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747A -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747A
KR20160100747A KR1020150023646A KR20150023646A KR20160100747A KR 20160100747 A KR20160100747 A KR 20160100747A KR 1020150023646 A KR1020150023646 A KR 1020150023646A KR 20150023646 A KR20150023646 A KR 20150023646A KR 20160100747 A KR20160100747 A KR 20160100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olid body
image sensor
lens assembly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768B1 (ko
Inventor
최용환
염승필
변호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3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768B1/ko
Priority to US15/044,811 priority patent/US10200578B2/en
Publication of KR2016010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 1 커버와, 전자 장치의 일면의 반대면을 형성하는 제 2 커버 및 제 1 커버 및 제 2 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적어도 일부 배치된 카메라 조립체를 포함하며, 카메라 조립체는, 이미지 센서와, 이미지 센서를 실장하고, 이미지 센서의 주변 둘레로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기판과, 이미지 센서에 인접하여 배치된 렌즈 조립체 및 렌즈 조립체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며,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홈과 돌출부 사이에는 고형체가 구비되어, 상기 측벽의 실장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CAMER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컨데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카메라 장치의 공정 시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다양한 컨텐츠를 접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휴대용 단말기, MP3 플레이어, PMP 등이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는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다기능화되고, 그 크기는 점점 소형화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 단말기는 그 휴대성으로 인해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따라 다기능화되고 있다. 또한, 최근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전화 기능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의 기능을 위한 멀티 컨버전스(convengence)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멀티 컨버전스로의 전개를 이끌어 가는 것 중의 하나로서 카메라 장치(Camera Device)를 가장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장치는 기존의 30만 화소(VGA급)에서 현재 고화소 중심으로 변화됨과 동시에 오토포커싱(AF), 광학 줌(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까지 구현되도록 발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장치(CCM: Compact Camera Module)는 소형으로써 카메라 폰이나 PDA, 스마트 폰을 비롯한 이동통신 기기와 토이 카메라(Toy Camera) 등의 다양한 IT 기기에 적용되고 있는바, 최근에 이르러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어 소형의 카메라 장치가 장착된 기기의 출시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카메라 장치는 고체촬상소자(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시모스 이미지 센서(CIS;CMOS Image Sensor)라고 불리는 반도체칩(이하, "이미지 센서"라고 한다)을 주요 부품으로 하여, 이미지 센서에서 집광된 사물의 이미지는 기기내의 메모리에 데이터로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기기내의 표시 패널등의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PCB) 또는 세라믹 기판과 같은 기판(이하 '인쇄회로기판'이라 통칭함.) 상에 장착되고, 이미지 센서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상에 렌즈를 구비한 렌즈 원통체를 결합하여 조립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와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카메라 장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의 하부 모듈과, 렌즈 조립체 모듈의 상부 모듈을 포함하고, 이들을 서로 별도로 공정한 후, 서로 결합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카메라 장치의 하부 모듈의 공정을 설명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의 하부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모듈의 조립 방식은 와이어 본딩 방식과, 플립 칩 본딩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 본딩 방식의 이미지 센서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다이 본딩과 같은 결합 방법을 통해 실장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와이어 등의 전기적 신호 라인을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를 인쇄회로기판에 본딩(이하 '와이어 본딩'이라 함.)하여 카메라 장치의 하부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플립 칩 방식의 이미지 센서 모듈은, 인쇄회로기판의 저면에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플립 칩을 이용하여 범프와 패드 간의 전기적 접속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의 상부 모듈의 공정을 설명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의 상부 모듈은 렌즈 조립체와, 커버글라스 또는 IR 필터(이하 'IR 필터'라 함.) 및 이들을 구비한 측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 모듈과, 렌즈 모듈을 구동시키며 렌즈의 자동 구동 또는 수동 구동 중의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이미지 보정을 구현하는 보정 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가 측벽에 실장되어 상부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 장치의 상부 모듈은 하부 모듈에 열경화 본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IR 필터는 측벽의 하부 또는 이미지 센서 모듈의 상부에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를 통해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모듈의 조립 후 이미지 센서의 광축을 맞추는 작업을 작업이 진행되며, 하부 모듈 상부에 상부 모듈이 조립된 후 렌즈 조립체와 이미지 센서 간의 광축을 맞추는 작업이 진행된다.
상기 이미지센서와 렌즈의 포커싱을 맞추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이미지센서와 렌즈가 일직선상에 위치된 상태로 광축이 맞아야 된다.
그러나, 하부 모듈의 경우 이미지 센서와 인쇄회로기판의 조립 공정 시 인쇄회로기판의 틀어짐이나, 표면의 불균형으로 인해 이미지 센서가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서 틀어진 상태로 실장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이미지 센서와 렌즈 모듈이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게 되어 광축이 틀어지게 된다.
이미지 센서가 틀어지는 경우, 유입되는 광축의 틀어짐을 맞출 수 없고, 이로 인한 카메라 장치의 생산성과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모듈 상에 상부 모듈이 조립되는 과정에서도 광축의 틀어짐이 발생될 수 있다. 즉, 렌즈 조립체를 구비한 측벽의 경우, 렌즈 조립체의 정렬이 완료된 후,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제를 통해 측벽과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서 측벽 내부에 실장된 렌즈 조립체의 실장 위치 또는 방향을 조정하는데, 이때, 측벽의 외측에서 렌즈 조립체의 실장 위치 또는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수 있도록 별도의 조정 부재가 필요하다.
또한, 렌즈 조립체를 측벽 내에서 조정하기 위해서는 렌즈 조립체와 측벽 사이에 공간이 필요하며, 이에 카메라 장치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다.
