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760A -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760A
KR20160097760A KR1020150019976A KR20150019976A KR20160097760A KR 20160097760 A KR20160097760 A KR 20160097760A KR 1020150019976 A KR1020150019976 A KR 1020150019976A KR 20150019976 A KR20150019976 A KR 20150019976A KR 20160097760 A KR20160097760 A KR 20160097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difference
code
image
sat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813B1 (ko
Inventor
김혜림
정유철
이해광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5001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813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5Medicinal preparations ; Physical properties thereof, e.g. dissolubi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塗布) 균일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도포된 메이크업 화장품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적어도 2 이상의 국소(局所) 면적들을 지정하는 단계, b) 촬영된 이미지의 색차(色差)를 비교하는 단계 및 c) 비교된 색차로부터 도포된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도포 균일성 평가방법은 관능 평가방식 아닌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방법{Method For Evaluating Application Uniformity of Makeup Cosmetics}
본 발명은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이크업 화장품을 도포하였을 때, 균일한 두께로 피부 등에 도포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화장품은 여성의 피부에 균일한 두께로 넓게 펴 발라지는 특성이 우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품질 평가 요소 중에 하나인 발림성은 메이크업 화장품을 피부에 바르는 순간, 뭉치거나 굳어짐 없이 균일한 양이 피부에 도포되는 성질 및 사용자가 느끼는 감촉을 가리킨다.
메이크업 화장품을 피부에 바른 후에는 시간이 지날수록 땀과 피지로 인해 피부와의 밀착감이 떨어져, 메이크업 화장품이 들뜨거나 붕괴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외관을 유지하기 어렵다.
메이크업 화장품이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지 않으면, 외관에 보여지는 색감이 사용자가 원하는 색감으로 균일하게 표현되지 않고, 인위적인 느낌을 주므로 덧바름을 지속하게 된다. 발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친유성 성분인 유화 보조제, 광물질을 함유한 분체, 점증제 등을 개량하여 메이크업 화장품에 첨가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발림성을 향상시킨 다양한 메이크업 화장품이 개발되고 있음에도, 그에 대한 평가는 관능평가(官能平價)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관능평가는 각기 개성이 다른 사용자의 감각기관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주관적인 결과란 점에 문제가 있다. 특히, 발림성 중 메이크업 화장품을 펴 발랐을 때의 사용자가 느끼는 감촉은 관능평가를 진행한다 하더라도, 균일한 두께로 펴 발라지는 성질인 도포의 균일성에 대한 평가는 보다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피부의 화장품 잔도 검출 방법 및 그 장치(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1996-233733호)
본 발명은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을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 가능한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a) 도포(塗布)된 메이크업 화장품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이미지에 적어도 2 이상의 국소(局所) 면적들을 지정하는 단계; b) 촬영된 이미지의 색차(色差)를 비교하는 단계; 및 c) 비교된 색차로부터 도포된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의 도포된 이크업 화장품은 메이크업 화장품이 외압에 의해 일 방향으로 늘여져 도포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국소 면적들은 도포된 전체 면적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의 동일 거리로 이격된 위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a) 단계의 국소 면적들은 도포된 전체 면적 중, 반경 길이의 1/2 지점에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의 색차 비교는 이미지의 색상, 채도, 명도를 대비한 HSB(Hue-Saturation-brightness) 색상코드 값의 차이(D1)로부터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의 색차 비교는 이미지의 색상, 명도, 채도를 대비한 색차계(Color-Difference Meter, △E) 값을 산출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이와 다르게, 상기 b) 단계의 색차 비교는 RGB 색상코드 값의 차이로부터 산출하는 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의 도포 균일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색차에 따른 균일성을 평가한 인덱스 지표와 b) 단계에서 획득된 색차의 결과값을 매칭시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평가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a) 단계의 이미지 촬영은 동일한 또는 다른 국소 면적들에 대해 적어도 4회 이상 반복하고, 상기 b) 단계의 색차 비교는 복수의 이미지 촬영에 의해 얻어진 이미지들의 색차를 비교함에 따라 얻어진 결과 값들을 평균으로 계산한 수치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방법은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도포 균일성 정보를 제공한다. 도포된 메이크업 화장품의 전체 면적의 중심으로부터 동일 거리로 떨어진 부분을 국소 면적으로 지정함에 따라 평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색차 비교는 HSB(Hue-Saturation-Brightness) 색상 코드 값을 적용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포 균일성 평가시, 색차에 따른 균일성을 평가하는 인덱스 지표를 사용함으로써, 시험 제품간의 상대적 평가가 아닌 절대적 평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평가방법을 수행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품을 시험판에 도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3은 도 2의 도포된 메이크업 화장품의 국소 면적들을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국소 면적들을 이미지 프로 플러스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획득된 색차 값(표준편차 값을 사용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로 기술되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 방법은 a) 도포(塗布)된 메이크업 화장품의 적어도 2 이상의 국소(局所) 면적들을 이미지 촬영하는 단계, b) 촬영된 이미지의 색차(色差)를 비교하는 단계, 및 c) 비교된 색차로부터 도포된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각 단계별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a) 단계- 국소 면적 지정>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평가방법을 수행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a) 단계는 먼저 메이크업 화장품을 시험판 상면에 도구를 이용하여 도포한다(a-1). 이어서, 도포된 메이크업 화장품의 이미지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 국소(局所) 면적들을 지정한다(a-2).
