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567A - A Motor using the control magnetic line of force of permanent magnet - Google Patents

A Motor using the control magnetic line of force of permanent mag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567A
KR20160100567A KR1020150023141A KR20150023141A KR20160100567A KR 20160100567 A KR20160100567 A KR 20160100567A KR 1020150023141 A KR1020150023141 A KR 1020150023141A KR 20150023141 A KR20150023141 A KR 20150023141A KR 20160100567 A KR20160100567 A KR 20160100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late
magnetic
plate
permanent magne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02035B1 (en
Inventor
박계정
Original Assignee
박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계정 filed Critical 박계정
Priority to KR1020150023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035B1/en
Publication of KR20160100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5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0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02Details
    • H02K21/04Windings on magnets for additional excitation ; Windings and magnets for additional exci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using control of a magnetic field line in a permanent magnet, which applies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to a stator and or a rotor of a motor, utilizes a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as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through on/off control of a magnetic force emitted to the outside from the permanent magnet in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and utilizes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a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by us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a current for changing a magnetic path in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to thereby improve energy efficiency, wherein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is capable of changing the magnetic path in the permanent magnet therein through control of a current flowing in a coil and turning on/off the magnetic force emitted to the outside from the permanent magnet.

Description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A Motor using the control magnetic line of force of permanent magne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using a magnetic flux line control of a permanent magnet,

본 발명은 코일에 흐르는 전류 제어를 통해 자기력선제어기 내 영구자석의 자로를 변경하여 상기 영구자석이 외부로 발산하는 자기력을 온/오프할 수 있는 자기력선제어기를 모터의 고정자 및/또는 회전자에 적용하여, 자기력선제어기 내 영구자석이 외부로 발산하는 자기력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모터의 구동력으로 활용토록 함으로써, 자기력선제어기 내 자로 변경을 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전류를 사용하면서 이를 통해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모터의 구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magnetic flux line controller to a stator and / or a rotor of a motor by changing the magnetic path of the permanent magnet in the magnetic flux line controller through the control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and turning on / off the magnetic force ,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is utilized a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hrough the on / off control of the magnetic force radiated to the outside by the permanent magnet in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so that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current is used for changing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To a motor using magnetic force line control of a permanent magnet which can utilize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as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기존 모터는 회전자와 고정자로 이루어지는데, 일반적으로 고정자에는 코일이, 회전자에는 영구자석이 배치되어(또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에 전자석을 배치하기도 함) 코일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자기력)을 이용해 회전자가 회전하면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즉, 기존 모터는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그로 인해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하므로, 큰 동력을 방생시키기 위해서는 그에 비례하여 더 큰 전류(전원)을 인가해야만 한다. Conventional motors consist of a rotor and a stator. Generally, a coil is placed in the stator and a permanent magnet is placed in the rotor (or an electromagnet is placed in the stator or rotor) so that the magnetic field Magnetic force) to generate power by rotating the rotor. That is, since a conventional motor applies a current to a coil and uses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directly by the coil, a larger current (power) must be applied in proportion to the large power to be generated.

(특허 문헌)(Patent Literature)

공개특허 제10-1998-0075864호(1998.11.16. 공개) "브러시리스 DC모터"Open No. 10-1998-0075864 (published on November 16, 1998) "Brushless DC motor"

한편, 상기 (특허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기술은, 3상전원용 코일슬롯을 갖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를 구비한 센서리스형 브러시리스 DC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로터는, 원주방향으로 등각도로 분배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축선방향을 따라 장착슬롯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8개의 돌출극부와, 상기 장착슬롯내에 수용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이에 의해, 출력과 효율이 향상된 센서리스형 브러시리스 DC모터에 관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ior art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relates to a sensorless brushless DC motor having a stator having a three-phase power coil slot and a rot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stator, At least eight protruding portions which are equally distribu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in which mounting slots are respectively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permanent magnets housed in the mounting slots, To an improved sensorless brushless DC motor.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에 개시된 종래기술 역시 일반적인 기존 모터의 구조에서 벗어나지 않는 코일과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조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고, 또한 큰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그보다 훨씬 많은 전류를 인가하여야 하는 것은 여전하다. However, the prior art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also does not deviate from the structure using a coil and a permanent magnet that do not deviate from the conventio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motor, and a much larger current is still required in order to obtain a large outpu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에 흐르는 전류 제어를 통해 자기력선제어기 내 영구자석의 자로를 변경하여 상기 영구자석이 외부로 발산하는 자기력을 온/오프할 수 있는 자기력선제어기를 모터의 고정자 및/또는 회전자에 적용하여, 자기력선제어기 내 영구자석이 외부로 발산하는 자기력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모터의 구동력으로 활용하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gnetic force line controller capable of changing the magnetic path of the permanent magnet in the magnetic flux line controller through the control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il so as to turn on / off the magnetic force that the permanent magnet externally radiates to the stator an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tor using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 of a permanent magnet that utilizes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as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through on / off control of the magnetic force radiated to the outside by the permanent magnet in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기력선제어기 내 자로 변경을 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전류를 사용하면서 이를 통해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모터의 구동력으로 활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인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tor using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 of a permanent magnet which increases energy efficiency by us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current for changing to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and u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as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면상으로는 회전자는 2의 배수, 고정자는 3의 배수로 각각 균등하게 방사형으로 배열함과 아울러, 높이 방향으로는 2겹 이상으로 중첩되어 배치하고, 중첩된 각각의 겹마다 고정자와 회전자는 각각 일정 각도 엇갈려 배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인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tor in which a rotor is arranged radially in a multiple of 2 and a stator is radially arranged in a multiple of 3 and the stator is arranged in two or more layer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rotor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staggered manner, thereby providing a motor using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 of the permanent magnet with the energy efficiency increas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면상에서 고정자를 중앙에 두고 양측에 회전자가 배열되거나 또는 회전자를 중앙에 두고 양측에 고정자가 배열되는 이중 구조 또는 그 이상의 다중 구조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에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를 활용함으로써 공간적 구조적 효율성을 높인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tor or rotor having a double structure or a multi-struc- ture in which the stator is arranged in the center on the plane and the rotor is arranged on both sides or the stator is arranged on both sid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tor using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 of a permanent magnet that improves the spatial structural efficiency by utilizing a bidirectional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tor using magnetic flux line control of a permanent magnet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는 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자와 회전자 중 어느 하나를 자기력선제어기로, 다른 하나를 영구자석으로 형성하고, 상기 자기력선제어기에서 코일에 흐르는 전류 제어를 통해 자기력선제어기 내 영구자석의 자로를 변경하여 상기 영구자석이 외부로 발산하는 자기력을 온/오프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otor using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 of the permanent magn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either one of the stator and the rotor constituting the motor is made of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and the other is made of a permanent magnet,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motor is obtained by changing the magnetic path of the permanent magnet in the magnetic-force-line controller through the control to turn on / off the magnetic force that the permanent magnet externally radiat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자와 회전자 모두를 자기력선제어기로 형성하고, 상기 자기력선제어기에서 코일에 흐르는 전류 제어를 통해 자기력선제어기 내 영구자석의 자로를 변경하여 상기 영구자석이 외부로 발산하는 자기력을 온/오프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oth a stator and a rotor constituting a motor as a magnetic force line controller, and the magnetic force line controller control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to control the magnetic path of the permanent magnet And acquire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by using the characteristic that the permanent magnet turns on / off the magnetic force radiat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선제어기는, 고정된 제1자성플레이트와 제2자성플레이트;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 및 제2자성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1영구자석;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와 제2자성플레이트에 각각 연결되며 고정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 및 제4자성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2영구자석;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 일단을 각각 연결하여 자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 제4자성플레이트 및 연결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에 각각 권선되어 설치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flux line controller includes: a fixed first magnetic plate and a second magnetic plate; A first permanent magnet attach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A connection shaft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respectively; A third magnetic plate and a fourth magnetic plate reciprocally formed along the connection axis; A second permanent magnet attached to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A connection plate connecting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one end of the fourth magnetic plate to each other to form a magnetic path; And a coil wound on at least one of the third magnetic plate, the fourth magnetic plate, and the connection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선제어기는,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를 각각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와 제2자성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수단과 제2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flux line controller controls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respectively The first elastic means and the second elastic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에 각각 권선되어 설치되는 제1코일과 제2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includes a first coil and a second coil wound around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respectively,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선제어기는, 상기 제1코일과 제2코일이 각각 반대방향으로 권선되고,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제1코일 및 제2코일에 순방향(+,-) 전류를 인가하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의 제1자성플레이트를 향하는 일단에는 제1자성플레이트와 동일한 극성이 형성되고 상기 제4자성플레이트의 제2자성플레이트를 향하는 일단에도 제2자성플레이트와 동일한 극성이 형성되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 및 제4자성플레이트가 각각 제1자성플레이트 및 제2자성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므로, 상기 제1영구자석의 자기력은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 및 제2자성플레이트를 통해 외부로 발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field-generating line controll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re respectively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 -) current is applied to one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facing the first magnetic plate,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first magnetic plat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respectively, so that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And the magnetic flux is diver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magnetic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선제어기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제1코일 및 제2코일에 역방향(-,+) 전류를 인가하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의 제1자성플레이트를 향하는 일단에는 제1자성플레이트와 반대되는 극성이 형성되고 상기 제4자성플레이트의 제2자성플레이트를 향하는 일단에도 제2자성플레이트와 반대되는 극성이 형성되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 및 제4자성플레이트가 각각 제1자성플레이트 및 제2자성플레이트와 맞닿게 되므로, 상기 제1영구자석의 자기력은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 제3자성플레이트, 제4자성플레이트 및 제2자성플레이트를 잇는 폐자로가 형성됨에 따라 쇄교되어 외부로는 자기력을 발산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applies a negative (-, +) current to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magnetic plat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late facing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a polarity opposite to the second magnetic plat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ourth magnetic plate facing the second magnetic plate, The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respectively, so that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is appli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the third magnetic plate, the fourth magnetic plate, And a magnetic path connecting the plate is formed, so that the magnetic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자와 회전자 모두가 자기력선제어기으로 형성되는 경우, 고정자와 회전자는 각각 평면상에서 회전자는 2의 배수, 고정자는 3의 배수로 각각 균등하게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both the stator and the rotor constituting the motor are formed of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the stator and the rotor each have a multiple of a rotor on a plane, Respectively, in the radial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자와 회전자 모두가 자기력선제어기으로 형성되는 경우, 고정자와 회전자는 각각 높이 방향으로 2겹 이상으로 중첩되어 배치되고, 중첩된 각각의 겹마다 고정자와 회전자는 각각 일정 각도 엇갈려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both the stator and the rotor constituting the motor are formed of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the stator and the rotor are overlapped in two or more layers in the height direction , And the stator and the rotor are arranged to be stagger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ach of the overlapped pl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는, 고정된 제1자성플레이트와 제2자성플레이트;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 및 제2자성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1영구자석;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 및 제2자성플레이트와 대향되는 방향에 고정된 제5자성플레이트와 제6자성플레이트; 상기 제5자성플레이트 및 제6자성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3영구자석;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와 제5자성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2자성플레이트와 제6자성플레이트를 각각 연결하며 고정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 및 제4자성플레이트의 제1자성플레이트와 제2자성플레이트를 향하는 일단에 부착되는 제2영구자석;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 및 제4자성플레이트의 제5자성플레이트와 제6자성플레이트를 향하는 타단에 부착되는 제4영구자석;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의 중앙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별도로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를 연결하여 각각 자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1연결플레이트와 제2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 제4자성플레이트, 제1연결플레이트 및 제2연결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에 각각 권선되어 설치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bi-directional magnetic flux line controller, wherein the bi-directional magnetic flux line controller comprises: a fixed first magnetic plate and a second magnetic plate; A first permanent magnet attach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A fifth magnetic plate and a sixth magnetic plate fix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A third permanent magnet attached to the fifth magnetic plate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A first magnetic plate and a fifth magnetic plate, and a connection shaft connected and fixed to the second magnetic plate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respectively; A third magnetic plate and a fourth magnetic plate reciprocally formed along the connection axis; A second permanent magnet attached to one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facing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A fourth permanent magnet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facing the fifth magnetic plate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A first connection plate and a second connection pl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to separately form a magnetic path by connecting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And a coil wound on at least one of the third magnetic plate, the fourth magnetic plate, the first connection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는,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를 각각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와 제2자성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수단과 제2탄성수단; 및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를 각각 상기 제5자성플레이트와 제6자성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탄성수단과 제4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idirectional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controls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so as to separate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from each other A first elastic means and a second elastic means for providing; And third elastic means and fourth elastic means for providing the elastic force so that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are spaced apart from the fifth magnetic plate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respectivel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의 제1자성플레이트와 제2자성플레이트를 향하는 일측에 각각 권선되어 설치되는 제1코일과 제2코일; 및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의 제5자성플레이트와 제6자성플레이트를 향하는 타측에 각각 권선되어 설치되는 제3코일과 제4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is wound on one side of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facing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respectively A first coil and a second coil; And a third coil and a fourth coil woun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facing the fifth magnetic plate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respectivel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평면상에서 고정자를 중앙에 두고 양측에 회전자가 배열되거나 또는 회전자를 중앙에 두고 양측에 고정자가 배열되는 이중 구조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에는 상기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ual structure in which a rotor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a stator in a plane on a plane, or a stator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a rotor, And the bidirectional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is used for the stator or the rotor.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combination, and the use relationship.

