street sweeper
SU1558734A1 (ru) 1988-07-21 1990-04-23 Кубанский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й институт Куз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 перевозки измельченной массы
US5203669A (en) * 1991-04-25 1993-04-20 Waste Management Of North America, Inc. Garbage truck
FR2696364B1 (fr) 1992-10-05 1995-07-21 Belloir Guy Aspirateur, compacteur destines a reduire le volume des emballages en particulier des bouteilles plastiques.
US5226757A (en) 1992-11-04 1993-07-13 Tarrant John W Yard waste collection vehicle
GB9700335D0 (en) 1997-01-09 1997-02-26 Anglian Water Services Ltd Compacting and dewatering apparatus and method
NL1007093C2 (nl) * 1997-09-22 1999-03-23 Oosterhout Schenk Container, in het bijzonder afvalcontainer, voorzien van persmiddelen.
US6138557A (en) * 1999-02-23 2000-10-31 Marathon Equipment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length of a waste log and/or weight of waste log while compacting and transferring the waste log for transport
DK200000764A (da) 2000-05-09 2001-11-10 Andree Gothe Affaldscontainer med komprimeringsanordning
US7350459B2 (en) * 2005-01-12 2008-04-01 Grover Miller Foliage compactor
ES2306071T3 (es) * 2005-10-07 2008-11-01 Dulevo International S.P.A. Unidad de limpieza de calles y similares.
FI20085852L (fi) * 2008-09-10 2010-03-11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CN201456421U (zh) * 2009-07-31 2010-05-12 吉林金航专用汽车制造股份有限公司 提升式垃圾压缩机
FI122103B (fi) * 2010-03-12 2011-08-31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a jätteensiirtojärjestelmä
US8881341B2 (en) * 2011-05-20 2014-11-11 Federal Signal Debris collecting system
FI123410B (fi) 2011-09-14 2013-03-28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pneumaattisessa putkikuljetusjärjestelmässä
FI124098B (fi) 2012-09-04 2014-03-14 Maricap Oy Laitteisto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ja puristin-/ kompaktorilaite
US9533839B2 (en) * 2013-05-02 2017-01-03 Centurion Medical Products Corp. Material handl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10700A1 (de) * 1985-01-25 1986-09-25 Bernhard 8701 Röttingen Elsner Muellsortenfahrzeug
GB2241524A (en) * 1990-03-03 1991-09-04 Andrew Marc Edwards Refuse collecting apparatus
JPH07228304A (ja) * 1994-02-21 1995-08-29 Kyokuto Kaihatsu Kogyo Co Ltd 廃棄物処理方法およびその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62286C1 (ru) 2018-07-25
ES2955444T3 (es) 2023-12-01
EP3083453A4 (en) 2017-10-04
CN105849011B (zh) 2018-11-02
JP2016540709A (ja) 2016-12-28
EP3083453A1 (en) 2016-10-26
CA2933694A1 (en) 2015-06-25
EP3083453B1 (en) 2023-08-09
KR102269789B1 (ko) 2021-06-28
EP3083453C0 (en) 2023-08-09
RU2016125118A (ru) 2018-01-25
AU2014369751A1 (en) 2016-07-07
CA2933694C (en) 2022-08-16
FI125196B (fi) 2015-06-30
US10435239B2 (en) 2019-10-08
JP6535332B2 (ja) 2019-06-26
AU2014369751B2 (en) 2019-02-14
CN105849011A (zh) 2016-08-10
WO2015092122A1 (en) 2015-06-25
US20160311614A1 (en)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0942B2 (ja) 物質処理装置及び廃棄物コンテナー/分離装置
KR102242806B1 (ko) 폐기물을 공급 및 취급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KR20160102035A (ko) 재료처리장치, 및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EP2964547B1 (en)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s handling and a waste container/separating device
FI124108B (fi) Laitteisto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ja jätesäiliö/- erotinla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