(a-1) 단계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은 인체에 도포되는 것으로써, 사용자의 미용을 보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모든 화장품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메이크업 프라이머,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페이스 파우더, 콤팩트 파우더, 트윈케익, 파우더팩트, 파우더, 자외선 차단제, 컨실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메이크업 화장품은 도포 균일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대상인 제품이다.
메이크업 화장품을 도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도구는 일반적으로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메이크업 화장품은 손, 브러쉬, 스펀지 폼(Foam), 퍼프(Puff), 롤러 등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다만, 평가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이크업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해서는 실제 인체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인체 피부의 점, 피지, 피부톤, 상처, 확장된 땀구멍 등에 의해 도포된 메이크업 화장품의 이미지 촬영 시, 이미지의 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메이크업 화장품을 평평하고 단일 색을 가진 시험판(Test Plate)의 상면에 도포하여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인체의 피부와 유사한 감촉, 유연도 및 탄성을 가진 바이오 스킨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우레탄-엘라스토머(Polyurethane-elastomer)를 소재로 한 바이오 스킨 플레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우선, 일정량의 메이크업 화장품을 상기 시험판 상면에 떨어뜨린다. 이어서, 롤러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균일한 압력을 주어 일 방향으로 밀어 늘여서 도포한다. 이 때, 도포 횟수 또는 롤러 등을 사용한 롤링(rolling) 횟수는 복수회 진행도 가능하다. 다만, 시험판 상면에서 메이크업 화장품이 완전히 늘려져 도포될 때까지, 일 방향으로 롤링하는 것이 평가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a-2) 단계에서, 도포된 메이크업 화장품을 이미지 촬영한다. 촬영 방식은 동일한 조도가 도포된 부위에 조사될 수 있는 환경에서 이미지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은 국소 면적들의 색상, 명도, 채도를 담을 수 있는 해상도 높은 촬영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촬영된 이미지 상에 국소 면적들을 지정한다. “국소(局所) 면적들”이라 함은 시험판 상면에 메이크업 화장품이 도포된 영역 중에 일부분을 가리키며, 상호 이미지의 색(色)을 대비하여 도포의 균일성을 확인하기 위해 촬영될 수 있는 부분을 가리킨다. 상기 국소 면적들은 적어도 2 이상의 상호 떨어진(이격된) 위치에서 지정될 수 있다. 국소 면적들의 지정은 평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4 이상의 복수 부분을 지정할 수도 있다.
다만, 국소 면적들을 지정할 때는 도포된 메이크업 화장품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 거리로 떨어진 지점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국소 면적들은 도포된 전체 면적 중, 반경 길이의 1/2 지점을 각각 선택할 수 있다.
< b) 단계- 색차 대비>
b) 색차(色差) 대비 단계는 국소 면적들의 이미지들의 색(色)의 속성을 확인하는 단계(b-1), 색의 속성 정보를 통해 색차(色差) 값을 산출하는 단계(b-2)를 포함할 수 있다.
(b-1) 단계에서, 색의 속성 정보 확인은 이미지의 색을 세분화하여 분류한 데이터 정보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HSB(Hue-Saturation-Brightness) 색상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HSB 색상 코드는 컴퓨터 그래픽(Computer Graphic)에서 색을 기술하는데 사용되는 색 모델의 하나인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Brightness) 모델이며, 색상, 명도, 채도의 차이에 따라 분류된 코드를 제공한다. 색상(hue)은 도(°)도 표현되는 코드를 가지며, 0°의 코드에서는 적색, 60°코드에서는 황색, 120°코드에서는 녹색, 180°코드에서는 청록색, 240°코드에서는 청색, 300°코드에서는 적보라색을 나타낸다. 채도(Saturation)는 색의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양에 따라 백분율로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명도(Brightness)는 백색의 양으로서, 0%이면 흑색, 100%이면 백색으로 백분율로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코드들로부터 국소 면적들의 이미지들의 색(色)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b-1) 단계는 RGB 색상 코드를 이용하여 색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RGB 색상 코드는 적색, 녹색, 청색의 혼합에 의한 색을 정의하는 색 모델로서, 혼합된 색의 양에 따라 코드로 분류한다.
