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286B1 - 수목보호덮개 - Google Patents

수목보호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286B1
KR102162286B1 KR1020190005559A KR20190005559A KR102162286B1 KR 102162286 B1 KR102162286 B1 KR 102162286B1 KR 1020190005559 A KR1020190005559 A KR 1020190005559A KR 20190005559 A KR20190005559 A KR 20190005559A KR 102162286 B1 KR102162286 B1 KR 102162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n protection
protection cover
heavy object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009A (ko
Inventor
최종수
Original Assignee
최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수 filed Critical 최종수
Priority to KR1020190005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2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9Outdoor lighting of garde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보호덮개에 관한 것으로, 물기와 공기는 잘 통과하게 하면서 햇빛은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과수의 하부를 감싸면서 그 주위의 지면 사방을 일정 폭으로 덮어주도록 설치되는 햇빛차단덮개와; 상기 햇빛차단덮개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으로는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어 개구된 일단 및 타단이 형성되어 있는 중량물 삽입주머니와; 상기 중량물 삽입주머니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중량튜브;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햇빛차단덮개는 그 중심부분에 과수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설치공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중량물 삽입주머니의 개구된 일단 및 타단까지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를 덮어주도록 형성되는 덧댐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수목보호덮개{Tree protection cover}
본 발명은 수목보호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원에서 재배하고 있는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등의 과실을 맺는 과수(果樹)를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조경수를 보호하는 동시에 조경수의 주변 환경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도록 하는 수목보호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에서 재배하고 있는 과수를 보호하면서 그 주위에 잡초가자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과수가 재배되고 있는 지면에 검은색 비닐 등을 깔아놓는 방법으로 지면이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을 차단함으로써 과수 주위의 지면에 잡초가 자라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보빈에 감겨있는 검은색 비닐을 단순히 풀어주는 방법으로는 검은색 비닐이 과수의 주위를 완전히 덮어주는 상태로 설치할 수 없으며, 또한 보빈에 감겨있는 검은색 비닐은 통상 1m 내외의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 그루 내지 수십 그루를 재배하는 과수원에서 과수가 재배되고 있는 지면 전체를 덮어주기 위해서는 여러 장의 비닐이 서로 겹치는 상태로 설치하게 되는데, 검은색 비닐 자체는 그 두께가 매우 얇고 가볍기 때문에 아주 약한 바람에도 쉽게 날아가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검은색 비닐이 서로 겹치는 부분 등에는 돌멩이 또는 흙더미를 올려 놓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과수원 지면에 설치되는 검은섹 비닐은 햇빛을 차단하기 때문에 지면에서 잡초가 자라지 못하게 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는 반면에, 우천시 빗물이 지면으로 스며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과수원에서는 우천시에는 검은색 비닐을 일정기간 동안 거두어 놓았다가 재설치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그런데 검은색 비닐을 거두어 놓는 기간 동안 지면이 햇빛에 노출되므로 잡초가 성장하게 되며, 또한 한 번 설치했다가 거두어 놓은 검은색 비닐은 재설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새것을 구입해서 재설치해야 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가로수 등을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수목보호덮개는 대부분 주철재로 제조되어 있으므로 가로수 주위의 땅을 파지 못하게 하는 효과와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공간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빗물 등의 수분이 잘 침투하게 하는 효과는 있을 수 있겠으나, 가격이 고가이고 무게가 무거울 뿐 아니라 다수 형성되어 있는 공간에서 잡초가 자랄 수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과수농가에서는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46276호(2006. 