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176A - 선박용 도킹 제어 - Google Patents

선박용 도킹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176A
KR20160096176A KR1020167018498A KR20167018498A KR20160096176A KR 20160096176 A KR20160096176 A KR 20160096176A KR 1020167018498 A KR1020167018498 A KR 1020167018498A KR 20167018498 A KR20167018498 A KR 20167018498A KR 20160096176 A KR20160096176 A KR 20160096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der
control system
chassis
chassis portion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9026B1 (ko
Inventor
마이클 제임 롱맨
Original Assignee
노티-크래프트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3904833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3904833A0/en
Application filed by 노티-크래프트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노티-크래프트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6009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esiliently or having means for actively varying hull shape o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4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gyroscopes direct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esiliently or having means for actively varying hull shape or configuration
    • B63B2001/145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esiliently or having means for actively varying hull shape or configuration having means for actively varying hull shape o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17/0072Seaway compensators

Abstract

다중선체 선박의 서스펜션 시스템을 위한 제어 시스템으로서, 선박은 섀시부와, 상기 섀시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선체를 포함한다. 선박의 서스펜션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선체 위에 섀시부의 적어도 일부의 지지대를 제공하고, 조절 가능 지지대와, 지지력의 조절 및/또는 상기 조절 가능 지지대의 변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은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과 선박 섀시부 사이의 펜더부상에 마찰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펜더 마찰력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펜더 마찰력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지지력 및/또는 상기 섀시부와 적어도 두 개의 선체 사이 변위를 조절하여 상기 펜더부 상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용 도킹 제어{DOCKING CONTROL FOR VESSELS}
본 발명은 섀시부 및 하나 이상의 선체를 가지는 선박용 서스펜션 시스템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섀시부가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에 도킹될 때 서스펜션 시스템의 제어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선체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섀시부를 탄성적으로 및/또는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서스펜션 시스템(suspension system)을 포함하는 많은 선박들이 알려져 있다.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공개공보 US2013/0233225 및 US2013/0233226에는 다중 선체형 선박용 상호연결 서스펜션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구조를 기술하고 있고, 미합중국 특허출원 공개 공보 US2013/0213288에는 대체 유형의 제어 액츄에이터를 기술하고 있다. 본 출원인의 국제특허출원 공개 공보 WO2013/181699에는 주로 쌍동선에 적합한 서스펜션 기하학적 구조(suspension geometry)를 기술하고 있고, WO2014/153600에는 자이로 스태빌라이저를 이용하는 섀시부의 안정화를 기술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섀시부의 서스펜션을 제공하는 진보된 선박 중에서 상업적인 해상 풍력발전 단지에서 가동되고 있는 선박은 아직 없으며, 예를 들면, 여기서 종래의 폐쇄형 터널 강성 쌍동선이 현재 각각의 풍력 터빈을 지지하는 파일런(pylon) 또는 파운데이션(foundation)으로 직원 및 부품들을 운반하는데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선박이 파일런에 도달할 때, 선박의 선수(bow)를 파일런의 측으로 밀게 되고, 이것이 선박과 파일런 사이에 충분한 마찰을 발생하여 상대적인 운동을 감소시키게 되어서 선박이 파일런에 도킹된다. 그러면 직원은 상대 운동이 거의 없을 때를 판단하여 가능하면 빨리 선박과 파일런 사이를 이동해야 한다. 이러한 이동 활동은 해양 상태가 악화되면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이에 이러한 이동의 안전성을 향상하고자 탄성적으로 서스펜션된 섀시부를 갖는 다중선체형 선박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정상 상태에서 파일런에 도킹되는 선박의 개선 성능이 커질수록, 안전 여유도(safety margin)가 커지고, 서비스 운영 일수가 더 높게 될 수 있으며/있거나 서비스 선박이 더 작게 될 수 있어서 해상 풍력발전 단지의 안전성 및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서스펜션된 섀시부를 가지는 선박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 이 제어 시스템이 파일런과 섀시부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상대 운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르면, 다중선체 선박의 적어도 하나의 시스펜션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선박은 섀시부, 상기 섀시부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선체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선체 위에 상기 섀시부의 적어도 일부의 지지대를 제공하고, 상기 서스펜션 시스템은 조절 가능 지지대(예를 들면 유압 램, 공압 스프링 및/또는 전자기 액츄에이터) 및 지지력의 조절 및/또는 상기 조절 가능 지지대의 변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과 선박 섀시부 사이의 펜더부상에 마찰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펜더 마찰력 입력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펜더 마찰력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지지력 