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419A -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유산균 분말과 그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유산균 분말과 그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419A
KR20160097419A KR1020150018519A KR20150018519A KR20160097419A KR 20160097419 A KR20160097419 A KR 20160097419A KR 1020150018519 A KR1020150018519 A KR 1020150018519A KR 20150018519 A KR20150018519 A KR 20150018519A KR 20160097419 A KR20160097419 A KR 20160097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acid bacteria
extract
culture
bifid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응석
이명희
김현미
심재중
심재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Priority to KR1020150018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7419A/ko
Publication of KR20160097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4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C12R1/24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45Lactobacillus casei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금치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유산균 증식제로 포함하는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유산균 분말과 그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산균의 증식을 쉽게 할 뿐만 아니라 사멸 억제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제품 내에 유산균수가 높게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어 유산균 배양시간을 단축하고 높은 수준의 유산균수를 유지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풍미상의 문제가 없는 발효유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유산균 분말과 그들의 제조방법{Culture medium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milk containing thereof, freeze-dried powder containing thereof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유산균 분말과 그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열수 추출에 의한 시금치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단호박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유산균 증식제로 포함하는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유산균 분말과 그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통 자연계에는 수많은 미생물들이 있고, 인체 내에도 수백억 이상이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종류가 있는 반면에 유해한 세균들도 많이 있다. 인체에 유익한 미생물의 대표격인 유산균은 포도당 또는 유당과 같은 탄수화물을 분해하여 유산(乳酸)이나 초산과 같은 유기산을 생성하는 균으로, 유산균이 당으로부터 유산(乳酸)을 만드는 것을 발효라 하며, 이러한 발효과정을 거쳐서 발효유, 치즈, 버터와 같은 발효식품이 만들어져 왔다. 유산균 발효유가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된 계기는 유산균 과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러시아 태생의 생물학자인 메치니코프(Elie Metch-inikoff: 1845~1916, 1908년 노벨상 수상)에 의해서이다. 그는 1907년 <생명연장>이라는 논문을 통해 장속의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과 잔존하는 숙변 물질이 인체에 해독을 주어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자가중독증상의학설을 정립하였다. 또, 그는 유산균 발효유를 일상적으로 음용하는 불가리아 지방과 코카서스 지방에 장수하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을 근거로 유산균 발효유의 섭취가 자가중독증상의 치유는 물론, 인간의 생명연장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였고, 그의 주장은 유산균의 이용에 관한 최초의 과학적 논문으로 큰 반향을 불러 일으키기도 하였다.
한편 1930년 일본에서는 시로다박사가 누대배양이라는 배양기법을 통하여, 인체 내 위액과 담즙에 사멸하지 않는 특수 유산균인 야쿠르트균을 육성, 배양하는데 성공하여 발효유 제조 산업에 이용하게 되었다.
요구르트는 전유 또는 탈지유를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산미와 향미를 강화시킨 것으로 주원료인 우유의 영양 성분 이외에 유산균의 작용으로 생성된 젖산, 펩톤, 펩티드 등과 유산균이 함유되어 있어서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이라고 할 수 있다. 요구르트는 발효유의 원료인 유성분의 효과, 유산균의 작용에 의해 생성된 대사산물에 의한 효과, 그리고 유산균의 장내증식에 의한 정장작용 등의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참조; Hood, S.K. and Zottola, E.A.: Effect of low pH on the ability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to survive and adhere to human intestinal cells. J. Food Sci., 55 , 506-511 (1988)], 특히 유산균이 장내에서 증식함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이 감소하고, 장내 유해세균의 생육이 억제되며, 대장암의 발생률이 저하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참조; So, M.H.: Identification and tolerance-test to digestive fluids of Lactobacilli isolated from Korean liquid yogurts. Korean J. FoodSci. Technol., 17 , 192-196 (1985)]. 따라서 유산균은 인간이 이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는 유익한 미생물로서 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다양한 식품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때 유산균의 생균수는 제품 내에서 그 유산균이 기능성을 나타내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하므로 제품 내에 높은 수의 유산균이 존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보고들이 있다[참조; Du Toit, M.: Characterisation and selection of probiotic lactobacilli for a preliminary minipig feeding trial and their effect on serum cholesterol levels, faeces pH and faeces moisture content. Intl. J. Food Microbiol. 40, 93-104(1998)].
