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967A -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8967A KR20160098967A KR1020157037193A KR20157037193A KR20160098967A KR 20160098967 A KR20160098967 A KR 20160098967A KR 1020157037193 A KR1020157037193 A KR 1020157037193A KR 20157037193 A KR20157037193 A KR 20157037193A KR 20160098967 A KR20160098967 A KR 201600989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ing
- chip
- battery
- charging chip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 H02J7/047—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6—Arrangements using end-cell switch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3—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a programmable schedul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degree of gas development in the batter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02J7/00719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of the batter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4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dapted for charging from various sources, e.g. AC, DC or multivoltag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할 때,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제 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했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칩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상기 제 2 충전칩을 기동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의하면, 제1 충전칩이 아직 많은 열을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제1 충전칩으로부터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함으로써 제1 충전칩의 충전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 높은 열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충전칩이 연속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기 때문에 제2 충전칩의 충전 전류를 감소시킬 필요가 없고 충전칩의 충전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신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출원 번호가 201510020874.8이고 출원일이 2015년 1월 15일이며 발명의 명칭이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해당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원에 원용한다.
모바일 기기가 나날이 보급됨에 따라, 유저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시에, 충전 시간이 가능한 한 짧을 것을 기대하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의 충전 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유저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는, 충전칩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고, 충전 과정에서 충전칩이 항상 충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전체 충전 과정에서 항상 열이 발생한다. 모바일 기기를 빠른 속도로 완전히 충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충전칩의 충전 전류를 증가시켜야 하지만, 충전 전류를 증가시키면 충전칩이 높은 열을 방출하므로 유저 경험을 열화시킨다. 충전칩의 발열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충전칩의 충전 전류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지만, 이 경우, 충전칩의 충전 시간이 길어져 충전 효율이 저하되고 유저 경험을 한층 더 열화시킨다.
관련 기술중에 존재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충전할 때 대량의 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단말 기기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제1 양태에 의하면,
단말 기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할 때,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제 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했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칩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상기 제 2 충전칩을 기동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충전칩이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충전 지속 시간이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제 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충전 지속 시간이 상기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결정했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칩의 온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충전칩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에 도달했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제 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 1 충전칩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상기 제 2 충전칩을 기동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의 온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충전칩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높아졌을 경우,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적어도 1개의 충전칩의 현재 온도를 결정하여 적어도 1개의 현재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1개의 현재 온도로부터 최저 온도를 결정하고 상기 최저 온도가 상기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낮을 경우, 상기 최저 온도에 대응하는 충전칩을 상기 제 2 충전칩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최저 온도가 상기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칩의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 전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제2 양태에 의하면,
단말 기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할 때,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모듈과,
상기 제 1 결정 모듈이 상기 제 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제 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했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칩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상기 제 2 충전칩을 기동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결정 모듈은,
상기 제 1 충전칩이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 지속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서브 모듈과,
상기 제 1 결정 서브 모듈이 상기 제 1 충전 지속 시간이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에 도달했다고 결정했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결정 모듈이, 상기 제 1 충전 지속 시간이 상기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결정했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칩의 온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모듈과,
상기 제 2 결정 서브 모듈이 상기 제 1 충전칩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에 도달했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 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제 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했을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제 1 충전칩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상기 제 2 충전칩을 기동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3 결정 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결정 모듈은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의 온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3 결정 서브 모듈과,
상기 제 3 결정 서브 모듈이 상기 제 1 충전칩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높다고 결정했을 경우,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4 결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적어도 1개의 충전칩의 현재 온도를 결정하여 적어도 1개의 현재 온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4 결정 모듈과,
상기 제 4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적어도 1개의 현재 온도중에서 최저 온도를 결정하고, 상기 최저 온도가 상기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낮을 경우 상기 최저 온도에 대응하는 충전칩을 상기 제 2 충전칩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5 결정 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최저 온도가 상기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제 1 충전칩의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제3 양태에 의하면,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 기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할 때,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제 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했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칩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상기 제 2 충전칩을 기동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기술방안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현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충전칩이 시분할적으로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제1 충전칩이 아직 많은 열을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제1 충전칩으로부터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함으로써 제1 충전칩의 충전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 높은 열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충전칩이 연속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기 때문에 제2 충전칩의 충전 전류를 감소시킬 필요가 없고 충전칩의 충전 효율이 향상된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이하의 세부적인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서 이해하여서는 안 된다.