상기 언급한 카메라 장치의 조립 과정, 구체적으로 인쇄회로기판 상에 이미지 센서를 장착하는 공정 과정이나, 측벽에 렌즈 조립체를 장착하는 공정 과정 및 이미지 센서 모듈의 상부로 렌즈 조립체를 포함한 측벽을 장착 고정하는 과정에서 부품간의 치수 공차나 기구 정밀도의 결여 등에 의한 틸트(Tilt)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곧 해상도 불량으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고해상도 카메라 장치에서는 렌즈와 센서의 광축 정렬에 대해서 저해상도 대비 높은 수준을 요구하게 됨으로써, 고해상도로 갈수록 기구의 정밀도가 높아지며 이는 개발 및 양산 단가를 높이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고해상도 카메라 장치를 조립할 때 이미지 센서와 렌즈 조립체의 틸트를 최소화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른 개발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카메라 장치의 틸트 보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의 제안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인쇄회로기판의 표면 불균형에 따라 이미지 센서의 틀어짐이나, 측벽과 렌즈 조립체의 공정과정에서 렌즈 조립체의 틀어짐이 발생하여도, 이들간의 조립 시 하부 모듈과 상부 모듈 간의 틸트를 보정하여 광축을 일치시킬 수 있는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제2모듈 상에 별도의 렌즈 조립체를 구비한 제3모듈이 안착되는 경우, 제3모듈의 틸트에 따라 제3모듈을 제2모듈의 광축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될 수 있도록 보정하는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 1 커버; 상기 전자 장치의 일면의 반대면을 형성하는 제 2 커버; 및 상기 제 1 커버 및 제 2 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적어도 일부 배치된 카메라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조립체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의 주변 둘레로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이미지 센서의 수광 면(light-receiving surface)에 인접하여 배치된 렌즈 조립체; 상기 렌즈 조립체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며,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측벽; 및 상기 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고형체(solid body)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 1 커버; 상기 전자 장치의 일면의 반대면을 형성하는 제 2 커버; 및 상기 제 1 커버 및 제 2 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적어도 일부 배치된 카메라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조립체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장착된 기판; 상기 이미지 센서의 수광 면(light-receiving surface)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렌즈 조립체; 상기 제 1 렌즈 조립체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며, 상부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제 1 측벽; 상기 제 1 렌즈 조립체의 수광면 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2 렌즈 조립체; 상기 제 2 렌즈 조립체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며,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제 2 측벽; 및 상기 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고형체(solid body)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이미지 센서를 장착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주변 둘레로 적어도 하나의 홈을 구비한 기판; 상기 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수광 면(light-receiving surface)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렌즈 조립체를 실장하고, 상기 홈에 안착 고정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측벽; 및 상기 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돌기부 사이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고형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형체는 상기 렌즈 조립체의 주변에 실장되는 측벽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하는 고형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이미지 센서를 장착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주변 둘레로 적어도 하나의 홈을 구비한 기판; 상기 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수광 면(light-receiving surface)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렌즈 조립체를 실장하며, 상부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홈을 표함하는 제1측벽; 및 상기 제1렌즈 조립체의 수광면 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렌즈 조립체; 상기 제2렌즈 조립체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며,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제2측벽; 및 상기 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돌기부 사이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고형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는, 이미지 센서가 기판 상에서 틸트된 상태로 적층되어도, 이에 따라 렌즈 조립체를 이미지 센서의 광축방향과 일치되도록 보정할 수 있어, 하부 모듈의 틸트가 발생하여도 하부 모듈과 상부 모듈 사이의 광축을 일치시켜 양품화 가능한 카메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는 측벽이 이미지 센서 모듈의 상부로 고정될 때, 광축이 일치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어, 이로 인한 생산성 향상 및 작업 과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카메라 장치의 공정 상의 틸트에 따른 신뢰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는, 제2모듈 상에 틀어진 광축을 구비한 제2렌즈 조립체를 구비한 제3모듈이 실장될 때, 제3모듈의 틀어진 광축을 보정할 수 있을 만큼 제3모듈을 제2모듈에서 기울어지게 안착하여 제1,2모듈의 광축과 동축을 가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의 고형체에 의한 광축 보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고형체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제1모듈이 틀어진 상태에서 보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제2모듈이 틀어진 상태에서 보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틸팅 검출 및 이에 따른 광축 보정을 나타내는 조립 공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 및 이의 보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단말,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장치, 게임기, TV,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포켓 사이즈의 휴대용 통신 단말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신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앞서 설명한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와 연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서버 등의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또는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이동 또는 셀룰러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소지역 통신망(Small Area Network: SAN) 등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를 구비한 전자 장치(1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를 구비한 전자 장치(10)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전자 장치(10)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1커버(11)와, 상기 전자 장치(10)의 일면의 반대면을 형성하며 제1커버(11)에 결합되는 제2커버(12) 및 카메라 조립체(이하 '카메라 장치(100)'라고 함.)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커버(12)를 커버하는 배터리 커버(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커버(11)는 전자 장치(10)의 전면을 형성하고, 입력 및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실장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제2커버(12)는 전자 장치(10)의 일면의 후면을 형성하고, 배터리 실장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제1커버(11)와 제2커버(12)는 반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제1커버(11)와 제2커버(12) 사이의 공간에는 지지프레임이나 다양한 모듈,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100)에서부터 안테나 장치, 스피커 장치 등이 실장될 수 있고,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메인 회로기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0)는 제1커버(11)와 제2커버(12)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적어도 일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100)는 제1커버(11) 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도 1에서 100a로 지시된 카메라 장치), 제2커버(12) 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1에서 100b로 지시된 카메라 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는 제2커버(12) 측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100)는 제1커버(11) 측으로 노출되게 실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는, 하부 모듈(이하 '제1모듈(Ⅰ)'이라고 함.)