유산균은 생육을 촉진 시켜주는 물질에 의해서 생육속도 및 생균수가 증가하지만 보통 이런 과정에서 유산(乳酸)도 더 높은 농도로 생성되게 된다. 따라서 유산균 자체가 생산해내는 이 유산(乳酸) 때문에 유산균 자체가 사멸하는 특징을 나타내므로 일정농도 이상의 유산균을 함유하는 발효유를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산균의 증식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높은 산도 아래에서도 높은 수준의 유산균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0029649호(발명의 명칭: 발효유 음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서는 생강 엑기스, 차류 엑기스, 파 엑기스가 유산균을 증식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공개되어 있으나, 생강 또는 파 엑기스는 풍미에 있어서 소량 첨가된다 하여도 악영향을 미치며, 차(茶)류 엑기스는 가격이 고가이어서 경제성이 없어 제품화 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1-0037557호(발명의 명칭: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그의 제조 방법)에서는 하고초 추출물, 시금치 추출물 및 복합유화액이 유산균을 증식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공개되어 있으나, 복합유화액의 유지방의 경우 고농도의 동물성 지방을 사용하기 때문에 건강상의 이유로 소비자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주기 때문에 제품화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산균 증식 효과를 갖는 다른 식품 재료를 연구하던 중 산·열수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단호박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이 유산균을 증식시키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0029649호(발명의 명칭: 발효유 음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공개일: 2001년 4월 6일)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1-0037557호(발명의 명칭: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그의 제조 방법, 공개일: 2011년 4월 13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품 자체의 풍미에 영향을 주지 않고, 유산균 증식 촉진효과 뿐만 아니라 유산균에 대한 사멸 억제 효과를 가지며, 최종 제품에 있어서도 유산균의 안정성이 유지되는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유산균 분말과 그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열수 추출에 의한 시금치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유산균 분말과 그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열수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유산균 분말과 그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열수 추출에 의한 단호박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유산균 분말과 그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열수 추출에 의한 시금치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단호박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유산균 분말과 그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양배추는 말 그대로 서양의 배추로 지중해 연안과 소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잎은 두껍고 털이 없으며 분처럼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주름이 있어 서로 겹쳐지고 가장 안쪽에 있는 잎은 공처럼 둥글며 단단한 특징이 있다.
또한, 단호박은 여러 종류의 호박 중에 건강식으로 섭취가 가능한 서양계 호박을 일컫으며, 맛이 밤처럼 달아 밤호박이라고도 하고, 녹말과 무기염류가 풍부하고, 비타민 BㅇC가 많이 들어 있어 주식 대용으로 먹기도 한다.
이러한 양배추, 단호박 및 시금치를 이용한 양배추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및 시금치 추출물은 산을 첨가하여 pH를 3.0으로 조정한 80℃ 이상의 열수에 양배추, 단호박, 시금치를 각각 넣어 60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산·열수 추출'이란 상기와 같이 열수에 산을 첨가하여 추출하는 방법을 말한다.
상기와 같이 80℃ 이상의 열수에 산을 첨가하여 추출용매로 산성용매를 사용하는 것은 추출액 중에 함유되는 수많은 미량의 성분을 추출하여 유산균의 증식 및 높은 유산균수의 유지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상기 첨가되는 산은 식품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대표적으로 시트르산, 말산, 아세트산 등이 바람직한데, 특히 시트르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유화액은 유산균의 증식 및 높은 산도에서의 유산균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해바라기씨유, 채종유, 팜유, 팜올레인유 및 Tween 80(Polyoxyethyelene Sorbitan Monooleate)을 유화제가 함유된 정제수에 넣어 1시간 동안 혼합하여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은 유산균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글루코스(glucose), 소이펩톤(soy-peptone),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K2HPO4, MnSO4를 이용하여 제조한 배지에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을 접종하여 37℃에서 15~20시간 단일 배양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원심분리하여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HY 8001 균체를 제외한 상등액을 멸균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이란 상기와 같이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의 배양 상등액을 말한다.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은 어느 특정 균주로 제한되지는 아니하나,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HY 8001(기탁기관: 한국종균협회, 기탁일: 1995년 9월 7일, 기탁번호 제KFCC 10870호)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유산균배양액은 우유 고형분 함량이 13~14%(w/v)인 우유를 기본배지로 하고, 여기에 산·열수 추출에 의한 시금치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첨가하여 멸균배지를 만들고, 여기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35~37℃에서 3~6일 동안 배양하여 만든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배양액은 우유 고형분 함량이 13~14%(w/v)인 우유를 기본배지로 하고, 여기에 산·열수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첨가하여 멸균배지를 만들고, 여기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35~37℃에서 3~6일 동안 배양하여 만든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배양액은 우유 고형분 함량이 13~14%(w/v)인 우유를 기본배지로 하고, 여기에 산·열수 추출에 의한 단호박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첨가하여 멸균배지를 만들고, 여기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35~37℃에서 3~6일 동안 배양하여 만든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배양액은 우유 고형분 함량이 13~14%(w/v)인 우유를 기본배지로 하고, 여기에 산·열수 추출에 의한 시금치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단호박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첨가하여 멸균배지를 만들고, 여기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35~37℃에서 3~6일 동안 배양하여 만든다.