여기에 도시된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어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사용됨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 1에 따른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 2에 따른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에 적용되는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 1에 따른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 2에 따른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에 적용되는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사례를 도면에 표시한다. 하기의 서술이 도면에 관련될 때, 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술한 실시방식은 본 발명에 부합되는 모든 실시 방식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방식들은 다만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일부측면에 부합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해당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은 단말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 폰, 태블릿 PC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은, 이하의 단계S101~S102를 포함한다.
단계S101에서, 단말 기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할 때, 현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충전칩의 충전 지속 시간이 사전에 설정한 충전 시간대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제1 충전칩으로부터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충전칩의 현재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제1 충전칩으로부터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도 결정할 수 있다.
단계S102에서, 제1 충전칩으로부터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했을 경우, 제1 충전칩을 제어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제2 충전칩을 기동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는 충전칩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즉, 현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과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적어도 1개의 충전칩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충전칩은 설정한 조건에 기초하여 적어도 1개의 배터리 팁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1개의 배터리 팁의 현재 온도에 기초하여 온도가 가장 낮은 충전칩을 선정하여 제2 충전칩으로 하고, 충전 순서에 따라서 적어도 1개의 충전칩으로부터 비 충전 상태의 시간 간격이 가장 긴 충전칩을 제2 충전칩으로서 선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1개의 충전칩이 충전칩A, 충전칩B, 충전칩C를 포함할 경우, 현재 온도가 가장 낮은 충전칩이 충전칩C이면, 충전칩C를 제2 충전칩으로 하거나, 또는 제1 충전칩이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기 전에 충전칩A, 충전칩B, 충전칩C의 순서로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였다고 하면, 충전칩A의 비 충전 상태의 시간 간격이 가장 길기 때문에 충전칩A를 제2 충전칩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현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충전칩이 시분할적으로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제1 충전칩이 아직 많은 열을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제1 충전칩으로부터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함으로써 제1 충전칩의 충전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 높은 열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충전칩이 연속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기 때문에 제2 충전칩의 충전 전류를 감소시킬 필요가 없어 충전칩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단말 기기를 이용하는 유저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S101는,
제1 충전칩이 현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와,
제1 충전 지속 시간이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에 도달하였을 때, 제1 충전칩으로부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충전 지속 시간이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결정했을 경우, 제1 충전칩의 온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제1 충전칩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에 도달했을 경우 제1 충전칩으로부터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제1 충전칩을 제어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제2 충전칩을 기동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S101는,
현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의 온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제1 충전칩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높아졌을 경우, 현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적어도 1개의 충전칩의 현재 온도를 결정하여 적어도 1개의 현재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적어도 1개의 현재 온도로부터 최저 온도를 결정하고 최저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낮을 경우, 최저 온도에 대응하는 충전칩을 제2 충전칩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최저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높을 경우, 제1 충전칩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전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칩을 어떻게 제어하여 단말 기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는가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한다.
이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상술한 방법에 의하면, 제1 충전칩이 아직 많은 열을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제1 충전칩으로부터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함으로써 제1 충전칩의 충전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 높은 열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충전칩이 연속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기 때문에 제2 충전칩의 충전 전류를 감소시킬 필요가 없어 충전칩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단말 기기를 이용하는 유저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방안을 설명한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 1에 따른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충전칩의 충전 지속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제1 충전칩으로부터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지 안할지를 결정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201에서, 단말 기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할 때, 제1 충전칩이 현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 지속 시간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타이머로 제1 충전칩의 제1 충전 지속 시간을 계시할 수 있다.
단계S202에서, 제1 충전 지속 시간이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제1 충전 지속 시간이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에 도달했다고 결정했을 경우 단계S203를 실행하고, 제1 충전 지속 시간이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결정했을 경우, 단계S204를 실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가 1분간일 경우, 제1 충전칩의 충전 지속 시간이 1분간에 도달했을 때,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수 있다고 결정하고, 제2 충전칩으로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며, 이와 같이, 제2 충전칩의 충전 지속 시간이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에 도달하였을 때, 기타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충전칩으로 변환할 수 있어, 배터리를 연속적으로 충전한다.
