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254A -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254A
KR20160100254A KR1020160016185A KR20160016185A KR20160100254A KR 20160100254 A KR20160100254 A KR 20160100254A KR 1020160016185 A KR1020160016185 A KR 1020160016185A KR 20160016185 A KR20160016185 A KR 20160016185A KR 20160100254 A KR20160100254 A KR 20160100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pack
vehicle
energy storag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젠-라이 리아오
웬-후아 리아오 후
수안-시엔 리아오
팡-잉 리아오
유-승 리아오
Original Assignee
젠-라이 리아오
팡-잉 리아오
수안-시엔 리아오
유-승 리아오
웬-후아 리아오 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라이 리아오, 팡-잉 리아오, 수안-시엔 리아오, 유-승 리아오, 웬-후아 리아오 후 filed Critical 젠-라이 리아오
Publication of KR2016010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11/18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5/00Auxiliary drives
    • B60K25/08Auxiliary drives from a ground wheel, e.g. engaging the wheel tread or rim
    • B60L11/1811
    • B60L11/1851
    • B60L11/1855
    • B60L11/1864
    • B60L11/187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9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specific means not covered by groups B60L50/10 - B60L50/50, e.g. by direct conversion of thermal nuclear energy into electri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1DC charging controlled by the charging station, e.g. mode 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2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5/00Auxiliary drives
    • B60K25/10Auxiliary drives directly from oscillating movements due to vehicle running motion, e.g. suspension movement
    • B60K2025/103Auxiliary drives directly from oscillating movements due to vehicle running motion, e.g. suspension movement by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며, 전동차 본체, 에너지 스토리지 팩, 전지 관리 시스템, 차량탑재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차 본체는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은 전동차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과 발전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에너지 스토리지 팩은 병렬연결로 설치된 복수의 전지 팩을 포함하고, 이들 전지 팩은 각각 복수의 전지 팩 유닛 및 복수의 노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 관리 시스템은 에너지 스토리지 팩 및 발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지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전지 팩들의 각각의 노드 스위치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는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 발전기 및 전지 관리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지 관리 시스템의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전지 팩들의 충방전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전지 팩 설계와 관련 제어 시스템의 작업에 의해 외부 쾌속 충전 효율성을 가지며, 나아가 전동차의 이용을 편리하게 하고 적극적으로 보급하는데 도움이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AUTOMOBILE QUICK CHARG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차체에 설치된 축전 장치를 쾌속 충전할 수 있고, 전력 장치가 지속적인 충전 작업을 수행하도록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높은 안정성과 고효능적으로 이용되는 전동차 충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현대인이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교통수단이다. 근래에 석유 고갈, 에너지 절감 및 저탄소 배출, 녹색 에너지 활용 등의 의제로 인해, 전동차 발전은 현재 및 미래의 주요한 방향이 되었다. 또한 전동차는 공기 오염과 환경 소음 등을 초래하지 않으므로 친환경 요구에 극히 부합하는 교통수단이다.
종래의 전동차 충전 및 제어 관련 기술은 전동차 산업 발전과 관련된 중요한 핵심적 사항이다. 비록 전동차 운행시 그 동력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발전 장비를 이용하여 충전하지만, 전동차의 시동 및 초기 주행 단계에서 여전히 상당한 전력 부여가 필요하고, 그래야만 전체적인 전력 공급, 충전 작업이 원활해지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종래의 전동차와 외부 발전기를 결부시킨 충전 기술은 활용 측면에서 상당한 시간 소요가 필요하여, 연료차의 사용 기동성보다 훨씬 뒤처진다. 따라서 전동차의 충전 효율 향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해야만 전동차 산업이 신속하게 발전할 수 있다. 또한, 전동차 주행 후,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도록 설치된 발전기를 이용하여 축전 장치를 충전할 수 있으나, 종래의 장비는 전지의 과충전 및 과방전, 과전류 및 과열, 충전 순서 및 효능 등을 포함한 그 전체 충전에 대한 제어 기술이 아직 완벽하지 않으며 이들을 함께 개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 전동차의 충전 효능 및 작업 제어 상의 단점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는 업계에서 연구하고 돌파해야 하는 중점 방향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전동차의 충전 효능 및 작업 제어가 이상적이지 않은 사실을 감안하여 그 해결 수단의 연구 및 구상에 착수하여 더욱 바람직한 충전 효율성, 작업 원활성 및 안정성을 가진 전동차 충전 제어 장치를 개발하여 사회 민중에 기여하고 본 업계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그리고 많은 시간을 들여 구상한 결과 본 발명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 팩 설계 및 관련 제어 시스템의 운행에 의해 외부 쾌속 충전 효율성을 가지며, 나아가 전동차의 이용을 편리하게 하고 적극적으로 보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너지 스토리지 팩의 설계(예를 들어 축전지 팩, 에너지 스토리지 팩 등) 및 관려 제어 시스템의 운행에 의해, 차체에 결합 설치되어 차체의 전진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충분히 이용하여 이를 전기에너지로 안정적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전동차 주행 후 지속되는 우수한 충전 효율성을 가지며, 충전 작업, 관리 상의 원활성 및 고효능 돌파성을 적극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상기 목적 및 기능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이용한 기술적 수단은, 전동차 본체, 에너지 스토리지 팩, 전지 관리 시스템, 차량탑재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차 본체는 적어도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은 상기 전동차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과 