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686B1 -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0588, 이를 포함하는 식품 및 이를 이용한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방법 - Google Patents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0588, 이를 포함하는 식품 및 이를 이용한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686B1
KR101040686B1 KR1020090032460A KR20090032460A KR101040686B1 KR 101040686 B1 KR101040686 B1 KR 101040686B1 KR 1020090032460 A KR1020090032460 A KR 1020090032460A KR 20090032460 A KR20090032460 A KR 20090032460A KR 101040686 B1 KR101040686 B1 KR 101040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fidobacterium
cjnu
culture
lactobacillus casei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907A (ko
Inventor
문기성
Original Assignee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2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686B1/ko
Priority to PCT/KR2009/007628 priority patent/WO2010074465A1/en
Publication of KR2010011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38Chemical stimulation of growth or activity by addition of chemical compounds which are not essential growth factors; Stimulation of growth by removal of a chemical compoun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25Case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45Lactobacillus casei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즈에서 분리되고, 비피도박테리움 증식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미생물 기탁번호 KCTC 11474BP) 및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식품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을 증식시키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발효 종균

Description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0588, 이를 포함하는 식품 및 이를 이용한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방법{LACTOBACILLUS CASEI CJNU 0588 STIMULATING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SP., FOODS CONTAINING THE BACTERIAL STRAIN AND THE METHOD FOR GROWTH STIMULATION OF BIFIDOBACTERIUM SP. USING THE STRAIN}
본 발명은 치즈에서 분리되고 비피도박테리움 증식능을 가지는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미생물 기탁번호 KCTC 11474BP)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품에 대한 것이다.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등의 비피도박테리움속균(Bifidobacterium sp.)은 인체 장 내에 서식하면서 숙주에게 이로운 역할을 하는 유익균이다.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은 다양한 생리활성 예를 들면, 유해 미생물 억제, 변비 예방, 설사 예방, 면역증강 효과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사람이 나이가 들수록, 사람의 장내에서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의 구성 비율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유해균들이 득세하여 다양한 장내 질환들을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두 가지인데, 하나는 외부에서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을 섭취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장내 정착되어 있는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을 증식시키는 것이다.
외부에서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을 섭취하는 방법은,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을 포함하는 발효유 등의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다. 그러나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은 편성혐기성균으로 극미량의 산소존재 하에서도 사멸하기 쉽다. 이 때문에 발효유 제품 등의 식품이 유통되는 과정에서 발효유 제품 중에 살아있는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의 함량은 아주 많이 감소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의 증식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계속하였다. 그 결과, 치즈에서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의 증식 능력이 우수한 미생물을 분리하였고, 상기 미생물을 포함하는 식품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하여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을 증식시키는 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의 증식능이 우수한 새로운 미생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즈에서 분리되고 비피도박테리움 증식능을 가지는 락토바 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미생물 기탁번호 KCTC 11474BP)의 균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생물을 포함하는 발효 식품 및 발효 음료 등의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생물을 이용하여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을 증식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치즈에서 분리되고 비피도박테리움 증식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미생물 기탁번호 KCTC 11474BP)의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치즈에서 분리되고, 비피도박테리움 증식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미생물 기탁번호 KCTC 11474BP),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및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가지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발효 