단계S203에서, 제1 충전칩을 제어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제2 충전칩을 기동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한다.
단계S204에서, 제1 충전 지속 시간이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결정했을 경우, 제1 충전칩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에 도달했다고 결정했을 경우 단계S203를 실행하고,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결정했을 경우, 단계S201를 실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충전칩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제1 충전칩의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충전칩의 제1 충전 지속 시간이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상황에서 제1 충전칩의 온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제1 충전칩이 재료의 열화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온도 상승이 지나치게 빠르고 높은 열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 충전칩이 가능한 한 낮은 열을 방출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충전칩이 아직 많은 열을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제1 충전칩의 충전 시간 및 현재 온도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제1 충전칩으로부터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배터리를 연속적으로 충전하는 것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1 충전칩의 충전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 높은 열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충전칩은 충전하고 있지 않을 때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제2 충전칩의 충전 전류를 감소시킬 필요가 없어 비교적 큰 충전 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는것을 확보하여 충전칩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단말 기기를 이용하는 유저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 2에 따른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충전칩의 현재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제1 충전칩으로부터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지 안할지를 결정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301에서, 단말 기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할 때, 현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높은지 여부를 결정하고, 제1 충전칩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높다고 결정했을 경우 단계S302를 실행하고, 제1 충전칩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낮다고 결정했을 경우, 단계S305를 실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충전칩에 온도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제1 충전칩의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S302에서, 제1 충전칩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높아졌을 경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적어도 1개의 충전칩의 현재 온도를 결정하고 대응하는 적어도 1개의 현재 온도를 획득하여 단계S303를 실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코스트 컨트롤이 가능한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전칩을 복수개 설치함으로써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충전칩, 충전칩A, 충전칩B, 충전칩C를 설치하여, 제1 충전칩을 현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충전칩으로 하고, 충전칩A, 충전칩B 및 충전칩C를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충전칩으로 한다.
단계S303에서, 적어도 1개의 현재 온도로부터 1개의 최저 온도를 결정하고, 해당 최저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낮은지 여부를 결정하고, 해당 최저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낮을 경우 단계S304를 실행하고, 해당 최저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높을 경우 단계S306를 실행한다.
단계S304에서, 최저 온도에 대응하는 충전칩을 제2 충전칩으로 결정하고 단계S305를 실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충전칩A, 충전칩B, 충전칩C에 설치된 온도 센서에 의하여 각 충전칩에 대응하는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칩A에 대응하는 온도값이 30이고, 충전칩B에 대응하는 온도값이 35이고, 충전칩C에 대응하는 온도값이 50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이 40이며, 이 경우, 충전칩A와 충전칩B의 온도는 전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낮기 때문에, 충전칩A와 충전칩B로부터 온도의 가장 낮은 충전칩인 충전칩A를 선정하여 제2 충전칩으로 한다.
단계S305에서, 제1 충전칩을 제어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제2 충전칩을 기동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한다.