상기 유산균은 발효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높은 생균수 유지를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기탁기관: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803, 기탁일자: 1993년 12월 1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유는 산·열수 추출에 의한 시금치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유산균배양액을 균질한 후 액상과당 및 멸균수를 첨가하여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유는 산·열수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유산균배양액을 균질한 후 액상과당 및 멸균수를 첨가하여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유는 산·열수 추출에 의한 단호박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유산균배양액을 균질한 후 액상과당 및 멸균수를 첨가하여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유는 산·열수 추출에 의한 시금치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단호박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유산균배양액을 균질한 후 액상과당 및 멸균수를 첨가하여 제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유산균 분말은 산·열수 추출에 의한 시금치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유산균배양액을 원심 분리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수집하여 탈지유를 첨가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여 동결 건조하여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 분말은 산·열수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유산균배양액을 원심 분리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수집하여 탈지유를 첨가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여 동결 건조하여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 분말은 산·열수 추출에 의한 단호박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유산균배양액을 원심 분리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수집하여 탈지유를 첨가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여 동결 건조하여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 분말은 산·열수 추출에 의한 시금치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단호박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유산균배양액을 원심 분리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수집하여 탈지유를 첨가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여 동결 건조하여 제조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산·열수 추출에 의한 시금치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단호박 추출물, 비피더스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유산균배양액은 유산균의 증식을 쉽게 할 뿐만 아니라, 사멸 억제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제품 내에 유산균수가 높게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어서 유산균 배양시간을 단축하고 높은 수준의 유산균수를 유지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풍미상의 문제가 없는 발효유 등 유제품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통상적인 변화가 가능하다.
<실시예 1>
1-1. 시금치 추출물의 제조
시트르산를 넣어 pH를 3.0으로 조정한 95℃의 열수 1,000g에 시금치 100g을 넣어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 및 농축하여 시금치 추출물을 얻었다.
1-2. 양배추 추출물의 제조
시트르산를 넣어 pH를 3.0으로 조정한 95℃의 열수 500g에 파쇄한 양배추 100g를 넣어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 및 농축하여 양배추 추출물을 얻었다.
1-3. 단호박 추출물의 제조
시트르산를 넣어 pH를 3.0으로 조정한 95℃의 열수 500g에 파쇄한 단호박 100g를 넣어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 및 농축하여 단호박 추출물을 얻었다.
1-4.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의 제조
글루코스(glucose) 4.0%, 소이펩톤(soy-peptone) 1.5%,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1.0%, K2HPO4 0.1%, MnSO4 0.005%를 이용하여 제조한 배지에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HY8001(한국종균협회에 1995년 9월 7일자로 기탁; 기탁번호 제KFCC 10870호)을 0.1~0.5% 접종하여 37℃에서 15~20시간 단일배양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8,000 x g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HY 8001 균체를 제외한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을 멸균하여 얻었다.
1-5. 복합 유화액의 제조
해바라기씨유 5g, 채종유 5g, 팜유 5g, 팜올레인유 5g 및 Tween 80(Polyoxyethyelene Sorbitan Monooleate) 5g를 0.05%의 유화제가 함유된 정제수에 넣어 60분 동안 혼합하여 복합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2-1. 시금치 추출물이 포함된 유산균배양액의 제조
우유 고형분 함량이 13~14%(w/v)인 우유를 기본배지로 하고, 여기에 상기 실시예 1-1의 시금치 추출물과 실시예 1-5의 복합유화액을 각각 0.05%(10 brix 기준) 농도로 첨가한 멸균배지를 만들고, 여기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의 스타터를 1% 접종한 후 37℃에서 6일 동안 배양하여 최종산도 2.3의 유산균배양액을 만들었다.