발전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은 병렬연결로 설치된 적어도 제1 전지 팩 및 제2 전지 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지 팩 및 상기 제2 전지 팩은 각각 복수의 전지 팩 유닛 및 복수의 노드 스위치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전지 팩 유닛은 복수의 전지가 직렬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전지 관리 시스템은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 및 상기 발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지 관리 시스템은 각각 상기 제1 전지 팩 및 상기 제2 전지 팩의 각각의 노드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는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 상기 발전기 및 상기 전지 관리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지 관리 시스템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1 전지 팩 및 제2 전지 팩의 충방전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전지 팩 유닛 사이에 노드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전지 팩 및 상기 제2 전지 팩의 양단에는 각각 노드 스위치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 전지 팩 및 제2 전지 팩 중 병렬연결되어 서로 대응하는 상기 전지 팩 유닛 사이의 상기 노드 스위치는 회로 연결선을 가지고 전기적 연결을 이룬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전지 팩 및 상기 제2 전지 팩의 상기 각각의 노드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는 외부 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기는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에 대응되는 복수의 충전 커넥터를 구비하며, 이들 충전 커넥터는 상기 제1 전지 팩 및 상기 제2 전지 팩 양단의 상기 노드 스위치에 도킹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지 팩은 1개당 40Ah의 전지 총 168개가 직렬연결되어 이루어지며, 각각의 전지는 3.6V로, 상기 제1 전지 팩으로 하여금 1시간 충전 시 24KW 파워가 발생하도록 하며, 상기 제2 전지 팩은 동일한 구성에서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으로 하여금 1시간 충전시 48KW 파워가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노드 스위치는 프로그래머블 전류 스위치로서, 상기 제1 전지 팩 및 상기 제2 전지 팩에 대해 그들 중 각각의 상기 전지 팩 유닛의 충전을 진행한다.
상기 구성은 변압 및 변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압 및 변환기의 일단은 상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변압 및 변환기의 타단은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변압 및 변환기도 상기 제1 전지 팩 및 제2 전지 팩의 각각의 노드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변압 및 변환기는 상용전기의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경하여 다수의 전류로 변환하며,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노드 스위치를 온(ON) 시켜, 상기 제1 전지 팩의 각각의 전지 팩 유닛 및 제2 전지 팩의 각각의 전지 팩 유닛이 모두 동시에 전류를 이용하여 각각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동차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구르면서 지면을 가압하는 회전 롤링체 모양이며, 상기 롤러는 푸시 로드와 연동하고, 상기 푸시 로드는 또한 연동 레버와 연동하며, 상기 연동 레버는 지속적인 왕복 변위 작동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발전기를 작동시켜 상기 발전기가 발전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그 주위 에지에 추가로 하나 이상의 등간격 돌출체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동차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적어도 하나의 푸시 슬라이딩 부재, 적어도 하나의 발전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차체의 휠 축에 피봇 연결되고, 롤링시 지면을 터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이 형성되며,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오목홈 내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푸시 로드가 형성되며,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 중 지면과 접촉하는 일단은 호형 하부를 구비하며, 상기 푸시 로드는 스프링의 떠받침으로 인해 상기 롤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발전 기구는 상기 푸시 로드의 푸시 대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성은 차체 주행시 상기 롤러의 롤링을 구동하고,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가 지면을 가압함에 따라 안으로 움츠리면서 슬라이딩하는 것에 의해 운동에너지를 상기 발전 기구에 전달하여, 상기 발전 기구가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에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오목홈에 위치 고정 및 접촉하여 상기 푸시 로드를 가압하여 밀며,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오목홈 내부에 설치된 볼 베어링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호형 하부와 대향하는 타단에 호형 상부가 형성되며, 상기 호형 상부는 호형 슬라이딩 면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의 양측에는 각각 측부 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의 양측에는 각각 측부 슬라이딩 부재가 더 연결 설치되며, 상기 측부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호형 하부의 측변에 연결되고, 상기 측부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측부 홈에서 대응하여 슬라이딩하며, 이들 측부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측부 홈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볼 베어링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구성은, 제1 전지 팩이 차내 전력 소모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고 10%~20% 전기량이 남을 때까지 전력이 소모된 경우,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는 제1 전지 팩으로 하여금 전력 공급을 일시 중단하고, 제2 전지 팩으로 하여금 제1 전지 팩 대신 전력 공급을 계속하도록 하며, 이때 모든 발전 장치는 모두 제1 전지 팩이 만충전할 때까지 제1 전지 팩을 충전하며, 상기 제2 전지 팩이 제1 전지 팩 대신 전력 공급을 계속할 때에도 10%~20% 전기량이 남을 때까지 전력이 소모된 경우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가 제2 전지 팩으로 하여금 전력 공급을 일시 중단하고 제1 전지 팩으로 하여금 다시 제2 전지 팩 대신 전력 공급을 계속하도록 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발전 장치가 제1 전지 팩과 제2 전지 팩을 교대로 충전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및 달성하는 기능 효과를 더 파악하고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 도면에 상세한 설명을 결부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부 충전에서의 응용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 흐름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장치의 실시예 형태의 제1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장치의 실시예 형태의 제2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적용의 제1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푸시 슬라이딩 부재의 분해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업 상태의 제1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업 상태의 제2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업 상태의 제3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는 회전축 또는 휠을 구비한 차체에 적용되며,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차체에 의해 구성된 전동차 본체(10)에 설치된다. 