단계S306에서, 최저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높을 경우, 제1 충전칩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전류를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충전칩A, 충전칩B, 충전칩C에 설치된 온도 센서에 의하여 각 충전칩에 대응하는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칩A에 대응하는 온도값이 45이고, 충전칩B에 대응하는 온도값이 48이고, 충전칩C에 대응하는 온도값이 50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이 40이며, 이 경우, 충전칩A, 충전칩B, 충전칩C의 온도가 전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높기 때문에, 이 상황에서 배터리에 대한 충전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 충전칩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충전칩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제1 충전칩으로부터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배터리를 연속적으로 충전하는 것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1 충전칩의 충전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 높은 열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충전칩은 충전하고 있지 않을 때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제2 충전칩의 충전 전류를 감소시킬 필요가 없어 비교적 큰 충전 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확보하여 충전칩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단말 기기를 이용하는 유저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장치는,
단말 기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할 때, 현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모듈(41)과
제1 결정 모듈(41)이 제1 충전칩으로부터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했을 경우, 제1 충전칩을 제어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제2 충전칩을 기동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42)
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결정 모듈(41)은,
제1 충전칩이 현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 지속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서브 모듈(411)과
제1 결정 서브 모듈(411)이 제1 충전 지속 시간이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에 도달했다고 결정했을 경우, 제1 충전칩으로부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서브 모듈(412)
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제1 결정 서브 모듈(411)이 제1 충전 지속 시간이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결정했을 경우, 제1 충전칩의 온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모듈(43)과
제2 결정 모듈(43)이 제1 충전칩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에 도달했다고 결정하고 제1 충전칩으로부터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했을 경우, 제어 모듈(42)이 제1 충전칩을 제어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제2 충전칩을 기동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3 결정 모듈(44)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결정 모듈(41)은,
현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의 온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3 결정 서브 모듈(413)과
제3 결정 서브 모듈(413)이 제1 충전칩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높아졌다고 결정했을 경우, 현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4 결정 서브 모듈(414)
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적어도 1개의 충전칩의 현재 온도를 결정하여 적어도 1개의 현재 온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4 결정 모듈 (45)과
제4 결정 모듈(45)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1개의 현재 온도중에서 최저 온도를 결정하고, 최저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낮을 경우 최저 온도에 대응하는 충전칩을 제2 충전칩으로 사용하고, 제어 모듈(42)에 의해 제1 충전칩으로부터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제5 결정 모듈(46)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42)은, 최저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높을 경우, 제1 충전칩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실시예중의 장치에 관하여, 그의 각 모듈이 조작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이미 관련되는 방법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했기 때문에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 한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에 적용하는 장치(600)의 블럭도이다. 예를 들면, 장치(600)는, 휴대 전화,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기, 게임기, 태블릿 디바이스, 의료기기, 피트니스 설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600)는, 처리 어셈블리(602), 메모리(604), 전원 어셈블리(6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608), 오디오 어셈블리(6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612), 센서 어셈블리(614) 및 통신 어셈블리(616)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어셈블리(602)는 일반적으로 장치(600)의 전반 조작 예를 들어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처리 어셈블리(60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20)를 포함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일부 또는 전부 단계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어셈블리(602)는, 다른 어셈블리와의 인터랙션의 편의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 어셈블리(602)는 멀티미디어 어셈블리(608)와의 인터랙션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04)는 장치(600)의 조작을 지원하기 위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장치(600)에 있어서 작동하는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방법에 관한 인스트럭션, 연락처 데이터, 전화 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사진, 동영상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ROM(Read Only Member), 자기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606)는 장치(600)의 각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전원 관리 시스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및 장치(600)를 위한 전력의 생성, 관리 및 분배에 관련되는 다른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608)는 장치(600)와 유저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은, 터치 패널을 포함할 경우, 유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의 형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위에서의 제스처(gesture)를 감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나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나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되는 지속 시간이나 압력도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어셈블리(608)는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600)가 예를 들어 촬영 모드나 동영상 모드와 같은 조작 모드에 설정되는 경우,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론트 카메라 및 리어 카메라는 각각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고, 가변 초첨 거리 및 광학 줌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6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오디오 어셈블리(610)는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600)가 예를 들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또는 음성인식 모드와 같은 조작 모드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604)에 기억되거나 또는 통신 어셈블리(616)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어셈블리(6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O인터페이스(612)는 처리 어셈블리(6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음량 버튼, 시작 버튼, 잠금 버튼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614)는 장치(600)를 위하여 각 방면의 상태 평가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어셈블리(614)는 장치(600)의 온/오프 상태나 또는 어셈블리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어셈블리가 장치(6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인 경우, 센서 어셈블리(614)는 장치(600) 또는 장치(600)의 일 어셈블리의 위치 변화, 유저와 장치(600) 사이의 접촉의 유무, 장치(600)의 방위 또는 가속/감속, 또는 장치(6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614)는 아무 물리적 접촉도 없는 상황에서 부근의 물체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614)는 화상 표시 기술 분야에 이용되는 광 센서 예를 들어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센서 어셈블리(614)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616)는 장치(600)와 기타 다른 설비 사이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이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장치(600)는 통신 표준에 기반하는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어셈블리(616)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브로드캐스트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616)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NFC)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NFC 모듈은, 예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기술, UWB(Ultra Wide Band) 기술, BT(Bluetooth) 기술 및 기타 다른 기술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600)는 상술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 DSPD(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소자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600)의 프로세서(620)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상술한 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되고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휘발성 기록 매체, 예를 들어 인스트럭션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604)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휘발성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등록상표) 디스크 및 광 데이터 메모리 등일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명세서를 참조하고 또한 본 출원의 명세서에 공개된 발명을 실시하는 것을 통하여, 본 발명의 기타 다른 실시 형태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며 또한 본 출원의 명세서에 공개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상식 또는 통상의 기술 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인 변경을 포함하는 것을 취지로 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취지는 첨부되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한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 및 도면에 의해 구현되는 특정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다양한 보정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서만 한정된다.