11. 08. 공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16707호(2006. 05. 11.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9150호(2012. 12. 27.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과수의 경우에는 과수가 재배되고 있는 지면으로 빗물과 공기가 잘 스며들게 하는 동시에 잡초는 자라지 못하도록 햇빛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 햇빛차단매트로 구성되며, 상기 햇빛차단매트의 가장자리부분에는 중량물질을 삽탈 가능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량물 삽입주머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량물 삽입주머니에 삽입 설치되는 중량튜브로 구성되어 과수가 과실을 잘 맺을 수 있도록 하며, 조경수의 경우에는 지면으로 빗물이나 공기는 잘 스며들고, 햇빛은 차단하여 잡초가 자라지 못하게 하면서 야간에는 여러 가지 색상의 조명불빛으로 조경수 주위를 아름답게 꾸밀 수 있도록 하는 수목보호덮개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물기와 공기는 잘 통과하게 하면서 햇빛은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과수의 하부를 감싸면서 그 주위의 지면 사방을 일정 폭으로 덮어주도록 설치되는 햇빛차단덮개와;
상기 햇빛차단덮개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으로는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어 개구된 일단 및 타단이 형성되어 있는 중량물 삽입주머니와;
상기 중량물 삽입주머니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중량튜브;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햇빛차단덮개는 그 중심부분에 과수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설치공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중량물 삽입주머니의 개구된 일단 및 타단까지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를 덮어주도록 형성되는 덧댐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덧댐커버부재의 폭방향 일단은 절개부를 형성하는 햇빛차단덮개의 절개된 일단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덧댐커버부재의 폭방향 타단과 절개부를 형성하는 햇빛차단덮개의 절개된 타단은 착탈가능한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덧댐커버부재의 폭방향 타단과 상기 절개부를 형성하는 햇빛차단덮개의 절개된 타단은 매직테이프에 의하여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햇빛차단덮개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중량물 삽입주머니에 삽입 설치되는 중량튜브에는 물이 주입 충진되며, 상기 중량튜브는 중량물 삽입주머니를 덮어주도록 설치되는 보호덮개로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햇빛차단덮개 위에는 크고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조경용 돌멩이가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햇빛차단덮개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중량물 삽입주머니를 덮어주는 보호덮개에는 복수의 조명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덮개의 내부에는 복수의 조명공을 통해 조명하기 위한 복수의 꼬마전구, LED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는 조명장식이 삽입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햇빛차단덮개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중량물 삽입주머니에 삽입 설치되는 중량튜브의 양단은 각각 묶음수단에 의해 밀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과수원의 경우에는 재배하는 과수가 식재되어 있는 지면을 덮어주도록 설치된 햇빛차단덮개는 중량물 삽입주머니에 삽입 설치되는 중량튜브의 충진 물의 무게와 일정간격으로 꽂아주는 복수의 고정핀에 의하여 지면에 밀착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어떠한 바람에도 날아가지 않게 되며, 지면에 밀착 설치된 햇빛차단덮개는 물과 공기는 잘 스며들게 하면서 햇빛은 차단하여 잡초가 자라지 못하게 함으로써 과수 주변의 지면으로 공급되는 액비 등의 영양공급이 잘 이루어지게 하여 열매를 많이 맺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햇빛차단덮개를 조경수에 설치하게 될 경우에도 물과 공기는 잘 스며들게 하면서 햇빛은 차단하여 잡초가 자라지 못하게 하며, 상기 햇빛차단덮개 위에 작은 크기로 된 조경용 돌멩이 등을 깔아주는 장법으로 조경수 주변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상기 햇빛차단덮개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중량물 삽입주머니에 삽입 설치된 중량튜브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보호덮개 속에는 조명장식을 구성하는 복수의 꼬마전구 내지 복수의 LED에서 발광하는 불빛이 복수의 조명공을 통해 조명되도록 함으로써 조경수 주변을 다양한 색상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햇빛차단덮개를 과수에 설치한 제1 