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395A -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395A
KR20160096395A KR1020150017972A KR20150017972A KR20160096395A KR 20160096395 A KR20160096395 A KR 20160096395A KR 1020150017972 A KR1020150017972 A KR 1020150017972A KR 20150017972 A KR20150017972 A KR 20150017972A KR 20160096395 A KR20160096395 A KR 20160096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over
sensor
touch sen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2941B1 (ko
Inventor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7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941B1/ko
Priority to US15/547,406 priority patent/US10697645B2/en
Priority to PCT/KR2016/000937 priority patent/WO2016126050A2/en
Priority to EP16746791.9A priority patent/EP3256787B1/en
Publication of KR20160096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touch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6Ornamental features, e.g. grate fronts or surr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2003/0293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with an integrated touch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3/00Electricity: power supply or regulation systems
    • Y10S323/904Touch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조리기기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아웃 커버; 상기 아웃 커버의 배면에 접하도록 장착되며, 복수의 터치 센서가 구비되는 터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와 접하는 상기 아웃 커버의 배면의 가공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터치 조작시 보다 용이하게 탄성 변형되어 상기 터치 센서로 압력을 전달하는 터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 Cooking apparatus and touch sensor assembly for cook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조리 기기 및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스나 전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에는 조리기기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가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조리기기의 다양한 설정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근래에는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음식의 조리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기능의 설정 및 조작이 가능한 조작부의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082624호에는 터치 방식의 컨트롤 패널이 제공되며, 터치 방식으로 다양한 기능의 설정 및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리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의 컨트롤 패널은 글래스 패널의 배면에 터치 조작되는 정전용량 방식의 키패드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컨트롤 패널 구조의 경우 컨트롤 패널의 외관은 글래스로 형성될 수 밖에 없어 제한적이게 되며, 터치의 조작을 위한 센서도 정전용량 센서로 한정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금속 소재의 외관을 형성하여 외관이 더욱 개선되도록 하며 동시에 터치 조작의 인식률이 향상되는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조리기기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아웃 커버; 상기 아웃 커버의 배면에 접하도록 장착되며, 복수의 터치 센서가 구비되는 터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와 접하는 상기 아웃 커버의 배면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사용자의 터치 조작시 보다 용이하게 탄성 변형되어 상기 터치 센서로 압력을 전달하는 터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부는 에칭 또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상기 아웃 커버의 표면을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부는 상기 터치부의 둘레를 가공하여 형성되며, 상기 터치부의 두께는 상기 터치부의 둘레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부는 상기 터치 센서의 중심과 대응하는 지점을 동심으로 한 직경이 다른 다수의 원 형상으로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부는 상기 터치 센서의 중심과 대응하는 지점에서 나선형상으로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 커버는 전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둘레는 상기 터치 모듈이 수용되도록 벤딩되며, 상기 터치부는 상기 경사부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곡 형성된 상기 아웃 커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아웃 커버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상기 터치 모듈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어 상기 터치 모듈이 삽입 장착되는 터치 모듈 장착부가 형성되는 가이드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 모듈 장착부와 상기 터치 모듈에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터치 모듈이 정위치에서 형합되도록 하는 정렬 홈과 정렬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 모듈은, 상기 터치 센서가 장착되는 터치 피시비와; 상기 피시비에 장착되어 상기 터치 센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피시비의 일측에는 상기 터치 피시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 제어부와 대응하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터치 제어부가 수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에는 다수의 구획부가 돌출되어 상기 터치부와 대응위치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 내측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개구된 에어 벤트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 커버의 내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터치 모듈이 장착되도록 개구된 터치 모듈 장착부가 형성되는 가이드 케이스와; 상기 가이드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터치 모듈 장착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터치 모듈을 상기 아웃 커버와 밀착시키는 서포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케이스와 상기 서포터의 사이에는 상기 조리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서포터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 및 가이드 케이스를 차례로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서포터와 상기 가이드 케이스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 커버의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케이스와의 결합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 케이스의 단부를 구속할 수 있도록 연장되는 결합 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 구속되는 베이스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 개구되는 장착구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터치 모듈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터치 센서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터치 모듈을 탄성 지지하는 터치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부의 둘레에는 상기 터치부를 따라서 절개되어 상기 터치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상기 터치부의 일측에는 상기터치 모듈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터치 센서의 중앙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 커버에는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 및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창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 커버는, 상기 터치부가 형성되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외측단에서 절곡되는 측면부 및 상하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 커버의 개구된 후면은 상기 조리기기의 외측면과 접하여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리기기는,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외관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외장 부재; 상기 외장 부재의 배면에 복수의 터치 센서가 밀착되도록 장착되는 터치 모듈;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의 위치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외장부재의 노출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터치 조작하는 복수의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의 반대측 면에 상기 외장부재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가공 형성되며, 상기 터치 센서와 접하여 상기 터치 센서로 사용자의 터치시 압력을 전달하는 터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장부재는, 상기 본체의 전면 또는 상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장부재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되는 아웃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 커버에는, 상기 표시부와 상기 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치 모듈이 밀착 장착되는 경사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장부재에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조작 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부는 에칭 또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상기 아웃 커버의 표면을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부는 상기 터치부의 둘레를 가공하여 형성되며, 상기 터치부의 두께는 상기 터치부의 둘레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부는 상기 터치 센서의 중심과 대응하는 지점을 동심으로 한 직경이 다른 다수의 원 형상으로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부는 상기 터치 센서의 중심과 대응하는 지점에서 나선형상으로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조리기기의 조작부 외관을 금속소재로 하고, 별도의 버튼 구조 없이 아웃 커버를 직접 터치 조작하는 것에 의해 조작의 입력이 가능하게 되어 전체적인 외관이 개선되고 조작의 입력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 센서와 접하는 상기 아웃 커버의 배면에 에칭 또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아웃 커버의 터치 조작시 상기 아웃 커버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여 상기 터치 센서로의 압력 변화의 전달이 용이하여 상기 터치 센서의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아웃 커버의 둘레는 벤딩되는 형상으로 가공되며, 이러한 벤딩에 의해 상기 아웃 커버의 둘레와 가까운 영역에 작용되는 텐션의 작용시에도 상기 터치부의 구조로 인하여 터치 조작의 인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터치부의 성형에 의해 복수의 상기 터치부 사이의 조작시 복수의 키가 동시에 입력되지 않도록 하며 복수의 상기 터치부가 독립적인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케이스에서는 상기 터치 모듈이 정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아웃 케이스와 상기 가이드 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상기 터치 센서가 상기 터치부와 일치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조립성 및 터치 조작의 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접착시트에 의해 상기 아웃 커버와 일차적인 고정이 가능하며, 상기 서포터가 후방에서 터치 모듈을 지지하여 상기 터치 센서가 상기 아웃 커버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터치 센서의 인식률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에 형성되는 탄성부 또는 상기 터치 모듈 후면의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터치 센서는 탄성 지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아웃 커버의 조작이 완료되어 상기 아웃 커버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될 경우 상기 터치 센서 및 상기 아웃 커버는 원래의 위치 및 상태로 복귀될 수 있게 되어 연속적인 조작이 가능하고 장기간의 사용시에도 인식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조작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조작부의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조작부의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아웃 커버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아웃 커버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가이드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및 터치 모듈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터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탄성부재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서포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서포터와 아웃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가이드 케이스에 디스플레이와 터치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가이드 케이스와 아웃 커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결합된 서포터에 상기 아웃 커버와 결합된 가이드 케이스 사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2의 15-15'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7은 상기 조작부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조작부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아웃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아웃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조작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도 25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터치 센서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센서 피시비의 평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27은 상기 센서 피시비에 차폐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8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컨덕티브 포일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터치 부스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1은 상기 조작부의 절결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3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오븐과 쿡 탑이 일체로 구성된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터치 방식으로 조작부가 구성되는 전자레인지, 가스레인지, 오븐 등 모든 타입의 조리기기에 적용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오븐과 쿡 탑이 일체로 구성된 구조의 조리기기의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1)는 내부에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제공되어 조리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도어(20),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식품의 조리가 가능한 쿡 탑(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본체(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각각 독립된 2개의 조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 공간은 각각 전방으로 개구되며, 각각의 조리 공간에는 각각 도어(20)가 구비되어 상기 조리 공간을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리 공간의 내부는 가스 또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어 내부에 수용된 식품을 가열조리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공되는 조리 공간은 독립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전방으로 회동되어 개폐될 수 있으며, 하부의 조리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는 서랍식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쿡 탑(30)은 상기 조리기기(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쿡 탑(30)의 상면에는 조리를 위한 용기가 안착되어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쿡 탑(30)은 밀폐형의 가스 레인지 구조로 구성되어 가스에 의해 가열될 수도 있고, 전기에 의해 가열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상부 전면에는 조작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40)는 상기 조리 공간과 쿡 탑(30)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 조작 가능한 다수의 조작 노브(45)가 장착될 수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40)에는 터치 타입으로 구성되어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40)는 상기 조작 노브(45)를 제외하고 터치 센서 어셈블리(5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작부(40)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특히 상기 조작부(40)를 구성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조작부를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조작부의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조작부의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조작부(40)의 외관은 전체적으로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전면 일부를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41)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터치 조작하는 아웃 커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41)는 상기 본체(10)의 좌우 폭과 대응하며, 상기 본체(10)의 전면 상단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41)는 다수회 절곡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의 전면 양측에는 다수의 노브 홀(42)이 천공되어 다수의 상기 조작 노브(45)가 회전 조작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의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터치 조작 가능한 아웃 커버(100)가 장착되는 장착구(43)가 개구된다.