Claims (13)
- 단말 기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할 때,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제 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했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칩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상기 제 2 충전칩을 기동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충전칩이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충전 지속 시간이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제 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 지속 시간이 상기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결정했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칩의 온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충전칩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에 도달했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제 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 1 충전칩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상기 제 2 충전칩을 기동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의 온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충전칩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높아졌을 경우,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적어도 1개의 충전칩의 현재 온도를 결정하여 적어도 1개의 현재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1개의 현재 온도로부터 최저 온도를 결정하고 상기 최저 온도가 상기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낮을 경우, 상기 최저 온도에 대응하는 충전칩을 상기 제 2 충전칩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저 온도가 상기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칩의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 전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 단말 기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할 때,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모듈과,
상기 제 1 결정 모듈이 상기 제 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제 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했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칩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상기 제 2 충전칩을 기동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정 모듈은,
상기 제 1 충전칩이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 지속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서브 모듈과,
상기 제 1 결정 서브 모듈이 상기 제 1 충전 지속 시간이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에 도달했다고 결정했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정 모듈이, 상기 제 1 충전 지속 시간이 상기 사전에 설정한 지속 시간대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결정했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칩의 온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모듈과,
상기 제 2 결정 서브 모듈이 상기 제 1 충전칩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에 도달했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 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제 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했을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제 1 충전칩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상기 제 2 충전칩을 기동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3 결정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정 모듈은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의 온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3 결정 서브 모듈과,
상기 제 3 결정 서브 모듈이 상기 제 1 충전칩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높다고 결정했을 경우,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4 결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적어도 1개의 충전칩의 현재 온도를 결정하여 적어도 1개의 현재 온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4 결정 모듈과,
상기 제 4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적어도 1개의 현재 온도중에서 최저 온도를 결정하고, 상기 최저 온도가 상기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낮을 경우 상기 최저 온도에 대응하는 충전칩을 상기 제 2 충전칩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5 결정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저 온도가 상기 사전에 설정한 온도값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제 1 충전칩의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장치.
-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 기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할 때, 현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제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대기하고 있는 제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충전칩으로부터 상기 제 2 충전칩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했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칩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상기 제 2 충전칩을 기동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510020874.8 | 2015-01-15 | ||
CN201510020874.8A CN104578372B (zh) | 2015-01-15 | 2015-01-15 | 控制终端设备充电的方法及装置 |
PCT/CN2015/093288 WO2016112726A1 (zh) | 2015-01-15 | 2015-10-30 | 控制终端设备充电的方法及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8967A true KR20160098967A (ko) | 2016-08-19 |