상기 전동차 본체(10)는 발전 장치(11)를 구비하고, 상기 발전 장치(11)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111)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111)는 지면을 터치하는 회전 롤링체 모양이다. 상기 롤러(111)는 푸시 로드(112)와 연동하여 푸시 로드(112)가 상하(또는 기타 방향)로 지속적인 왕복 변위 작동을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 푸시 로드(112)는 또한 연동 레버(113)와 추가로 연동하여, 마찬가지로 상기 연동 레버(113)가 지속적인 왕복 변위 작동을 진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동 레버(113)는 발전기(12)에 대해 작동하여 상기 상기 발전기(12)가 발전 작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는 에너지 스토리지 팩(20), 전지 관리 시스템(30) 및 차량탑재 컨트롤러(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에너지 스토리지 팩(20)은 상기 전동차 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20)과 상기 발전기(12)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20)은 병렬연결로 설치된 제1 전지 팩(21) 및 제2 전지 팩(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지 팩(21)은 복수의 전지 팩 유닛(210) 및 복수의 노드 스위치(212)를 포함한다. 상기 전지 팩 유닛(210)은 복수의 전지(211)가 직렬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노드 스위치(212)는 각각의 전지 팩 유닛(210)의 양단에 설치되어 내부의 상기 발전기(12)가 충전하는 노드로서 이용된다. 즉 서로 인접한 전지 팩 유닛(210) 사이에 상기 노드 스위치(212)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전지 팩(21)의 양단에도 각각 하나의 노드 스위치(212)가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전지 팩(22)은 복수의 전지 팩 유닛(220) 및 복수의 노드 스위치(222)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 팩 유닛(220)은 복수의 전지(221)가 직렬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노드 스위치(222)는 각각의 전지 팩 유닛(220)의 양단에 설치되어 충전기(60)(도 1을 참조)가 충전하는 노드로서 이용된다. 서로 인접하는 전지 팩 유닛(220) 사이에 상기 노드 스위치(222)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전지 팩(22)의 양단에도 각각 하나의 노드 스위치(22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회로 연결선(230)과 같이, 상기 제1 전지 팩(21) 및 제2 전지 팩(22)에 있어서 그들 중 병렬연결되어 서로 대응되는 전지 팩 유닛(210, 220) 사이의 노드 스위치(212, 222)는 전기적 연결을 이룬다. 상기 전지 관리 시스템(30)(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은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지 관리 시스템(30)은 각각 상기 제1 전지 팩(21) 및 제2 전지 팩(22)의 각각의 노드 스위치(212, 2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들 사이도 상기 회로 연결선(230)을 이용하여 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전지 관리 시스템(30)은 또한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40) 및 상기 발전기(12) 또는 충전기(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지 관리 시스템(30)( BMS)은 수시로 에너지 스토리지 팩(20)의 전압, 전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누전류 측정, 열 관리, 전지 밸런스 관리, 경보 알림을 수행하고, 잔여 용량, 방전 파워를 산출하고, SOC(State of Charge)&SOH(state of health)상태를 검사하고, 전지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알고리즘에 의해 최대 출력 파워를 제어하고 최적 전류의 충전 수행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충전기(60) 또는 발전기(12)는 상기 전동차 본체(10)에 대해서는 전력을 공급(충전)하는 전력 기구이다.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40)는 예를 들어 상기 회로 연결선(230)에 의해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1 전지 팩(21) 및 제2 전지 팩(22)의 각각의 노드 스위치(212, 2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40)는 또한 상기 충전기(60) 및 전지 관리 시스템(30)(BMS)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 발전기(12)에 의한 발전 후 충전을 진행하며, 외부의 충전기(60)(D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대한 외부 충전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외부의 상용전기(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대한 외부의 쾌속 충전을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40)는 차량 주행 정보를 모니터링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지 관리 시스템(30)(BMS)의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2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 전지 팩(21) 및 제2 전지 팩(22)의 충방전을 스위칭하는 근거로 한다.
종래의 전동차와 외부 발전기를 결부시킨 충전 기술은 충전 작업 시 상당한 시간 소요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몇 시간 소요하여야 전지를 만충전할 수 있어 전동차의 보급 사용을 저해하고 불편하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특정 충전 기술 설계에 의해 쾌속 충전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이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전지 팩(21)[제2 전지 팩(22)도 동일함]은 1개당 40Ah의 전지(211) 총 168개를 직렬연결하며, 각각의 전지(211)가 3.6V이므로 3.6×168=600V이다.
파워 P=I×V(전류×전압)이므로 40×600=24,000W=24KW이다.
즉, 상기 제1 전지 팩(21)은 1시간에 24KW 파워를 발생시키며,
두 세트의 전지는 1시간에 48KW 파워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외부 충전기(60)의 사양은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독립형 대출력 직류 충전기로 실시한다. 상기 충전기(60)는 3상 전류(220V)의 직류(50KW) 충전기일 수 있으며 또는 700V의 직류 충전기도 가능하다. 상기 충전기(60)는 듀얼 충전 커넥터(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전지 팩(21)[입력단의 노드 스위치(212)]와 제2 전지 팩(22)[입력단의 노드 스위치(2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하며, 1시간 내에 상기 두 세트의 전지[제1 전지 팩(21)과 제2 전지 팩(22)]를 만충전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1시간 내에 48KW 파워의 전력을 제공하여 전동차의 시동 및 초기 주행을 위한 전력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충전 효율성과 전동차 사용 편리성을 구비한다.