즉, 상기 조작부(40)를 통해서 조작되는 상기 조작 노브(45)와 아웃 커버(100)는 전방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커버(10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41) 상에서 돌출되는 구조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한층 더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40)의 중앙에는 아웃 커버(100)를 통해서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 상태와 조작을 위한 설정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60)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60)의 하방에는 터치 모듈(30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 설정과 상태 확인을 상기 조작부(40)의 중앙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50)를 통해 입력 및 확인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아웃 커버(100)는 상기 조작부(4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터치 모듈(300)을 완전히 가리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터치 모듈(300)은 상기 아웃 커버(100)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아웃 커버(100)의 직접적인 터치 조작에 의해 동작의 입력 및 선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웃 플레이트(41)를 기준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의 후방에는 서포터(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400)는 상기 터치 모듈(300) 및 디스플레이(60)가 장착되는 가이드 케이스(200)와 결합되며, 상기 터치 모듈(300)을 가압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포터(40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41)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케이스 결합부(23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의 결합 홀(44)을 관통하여 상기 서포터 결합부(411)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400)의 후방에서 체결되는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가 상기 서포터 결합부(411)와 상기 결합 홀(44) 및 케이스 결합부(230)를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서포터(400)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41) 및 가이드 케이스(200)는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0)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착부(210)와, 상기 터치 모듈(300)이 장착되는 터치 모듈 장착부(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는 전체적으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이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60)의 확인 및 상기 터치 모듈(300)의 입력 조작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0)와 상기 터치 모듈(30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60)와 상기 터치 모듈(300)이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전면 및 둘레면을 감싸도록 상기 아웃 커버(100)가 결합된다.
상기 아웃 커버(100)는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40)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커버(100)에는 디스플레이 창(111)이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6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웃 커버(100)는 상기 디스플레이(60)를 제외한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외측면을 차폐하며, 특히 상기 터치 모듈(300)과 밀착되어 상기 아웃 커버(100)의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터치 모듈(300)에 조작 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아웃 커버(10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아웃 커버(10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41)가 단일 부품으로 구성되고 절곡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곡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터치 모듈(300)과 디스플레이(60)가 장착되는 부분이 아웃 커버(100)가 되고, 조작부(40)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이 아웃 플레이트(41)가 될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작부(40)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아웃 커버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아웃 커버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웃 커버(10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를 감쌀 수 있도록 둘레면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상기 아웃 커버(100)의 전면은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10)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전면과 동일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전면과 접하는 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아웃 커버(100)의 좌우 양 측면(120)은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11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커버(100)의 상기 상면(130)과 하면(140)은 상기 좌우 양측면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후방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커버(100)의 개구된 후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의 단부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의 전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커버(100)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가 수용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커버(100)의 후단의 둘레에는 결합 편(15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 편(150)은 상기 아웃 커버(100)의 후단 즉 상기 아웃 커버(100)의 좌우 양측면과 하면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더 연장 형성된다. 상기 결합 편(150)은 상기 아웃 커버(100)와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결합시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후측 단부와 접하는 형태로 절곡된다.
상기 결합 편(150)은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서 절곡시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후측 단부를 감싸도록 연장되며, 각 면에 복수개가 제공되어 상기 아웃 커버(100)가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 커버(100)의 경사부(110)에는 디스플레이 창(111)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111)은 상기 디스플레이(6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창(111)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창(111)의 하방에 터치 조작을 위한 터치 입력부(16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111)의 하방에는 터치 입력부(160)가 더 형성된다. 상기 터치 입력부(160)는 사용자가 상기 조리기기(1)의 설정 및 조작을 위해 터치 조작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터치 입력부(16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터치 모듈(300)에 조작 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도록 상기 터치 모듈(30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입력부(160)는 다수의 터치부(16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161)는 상기 아웃 커버(100)의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터치 모듈(300)에 구비되는 다수의 터치 센서(310)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 커버(100)의 장착시 상기 터치부(161)는 상기 각각의 상기 터치 센서(310)와 밀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입력부(160)의 내측과 상기 터치부(161)의 외측의 사이에 영역에는 가공부(162)가 더 형성된다. 상기 가공부(162)는 상기 다수의 터치부(161)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떨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터치부(161) 사이 및 터치 입력부(160)의 외측 영역이 에칭 또는 레이저 가공 등에 의해 가공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가공부(162)의 두께는 에칭 또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서 상기 터치부(161) 또는 상기 터치 입력부(160)의 외측의 두께보다는 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부(161)의 조작시 상기 아웃 커버(100)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터치부(161)의 터치 조작에 의한 압력 변화를 상기 터치 센서(310)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터치부(161)들은 상기 가공부(162)에 의해 독립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터치부(161) 중 어느 하나의 터치부(161)를 누름 조작하게 될 때 인접하는 터치부(161)는 가압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부(161)의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 예를 들어 상기 가공부(162)의 영역 또는 터치 입력부(160) 외측의 영역을 터치하게 되었을 때에 상기 터치부(161)가 가압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부(161)에는 필요에 따라 요철 형상의 가공이 더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요철 형상에 의해 상기 터치 센서(310)에 보다 효과적인 압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부(161)와 대응하는 상기 아웃 커버(100)의 전면에는 상기 터치부(161)의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16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3)는 인쇄 또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상기 터치부(161)의 영역을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터치 센서(310)와 대응하는 정확한 위치를 터치하여 상기 터치 센서(310)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상시 표시부(163)는 글자 또는 그림 형태로 인쇄 또는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부(161)의 테두리와 대응하는 위치를 표시하도록 인쇄 또는 가공되어 사용자가 정확한 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가이드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및 터치 모듈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전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좌우 양측면과 상면 및 하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후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의 전면과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는 상기 아웃 커버(100)와 전체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는 상기 아웃 커버(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아웃 커버(10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210)와 터치 모듈 장착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210)는 상기 디스플레이(6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둘레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60)가 전방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210)의 내측에는 디스플레이 지지부(211)가 더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60)를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터치 모듈 장착부(22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210)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터치 모듈(30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터치 모듈(300)의 좌우 양측에는 정렬 홈(221)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정렬 홈(221)은 측방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좌측과 우측의 정렬 홈(221)은 상기 터치 모듈(300)의 양단에 형성되는 정렬 돌기(322,331)와 형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렬 홈(221)은 그 위치에 있어서, 상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 모듈(300)이 일 방향으로만 장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터치 모듈(300)의 오조립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정렬 홈(221)과 정렬 돌기(322,331)는 서로 형합 가능한 형상, 예컨데 도브테일(Dovetai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모듈(300)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모듈(300)은 상기 터치 모듈 장착부(220)에 정위치로 장착될 수 있으며 고정된 장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정렬 홈(221)과 정렬 돌기(322,331)는 그 위치가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 상기 정렬 홈(221)이 상기 터치 모듈(300)에 형성되고, 상기 정렬 돌기(322,331)가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정렬 홈(221)과 정렬 돌기(322,331)는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되 그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좌우 방향이 반대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렬 홈(221)과 정렬 돌기(322,331)는 형합 가능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60)와 터치 모듈(300)이 모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모듈(300)은 