과, 상기 제1모듈(Ⅰ)과 별개로 조립되어 상기 제1모듈(Ⅰ)의 상부에 실장 고정되는 상부 모듈(이하 '제2모듈(Ⅱ)'이라고 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모듈(Ⅰ)과 제2모듈(Ⅱ)의 광축을 정렬하는 고형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Ⅰ)은 금속 플레이트(116)(metal plate)와 인쇄회로기판(115)(print circuit board)을 포함하는 기판(110)과, 상기 기판(110) 상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모듈(Ⅱ)은 상기 제1모듈(Ⅰ) 상측에 실장되어 조립되는 구성물이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들이 적층되는 렌즈 조립체(101)와, 렌즈 조립체(101)를 실장하고 상술한 제1모듈(Ⅰ) 상측, 구체적으로는 기판(110)에 안착 고정되는 측벽(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형체(150)는 제1모듈(Ⅰ)과 제2모듈(Ⅱ) 사이에 구비되어 제2모듈(Ⅱ)을 제1모듈(Ⅰ)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안착되게 함으로써, 제1모듈(Ⅰ)의 광축과 제2모듈(Ⅱ)의 광축을 일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2모듈(Ⅱ) 상으로 렌즈 조립체(101)와 별도의 렌즈 조립체(102)를 구비한 제3모듈(Ⅲ)이 제2모듈(Ⅱ) 상에 구비될 수도 있고, 고형체(150)는 제3모듈(Ⅲ)이 제2모듈(Ⅱ)의 광축 방향에서 틀어짐을 보정하기 위해 구비될 수 도 있다(도 11 참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11의 설명시 구체적으로 기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형체(150)는, 이미지 센서(120)가 기판(110)에서 틸팅되어 제1모듈(Ⅰ)의 광축 방향이 틀어지게 조립되는 경우, 제2모듈(Ⅱ)을 제1모듈(Ⅰ)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안착시켜, 틀어진 광축을 가지는 제1모듈(Ⅰ) 상에 조립되는 제2모듈(Ⅱ)의 광축을 제1모듈(Ⅰ)의 광축 방향에 일치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형체(150)는, 렌즈 조립체(101)가 측벽(130)의 내측에서 틸트되어 제1모듈(Ⅰ)의 광축 방향이 틀어지게 조립되는 경우, 제2모듈(Ⅱ)을 제1모듈(Ⅰ)에 서로 다른 높이로 안착시켜, 제2모듈(Ⅱ)의 광축을 제1모듈(Ⅰ)의 광축 방향에 일치되게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형체(150)는, 제3모듈(Ⅲ)에 실장되는 렌즈 조립체(102)가 조립과정에서 측벽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조립되었을 때, 제3모듈을 제2모듈에 서로 다른 높이로 안착시켜 제3모듈의 렌즈 조립체의 광축을 제2모듈에 실장되는 렌즈 조립체의 광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되게 구비할 수 있다(도 11참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고형체(150)는 상기의 여러 가지 카메라 장치(100)의 조립 시 발생되는 틸트를 보정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카메라 장치(100)의 조립 시 발생되는 틸트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120)가 기판(110)에서 틸트된 상태로 실장되고, 렌즈 조립체(101)가 측벽(130)의 내측에 틸트된 상태로 실장되어 카메라 장치(100)의 광축이 서로 일치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형체(150)는 홈(111)의 바닥면에서 그 높이를 각각 달리하여 제1모듈(Ⅰ)의 광축과 제2모듈(Ⅱ)의 광축을 일치되도록 조립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모듈(Ⅰ)은 기판(110)과, 상기 기판(110) 상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0)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이미지 센서(120)에서 수광되는 광을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상보성 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 Complet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센서 또는 전하 결합 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센서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120)는 이미지 센서(120)의 주변 둘레에 위치된 기판의 표면에 플립 칩 방식 또는 와이어 본딩 방식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은 이미지 센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서(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지털 처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기판(110) 일측에는 인쇄회로기판(115)에서 연장되는 연결회로기판이 구비되어, 카메라 장치(100)가 실장되는 전자 장치(10)의 메인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기판(110)의 주변 둘레에는 후술하는 측벽(130)의 돌출부(130a)가 안착되는 홈(1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홈(111)은 기판(110)의 표면에 서로 이웃하게 이격된 제1홈과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홈은 제1홈의 일측, 타측 및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홈(111)은 4개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후술하나 홈(111)에 안착되는 돌출부(130a)도 제1홈에 삽입되는 제1돌출부와, 제1돌출부와 이웃하게 이격되며, 제2홈에 삽입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111)이 4개가 구비됨에 따라 돌출부(130a)도 각각의 홈(111)에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도록 4개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고형체(150)도 제1홈과 제2돌기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1고형체와 제2홈과 제2돌기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고형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고형체와 제2고형체는 서로 크기를 달리 할 수 있다. 또한, 제1홈에 안착되는 제1고형체의 수(이하 '제1수'라 함.)와 제2홈에 안착되는 제2고형체의 수(이하 '제2수'라 함.)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기판(110)의 표면에 복수개의 홈(111)이 형성될 때, 적어도 하나의 홈(111)에는 고형체(150)가 구비되고, 나머지 홈(111)에는 고형체(15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홈(111)에 고형체(150)가 구비될 때, 각각의 홈(111)에 구비된 고형체(150)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와 같이 기판(110)의 표면에 4개의 홈(111)이 구비되는 경우, 4개의 홈(111) 중 하나의 홈(111)에만 고형체(150)가 구비되고, 나머지 세개의 홈(111)에는 고형체(15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고, 4개의 홈(111) 중 두 개 또는 세 개의 홈(111)에는 고형체(150)가 구비되고 나머지 홈(111)에는 고형체(15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4개의 홈(111) 모두에 고형체(15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4개의 홈(111) 중 3개의 홈(111)에 고형체(150)가 구비되는 경우, 3개의 홈(111)에 구비된 각각의 고형체(150)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홈(111)의 적어도 일부에 고형체(150)가 구비되거나, 홈(111)에 구비되는 고형체(150)의 크기를 달리는 것은, 이미지 센서(120)가 기판(110)에서 틸팅되어 광축 방향의 틀어짐 정도나, 렌즈 조립체(101)가 측벽(130)에서 틸팅되어 광축 방향의 틀어짐 정도 등에 따라 또는 후술하는 제3모듈(Ⅲ)의 렌즈 조립체(102)의 틀어짐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도 5의 (a)와 같이 기판(100)은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는 달리 도 5의 (b)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15)과 금속 플레이트(1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10)이 인쇄회로기판만 포함하는 경우, 이미지 센서(120)는 인쇄회로기판의 실질적으로 중앙 부분에 실장될 수 있고, 홈(111)은 이미지 센서(120)의 주변 둘레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홈(111)은 인쇄회로기판(110)의 표면에서 내측으로 인입되게 됨에 따라 고형체(150)는 홈(111)의 내측에 분포될 수 있다.
기판(110)이 인쇄회로기판(115)과 금속 플레이트(116)로 이루어진 경우, 금속 플레이트(116)는 제1커버(11)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서(120)와 측벽(130)의 단부가 실장되는 일면이 일정한 평탄도(flatness)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116)의 일면에는 인쇄회로기판(115)이 실장되어, 인쇄회로기판(115)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116)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인쇄회로기판(115)을 보강 지지하면서 평탄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금속 플레이트(116)는 금속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쇄회로기판(115)을 보강 지지하면서 평탄도를 가질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플레이트 또는 에폭시 플레이트(Epoxy Pla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15)은 금속 플레이트(116) 상부에 안착되며, 인쇄회로기판(115)의 실질적으로 중앙 부분에는 이미지 센서(120)를 금속 플레이트(116) 표면에 실장하기 위해 관통 형성된 센서 장착 개구(111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홈(111)은 센서 장착 개구(111a)의 주변 둘레를 따라 바깥쪽에 구비되며, 인쇄회로기판(115)의 상, 하면이 관통되도록 오프셋(off-set)된다. 측벽(130)의 돌출부(130a)가 홈(111)을 관통하여 홈(111)의 바닥면 즉, 홈(111)로 인해 노출된 금속 플레이트(120)의 표면에 안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높이 조절 부재(150)는 홈(111)의 바닥면 즉 홈(111)의 내측에 금속 플레이트(130)의 표면에서 소정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분포될 수 있다.