(b-2) 단계에서, 색차(色差)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색의 속성을 통해 색의 차이 정도를 수치화한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색차 값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예들의 색상 코드 값의 차이(D1, D2), 색차계(Color-Difference Meter, △E) 값 또는 이들의 평균값, 표준편차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앞서 설명한 HSB 코드들을 하기 수학식 I에 대입하여, 색상 코드 값의 차이(D1)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I]
D1 = |H1 - H2| + |S1 - S2| + |B1 - B2|
[H1, S1, B1은 제1 국소 면적의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Brightness) 코드 값 이고, H2, S2, B2는 제2 국소 면적의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Brightness) 코드 값임]
또한, 앞서 설명한 RGB 색상 코드들도 유사한 방식으로 색상코드 값의 차이(D2)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GB 색상코드를 하기 수학식 II에 대입하여 색상코드 값의 차이(D2)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II]
D2 = |R1 - R2| + |G1 - G2| + |B1 - B2|
(R1, G1, B1은 제1 국소 면적의 Red, Green, Blue 색상코드 값 이고, R2, G2, B2은 제2 국소 면적의 Red, Green, Blue 색상코드 값임)
상기 b) 단계의 색차 비교는 이미지의 색상, 명도, 채도를 대비한 색차계(Color-Difference Meter, △E) 값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a) 단계에서 동일 또는 다른 국소 면적들에 대해 4회 이상 복수 이미지를 촬영하여 복수의 색차 값이 획득된 경우, 이들의 평균으로 계산한 수치를 색차 값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국소 면적에서도 복수의 색차 값들이 획득될 수 있다. 이때는 복수의 색차 값들의 표준편차 값을 색차 값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예들은 상기 b) 단계 수행의 바람직한 예들이고, 이미지들의 색을 대비하는 방식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b) 단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c) 단계- 평가 단계>
b) 단계에서 산출된 색의 차이 비교를 통해 얻어진 결과 값을 대비하여 평가 대상인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메이크업 화장품이 균일하게 도포되었다면, 국소 면적들의 색차 값이 작게 된다. 반면, 메이크업 화장품이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았다면, 국소 면적들의 색차 값이 크게 된다. b) 단계의 예에서, HSB 코드들을 사용한 색상 코드 값의 차이(D1), RGB 코드들을 사용한 색상 코드 값의 차이(D2), 색차계(Color-Difference Meter, △E) 값 또는 이들의 표준편차 값, 평균값 등이 도포 균일성 평가의 중요 요소가 될 수 있다.
동일 조건에서 시험한, A 메이크업 화장품과 B 메이크업 화장품의 색차 값이 각각 3, 6 이라고 한다면, 상대적으로 A 메이크업 화장품이 B 메이크업 화장품보다 도포 균일성이 2배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c) 단계는 상대적 평가 방식 이외에 인덱스 지표를 이용한 절대적 평가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덱스 지표는 본 발명의 평가방법에 의해 메이크업 화장품들을 표본 조사하여 색차 값을 통계화하고, 도포의 균일성을 등급별로 구분함으로써 작성될 수 있다.
하기 표 1은 HSB 색상 코드 값의 차이(D1)를 절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도입한 인덱스 지표의 일 예이다.
등급 색차 값(HSB 색상 코드 값 차이)
1 6 이하
2 6 초과 ~ 8 이하
3 8 초과 ~ 10 이하
4 10 초과 ~ 15 이하
5 15 초과
평가 대상인 메이크업 화장품의 색상 코드 값을 본 발명의 a), b) 단계를 통해 얻고, 이를 표 1과 같은 인덱스 지표에 매칭시켜 등급을 평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품을 시험판에 도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메이크업 화장품들의 도포 균일성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사양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 바이오 스킨 플레이트
Beaulax社의 195mm X 130mm X 5mm 사이즈의 바이오 스킨 플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그 소재는 우레탄 엘라스토머(Urethane-elastomer)이다.