상기 아웃 커버(100)와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아웃 커버(100)를 제외한 상기 디스플레이(60)와 가이드 케이스(200)의 다른 부분은 상기 터치 모듈(300)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거나 더 후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와 아웃 커버(100)의 결합시 상기 터치 모듈(300)이 상기 아웃 커버(100)의 배면에 밀착됨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60)나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다른 부분이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후단 좌우 양측에는 케이스 결합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23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에 형성된 상기 결합 홀(44)을 관통하여 상기 서포터 결합부(4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400) 측에서 체결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와 상기 서포터(400) 그리고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는 상기 서포터(400)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에 개구되는 장착구(43)를 차폐하도록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터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탄성부재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 모듈(300)은 터치 센서(310)가 실장되는 터치 피시비(320)와 상기 터치 피시비(320)의 후방에서 상기 터치 피시비(320)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30)와 상기 터치 피시비(320)의 배면에 부착되는 센서 제어부(340) 및 커넥터(341) 그리고 상기 터치 피시비(320)의 전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310)는 입력되는 압력 변화에 따라 전기량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피에조 타입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31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상기 아웃 커버(100)의 변형시, 상기 터치 센서(310)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에 따라 전기량이 변화되고 이를 통해 상기 터치 센서(310)의 조작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터치 센서(310)의 특성에 의해 금속 소재로 형성된 아웃 커버(100)의 터치 조작시 이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 피시비(320)는 상기 터치 센서(310)가 실장되는 인쇄회로 기판으로, 상기 터치부(161)와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센서 홀(321)이 형성되어 상기 터치 센서(31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터치 센서(31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센서 홀(321)은 상기 터치 센서(310)의 직경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 센서(310)의 둘레를 지지하고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310)의 가압에 의한 변형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센서 홀(321)은 상기 터치 피시비(320)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터치 피시비(320)의 일면에서 함몰되는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터치 피시비(320)는 전체적으로 상기 터치 모듈 장착부(220)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피시비(320)의 좌우 양측단에는 상기 터치 모듈 장착부(220)에 장착 가능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 1 정렬 돌기(3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피시비(320)의 전면에는 접착시트(3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시트(350)는 상기 터치 피시비(320)의 전면과 상기 아웃 커버(100)의 배면이 서로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터치 센서(310)가 상기 아웃 커버(100)의 터치부(161)와 접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착시트(350)는 상기 터치 피시비(320)의 전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착시트(350)에는 상기 터치 센서(310)가 노출되는 개구(35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피시비(320)의 배면에는 상기 터치 피시비(320)의 조작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센서 제어부(340)가 장착된다. 상기 센서 제어부(340)는 상기 터치 센서(310)의 감도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상기 터치 센서(310)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터치 피시비(320)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터치 센서(310)의 영역과 간섭되지 않도록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센서 제어부(340)의 일측에는 피시비 커넥터(341)가 구비된다. 상기 피시비 커넥터(341)는 상기 터치 피시비(320)로의 전원 공급 및 신호 전달을 위한 것으로 연결이 용이한 커넥터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커넥터(341) 또한 상기 터치 센서(310)의 감도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상기 터치 센서(31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피시비(320)의 후방에는 탄성부재(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30)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피시비(320) 및 상기 터치 모듈 장착부(220)와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330)의 좌우 양측에는 제 2 정렬 돌기(331)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정렬 돌기(322)와 그 위치 및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 모듈(300)의 조립시 상기 제 1 정렬 돌기(322) 및 제 2 정렬 돌기(331)는 정렬 돌기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터치 모듈 장착부(220)에 형성되는 정렬 홈(221)과 형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330)의 중앙에는 상기 탄성부재 개구부(332)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 개구부(332)는 상기 센서 제어부(340) 및 피시비 커넥터(341)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30)가 상기 터치 피시비(320)를 지지하게 될 때 상기 센서 제어부(340) 및 피시비 커넥터(341)는 상기 탄성부재 개구부(332)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 제어부(340) 및 피시비 커넥터(341)는 상기 탄성부재(330)에 의해 간섭되지 않으며, 다른 구성과도 간섭되지 않게 되어 상기 터치 센서(310)의 조작시의 간섭에 의한 감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30)는 판상 또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330)의 전면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터치 피시비(320)의 배면과 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330)의 전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터치 피시비(320)의 배면에 접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30)의 배면에는 다수의 공간부(333)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333)는 상기 탄성부재(330)의 배면에서 돌출되는 다수의 둘레부(334) 및 구획부(335)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333)는 상기 탄성부(431) 및 터치 센서(31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둘레부(334)는 상기 탄성부재(330)의 배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335)는 상기 둘레부(334)의 사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33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공간부(333)가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둘레부(334)와 구획부(335)는 동일한 높이만큼 돌출되며, 상기 서포터(400)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다수의 상기 공간부(333)의 내측에는 상기 서포터(400)에 형성된 탄성부(431)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333)의 내측면은 상기 탄성부(431)와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둘레부(334)와 구획부(335)에는 동일한 연장선상에 상기 둘레부(334) 및 구획부(335)가 절개되는 에어 벤트(336)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 벤트(336)는 상기 탄성부재(330)가 상기 서포터(400)의 전면으로 압축되는 경우 상기 공간부(333) 내측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30)의 가압에 의한 변형을 원활하게 하고 공기에 의한 반발력을 줄여 터치 조작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서포터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포터(40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의 배면에 밀착 고정되는 베이스(410)와, 상기 베이스(4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장착구(43)를 통과하며 상기 터치 모듈(300)을 지지하는 돌출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410)는 상기 장착구(43)의 크기보다 더 큰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의 결합 홀(44)과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410)의 일측에는 서포터 결합부(411)가 형성된다. 상기 서포터 결합부(411)는 상기 케이스 결합부(230)가 삽입될 수 있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가 후방에서 체결될 수 있도록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410)의 둘레는 후방으로 절곡된 테두리(412)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테두리(412)의 단부에는 후크(413)가 형성되어 상기 서포터(400)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410)의 중앙에는 베이스 홀(414)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홀(414)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0)를 구성하는 일 구성,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피시비(미도시) 또는 제어부(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420)는 상기 베이스(410)의 하부에서 즉, 상기 베이스 홀(414)의 하방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서포터(400)와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결합시 상기 서포터(400)의 전면이 상기 터치 모듈(300)의 배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20)의 전면 또한 상기 터치 모듈(300)과의 밀착 및 상기 아웃 커버(10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420)의 전면에는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4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차부(430)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30)의 둘레부(334)가 접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터(400)와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결합시 상기 서포터(400)의 전면에 상기 탄성부재(330)가 지지되는 형태로 서로 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단차부(430)에는 다수의 탄성부(431)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431)는 상기 터치 센서(31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터치 센서(310)가 위치하는 영역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30)는 상기 터치 센서(310)가 아웃 커버(100)측으로 더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아웃 커버(100)의 터치 조작시 상기 터치 센서(310)의 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하게 상기 터치 센서(310)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431)의 둘레에는 상기 서포터(400)의 전면이 절개되는 절개부(4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30) 압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탄성부(431)는 후방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압력의 제거시에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터치 센서(310) 및 상기 아웃 커버(10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431)의 단부에는 접촉 돌기(433)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 돌기(433)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터치 센서(310)의 중심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 커버(100)의 누름 조작시 상기 터치 센서(310)의 중앙측으로 압력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터치 센서(310)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센서(310) 측으로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터치 센서(310)의 조작 인식률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420)의 중앙에는 서포터 개구부(421)가 형성된다. 상기 서포터 개구부(421)는 상기 터치 모듈(300)의 센서 제어부(340)와 피시비 커넥터(341)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포터(400)와 가이드 케이스(200)의 결합시에도 상기 센서 제어부(340)와 커넥터(341)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조작부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상기 서포터와 아웃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조작부(40)의 조립을 위해서는 우선 상기 아웃 플레이트(41)를 성형하게 된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41)는 절곡되어 상기 본체(1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장착구(43)과 결합 홀(44)이 천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 노브(45)가 장착되기 위한 노브 홀(42)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상기 조작 노브(45)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노브 홀(4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의 중앙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에는 상기 서포터(400)가 장착된다. 