종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 종균은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균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종균을 포함하는 발효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치즈에서 분리되고, 비피도박테리움 증식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미생물 기탁번호 KCTC 11474BP),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및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가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품은 발효 식품 또는 발효 음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치즈에서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미생물 기탁번호 KCTC 11474BP)를 배양하고, 상기 배양물을 이용하여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을 증식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균주의 배양은 유청 배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미생물 기탁번호 KCTC 11474BP),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및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을 이용하면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의 증식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미생물 기탁번호 KCTC 11474BP), 이의 배양액 등은 비피도박테리움속균만을 선택적으로 증식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의 함량이 높은 기능성 식품을 생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미생물 기탁번호 KCTC 11474BP) 및 이의 배양액 등을 이용하여 인체 장내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은 치즈로부터 분리된다. 구체적으로, 업체((주)남양유업)로부터 제공받은 자연 치즈로부터 샘플을 채취하고 희석하여 DifcoTM Lactobacilli MRS 고체배지에 도말하여 균주를 분리한 다음, 이들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기존에 보고된 다른 균과의 상동성을 측정하여 분리 균주를 동정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가공 치즈나 자연 치즈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데, 자연 치즈를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자연 치즈란, 100% 우유만을 발효?숙성시켜 만든 치즈이다. 가공 치즈는 보존제 등의 첨가물이 들어간 치즈이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균주는 유산균의 일종인 락토바실러스 카제이로 최종 확인되었다.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로 명 명되었고, 2009년 3월 13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에 기탁되었으며 기탁번호는 KCTC 11474BP이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 0588는 선택적으로 특히,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을 증식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의 함량이 높은 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체내의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의 함량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균주는 발효 종균으로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미생물 기탁번호 KCTC 11474BP),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및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가지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물질을 발효 종균(스타터)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발효 종균은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균주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혼합균주들을 구성하는 각 균주의 조성비는 특별한 한정을 요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종균을 이용한 발효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미생물 기탁번호 KCTC 11474BP),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및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가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발효 식품 또는 발효 음료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배양배지’란, 동물세포나 식물세포 또는 미생물 등을 기르는 데 필요한 영양소가 들어 있는 고체 또는 액체를 의미한다. 상기 ‘배양액’이란, 액체 배지에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 것을 의미하는데, 액체상의 배양액으로부터 균주를 제거한 상등액을 일컫는 ‘배양여액’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이란, 상기 배양액을 농축한 것을 말하고, 배양액의 건조물이란 상기 배양액에서 물기를 제거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종균을 이용한 발효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발효식품’이란, 유산균이나 효모 등의 미생물을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 첨가하고 상기 미생물의 발효작용을 이용하여 만든 식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식품 기재에 발효 종균을 첨가하고 숙성시켜서 제조하는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발효 식품으로는 주류, 빵류, 김치, 젖갈, 된장, 치즈, 버터, 요구르트 등 비살균 개방형 발효 식품이 모두 포함된다. 상기 발효 종균의 사용량은 발효 식품의 종류 및 종균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식품 주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01 내지 0.5 중량부를 접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및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 또는 식품 조성이 가지는 생체 방어리듬 조절, 질병 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신체조절 기능이 체내에서 충분히 발현되도록 설계하여 가공된 식품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을 총칭하여 일컫는 용어이다. 그 예로는 청량음료, 물, 시럽, 차, 커피, 과실음료 등을 들 수 있으며, 발효 음료를 포함한다. 