이하에서 기판(110)은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판(110)이 인쇄회로기판(115)과, 이를 지지하는 금속 플레이트(116)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설명되는 기판(110)은 단층의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판(110)은 절연층에 접속 패드를 포함하는 기판들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기판(110)은 세라믹 기판, 금속 기판, 가용성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기판(110)에는 이미지 센서(120)를 통해 변환된 영상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부품(미도시)이 실장될 수 있다.
2모듈(Ⅱ)은 측벽(130)과, 렌즈 조립체(10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130)은 렌즈 조립체(101) 및 이미지 센서(1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측벽(130)은 상, 하부가 개방된 4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측벽(130)의 바닥면에 돌출된 돌출부(130a)는 4개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돌출부(130a)의 개수는 측벽(130)을 기판(110)에 안착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벽(130)은 제1몸체(131)와 제2몸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131)는 그 내측으로 상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 조립체(101)와 구동부재 등이 구비될 수 있고,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광이 렌즈 조립체(101)를 통해 유입되어 이미지 센서(120)로 수광되도록 한다.
제2몸체(132)는 제1몸체(131)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제1몸체(131)의 강성을 증가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몸체(131)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조립될 수 있고, 제2몸체(132)는 금속 재질을 제1몸체(131)에 이중 사출하거나, 제1몸체(131)에 가압하여 조립될 수 있다.
돌출부(130a)는 측벽(130)의 단부, 구체적으로 제1몸체(131)의 바닥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돌출부(130a)는 제2몸체(132)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제1몸체(131) 및 제2몸체(132)에서 함께 돌출 형성될 수 도 있는 등 얼마든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돌출부(130a)는 제1홈과 제2홈에 각각 맞물릴 수 있도록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홈은 제1홈을 기준으로 제1홈의 일측, 타측 및 대향하여 이웃한 부분에 각각 구비됨으로, 돌출부(130a)도 제1홈에 맞물리는 제1돌출부와, 제1돌출부를 중심으로 제1돌출부의 양측면과 이에 대향한 면에 형성되는 위치에 제2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130a)는 측벽(130)과 측벽(130)과 이웃한 측벽(130)이 맞물리는 모서리 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측벽(130)은 4개가 서로 맞물려 구비됨에 따라 돌출부(130a)는 측벽(130)의 저면으로 이들이 결합되는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돌출부(111)는 측벽의 저면으로 형성되어 측벽을 기판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위치나 개수라면 그 위치나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렌즈 조립체(101)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들이 적층 구비되고, 이미지 센서(120)의 수광 면(light-receiving surface)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13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구동부재(미도시)는 렌즈 조립체(101)를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측벽(1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재는 렌즈 조립체(101)의 구동 중 렌즈 조립체(101)의 틀어짐을 보정할 수 있도록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 피에죠(Piezo) 액추에이터 또는 형상기억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의 고형체(150)에 의한 광축 보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에서 고형체(150)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고형체(150)는 홈(111)의 바닥면에 소정 높이로 채워져, 홈(111)과 돌출부(130a)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고형체(150)는, 제2모듈(Ⅱ)이 제1모듈(Ⅰ)에 조립될 때, 기판(110)에 안착되는 측벽(130)의 실장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실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8 및 도 9 함께 참조). 또한, 후술하는 제3모듈(Ⅲ)이 제2모듈(Ⅱ)에 조립될 때, 제2모듈(Ⅱ)에 안착되는 제3모듈(Ⅲ)의 측벽의 실장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실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11참조).
고형체(150)는 솔리드한(solid) 비드부(bead portion)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서 고형체(150)는, 구슬과 같은 구 형상의 금속 재질의 작은 마이크로 비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고형체(15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의 입체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며, 돌출 부재의 재질도 돌출부와 홈 사이에서 돌출부를 지지하는 강성을 가진 재질 이라면 그 재질도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형체(150)는 제1고형체와 제2고형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형체는 제1홈과 제1돌기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제2고형체는 제2홈과 제2돌기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고형체와 제2고형체는 서로 크기를 달리 할 수 있다. 고형체(150)의 설명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앞선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고형체(150)는 홈(111)의 내측에 안착되어 홈(111)의 내측에서 동일 높이로 형성되도록 구비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고형체(150)는 홈(111) 내측으로 한층으로 분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고형체(150)가 매우 작은 비드들로 이루어진 구성이라면, 홈(111)의 내측에 분포되는 고형체(150)의 부피 등을 통해 홈(111)의 바닥면에서 동일 높이로 분포될 수 있도록 분포되는 높이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고형체(150)의 크기는 'D=L*tanα'로 설정될 수 있다. 제1홈과 제2홈 사이의 거리와, 이미지 센서(120) 또는 렌즈 조립체(101)가 광축 방향에 대해 틀어진 각도를 알면 고형체(150)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미지 센서(120)가 기판(110)에 실장되면, 이미지 센서(120)가 광축의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틀어진 틸팅 각도를 알 수 있다. 또한, 홈(111)과 홈(111)과 이웃한 홈(111) 사이의 거리도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수식을 통해 고형체(150)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고형체(150)는 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홈에 한층으로 분포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또는 홈 내측에 다층으로 적층되어 설정된 높이를 구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에는 제1모듈(Ⅰ)과 제2모듈(Ⅱ)을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는 홈(111)과, 홈(111)과 이웃한 홈(111) 사이로 측벽(130)의 단부 바닥면과 접촉하여 측벽(130)을 기판(110)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이미지 센서(120)가 기판(110)에서 틸팅됨에 따라 제1모듈(Ⅰ)이 조립 공정 상에서 광축 방향에서 틸트되게 조립된 경우, 고형체(150)를 통해 제1모듈(Ⅰ)과 제2모듈(Ⅱ)의 광축을 일치하는 조립 공정을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에서 제1모듈(Ⅰ)이 틀어진 상태에서 보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측벽(130)의 내측으로 렌즈 조립체(101)가 광축 방향으로 실장되어, 제2모듈(Ⅱ)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이미지 센서(120)가 기판(110) 상측에 실장되어, 제1모듈(Ⅰ)이 조립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0)가 기판(110)의 상측 표면에 실장될 때, 기판(110) 표면의 굴곡이나, 비 평탄화 또는 이미지 센서(120)를 기판(110)에 장착하기 위한 결합제 등에 의해 이미지 센서(120)가 기판(110) 표면에서 광축 방향과 틀어지게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0)가 기판(110) 표면에 틀어진 상태로 실장되면, 이미지 센서(120)의 광축 틸팅 검출을 통해 제1모듈(Ⅰ)의 이미지 센서(120)의 틀어진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틸트 각도 및 기판(110) 상의 홈(111)과 이웃한 홈(111) 사이의 거리를 통해, 렌즈 조립체(101)가 이미지 센서(120)와 동일한 광축을 가지기 위한 측벽의 틸팅 정도, 구체적으로 측벽(130)의 일측이 측벽(130)의 타측에 대비하여 틀어지는 정도 값을 검출 할 수 있다. 이에, 측벽(130)의 일측은 타측에 대비하여 틀어지는 높이만큼 홈(111)과 돌출부(130a) 사이에 고형체(150)가 구비될 수 있다.
