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898A - 은행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은행수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898A
KR20160096898A KR1020150018540A KR20150018540A KR20160096898A KR 20160096898 A KR20160096898 A KR 20160096898A KR 1020150018540 A KR1020150018540 A KR 1020150018540A KR 20150018540 A KR20150018540 A KR 20150018540A KR 20160096898 A KR20160096898 A KR 20160096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
collecting
main body
ginkgo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남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남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20150018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6898A/ko
Publication of KR20160096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2046/262Collecting surfaces extended around a tree in order to catch the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이 절단된 역원뿔 형태를 가지고 상부에 나뭇가지와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장치가 줄로 연결되어 구비되며, 바람은 통과시키되 은행은 통과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복수의 통풍구가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 또는 직물 소재의 낙과되는 은행을 수집하는 수집부 본체; 및 상기 수집부 본체에 결속되어 지면으로부터 고정되고 은행나무 줄기 하부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장착되어 낙과한 은행을 보관하는 은행 보관장치;를 포함하는, 은행수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은행수거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ginkgo nut}
본 발명은 은행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대기오염과 소음을 줄이고 아름다운 풍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많은 시가 구간에는 가로수를 식재한다. 일반적으로 많은 종의 수종을 산림청에서 가로수로 지정하였는데 대표적으로 은행나무, 벚나무 및 단풍나무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은행나무(ginkgo)를 가장 많이 식재하는 이유는 우리나라 기후와 토질에서 잘 성장하고 추위와 더위에 강하며 피톤치드(phytoncide)와 같은 살균성 물질을 분비하여 병해충에 강한 특성으로 지자체에서 가로수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키가 크고 넓게 자라는 특성으로 여름에는 그늘을 제공하는 등 도시미관과 잘 어우러지고 도시의 매연 등을 흡수하는 자정작용(self-purification)을 나타내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국 210만 본의 가로수 중에 38.9%가 은행나무이며, 24.5%가 버즘나무로 알려져 있고 실제로 서울에는 28만4498그루의 은행나무가 가로수로 심어져 있다. 그러나 매년 가을철마다 은행나무에서 자연낙과되는 은행(ginkgo nut)으로 인해 도로와 보도가 더럽혀지는 것은 물론 특유의 악취로 행인 뿐만 아닌 거주민들부터 민원이 끊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은행나무의 수가 많아 예산낭비를 초래하고 청소와 관리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64146은 과수나무의 줄기에 장착하여 낙과를 포집하는 낙과수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과수에서 발생하는 낙과를 수집하는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뿐이어서 가로수에서 발생하는 낙과를 수집하는데 적합하지 않고, 구조가 복잡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은행나무에서 자연낙과되는 은행을 효과적으로 수거하는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르면, 하단이 절단된 역원뿔 형태를 가지고 상부에 나뭇가지와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장치가 줄로 연결되어 구비되며, 바람은 통과시키되 은행은 통과할 수 없는 구조를 갖는 복수의 통풍구가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 또는 직물 소재의 낙과되는 은행을 수집하는 수집부 본체; 및
상기 수집부 본체에 결속되어 지면으로부터 고정되고 은행나무 줄기 하부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장착되어 낙과한 은행을 보관하는 은행 보관장치;를 포함하는, 은행수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은행나무 줄기에은행수거장치를 장착하여 은행을 효과적으로 수거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수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수거장치를 수집부 본체와 은행 보관장치로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은행수거장치의 수집부 본체의 전면도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은행수거장치의 은행 보관장치와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은행수거장치의 은행 보관장치에 덮개가 결속된 형태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수거장치의 참고예 1로 수집부 본체중앙에 소형 풍력발전장치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수거장치의 참고예 2로 수집부 본체중앙에 표시물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8은 은행수거장치의 수집부 본체의 참고예로 전면이 망(net) 형태로 구성된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수거장치의 은행 수거장치(100)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수거장치의 실시예 2로 은행 수거장치(100)의 또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하단이 절단된 역원뿔 형태를 가지고 상부에 나뭇가지와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장치가 줄로 연결되어 구비되며, 바람은 통과시키되 은행은 통과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복수의 통풍구가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 또는 직물 소재의 낙과되는 은행을 수집하는 수집부 본체; 및
상기 수집부 본체에 결속되어 지면으로부터 고정되고 은행나무 줄기 하부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장착되어 낙과한 은행을 보관하는 은행 보관장치;를 포함하는, 은행수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은행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는 낙과한 은행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망(net)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집부 본체는 잘린 부채꼴의 양변에 탈착식 체결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양변을 체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탈착식 체결장치는 벨크로, 지퍼, 가시도트단추, 단추, 갈고리단추 또는 탈착가능 접착제일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VDC(polyvinyldene chloride), PP(polypropylene), PS(polystyrene), PVA(polyvinyl acetae), PVC(polyvinyl chloride), 나일론, PU(polyurethane),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PMMA[poly(methylmethacrylate)], 또는 PEN[poly(ethylene naphthalene)] 일 수 있고, 상기 직물은 면직물, 모직물, 견직물, 화학섬유직물일 수 있으며, 화학섬유직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화학섬유직물은 타포린(tarpauline)일 수 있다.