실시예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햇빛차단덮개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덧댐커버부재를 닫아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햇빛차단덮개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덧댐커버부재를 열어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덧댐커버부재를 열고 닫는 작동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2의 C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햇빛차단덮개에 형성된 중량물 삽입주머니에 삽입 설치된 중량튜브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의 일부 사시도 및 설치상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햇빛차단덮개를 조경수에 설치한 제2 실시예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햇빛차단덮개 설치상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햇빛차단덮개에 형성된 중량물 삽입주머니에 삽입 설치된 중량튜브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에 설치되는 조명장식의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11의 (가)(나) 도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햇빛차단덮개의 보호덮개에 설치되는 조명장식의 종류에 대한 실시예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햇빛차단덮개를 원형모양으로 형성한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목보호덮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햇빛차단덮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햇빛차단덮개(1)는 물과 공기는 통과시키면서 햇빛은 차단하는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햇빛차단덮개(1)는 현재 농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제초매트를 비롯하여 부직포, 차광막 재질로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일반 실(絲)로 제직된 천 등의 직물매트를 소재로 하여 제조된 것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햇빛차단덮개(1)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는 중량물 삽입주머니(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량물 삽입주머니(2)는 햇빛차단덮개(1)의 사방 가장자리부분 일부를 내측으로 접어준 다음, 그 접어준 부분을 열접착시키는 구조로 접합시키거나 또는 재봉실로 꿰메주는 구조로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량물 삽입주머니(2)는 햇빛차단덮개(1)가 열접합이 가능한 재질인 제초매트를 소재로 하여 제조된 것일 경우에는 사방 가장자리부분 일부를 내측으로 접어준 상태에서 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방법으로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햇빛차단덮개(1)가 열접합시킬 수 없는 재질인 부직포, 차광막 및 직물매트 등을 소재로 하여 제조된 경우에는 재봉틀을 이용하여 실로 꿰메주는 방법으로 중량물 삽입주머니(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햇빛차단덮개(1)의 중심부분에는 과수 및 조경수 등의 하단부를 감쌀 수 있는 크기의 설치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햇빛차단덮개(1)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되는 중량물 삽입주머니(2)는 일측이 끊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개구된 일단(21)과 타단(22)이 마주하는 상태로 분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햇빛차단덮개(1)의 중심부분에 형성된 설치공(11)의 일측에 형성된 양측 절개시작단(12)(13)과 상기 중량물 삽입주머니(2)의 개구된 일단(21) 및 타단(22)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햇빛차단덮개(1)는 설치공(11)의 일측 절개시작단(12)과 상기 중량물 삽입주머니(2)의 개구된 일단(21)과 상기 설치공(11)의 타측 절개시작단(13)과 상기 중량물 삽입주머니(2)의 개구된 타단(22)은 각각 연결 형성된 상태로 형성된 채 서로 분리된 절개부(3)를 구성하게 된다.(도 3 참조)
상기 햇빛차단덮개(1)의 일측에 분리 형성되는 절개부(3)는 별도로 형성되는 덧댐커버부재(4)에 의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3)의 형성구조와, 상기 절개부(3)를 연결 및 분리하도록 형성되는 덧댐커버부재(4)의 부착구조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절개부(3)는 설치공(11)의 일측 절개시작단(12)과 중량물 삽입주머니(2)의 개구된 일단(21) 사이에 형성되는 햇빛차단덮개(1)의 절개된 일단(31)과, 설치공(11)의 타측 절개시작단(13)과 중량물 삽입주머니(2)의 개구된 타단(22) 사이에 형성되는 햇빛차단덮개(1)의 절개된 타단(3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덧댐커버부재(4)의 폭방향 일단(41)은 햇빛차단덮개(1)의 절개된 일단(31)에 열접합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실로 꿰메는 재봉선(43)으로 고정 부착되며, 상기 덧댐커버부재(4)의 폭방향 타단(42)은 햇빛차단덮개(1)의 절개된 타단(32)에 