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고형체(150)를, 높이를 달리 해야 하는 홈(111) 측에 인입하면, 고형체(150)는 홈(111)의 바닥면에 일층으로 홈(111)의 내측에 설정된 높이로 분포될 수 있다. 이에 고형체(150)가 유입된 홈(111)과 유입되지 않은 홈(111)은 인입 깊이를 달리하게 된다.
제2모듈(Ⅱ)을 제1모듈(Ⅰ) 상에 안착하면, 돌출부(130a)는 각각 대응되는 홈(111)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고형체(150)가 구비된 홈(111)에 안착되는 돌출부(130a) 측의 측벽(130)의 일측은 고형체(150)가 구비되지 않은 홈(111)에 안착되는 돌출부(130a) 측의 측벽(130)의 타측에 대비하여 높아지면서 측벽(130) 전체가 일방향, 구체적으로 이미지 센서(120)의 광축 방향과 렌즈 조립체(101)의 광축 방향이 일치되도록 틸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렌즈 조립체(101)가 측벽(130)의 내측에서 틸팅됨에 따라 제1모듈(Ⅰ)이 조립 공정 상에서 광축 방향에서 틸트되게 조립된 경우, 고형체(150)를 통해 제1모듈(Ⅰ)과 제2모듈(Ⅱ)의 광축을 일치하는 조립 공정을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에서 제2모듈(Ⅱ)이 틀어진 상태에서 보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120)가 기판(110) 상측에 광축 방향으로 실장되어, 제1모듈(Ⅰ)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측벽(130)의 내측으로 렌즈 조립체(101)가 실장되어, 제2모듈(Ⅱ)이 조립될 수 있다.
제1모듈(Ⅰ), 구체적으로 이미지 센서(120)가 기판(110)의 상측 표면에 광축 방향에 일치될 수 있도록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렌즈 조립체(101)가 측벽(130)에 실장될 때, 렌즈 조립체(101)가 측벽(130)의 광축 방향으로 결합되지 않고 틀어져 고정될 수 있다.
렌즈 조립체(101)가 측벽의 내측면에 틀어진 상태로 실장되면, 제2모듈(Ⅱ)의 광축 틸팅 검출을 통해 제1모듈(Ⅰ)의 이미지 센서(120)의 틀어진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렌즈 조립체(101)의 광축과 이미지 센서(120)의 광축이 일치되는 상태에 대응되게 검출된 틸트 각도에 따라 측벽(130)의 틸팅 정도, 구체적으로 렌즈 조립체(101)가 측벽(101)의 내측에서 틀어진 정도를 검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 조립체(101)와 이미지 센서(120)의 광축 방향을 일치시킴에 따라 측벽(130)이 기판(110)에서 틀어지는 정도 값을 검출 할 수 있다. 이에, 측벽(130)의 일측은 타측에 대비하여 틀어지는 높이만큼 홈(111)과 돌출부(130a) 사이에 고형체(150)가 구비될 수 있다.
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고형체(150)를, 높이를 달리 해야 하는 홈(111) 측에 인입하면, 고형체(150)는 홈(111)의 바닥면에 일층으로 홈(111)의 내측에 설정된 높이로 분포될 수 있다. 이에 고형체(150)가 유입된 홈(111)과 유입되지 않은 홈(111)은 인입 깊이를 달리하게 된다.
제2모듈(Ⅱ)을 제1모듈(Ⅰ) 상에 안착하면, 돌출부(130a)는 각각 대응되는 홈(111)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고형체(150)가 구비된 홈(111)에 안착되는 돌출부(130a) 측의 측벽(130)의 일측은 고형체(150)가 구비되지 않은 홈(111)에 안착되는 돌출부(130a) 측의 측벽(130)의 타측에 대비하여 높아지면서 측벽(130) 전체가 일방향, 구체적으로 이미지 센서(120)의 광축 방향과 렌즈 조립체(101)의 광축 방향이 일치되도록 틸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모듈, 구체적으로 이미지 센서가 기판에서 틀어지게 실장되는 경우나, 제2모듈, 구체적으로 렌즈 조립체가 측벽에서 틀어지게 실장되는 경우 고형체(150)를 통해 측벽을 기판에서 소정각도 틀어지게 결합시킴으로써 이미지 센서와 렌즈 조립체의 광축을 실질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의 틸팅 검출 및 이에 따른 광축 보정을 나타내는 조립 공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모듈(Ⅰ)을 상, 하, 좌, 우 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이미지 센서(120)가 광축 방향에서 틀어진 정도를 검출하며, 제2모듈(Ⅱ)을 상, 하, 좌, 우 측으로 회전시키면서 렌즈 조립체(101)가 광축 방향에서 틀어진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a).
상기의 이미지 센서(120)가 광축 방향에서 틸팅되는 틸팅 검출 값 또는 렌즈 조립체(101)가 광축 방향에서 틸팅되는 검출 값을 통해 측벽(110)이 기판(110)의 상측에 실장될 때, 측벽(130)의 일측이 측벽(130)의 타측에 대비하여 실장되는 높이의 차이 값을 검출 할 수 있게 된다. 검출된 틸팅 보정 값을 통해 고형체(150)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크기를 가지는 고형체(150)는 높이가 보정되어야 하는 홈(111)에 인입한다(b). 따라서 홈(111) 의 인입 깊이는 달리지게 된다.
홈(111)과 홈(111) 사이의 기판(110) 표면에는 측벽(130)의 단부 바닥면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결합제, 구체적으로 에폭시가 도포될 수 있다(c).