상기 ‘발효 음료’란 유산균을 배양하여 유산 발효시킨 것을 희석하고 당분 및 향료 등을 가한 음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및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외에 다른 성분의 첨가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발효 식품 및/또는 식품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탄수화물 등을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미생물 기탁번호 KCTC 11474BP)은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의 증식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을 배양하고, 상기 배양물을 이용하여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을 증식시킬 수 있다. 상기 배양물에는 앞서 언급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의 배양액(배양여액 포함),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및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등이 모 두 포함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 0588의 배양은 유청 배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청(whey)은 우유를 이용한 치즈 제조 시 발생하는 부산물로서, 다양한 영양성분(유당,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유청을 배지로 사용하게 되면 배양배지의 가격이 낮아 생산비를 낮춰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유청 속에 함유된 다양한 기능성 단백질들(β-락토글로불린, α-락트알부민, 면역글로불린, 락토페린, 락토퍼록시다제 등)은 상기 배양액의 고부가가치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 0588의 유청발효산물은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의 증식효과가 우수하며, 인체에 유익하므로 직접적인 이용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실시예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1) 비피도박테리움 증식효과가 우수한 균주 분리
비피도박테리움속균에 대한 증식력을 조사하기 위해 자연 치즈로부터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먼저 업체((주)남양유업)로부터 제공받은 자연 치즈 샘플(10g)을 채취하여 필터백에 무균적으로 넣고 90 mL의 펩톤수(0.1%, w/v)와 섞은 다음 균질 화한 후 10진 희석법으로 희석하여 DifcoTM Lactobacilli MRS 고체배지(Proteose Peptone No. 3 10.0 g/L, Beef Extract 10.0 g/L, Yeast Extract 5.0 g/L, Dextrose 20.0 g/L, Polysorbate 80 1.0 g/L, Ammonium Citrate 2.0 g/L, Sodium Acetate 5.0 g/L, Magnesium Sulfate 0.1 g/L, Manganese Sulfate 0.05 g/L, Dipotassium Phosphate 2.0 g/L, Agar 15 g/L)에 도말하였다. 37℃에서 24 시간 배양 후 형성된 콜로니를 무작위 채취하여 5 mL DifcoTM Lactobacilli MRS 액체 배지(상기 고체배지 구성성분에서 Agar가 제외됨)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균주는 2차에 걸친 3분획법으로 순수 분리하여 -76℃ 극저온냉동고에 글리세롤 스톡(glycerol stock)으로 보관하였다.
치즈에서 분리한 300개의 균주를 DifcoTM Lactobacilli MRS 액체배지에서 활성화시킨 다음, 이를 유청배지(10% 유청분말, w/v)에 1% 접종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원심 분리하여 균과 불용성 고형분을 침전시키고 그 상등액(배양여액)을 취해 0.2 ㎛ 필터로 여과하여 제균하였다. 필터를 통과한 여과액(발효산물 포함)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시료 50 μL를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균주가 1% 접종된 5 mL DifcoTM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Pancreatic Digest of Casein 5.0 g/L, Proteose Peptone No. 3 5.0 g/L, Beef Extract 10.0 g/L, Yeast Extract 3.0 g/L, Dextrose 5.0 g/L, Sodium Chloride 5.0 g/L, Soluble Starch 1.0 g/L, Cysteine Hydrochloride 0.5 g/L, Sodium Acetate 3.0 g/L, Agar 0.5 g/L)에 첨가하였으며 대조구로 발효하지 않은 유청 여과액을 사용하였다.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의 배양은 37℃ 혐기적 용기에서 10시간 진행하였다. 배양 종료 후 각각의 샘플에서 1 mL의 배양액을 1회용 큐벳(cuvette)에 취해 분광광도계(BioPhotometer, Eppendorf)를 이용하여 흡광도(OD600)를 측정하였고 그 증식 속도를 상호 비교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 33번 막대 그래프에서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의 증식 속도가 매우 빠름을 알 수 있었다. 이 33번은 일단 CJNU 0588로 명명하였다.
도 2의 결과는 3반복 실험을 통하여 그 증식 효과를 재확인한 것이다. 확인 결과 비피도박테리움속균에 대한 증식효과가 유의적으로 입증되었다.
(2) 균주 동정
상기 CJNU 0588을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즉, 분리된 균주로부터 Genomic DNA Preparation Kit(Promega)을 사용하여 genomic DNA를 추출한 다음 유니버셜 프라이머(universal primer) 27F (5'-AGA GTT TGA TCC TGG CTC AG-3')와 1492R (5'-TAC GGY TAC CTT GTT ACG ACT T-3')로 PCR을 실시하여 16S rRNA 유전자를 증폭시켰다. 증폭된 산물을 아세테이트와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정제한 다음 이를 주형으로 하여 시퀀싱용 프라이머 518F(5'-CCA GCA GCC GCG GTA ATA CG-3'), 800R(5'-TAC CAG GGT ATC TAA TCC-3')과 시퀀싱 키트(ABI PRISM BigDye Terminator Cycle Sequencing Kits)로 PCR을 수행한 다음 증폭산물을 에탄 올로 정제하여 ABI PRISM 3730XL Analyzer(96 capillary type)로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CJNU 0588의 16S rDNA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에 나타내었다. 이러한 분리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은 EMBL/DDBJ/PDB/GenBank 시퀀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은 유연균주의 서열과 정렬시키고 상동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카제이(GenBank accession no. CP000423.1)와 99% 일치도를 보였다. 상기 CJNU 0588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 0588로 명명되었고, 2009년 3월 27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에 기탁번호 KCTC 11474BP로 기탁되었다.