본 발명은 코일에 흐르는 전류 제어를 통해 자기력선제어기 내 영구자석의 자로를 변경하여 상기 영구자석이 외부로 발산하는 자기력을 온/오프할 수 있는 자기력선제어기를 모터의 고정자 및/또는 회전자에 적용하여, 자기력선제어기 내 영구자석이 외부로 발산하는 자기력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모터의 구동력으로 활용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magnetic flux line controller to a stator and / or a rotor of a motor by changing the magnetic path of the permanent magnet in the magnetic flux line controller through the control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and turning on / off the magnetic force ,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is utilized a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hrough the ON / OFF control of the magnetic force radiated to the outside by the permanent magnet in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본 발명은 자기력선제어기 내 자로 변경을 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전류를 사용하면서 이를 통해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모터의 구동력으로 활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nergy efficiency by u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a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hrough the use of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current for changing to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본 발명은 평면상으로는 회전자는 2의 배수, 고정자는 3의 배수로 각각 균등하게 방사형으로 배열함과 아울러, 높이 방향으로는 2겹 이상으로 중첩되어 배치하고, 중첩된 각각의 겹마다 고정자와 회전자는 각각 일정 각도 엇갈려 배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or is arranged radially in a planar manner with a multiple of 2 and the stator is radially arranged in a multiple of 3 respectively and superimposed in two or more layer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stator and rotor By arranging them at a certain angle, the energy efficiency is increased.

본 발명은 평면상에서 고정자를 중앙에 두고 양측에 회전자가 배열되거나 또는 회전자를 중앙에 두고 양측에 고정자가 배열되는 이중 구조 또는 그 이상의 다중 구조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에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를 활용함으로써 공간적 구조적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structure or a multiple structure in which a stator is arranged on a plane on a plane, a rotor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stator, or a stator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rotor, It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patial and structural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사용되는 자기력선제어기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2는 도 1의 자기력선제어기에서 순방향 전류가 인가된 경우의 동작상태와 자로를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도 1의 자기력선제어기에서 역방향 전류가 인가된 경우의 동작상태와 자로를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6은 도 5에서 회전자의 회전 과정에 따라 자기력선제어기의 극성이 변경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사용되는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8은 도 7의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에서 순방향 전류가 인가된 경우의 동작상태와 자로를 도시한 참고도
도 9는 도 7의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에서 역방향 전류가 인가된 경우의 동작상태와 자로를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사용되는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13은 고정자 또는 회전자가 높이 방향으로 2겹 이상으로 중첩되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used in a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graph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the case where a forward current is applied in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of FIG. 1,
FIG. 3 is a graph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the case where a reverse current is applied in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of FIG. 1,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larity of the magnetic-field-line controll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process of the rotor in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bidirectional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used in a mo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graph showing an operating state when a forward current is applied in the bidirectional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of FIG. 7,
FIG. 9 is a graph showing an operation state when a reverse current is applied in the bidirectional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of FIG. 7,
10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bidirectional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used in a mo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moto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ator or a rotor is superimposed in two or more layers in the height direc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motor using magnetic force line control of permanent magn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자(10)와 회전자(30) 중 어느 하나를 자기력선제어기(50)으로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영구자석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고정자(10)와 회전자(30) 모두를 자기력선제어기(50)로 형성하고(도 4 및 도 5 참조), 이때 상기 자기력선제어기(50)에서 코일(550)에 흐르는 전류 제어를 통해 자기력선제어기(50) 내 제1영구자석(521)의 자로를 변경하여 상기 영구자석이 외부로 발산하는 자기력을 온/오프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모터는 기존 모터의 구조와 다르게, 상기 자기력선제어기(50) 내 영구자석의 외부를 향한 자기력 발산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 영구자석의 보자력을 모터의 구동력으로 활용하는 것인바, 본 발명의 모터에 사용되는 자기력선제어기(50)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이때 자기력선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코일(550)에의 전류 제어 시점은 본 발명에서 일 예로 들고 있는 3상 형태가 아닌 그 외 다른 형태에서도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류 제어 시점은 다양한 센서 또는 회전 시퀀스 프로그램 등으로 최적의 효율을 나타내도록 구현(제어)된다. 1 to 6, a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ither one of the stator 10 and the rotor 30 constituting a motor as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50,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50 may be formed of a magnet or both of the stator 10 and the rotor 30 may be formed of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50 (see FIGS. 4 and 5)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in the magnetic-force-line controller 50 is changed to turn on / off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to the outside. That is, unlike the conventional motor structure, the 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coercive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a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hrough on / off control of the magnetic force divergence toward the outside of the permanent magnet in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50,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50 used in the 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In this case, the current control point of the coil 550 for controlling the magnetic flux lines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in other forms other than the three-phase typ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Control) so as to exhibit the optimum efficiency by a sequence program or the lik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터에 사용되는 자기력선제어기(50)의 일 형태는, 고정된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에 부착되는 제1영구자석(521);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에 각각 연결되며 고정되는 연결축(530); 상기 연결축(530)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에 부착되는 제2영구자석(522);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 일단을 각각 연결하여 자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플레이트(540); 및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제4자성플레이트(514) 및 연결플레이트(540) 중 하나 이상에 각각 권선되어 설치되는 코일(55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3, one embodiment of a magnetic flux line controller 50 used in the 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a second magnetic plate 512; A first permanent magnet 521 attach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 connection shaft 530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a fourth magnetic plate 514 formed to be reciprocatable along the connection shaft 530; A second permanent magnet 522 attached to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 connection plate 540 connecting the ends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to form a magnetic path; And a coil 550 wound around at least one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nd the connection plate 540.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는 각각 고정되며, 자로가 쉽게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 일 예로, 자기저항이 작은 재질인 순철 또는 규소강판 등으로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는 각각 후술할 제1영구자석(521)의 양측에 부착되어 제1영구자석(521)의 자로는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통해 후술할 바와 같이 폐자로를 형성하여 쇄교되거나 또는 외부를 향해 자기력을 발산하게 된다.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re fixed to each other.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re made of pure iron or silicon steel having a small magnetic resistance, .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re attached to both sides of a first permanent magnet 521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to form a closed magnetic path as described later to be linked or to externally emit magnetic force.