KR101815362B1 KR101815362B1 (ko) | 2018-01-04 |
Family
ID=5309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37193A KR101815362B1 (ko) | 2015-01-15 | 2015-10-30 |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0790690B2 (ko) |
EP (1) | EP3046212B1 (ko) |
JP (1) | JP6239154B2 (ko) |
KR (1) | KR101815362B1 (ko) |
CN (1) | CN104578372B (ko) |
MX (1) | MX354593B (ko) |
RU (1) | RU2632120C2 (ko) |
WO (1) | WO201611272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78372B (zh) | 2015-01-15 | 2018-04-27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控制终端设备充电的方法及装置 |
CN105743170B (zh) * | 2016-03-29 | 2019-07-30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一种并行充电的控制方法及终端 |
CN107769346B (zh) * | 2016-08-15 | 2021-05-04 | 深圳市朗驰欣创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充电系统 |
CN107196375B (zh) * | 2017-07-12 | 2019-11-12 |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 充电管理方法及装置、计算机装置及可读存储介质 |
CN107706993A (zh) * | 2017-11-07 | 2018-02-16 | 歌尔科技有限公司 | 充电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
CN108845261B (zh) * | 2018-03-12 | 2021-06-0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电量提示方法及终端设备 |
DE102018212927A1 (de) * | 2018-08-02 | 2020-02-06 | Audi Ag | Ladevorrichtung für Elektrofahrzeuge |
CN109066883B (zh) * | 2018-09-03 | 2020-12-2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充电电路、充电方法及电子设备 |
CN111211595B (zh) | 2020-01-14 | 2021-11-09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充电方法和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
CN113394471B (zh) * | 2020-03-13 | 2023-05-02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充电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
CN113224822B (zh) * | 2021-05-26 | 2024-04-26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一种充电控制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
CN114069771B (zh) * | 2021-10-27 | 2024-03-12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充电方法、充电装置及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90225A (ja) * | 1988-01-22 | 1989-07-31 | Fuji Electric Co Ltd | 充電器の並列運転制御方法 |
JP3130311B2 (ja) * | 1990-07-24 | 2001-01-31 | 松下電工株式会社 | 充電回路 |
JP2884942B2 (ja) * | 1992-09-17 | 1999-04-19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電気車制御装置 |
JPH0956080A (ja) * | 1995-08-10 | 1997-02-25 | Sony Corp | 充電装置 |
WO1997006591A1 (en) * | 1995-08-10 | 1997-02-20 | Sony Corporation | Charging method, charging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
JP3679681B2 (ja) * | 2000-04-05 | 2005-08-03 |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 電源装置及び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の充電方法 |
US7176654B2 (en) * | 2002-11-22 | 2007-02-13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of charging multi-cell lithium-based batteries |
JP2007020245A (ja) * | 2005-07-05 | 2007-01-25 | Ricoh Co Ltd | 充電回路及びその充電回路を備えた半導体装置 |
JP4191209B2 (ja) * | 2006-06-23 | 2008-12-03 |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による発熱緩和方法 |
JP2008083250A (ja) * | 2006-09-26 | 2008-04-10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電源制御方法 |
JP2008131803A (ja) | 2006-11-22 | 2008-06-05 | Nec Corp | 携帯端末装置 |
JP2008199752A (ja) * | 2007-02-09 | 2008-08-28 |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 充電装置 |
RU2350004C1 (ru) * | 2008-02-06 | 2009-03-20 | Евгений Владиславович Двойченко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зарядного и разрядного тока аккумулятора - система "лонглайф аккумулятор" |
RU91481U1 (ru) * | 2009-09-11 | 2010-02-10 | Некоммерческое партнерство "Инновации в электроэнергетике" (НП "ИНВЭЛ") | Установка для многопостовой зарядки аккумуляторов |
CN201690242U (zh) * | 2009-12-03 | 2010-12-29 |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 双模充电电路 |
CN102130476A (zh) * | 2010-01-18 | 2011-07-20 | 上海果壳电子有限公司 | 基于动态切换的电子设备快速充电装置及其使用方法 |
WO2011143158A2 (en) | 2010-05-13 | 2011-11-17 | Coda Automotive, Inc. | Battery charging using multiple chargers |
JP2012005330A (ja) * | 2010-06-21 | 2012-01-05 | Canon Inc | 二次電池充電制御装置 |
JP5293773B2 (ja) * | 2011-06-21 | 2013-09-1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蓄電装置用の充電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する車両、ならびに充電装置の制御方法 |
JP2013110870A (ja) * | 2011-11-21 | 2013-06-06 | Panasonic Corp | 電力変換装置 |
US9555715B2 (en) * | 2011-12-08 | 2017-01-31 | Institute For Energy Application Technologies Co., Ltd. | Rapid charging power supply system |