기판(110)의 상측으로 각각의 홈(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130a)가 맞물리도록 측벽(130)을 결합하면, 고형체(150)가 구비된 홈(111)에 안착되는 돌출부(130a)는 고형체(150)가 구비되지 않은 홈(111)에 안착되는 돌출부(130a)에 비해 안착되는 깊이가 낮다. 따라서 측벽(130)의 일측은 측벽(130)의 타측보다 돌출되면서 측벽(130)이 기판(110)에 기울어지면서 실장될 것이다. 측벽(130)이 기판(110)에서 틀어지게 실장되어도, 이미지 센서(120)와 렌즈 조립체(101) 사이의 광축은 서로 일치됨에 따라 광축은 일직선 상에 놓여 보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카메라 장치의 조립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미지 센서가 광축 방향에서 틸트나, 측벽에 안착된 렌즈 조립체가 광축 방향에서 틸트를 보정할 수 있어, 카메라 장치의 조립 과정에서 이미지 센서와 렌즈 조립체를 광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되게 조립할 수 있어 카메라 장치의 제1모듈의 조립 및 제1모듈과 제2모듈의 조립 공정 시에서부터 광축과 일치되는 적층 상태를 가질 수 있는 카메라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IR 필터가 브라켓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이미지 센서를 커버하도록 구비되어, 제1모듈이 조립된 상태에서 제2모듈과 조립되는 사이에 이미지 센서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10)를 설명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 및 이의 보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10)는 앞선 제1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10)와 유사하나, 카메라 장치(100)의 적층 구조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10)의 설명에서 앞선 제1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이나 구조는 앞선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앞선 제1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10)와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는 앞서 도 1, 2, 3과 같은 전자 장치(10)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는 앞서 언급한 제1모듈(Ⅰ)과 제2모듈(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더불어 제3모듈(Ⅲ)이 제2모듈(Ⅱ) 상에 더 적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카메라 장치(100)의 제1모듈(Ⅰ)은 앞선 제1실시 예와 같이 기판(110)과 이미지 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모듈(Ⅰ)의 구성이나 구조는 앞선 제1실시 예의 설명을 준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의 제2모듈(Ⅱ)은 앞선 실시 예에서와 같이 측벽(130)과 렌즈 조립체(10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제3모듈(Ⅲ)도 측벽(160)과 렌즈 조립체(102)를 포함하는 구성이므로, 이를 구분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제2모듈(Ⅱ)에 제공되는 측벽(130)은 제1측벽(130)이라고 지칭하며, 렌즈 조립체(101)는 제1렌즈 조립체(101)로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제2모듈(Ⅱ)에 대한 구성이나 구조는 앞선 제1실시 예에서 설명을 준용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제1모듈(Ⅰ)과 제2모듈(Ⅱ), 구체적으로 이미지 센서(120)와 제1렌즈 조립체(101)는 실질적으로 서로 광축이 일치되도록 적층되게 조립된 상태로 구비된다.
제1모듈(Ⅰ)과 제2모듈(Ⅱ)의 광축이 실질적으로 동축을 이루도록 적층된 상태에서 제2모듈(Ⅱ)의 상측에는 제3모듈(Ⅲ)이 적층되게 실장될 수 있다. 즉, 제3모듈(Ⅲ)이 제2모듈(Ⅱ)의 상부 표면에 적층되어 제2모듈(Ⅱ) 상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2모듈(Ⅱ), 구체적으로 제1측벽(130)의 상부 면 둘레에는 후술하는 제3모듈(Ⅲ)의 돌출부(160a)가 안착될 수 있는 홈(13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홈(131a)은 제2측벽(160)의 상부 면에서 서로 이웃하게 이격된 제1홈과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제2홈은 제1홈의 일측, 타측 및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홈(131a)은 제2측벽(160)의 상부 표면에 4개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후술하나 홈(131a)에 안착되는 돌출부(160a)도 제1홈에 삽입되는 제1돌출부와, 제1돌출부와 이웃하게 이격되며, 제2홈에 삽입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131a)이 4개가 구비됨에 따라 돌출부(160a)도 각각의 홈(131a)에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도록 4개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고형체(150)도 제1홈과 제2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1고형체와 제2홈과 제2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고형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고형체와 제2고형체는 서로 크기를 달리 할 수 있다. 또한, 제1홈에 안착되는 제1고형체의 수(이하 '제1수'라 함.)와 제2홈에 안착되는 제2고형체의 수(이하 '제2수'라 함.)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제1측벽(130)의 상부 표면에 복수개의 홈(131a)이 형성될 때, 적어도 하나의 홈(131a)에는 고형체(150)가 구비되고, 나머지 홈(131a)에는 고형체(15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홈(131a)에 고형체(150)가 구비될 때, 각각의 홈(131a)에 구비된 고형체(150)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측벽(130)의 상부 표면에 4개의 홈(131a)이 구비되는 경우, 4개의 홈(131a) 중 하나의 홈(131a)에만 고형체(150)가 구비되고, 나머지 세 개의 홈(131a)에는 고형체(15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고, 4개의 홈(131a) 중 두 개 또는 세 개의 홈(131a)에는 고형체(150)가 구비되고 나머지 홈(131a)에는 고형체(15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4개의 홈(131a) 모두에 고형체(15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4개의 홈(131a) 중 3개의 홈(131a)에 고형체(150)가 구비되는 경우, 3개의 홈(131a)에 구비된 각각의 고형체(150)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홈(131a)의 적어도 일부에 고형체(150)가 구비되거나, 홈(131a)에 구비되는 고형체(150)의 크기를 달리하는 것은, 제3모듈(Ⅲ)의 제2렌즈 조립체(102)가 제1렌즈 조립체(101) 및 이미지 센서(120)의 광축 방향에서 틸팅됨에 따른 틀어짐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고형체(150)의 크기는 'D=L*tanα'로 설정될 수 있다. 제2렌즈 조립체(102)가 제2측벽(160)의 내측에 실장된 상태에서 광축 틸팅 검출 장치 등을 이용하면, 제2렌즈 조립체(102)가 측벽 또는 광축에서 틸팅된 각도를 알 수 있다.
또한, 제1측벽(130)의 상측 표면에 형성된 홈(131a)과 홈(131a)과 이웃한 홈(131a) 사이의 거리도 설정되어 있어, 상기의 광축 틸팅 검출 장치를 통한 제2렌즈 조립체(102)의 틸팅 각도와 제2측벽(160) 표면에 형성된 홈(131a)과 홈(131a)과 이웃한 홈(131a) 사이의 거리를 수식에 대입하면 고형체(150)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고형체(150)는 홈(131a)의 내측에서 설정된 높이만큼 홈(131a)의 바닥면의 높이를 상승 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홈(131a)에 형성되는 돌출부(160a)가 고형체(150)의 높이만큼 상승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고형체가(150) 분포된 홈(131a)에 안착된 돌출부(160a)를 구비한 제2측벽(160)은 주변의 제2측벽(160)에 대비하여 제1측벽(130)에서 높게 안착될 수 있다.