실시예 2: 비피도박테리움의 증식효과 확인
CJNU 0588의 배양액(유청발효산물)이 비피도박테리움속균만을 선택적으로 증식시키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장내 세균(Escherichia coli DH5α, Enterococcus faecalis KFRI 675)과 병원성 미생물(Staphylococcus aureus ATCC 14458,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1)에 대한 증식효과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CJNU 0588을 유청 배지에서 배양하고 그 발효산물을 상기 균주들이 접종된 배지 상에 첨가하여 각각의 균 증식속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Escherichia coli DH5α의 배양은 5 mL LB 배지(Tryptone 10 g/L, NaCl 10 g/L, Yeast extract 5 g/L, pH 7.0)에서 37℃ 진탕배양 하였고 나머지 균들은 5 mL DifcoTM Lactobacilli MRS 액체배지에서 37℃ 정치배양 하였다.
상기 배양의 결과를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3 내지 6의 결과를 통해, CJNU 0588의 유청발효산물은 대장균(E. coli DH5α),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faecalis KFRI 675),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14458) 및 리스테리아(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1)에 대한 유의적인 증식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즉 CJNU 0588 유청배양액은 비피도박테리움속균만을 선택적으로 증식시킴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 0588를 이용한 요구르트의 제조
지방질 3.2%의 원유(탈지고형분 함량 8.5%)에 탈지분유를 첨가하여 탈지고형분 함량이 12%가 되도록 조정한 후, 가온하여 균질 및 살균하여 배지를 제조하였다. 그 후, 유청배지(10% 유청분말, w/v)에서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 0588의 배양액을 접종하여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은 pH가 4.5가 될 때까지 수행하였다. 그 후 감미제로 과실 쨈을 첨가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1은 여러 가지 균주 시료에 의한 비피도박테리움(B.) 롱검의 증식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번은 Blank(RCM 배지 자체); 2번은 B. 롱검만 접종한 경우; 3번은 B. 롱검+유청; 4-37번은 B. 롱검+시료(유청발효산물)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2는 3반복실험을 통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 0588에 의한 비피도박테리움(B.) 롱검의 증식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Blank는 RCM 배지 자체; B는 B. 롱검만 접종; B+Whey는 B. 롱검+유청; B+CJNU 0588는 B. 롱검+CJNU 0588(유청발효산물)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 0588에 의한 대장균(Escherichia coli DH5a)의 증식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Blank는 LB 배지 자체; E. coli는 E. coli만 접종한 경우; E. coli+Whey는 E. coli+유청; E. coli+CJNU 0588는 E. coli+CJNU 0588(유청발효산물)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 0588에 의한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faecalis KFRI 675)의 증식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Blank는 MRS 배지 자체; Ent는 E. faecalis만 접종한 경우; Ent+Whey는 E. faecalis+유청; Ent+CJNU 0588는 E. faecalis+CJNU 0588(유청발효산물)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 0588에 의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14458)의 증식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Blank 는 MRS 배지 자체; Staphy, S. aureus만 접종한 경우; Staphy+Whey는 S. aureus+유청; Staphy+CJNU 0588는 S. aureus+CJNU 0588(유청발효산물)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 0588에 의한 리스테리아(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1)의 증식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Blank는 MRS 배지 자체; Lis는 L. monocytogenes만 접종한 경우; Lis+Whey는 L. monocytogenes+유청; Lis+CJNU 0588는 L. monocytogenes+CJNU 0588(유청발효산물)인 경우를 나타낸다.