2-2. 시금치 추출물이 함유된 발효유의 제조
상기 실시예 2-1의 유산균배양액을 균질한 후 얻어진 용액 250㎖에 액상과당 250㎖ 및 멸균수 500㎖을 첨가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2-3. 시금치 추출물을 이용한 유산균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2-1의 유산균배양액을 6,0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1/10 양의 멸균수나 생리식염수(0.8% 염화나트륨)로 두 번 세척하였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의 농도가 1010CFU/㎖가 되도록 탈지유를 첨가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를 동결 건조하여 유산균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3-1. 양배추 추출물이 포함된 유산균배양액의 제조
우유 고형분 함량이 13~14%(w/v)인 우유를 기본배지로 하고, 여기에 상기 실시예 1-2의 양배추 추출물과 실시예 1-5의 복합유화액을 각각 0.05%(10 brix 기준) 농도로 첨가한 멸균배지를 만들고, 여기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의 스타터를 1% 접종한 후 37℃에서 6일 동안 배양하여 최종산도 2.3의 유산균배양액을 만들었다.
3-2. 양배추 추출물이 함유된 발효유의 제조
상기 실시예 3-1의 유산균배양액을 균질한 후 얻어진 용액 250㎖에 액상과당 250㎖ 및 멸균수 500㎖을 첨가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3-3. 양배추 추출물을 이용한 유산균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3-1의 유산균배양액을 6,0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1/10 양의 멸균수나 생리식염수(0.8% 염화나트륨)로 두 번 세척하였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의 농도가 1010CFU/㎖가 되도록 탈지유를 첨가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를 동결 건조하여 유산균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4-1. 단호박 추출물이 포함된 유산균배양액의 제조
우유 고형분 함량이 13~14%(w/v)인 우유를 기본배지로 하고, 여기에 상기 실시예 1-3의 단호박 추출물과 실시예 1-5의 복합유화액을 각각 0.05%(10 brix 기준) 농도로 첨가한 멸균배지를 만들고, 여기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의 스타터를 1% 접종한 후 37℃에서 6일 동안 배양하여 최종산도 2.3의 유산균배양액을 만들었다.
4-2. 단호박 추출물이 함유된 발효유의 제조
상기 실시예 4-1의 유산균배양액을 균질한 후 얻어진 용액 250㎖에 액상과당 250㎖ 및 멸균수 500㎖을 첨가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4-3. 단호박 추출물을 이용한 유산균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4-1의 유산균배양액을 6,0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1/10 양의 멸균수나 생리식염수(0.8% 염화나트륨)로 두 번 세척하였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의 농도가 1010CFU/㎖가 되도록 탈지유를 첨가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를 동결 건조하여 유산균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5-1.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이 포함된 유산균배양액의 제조
우유 고형분 함량이 13~14%(w/v)인 우유를 기본배지로 하고, 여기에 상기 실시예 1-4의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과 실시예 1-5의 복합유화액을 각각 0.05%(10 brix 기준) 농도로 첨가한 멸균배지를 만들고, 여기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의 스타터를 1% 접종한 후 37℃에서 6일 동안 배양하여 최종산도 2.3의 유산균배양액을 만들었다.
5-2.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이 함유된 발효유의 제조
상기 실시예 5-1의 유산균배양액을 균질한 후 얻어진 용액 250㎖에 액상과당 250㎖ 및 멸균수 500㎖을 첨가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5-3.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을 이용한 유산균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5-1의 유산균배양액을 6,0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1/10 양의 멸균수나 생리식염수(0.8% 염화나트륨)로 두 번 세척하였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의 농도가 1010CFU/㎖가 되도록 탈지유를 첨가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를 동결 건조하여 유산균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6-1. 시금치 추출물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이 포함된 유산균배양액의 제조
우유 고형분 함량이 13~14%(w/v)인 우유를 기본배지로 하고, 여기에 상기 실시예 1-1의 시금치 추출물, 실시예 1-4의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실시예 1-5의 복합유화액을 각각 0.05%(10 brix 기준) 농도로 첨가한 멸균배지를 만들고, 여기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의 스타터를 1% 접종한 후 37℃에서 6일 동안 배양하여 최종산도 2.3의 유산균배양액을 만들었다.