매직테이프(5)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매직테이프(5)는 흔히 시중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찍찍이" 등으로 불려지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매직테이프(5)는 부직포로 구성되는 부직포 ㅊ착탈(5a)과 상기 부직포 착탈면(5a)을 붙혔다 떼낼 수 있도록 다수의 후크고리가 배열 형성되어 있는 후크고리 고정면(5b)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햇빛차단덮개(1) 중심에 형성된 설치공(11)의 절개시작단(13)과 중량물 삽입주머니(2)의 개구된 타단(22) 사이에 절개부(3)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절개된 타단(32)에는 상기 매직테이프(5)의 후크고리 고정면(5b)이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매직테이프(5)의 부직포 착탈면(5a)은 덧댐커버부재(4)의 폭방향 타단(42)에 고정 부착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덧댐커버부재(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햇빛차단덮개(1)에 부착된 매직테이프(5)의 후크고리 고정면(5b)에 덧댐커버부재(4)에 형성된 매직테이프(4)의 부직포 착탈면(5a)을 부착시키는 구조로 상기 덧댐커버부재(4)를 햇빛차단덮개(1)의 일측에 형성된 절개부(3)를 덮어주는 상태로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덧댐커버부재(4)의 폭방향 일단(41)에 부착되어 있는 부직포 착탈면(5a)을 햇빛차단덮개(1)에 부착된 후크고리 고정면(5b)에서 떼내는 방법으로 상기 절개부(3)를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햇빛차단덮개(1)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중량물 삽입주머니(2)에는 비닐재질이나 고무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물을 주입 충진시킬 수 있는 중량튜브(6)가 삽탈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중량물 삽입주머니(2)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하게 될 경우에는 중량물 삽입주머니(2)가 직각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코너부분에는 ㄴ자형의 엘보우관(23)을 삽입하여 상기 중량물 삽입주머니(2)의 코너부분에서 직각상으로 절곡되는 중량튜브(6)를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햇빛차단덮개(1)는 과수원에서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등의 열매를 맺는 과수(100)의 하단부를 감싸주는 상태로 상기한 과수(100) 주변의 지면을 덮어주도록 설치한 다음에는 ∩자형으로 된 복수의 고정핀(14)을 햇빛차단덮개(1)의 상측에서 일정간격으로 지면에 꽂아주게 되면 상기 햇빛차단덮개(1)는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중량물 삽입주머니(2)에 삽입 설치되는 중량튜브(6)에 주입 충진되는 물의 무게와 복수의 고정핀(14)에 의하여 지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량물 삽입주머니(2)에 설치되는 중량튜브(6)은 물이 주입 충진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중량물 삽입주머니(2)에 삽입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중량튜브(6)는 중량물 삽입주머니(2)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구된 일단(21) 및 타단(22)으로 돌출하는 일단(61) 또는 타단(62) 중 어느 한 쪽 단부를 묶은끈이나 묶음밴드, 묶은크립 등으로 구성되는 묶음수단(6a)또는(6b)으로 묶어준 상태에서 물을 주입 충진시키게 되며, 물의 주입 충진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물을 주입하던 일단(61) 또는 타단(62)을 묶음수단(6a)또는(6b)으로 묶어주게 되면 상기 중량듀브(6)는 밀봉되는 상태가 된다.(도 1 및 도 2 참조)
상기와 같이 묶음수단(6a)(6b)으로 일단(61) 및 타단(62)이 밀봉된 상기 중량튜브(6)는 주입 충진된 물은 자중으로 중량물 삽입주머니(2)를 누르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햇빛차단덮개(1)는 지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되며, 이어서 상기 햇빛차단덮개(1)에 복수의 고정핀(14)을 일정간격으로 꽂아주게 되면 햇빛차단덮개(1)는 지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될 뿐 아니라 강한 바람이 불게 되더라도 지면에 밀착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햇빛차단덮개(1)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중량물 삽입주머니(2)에 삽입 설치되는 중량튜브(6)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중량물 삽입주머니(2)를 덮어주는 보호덮개(7a)가 설치된다.(도 7 참조)
한편, 상기 햇빛차단덮개(1)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조경수(200)의 하단부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경수(20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햇빛차단덮개(1)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도 물이 충진된 중량튜브(6)가 삽입 설치되는 중량물 삽입주머니(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량물 삽입주머니(2)의 안쪽으로는 크고 작은 크기로 된 많은 수의 조경용 돌멩이(8)가 햇빛차단덮개(1)를 덮어주도록 배열 설치된다.