<110> CHUNGJU NATIONAL UNIVERSITY Foundation for Corporate Collaboration <120> Lactobacillus casei CJNU 0588 stimulating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sp., foods <130> P09-077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505 <212> DNA <213> Lactobacillus casei <400> 1 tctggctcag gatgaacgct ggcggcgtgc ctaatacatg caagtcgaac gagttctcgt 60 tgatgatcgg tgcttgcacc gagattcaac atggaacgag tggcggacgg gtgagtaaca 120 cgtgggtaac ctgcccttaa gtgggggata acatttggaa acagatgcta ataccgcata 180 gatccaagaa ccgcatggtt cttggctgaa agatggcgta agctatcgct tttggatgga 240 cccgcggcgt attagctagt tggtgaggta atggctcacc aaggcgatga tacgtagccg 300 aactgagagg ttgatcggcc acattgggac tgagacacgg cccaaactcc tacgggaggc 360 agcagtaggg aatcttccac aatggacgca agtctgatgg agcaacgccg cgtgagtgaa 420 gaaggctttc gggtcgtaaa actctgttgt tggagaagaa tggtcggcag agtaactgtt 480 gtcggcgtga cggtatccaa ccagaaagcc acggctaact acgtgccagc agccgcggta 540 atacgtaggt ggcaagcgtt atccgnattt attgggcgta aagcgagcgc aggcggtttt 600 ttaagtctga tgtgaaagcc ctcggcttaa ccgaggaagc gcatcggaaa ctgggaaact 660 tgagtgcaga agaggacagt ggaactccat gtgtagcggt gaaatgcgta gatatatgga 720 agaacaccag tggcgaaggc ggctgtctgg tctgtaactg acgctgaggc tcgaaagcat 780 gggtagcgaa caggattaga taccctggta gtccatgccg taaacgatga atgctaggtg 840 ttggagggtt tccgcccttc agtgccgcag ctaacgcatt aagcattccg cctggggagt 900 acgaccgcaa ggttgaaact caaaggaatt gacgggggcc cgcacaagcg gtggagcatg 960 tggtttaatt cgaagcaacg cgaagaacct taccaggtct tgacatcttt tgatcacctg 1020 agagatcagg tttccccttc gggggcaaaa tgacaggtgg tgcatggttg tcgtcagctc 1080 gtgtcgtgag atgttgggtt aagtcccgca acgagcgcaa cccttatgac tagttgccag 1140 catttagttg ggcactctag taagactgcc ggtgacaaac cggaggaagg tggggatgac 1200 gtcaaatcat catgcccctt atgacctggg ctacacacgt gctacaatgg atggtacaac 1260 gagttgcgag accgcgaggt caagctaatc tcttaaagcc attctcagtt cggactgtag 1320 gctgcaactc gcctacacga agtcggaatc gctagtaatc gcggatcagc acgccgcggt 1380 gaatacgttc ccgggccttg tacacaccgc ccgtcacacc atgagagttt ggtacacccg 1440 aagccggtgg cgtaaccttt tnaggagcga gccgtctaag gtgggacaat gattagggtg 1500 aatcg 1505

Claims (8)

  1. 치즈에서 분리되고, 비피도박테리움 증식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미생물 기탁번호 KCTC 11474BP).
  2. 치즈에서 분리되고, 비피도박테리움 증식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미생물 기탁번호 KCTC 11474BP)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발효 종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종균은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균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종균.
  4. 제2항 또는 제3항의 발효 종균을 이용한 발효 식품.
  5. 치즈에서 분리되고, 비피도박테리움 증식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미생물 기탁번호 KCTC 11474BP),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및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가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발효 식품 또는 발효 음료인 식품.
  7. 치즈에서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미생물 기탁번호 KCTC 11474BP)를 배양하고, 상기 배양물을 이용하여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을 증식시키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CJNU 0588(미생물 기탁번호 KCTC 11474BP)의 배양은 유청 배지에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피도박테리움속균을 증식시키는 방법.