상기 제1영구자석(52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에 부착되는 영구자석으로, 일 예로 상기 제1영구자석(521)의 N극이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에, 상기 제1영구자석(521)의 S극이 상기 제2자성플레이트(512)에 각각 연결되면,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는 N극으로, 상기 제2자성플레이트(512)는 S극으로 자화되게 된다. 1, the first permanent magnets 521 are permanent magnets attach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ixed to each other, When the north pole of the permanent magnet 521 is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outh pol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511 are magnetized to the N pol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is magnetized to the S pole.

상기 연결축(530)은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에 각각 연결되며 고정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왕복이동시 그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레일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연결축(530)은 자로가 형성될 수 없는 비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에 형성되는 자로가 상기 연결축(530)을 따라서는 (연결)형성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상기 연결축(530)을 반드시 비자성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connection shaft 530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The connection shaft 530 is connected to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nd serves as a guide rail for providing the path for reciprocating move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shaft 530 is formed of a nonmagnetic material in which a magnetic path can not be formed since a magnetic path formed on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is formed on the connection shaft 530, So that it can not be formed (connected) along the line. However, the connecting shaft 530 is not limited to the non-magnetic shaft.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는 상기 연결축(530)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바와 같이 제3자성플레이트(513) 및/또는 제4자성플레이트(514)에 권선되어 있는 하기 코일(55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또는 -,+)에 따라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에 형성되는 극성(N극, S극)의 변화에 연동하여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 역시 자성체 일 예로, 자기저항이 작은 재질인 순철 또는 규소강판 등으로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는 상기 연결축(530)이 중공 내부를 관통하도록 연결축(530)과 결합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형태로의 결합관계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configured to be reciprocatable along the connection shaft 530.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 The polarities of the polarities of the third and fourth magnetic plates 513 and 514 formed in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 - or -, +)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550 wound on the magnetic plate 514 (N pole, S pole) of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or reciprocally in the opposite direction. For this,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may also be formed to have a sufficient thickness, for example, pure iron or silicon steel, which is a material having a small magnetic resistance, for example.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may form a coupling relationship with the connection shaft 530 such that the connection shaft 53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hollow. Lt; / RTI >

상기 제2영구자석(52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에 부착되는 영구자석으로, 일 예로 상기 제2영구자석(522)의 S극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에, 상기 제1영구자석(521)의 N극이 상기 제4자성플레이트(51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영구자석(522)의 극성은 그와 마주보는 상기 제1영구자석(521)의 극성과 반대되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가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해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양자를 당기는 인력 중 하나로 작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second permanent magnets 522 are permanent magnets attached to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which are spaced apart and fixed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S pole of the permanent magnet 522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N pol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 In this case, the polarity of the second permanent magnet 522 is opposite to the polarity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facing the third permanent magnet 521, so that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It can act as one of attracting forces when it is intended to move toward the one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상기 연결플레이트(540)는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 일단을 각각 연결하여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 간에 자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따라서 역시 자성체 일 예로, 자기저항이 작은 재질인 순철 또는 규소강판 등으로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late 540 connects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one end of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so that a magnetic path can be formed between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So that it can be formed to have a sufficient thickness, for example, as a magnetic body, such as pure iron or silicon steel, which is a material having a small magnetic resistance.

상기 코일(550)은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제4자성플레이트(514) 및 연결플레이트(540) 중 하나 이상에 각각 권선되어 설치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에 각각 권선되어 설치되는 제1코일(551)과 제2코일(552)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인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에 각각 권선된 제1코일(551)과 제2코일(552)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는 각각 자화되어 극성을 띄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코일(551)과 제2코일(552)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반대로 바꾸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극성도 반대로 변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코일(551)과 제2코일(552)은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되어 동일한 방향의 전류가 상기 제1코일(551)과 제2코일(552)에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일단에 형성되는 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The coil 550 is wound on at least one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nd the connecting plate 540, And a first coil 551 and a second coil 552 wound around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respectively.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551 and the second coil 552 wound on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which are magnetic bodies, When the directions of the currents applied to the first coil 551 and the second coil 552 are reversed,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magnetized and polarized, The polarity of the magnetic plate 514 also changes inversely. The first coil 551 and the second coil 552 are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so that when a current in the same direction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551 and the second coil 552,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arities formed at one end of the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한편, 상기 자기력선제어기(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를 각각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로부터 이격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수단(561)과 제2탄성수단(562)을 포함하게 되는데, 상기 제1탄성수단(561)과 제2탄성수단(562)은 그 탄성력으로,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를 각각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탄성력으로 그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보조하고, 반대로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를 각각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로부터 이격된 이후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1영구자석(521)과 제2영구자석(522) 간의 당기는 인력에 의해 양자가 서로 끌어당겨져 결합되는 것을 방지(즉,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가 각각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력은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를 각각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영구자석(521)과 제2영구자석(522) 간의 작용하는 인력보다는 커야 한다. 다만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하는 방향의 일단에 각각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의 극성에 반대되는 극성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가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해 이동하여 각각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와 맞닿게 된다. 1, the magnetic flux line controller 50 includes a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a fourth magnetic plate 514 which are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The first elastic means 561 and the second elastic means 562 are provided with a first elastic means 561 and a second elastic means 562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elastic means 561 and the second elastic means 562, When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to be mov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nd in a state after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respectively, The pulling force between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522 (That is,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kept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respectively) .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in a state where the third permanent magnet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521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s 522, respectively. In this state,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respectively.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in the case where a polarity opposite to the polarity of the first magnetic plate 512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is formed.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respectively.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제어부(미도시)의 제어하에 상기 자기력선제어기(50)의 제1코일(551) 및 제2코일(552)에 순방향(+,-) 전류가 인가된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1코일(551)은 순방향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의 제1자성플레이트(511)를 향하는 일단에 제1자성플레이트(511)에 형성된 극성(일 예로, N극)과 동일한 극성(일 예로, N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권선되고, 반대로 상기 제2코일(552)은 순방향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하는 일단에 제2자성플레이트(512)에 형성된 극성(일 예로, S극)과 동일한 극성(일 예로, S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권선됨으로써, 상기 제1코일(551) 및 제2코일(552)에 순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의 제1자성플레이트(511)를 향하는 일단에 제1자성플레이트(511)에 형성된 극성(일 예로, N극)과 동일한 극성(일 예로, N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하는 일단에도 제2자성플레이트(512)에 형성된 극성(일 예로, S극)과 동일한 극성(일 예로, S극)이 형성되어,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3자성플레이트(513)간 그리고 상기 제2자성플레이트(512)와 제4자성플레이트(514)간에는 각각 밀어내는 척력이 발생되므로, 상기 제1탄성수단(561)과 제2탄성수단(562)의 탄성력을 극복하지 못하고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가 각각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로부터 이격(①방향)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영구자석(521)의 자기력을 살펴보면, 제1영구자석(521)의 N극에서는 그와 맞닿아 있는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를 통해 나오는 자로가 폐자로를 형성하지 못하고(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방향으로 가지 못하고) 외부를 향해(외부 공간을 거쳐 상기 제2자성플레이트(512) 방향으로) 자기력을 발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제4자성플레이트(514) 및 연결플레이트(54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자로가 형성되게 된다. If a positive (+, -)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551 and the second coil 552 of the magnetic flux line controller 50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not shown) with reference to FIG. 2 The first coil 551 may have a polarity (for example, N) formed on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t one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toward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when a forward current is applied, The second coil 552 is wound so that the same polarity (for example, N pole) as that of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is formed on the second magnetic plate 514 when the forward power is applied, (For example, S-pole) identical to the polarity (for example, S-pole) formed in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t one end facing the first coil 551 and the second coil When a forward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552, the first magnetic plate 513 is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For example, N-pole) identical to the polarity (for example, N-pole) formed in the first magnetic plate 514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For example, S pole) identical to the polarity (for example, S pole) formed in the plate 51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between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ans 561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ans 562 can not be overcome and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respectively. At this time, when looking at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the magnetic path of the N pol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coming through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in contact with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can not form a closed magnetic path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via the outer space) toward the outside (not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In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nd the connection plate 540, a closed magnetic path as shown in FIG. 2 is formed.