- 롤러(Loller)
롤 표면이 평평한 면을 갖되, 폭은 3 cm, 지름이 3.2 cm 인 롤러를 사용하였다.
- 색상 코드 감지 프로그램
이미지 프로 플러스(Image Pro-plu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미지 프로 플러스는 국소 면적들을 촬영한 이미지의 색상 속성을 나타내는 코드 값을 제공한다. 이미지 프로 플러스의 코드 값 부여 기준은 HSB(Hue-Saturation-Brightness)이며,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Brightness)의 속성을 코드 값으로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오 스킨 플레이트에 평가 대상인 메이크업 화장품 제품 1과 제품 2를 바이오 스킨 플레이트 상면에 덜어 내었다. 그 후, 롤러를 사용하여 균일한 압력을 주어 덜어낸 제품 1, 제품 2를 일 방향으로 밀어 도포하였다.
도 3은 도 2의 도포된 메이크업 화장품의 국소 면적들을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3의 이미지와 같이, 촬영된 이미지 상에 제품 1과 제품 2의 국소 면적들을 지정하였다. 국소 면적들의 지정은 HBS 색상 코드를 감하는 프로그램인 이미지 프로 플러스에서 수행하였다. 국소 면적들의 지정은 제품 1 및 제품 2가 바이오 스킨 플레이트 상면에서 도포된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동일 거리 떨어진 부분에 국소 면적 1과 국소 면적 2를 지정하였다. 아울러, 제품 2의 경우도 제품 1의 국소 면적 지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국소 면적 3과 국소 면적 4를 지정하였다.
그 후, 지정된 각각의 국소 면적들의 HSB 색상 코드 값을 이미지 프로-플러스 프로그램으로부터 획득한다. 이미지 프로-플러스 프로그램은 각각의 국소 면적들의 HBS 색상 코드 값들의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를 수치로 산출한다. 따라서, 도포의 균일성이 높으면 표준편차 값이 작게 나타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국소 면적들을 이미지 프로 플러스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획득된 색차 값(표준편차 값을 사용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품 1의 경우, 국소 면적 1은 색차 값(표준편차 값을 사용함)은 5.4이고 국소 면적 2는 5.7 이다. 제품 2의 경우, 국소 면적 3은 6.6 이고, 국소 면적 4는 10.6 이다. 제품 1이 제품 2 보다 색차 값 자체가 작아 하나의 국소 면적 안에서도 색차가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국소 면적 1과 국소 면적 2의 색차 값의 차이는 0.3이고, 국소 면적 3과 국소 면적 4의 색차 값의 차이는 4.0이다. 따라서, 제품별로 분리된 위치의 국소 면적들의 색차 차이에 있어서도 제품 1이 제품 2보다 작다. 따라서, 제품 1이 제품 2 보다 도포의 균일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a) 도포(塗布)된 메이크업 화장품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이미지에 적어도 2 이상의 국소(局所) 면적들을 지정하는 단계;
    b) 촬영된 이미지의 색차(色差)를 비교하는 단계; 및
    c) 비교된 색차로부터 도포된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도포된 메이크업 화장품은 메이크업 화장품이 외압에 의해 일 방향으로 늘여져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도포된 국소 면적들은 도포된 전체 면적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의 동일 거리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도포된 국소 면적들은 도포된 전체 면적 중, 반경 길이의 1/2 지점에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색차 비교는 이미지의 색상, 채도, 명도를 대비한 HSB(Hue-Saturation-brightness) 색상코드 값의 차이(D1)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HSB 색상 코드 값의 차이(D1)는 하기 수학식 I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 방법.

    [수학식 I]
    D1 = |H1 - H2| + |S1 - S2| + |B1 - B2|
    [H1, S1, B1은 제1 국소 면적의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Brightness) 코드 값 이고, H2, S2, B2는 제2 국소 면적의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Brightness) 코드 값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색차 비교는 이미지의 색상, 명도, 채도를 대비한 색차계(Color-Difference Meter, △E) 값을 산출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색차 비교는 RGB 색상코드 값의 차이(D2)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RGB 색상 코드 값의 차이(D2)는 하기 수학식 II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을 평가하는 방법.