상기 서포터(40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420)가 상기 장착구(43)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터(400)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후크(413)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2는 상기 가이드 케이스에 디스플레이와 터치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가이드 케이스와 아웃 커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0)와 상기 터치 모듈(300)이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6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210)에 장착되고, 상기 터치 모듈(300)은 상기 터치 모듈 장착부(22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60)와 터치 모듈(3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모듈(300)의 전면은 가장 돌출된 상태가 되고, 상기 아웃 커버(100)와의 결합시 상기 아웃 커버(100)의 배면과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모듈(300)은 상기 터치 모듈(300)의 상기 정렬 돌기(322,331)가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상기 정렬 홈(2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상기 터치 모듈(300)이 정방향으로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터치 모듈(300)의 전면에는 상기 접착시트(350)가 부착된다. 상기 접착시트(350)는 상기 터치 모듈(300)과 상기 아웃 커버(100)가 서로 접착되도록 하여 상기 터치 모듈(300)과 상기 아웃 커버(100)가 1차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아웃 커버(100)의 터치부(161)와 상기 터치 센서(310)는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접착되어 사용자의 상기 아웃 커버(100) 터치 조작에 따라 즉각적인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와 상기 아웃 커버(100)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둘레에는 실리콘과 같은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와 아웃 커버(100)는 서로 결합되어 더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와 상기 아웃 커버(100)의 결합시 상기 아웃 커버(100)의 결합 편(150)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후단을 구속하게 된다. 상기 결합 편(150)은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아웃 커버(100)의 외측면이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로부터 들뜨지 않도록 밀착시키게 된다. 즉, 상기 결합 편(150)은 상기 아웃 커버(100)와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를 추가적으로 고정시켜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와 아웃 커버(100)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4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결합된 서포터에 상기 아웃 커버와 결합된 가이드 케이스 사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에 장착된 상기 서포터(400)에는 상기 아웃 커버(100)와 결합된 상태의 가이드 케이스(200)가 장착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케이스 결합부(230)는 상기 결합 홀(44)을 관통하여 상기 서포터 결합부(411)에 삽입되고, 상기 서포터(400)의 후방에서 체결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서포터(400)와 가이드 케이스(2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아웃 플레이트(41)는 상기 서포터(400)와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의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커버(100)는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와 결합된 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60)와 상기 터치 모듈(300) 또한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결합부재의 체결에 의해 상기 조작부(40)의 조립은 완료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커넥터(341)가 본체에 구비된 다른 커넥터(341)와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 및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조리기기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5는 도 2의 15-15'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도 15의 A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조작부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조작부(40)가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40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는 상기 아웃 커버(10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상기 아웃 커버(100)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조작부(40)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아웃 커버(100)의 배면에는 상기 터치 모듈(300)이 상기 접착시트(350)에 의해 접착된 상태가 되며, 상기 터치 센서(310)는 상기 아웃 커버(100)의 터치부(161)와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모듈(300)의 후방에 제공되는 상기 서포터(400)의 돌출부(420)는 상기 터치 모듈(300)을 지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돌출부(420)의 전면에서 더 돌출되는 단차부(430)는 상기 탄성부재(330)와 접하게 되며, 상기 단차부(430) 상에 형성되는 상기 탄성부(431)는 상기 탄성부재(330)에 형성되는 각 공간부(333)의 내측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서포터(400)와 상기 가이드 서포터(400)의 결합에 의해 상기 돌출부(420)의 단차부(430)는 상기 탄성부재(330)를 후방에서 가압하는 구조가 되며, 상기 탄성부(431) 또한 상기 탄성부재(330) 특히, 상기 탄성부재(330)의 상기 터치 센서(310)의 영역에 위치를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상기 아웃 커버(100)의 터치부(161), 터치 센서(310), 탄성부재(330)의 공간부(333) 및 서포터(400)의 탄성부(431)는 모두 완전히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사용자는 상기 조리기기(1)의 조작 설정을 위해서 상기 아웃 커버(100)의 전면에 형성된 표시부(163)의 여역을 터치 조작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아웃 커버(100)를 터치 조작하게 될 때 상기 표시부(163)를 통해 정확한 조작 위치를 인지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63)의 영역이 아닌 다른 위치를 조작하게 될 경우 터치 조작시 발생되는 상기 아웃 커버(100)의 변형량이 상기 터치 센서(310)로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상기 표시부(163)의 영역을 정확하게 누르게 되면, 상기 아웃 커버(100)는 압력에 의해 미세한 변형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아웃 커버(100)의 가공부(162)에 의해 대응하는 상기 터치부(161)에서만 변형이 발생되며, 인접하는 다른 터치부(161)에서는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기 터치부(161)의 변형은 상기 터치부(161)와 밀착된 상기 터치 센서(310)로 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310)에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상기 터치 센서(310)에 가해지는 압력은 전기량의 변화를 발생시키게 되며 이때의 변화 값에 따라 상기 센서 제어부(340)는 조작 신호를 인식하여 메인 제어부로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터치 센서(310)에 압력이 가해지는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330) 및 서포터(400)의 탄성부(431)에도 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탄성 변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310)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고 나면 상기 탄성부재(330) 및 상기 탄성부(431)는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며, 상기 터치 센서(31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310)가 상기 아웃 커버(1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는 터치 모듈에 탄성 부재가 생략되고 상기 서포터의 탄성부가 상기 터치 모듈 배면의 상기 터치 피시비를 직접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는 상기 터치 모듈의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조작부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조작부(40)는 상기 본체(10)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41)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의 내측에 장착되는 서포터(400), 그리고, 상기 서포터(400)와 결합되며 디스플레이(60)와 터치 모듈(300)이 장착되는 가이드 케이스(200) 그리고,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와 결합되며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아웃 커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커버(100)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 창(111)이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60)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창(111)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터치 조작하는 터치 입력부(16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입력부(160) 상에는 사용자가 터치 조작하는 상기 표시부(16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에 장착되는 터치 모듈(300)은 상기 아웃 커버(100)의 하부와 밀착되며, 상기 터치 모듈(300)에 장착되는 터치 센서(310)는 상기 표시부(163) 즉, 상기 아웃 커버(100) 배면의 터치부(161)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상기 표시부(163) 터치 조작시 상기 아웃 커버(100)의 변형에 따른 압력이 상기 터치 센서(310)로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터치 모듈(300)은 인쇄 회로 기판을 구성하는 터치 피시비(320)와 상기 터치 피시비(320)에 장착되는 터치 센서(310) 그리고, 상기 터치 센서(310)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센서 제어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모듈(300)은 접착시트(350)에 의해 상기 아웃 커버(100)의 배면에 접착되어 일차적인 고정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케이스(200)와 결합되는 상기 서포터(40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아웃 커버(100) 배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포터(400)는 베이스(410)와 상기 베이스(410)에서 돌출되는 돌출부(4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420)의 전면에는 단차부(430)와 탄성부(43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31)의 둘레 적어도 일부는 절개부(432)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431)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431)는 상기 터치 센서(310)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탄성부(431)와 터치 센서(310) 및 상기 터치부(161)는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아웃 커버(100)의 터치 조작시 상기 터치 센서(310)는 가압되어 조작 신호를 입력받게 되며, 상기 터치부(161)는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다소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조작을 완료하여 상기 터치부(161)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터치부(161)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터치 센서(310)를 다시 전방으로 밀어 상기 아웃 커버(10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아웃 커버(100)는 상기 터치 센서(310)와 밀착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터치 센서(310)의 조작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와 제 4 실시 예는 아웃 커버의 터치부가 패턴 가공되어 상기 아웃 커버의 터치 조작시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터치 센서에 압력 변화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 및 제 4 실시 예에서는 상기 터치부의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아웃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웃 커버(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경사부(110)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0)가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창(111)이 개구되고 하부에는 사용자가 터치 조작하기 위한 터치 입력부(17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입력부(170)의 배면에는 상기 터치부(171)가 형성된다. 