KR1020090032460A 2008-12-24 2009-04-14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0588, 이를 포함하는 식품 및 이를 이용한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방법 KR101040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460A KR101040686B1 (ko) 2009-04-14 2009-04-14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0588, 이를 포함하는 식품 및 이를 이용한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방법
PCT/KR2009/007628 WO2010074465A1 (en) 2008-12-24 2009-12-21 Strain stimulating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s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460A KR101040686B1 (ko) 2009-04-14 2009-04-14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0588, 이를 포함하는 식품 및 이를 이용한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907A KR20100113907A (ko) 2010-10-22
KR101040686B1 true KR101040686B1 (ko) 2011-06-13

Family

ID=4313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460A KR101040686B1 (ko) 2008-12-24 2009-04-14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0588, 이를 포함하는 식품 및 이를 이용한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6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3544A (zh) * 2021-01-15 2022-07-19 黑龙江省科学院微生物研究所 一种铜绿假单胞菌高产蛋白菌株的生物诱变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954A (ja) * 1994-01-14 1995-08-08 Yukijirushi Lorry Kk ビフィズス菌培養物及びその製造法
KR20100075173A (ko) * 2008-12-24 2010-07-02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능이 있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cjnu 0147, 이를 포함하는 식품 및 이를 이용한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954A (ja) * 1994-01-14 1995-08-08 Yukijirushi Lorry Kk ビフィズス菌培養物及びその製造法
KR20100075173A (ko) * 2008-12-24 2010-07-02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능이 있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cjnu 0147, 이를 포함하는 식품 및 이를 이용한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907A (ko) 201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mpagne et al. Challenges in the addition of probiotic cultures to foods
CN105420152B (zh) 植物乳杆菌n3117、其筛选方法及应用
US8277857B2 (en) Method for producing fermented milk
MX2008009568A (es) Novedosa bacteria de acido lactico.
KR20130004572A (ko) 신규 비피도박테리움속 세균의 작출 방법
Slyvka et al.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raditional Carpathian cheeses
EP1893033A1 (en) Method for preparing a dairy analogue
CN115340965A (zh) 一株副干酪乳酪杆菌pc724及其应用
CN115261264A (zh) 一株副干酪乳酪杆菌pc804及其应用
CN107099482B (zh) 一种戊糖片球菌及其应用
US20130189396A1 (en) Method for producing a fermented food containing bifidobacteria
WO2010074465A1 (en) Strain stimulating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sp
KR101081376B1 (ko)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능이 있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cjnu 0147, 이를 포함하는 식품 및 이를 이용한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방법
EP2041263A1 (en) Method and medium for preserving lactic acid bacteria in a viable state
Metrouh et al. Technological properties and probiotic potential of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SJ14 isolated from Algerian traditional cheese “Jben”
Kakisu et al.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in milk fermented with kefir grains
KR101040686B1 (ko)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jnu0588, 이를 포함하는 식품 및 이를 이용한 비피도박테리움속균 증식방법
CN103874428A (zh) 解木聚糖拟杆菌物种微生物
KR100661823B1 (ko) Gaba 고생산능을 가지는 신규한 락토코커스 유산균,이를 이용한 발효스타터 및 gaba의 생산방법
Rahman et al.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properties study of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of selected yoghurt from Bangladesh
KR20160097419A (ko) 유산균배양액, 이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유 및 유산균 분말과 그들의 제조방법
Abiona et al.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probiotics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oursop, cowmilk, goatmilk yoghurts and cheese
KR101342791B1 (ko) 1,4-디히드록시-2-나프토산 생산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lp1 균주 및 이의 이용
Kaledina et al. Kefir and ayran–traditional fermented products of Russia
Al-Rwaily et al. Effect of dried dates extract on the growth and viability of Bifidobacteria in different milk ty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