상기 은행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 본체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는 역원뿔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연성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수집부 본체 외부에는 캐치프레이즈, 또는 지자체나 기업의 로고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은행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은행 보관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진 한쌍의 절단된 원통형관 및 상기 한쌍의 절단된 원통형관을 체결할 수 있는 체결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절단된 원통형관의 소재는 철(iron) 또는 플라스틱(plastic)일 수 있다. 상기 철은 탄소강(carbon steel), 스테인레스(stainless steel) 또는 합금(alloy steel)일 수 있고 상기 플라스틱은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 resin) 또는 열경화성 수지(thermosetting resin)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 resin)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아크릴(acrylic) 또는 나일론(nylon)일 수 있고 상기 열경화성 수지(thermosetting resin)는 페놀(phenol), 멜라민(melamine) 또는 에폭시(epoxy)일 수 있다.
상기 은행 보관장치 내부에 은행수거 완료 후 빗물을 저장하여 체결된 가로수에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은행 보관장치 내주면에 해충유인용 소재가 추가적으로 부가되어 은행나무 줄기 외주면과 상기 은행 보관장치 내주면 사이를 충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충방지용 소재는 볏짚 또는 보온섬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풍구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소형 풍력발전장치 및 상기 소형풍력발전장치에서 생성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충전장치가 부가될 수 있는데, 상기 충전장치에 저장된 전력으로 상기 수집부 본체에 부가된 조명장치의 점등이 가능하다. 상기 조명장치는 일반 전구, LED 또는 OLED 등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명장치는 캐치프레이즈, 또는 지자체나 기업의 로고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균일한 부호는 균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은행 수거장치(100)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은행 수거장치(100)는 은행나무 몸체에 설치하는 장치로 크게 자연낙과하는 은행을 수집하는 은행나무 줄기 상부에 장착하는 수집부 본체(120)와 상기 수집부 본체와 연결되어 낙과한 은행을 보관하는 은행나무 줄기 하부에 장착하는 은행 보관장치(150)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은행나무의 은행이 황색으로 변하는 10월 초순에 은행 수거장치(100)를 은행나무 몸체에 장착하여 낙과하는 은행이 수집부 본체(120)를 거쳐 하부의 은행 보관장치(150)로 모아지고 낙과가 완료되는 11월 중순에 은행 보관장치(150)으로부터 모아진 은행을 수거하게 된다. 수집부 본체(120)는 하단이 절단된 역원뿔 형태를 가지고 상부에 나뭇가지와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장치(130)가 줄로 연결되어 구비되며, 바람은 통과시키되 은행은 통과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복수의 통풍구(125)가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 또는 직물 소재의 낙과되는 은행을 수집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수집부 본체(120)는 깔때기 형태로 나무의 너비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강풍에 의해 수집부 본체(120) 외부로 은행이 낙과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은행은 수집부 본체(120) 내부로 낙과하게 된다. 상기 통풍구(125)는 은행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망(net) 형태 구성되거나 상기 통풍구(125)가 다공(multi-perforated)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망은 철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망이 적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집부 본체(120) 상부에 있는 상기 수집부 본체(120)와 은행나무 가지를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결속부(127)로 이어지는 고정장치(130)의 끝에는 나뭇가지를 결속하는 집게(135)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비 또는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수집부 본체(12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통풍구(125)의 구성으로 상기 고정장치(130)가 가지를 결속한 상태에서 강풍에 노출되어도 통풍구(125)를 통해 바람의 세기가 분산되므로 수집부 본체(12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은행 수거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은행 보관장치(150)는 상기 수집부 본체(120)에 결속되어 지면으로부터 고정되고 은행나무 줄기 하부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장착되어 낙과한 은행을 보관하고 은행 보관장치(150)를 은행나무 줄기와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장치(15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은행 보관장치(150)에 대한 설명은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은행 수거장치(100)의 수집부 본체(120)와 은행 보관장치(150)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은행 보관장치(150)을 살펴보면 내부 공간을 가진 한쌍의 절단된 원통형관 및 상기 한쌍의 절단된 원통형관을 체결할 수 있는 체결장치(15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장치(155)는 볼트 또는 경첩일 수 있고 목적물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장치는 어떠한 것도 사용가능하다.