6-2. 시금치 추출물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이 함유된 발효유의 제조
상기 실시예 6-1의 유산균배양액을 균질한 후 얻어진 용액 250㎖에 액상과당 250㎖ 및 멸균수 500㎖을 첨가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6-3. 시금치 추출물 및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을 이용한 유산균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6-1의 유산균배양액을 6,0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1/10 양의 멸균수나 생리식염수(0.8% 염화나트륨)로 두 번 세척하였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의 농도가 1010CFU/㎖가 되도록 탈지유를 첨가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를 동결 건조하여 유산균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7-1. 양배추 추출물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이 포함된 유산균배양액의 제조
우유 고형분 함량이 13~14%(w/v)인 우유를 기본배지로 하고, 여기에 상기 실시예 1-2의 양배추 추출물, 실시예 1-4의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실시예 1-5의 복합유화액을 각각 0.05%(10 brix 기준) 농도로 첨가한 멸균배지를 만들고, 여기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의 스타터를 1% 접종한 후 37℃에서 6일 동안 배양하여 최종산도 2.3의 유산균배양액을 만들었다.
7-2. 양배추 추출물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이 함유된 발효유의 제조
상기 실시예 7-1의 유산균배양액을 균질한 후 얻어진 용액 250㎖에 액상과당 250㎖ 및 멸균수 500㎖을 첨가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7-3. 양배추 추출물 및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을 이용한 유산균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7-1의 유산균배양액을 6,0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1/10 양의 멸균수나 생리식염수(0.8% 염화나트륨)로 두 번 세척하였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의 농도가 1010CFU/㎖가 되도록 탈지유를 첨가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를 동결 건조하여 유산균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8-1. 단호박 추출물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이 포함된 유산균배양액의 제조
우유 고형분 함량이 13~14%(w/v)인 우유를 기본배지로 하고, 여기에 상기 실시예 1-3의 단호박 추출물, 실시예 1-4의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실시예 1-5의 복합유화액을 각각 0.05%(10 brix 기준) 농도로 첨가한 멸균배지를 만들고, 여기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의 스타터를 1% 접종한 후 37℃에서 6일 동안 배양하여 최종산도 2.3의 유산균배양액을 만들었다.
8-2. 단호박 추출물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이 함유된 발효유의 제조
상기 실시예 8-1의 유산균배양액을 균질한 후 얻어진 용액 250㎖에 액상과당 250㎖ 및 멸균수 500㎖을 첨가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8-3. 단호박 추출물 및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을 이용한 유산균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8-2의 유산균배양액을 6,0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1/10 양의 멸균수나 생리식염수(0.8% 염화나트륨)로 두 번 세척하였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의 농도가 1010CFU/㎖가 되도록 탈지유를 첨가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를 동결 건조하여 유산균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9-1. 시금치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및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이 포함된 유산균배양액의 제조
우유 고형분 함량이 13~14%(w/v)인 우유를 기본배지로 하고, 여기에 상기 실시예 1-1의 시금치 추출물, 실시예 1-2의 양배추 추출물, 실시예 1-3의 단호박 추출물, 실시예 1-4의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실시예 1-5의 복합유화액 각각을 0.05%(10 brix 기준) 농도로 첨가한 멸균배지를 만들고, 여기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의 스타터를 1% 접종한 후 37℃에서 5일 동안 배양하여 최종산도 2.3의 유산균배양액을 만들었다.
9-2. 시금치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및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이 함유된 발효유의 제조
상기 실시예 9-1의 유산균배양액을 균질한 후 얻어진 용액 250㎖에 액상과당 250㎖ 및 멸균수 500㎖을 첨가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9-3. 시금치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및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을 이용한 유산균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9-1의 유산균배양액을 6,0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1/10 양의 멸균수나 생리식염수(0.8% 염화나트륨)로 두 번 세척하였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의 농도가 1010CFU/㎖가 되도록 탈지유를 첨가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를 동결 건조하여 유산균 분말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유산균의 산도 및 생균수의 측정
상기 실시예 2-1의 시금치 추출물이 포함된 유산균배양액(이하, '시금치 유산균배양액'이라 한다), 상기 실시예 3-1의 양배추 추출물이 포함된 유산균배양액(이하, '양배추 유산균배양액'이라 한다), 상기 실시예 4-1의 단호박 추출물이 포함된 유산균배양액(이하, '단호박 유산균배양액'이라 한다), 상기 실시예 5-1의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이 포함된 유산균배양액(이하,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이라 한다), 상기 실시예 6-1의 시금치 추출물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이 포함된 유산균배양액(이하, '시금치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 이라 한다), 상기 실시예 7-1의 양배추 추출물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이 포함된 유산균배양액(이하, '양배추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 이라 한다), 상기 실시예 8-1의 단호박 추출물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이 포함된 유산균배양액(이하, '단호박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 이라 한다) 및 상기 실시예 9-1의 시금치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및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이 포함된 유산균배양액(이하, '복합물 유산균배양액' 이라 한다) 각각에 대하여 유산균 배양시작 전(0일째)과 배양시작 후 3일째, 5일째, 6일째(시금치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 및 7일째(시금치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을 제외한 나머지 실험군) 되는 날의 적정산도 및 유산균수를 측정하였다.