KR101917688B1 (ko) * | 2012-05-21 | 2018-1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KR101920236B1 (ko) * | 2012-06-19 | 2018-11-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CN103166202B (zh) | 2012-09-20 | 2015-06-24 |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 一种降低移动终端充电时发热量的系统及方法 |
CN103682493B (zh) * | 2012-09-21 | 2017-04-19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充电的方法及电子设备 |
US9590436B2 (en) * | 2013-05-24 | 2017-03-07 | Qualcomm Incorporated | Master-slave multi-phase charging |
KR102076824B1 (ko) * | 2013-06-28 | 2020-02-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보호 회로, 이를 이용한 회로 보호 방법 및 표시장치 |
RU137160U1 (ru) * | 2013-07-25 | 2014-01-27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энергет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ПО "КГЭУ") |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зарядкой аккумуляторов возобновляемых источников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
US8907631B1 (en) * | 2013-07-31 | 2014-12-09 | Qnovo Inc. | Adaptive charging technique and circuitry for a battery/cell using multiple charge circuits and temperature data |
RU142225U1 (ru) * | 2013-09-12 | 2014-06-20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Физико-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 А.Ф. Иоффе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литий-ионной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
CN203589812U (zh) * | 2013-12-03 | 2014-05-07 | 荆涛 | 一种充电底座及其供电装置 |
CN104410116A (zh) | 2014-11-18 | 2015-03-11 |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 快速充电装置和快速充电方法 |
CN104505879B (zh) | 2014-12-11 | 2017-08-25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进行充电的方法和装置 |
CN104578372B (zh) * | 2015-01-15 | 2018-04-27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控制终端设备充电的方法及装置 |
-
2015
- 2015-01-15 CN CN201510020874.8A patent/CN104578372B/zh active Active
- 2015-10-30 MX MX2016000378A patent/MX354593B/es active IP Right Grant
- 2015-10-30 RU RU2015156686A patent/RU2632120C2/ru active
- 2015-10-30 WO PCT/CN2015/093288 patent/WO2016112726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10-30 KR KR1020157037193A patent/KR10181536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10-30 JP JP2016568999A patent/JP6239154B2/ja active Active
-
2016
- 2016-01-12 US US14/993,529 patent/US10790690B2/en active Active
- 2016-01-15 EP EP16151488.0A patent/EP3046212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046212B1 (en) | 2018-07-04 |
US20160211692A1 (en) | 2016-07-21 |
JP2017506874A (ja) | 2017-03-09 |
RU2632120C2 (ru) | 2017-10-02 |
KR101815362B1 (ko) | 2018-01-04 |
MX354593B (es) | 2018-03-12 |
CN104578372A (zh) | 2015-04-29 |
JP6239154B2 (ja) | 2017-11-29 |
WO2016112726A1 (zh) | 2016-07-21 |
MX2016000378A (es) | 2016-10-13 |
EP3046212A1 (en) | 2016-07-20 |
CN104578372B (zh) | 2018-04-27 |
US10790690B2 (en) | 2020-09-29 |
RU2015156686A (ru) | 2017-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5362B1 (ko) | 단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
US10063760B2 (en) | Photographing control methods and devices | |
JP6189000B2 (ja) | アプリケーションのインストールパッケージの処理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CN106067571B (zh) | 为电池充电的方法及电子设备 | |
EP3076745B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wireless access point | |
EP328814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control | |
EP3832840A1 (en) | Charg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 |
US11743355B2 (en) | Prompting method and device | |
KR20210049709A (ko) | 배터리 충전 방법,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저장 매체 | |
EP3322227B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wireless connection,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EP3249505A1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tate of touch screen, electronic device | |
EP3866298A1 (en) | Charging method and device | |
EP3972301A1 (en) | Method for time domain configuration,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 |
JP2019537116A (ja) | 端末のスクリーンオン期間を調節する方法及びその端末 | |
US2017014713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ouch-screen sensitivity | |
CN111509789B (zh) | 充电方法及装置 | |
US11910422B2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lf-interference processing | |
US11671900B2 (en) | Access control barring method and apparatus | |
JP2021111952A (ja) | 電子機器 | |
US20230120651A1 (en) | Charg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
CN107732992B (zh) | 终端设备电源管理方法及装置 | |
CN112909366B (zh) | 充电方法及装置、终端设备、存储介质 | |
CN106255086A (zh) | 一种控制网络数据传输的方法及装置 | |
CN118074363A (zh) | 无线充电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 |
CN115882531A (zh) | 充电方法、装置及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