상기 터치부(171)는 상기 터치 센서(31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터치 조작하는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부(171)와 대응하는 상기 아웃 커버(100)의 전면에는 상기 터치부(161)의 정확한 조작을 위해 표시부(16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부(171)는 상기 터치부의 둘레를 따라 에칭 또는 레이저 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가공부(172)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동심을 가지는 직경이 다른 원이 복수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다수의 원의 중심은 상기 터치 센서(310)의 중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부(171)는 상기 아웃 커버(100)의 다른 부위에 비해 터치 조작시 변형이 보다 용이하게 되며, 상기 터치 센서(310)로의 압력의 전달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터치부(171)가 아닌 다른 영역을 누르게 될 경우 상기 터치 센서(310)로 압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아웃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부(181)의 형상은 전술한 원 형상 외에도 다른 형상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부(181)는 상기 터치 센서(3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나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터치부(181)의 누름 조작시 상기 아웃 커버(100)의 변형이 보다 용이하게 되고, 상기 터치 센서(310)로의 압력 전달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물론, 상기 터치부(181)의 패턴 형상은 전술한 실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아웃 커버(100)의 형상의 변형이 자유롭게 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는 상기 터치 모듈이 별도의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외부 커버와 터치 모듈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외부 커버의 터치 조작시 발생되는 상기 외부 커버의 변위를 전달하는 터치 부스터가 더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서는 상기 케이스와 터치 모듈을 제외한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조작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조작부(40)는 상기 조리기기(1)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금속소재의 아웃 커버(100)와 상기 아웃 커버(100)에 장착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커버(100)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전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측의 둘레는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아웃 커버(100)의 전면은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10)를 형성하게 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60)의 확인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경사부(110)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60)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창(111)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창(111)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정확한 위치를 터치 조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표시부(1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3)는 상기 터치 센서(75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인쇄 또는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아웃 커버(100)는 절곡되는 형상이 아닌 일반적인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리기기(1)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60) 또한 별도의 구성으로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아웃 커버(100)의 배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 시트(350)에 의해 상기 아웃 커버(100)의 배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표시부(163)의 위치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터치 센서(750) 위치와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3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전체적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센서 하우징과, 상기 센서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센서 피시비(700), 상기 센서 피시비(70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720) 그리고, 상기 센서 하우징의 개구된 전면에 결합되는 터치 부스터(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센서 하우징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센서 피시비(70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하우징 커버(510)와 하우징 바디(5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510)는 상기 센서 하우징의 전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 결합부(511)가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커버(510)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수용부(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이 노출되며, 상기 접착 시트(350)에 의해 상기 아웃 커버(10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전면에는 개구(51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512)에는 터치 부스터(530)가 장착된다.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사용자가 상기 아웃 커버(100)을 누름 조작하였을 때 발생되는 상기 아웃 커버(100)의 변위를 아래에서 설명할 센서(75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세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개구(512)는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장착시 상기 터치 부스터(53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구(512)의 둘레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리브(517)가 형성되며,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둘레와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전후 유동시 상기 터치 부스터(530)가 기울어지거나 요동하지 않고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512)의 내측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부스터 지지부(5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스터 지지부(513)는 상기 터치 부스터(53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둘레를 후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터치 부스터(530)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상기 터치 부스터(530) 자체가 설정 위치 이상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부스터 지지부(513)는 상기 개구(512)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부스터 지지부(513)에는 후크홈(514)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홈(514)은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후크(53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형성되며, 상기 부스터 지지부(513)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후크홈(514)은 상기 부스터 지지부(513)가 아닌 상기 개구(512)에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일측에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후크(531)와 후크홈(514)은 좌우 양측의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조작시 상기 터치 부스터(530)가 일 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크홈(514)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후크(531)가 상기 후크홈(514)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되 전후 방향으로는 소정의 간격만큼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전면이 상기 하우징 커버(510)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 및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아웃 커버(100)에 부착될 때,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아웃 커버(100)의 후면에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둘레면에는 커버 결합부(516)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결합부(516)는 하우징 바디(520)에 형성되는 바디 결합부(521)와 형합되는 부분으로, 후크 형상의 상기 바디 결합부(521)가 걸림 구속될 수 있는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결합부(516)의 위치는 상기 커버 결합부(516)와 바디 결합부(521)가 체결되었을 때 다수의 상기 탄성부재(720)들이 균일하게 압축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하우징 바디(520)의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720)는 압축되어 상기 센서 피시비(700) 및 터치 부스터(530)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항상 돌출되어 상기 아웃 커버(1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의 상기 아웃 커버(100)의 누름 조작시 이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버 결합부(516)와 바디 결합부(521)의 위치는 센서(750)의 양측방 즉, 상기 터치 센서(750)의 양단에 위치된 상기 탄성부재(720)의 사이에 또는 양 측방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상면에는 전선홀(515)이 형성된다. 상기 전선홀(515)은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장착된 센서 단자(711)와 연결되는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가 출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다. 상기 전선홀(515)은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하우징 바디(52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520)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결합되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후반부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센서 피시비(70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 바디(520)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절곡된 둘레면에는 다수의 바디 결합부(521)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 결합부(521)는 상기 하우징 바디(520)의 둘레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결합부(516)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하우징 바디(52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 결합부(516)와 바디 결합부(521)는 모두 등 간격으로 배치되며 좌우 양측의 동일 위치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하우징 바디(520)의 결합이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힘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720)가 조립과정 중에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 바디(520)의 둘레 상면에는 전선홀(5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홀(522)은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전선홀(515)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가 출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바디(520)의 바닥면에는 장착 가이드(523)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 가이드(523)는 다수의 상기 탄성부재(720)의 장착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부착된 상기 탄성부재(7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장착 가이드(523)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720)의 가로폭과 대응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20)는 상기 장착 가이드(523)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장착 가이드(523)의 좌우 양측면은 상기 탄성부재(720)의 좌우 양측단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20)가 압축되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720)가 일 방향으로 뒤틀리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구비되는 상기 센서 단자(711)와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 바디(520)의 바닥면에는 단자 홀(524)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자 홀(524)은 상기 센서 단자(71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단자(711)가 상기 단자 홀(524)을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 피시비(700)가 전후로 유동되더라도 상기 센서 단자(711)가 상기 하우징 바디(520)의 바닥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는 상기 센서 단자(711)의 측면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단자 홀(524)을 통해서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상기 센서 단자(711)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서 피시비(700)는 상기 스페이서(730)와 터치 센서(750) 및 컨덕티브 포일(740) 및 차폐부재(770)가 부착된 상태로 상기 센서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탄성부재(72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개구(512)에 전후 유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아웃 커버(100)과 항상 접촉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아웃 커버(100)의 터치 조작부(12)를 누름 조작할 때 발생되는 변위를 상기 터치 센서(750)로 즉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24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5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터치 센서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센서 피시비의 평면도와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27은 상기 센서 피시비에 차폐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센서 피시비(70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회로를 구성하는 구리 도막(712)이 인쇄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피시비(70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상기 아웃 커버(100)의 누름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750)가 구비된다.