상기 전동차 본체(10)는 주행 후 상기 발전 장치(11)[발전기(12)]를 시동하여 발전 작업을 진행함과 동시에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20)에 대해 충전 작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 발전기(12)가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20)을 충전할 때, 상기 노드 스위치(212, 222)가 프로그래머블 전류 스위치이므로, 상기 발전기(12)가 상기 제1 전지 팩(21) 및 제2 전지 팩(22)의 각각의 노드 스위치(212, 2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설계 및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전지 팩(21) 및 제2 전지 팩(22)이 각각 충전되거나 또는 스위칭 충전이 되도록 하며, 상기 제1 전지 팩(21)[제2 전지 팩(22)도 동일함]의 1세트의 전지 팩 유닛(210)의 충전이 완료된 후(만충전), 다시 다음 세트의 전지 팩 유닛(210)의 충전 작업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노드 스위치(212, 222)의 제어에 의해 전체 제1 전지 팩(21)의 충전을 하나씩 완료하고, 이어서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하여 상기 제2 전지 팩(22)에 대해, 전체 제2 전지 팩(22)의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전지 팩 유닛(220)의 충전 작업을 하나씩 진행한다. 이와 같이 충전 효율이 고효능 충전 작업 효과를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장치(11)는 상용전기(70)에 의해 제1 전지 팩(21)과 제2 전지 팩(22)에 대해 쾌속 충전을 진행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용전기(70)(예를 들어 220V 상용전기)는 변압 및 변환기(7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변압 및 변환기(74)는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변압 및 변환기(74)는 또한 상기 제1 전지 팩(21) 및 제2 전지 팩(22)의 각 노드 스위치(212, 222)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변압 및 변환기(74)의 기능은 상용전기의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경하고 다수의 전류로 변환하는 것이다.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해 각 노드 스위치(212, 222)가 온(ON) 되어 상기 제1 전지 팩(21)의 각 세트의 전지 팩 유닛(210) 및 제2 전지 팩(22)의 각 세트의 전지 팩 유닛(210)이 모두 동시에 전류에 의해 각각 충전될 수 있도록 하므로, 충전 절차를 크게 가속화할 수 있다.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이와 같은 쾌속 충전 제어 장치는 1시간 내에 상기 제1 전지 팩(21)과 제2 전지 팩(22)을 만충전하여, 충전 효율이 고효능 충전 작업 효과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변압 및 변환기(74)는 상기 전지 관리 시스템(30) 내부에 설치되며,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변압 및 변환기(74)는 상기 전지 관리 시스템(30) 내부에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장치(11)가 전지를 교대로 충전하는 또 다른 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그 충전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제1 전지 팩(21)이 모터 또는 차내 냉방, 라이트 및 컴퓨터, 컨트롤러(40), 경보기 등 차내 전력 소모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경우, 10%~20% 전기량이 잔존할 때까지 전력을 소모한 경우,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40)는 제1 전지 팩(21)이 전력 공급을 일시 중단하고, 제2 전지 팩(22)이 제1 전지 팩(21) 대신 전력 공급을 계속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모든 발전 장치(11)는 모두 제1 전지 팩(21)이 만충전할 때까지 제1 전지 팩(21)을 충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전지 팩(22)이 제1 전지 팩(21) 대신 전력 공급을 계속하는 경우에도 10%~20% 전기량이 잔존할 때까지 전력을 소모한 경우, 차량탑재 컨트롤러(40)가 제2 전지 팩(22)이 전력 공급을 일시 중단하고, 제1 전지 팩(21)이 제2 전지 팩(22) 대신 전력 공급을 계속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발전 장치(11)는 제1 전지 팩(21)과 제2 전지 팩(22)을 교대로 충전한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이들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전 장치(11)의 다양한 실시예 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연동 레버(113)는 상기 푸시 로드(112)와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 부재는 나사 부재일 수 있고 리베트 부재일 수도 있다. 상기 롤링 시 상하 기복이 발생하는 롤러(111)는 그 주위 에지에 추가로 하나 이상의 등간격 돌출체(110)(도 5와 같음)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체(110)는 상기 롤러(111)의 주위 에지를 완전히 감싸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돌출체(110는 각각 상기 롤러(111)의 1/2 원주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111)들은 차량 주행시 구르면서 마침 지면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주행시 롤러(111)의 롤링을 구동하며, 돌출체(110)가 지면을 터치하면 연동 레버(113)는 위로 튀며, 역으로, 롤러(111)에 있어서 돌출체(110)를 구비하지 않은 부분이 지면을 터치하면, 연동 레버(113)는 발전기(12)에 가압적으로 접촉한다. 이로써, 연동 레버(113)가 상하로 튀도록 하며, 아래로 튈 때 그 운동에너지를 발전기(12)에 전달하고 발전기(12)에 의해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에너지 스토리지 팩(20)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끊임없이 중복하여 동적 위치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다시 변환을 통해 동적 위치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한 후 에너지 스토리지 팩(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발전기(12)는 페달형 발전기, 선형 발전기, 터치 가압형 발전기 또는 유압형 발전기일 수 있으며, 이들 발전기(12)는 각각 에너지 스토리지 팩(2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20)은 차량의 프론트커버 하부(또는 기타 적절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지(211, 221)는 리튬철 전지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이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장치(1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전 장치(11)는 자동차 차체 하부의 휠 축(100)에 설치되며, 상기 발전 장치(11)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115), 푸시 슬라이딩 부재(13) 및 발전 기구(300)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115)는 위치 고정 홀(114)에 의해 상기 휠 축(100)에 피봇 연결되며, 상기 롤러(115)는 자동차 휠(차륜) 외측의 롤링체일 수 있으며, 상기 롤러(115)는 지면을 터치하여 롤링 회전한다. 