적정산도는 0.1N 수산화나트륨(NaOH)을 사용하여 페놀프탈레인 1% 용액을 지시약으로 하는 중화적정법 및 Auto titrator(Mettler toledo DL50 Graphix, Switzer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산균수는 유산균배양액을 무균적으로 취한 후 멸균 생리식염수를 활용하여 10배 희석법으로 희석하고 BCP 첨가 평판측정용 배지(Plate Count Agar with Brom Cresol Purple)를 사용하여 35~37℃에서 72시간 호기배양 후 발생한 황색의 집락을 유산균의 집락으로 계측하였다.
한편, 우유 고형분 함량이 13~14%(w/v)인 우유를 기본배지로 한 멸균배지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의 스타터를 1% 접종한 후 37℃에서 6일 동안 배양하여 유산균배양액을 제조하여 대조군으로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금치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을 유산균 증식제로서 사용한 유산균배양액(시금치 유산균배양액, 양배추 유산균배양액, 단호박 유산균배양액,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 시금치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 양배추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 단호박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 복합물 유산균배양액)을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배양 3일차, 배양 5일차, 최종에서의 산도 및 유산균수가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시금치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및 단호박 추출물 각각에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을 첨가한 실험군(시금치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 양배추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 단호박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에서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을 첨가하지 않은 실험군(시금치 유산균배양액, 양배추 유산균배양액, 단호박 유산균배양액)에 비하여 배양 3일차, 배양 5일차, 최종에서의 산도 및 유산균수가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시금치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및 단호박 추출물에 의해 유산균의 증식속도가 빨라지고, 최종적으로 높은 산도 아래에서도 유산균이 사멸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금치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및 단호박 추출물에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단일 추출물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더욱더 유산균의 증식속도가 빨라지고, 최종적으로 높은 산도 아래에서도 유산균이 사멸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단호박 유산균배양액(실시예 4-1)의 경우, 배양 5일차의 산도와 유산균수는 각각 2.15%, 2.2×109cfu/㎖이고, 배양 7일차의 산도와 유산균수는 각각 2.32%, 2.6×109cfu/㎖임을 알 수 있는데, 배양 7일차에서 산도가 0.17%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유산균수는 오히려 0.4×109cfu/㎖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단호박 추출물이 산의 증가에 따른 유산균의 사멸을 막아 주는 유산균의 안정성에 특이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금치 유산균배양액(실시예 2-1)의 경우, 유산균 배양 완료(7일차) 후 산도가 2.47%로 다른 유산균배양액(양배추 유산균배양액의 배양 7일차 산도: 2.35%, 단호박 유산균배양액의 배양 7일차 산도: 2.32%)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나, 시금치 추출물이 유산균배양액의 산도 증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여 배양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금치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및 단호박 추출물 각각에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을 첨가한 경우(시금치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 양배추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 단호박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 유산균 배양 완료 후 유산균수(시금치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의 배양 6일차 유산균수: 5.6×109cfu/㎖, 양배추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의 배양 7일차 유산균수: 5.5×109cfu/㎖, 단호박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의 배양 7일차 유산균수: 4.7×109cfu/㎖)가 단일 추출물만을 사용한 경우(시금치 유산균배양액, 양배추 유산균배양액, 단호박 유산균배양액)의 유산균수(시금치 유산균배양액의 배양 7일차 유산균수: 3.2×109cfu/㎖, 양배추 유산균배양액의 배양 7일차 유산균수: 2.8×109cfu/㎖, 단호박 유산균배양액의 배양 7일차 유산균수: 2.6×109cfu/㎖)에 비해 산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월등히 높게 나타나, 유산균배양액의 생균수 증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복합물 유산균배양액(실시예 9-1)의 경우, 시금치 유산균배양액(실시예 2-1), 단호박 유산균배양액(실시예 4-1) 및 양배추 유산균배양액(실시예 3-1)과 비교하여 배양 3일차(산도: 2.11%, 유산균수: 5.3×109cfu/㎖) 및 배양 5일차(산도: 2.36, 유산균수: 6.0×109cfu/㎖)에 산도 및 유산균수가 가장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복합물 유산균배양액(실시예 9-1)의 경우, 배양 시간에 있어서도 다른 유산균배양액(시금치 유산균배양액, 양배추 유산균배양액, 단호박 유산균배양액,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 시금치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 양배추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 단호박 비피더스 유산균배양액)이 제품화를 위한 배양완료 산도(2.40% 이상)에 도달을 위해 6일 내지 7일 이상의 시간이 필요한 것과는 달리 5일 만에 동일 수준의 산도에 도달하여 배양시간 단축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유산균의 배양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금치 추출물과 유산균의 안정성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호박 추출물 및 유산균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을 유산균 증식제로서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유산균의 산도와 유산균수의 확보에 상승작용을 하여 유산균 발효유 제조에 필요한 배양시간과 장기배양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임으로써 산업적으로 유용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시험예 2>
발효유의 관능시험