반대로, 도 3을 참조하여 제어부(미도시)의 제어하에 상기 자기력선제어기(50)의 제1코일(551) 및 제2코일(552)에 역방향(여기서, 역방향이란, 앞서 설명한 순방향과 +,-가 반대되는 방향 즉, -,+방향을 의미함) 전류가 인가된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1코일(551)은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의 제1자성플레이트(511)를 향하는 일단에 제1자성플레이트(511)에 형성된 극성(일 예로, N극)과 반대되는 극성(일 예로, S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권선되고, 반대로 상기 제2코일(552)은 역방향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하는 일단에 제2자성플레이트(512)에 형성된 극성(일 예로, S극)과 반대되는 극성(일 예로, N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권선됨으로써, 상기 제1코일(551) 및 제2코일(552)에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의 제1자성플레이트(511)를 향하는 일단에 제1자성플레이트(511)에 형성된 극성(일 예로, N극)과 반대되는 극성(일 예로, S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하는 일단에도 제2자성플레이트(512)에 형성된 극성(일 예로, S극)과 반대되는 극성(일 예로, N극)이 형성되어,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3자성플레이트(513)간 그리고 상기 제2자성플레이트(512)와 제4자성플레이트(514)간에는 각각 당기는 인력이 발생되므로, 상기 제1영구자석(521)과 제2영구자석(522) 간의 인력에 더해져 상기 제1탄성수단(561)과 제2탄성수단(562)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가 각각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하여 이동(②방향)하여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3자성플레이트(513) 그리고 제2자성플레이트(512)와 제4자성플레이트가 각각 맞닿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영구자석(521)의 자기력을 살펴보면, 제1영구자석(521)의 N극에서는 그와 맞닿아 있는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를 통해 나오는 자로가 그와 맞닿아 있는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를 향하고, 제2영구자석(522)와 제4자성플레이트(514)를 거쳐 상기 제2자성플레이트(512) 및 제1영구자석(521)의 S극으로 연결되는 폐자로를 형성하게 되는바, 제1영구자석(521)의 자기력은 상기 폐자로를 따라 형성되므로 외부로는(외부를 향하여는) 자기력을 발산하지 않게 된다. Conversely, with reference to FIG. 3, the first coil 551 and the second coil 552 of the magnetic-force-line controller 50 are reversed (here, the reverse direction is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 The first coil 551 is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3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when a reverse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551, (For example, S-pole) opposite to the polarity (for example, N-pole) formed in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is formed at one end toward the second coil 511, (For example, S pole) formed on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t one end towar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of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when reverse power is applied (For example, N pole) can be formed so that a reverse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551 and the second coil 552 (For example, an S pole) opposite to the polarity (for example, N pole) formed on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t one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toward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one end of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facing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has a polarity (for example, N Pulling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between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ans 561 and the second elastic means 562 is added to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522, The magnetic plate 514 is moved (in the direction (2)) toward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511 and a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a second magnetic plate 512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s are touching each determined.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at the N pol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is in contact with the magnetic pol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coming through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nd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are connected to the S pole through the second permanent magnet 522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toward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is formed along the closed magnetic path, so that the magnetic force is not emitted to the outside (toward the outside).

본 발명의 모터는 이와 같은 원리가 적용되는 자기력선제어기(50)을 활용하여, 일 예로, 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자(10)와 회전자(30) 중 어느 하나를 자기력선제어기(50)으로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영구자석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10)와 회전자(30) 모두를 자기력선제어기(50)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고정자(10)와 회전자(30)는 각각 평면상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회전자(30)는 2의 배수, 고정자(10)는 3의 배수로 각각 균등하게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using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50 to which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form one of the stator 10 and the rotor 30 constituting the motor as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50, One may be formed of a permanent magnet, or both the stator 10 and the rotor 30 may be formed of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50, as shown in Figs. 4 and 5. 4 and 5, the stator 10 and the stator 10 are divided into a multiple of 2 and a multiple of 3, respectively, in the rotor 30 and the rotor 30, And may be arranged radially.

도 6을 참조하여, 회전자(30)와 고정자(10)에 적용된 자기력선제어기(50)에서의 각각의 자기력선제어기(50) 내 영구자석의 외부로 발산되는 자기력의 온/오프 제어에 따른 회전자(30)의 회전과정 및 그에 따른 모터의 구동력 발생과정을 살펴보면, 6, the rotor 30, which is controlled by on / off control of the magnetic force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permanent magnets in the respective magnetic flux line controllers 50 in the magnetic flux line controller 50 applied to the stator 10, The rotation process of the motor 30 and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6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30)가 12시 방향에 위치한 고정자(10)를 향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12시 방향에 위치한 고정자(10)의 코일(550)에는 순방향(+,-) 전류가 인가되어(또는 전원(전류)이 인가되지 않게 제어하는 것도 가능함)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가 각각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와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12시 방향에 위치한 고정자(10) 내 제1영구자석(521)의 자기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N극인 제1자성플레이트(511)에서 S극인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하여 외부로 자기력이 발산되게 되고, 이때 회전하는 회전자(30) 역시 코일(550)에는 순방향(+,-) 전류가 인가되어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가 각각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와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회전자(30) 내 제1영구자석(521)의 자기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N극인 제1자성플레이트(511)에서 S극인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하여 외부로 자기력이 발산되게 된다(이때, 2시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인접 고정자(10)의 코일(550)에는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어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가 각각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와 맞닿게 되므로, 2시 방향에 위치한 고정자(10) 내 제1영구자석(521)의 자기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자성플레이트(511)에서 제3자성플레이트(513)로 그리고 제4자성플레이트(514)에서 제2자성플레이트(512)로 각각 자로가 형성되는 폐자로가 형성되므로,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의 외부로는(외부를 향하여는) 자기력이 발산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회전자(30)의 회전방향에 위치하는 제2자성플레이트(512)에서 외부로 발산되는 자기력의 극성(일 예로, S극)과 12 방향의 고정자(10)의 제1자성플레이트(511)에서 외부로 발산되는 자기력의 극성(일 예로, N극) 사이에는 당기는 인력이 발생되므로, 회전자(30)가 보다 빠르게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가속하게 된다. First, as shown in Fig. 6 (1), in a state in which the rotor 30 is rotat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toward the stator 10 located at 12 o'clock, the stator 10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3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3 by applying a forward (+, -) current to the coil 550 of the first magnetic plate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in the stator 10 located at the 12 o'clock position is the same as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ic plate 521, Magnetic current is externally applied to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which is an S pole in the first coil 511 and the forward direction (+, -)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550 in the rotating rotor 30, The first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in the rotor 30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of N pole to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which is the S pole to the outside, (-, +)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550 of the adjacent stator 10 located at the 2 o'clock position so that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are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in the stator 10 positioned at 2 o'clock direction is appli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The magnetic path between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is formed by forming the closed magnetic path formed by the three magnetic plates 513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from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The magnetic force does not radiate to the outside (towards the outside). Therefore, the polarity (for example, S pole) of the magnetic force radiated to the outside from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position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or 30 and the polarity (For example, N pole) of the magnetic force radiated to the outside from the rotor 30, the rotor 30 accelerates the rotati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more quickly.

이후, 도 6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30)가 회전을 계속하여 12시 방향에 위치한 고정자(10)와 마주하게 되는 상태에서는 순간적으로, 12시 방향에 위치한 고정자(10)의 코일(550)에는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가 각각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와 맞닿게 됨으로써, 12시 방향에 위치한 고정자(10) 내 제1영구자석(521)의 자기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자성플레이트(511)에서 제3자성플레이트(513)로 그리고 제4자성플레이트(514)에서 제2자성플레이트(512)로 각각 자로가 형성되는 폐자로가 형성되므로,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의 외부로는(외부를 향하여는) 자기력이 발산하지 않게 하고, 역시 회전자(30)의 코일(550)에도 순간적으로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어 위와 동일하게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의 외부로는(외부를 향하여는) 자기력이 발산되지 않게 하여, 고정자(10)와 회전자(30)가 마주보는 상태에서 양자 간의 인력(자기력)의 작용에 의해 회전력이 감소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2시 방향에 위치하는 고정자(10)의 코일(550)에는 순방향(+,-) 전류가 인가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가 각각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와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2시 방향에 위치하는 고정자(10) 내 제1영구자석(521)의 자기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N극인 제1자성플레이트(511)에서 S극인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하여 외부로 자기력이 발산되게 된다. 6 (2), in a state in which the rotor 30 continues to rotate and faces the stator 10 located at 12 o'clock position, the stator 10 (-, +)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550 of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and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are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in the stator 10 located at 12 o'clock direction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to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from the fourth Since the closed magnetic path formed by the magnetic plate 514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 and (+) currents are instantaneously applied to the coil 550 of the rotor 30 so that the magnetic force does not diverge The magnetic force is not 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so that the stator 10 and the rotor 30 are oppos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is not reduced by the action of attraction force (magnetic force) between the two. At this time, a forward (+, -)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550 of the stator 10 located at the 2 o'clock position so that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are connected to the first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in the stator 10 located at the 2 o'clock position becomes equal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which is the N pol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magnetic force is radiated to the outside from the magnetic plate 511 towar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which is the S pole.