상기 햇빛차단덮개(1)를 덮어주도록 배열 설치되는 크고 작은 조경용 돌멩이(8)들은 햇빛차단덮개(1)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조경수(20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햇빛차단덮개(1)에는 고정핀(14)을 꽂아주지 않더라도 상기 햇빛차단덮개(1)는 지면에 밀착 설치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경수(200)를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햇빛차단덮개(1)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중량물 삽입주머니(2)에 삽입 설치되는 중량튜브(6)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7b)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덮개(7b)에는 도 11의 (가)(나) 도시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조명공(71)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보호덮개(7b)의 내측으로는 복수의 꼬마전구(7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선(73)으로 구성되는 조명장식(74)이 삽입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복수의 LED(75)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76)으로 구성되는 조명장식(77)이 삽입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과수(100) 및 조경수(200)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햇빛차단덮개(1)를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햇빛차단덮개(1)는 과수(100) 및 조경수(200)의 종류, 크기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일례로서, 도 12의 도시와 같이 상기 햇빛차단덮개(1)를 원형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중심부분에 형성되는 설치공(11)을 별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햇빛차단덮개(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햇빛차단덮개(1)는 과수(100) 및 조경수(200)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덧댐커버부재(4)를 분리하여 절개부(3)를 통해 과수(100) 및 조경수(200)가 상기 햇빛차단덮개(1)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공(11)에 위치하도록 햇빛차단덮개(1)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햇빛차단덮개(1)는 물과 공기는 잘 통하고 햇빛은 차단하는 소재로 되어 있으므로 과수(100) 및 조경수(200)가 심겨져 있는 지면을 덮어주도록 설치하게 되면 물과 공기는 지면으로 잘 스며들게 하면서 햇빛은 차단하여 잡초는 자라지 못하게 하면서 과수(100) 및 조경수(200)를 재배할 수 있게 된다.
사과, 배, 복숭아, 포드 등의 열매를 맺는 과수(100)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햇빛차단덮개(1)는 과수(100)의 주변 지면에 잡초가 자라지 못하게 하면서 우천시 빗물은 지면으로 잘 스며들게 하면서 강한 바람이 불게 되더라도 중량물 삽입주머니(2)에 삽입 설치된 중량튜브(6)에 충진된 물의 무게와 지면에 꽂아준 복수의 고정핀(14)에 의하여 지면에 밀착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과수농가에서는 우천시 또는 장마철에 과수(100)를 보호하도록 설치한 햇빛차단덮개(1)의 설치상태를 점검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과수(100)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햇빛차단덮개(1)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중량물 삽입주머니(2)를 덮어주도록 설치되는 보호덮개(7a)는 중량튜브(6)를 보호하게 되므로 과수(10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 조경수(200)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햇빛차단덮개(1)에는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되는 중량물 삽입주머니(2)의 안쪽으로 크고 작은 다수의 조경용 돌멩이(8)들이 조밀하게 깔리도록 설치되므로 상기 햇빛차단덮개(1)는 중량물 삽입주머니(2)에 삽입 설치된 중량튜브(6)에 충진된 물의 무게와 함께 다수의 조명용 돌멩이(8)들의 무게에 의하여 강한 바람에도 절대 날아가지 않고 지면에 밀착 설치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경수(200)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햇빛차단덮개(1)에는 사방 가장자리부분의 중량물 삽입주머니(2)를 덮어주는 상태로 설치되어 물이 충진되는 중량튜브(6)를 보호하는 보호덮개(7b)에는 복수의 조명공(7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덮개(7b)의 내측으로는 복수의 꼬마전구(7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전선(73)으로 구성되는 조명장식(74) 또는 복수의 LED(75)가 일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76)으로 구성되는 조명장식(77)이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덮개(7b)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조명장식(74)또는(77)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점멸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조명장식을 형성하는 복수의 꼬마전구(72) 