상기 터치 센서(750)는 피에조 센서로 구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판(751)의 상면에 세라믹 소자(752)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판(751)은 사용자의 상기 아웃 커버(100)의 터치 조작 압력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세라믹 소자(752)는 이 압력에 따른 전기량의 변화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터치 센서(750)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터치 센서(750)의 형상이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센서(750)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를 따라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750)가 장착되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는 센서 홀(713)이 형성된다.
상기 센서 홀(713)은 상기 터치 센서(750)가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피시비(7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홀(713)은 상기 터치 센서(750)의 크기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상기 센서 홀의 둘레가 상기 터치 센서(750)의 둘레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금속판(751)의 둘레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홀(713)은 상기 아웃 커버(100)의 터치 조작부(1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750)의 세라믹 소자(752) 크기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750)는 상기 센서 홀(713)을 덮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센서 홀(713)의 둘레는 상기 금속판(751)의 둘레를 하방에서 지지하며 상기 세라믹 소자(752)는 지지되지 않고 상기 센서 홀(713)의 내측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상기 터치 조작부(12)의 조작시 상기 아웃 커버(100)에 변위가 발생되면 상기 터치 센서(75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금속판(751)의 둘레만 지지되고 있으므로 상기 터치 센서(750)는 보다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조작부(12)의 터치시 발생되는 압력이 상기 세라믹 소자(752)에 집중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터치 조작부(12)의 터치시 이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센서 홀(713)이 형성되는 센서 피시비(700)의 하면에는 차폐부재(780)가 부착된다. 상기 차폐부재(780)는 필름 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센서 홀(713)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센서 홀(713)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게 된다. 즉, 상기 센서 홀(713)은 상면은 상기 터치 센서(750)에 의해서 차폐되고 하면은 상기 차폐부재(780)에 의해 차폐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차폐부재(780)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완전히 접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홀(713)의 내부를 기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750)의 탄성변형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상기 센서 홀(713)의 내부로 수분 또는 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750)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센서 피시비(700)의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센서(750)들의 양극과 상기 회로에 의해 연결되는 공통 접점(714)이 형성된다. 상기 공통 접점(714)은 다수의 상기 터치 센서(750)들의 하면을 연결하게 되며,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의 접착시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의 도체 라인(741)과 접하여 다수의 상기 터치 센서(750)들의 음극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센서가 통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서 피시비(700)의 배면에는 상기 탄성부재(720)의 정확한 장착 위치를 표시하는 장착 표시부(715)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 표시부(715)는 인쇄 또는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720)가 장착되는 위치를 나타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720)의 장착 위치, 즉 상기 장착 표시부(715)의 위치는 상기 터치 센서(750)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도 17에서 볼 때)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720)의 장착 위치 즉 상기 장착 표시부(715)의 위치는 상기 터치 센서(750)의 외측단보다 더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20)에 의해 상기 터치 센서(75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터치 센서(750)의 감지 능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탄성부재(720)들은 상기 터치 센서(750)와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하여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동일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터치 센서(750)의 위치는 상기 바디 결합부(521) 및 커버 결합부(516)와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센서(750)의 좌우 양측방의 동일 연장선상에 상기 바디 결합부(521)와 커버 결합부(516)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센서(750)와 인접한 한쌍의 상기 탄성부재(720) 사이에 상기 바디 결합부(521)와 커버 결합부(516)가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상기 터치 센서(750)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양측에는 상기 바디 결합부(521)와 커버 결합부(516)가 위치하며, 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한쌍의 탄성부재(720)가 위치하게 된다. 다수의 상기 바디 결합부(521)와 커버 결합부(516)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720)들은 모두 이러한 배치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이로 인해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 상기 센서 피시비(700) 전체에 고른 압력이 제공되고, 다수의 센서(750)들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8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센서 피시비(700)의 전면에는 스페이서(730)가 부착된다. 상기 스페이서(730)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와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이 접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성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730)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 및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730)는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이 적정한 높이에서 상기 터치 센서(750)의 상면 및 상기 공통 접점(714)과 접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 센서(75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스페이서 오프닝(731)이 천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 오프닝(731)은 상기 터치 센서(750)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 센서(750)가 상기 스페이서 오프닝(731)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750)의 작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오프닝(731)은 상기 터치 센서(750)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만큼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스페이서 오프닝(731)에는 소정의 길이로 절개된 벤트홀(732)이 형성된다.
상기 벤트홀(732)은 상기 스페이서(730)의 부착시 발생되는 기포의 배출을 위한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7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모두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730)는 상기 스페이서 오프닝(731)에서 상기 벤트홀(73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730) 및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이 부착될 때,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페이서(730) 및 컨덕티브 포일(740)에는 가이드부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페이서(730) 및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에 제공되는 관통홀(733,744)로 상기 관통홀(733,744)은 상기 스페이서(730) 및 컨덕티브 포일(740)을 따라서 복수개가 형성되며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는 상기 관통홀(733,744)과 대응하는 위치에 작업봉(760)을 배치하여 대응하는 작업봉(760)에 상기 관통홀(733,744)을 통과시켜 상기 스페이서(730)와 컨덕티브 포일(740)을 차례로 부착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730)와 컨덕티브 포일(740)은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제공되는 센서(750)와 정확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의 센서(750)들에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29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컨덕티브 포일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은 피이티(PET)와 같은 수지 필름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피시비(700) 및 상기 스페이서(730)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에는 다수의 상기 터치 센서(750)들의 상면과 상기 공통 접점(714)을 모두 연결할 수 있는 도체 라인(741)이 형성된다. 상기 도체 라인(741)은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의 하면에 실버 소재로 인쇄되며, 상기 도체 라인(741)이 인쇄된 면이 상기 스페이서(730)와 접착되고 동시에 상기 터치 센서(750) 및 공통 접점(714)과 접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도체 라인(741)은 상기 컨덕티브 포일(700)의 중앙에서 상기 아우터 가이드 라인(743)과 이너 가이드 라인(741)의 사이를 가로지르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을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컨덕티브 포일(700)에 형성되는 상기 도체 라인(741)은 상기 터치 센서(750)와 접하는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통 접점(714)과 상기 터치 센서(750)의 상면 즉 음극을 연결하여 상기 터치 센서(750)가 통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에는 상기 터치 센서(750)가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이너 가이드 라인(742)과 아우터 가이드 라인(743)이 인쇄 형성된다. 상기 이너 가이드 라인(742)은 상기 세라믹 소자(752)의 크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가이드 라인(743)은 금속판(751)의 크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750)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세라믹 소자(752)는 상기 이너 가이드 라인(742)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금속판(751)은 상기 아우터 가이드 라인(743)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의 전체 면에는 격자형상의 라인들로 구성되는 메쉬(745)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쉬(745)에 의해 신호 발생시의 노이즈를 경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가이드 라인(743)과 이너 가이드 라인(742)의 사이에는 메쉬(745)가 형성되지 않아 상기 아웃 커버(100)의 변형시 도체 라인(741)에 의한 변형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30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터치 부스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개구(512)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512)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좌우 양측단에는 후크(531)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531)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에 형성되는 후크홈(514)과 결합되는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531)는 상기 후크홈(514)의 내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부스터(530)에는 상기 터치 센서(750)의 개수와 대응하는 다수의 탄성 변형부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아웃 커버(100)의 상기 표시부(163) 및 상기 터치 센서(75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163)를 누르게 되면 상기 아웃 커버(100)의 변형에 따라 상기 표시부(163)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터치 센서(750)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63)에서 손을 뗄 경우 상기 탄성 변형부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 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개구된 영역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532)와, 상기 제 1 연장부(532)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533) 그리고, 상기 제 1 연장부(532)와 제 2 연장부(533)가 연결되도록 중앙에 배치되는 공통부(5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532)와 제 2 연장부(533)는 상기 공통부(534)가 유동 가능하도록 비교적 좁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되 적어도 1 회 이상 절곡되어 탄성 변형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장부(532)와 제 2 연장부(533)는 상기 공통부(534)의 둘레를 따라 연장 및 절곡되며, 상기 