이후, 도 6의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30)가 12시 방향에 위치한 고정자(10)를 지나쳐 시계방향의 회전을 계속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자(30)의 코일에 다시 순방향(+,-) 전류가 인가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가 각각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와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회전자(30) 내 제1영구자석(521)의 자기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N극인 제1자성플레이트(511)에서 S극인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하여 외부로 자기력이 발산하게 되고, 따라서 회전자(30)의 회전방향에 위치하는 제2자성플레이트(512)에서 외부로 발산되는 자기력의 극성(일 예로, S극)과 2 방향의 고정자(10)의 제1자성플레이트(511)에서 외부로 발산되는 자기력의 극성(일 예로, N극) 사이에는 당기는 인력이 발생되므로, 회전자(30)가 보다 빠르게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가속하게 된다. 6 (3), in a state in which the rotor 30 continues to rotate clockwise beyond the stator 10 located at 12 o'clock, the coil 30 of the rotor 30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respectively,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in the rotor 30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of N pole to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which is the S pole, The polarity (for example, S pole) of the magnetic force radiated to the outside from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position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or 30 and the polarity A pulling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polarity of the magnetic force (for example, N pole) Here 30 is more rapidly accelerated to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이와 같은 원리를 통해 본 발명의 모터는 고정자(10) 및/또는 회전자(30)에 적용되는 자기력선제어기(50) 내에서의 자로 변경을 위한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제어를 통해, 고정자(10) 및/또는 회전자(30)에 적용되는 자기력선제어기(50) 내 영구자석의 외부로 발산되는 자기력의 온/오프 제어를 활용하여 (자로 변경을 위한)상대적으로 적은 전원(에너지)을 사용하면서 영구자석의 자기력(보자력)을 효율적으로 모터의 구동력으로 활용케 된다.
The 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stator 10 and the rotor 30 by controlling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for changing the magnetic field in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50 applied to the stator 10 and / (Energy) for the magnetic force line controller 50 applied to the rotor 30 and / or by utilizing the on / off control of the magnetic force that is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permanent magnet in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50 applied to the rotor 30 The magnetic force (coercive force) of the magnet is effectively utilized a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양방향으로 외부로 발산되는 자기력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사용되는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70)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structure of a bidirectional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70 used in a mo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on / off control of magnetic force diverging outward in both directio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으로 외부로 발산되는 자기력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70)은, 고정된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에 부착되는 제1영구자석(521);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와 대향되는 방향에 고정된 제5자성플레이트(711)와 제6자성플레이트(712); 상기 제5자성플레이트(711) 및 제6자성플레이트(712)에 부착되는 제3영구자석(721);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5자성플레이트(711), 그리고 상기 제2자성플레이트(512)와 제6자성플레이트(712)를 각각 연결하며 고정되는 연결축(530); 상기 연결축(530)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하는 일단에 부착되는 제2영구자석(522);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제5자성플레이트(711)와 제6자성플레이트(712)를 향하는 타단에 부착되는 제4영구자석(722);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중앙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별도로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를 연결하여 각각 자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1연결플레이트(731)와 제2연결플레이트(732); 및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제4자성플레이트(514), 제1연결플레이트(731) 및 제2연결플레이트(732) 중 하나 이상에 각각 권선되어 설치되는 코일(550);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a bidirectional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70 capable of on / off control of magnetic force externally diverted to the outside includes a fixed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a second magnetic plate 512; A first permanent magnet 521 attach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 fifth magnetic plate 711 and a sixth magnetic plate 712 fix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 third permanent magnet 721 attached to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A connection shaft 530 to which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are connected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a fourth magnetic plate 514 formed to be reciprocatable along the connection shaft 530; A second permanent magnet 522 attached to one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facing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 fourth permanent magnet 722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facing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A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a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separately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so as to form a magnetic path, A connecting plate 731 and a second connecting plate 732; And a coil 550 wound on at least one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the first connection plate 7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732 .

이때,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 제2자성플레이트(512), 제1영구자석(521), 제3자성플레이트(513), 제4자성플레이트(514), 제2영구자석(522), 연결축(530), 제1연결플레이트(731) 및 코일(550)은 앞서 자기력선제어기(50)의 구성과 동일한 것이며, 상기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70)은 결국 상기 자기력선제어기(50) 2개를 반대방향으로 이어놓은 것과 같은 구조이므로, 상기 제5자성플레이트(711), 제6자성플레이트(712), 제3영구자석(721), 제4영구자석(722), 제2연결플레이트(732)는 각각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 제2자성플레이트(512), 제1영구자석(521), 제2영구자석(522), 제1연결플레이트(731)에 대응되는 구성이므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해 별도의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이때,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는 물리적으로는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나, 실제 자기적으로는 상측부분과 하측부분이 각각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731)와 제2연결플레이트(732)를 기준으로 나뉘어 자로가 형성되는 형태를 이룬다. At this time,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the second permanent magnet 522, The connection axis 530, the first connection plate 731 and the coil 55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50. The bidirectional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70 eventually controls the two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s 50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the third permanent magnet 721, the fourth permanent magnet 722, the second connecting plate 732, Respectively correspon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the second permanent magnet 522 and the first connection plate 731, A separ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t this time,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magnetically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late 731 and 2 connecting plates 732 are formed.

한편, 상기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70)은,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를 각각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로부터 이격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수단(561)과 제2탄성수단(562); 및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를 각각 상기 제5자성플레이트(711)와 제6자성플레이트(712)로부터 이격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탄성수단(741)과 제4탄성수단(74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3탄성수단(741)과 제4탄성수단(742) 역시 상기 제1탄성수단(561)과 제2탄성수단(562)에 대응되는 구성이다. The bidirectional magnetic force line controller 70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 first elastic means (561) and a second elastic means (562); A third elastic means 741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separate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from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The fourth elastic means 741 and the fourth elastic means 742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first elastic means 561 and the second elastic means 562, .

또한, 상기 코일(550)은,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하는 일측에 각각 권선되어 설치되는 제1코일(551)과 제2코일(552); 및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제5자성플레이트(711)와 제6자성플레이트(712)를 향하는 타측에 각각 권선되어 설치되는 제3코일(553)과 제4코일(554);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3코일(553)과 제4코일(554) 역시 상기 제1코일(551)과 제2코일(552)에 대응되는 구성이다. The coil 550 is wound on one side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toward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 first coil 551 and a second coil 552; And a third coil 553 woun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toward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And the fourth coil 554 and the third coil 553 correspond to the first coil 551 and the second coil 552. The first coil 551 and the second coil 552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도 8을 참조하여 제어부(미도시)의 제어하에 상기 자기력선제어기(50)의 제1코일(551), 제2코일(552), 제3코일(553) 및 제4코일(554)에 순방향(+,-) 전류가 인가된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1코일(551)은 순방향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의 제1자성플레이트(511)를 향하는 일단에 제1자성플레이트(511)에 형성된 극성(일 예로, N극)과 동일한 극성(일 예로, N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권선되고, 상기 제3코일(553)도 제1코일(551)과 동일하게 권선되어 순방향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의 제5자성플레이트(711)를 향하는 타단에 제5자성플레이트(711)에 형성된 극성(일 예로, N극)과 반대되는 극성(일 예로, S극)이 형성되며, 반대로 상기 제2코일(552)은 순방향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하는 일단에 제2자성플레이트(512)에 형성된 극성(일 예로, S극)과 동일한 극성(일 예로, S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권선되고, 상기 제4코일(554)도 제2코일(552)과 동일하게 권선되어 순방향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제6자성플레이트(712)를 향하는 타단에 제6자성플레이트(712)에 형성된 극성(일 예로, S극)과 반대되는 극성(일 예로, N극)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코일(551), 제2코일(552), 제3코일(553) 및 제4코일(554)에 순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하는 일단에는 각각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에 형성된 극성과 동일한 극성이 형성되어 제3자성플레이트(513)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일단과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 사이에는 밀어내는 척력이 발생하고, 반대로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제5자성플레이트(711) 및 제6자성플레이트(712)를 향하는 타단에는 각각 제5자성플레이트(711) 및 제6자성플레이트(712)에 형성된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이 형성되어 제3자성플레이트(513)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타단과 제5자성플레이트(711) 및 제6자성플레이트(712) 사이에는 당기는 인력이 발생되므로,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는 제5자성플레이트(711) 및 제6자성플레이트(712)와 맞닿는 상태가 된다(①방향으로 이동함). 이때, 상기 제1영구자석(521)의 자기력을 살펴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영구자석(521)의 N극에서는 그와 맞닿아 있는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를 통해 나오는 자로가 폐자로를 형성하지 못하고(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방향으로 가지 못하고) 외부를 향해(외부 공간을 거쳐 상기 제2자성플레이트(512) 방향으로) 자기력을 발산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제3영구자석(721)의 자기력을 살펴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영구자석(721)의 N극에서는 그와 맞닿아 있는 상기 제5자성플레이트(711)를 통해 나오는 자로가 제5자성플레이트(711)에서 제3자성플레이트(513)로 그리고 제4영구자석(722)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를 거쳐 제6자성플레이트(712)로 각각 자로가 형성되는 폐자로가 형성되므로, 종국에는 제3영구자석(721)의 자기력은 제5자성플레이트(711)와 제6자성플레이트(712)의 외부로는(외부를 향하여는) 자기력을 발산하지 않게 된다. The first coil 551, the second coil 552, the third coil 553 and the fourth coil 554 of the magnetic-force-line controller 50 in the forward direction (FIG. 8)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first coil 551 is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when a forward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The third coil 553 is wound so as to have the same polarity (for example, N pole) as that of the polarity (for example, N pole) formed on the plate 511, and the third coil 553 is wound like the first coil 551 (For example, N pole) formed on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facing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when a forward current is applied, The second coil 552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of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when the forward power is applied thereto, And the fourth coil 554 is wound so as to have the same polarity (for example, S pole) as the polarity (for example, S pole) formed in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t one end, (For example, S pole) formed on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at the other end of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facing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when the forward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The second coil 552, the third coil 553 and the fourth coil 554 are applied with a forward curr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oil 551, the second coil 552, the third coil 553 and the fourth coil 554, A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a second magnetic plate 511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toward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512 are formed so that one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at the other end toward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Polarities opposite to the polarities formed on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are forme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nd the other end of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connected to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In the direction of ①).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at the N pol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is a magnetic field generated through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contacting the magnetic pol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via the outer space) without generating a magnetic path (not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conversely, the third permanent magnet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which comes in contact with the N pole of the third permanent magnet 721 is reflected by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Since the closed magnetic path formed by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via the fourth permanent magnet 722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is formed,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721 is transmitted to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and sixth Out of the castle plate 712 is not shed (are towards the outside), the magnetic force.