도 3은 은행 수거장치(100)의 수집부 본체(120)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부 본체(120)를 펼치면 잘린 부채꼴 형태로 구성되어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은행나무의 수령(age of tree)과 무관하게 큰나무 또는 작은 나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 본체(120)를 은행나무 몸체에 설치할 때 드리워진 나뭇가지의 폭이 모두 수집부 본체(120)안으로 들어오도록 경사를 고려하여 수집부 본체(120)의 잘린 부채꼴의 양변에 탈착식 체결장치(122)가 구비되어 상기 양변을 체결함으로써 깔때기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탈착식 체결장치(122)는 벨크로, 지퍼, 가시도트 단추, 단추, 갈고리 단추 또는 탈착가능 접착제등을 사용하여 체결하게 된다.
수집부 본체(120)의 소재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직물 소재가 가능한데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VDC(polyvinyldene chloride), PP(polypropylene), PS(polystyrene), PVA(polyvinyl acetae), PVC(polyvinyl chloride), 나일론, PU(polyurethane),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PMMA[poly(methylmethacrylate)] 또는 PEN[poly(ethylene naphthalene)]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직물은 면직물, 모직물, 견직물 또는 화학섬유직물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화학섬유직물은 타포린(tarpauline)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집부 본체(120)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는 역원뿔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연성 지지대(128)가 삽입되어 외부 충격이 가해져도 역원뿔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도 4는 은행 수거장치(100) 하부에 결속되는 은행 보관장치(15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은행 보관장치(150)는 은행나무 하부에 결합하는 은행 보관장치(156)와 상기 은행 보관장치(156)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장치(155) 및 상기 은행 보관장치(150)의 덮개(151)를 도시하고 있다. 은행 낙과가 완료되면 은행 보관장치(150)를 열어 보관된 은행을 수거하고 악취제거를 위해 탈취제를 살포한 뒤 상기 은행 보관장치(150)를 다시 은행나무 몸체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 덮개(151)는 은행 보관장치(150)가 수집부 본체(120)와 결속되어 있을 때 즉 은행을 수거할 때는 사용하지 않고 은행 수거가 완료 되면 수집부 본체(120)를 제거하고 이듬해에 수집부 본체(120)를 다시 설치할 때까지 덮개(151)를 은행 보관장치(150)에 결속하게 된다.
상기 은행 보관장치(150)와 덮개(151)의 소재는 철(iron) 또는 플라스틱(plastic)일 수 있고 상기 철은 탄소강(carbon steel), 스테인레스(stainless steel) 또는 합금(alloy steel) 일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은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 resin) 또는 열경화성 수지(thermosetting resin)일 수 있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 resin)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아크릴(acrylic) 또는 나일론(nylon)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경화성 수지(thermosetting resin)는 페놀(phenol), 멜라민(melamine) 또는 에폭시(epoxy) 일 수 있다.