상기 롤러(115)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홈(120)은 아래로 약 3~10cm 정도 함몰된 홈체 모양일 수 있으며, 상기 오목홈(120) 내부에는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13)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13)는 레버체, 판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13)에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 로드(14)가 설치되며,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13)의 하방(지면과 접촉하는 일단)은 양측으로 돌출 연장된 호형 하부(15)이다. 상기 푸시 로드(14)에는 스프링(16)이 씌워지며, 상기 스프링(16)의 상부는 상기 오목홈(120)에 위치 고정 및 접촉하며, 상기 스프링(16)의 하부는 상기 푸시 로드(14)에 접촉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푸시 로드(14)는 상기 스프링(16)의 하부에 접촉 링(19)이 설치되어, 상기 푸시 로드(14)가 외측 방향으로 떠받치는 탄력 작용을 받도록 한다. 즉 상기 푸시 로드(14)는 상기 스프링(16)의 떠받침으로 인해 상기 롤러(115)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푸시 로드(14)는 볼 베어링(17)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즉, 상기 오목홈(120)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상기 볼 베어링(17)을 위치 고정하여 설치하여, 상기 푸시 로드(14)가 상기 오목홈(120) 내부에서 더욱 원활하게 슬라이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오목홈(120)의 형상은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13)의 형상과 서로 대응하며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13)보다 조금 더 크다. 이로써,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13)가 상기 오목홈(120)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13)가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상기 호형 하부(15)를 상기 롤러(115)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13)가 지면의 가압 접촉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상기 호형 하부(15)가 상기 롤러(115)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상기 호형 하부(15)의 사용 재질, 크기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호형 하부(15)는 스틸 재질을 이용하고 그 폭은 약 3~5cm이다. 한편, 상기 발전 기구(300)는 상기 푸시 로드(14)가 지면과 접촉할 때의 상대측 상방에 설치되며, 상기 발전 기구(300)는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20)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장치(11)가 작업할 때, 상기 차량의 주행으로 인해 상기 롤러(115)가 롤링하며, 상기 롤러(115)가 롤링하면, 상기 롤러(115) 외부의 호형 하부(15)가 지면을 가압하게 되며, 지면의 압력으로 인해 상기 호형 하부(15)는 상기 롤러(115)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들어간다. 이때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13)는 오목홈(120) 내부에서 위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13)의 푸시 로드(14)도 위로 슬라이딩하도록 하며, 푸시 로드(14)의 운동에너지를 상기 발전 기구(300)에 전달하고, 상기 발전 기구(300)에 의해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20)에 저장한다. 푸시 슬라이딩 부재(13)의 푸시 로드(14)가 위로 슬라이딩하면, 상기 스프링(16)은 상기 접촉 링(19)의 가압에 의해, 탄성 회복력이 발생하므로(도 9와 같음), 차량이 계속 주행할 때, 상기 롤러(115)의 전진 방향 롤링으로 인해 상기 호형 하부(15)가 지면의 가압으로부터 이탈하며, 상기 호형 하부(15)는 상기 스프링(16)의 탄성 작용을 받아 상기 롤러(115)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다음 번(한 바퀴 회전)에 상기 호형 하부(15)가 다시 지면을 가압할 때를 기다려 상기 푸시 로드(14)[푸시 슬라이딩 부재(13)]가 상기 발전 기구(300)를 떠받쳐 진행하는 발전 작업을 계속 진행한다. 이와 같이 끊임없이 순환 중복하여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한 후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20)에 저장할 수 있다.
적절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13)의 푸시 로드(14)의 상방[상기 호형 하부(15)에 대향하는 타단] 단부는 호형 상부(18)이며, 상기 호형 상부(18)는 반달형 단부와 같이 호형 슬라이딩 면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상기 호형 상부(18)의 호형 슬라이딩 면에 의해 상기 푸시 로드(14)가 상기 발전 기구(300)에 운동에너지를 전달하는 작업이 더 원활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오목홈(120)의 양측에 각각 측부 홈(121)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13)의 양측에도 각각 측부 슬라이딩 부재(131)가 더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부 슬라이딩 부재(131)는 레버체 또는 판체 모양이며, 상기 측부 슬라이딩 부재(131)는 상기 호형 하부(15)의 측변에 일체로 연결된다. 즉 상기 측부 슬라이딩 부재(131)는 상기 호형 하부(15)의 측변으로부터 상기 롤러(115)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측부 홈(121)에서 대응적으로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13)의 슬라이딩이 더 안정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13) 양측의 측부 슬라이딩 부재(131)와 상기 호형 상부(18)는 일체로 연결된다. 즉 상기 측부 슬라이딩 부재(131)는 상기 호형 하부(15)와 호형 상부(18)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13), 호형 하부(15) 및 호형 상부(18)가 일체로 연결된 고리체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푸시 로드(14)[푸시 슬라이딩 부재(13)]의 위치고정 구성과 동일하게, 상기 측부 슬라이딩 부재(131)도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볼 베어링(132)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접촉 링(134)에 스프링(133)이 접촉 설치됨으로써, 상기 볼 베어링(132)이 상기 측부 홈(121) 내부에 위치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측부 슬라이딩 부재(131)들의 슬라이딩가 더 원활해지도록 할 수 있다.