또는 복수의 LED(75) 각각은 다양한 색상으로 점멸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경수(200) 주위를 다양한 색상의 불빛으로 아름답게 조명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수(100) 및 조경수(200)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햇빛차단덮개(1)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중량물 삽입주머니(2)에 삽입 설치되는 중량튜브(6)의 양단(61)(62)은 각각 묶음수단(6a)(6b)에 의해 밀봉하는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지만, 상기 중량튜브(6)의 양단(61)(62) 중 어느 일단에는 묶음수단 대신에 개폐밸브(미도시)를 장착하여 중량튜브(6)에 물을 주입 충진 및 밀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햇빛차단덮개(1)는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등의 열매를 맺는 과수(100) 및 주위를 아름답게 꾸밀 수 있게 하는 조경수(200)의 주변에 잡초가 자라지 못하게 하는 작용으로 과수(100) 및 조경수(200)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장마철 또는 태풍 발생시 강한 바람이 불게 되더라도 과수(100) 및 조경수(200)의 주변 지면에 설치된 상기 햇빛차단덮개(1)는 지면에 밀착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햇빛차단덮개(1)의 설치상태를 점검 및 확인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 : 햇빛차단덮개 11 : 설치공
12,13 : 절개시작단 14 : 고정핀
2 : 중량물 삽입주머니 21 : 개구된 일단
22 : 개구된 타단 3 : 절개부
31 : 절개된 일단 32 : 절개된 타단
4 : 덧댐커버부재 41 : 폭방향 일단
42 : 폭방향 타단 43 : 재봉선
5 : 매직테이프 5a : 부직포 착탈면
5b : 후크고리 고정면 6 : 중량튜브
61 : 일단 62 : 타단
6a,6b : 묶음수단 7a,7b : 보호덮개
71 : 조명공 72 : 꼬마전구
73 : 전선 74,77 : 조명장식
75 : LED 76 : 인쇄회로기판
100 : 과수 200 : 조경수

Claims (7)

  1. 과수 또는 조경수의 하부를 감싸면서 그 주위의 지면 사방을 일정 폭으로 덮어주도록 설치되는 햇빛차단덮개와;
    상기 햇빛차단덮개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으로는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어 개구된 일단 및 타단이 형성되어 있는 중량물 삽입주머니와;
    상기 중량물 삽입주머니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중량튜브;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햇빛차단덮개는 물과 공기는 잘 통과하게 하면서 햇빛은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 부직포를 포함한 직물매트로 형성되고, 상기 햇빛차단덮개의 중심부분에 과수 또는 조경수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설치공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중량물 삽입주머니의 개구된 일단 및 타단까지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를 덮어주도록 형성되는 덧댐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햇빛차단덮개 위에는 크고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조경용 돌멩이가 설치되어, 중량물이 충진된 상기 중량튜브가 삽입된 삽입주머니가 상기 햇빛차단덮개의 외부를 둘러싸는 울타리를 형성하여 상기 조경용 돌맹이들을 외부로 흩어지지 않게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보호덮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덧댐커버부재의 폭방향 일단은 절개부를 형성하는 햇빛차단덮개의 절개된 일단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덧댐커버부재의 폭방향 타단과 절개부를 형성하는 햇빛차단덮개의 절개된 타단은 착탈가능한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보호덮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덧댐커버부재의 폭방향 타단과 상기 절개부를 형성하는 햇빛차단덮개의 절개된 타단은 매직테이프에 의하여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보호덮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햇빛차단덮개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중량물 삽입주머니에 삽입 설치되는 중량튜브에는 물이 주입 충진되며, 상기 중량튜브는 중량물 삽입주머니를 덮어주도록 설치되는 보호덮개로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보호덮개.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햇빛차단덮개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중량물 삽입주머니를 덮어주는 보호덮개에는 복수의 조명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덮개의 내부에는 복수의 조명공을 통해 조명하기 위한 복수의 꼬마전구, LED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는 조명장식이 삽입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보호덮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햇빛차단덮개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중량물 삽입주머니에 삽입 설치되는 중량튜브의 양단은 각각 묶음수단에 의해 밀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보호덮개.