도 9를 참조하여 제어부(미도시)의 제어하에 상기 자기력선제어기(50)의 제1코일(551), 제2코일(552), 제3코일(553) 및 제4코일(554)에 반대로 역방향(-,+) 전류가 인가된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1코일(551)은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의 제1자성플레이트(511)를 향하는 일단에 제1자성플레이트(511)에 형성된 극성(일 예로, N극)과 반대되는 극성(일 예로, S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권선되고, 상기 제3코일(553)도 제1코일(551)과 동일하게 권선되어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의 제5자성플레이트(711)를 향하는 타단에 제5자성플레이트(711)에 형성된 극성(일 예로, N극)과 동일한 극성(일 예로, N극)이 형성되며, 반대로 상기 제2코일(552)은 역방향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하는 일단에 제2자성플레이트(512)에 형성된 극성(일 예로, S극)과 반대되는 극성(일 예로, S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권선되고, 상기 제4코일(554)도 제2코일(552)과 동일하게 권선되어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제6자성플레이트(712)를 향하는 타단에 제6자성플레이트(712)에 형성된 극성(일 예로, S극)과 동일한 극성(일 예로, S극)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코일(551), 제2코일(552), 제3코일(553) 및 제4코일(554)에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향하는 일단에는 각각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에 형성된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이 형성되어 제3자성플레이트(513)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일단과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 사이에는 당기는 인력이 발생하고, 반대로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제5자성플레이트(711) 및 제6자성플레이트(712)를 향하는 타단에는 각각 제5자성플레이트(711) 및 제6자성플레이트(712)에 형성된 극성과 동일한 극성이 형성되어 제3자성플레이트(513)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타단과 제5자성플레이트(711) 및 제6자성플레이트(712) 사이에는 밀어내는 척력이 발생되므로,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는 제1자성플레이트(511) 및 제2자성플레이트(512)와 맞닿는 상태가 된다(②방향으로 이동함). 이때, 상기 제1영구자석(521)의 자기력을 살펴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영구자석(521)의 N극에서는 그와 맞닿아 있는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를 통해 나오는 자로가 제1자성플레이트(511)에서 제3자성플레이트(513)로 그리고 제2영구자석(522)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를 거쳐 제2자성플레이트(512)로 각각 자로가 형성되는 폐자로가 형성되므로, 종국에는 제1영구자석(521)의 자기력은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의 외부로는(외부를 향하여는) 자기력을 발산하지 않게 되고, 반대로 상기 제3영구자석(721)의 자기력을 살펴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영구자석(721)의 N극에서는 그와 맞닿아 있는 상기 제5자성플레이트(711)를 통해 나오는 자로가 폐자로를 형성하지 못하고(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 방향으로 가지 못하고) 외부를 향해(외부 공간을 거쳐 상기 제6자성플레이트(712) 방향으로) 자기력을 발산하게 된다. The second coil 552, the third coil 553 and the fourth coil 554 of the magnetic-force line controller 50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first coil 55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facing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when a reverse current is applied, (For example, S pole) opposite to the polarity (for example, N pole) formed in the magnetic plate 511, and the third coil 553 is also woun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coil 551 (For example, N pole) formed on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facing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when a reverse current is applied, The second coil 552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gnetic plate 514 of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when reverse power is applied thereto, (For example, S-pole) opposite to the polarity (for example, S-pole) formed in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ourth coil 554 The second magnetic plate 712 is woun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coil 552 and is woun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of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in a polarity A reverse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551, the second coil 552, the third coil 553 and the fourth coil 554 by forming the same polarity (for example, S pole)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toward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 polarity opposite to the polarity formed on the magnetic plate 512 is formed so that one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 pulling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plates 512 and 513 and conversely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toward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And the other ends thereof have the same polarity as the polarity formed on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nd the other end of the fifth magnetic plate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pressed against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 (In the direction of (2)). As described above, magnetic force exerted through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N pol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contacts the magnetic pol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A closed magnetic path is formed in which magnetic paths are formed respectively from the one magnetic plate 511 to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o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via the second permanent magnet 522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eventually does not radiate a magnetic forc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nd conversely,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721 can not form a closed magnetic path from the magnetic pole of the third permanent magnet 721 through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in contact with the N pole of the third permanent magnet 721 (Not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toward the outside Through the space to said sixth magnetic plate (712) direction), the magnetic force is divergence.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70)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가 중앙부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 그리고 제5자성플레이트(711)와 제6자성플레이트(712)를 향하여 각각 따로 왕복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앞서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의 외부 방향으로 자기력이 발산될 때 제5자성플레이트(711)와 제6자성플레이트(712)는 외부로 자기력을 발산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 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 그리고 제5자성플레이트(711)와 제6자성플레이트(712)가 동시에 외부로 자기력을 발산하거나 또는 동시에 외부로 자기력을 발산하지 않게 되는 경우도 가능하게 된다. 다만, 그 구성요소는 앞서와 동일하므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해 별도의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10,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bi-directional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70, and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nd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respectively. When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When the magnetic force is diverted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do not emit magnetic force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hat the plate 512 and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simultaneously emit magnetic force to the outside or simultaneously do not emit magnetic force to the outside. However, since the constituent element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a separate explanation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구현되는 모터는 앞서 설명한 자기력선제어기(50)과 함께 상기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70)을 활용하여, 일 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으로 고정자(10)를 가운데 두고 양쪽에 회전자(30)가 배치되는 이중 구조 내지 그 이상의 다중 구조를 적용함에 있어, 양쪽의 회전자(30)에는 자기력선제어기(50)을, 가운데에서 양쪽 회전자(30)와 대향되어야 하는 고정자(10)에는 상기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70)을 활용하여 배치함으로써 모터의 전체적인 구조적(형태적) 기능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자(10)와 회전자(30)는 각각 평면상에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회전자(30)는 2의 배수, 고정자(10)는 3의 배수로 각각 균등하게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는 일 예로 3상으로 구현되는 경우이나,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 각각 회전자(30)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고정자(10)와 회전자(30)의 극성제어는 앞서 도 6을 토대로 설명드린 것과 동일한 원리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해 생략토록 한다. The motor implemented in the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utilizing the bi-directional magnetic-field line controller 70 together with the magnetic-field-line controller 50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50 is provided on both the rotors 30 and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5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otor 30 so as to face both the rotors 30 Directional magnetic flux line controller 70 can be disposed in the stator 10 for improving the overall structural (functional) functional efficiency of the motor. At this time, the stator 10 and the rotor 30 are arranged on the plane, respectively,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11 and 12, the rotor 30 is divided into a multiple of 2, And may be arranged radially.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in three phases, but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The polarity control of the stator 10 and the rotor 30 according to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rotor 30 in FIGS. 11 and 12 is the same principl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To avoid it.

또한, 본 발명의 모터에서는, 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자(10)와 회전자(30) 모두가 자기력선제어기(50)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 1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도 13에서는 일 예로 회전자(30)(회전자로 상기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70)이 사용된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그에 대응되는 고정자(10) 역시 동일한 원리로 중첩 배치됨), 고정자(10)와 회전자(30)는 각각 높이 방향으로 2겹 이상으로 중첩되어 배치되고(즉, 쌍을 이루는 고정자(10)와 회전자(30)가 2겹 이상 병렬 연결되어 일체로 하나의 모터를 형성하고), 중첩된 각각의 겹마다 고정자(10)와 회전자(30)는 각각 일정 각도 엇갈려 배치됨으로써, 모터의 구동시 발생할 수 있는 코깅(cogg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both the stator 10 and the rotor 30 constituting the motor are formed by the magnetic-force line controller 50, as shown in Fig. 13 (in Fig. 13, The stator 10 and the rotor 30 are arranged such that the stator 10 and the rotor 30 are connected to the stator 10 and the rotor 30, respectively, (That is, the pair of stator 10 and the rotor 30 are connected in parallel in two or more layers so that one motor is integrally formed), and each superposed layer The stator 10 and the rotor 30 are arranged to be staggered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thereby preventing a cogging phenomenon that may occur when the motor is driven.

한편, 앞서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상기 제1영구자석(521)의 자기력(자로)을 살펴보면, 제1영구자석(521)의 N극에서는 그와 맞닿아 있는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를 통해 나오는 자로가 그와 맞닿아 있는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를 향하고, 제2영구자석(522)와 제4자성플레이트(514)를 거쳐 상기 제2자성플레이트(512) 및 제1영구자석(521)의 S극으로 연결되는 폐자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실제적으로는 매우 미약한 양이기는 하나, 상기 폐자로가 아닌 상기 제2영구자석(522)으로부터 제4자성플레이트(514), 연결플레이트(540), 제3자성플레이트(513)을 거쳐 형성되는 누설자로가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누설자로의 형성에 따라 제1영구자석(521)의 자기력 중 극히 일부가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3, the magnetic force (magnetic path)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at the N pol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Is directed to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and the first magnetic plate 514 via the second permanent magnet 522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The magnetic flux generated from the second permanent magnet 522 to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which is not a magnetic flux, is generated. However, in this case, A connection plate 540 and a third magnetic plate 513 may be formed in the first magnetic plate 521. As a result of the formation of the leakage magnetic path, a very small part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is appli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may be diverted to the outside .