제3모듈(Ⅲ)은 제2측벽(160)과 제2렌즈 조립체(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측벽(160)은 렌즈 조립체(101) 및 이미지 센서(1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2측벽(160)은 상, 하부가 개방된 4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제2측벽(160)의 바닥면에 돌출된 돌출부(160a)는 4개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돌출부(160a)의 개수는 제2측벽(160)을 제1측벽(130)에 안착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제2측벽(160)은 그 내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렌즈 조립체(102)를 구비하며,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광이 제2렌즈 조립체(102)를 통해 유입되어 제1렌즈 조립체(101) 및 이미지 센서(120)로 수광되도록 한다.
제2측벽(160)의 바닥면에는 홈(131a)에 대응되는 위치로 돌출부(160a)가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160a)는 제1홈과 제2홈에 각각 맞물릴 수 있도록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홈은 제1홈을 기준으로 제1홈의 일측, 타측 및 대향하여 이웃한 부분에 각각 구비됨으로, 돌출부(160a)도 제1홈에 맞물리는 제1돌출부와, 제1돌출부를 중심으로 제1돌출부의 양측면과 이에 대향한 면에 형성되는 위치에 제2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160a)는 제2측벽(160)과 제2측벽(160)과 이웃한 제2측벽(160)이 맞물리는 모서리 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제2측벽(160)은 4개가 서로 맞물려 구비됨에 따라 돌출부(160a)는 제2측벽(160)의 저면으로 이들이 결합되는 모서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돌출부(160a)는 제2측벽(160)의 저면으로 형성되어 제2측벽(160)을 제1측벽(13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위치나 개수라면 그 위치나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제2렌즈 조립체(102)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들이 적층 구비되고, 제1렌즈 조립체(101)의 수광 면(light-receiving surface) 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측벽(16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제1모듈(Ⅰ)과 제2모듈(Ⅱ)이 실질적으로 광축이 일치되게 조립된 상태에서, 제3모이 조립될 수 있다. 제3모듈(Ⅲ), 구체적으로 제2렌즈 조립체(102)는 제2측벽(160)의 내측에 소정 각도 틀어진 상태로 고정됨에 따라, 제2모듈(Ⅱ)에 그냥 적층되면, 제1,2모듈(Ⅰ, Ⅱ)의 광축과 불일치될 수 밖에 없다.
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고형체(150)를, 높이를 달리 해야 하는 홈(131a) 측에 인입하면, 고형체(150)는 홈(131a)의 바닥면에 일층으로 홈(131a)의 내측에 설정된 높이로 분포될 수 있다. 이에 고형체(150)가 유입된 홈(131a)과 유입되지 않은 홈(131a)은 인입 깊이를 달리하게 된다.
제3모듈(Ⅲ)이 제2모듈(Ⅱ) 상에 안착하면, 돌출부(160a)는 각각 대응되는 홈(131a)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고형체(150)가 구비된 홈(131a)에 안착되는 돌출부(160a) 측의 제2측벽(160)은 고형체(150)가 구비되지 않거나, 또는 따른 크기를 가지는 고형체가 분포된 홈(131a)에 안착되는 돌출부(160a) 측의 제2측벽(160)에 대해 그 높이를 달리함에 따라 측벽(130) 전체가 일방향, 으로 기울어져 제1측벽(130)의 상측에 실장될 것이다.
제2측벽(160)은 제1측벽(130)에서 기울어져 적층되나, 제2렌즈 조립체(102)는 제1렌즈 조립체(101) 및 이미지 센서(120)와 실질적으로 일치되도록 보정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제3모듈(Ⅲ), 구체적으로 제2렌즈 조립체(102)가 제2측벽(160)의 내측면에서 틀어지게 조립되어도, 제2측벽(160)을 제1측벽(130)에 대해 보정되어야 하는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결합시킴에 따라 제2렌즈 조립체(102)의 광축을 이미지 센서(120)나 제1렌즈 조립체(101)의 광축과 실질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카메라 장치 101: 렌즈 조립체
110: 기판 111: 홈
112a: 센서 안착면 112b: 단부 안착면
120: 이미지 센서 130: 측벽
131: 제1몸체 132: 제2몸체

Claims (33)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 1 커버;
    상기 전자 장치의 일면의 반대면을 형성하는 제 2 커버; 및
    상기 제 1 커버 및 제 2 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적어도 일부 배치된 카메라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조립체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의 주변 둘레로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이미지 센서의 수광 면(light-receiving surface)에 인접하여 배치된 렌즈 조립체;
    상기 렌즈 조립체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며,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측벽; 및
    상기 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고형체(solid body)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제1홈 및 상기 제1홈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2홈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홈에 삽입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홈에 삽입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체는,
    상기 제1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1고형체; 및
    상기 제2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고형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형체와 상기 제2고형체는 크기가 서로 다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1수의 제1고형체(a first number of first solid bodies); 및
    상기 제2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수의 제2고형체(a second number of second solid bodies)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와 상기 제2수는 서로 다른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D=L*tanα 인 장치.
    D는 상기 고형체의 크기
    L은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 사이의 거리
    α는 이미지 센서 또는 렌즈 조립체의 틸팅 각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체는 상기 홈의 바닥면에 한 층으로 분포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서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형체는 상기 홈의 바닥면에 동일 높이로 분포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1커버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금속 플레이트; 및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금속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가 안착되는 센서 장착 개구 및 상기 센서 장착 개구 바깥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홈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표면까지 오프셋(off-set)되며,
    상기 고형체는 상기 홈의 내측으로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표면에 소정 높이로 분포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상기 기판에서 틸트된 상태로 실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홈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틸트 각도에 따라 설정된 크기를 가지는 상기 고형체가 구비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에 안착되면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판에서 틸트되게 장착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렌즈 조립체는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광축을 가지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체는 솔리드한(solid) 비드부(bead portion)로 이루어지는 장치.
  12.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 1 커버;
    상기 전자 장치의 일면의 반대면을 형성하는 제 2 커버; 및
    상기 제 1 커버 및 제 2 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적어도 일부 배치된 카메라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조립체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장착된 기판;
    상기 이미지 센서의 수광 면(light-receiving surface)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렌즈 조립체;
    상기 제 1 렌즈 조립체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며, 상부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제 1 측벽;
    상기 제 1 렌즈 조립체의 수광면 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2 렌즈 조립체;
    상기 제 2 렌즈 조립체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며,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제 2 측벽; 및
    상기 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고형체(solid body)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 조립체는 상기 제2측벽에서 틸트되어 광축에서 틀어진 상태로 실장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에 안착되면 상기 제2측벽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측벽에서 틸트되게 장착되어 상기 제2렌즈 조립체는 상기 제1렌즈 조립체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광축을 가지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제1홈 및 상기 제1홈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2홈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홈에 삽입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홈에 삽입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체는,
    상기 제1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1고형체; 및
    상기 제2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고형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형체와 상기 제2고형체는 크기가 서로 다른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1수의 제1고형체(a first number of first solid bodies); 및
    상기 제2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수의 제2고형체(a second number of second solid bodies)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와 상기 제2수는 서로 다른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D=L*tanα 인 장치.