적절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호형 상부(18)와 상기 호형 하부(15)의 외형이 근접하므로, 상기 호형 상부(18)와 상기 호형 하부(15)의 기능을 서로 호환할 수 있다. 즉 상기 호형 상부(18)도, 상기 호형 하부(15)와 마찬가지로 지면을 가압하여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13)로 하여금 오목홈(120) 내부에서 위로 슬라이딩하여 푸시 로드(14)의 운동에너지를 상기 발전 기구(300)에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 발전 기구(300)에 의해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2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장치(11)가 작업할 때, 상기 롤러(115)가 한 바퀴 롤링할 때마다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횟수를 배가하여 그 발전 전기량도 배가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발전 기구(300)는, 상기 차체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고정된 고정대(31), 상기 고정대(31)에 위치 고정된 볼 베어링(33)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하방의 끝단점에 탄성 풀리(34)가 피봇 설치된 연동 레버(32), 상기 연동 레버(32)의 대응하는 작동 방향(예를 들어 상방)에 설치된 운동에너지 변환기구(50)[도면에서 운동에너지 변환기구(50)는 선형 발전기(42)이다]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이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장치(11)가 1라운드 운전할 때 상기 롤러(115), 푸시 슬라이딩 부재(13)의 푸시 로드(14) 및 발전 기구(300)의 상호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13)의 푸시 로드(14)가 위로 슬라이딩할 때, 그 운동에너지를 상기 발전 기구(300)의 연동 레버(32)의 탄성 풀리(34)에 전달하여 상기 연동 레버(32)가 위로 슬라이딩하여 그 운동에너지를 상기 운동에너지 변환기구(50)/선형 발전기(42)(도 9와 같음)에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운동에너지 변환기구(50)에 의해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지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끊임없이 순환 중복하여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이어서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전 기구(300)는 탄성 풀리(34)의 설치에 의해, 상기 연동 레버(32)가 위로 슬라이딩하여 그 운동에너지를 상기 운동에너지 변환기구(50)에 전달할 때 좌우 흔들림에 의한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 상기 연동 레버(32)가 위로 슬라이딩할 때의 작동이 더 원활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는 상기 구성에 의해, 전지 팩 설계 및 관련 제어 시스템의 작업에 의해 초기의 외부 쾌속 충전 효율성을 가질 수 있으며, 나아가 전동차의 이용을 편리하게 하고 적극적으로 보급하는데 도움이 된다. 동시에, 본 발명은 차체에 결합 설치되어, 차체의 전진에 따른 운동에너지를 충분히 이용하고 이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어, 전동차 주행 후 지속되는 우수한 충전 효율성을 가지며, 전동차의 충전 작업, 관리상의 원활성 및 고효능 돌파성을 적극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상당히 우수한 창조임이 확실하므로 법에 따라 특허출원을 제출한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으로부터 이어지는 변화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해야 할 것이다.
10: 전동차 본체 100: 휠 축
11: 발전 장치 110: 돌출체
111: 롤러 112: 푸시 로드
113: 연동 레버 114: 위치 고정 홀
115: 롤러 12: 발전기
120: 오목홈 121: 측부 홈
13: 푸시 슬라이딩 부재 131: 측부 슬라이딩 부재
132: 볼 베어링 133: 스프링
134: 접촉 링 14: 푸시 로드
15: 호형 하부 16: 스프링
17: 볼 베어링 18: 호형 상부
19: 접촉 링 20: 에너지 스토리지 팩
21: 제1 전지 팩 210: 전지 팩 유닛
211: 전지 212: 노드 스위치
22: 제2 전지 팩 220: 전지 팩 유닛
221 전지 222: 노드 스위치
230: 회로 연결선 30: 전지 관리 시스템
300: 발전 기구 31: 고정대
32: 연동 레버 33: 볼 베어링
34: 탄성 풀리 40: 차량탑재 컨트롤러
42 선형 발전기 60: 충전기
50: 운동에너지 변환기구 70: 상용전기
74: 변압 및 변환기

Claims (15)

  1.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전동차 본체, 에너지 스토리지 팩, 전지 관리 시스템, 및 차량탑재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차 본체는 적어도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은 상기 전동차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과 상기 발전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은 병렬연결로 설치된 적어도 제1 전지 팩 및 제2 전지 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지 팩 및 상기 제2 전지 팩은 각각 복수의 전지 팩 유닛 및 복수의 노드 스위치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전지 팩 유닛은 복수의 전지가 직렬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전지 관리 시스템은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 및 상기 발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지 관리 시스템은 각각 상기 제1 전지 팩 및 상기 제2 전지 팩의 각각의 노드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는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 상기 발전기 및 상기 전지 관리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지 관리 시스템의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1 전지 팩 및 제2 전지 팩의 충방전 스위칭을 제어하는,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한 전지 팩 유닛 사이에 상기 노드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전지 팩 및 상기 제2 전지 팩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노드 스위치가 연결 설치된,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지 팩 및 상기 제2 전지 팩 중 병렬연결되어 서로 대응하는 상기 전지 팩 유닛 사이의 상기 노드 스위치는 회로 연결선을 가지고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전지 팩 및 상기 제2 전지 팩의 상기 각각의 노드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는 외부의 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기는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에 대응되는 복수의 충전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충전 커넥터는 상기 제1 전지 팩 및 상기 제2 전지 팩 양단의 상기 