상기 실시예 9-2의 시금치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및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이 함유된 발효유(이하, '복합물 유산균 발효유' 라 한다)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관능평가방법은 경험이 풍부한 성인 남녀 각각 20명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맛, 향 및 단맛과 신맛의 밸런스에 대해서 최저 1점에서 최고 7점의 7단계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상기 시험예 1의 대조군 유산균배양액을 균질한 후 얻어진 용액 250㎖에 액상과당 250㎖ 및 멸균수 500㎖을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유를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복합물 유산균 발효유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전체적인 맛, 향 및 단맛과 신맛의 밸런스에 있어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에 시금치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및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을 유산균 증식제로 사용하더라도 기존의 발효유와 비교하여 발효유의 풍미에 있어서 더 우수하여 음용하는데 지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Lactobacillus casei ) 균주의 종류에 따른 유산균의 산도 및 유산균수 변화 측정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YIT 9029(기탁기관: 일본미생물공업연구소, 기탁번호: 5852) 및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LC 01(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균주임)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9-1의 유산균배양액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산균배양액을 제조하여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정산도와 유산균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에 대한 시험예 1의 결과와 함께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3 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YIT 9029,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LC01에 대하여도 본 발명의 복합물 유산균배양액은 유산균 증식제로서 유산균의 산도 및 유산균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물 유산균배양액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의 균주(strain)에 상관없이 유산균의 증식제로서 작용하여 유산균의 산도와 유산균수의 확보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24)

  1. 산·열수 추출에 의한 시금치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배양액.
  2. 산·열수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배양액.
  3. 산·열수 추출에 의한 단호박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배양액.
  4. 산·열수 추출에 의한 시금치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단호박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배양액.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배양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기탁기관: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803, 기탁일자: 1993년 12월 1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배양액.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유산균배양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발효유.
  8. 제5항의 유산균배양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발효유.
  9. 제6항의 유산균배양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발효유.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유산균배양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분말.
  11. 제5항의 유산균배양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분말.
  12. 제6항의 유산균배양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분말.
  13. 산·열수 추출에 의한 시금치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유산균을 배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발효유의 제조방법.
  14. 산·열수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유산균을 배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발효유의 제조방법.
  15. 산·열수 추출에 의한 단호박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유산균을 배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발효유의 제조방법.
  16. 산·열수 추출에 의한 시금치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단호박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유산균을 배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발효유의 제조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발효유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기탁기관: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803, 기탁일자: 1993년 12월 1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발효유의 제조방법.
  19. 산·열수 추출에 의한 시금치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유산균을 배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분말의 제조방법.
  20. 산·열수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유산균을 배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분말의 제조방법.
  21. 산·열수 추출에 의한 단호박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유산균을 배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분말의 제조방법.
  22. 산·열수 추출에 의한 시금치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 산·열수 추출에 의한 단호박 추출물, 비피더스 배양 상등액 및 복합유화액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유산균을 배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분말의 제조방법.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분말의 제조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HY 2782(기탁기관: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803, 기탁일자: 1993년 12월 1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분말의 제조방법.