    D는 상기 고형체의 크기
    L은 상기 제1홈과, 제2홈 사이의 거리
    α는 제2렌즈 조립체의 틸팅 각도.
  18.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를 장착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주변 둘레로 적어도 하나의 홈을 구비한 기판;
    상기 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수광 면(light-receiving surface)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렌즈 조립체를 실장하고, 상기 홈에 안착 고정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측벽; 및
    상기 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돌기부 사이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고형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형체는 상기 렌즈 조립체의 주변에 실장되는 측벽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하는 고형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제1홈 및 상기 제1홈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2홈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홈에 삽입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홈에 삽입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체는,
    상기 제1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1고형체; 및
    상기 제2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고형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형체와 상기 제2고형체는 크기가 서로 다른 카메라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1수의 제1고형체(a first number of first solid bodies); 및
    상기 제2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수의 제2고형체(a second number of second solid bodies)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와 상기 제2수는 서로 다른 카메라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D=L*tanα 인 카메라 장치.
    D는 상기 고형체의 크기
    L은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 사이의 거리
    α는 이미지 센서 또는 렌즈 조립체의 틸팅 각도.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서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형체는 상기 홈의 바닥면에 동일 높이로 분포되는 카메라 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1커버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금속 플레이트; 및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금속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가 안착되는 센서 장착 개구 및 상기 센서 장착 개구 바깥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홈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표면까지 오프셋(off-set)되며,
    상기 고형체는 상기 홈의 내측으로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표면에 동일 높이로 분포되는 카메라 장치.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상기 기판에서 틸트된 상태로 실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홈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틸트 각도에 따라 설정된 크기를 가지는 상기 고형체가 구비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에 안착되면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판에서 틸트되게 장착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렌즈 조립체는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광축을 가지는 카메라 장치.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체는 솔리드한 비드부(solid bead portion)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장치.
  28.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를 장착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주변 둘레로 적어도 하나의 홈을 구비한 기판;
    상기 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수광 면(light-receiving surface)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렌즈 조립체를 실장하며, 상부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홈을 표함하는 제1측벽; 및
    상기 제1렌즈 조립체의 수광면 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렌즈 조립체;
    상기 제2렌즈 조립체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며,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제2측벽; 및
    상기 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돌기부 사이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고형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 조립체는 상기 제2측벽에서 틸트되어 광축에서 틀어진 상태로 실장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에 안착되면 상기 제2측벽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측벽에서 틸트되게 장착되어 상기 제2렌즈 조립체는 상기 제1렌즈 조립체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광축을 가지는 카메라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제1홈 및 상기 제1홈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2홈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홈에 삽입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홈에 삽입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체는,
    상기 제1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1고형체; 및
    상기 제2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고형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형체와 상기 제2고형체는 크기가 서로 다른 카메라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1수의 제1고형체(a first number of first solid bodies); 및
    상기 제2홈의 내부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수의 제2고형체(a second number of second solid bodies)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와 상기 제2수는 서로 다른 카메라 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D=L*tanα 인 장치.
    D는 상기 고형체의 크기.
    L은 상기 제1홈과, 제2홈 사이의 거리.
    α는 제2렌즈 조립체의 틸팅 각도.
KR1020150023646A 2015-02-16 2015-02-16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332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646A KR102332768B1 (ko) 2015-02-16 2015-02-16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15/044,811 US10200578B2 (en) 2015-02-16 2016-02-16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646A KR102332768B1 (ko) 2015-02-16 2015-02-16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747A true KR20160100747A (ko) 2016-08-24
KR102332768B1 KR102332768B1 (ko) 2021-11-30

Family

ID=5662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646A KR102332768B1 (ko) 2015-02-16 2015-02-16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00578B2 (ko)
KR (1) KR1023327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8761A (zh) * 2016-08-30 2022-06-07 爱克斯立普有限公司 信息处理终端
CN110572539A (zh) * 2019-06-28 2019-12-13 RealMe重庆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JPWO2023120107A1 (ko) * 2021-12-21 2023-06-29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422A (ja) * 2004-03-26 2005-10-13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装置
KR20070092545A (ko) * 2006-03-10 2007-09-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41951A (ko) * 2008-10-15 2010-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KR20140073255A (ko) * 2012-12-06 2014-06-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5718B2 (en) * 2003-09-03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US8351219B2 (en) * 2009-09-03 2013-01-08 Visera Technologies Company Limited Electronic assembly for an image sensing device
KR101289178B1 (ko) 2011-12-16 2013-07-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187620A1 (ko) 2012-06-14 2013-12-19 (주)하이소닉 렌즈 광축 정렬을 위한 소형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조립방법 및 소형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렌즈 광축 정렬방법 및 정렬장치
TW201408060A (zh) * 2012-08-06 2014-02-16 Hon Hai Prec Ind Co Ltd 相機模組及相機模組的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422A (ja) * 2004-03-26 2005-10-13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装置
KR20070092545A (ko) * 2006-03-10 2007-09-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41951A (ko) * 2008-10-15 2010-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KR20140073255A (ko) * 2012-12-06 2014-06-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768B1 (ko) 2021-11-30
US10200578B2 (en) 2019-02-05
US20160241750A1 (en)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1667B2 (en) Camera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392147B2 (en) Camera module having elastic stiffening material for efficient shock absorbing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874746B2 (en)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9277108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a lens barrel
JP4930989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撮像装置
KR100816844B1 (ko) 이미지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KR20100095760A (ko) 카메라 모듈
KR20080049668A (ko) 카메라 모듈 및 촬상장치
US20100110283A1 (en) Camera lens module-integrated speaker assembly
US11307486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US20090096047A1 (en) Imaging module package
US9225887B1 (en) Image capturing module for reducing assembly tilt
US9726847B2 (en) Camera module having a connector connecting a lens assembly and a lens barrel of the camera module
US11381147B2 (en) Driving mechanism
KR20160100747A (ko)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20110134314A1 (en) Image sensor module for camera device
CN112987220A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电子设备
US7429783B2 (en) Image sensor package
US7782388B2 (en) Solid image pickup unit and camera module
KR20090120926A (ko) 카메라 모듈
KR100863798B1 (ko)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 구조
US8049809B2 (en)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s
US20220196888A1 (en) Camera module
US20200271885A1 (en)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lens module
WO2020038139A1 (zh) 摄像模组和模塑感光组件及其制造方法以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