도 5는 은행 수거장치(100) 하부에 결속되는 은행 보관장치(150)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5는 은행의 수거를 완료하여 상부 수집부 본체(120)를 제거한 상태에서 덮개(151)를 은행 보관장치(150)에 결속한 모습이다. 은행은 이미 수거를 완료한 상태라 내부는 비어있다. 상기 은행 보관장치(150)의 하부는 지면으로 고정된 상태(미도시)로 연중 내내 은행나무 하부에 결속되어 있다. 만약 덮개(151)를 덮지 않으면 외부로부터 쓰레기 등이 투입되어 악취가 발생할 수 있고 기물 파손에 더욱 취약한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은행수거를 완료한 시점부터는 덮개(151)를 결속시켜야 한다. 추가기능으로 은행수거 완료 후 은행 보관장치(150) 하부에 모아진 빗물을 이용하여 갈수기에 은행 보관장치(150)로부터 체결된 가로수에 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은행 보관장치(150) 내주면에 해충유인용 소재가 추가적으로 부가되어 은행나무 줄기 외주면과 상기 은행 보관장치 내주면 사이를 충전하여 추가적인 장치 없이 기존의 은행 보관장치(150)를 이용하여 겨울철 해충방지장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충유인용 소재는 볏짚 또는 보온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은행 수거장치(100)의 참고예 1을 나타낸 도면이다. 은행 수거장치(100) 수집부 본체(120)에 구성되어 있는 통풍구(125)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소형 풍력발전장치(126) 및 상기 소형 풍력발전장치(126)에서 생성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충전장치(미도시)가 부가된다. 상기 소형 풍력발전장치(126)는 외부의 바람을 이용하여 날개의 회전을 통해 전력이 생산되고 충전장치(미도시)에 저장된다. 상기 소형 풍력발전장치(126)를 통하여 충분한 전력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는 건전지 또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장치(미도시)의 점등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은행 수거장치(100)의 참고예 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난바와 같이, 외부인에 대한 광고 또는 홍보효과를 목적으로 수집부 본체(120) 중앙에 조명장치(123)를 설치하여 상기 소형 풍력발전장치(126)에 의해서 생성되는 전력으로 상기 조명장치(123)를 작동하여 야간에도 광고 또는 홍보효과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장치(123)는 일반 전구, LED 또는 OLED 일 수 있고 상기 조명장치(123)의 형태는 지자체, 특정단체, 공동체 또는 기업의 로고(logo), 상표(trademark) 또는 캐치프레이즈(catchphrase) 일 수 있다. 또한 수집부 본체(120)에도 기업의 로고 또는 상표 및 시의 캐치프레이즈를 본체에 도안하여 거리, 기업 및 시홍보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은행 수거장치(100)의 수집부 본체(120)의 참고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집부 본체(120) 전체의 형태가 망(net)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는 은행이 낙과하는 시기에 태풍에 의한 강풍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대비하여 수집부 본체(120) 전체의 형태를 망(net) 형태로 설계하여 악천후에도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망(net) 형태로 은행나무 가로수에 설치되면 도시미관 상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하지 않으나 은행 수거를 위한 개인용도 또는 도서산간 지역에서의 은행 수집 목적에는 적합하게 사용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망은 철(iron) 또는 플라스틱(plastic)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플라스틱은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 resin) 또는 열경화성 수지(thermosetting resin)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 resin)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아크릴(acrylic) 또는 나일론(nylon) 일 수 있고 상기 열경화성 수지(thermosetting resin)는 페놀(phenol), 멜라민(melamine) 또는 에폭시(epoxy) 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은행 수거장치(100)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수집부 본체(120) 상부로부터 연결된 고정장치(130)가 은행나무 가지에 고정되고 수집부 본체(120)하부는 은행 보관장치(150)에 결속되어 설치기간 중에 고유의 형태를 유지하고 은행을 수거 할 수 있다. 또한 은행 보관장치(150) 내부에 보관된 은행은 결합장치(155)로 인해 외부인이 수거 할 수 없고 은행 낙과가 완료되는 시기에 상기 결합장치(155)를 풀고 은행을 수거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은행 수거장치(100)의 또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은행 보관장치(150)의 하부는 지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고정고리(152)와 고정대(159)로 분류할 수 있다. 은행 보관장치(150)의 고정은 고정대(159)를 고정고리(152)에 걸어서 상기 고정대(159)를 지면에 깊숙이 설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대(159)는 철제 고리, 말뚝 또는 텐트 팩(peg)형태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하단이 절단된 역원뿔 형태를 가지고 상부에 나뭇가지와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장치가 줄로 연결되어 구비되며, 바람은 통과시키되 은행은 통과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복수의 통풍구가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 또는 직물 소재의 낙과되는 은행을 수집하는 수집부 본체; 및
    상기 수집부 본체에 결속되어 지면으로부터 고정되고 은행나무 줄기 하부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장착되어 낙과한 은행을 보관하는 은행 보관장치;를 포함하는, 은행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는 낙과한 은행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망(net) 형태로 구성된, 은행수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 본체는 잘린 부채꼴의 양변에 탈착식 체결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양변을 체결함으로써 형성되는, 은행수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식 체결장치는 벨크로, 지퍼, 가시도트 단추, 단추, 갈고리 단추 또는 탈착가능 접착제인, 은행수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VDC(polyvinyldene chloride), PP(polypropylene), PS(polystyrene), PVA(polyvinyl acetae), PVC(polyvinyl chloride), 