공통부(534)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장부(532)와 제 2 연장부(533) 및 상기 공통부(534)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상기 공통부(534)의 중심을 향하는 나선 형상으로 절개되어 절개부(536)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연장부(532)와 제 2 연장부(533) 및 상기 공통부(534)의 둘레를 따라서 절곡되는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부(534)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535)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535)는 상기 공통부(534)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터치 센서(750)의 중앙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535)는 상기 상기 터치 센서(750)의 중앙부와 대응하는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의 상면과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통부(534)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터치 센서(750)의 중앙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도 31은 상기 조작부의 절결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2는 도 31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3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아웃 커버(100)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접착 시트(350)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전면과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와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아웃 커버(100)의 후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터치 부스터(530)에는 접착 시트(350)가 제공되지 않으며,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아웃 커버(100)의 후면에 밀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조립시 상기 탄성부재(720)가 압축되면서 상기 센서 피시비(700)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 피시비(700)는 상기 터치 부스터(530)와 밀착된다.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탄성부재(720)의 가압에 의해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전면보다는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착 시트(350)에 의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와 하우징 커버(510)가 상기 아웃 커버(100)에 접착되는 상황에서도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전면이 상기 아웃 커버(100)의 후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아웃 커버(100)의 표시부(163)를 터치하게 되면, 조작되는 상기 아웃 커버(100)의 영역에서 변위가 발생되며, 상기 아웃 커버(100)의 변위는 완전히 밀착된 상태의 터치 부스터(530)를 통해서 상기 터치 센서(750)로 즉각적으로 전달되어 가압하게 되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720)는 조작시 압력에 따라 더 압축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후크(531)와 후크홈(514) 간의 결합에 의해 후방으로 다소 유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63)에서 손을 떼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720)의 복원력과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복원력 그리고 상기 터치 센서(750)의 금속판(751)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센서 피시비(700)와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조작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상기 센서 피시비(700)를 가압하면서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720)는 상기 센서 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균일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는 터치 모듈이 조리기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부재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서는 상기 터치 모듈이 장착되는 위치와 외장부재의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1)는 내부에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제공되어 조리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도어(20),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식품의 조리가 가능한 쿡 탑(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본체(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각각 독립된 2개의 조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 공간은 각각 전방으로 개구되며, 각각의 조리 공간에는 각각 도어(20)가 구비되어 상기 조리 공간을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리 공간의 내부는 가스 또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어 내부에 수용된 식품을 가열조리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공되는 조리 공간은 독립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전방으로 회동되어 개폐될 수 있으며, 하부의 조리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는 서랍식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쿡 탑(30)은 상기 조리기기(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쿡 탑(30)의 상면에는 조리를 위한 용기가 안착되어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쿡 탑(30)은 밀폐형의 가스 레인지 구조로 구성되어 가스에 의해 가열될 수도 있고, 전기에 의해 가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상기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장부재는 상기 쿡 탑(30)의 상면 전단에 구비되는 아웃 플레이트(4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41a)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쿡 탑(30)의 상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41a)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둘레 적어도 일부가 절곡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면 외 다른 면을 더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41a)에는 조작 노브(45)와 터치 모듈(300) 및 디스플레이(60)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상기 조리기기(1)의 전방에서 상기 조작 노브(45)와 터치 모듈(300)을 용이하게 조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60)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41a)에는 상기 조작 노브(45)가 장착되는 다수의 노브 홀(42)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 노브(45)는 상기 노브 홀(42)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41a)의 중앙에는 디스플레이 창(47)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60)는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창(47)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 및 조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아웃 플레이트(41a)의 중앙에는 표시부(48)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8)는 사용자가 조작의 입력을 위해 터치 조작하는 것으로, 인쇄 또는 레이저 가공 등에 의해 사용자가 터치 조작하는 부분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48)와 대응하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41a)의 배면에는 상기 터치 모듈(300)이 구비된다. 상기 터치 모듈(300)에는 터치 센서(310)가 실장되며, 상기 터치 센서(310)는 상기 터치 모듈(300)과 상기 아웃 플레이트(41a)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48)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터치 센서(310)와 접하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41a)의 배면에는 탄성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표시부(48)와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이저 가공 또는 에칭 가공에 의해 특정 패턴 또는 문양을 형성하여 상기 아웃 플레이트(41a)의 누름 조작시 탄성 변형되어 사용자의 조작 압력이 상기 터치 센서(310)에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는 터치 모듈이 조리기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부재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서는 상기 터치 모듈이 장착되는 위치와 외장부재의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2)는 내부에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제공되어 조리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도어(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본체(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조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 공간은 각각 전방으로 개구되며, 각각의 조리 공간에는 각각 도어(20)가 구비되어 상기 조리 공간을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리 공간의 내부는 가스 또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어 내부에 수용된 식품을 가열조리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자기파에 의해 식품을 가열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회동에 의해 상기 조리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하단이 상기 본체(10)에 축결합되고,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전방으로 당겨 상기 조리 공간을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상부에는 상기 조리기기(2)의 운전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40)에는 사용자가 회전 조작하는 다수의 조작 노브(4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 조작하기 위한 표시부(48)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2)의 동작 상태 및 조작 상태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66)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장부재는 상기 조작부(40)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41)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전면 또는 전면을 포함한 적어도 일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에는 다수의 상기 조작 노브(45)가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에는 터치 플레이트(41b)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플레이트(41b)는 상기 외장부재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플레이트(41b)는 좌우 양측방의 상기 아웃 플레이트(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함께 상기 조리기기(2)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플레이트(41b)의 양단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접하여 일체화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터치 플레이트(41b)는 필요에 따라서 적어도 일단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조리기기(2)의 전면 및 전면을 비롯한 적어도 다른 일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경사면을 가지도록 둘레가 다수회 절곡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터치 플레이트(41b)에는 조작 노브(45)와 터치 모듈(300) 및 디스플레이(60)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상기 조리기기(2)의 전방에서 상기 조작 노브(45)와 터치 모듈(300)을 용이하게 조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60)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터치 플레이트(41b)의 중앙에는 디스플레이 창(47)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60)는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창(47)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리기기(2)의 동작 및 조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터치 플레이트(41b)의 중앙에는 표시부(48)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8)는 사용자가 조작의 입력을 위해 터치 조작하는 것으로, 인쇄 또는 레이저 가공 등에 의해 사용자가 터치 조작하는 부분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48)와 대응하는 상기 터치 플레이트(41b)의 배면에는 상기 터치 모듈(300)이 구비된다. 상기 터치 모듈(300)에는 터치 센서(310)가 실장되며, 상기 터치 센서(310)는 상기 터치 모듈(300)과 상기 터치 플레이트(41b)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48)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터치 센서(310)와 접하는 상기 터치 플레이트(41b)의 배면에는 탄성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표시부(48)와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이저 가공 또는 에칭 가공에 의해 특정 패턴 또는 문양을 형성하여 상기 터치 플레이트(41b)의 누름 조작시 탄성 변형되어 사용자의 조작 압력이 상기 터치 센서(310)에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Claims (29)

  1.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조리기기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아웃 커버;