KR1020190005559A 2019-01-16 2019-01-16 수목보호덮개 KR102162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559A KR102162286B1 (ko) 2019-01-16 2019-01-16 수목보호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559A KR102162286B1 (ko) 2019-01-16 2019-01-16 수목보호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009A KR20200089009A (ko) 2020-07-24
KR102162286B1 true KR102162286B1 (ko) 2020-10-06

Family

ID=7189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559A KR102162286B1 (ko) 2019-01-16 2019-01-16 수목보호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2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522B1 (ko) 2021-03-09 2021-09-27 송주호 다기능성 가로수 보호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3358A (ja) * 2004-03-11 2005-09-22 Toshiyuki Oki 土壌表面被覆材
KR100692084B1 (ko) * 2006-12-08 2007-03-12 (주)현대철강레이져 가로수 보호커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707Y1 (ko) 2006-03-10 2006-05-19 강태우 수목보호덮개
KR100646276B1 (ko) 2006-05-02 2006-11-23 주식회사 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의 경사면에 식재되는 수목의 보호장치
KR20120139150A (ko) 2011-06-17 2012-12-27 이천호 내경의 크기가 확장되는 수목 보호덮개
KR20120085705A (ko) * 2012-07-13 2012-08-01 이준구 과수용 잡초 성장억제 덮개장치 및 잡초성장 억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3358A (ja) * 2004-03-11 2005-09-22 Toshiyuki Oki 土壌表面被覆材
KR100692084B1 (ko) * 2006-12-08 2007-03-12 (주)현대철강레이져 가로수 보호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522B1 (ko) 2021-03-09 2021-09-27 송주호 다기능성 가로수 보호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009A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9049A (en) Ground cover and method of making
US5832660A (en) Decorative plant cover
US10561074B2 (en) Plant skirt and method for use thereof
ITMI20121761A1 (it) Impianto antigrandine ed antiinsetto monofilare, ad apertura e chiusura rapida, per la protezione di coltivazioni di piante disposte in filari.
KR102162286B1 (ko) 수목보호덮개
KR101178837B1 (ko) 잡초제거장치
KR20120085705A (ko) 과수용 잡초 성장억제 덮개장치 및 잡초성장 억제방법
US11497176B2 (en) Plant cover device with enclosure and peripheral base and related methods
JP3196472U (ja) 雑草防止シート
US11730092B2 (en) Plant cover with insect resistant bag for enclosing a plant
US6115960A (en) Decorative plant cover
US20040088914A1 (en) Frost cover
US20020095861A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plants during cold weather
JP3123558U (ja) 果樹の覆い装置
KR20180105517A (ko) 전개형 패브릭 화분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54305A (ko) 주름 구간이 형성된 과일 봉지
US11503777B2 (en) Plant cover device with upper end and lower tubular end and related methods
US11968931B2 (en) Plant cover device with tubular shape and base member and related methods
JP3238843U (ja) 栽培物の保護用シート
JP3008921U (ja) 折り畳み可能な園芸用覆い
GB2327179A (en) Cover for hanging baskets and other plant containers
EP1084606A2 (en) Protective covering for herbaceous or wooden plants
KR20120140231A (ko) 멀티기능(복대장치와 낙과방지장치)장치가 포함된 봉지씌우기용 과일봉지
EP4275482A1 (en) A pot for containing plant roots of at least one plant and growth medium
JP4781340B2 (ja) 育苗用保護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