따라서, 이러한 경우까지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일단이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에 맞닿게 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타단은 상기 연결플레이트(540)으로부터 일정 간격(G) 이격될 수 있게 형성(이를 위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타단과 연결플레이트(540)의 분리된 부위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제1보조탄성수단(571)과 제2보조탄성수단(572)가 형성될 수 있음)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미약한 누설자로의 형성마저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제1영구자석(521)의 자기력 중 극히 일부라도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14, one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magnetic plate 514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6. In this case, The other ends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plate 5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G A separate first auxiliary elastic means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eparated portions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nd the connecting plate 540 571 and the second auxiliary resilient means 572 may be formed) so that even the formation of such a weak leakage path can be prevented, so that even a small part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It is possible to prevent it from being divert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70)의 경우에도 동일한 논리로, 앞서 도 8에서의 상기 제3영구자석(721)의 자기력(자로)을 살펴보면, 제3영구자석(721)의 N극에서는 그와 맞닿아 있는 상기 제5자성플레이트(711)를 통해 나오는 자로가 제5자성플레이트(711)에서 제3자성플레이트(513)로 그리고 제4영구자석(722) 및 제4자성플레이트(514)를 거쳐 제6자성플레이트(712)로 각각 자로가 형성되는 폐자로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때 실제적으로는 매우 미약한 양이기는 하나, 상기 폐자로가 아닌 제4영구자석(722)로부터 제4자성플레이트(514), 제2연결플레이트(732), 제3자성플레이트(513)을 거쳐 형성되는 누설자로가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누설자로의 형성에 따라 제3영구자석(721)의 자기력 중 극히 일부가 제5자성플레이트(711)와 제6자성플레이트(712)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bidirectional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70, the magnetic force (magnetic path) of the third permanent magnet 721 in FIG. 8 is the same as that of the third permanent magnet 721. In the N pole of the third permanent magnet 721, A magnetic flux generated through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in contact therewith passes from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to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rough the fourth permanent magnet 722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The magnetic flux generated from the fourth permanent magnet 722 to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not shown in the figure), which is a very small amount, is generated by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A leakage magnetic path form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late 732 and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may be generated and an extremely small part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third permanent magnet 721 may be generated in the fifth And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gnetic plate 711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A case may arise.

따라서, 이러한 경우까지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타단(하측단)이 상기 제5자성플레이트(711)와 제6자성플레이트(712)에 맞닿게 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중앙 부분에서는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732)로부터 일정 간격(G1) 이격될 수 있게 (연결구조를)형성(이를 위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중앙 부분과 제2연결플레이트(732)의 분리된 부위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제3보조탄성수단(751)과 제4보조탄성수단(752)가 형성될 수 있음)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미약한 누설자로의 형성마저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제3영구자석(721)의 자기력 중 극히 일부라도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15, the other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the lower end of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is in contact with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732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4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73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G1 A third auxiliary elastic means 751 and a fourth auxiliary elastic means 752 may be formed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portion where the first auxiliary elastic means 752 and the fourth auxiliary elastic means 752 are provided) Even a very small part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third permanent magnet 721 It may be able to prevent the mountain.

또한, 반대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일단(상측단)이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에 맞닿게 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731)로부터 일정 간격(G2) 이격될 수 있게 (연결구조를)형성(이를 위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의 중앙 부분과 제1연결플레이트(731)의 분리된 부위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제1보조탄성수단(571)과 제2보조탄성수단(572)가 형성될 수 있음)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미약한 누설자로의 형성마저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제1영구자석(521)의 자기력 중 극히 일부라도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16, one end (an upper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G2 from the first connection plate 731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 separate first auxiliary elastic means 571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central portions of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nd the separated portions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731 for this purpose, And the second auxiliary elastic means 572 can be formed on the first permanent magnet 521.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formation of the weak leakage path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such a problem.

한편, 이는 앞서 도 10에서 예로 든 바와 같이, 상기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70)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513)와 제4자성플레이트(514)가 중앙부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제1자성플레이트(511)와 제2자성플레이트(512), 그리고 제5자성플레이트(711)와 제6자성플레이트(712)를 향하여 각각 따로 왕복이동이 가능한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미약한 누설자로의 형성이 예상될 수 있는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시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도 16에 도시된 원리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이는 도 15에 도시된 원리 역시 동일함). 다만,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해 별도의 중복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10, the third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the center, and the first magnetic plate 513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514 ar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Even when a structure capable of reciprocating separately from the magnetic plate 511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512 toward the fifth magnetic plate 711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712 is applied, As shown in FIG. 17, the same principle as shown in FIG. 16 can be applied as it is in this case (the principle shown in FIG. 15 is also the same). However, in order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a separate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scope.

10: 고정자 30: 회전자
50: 자기력선제어기 511: 제1자성플레이트
512: 제2자성플레이트 513: 제3자성플레이트
514: 제4자성플레이트 521: 제1영구자석
522: 제2영구자석 530: 연결축
540: 연결플레이트 550: 코일
551: 제1코일 552: 제2코일
553: 제3코일 554: 제4코일
561: 제1탄성수단 562: 제2탄성수단
571: 제1보조탄성수단 572: 제2보조탄성수단
70: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 711: 제5자성플레이트
712: 제6자성플레이트 721: 제3영구자석
722: 제4영구자석 731: 제1연결플레이트
732: 제2연결플레이트 741: 제3탄성수단
742: 제4탄성수단 751: 제3보조탄성수단
752: 제4보조탄성수단
10: stator 30: rotor
50: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511: first magnetic plate
512: second magnetic plate 513: third magnetic plate
514: Fourth magnetic plate 521: First permanent magnet
522: second permanent magnet 530: connection shaft
540: connection plate 550: coil
551: first coil 552: second coil
553: third coil 554: fourth coil
561: first elastic means 562: second elastic means
571: first auxiliary elastic means 572: second auxiliary elastic means
70: Bi-directional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711: Fifth magnetic plate
712: Sixth magnetic plate 721: Third permanent magnet
722: fourth permanent magnet 731: first connecting plate
732: second connecting plate 741: third elastic means
742: fourth elastic means 751: third auxiliary elastic means
752: fourth auxiliary elastic means

Claims (16)