나일론, PU(polyurethane),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PMMA[poly(methylmethacrylate)] 또는 PEN[poly(ethylene naphthalene)]인, 은행수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면직물, 모직물, 견직물 또는 화학섬유직물인, 은행수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섬유직물은 타포린(tarpauline)인, 은행수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 본체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는 역원뿔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연성 지지대가 삽입되는, 은행수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 본체 외부에는 캐치프레이즈, 또는 지자체나 기업의 로고 형상으로 배열되는, 은행수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 보관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진 한쌍의 절단된 원통형관 및 상기 한쌍의 절단된 원통형관을 체결할 수 있는 체결장치로 구성되는, 은행수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된 원통형관의 소재는 철(iron) 또는 플라스틱(plastic)인, 은행수거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철은 탄소강(carbon steel), 스테인레스(stainless steel) 또는 합금(alloy steel)인, 은행수거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 resin) 또는 열경화성 수지(thermosetting resin)인, 은행수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 resin)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아크릴(acrylic) 또는 나일론(nylon)인, 은행수거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thermosetting resin)는 페놀(phenol), 멜라민(melamine) 또는 에폭시(epoxy)인, 은행수거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 보관장치 내부에 은행수거 완료 후 빗물을 저장하여 체결된 가로수에 물을 공급하는 기능이 추가적으로 포함된, 은행수거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 보관장치 내주면에 해충유인용 소재가 추가적으로 부가되어 은행나무 줄기 외주면과 상기 은행 보관장치 내주면 사이를 충전하는, 은행수거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유인용 소재는 볏짚 또는 보온섬유인, 은행수거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소형 풍력발전장치 및 상기 소형풍력발전장치에서 생성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충전장치가 부가되는, 은행수거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에 저장된 전력으로 상기 수집부 본체에 부가된 조명장치의 점등이 가능한, 은행수거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일반 전구, LED 또는 OLED인, 은행수거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캐치프레이즈 또는 지자체나 기업의 로고 형상으로 배열되는, 은행수거장치.





KR1020150018540A 2015-02-06 2015-02-06 은행수거장치 KR201600968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540A KR20160096898A (ko) 2015-02-06 2015-02-06 은행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540A KR20160096898A (ko) 2015-02-06 2015-02-06 은행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898A true KR20160096898A (ko) 2016-08-17

Family

ID=5687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540A KR20160096898A (ko) 2015-02-06 2015-02-06 은행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689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5420A (zh) * 2018-10-20 2019-01-29 安徽煜丰农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农产品采摘装置
KR102001206B1 (ko) 2019-03-20 2019-07-17 주식회사 양지애드컴 은행 낙과 수집 장치
KR20200042172A (ko) 2018-10-15 2020-04-23 김한필 낙과 수집 시스템
CN111684918A (zh) * 2020-07-08 2020-09-22 周佳艳 果实掉落自动收获机
US11686970B2 (en) 2020-07-08 2023-06-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172A (ko) 2018-10-15 2020-04-23 김한필 낙과 수집 시스템
CN109275420A (zh) * 2018-10-20 2019-01-29 安徽煜丰农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农产品采摘装置
KR102001206B1 (ko) 2019-03-20 2019-07-17 주식회사 양지애드컴 은행 낙과 수집 장치
CN111684918A (zh) * 2020-07-08 2020-09-22 周佳艳 果实掉落自动收获机
US11686970B2 (en) 2020-07-08 2023-06-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6898A (ko) 은행수거장치
ES2902368T3 (es) Método y sistema de riego de plantas
US7637053B1 (en) Crop protection device
US20050268544A1 (en) Plant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KR101304336B1 (ko) 안개 수집 장치.
GB2472041A (en) Greenhouse having a system of watering by collecting condensate
JP4920868B2 (ja) コケ緑化用マットおよびパネル
US20100064579A1 (en) Watering device for plant irrigation
JP2018064469A (ja) 降水受翼を用いた壁面の緑化工法
JP2007189936A (ja) 緑化基盤用シート、緑化基盤材、並びに建物の緑化システム
JP5310649B2 (ja) 植生マットの製造方法
US20040049976A1 (en) Plant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JP2017225430A (ja) 緑化用マット
CN112384059A (zh) 种植片材
JP6750332B2 (ja) 緑化用マットの製造方法
JP2010265624A (ja) 雨水貯留装置
US20040088914A1 (en) Frost cover
CA2678537C (en) Watering device for plant irrigation
JP3143334U (ja) 被展開物の展開具
KR102162286B1 (ko) 수목보호덮개
JP3209544U (ja) 補虫及び湿気集めの両用養殖サポート装置
KR101027584B1 (ko) 해충방제용 수목보호대
US11234383B2 (en)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JP3127588U (ja) 屋根・壁面緑化構造体
JP3008921U (ja) 折り畳み可能な園芸用覆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