    상기 아웃 커버의 배면에 접하도록 장착되며, 복수의 터치 센서가 구비되는 터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와 접하는 상기 아웃 커버의 배면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사용자의 터치 조작시 보다 용이하게 탄성 변형되어 상기 터치 센서로 압력을 전달하는 터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에칭 또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상기 아웃 커버의 표면을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상기 터치부의 둘레를 가공하여 형성되며,
    상기 터치부의 두께는 상기 터치부의 둘레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상기 터치 센서의 중심과 대응하는 지점을 동심으로 한 직경이 다른 다수의 원 형상으로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상기 터치 센서의 중심과 대응하는 지점에서 나선형상으로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커버는 전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둘레는 상기 터치 모듈이 수용되도록 벤딩되며,
    상기 터치부는 상기 경사부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절곡 형성된 상기 아웃 커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아웃 커버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상기 터치 모듈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어 상기 터치 모듈이 삽입 장착되는 터치 모듈 장착부가 형성되는 가이드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모듈 장착부와 상기 터치 모듈에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터치 모듈이 정위치에서 형합되도록 하는 정렬 홈과 정렬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모듈은,
    상기 터치 센서가 장착되는 터치 피시비와;
    상기 피시비에 장착되어 상기 터치 센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피시비의 일측에는 상기 터치 피시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부와 대응하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터치 제어부가 수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는 다수의 구획부가 돌출되어 상기 터치부와 대응위치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 내측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개구된 에어 벤트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커버의 내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터치 모듈이 장착되도록 개구된 터치 모듈 장착부가 형성되는 가이드 케이스와;
    상기 가이드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터치 모듈 장착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터치 모듈을 상기 아웃 커버와 밀착시키는 서포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케이스와 상기 서포터의 사이에는 상기 조리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서포터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 및 가이드 케이스를 차례로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서포터와 상기 가이드 케이스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커버의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케이스와의 결합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 케이스의 단부를 구속할 수 있도록 연장되는 결합 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 구속되는 베이스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 개구되는 장착구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터치 모듈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터치 센서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터치 모듈을 탄성 지지하는 터치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의 둘레에는 상기 터치부를 따라서 절개되어 상기 터치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의 일측에는 상기터치 모듈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터치 센서의 중앙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커버에는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 및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창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커버는,
    상기 터치부가 형성되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외측단에서 절곡되는 측면부 및 상하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 커버의 개구된 후면은 상기 조리기기의 외측면과 접하여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21.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외관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외장 부재;
    상기 외장 부재의 배면에 복수의 터치 센서가 밀착되도록 장착되는 터치 모듈;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의 위치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외장부재의 노출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터치 조작하는 복수의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의 반대측 면에 상기 외장부재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가공 형성되며, 상기 터치 센서와 접하여 상기 터치 센서로 사용자의 터치시 압력을 전달하는 터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재는,
    상기 본체의 전면 또는 상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재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되는 아웃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커버에는,
    상기 표시부와 상기 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치 모듈이 밀착 장착되는 경사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재에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조작 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에칭 또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상기 아웃 커버의 표면을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상기 터치부의 둘레를 가공하여 형성되며,
    상기 터치부의 두께는 상기 터치부의 둘레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상기 터치 센서의 중심과 대응하는 지점을 동심으로 한 직경이 다른 다수의 원 형상으로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상기 터치 센서의 중심과 대응하는 지점에서 나선형상으로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150017972A 2015-02-05 2015-02-05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KR101662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972A KR101662941B1 (ko) 2015-02-05 2015-02-05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US15/547,406 US10697645B2 (en) 2015-02-05 2016-01-28 Cooking apparatus and touch sensor assembly for cooking apparatus
PCT/KR2016/000937 WO2016126050A2 (en) 2015-02-05 2016-01-28 Cooking apparatus and touch sensor assembly for cooking apparatus
EP16746791.9A EP3256787B1 (en) 2015-02-05 2016-01-28 Cooking apparatus with touch sens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972A KR101662941B1 (ko) 2015-02-05 2015-02-05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395A true KR20160096395A (ko) 2016-08-16
KR101662941B1 KR101662941B1 (ko) 2016-10-05

Family

ID=56564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972A KR101662941B1 (ko) 2015-02-05 2015-02-05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97645B2 (ko)
EP (1) EP3256787B1 (ko)
KR (1) KR101662941B1 (ko)
WO (1) WO201612605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1732B2 (en) * 2019-02-25 2020-10-1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ntrol console assembly for a cooking appliance
EP3735881B1 (en) * 2019-05-08 2022-12-14 LG Electronics Inc. Blender
JP7299607B2 (ja) * 2019-05-31 2023-06-28 株式会社パロマ 加熱調理器
JP7117637B2 (ja) * 2019-06-14 2022-08-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11019746B1 (en) * 2020-03-09 2021-05-25 Whirlpool Corporation Lateral alignment system for an appliance control panel assembly and method
CN111380085B (zh) * 2020-03-31 2022-04-19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控盒安装结构及烹饪设备
CN113986025A (zh) * 2020-07-27 2022-01-2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家用电器及其控制面板组件、触控模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8537A (ja) * 1986-11-05 1988-05-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KR20030079363A (ko) * 2002-04-03 2003-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조립체
KR200366745Y1 (ko) * 2004-08-13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용 컨트롤부 접지구조
JP2006105472A (ja) * 2004-10-05 2006-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キーを備えた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8330A (en) * 1978-07-10 1980-10-14 Litton Systems, Inc. Touch panel mechanism
US4421966A (en) * 1982-07-26 1983-12-20 Kb Denver, Inc. Keyboard elastomeric cover with buttons having changeable legends
US6967299B2 (en) * 2003-09-22 2005-11-22 Ark-Les Corporation Membrane switch with rigid fascia
DE102004005952A1 (de) * 2004-02-02 2005-08-25 E.G.O. Elektro-Gerätebau GmbH Bedieneinrichtung für ein Elektrogerät mit einem Bedien-Feld und einem Sensorelement darunter sowie Verfahren zum Betrieb der Bedieneinrichtung
DE102004005954A1 (de) * 2004-02-02 2005-08-18 E.G.O. Elektro-Gerätebau GmbH Bedieneinrichtung für ein Elektrogerät mit einem Bedien-Feld und einem Sensorelement darunter sowie Verfahren zum Betrieb der Bedieneinrichtung
US7435932B2 (en) * 2005-10-25 2008-10-14 Lg Electronics Inc. Control unit of oven
JP5274407B2 (ja) 2009-08-05 2013-08-28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101659181B1 (ko) * 2014-12-22 2016-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8537A (ja) * 1986-11-05 1988-05-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KR20030079363A (ko) * 2002-04-03 2003-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조립체
KR200366745Y1 (ko) * 2004-08-13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용 컨트롤부 접지구조
JP2006105472A (ja) * 2004-10-05 2006-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キーを備えた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6050A4 (en) 2016-10-20
WO2016126050A3 (en) 2016-09-29
EP3256787B1 (en) 2020-05-06
KR101662941B1 (ko) 2016-10-05
US20180274790A1 (en) 2018-09-27
WO2016126050A2 (en) 2016-08-11
EP3256787A2 (en) 2017-12-20
EP3256787A4 (en) 2018-11-21
US10697645B2 (en)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941B1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EP3215798B1 (en) Home appliance having metal touch sensing apparatus
EP3037760B1 (en) Touch sens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091316B1 (en) Refrigerator door
KR101659180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68921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US9954525B2 (en) Touch- and/or proximity-sensitive input device, and household appliance having the input device
KR20170082406A (ko) 식기세척기
US10495371B2 (en) Appliance having touch sensor assembly
US11118786B2 (en) Control assembly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3741667B2 (ja) 加熱調理器
EP2920348B1 (en)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touch button
CN111023178A (zh) 显示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EP3522680B1 (en) User interface for a domestic appliance
JP7117637B2 (ja) 加熱調理器
EP2733715B1 (en) Operating device
KR101760713B1 (ko) 전기 레인지의 터치 모듈 구조체
KR101297992B1 (ko) Pcb 모듈
KR20220136033A (ko) 래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150075235A (ko) 조리기기
KR20230016420A (ko) 래치 및 이를 포함한 조리기기
KR20220148026A (ko) 조리 기기
KR20130016357A (ko) 가전기기용 장치
KR20010097059A (ko) 시소형 스위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