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자와 회전자 중 어느 하나를 자기력선제어기로, 다른 하나를 영구자석으로 형성하고,
상기 자기력선제어기에서 코일에 흐르는 전류 제어를 통해 자기력선제어기 내 영구자석의 자로를 변경하여 상기 영구자석이 외부로 발산하는 자기력을 온/오프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
Either one of the stator and the rotor constituting the motor is constituted by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and the other is formed by a permanent mag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force line controller acquire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by using a characteristic of turning on / off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by changing the magnetic path of the permanent magnet in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through the control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Motor using magnetic flux line control of magnet.
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자와 회전자 모두를 자기력선제어기로 형성하고,
상기 자기력선제어기에서 코일에 흐르는 전류 제어를 통해 자기력선제어기 내 영구자석의 자로를 변경하여 상기 영구자석이 외부로 발산하는 자기력을 온/오프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
Both the stator and the rotor constituting the motor are formed of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force line controller acquire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by using a characteristic of turning on / off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by changing the magnetic path of the permanent magnet in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through the control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Motor using magnetic flux line control of magne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선제어기는,
고정된 제1자성플레이트와 제2자성플레이트;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 및 제2자성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1영구자석;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와 제2자성플레이트에 각각 연결되며 고정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 및 제4자성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2영구자석;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 일단을 각각 연결하여 자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 제4자성플레이트 및 연결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에 각각 권선되어 설치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
The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according to claim 1 or 2,
A fixed first magnetic plate and a second magnetic plate;
A first permanent magnet attach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A connection shaft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respectively;
A third magnetic plate and a fourth magnetic plate reciprocally formed along the connection axis;
A second permanent magnet attached to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A connection plate connecting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one end of the fourth magnetic plate to each other to form a magnetic path; And
And a coil wound around at least one of the third magnetic plate, the fourth magnetic plate, and the connection pl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선제어기는,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를 각각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와 제2자성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수단과 제2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magnetic-
And a first elastic means and a second elastic means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separate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from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respectively, The mot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에 각각 권선되어 설치되는 제1코일과 제2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il includes a first coil and a second coil wound around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respectively, and a second coi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선제어기는,
상기 제1코일과 제2코일이 각각 반대방향으로 권선되고,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제1코일 및 제2코일에 순방향(+,-) 전류를 인가하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의 제1자성플레이트를 향하는 일단에는 제1자성플레이트와 동일한 극성이 형성되고 상기 제4자성플레이트의 제2자성플레이트를 향하는 일단에도 제2자성플레이트와 동일한 극성이 형성되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 및 제4자성플레이트가 각각 제1자성플레이트 및 제2자성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므로, 상기 제1영구자석의 자기력은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 및 제2자성플레이트를 통해 외부로 발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
6. The apparatus of claim 5,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re respectively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a forward (+, -)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one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facing the first magnetic plate has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first magnetic plate,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second magnetic plat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our magnetic plate facing the second magnetic plate so that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is diver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선제어기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제1코일 및 제2코일에 역방향(-,+) 전류를 인가하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의 제1자성플레이트를 향하는 일단에는 제1자성플레이트와 반대되는 극성이 형성되고 상기 제4자성플레이트의 제2자성플레이트를 향하는 일단에도 제2자성플레이트와 반대되는 극성이 형성되어,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 및 제4자성플레이트가 각각 제1자성플레이트 및 제2자성플레이트와 맞닿게 되므로, 상기 제1영구자석의 자기력은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 제3자성플레이트, 제4자성플레이트 및 제2자성플레이트를 잇는 폐자로가 형성됨에 따라 쇄교되어 외부로는 자기력을 발산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6,
When a negative (-, +)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magnetic plat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toward the first magnetic plate,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second magnetic plat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ourth magnetic plate facing the second magnetic plate so that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is formed so as to form a closed magnetic path connecting the first magnetic plate, the third magnetic plate, the fourth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A motor using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 of a permanent magne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자와 회전자 모두가 자기력선제어기으로 형성되는 경우, 고정자와 회전자는 각각 평면상에서 회전자는 2의 배수, 고정자는 3의 배수로 각각 균등하게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
8. The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when both the stator and the rotor constituting the motor are formed of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the stator and the rotor are arranged in a radial manner in a plane on the rotor, Motor using contro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자와 회전자 모두가 자기력선제어기으로 형성되는 경우, 고정자와 회전자는 각각 높이 방향으로 2겹 이상으로 중첩되어 배치되고, 중첩된 각각의 겹마다 고정자와 회전자는 각각 일정 각도 엇갈려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
The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In the case where both the stator and the rotor constituting the motor are formed by a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the stator and the rotor are overlapped in two or more layer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stator and the rotor are stagger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ach of the overlapped layers Wherein the permanent magnets are magnetically coupl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는,
고정된 제1자성플레이트와 제2자성플레이트;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 및 제2자성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1영구자석;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 및 제2자성플레이트와 대향되는 방향에 고정된 제5자성플레이트와 제6자성플레이트;
상기 제5자성플레이트 및 제6자성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3영구자석;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와 제5자성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2자성플레이트와 제6자성플레이트를 각각 연결하며 고정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 및 제4자성플레이트의 제1자성플레이트와 제2자성플레이트를 향하는 일단에 부착되는 제2영구자석;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 및 제4자성플레이트의 제5자성플레이트와 제6자성플레이트를 향하는 타단에 부착되는 제4영구자석;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의 중앙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별도로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를 연결하여 각각 자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1연결플레이트와 제2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 제4자성플레이트, 제1연결플레이트 및 제2연결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에 각각 권선되어 설치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motor further comprises a bi-directional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Wherein the bidirectional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comprises:
A fixed first magnetic plate and a second magnetic plate;
A first permanent magnet attached to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A fifth magnetic plate and a sixth magnetic plate fix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A third permanent magnet attached to the fifth magnetic plate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A first magnetic plate and a fifth magnetic plate, and a connection shaft connected and fixed to the second magnetic plate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respectively;
A third magnetic plate and a fourth magnetic plate reciprocally formed along the connection axis;
A second permanent magnet attached to one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facing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A fourth permanent magnet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facing the fifth magnetic plate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A first connection plate and a second connection pl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to separately form a magnetic path by connecting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And
And a coil wound around at least one of the third magnetic plate, the fourth magnetic plate, the first connection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respectivel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는,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를 각각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와 제2자성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수단과 제2탄성수단; 및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를 각각 상기 제5자성플레이트와 제6자성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탄성수단과 제4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0, wherein the bidirectional magnetic-
A first elastic means and a second elastic means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separate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from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respectively; And a third elastic means and a fourth elastic means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separate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from the fifth magnetic plate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respectively, Motor using magnetic field line contro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의 제1자성플레이트와 제2자성플레이트를 향하는 일측에 각각 권선되어 설치되는 제1코일과 제2코일; 및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의 제5자성플레이트와 제6자성플레이트를 향하는 타측에 각각 권선되어 설치되는 제3코일과 제4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il includes a first coil and a second coil wound on one side of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facing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respectively; And a third coil and a fourth coil woun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facing the fifth magnetic plate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The moto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평면상에서 고정자를 중앙에 두고 양측에 회전자가 배열되거나 또는 회전자를 중앙에 두고 양측에 고정자가 배열되는 이중 구조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에는 상기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
13. The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Characterized in that the bi-directional magnetic field line controller is used for a stator or a rotor located at the center in a dual structure in which a stator is arranged on a plane on a plane and a rotor is arranged on both sides or a stator is arranged on both sides with a rotor at the center Motor using magnetic force line control of permanent magne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선제어기는,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의 일단이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와 제2자성플레이트에 맞닿게 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의 타단은 상기 연결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G) 이격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7, wherein the magnetic-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plate by a predetermined gap G (G) from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in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 Of the permanent magne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선제어기는,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의 타단과 연결플레이트의 분리된 부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제1보조탄성수단과 제2보조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
15. The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the magnetic-
And a first auxiliary elastic means and a second auxiliary elastic means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eparated portions of the third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and the connection plate, and a second auxiliary elastic means for controlling the magnetic force lines of the permanent magnet. Used moto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자기력선제어기는,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의 일단(상측단)이 상기 제1자성플레이트와 제2자성플레이트에 맞닿게 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G2) 이격될 수 있게 연결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의 중앙 부분과 제1연결플레이트의 분리된 부위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제1보조탄성수단과 제2보조탄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의 타단(하측단)이 상기 제5자성플레이트와 제6자성플레이트에 맞닿게 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G1) 이격될 수 있게 연결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3자성플레이트와 제4자성플레이트의 중앙 부분과 제2연결플레이트의 분리된 부위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제3보조탄성수단과 제4보조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선 제어를 이용한 모터.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2, wherein the bidirectional magnetic-
And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in a state where one end (upper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magnetic plate and the second magnetic plate, And a second auxiliary plate that provides a resilient force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separated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to form a connection structur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ng plate by a predetermined gap G2, Elastic means and second auxiliary elastic means,
And the other end (lower end) of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fourth magnetic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fifth magnetic plate and the sixth magnetic plate, And a third auxiliary plate which provides a resilient force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magnetic plate and the separated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nd a fourth auxiliary elastic means. The motor according to claim 1,
KR1020150023141A 2015-02-16 2015-02-16 A Motor using the control magnetic line of force of permanent magnet KR1017020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141A KR101702035B1 (en) 2015-02-16 2015-02-16 A Motor using the control magnetic line of force of permanent mag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141A KR101702035B1 (en) 2015-02-16 2015-02-16 A Motor using the control magnetic line of force of permanent magn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567A true KR20160100567A (en) 2016-08-24
KR101702035B1 KR101702035B1 (en) 2017-02-02

Family

ID=5688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141A KR101702035B1 (en) 2015-02-16 2015-02-16 A Motor using the control magnetic line of force of permanent mag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03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182A (en) * 2018-04-02 2019-10-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Rotor for motor
KR20230089277A (en) * 2021-12-13 2023-06-2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pparatus of cable connector and launcher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5875A (en) * 1980-02-14 1981-09-11 Sharp Corp Thermally operated engine
JP2008253081A (en) * 2007-03-30 2008-10-16 Taketoshi Tezuka Rotating body having eccentric gravity center and driving device thereof
KR20100070312A (en) * 2010-01-22 2010-06-25 문인수 Mo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5875A (en) * 1980-02-14 1981-09-11 Sharp Corp Thermally operated engine
JP2008253081A (en) * 2007-03-30 2008-10-16 Taketoshi Tezuka Rotating body having eccentric gravity center and driving device thereof
KR20100070312A (en) * 2010-01-22 2010-06-25 문인수 Mo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182A (en) * 2018-04-02 2019-10-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Rotor for motor
KR20230089277A (en) * 2021-12-13 2023-06-2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pparatus of cable connector and launcher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035B1 (en)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68755A (en) Magnetic motor
EP2340602B1 (en) Permanent magnet operating machine
US20060038454A1 (en) DC induction electric motor-generator
JP2018518936A (en) Electric motor
MXPA01004435A (en) A system for controlling a rotary device.
KR101702035B1 (en) A Motor using the control magnetic line of force of permanent magnet
US1002071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rotor
WO2013073416A1 (en) Dynamo-electric machine
RU2727701C2 (en) Design of electric motor
JP7277068B2 (en) Motor with rotational force output device and rotational starting force assist
KR20190129884A (en) PERMANENT MAGNET OFFSET SYSTEMS AND METHODS
JP2004147425A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US10600542B2 (en) Polarity-switching magnet diode
CN212063692U (en) Permanent magnet superposed stator brushless motor
US11172308B2 (en) Electric motor
WO2021215033A1 (en) Synchronous motor and motor assembly
RU2348098C1 (en) Electrical machine
KR20170058627A (en) Electric motor
JP2022059544A (en) motor
KR100293035B1 (en) Power generator using magnetic energy
WO2017038859A1 (en) Motor
CN111600414A (en) Permanent magnet superposed stator brushless motor
RU2216843C2 (en) Valve-type electric motor
TW201914168A (en) Concentric common magnetoelectric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output power, enhancing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d increasing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WO2016187737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magnet magnetic force and reducing attraction and repulsion in brushless dc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