노드 스위치에 도킹되는,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지 팩은 1개당 40Ah의 전지 총 168개가 직렬연결되어 이루어지며, 각각의 전지는 3.6V로, 상기 제1 전지 팩으로 하여금 1시간 충전 시 24KW 파워가 발생하도록 하며, 상기 제2 전지 팩은 동일한 구성에서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으로 하여금 1시간 충전시 48KW 파워가 발생하도록 하는,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스위치는 프로그래머블 전류 스위치로서, 상기 제1 전지 팩 및 상기 제2 전지 팩에 대해 상기 제1 전지 팩 및 상기 제2 전지 팩 중 각각의 상기 전지 팩 유닛의 충전을 진행하는,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변압 및 변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압 및 변환기의 일단은 상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변압 및 변환기의 타단은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변압 및 변환기도 상기 제1 전지 팩 및 제2 전지 팩의 각각의 노드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변압 및 변환기는 상용전기의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경하여 다수의 전류로 변환하며,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노드 스위치를 온(ON) 시켜, 상기 제1 전지 팩의 각각의 전지 팩 유닛 및 제2 전지 팩의 각각의 전지 팩 유닛이 모두 동시에 전류를 이용하여 각각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차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구르면서 지면을 가압하는 회전 롤링체 모양이며, 상기 롤러는 푸시 로드와 연동하고, 상기 푸시 로드는 또한 연동 레버와 연동하며, 상기 연동 레버는 지속적인 왕복 변위 작동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발전기를 작동시켜 상기 발전기가 발전하도록 하는,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그 주위 에지에 추가로 하나 이상의 등간격 돌출체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차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적어도 하나의 푸시 슬라이딩 부재, 적어도 하나의 발전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차체의 휠 축에 피봇 연결되고, 롤링 시 지면을 터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이 형성되며,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오목홈 내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푸시 로드가 형성되며, 상기 푸시 슬라이딩 중 지면과 접촉하는 일단은 호형 하부를 구비하며, 상기 푸시 로드는 스프링의 떠받침으로 인해 상기 롤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발전 기구는 상기 푸시 로드의 푸시 대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성은 차체 주행 시 상기 롤러의 롤링을 구동하고,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가 지면을 가압함에 따라 안으로 움츠리면서 슬라이딩하는 것에 의해 운동에너지를 상기 발전 기구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발전 기구가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에너지 스토리지 팩에 저장하도록 하는,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오목홈에 위치 고정 및 접촉하여 상기 푸시 로드를 가압하여 밀며,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오목홈의 내부에 설치된 볼 베어링을 관통하여 설치된,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호형 하부와 대향하는 타단에 호형 상부가 형성되며, 상기 호형 상부는 호형 슬라이딩 면을 구비하는,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의 양측에는 각각 측부 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푸시 슬라이딩 부재의 양측에는 각각 측부 슬라이딩 부재가 더 연결 설치되며, 상기 측부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호형 하부의 측변에 연결되고, 상기 측부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측부 홈에서 대응하여 슬라이딩하며, 이들 측부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측부 홈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볼 베어링을 관통하여 설치된,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지 팩이 차내 전력 소모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고 10%~20% 전기량이 남을 때까지 전력이 소모된 경우,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전지 팩으로 하여금 전력 공급을 일시 중단하고, 상기 제2 전지 팩으로 하여금 상기 제1 전지 팩 대신 전력 공급을 계속하도록 하며, 이때 모든 발전 장치는 모두 상기 제1 전지 팩이 만충전할 때까지 상기 제1 전지 팩을 충전하며, 상기 제2 전지 팩이 상기 제1 전지 팩 대신 전력 공급을 계속할 때에도 10%~20% 전기량이 남을 때까지 전력이 소모된 경우, 상기 차량탑재 컨트롤러가 상기 제2 전지 팩으로 하여금 전력 공급을 일시 중단하고 상기 제1 전지 팩으로 하여금 다시 상기 제2 전지 팩 대신 전력 공급을 계속하도록 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발전 장치가 상기 제1 전지 팩과 상기 제2 전지 팩을 교대로 충전하는,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KR1020160016185A 2015-02-13 2016-02-12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KR201601002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4105022A TW201630299A (zh) 2015-02-13 2015-02-13 車用快速充電控制裝置
TW104105022 2015-0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254A true KR20160100254A (ko) 2016-08-23

Family

ID=5531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185A KR20160100254A (ko) 2015-02-13 2016-02-12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12500B2 (ko)
EP (1) EP3056373A1 (ko)
JP (1) JP2016149931A (ko)
KR (1) KR20160100254A (ko)
CN (2) CN205417218U (ko)
TW (1) TW2016302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32262B1 (pl) * 2016-03-14 2019-05-31 Gawel Grzegorz Przetwornik drgań na energię elektryczną
CN109383185A (zh) * 2017-08-09 2019-02-26 杨林 一种凸轮车轮驱动机械装置
JP7035571B2 (ja) * 2018-01-31 2022-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KR102555910B1 (ko) * 2018-09-03 2023-07-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의 충전 방법