    [수학식 II]
    D2 = |R1 - R2| + |G1 - G2| + |B1 - B2|
    [R1, G1, B1은 제1 국소 면적의 Red, Green, Blue 색상코드 값 이고, R2, G2, B2은 제2 국소 면적의 Red, Green, Blue 색상코드 값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도포 균일성 평가 방법은 색차에 따른 균일성을 평가한 인덱스 지표와 b) 단계에서 획득된 색차의 결과값을 매칭시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이미지 촬영은 동일한 또는 다른 국소 면적들에 대해 적어도 4회 이상 반복하고,
    상기 b) 단계의 색차 비교는 복수의 이미지 촬영에 의해 얻어진 이미지들의 색차를 비교함에 따라 얻어진 결과 값들을 평균 또는 표준편차로 계산한 수치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 방법.
KR1020150019976A 2015-02-10 2015-02-10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방법 KR102299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976A KR102299813B1 (ko) 2015-02-10 2015-02-10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976A KR102299813B1 (ko) 2015-02-10 2015-02-10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760A true KR20160097760A (ko) 2016-08-18
KR102299813B1 KR102299813B1 (ko) 2021-09-08

Family

ID=56874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976A KR102299813B1 (ko) 2015-02-10 2015-02-10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8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416A (ko) * 2016-09-22 2018-03-30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의 색상 변화량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KR102441385B1 (ko) * 2021-04-09 2022-09-07 (주)아모레퍼시픽 립 제품의 묻어남 방지 효능 평가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733A (ja) 1995-02-23 1996-09-13 Daikin Ind Ltd 肌の化粧品残度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00049190A (ko) * 2008-11-03 2010-05-12 (주)아모레퍼시픽 유용성 천연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10198382A (ja) * 2009-02-25 2010-09-09 Kao Corp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20300050A1 (en) * 2011-05-27 2012-11-29 Lvmh Recherche Method for characterizing the tone of the skin and integuments
KR20140042360A (ko) * 2012-09-28 2014-04-0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733A (ja) 1995-02-23 1996-09-13 Daikin Ind Ltd 肌の化粧品残度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00049190A (ko) * 2008-11-03 2010-05-12 (주)아모레퍼시픽 유용성 천연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10198382A (ja) * 2009-02-25 2010-09-09 Kao Corp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20300050A1 (en) * 2011-05-27 2012-11-29 Lvmh Recherche Method for characterizing the tone of the skin and integuments
KR20140042360A (ko) * 2012-09-28 2014-04-0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각질을 이용한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416A (ko) * 2016-09-22 2018-03-30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의 색상 변화량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KR102441385B1 (ko) * 2021-04-09 2022-09-07 (주)아모레퍼시픽 립 제품의 묻어남 방지 효능 평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813B1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63399B (zh) 透明感评价装置、透明感评价方法
JP5885344B2 (ja) 皮膚又は外皮の色調を特徴付けるための方法
KR101242561B1 (ko) 피부 결함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와 미용 제품의 노화방지 효능을 평가하는 방법
US20170079599A1 (en) Moisture feeling evaluation device, moisture feeling evaluation method, and moisture feeling evaluation program
JP6886487B2 (ja) 対象となるユーザに対して化粧品を選択する方法
US20230410372A1 (en) Methods for identifying pore color
JP2006290745A (ja) 化粧料の評価方法
JP2017051474A (ja) 肌の光沢評価装置、光沢評価方法および光沢評価プログラム
AU2018236734A1 (en) Method of selecting the colour of cosmetic products
JP2009082338A (ja) エントロピーを用いた肌の鑑別方法
JP2002017689A (ja) 皮膚の質感の測定法及び評価法ならびにその方法により有効性を示す組成物の使用
KR20160097760A (ko) 메이크업 화장품의 도포 균일성 평가방법
JP2008276405A (ja) 顔画像の合成方法及び合成装置
US20130245459A1 (en) Quantification of Under-Eye Skin Color
Delalleau et al. An a priori shading correction technique for contact imaging devices
KR102623438B1 (ko) 화장료의 색상 커버력 측정 시스템 및 커버력 측정 방법
JP6036782B2 (ja) 化粧料の艶の評価方法及び評価装置
KR102288806B1 (ko) 화장료의 지속성 평가 방법
Marguier et al. Color correction of uncalibrated images for the classification of human skin color
KR102587337B1 (ko) 화장료의 색상 커버력 측정 시스템 및 커버력 측정 방법
Ohtsuki et al. Appearance analysis of human skin with cosmetic foundation
He et al. Assessing skin tone heterogeneity under various light sources
KR101940054B1 (ko) 화장료의 색상 변화량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JP2018063226A (ja) 肌色評価方法、メーキャップ評価方法、及び化粧料選択方法
Jang et al. Makeup color reproduction based on spectrum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