KR1020150018519A 2015-02-06 2015-02-06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유산균 분말과 그들의 제조방법 KR20160097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519A KR20160097419A (ko) 2015-02-06 2015-02-06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유산균 분말과 그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519A KR20160097419A (ko) 2015-02-06 2015-02-06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유산균 분말과 그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419A true KR20160097419A (ko) 2016-08-18

Family

ID=5687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519A KR20160097419A (ko) 2015-02-06 2015-02-06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유산균 분말과 그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74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197B1 (ko) * 2017-12-07 2018-06-12 주식회사 메디오젠 호박분말을 포함하는 유산균-코팅 동결건조 보호제 조성물 및 동결건조 방법
KR102290654B1 (ko) * 2021-01-21 2021-08-18 (주)메디톡스 동결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산균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649A (ko) 1999-08-03 2001-04-06 구와하라 쥰 발효유 음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37557A (ko) 2009-10-07 2011-04-13 주식회사 삼영시스템 유산균 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649A (ko) 1999-08-03 2001-04-06 구와하라 쥰 발효유 음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37557A (ko) 2009-10-07 2011-04-13 주식회사 삼영시스템 유산균 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197B1 (ko) * 2017-12-07 2018-06-12 주식회사 메디오젠 호박분말을 포함하는 유산균-코팅 동결건조 보호제 조성물 및 동결건조 방법
KR102290654B1 (ko) * 2021-01-21 2021-08-18 (주)메디톡스 동결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산균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asaekoopt et al. Survival of probiotics encapsulated in chitosan-coated alginate beads in yoghurt from UHT-and conventionally treated milk during storage
Madureira et al. Survival of probiotic bacteria in a whey cheese vector submitted to environmental conditions prevailing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Margalho et al. Biopreservation and probiotic potential of a large set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Brazilian artisanal cheeses: From screening to in product approach
CN105733983B (zh) 分离的微生物菌株格氏乳杆菌mcc2 dsm 23882及其用途
CA2984466A1 (en) Manufacture of strained fermented dairy products
CA3163217A1 (en) Sucrose negative streptococcus thermophilus for use in preparation of fermented products
CN115340965A (zh) 一株副干酪乳酪杆菌pc724及其应用
CN103179863A (zh) 高产维生素k2的乳酸乳球菌菌株
AU2009220403B2 (en) Agents for promoting secretion and/or suppressing decrease of adiponectin
CN103189498A (zh) 高产维生素k2的乳酸乳球菌菌株
Parra et al. Us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Lactobacillus casei for a potential probiotic legume-based fermented product using pigeon pea (Cajanus cajan)
de Morais et al. Autochthonous adjunct culture of Limosilactobacillus mucosae CNPC007 improved the techno-function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goat milk Greek-style yogurt
CN101361506A (zh) 一种降胆固醇的发酵酸乳及其制备方法
Trikoomdun et al. Production of corn milk yogurt supplemented with probiotics.
JP4933124B2 (ja) 免疫賦活作用を有するラクトコッカス属乳酸菌と粘稠性ラクトコッカス属乳酸菌並びにこれらを併用した粘稠性を有する発酵乳の製造方法
KR20160097419A (ko)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유산균 분말과 그들의 제조방법
JP2017209021A (ja) 新規な植物性乳酸菌
KR100661823B1 (ko) Gaba 고생산능을 가지는 신규한 락토코커스 유산균,이를 이용한 발효스타터 및 gaba의 생산방법
KR101081376B1 (ko)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능이 있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cjnu 0147, 이를 포함하는 식품 및 이를 이용한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방법
Rahman et al.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properties study of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of selected yoghurt from Bangladesh
KR101213530B1 (ko) 유산균 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그의 제조 방법
RU2506308C1 (ru) КОНСОРЦИУМ ПРОБИОТИЧЕСКИХ ШТАММОВ Lactobacillus rhamnosus И Lactobacillus plantarum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БАКТЕРИАЛЬНОГО ПРЕПАРАТА И ЗАКВАСКИ ПРЯМОГО ВНЕСЕНИЯ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ФЕРМЕНТИРОВАННОГО МОЛОКА И ФЕРМЕНТИРОВАННОГО СВЕКОЛЬНОГО СОКА
KR100232907B1 (ko) 마 첨가에 의한 유산균 생육촉진 방법
KR101040686B1 (ko)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0588, 이를 포함하는 식품 및 이를 이용한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방법
KR101342791B1 (ko) 1,4-디히드록시-2-나프토산 생산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lp1 균주 및 이의 이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