US11432123B2 (en) 2019-06-07 2022-08-30 Anthony Macaluso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s energy via a wireless network
US11641572B2 (en) 2019-06-07 2023-05-02 Anthony Macaluso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s energy via a wireless network
US11685276B2 (en) 2019-06-07 2023-06-27 Anthony Macaluso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ing a vehicle
US11133729B2 (en) 2019-06-07 2021-09-28 Anthony Macaluso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lectricity to a vehicle
US11837411B2 (en) 2021-03-22 2023-12-05 Anthony Macaluso Hypercapacitor switch for controlling energy flow between energy storage devices
US11289974B2 (en) 2019-06-07 2022-03-29 Anthony Macaluso Power generation from vehicle wheel rotation
US11615923B2 (en) 2019-06-07 2023-03-28 Anthony Macaluso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owering a vehicle
TWI707789B (zh) * 2019-06-24 2020-10-21 光陽工業股份有限公司 電動車輛的供電系統及方法
CN110197882A (zh) * 2019-07-03 2019-09-03 扬州道爵新能源发展有限公司 具有户外充电功能的智能型新能源汽车
CN110768351A (zh) * 2019-11-04 2020-02-07 向巴曲登 无电源电动车充电器
TWI777546B (zh) * 2021-05-06 2022-09-11 陳幸賜 電動車之輔助電能系統
US11692402B2 (en) * 2021-10-20 2023-07-04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Depth of cut control activation system
CN114006452B (zh) * 2022-01-04 2022-04-01 深圳市聚能优电科技有限公司 Ems对发电机的储能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577606B1 (en) 2022-03-09 2023-02-14 Anthony Macaluso Flexible arm generator
US11472306B1 (en) 2022-03-09 2022-10-18 Anthony Macaluso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11955875B1 (en) 2023-02-28 2024-04-09 Anthony Macaluso Vehicle energy gener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67209A (zh) * 2010-06-14 2010-10-20 施全元 电动车的自充电方法及自充电系统以及自充电电动车
CN102097838A (zh) * 2010-12-24 2011-06-15 余维 一种用于智能电池管理系统的基本单元
WO2012091402A2 (ko) * 2010-12-28 2012-07-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시스템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20102308A (ko) * 2011-03-08 2012-09-18 주식회사 만도 전기 차량용 충전장치
US9543783B2 (en) 2011-04-12 2017-01-10 Go-Tech Energy Co., Ltd. Charging module and rechargeable battery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EP2738908A1 (en) * 2011-07-28 2014-06-04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system, battery control device, electric vehicle, mobile body, and power source device
KR101865442B1 (ko) * 2011-10-28 2018-06-07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배터리 시스템
DE102012204965A1 (de) * 2012-03-28 2013-10-02 Robert Bosch Gmbh Batteriesystem, Kraftfahrzeug mit Batteriesystem und Verfahren zur Inbetriebnahme eines Batteriesystems
DE102012214446A1 (de) * 2012-08-14 2014-02-20 Robert Bosch Gmbh Schaltbare Energiespeicher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chaltbaren Energiespeichervorrichtung
TW201427849A (zh) * 2013-01-07 2014-07-16 ren-li Liao 車用發電裝置
KR20140096600A (ko) * 2013-01-28 2014-08-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그의 셀 밸런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82441A (zh) 2016-08-24
CN205417218U (zh) 2016-08-03
US10112500B2 (en) 2018-10-30
EP3056373A1 (en) 2016-08-17
JP2016149931A (ja) 2016-08-18
TW201630299A (zh) 2016-08-16
US20160236578A1 (en)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0254A (ko) 차량용 쾌속 충전 제어 장치
JP5211198B2 (ja) 負荷システム
JP6424861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
JP2012255721A5 (ko)
KR101251243B1 (ko) 전기자동차의 전원 공급 시스템
JP2007508795A (ja) バッテリ電力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384811B1 (ko) 이동형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KR20140090095A (ko) 차량용 발전 장치
JP2010057291A (ja) 車両用の電源装置
US20130076127A1 (en) Power source apparatus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power source apparatus
US20120161564A1 (en) Device and Method of Recycling Energy
KR20150109608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KR102211574B1 (ko) 보조 배터리 팩의 온도 조절 장치 및 방법
Carrilero et al. Impact of fast-charging and regenerative braking in LiFePO4 batteries for electric bus applications
US10569656B2 (en) Regenerative control device
CN104908606A (zh) 一种可自动充电自动发电的电动汽车
TWM505119U (zh) 車用快速充電控制裝置
CN117999187A (zh) 电动车辆太阳能充电系统
JP2015177733A (ja) タイヤ発電装置
CN105329398A (zh) 自发自充电动自行车
JP2016213102A (ja) バッテリ暖気装置
Ando et al. Innovative EDLC driven electric scooter with unique power supply systems
JP5906153B2 (ja) 充電装置
JP2014217194A (ja) 補助電池システム
CN102358203A (zh) 电动汽车的自供电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