및/또는 상기 섀시부와 적어도 두 개의 선체 사이의 변위를 조절하여 상기 펜더부상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하도록 설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펜더 마찰력 센서가 상기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과 선박 섀시부 사이의 펜더부상에 마찰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펜더부는 선박의 섀시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선박의 섀시부와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 사이의 반력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펜더 반력 입력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력은 마찰력에 직교할 수 있고/있거나 펜더부의 측정된 압축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펜더 마찰력 입력과 적어도 하나의 펜더 반력 입력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에 따라 추진 추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마찰력의 크기가 반력 크기의 소정 퍼센트보다 더 크면, 추력이 증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마찰력의 시간 평균 크기가 반력 크기의 소정 퍼센트보다 더 작으면, 추력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조절 가능 지지대는 상기 섀시부를 실질적으로 수평 자세에 유지하면서 상기 펜더부상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조절 가능 지지대는 전방 좌측, 전방 우측, 후방 좌측 및 후방 우측 조절 가능 지지대인 4개의 조절 가능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선체는 좌측 및 우측 선체일 수 있으며, 전방 좌측 및 후방 좌측 조절 가능 지지대는 좌측 선체상에 종방향으로 이격되고, 전방 우측 및 후방 우측 조절 가능 지지대는 우측 선체상에 종방향으로 이격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선체는 전방 좌측 선체, 전방 우측 선체, 후방 좌측 선체 및 후방 우측 선체일 수 있으며, 각각의 전방 좌측 또는 전방 우측 조절 가능 지지대는 상기 섀시부의 전방부와 각각의 선체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의 후방 좌측 또는 후방 우측 조절 가능 지지대는 상기 섀시부의 후방부와 각각의 선체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선박의 전방 또는 후방 단부가 상기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에 인접하게 되면,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섀시부가 피치(pitch)하도록 허용하면서 상기 펜더부의 수직력을 감소시키거나 실질적으로 제거하도록 상기 전방 좌측 및 전방 우측 지지대 및/또는 후방 좌측 및 후방 우측 지지대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의 선수가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에 인접하게 되면, 상기 섀시부의 피치 자세는 전방 좌측 및 전방 우측 지지대의 변위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고, 또는 이와 달리 후방 좌측 및 후방 우측 지지대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전방 좌측 및 전방 우측 지지대의 변위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선박의 좌측 또는 우측이 상기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에 인접하게 되면,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섀시부가 롤링(roll)하도록 허용하면서, 상기 펜더부의 수직력을 감소시키거나 실질적으로 제거하도록 상기 전방 좌측 및 후방 좌측 지지대 및/또는 전방 우측 및 후방 우측 지지대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의 좌측이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에 인접하게 되면, 상기 섀시부의 롤링 자세는 전방 좌측 및 후방 좌측 지지대의 변위를 조절함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또는 이와 달리 전방 우측 및 후방 우측 지지대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전방 좌측 및 후방 좌측 지지대의 변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펜더부는 상기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르면, 선박의 섀시부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선박은 상기 섀시부와, 적어도 두 개의 선체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선체 위에 상기 섀시부의 적어도 일부의 지지대를 제공하는 서스펜션 시스템, 및 서스펜션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제어 시스템은 피도킹 모드(docked mode)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작동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선박의 섀시부와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 사이의 펜더부의 마찰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마찰력에 대응하여, 상기 펜더부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거나 실질적으로 제거하도록 상기 서스펜션 시스템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도킹 모드에 진입 또는 퇴장 시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 단계는 모드 선택기의 피도킹 모드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선박의 섀시부와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 사이의 반력을 상기 펜더부에서 감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력은 마찰력에 수직할 수 있고/있거나 펜더부의 측정된 압축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이의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피도킹 모드에 진입 또는 퇴장 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펜더부에서의 반력을 적어도 하나의 최소 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소 값은 진입 피도킹 모드값과 퇴장 피도킹 모드값일 수 있고, 상기 진입 피도킹 모드값은 퇴장 피도킹 모드값보다 높다.
상기 펜더부의 수직력을 감소시키거나 실질적으로 제거하도록 서스펜션 시스템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섀시부와 상기 선박의 적어도 두 개의 선체 사이의 피치 자세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선박의 선수가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에 인접하게 되고 선박이 쌍동선이며 좌측 및 우측 선체를 가지면, 섀시부의 피치 자세는 좌측 및 우측 선체의 평균 피치 자세에 대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선박이 두 개의 전방 선체와 두 개의 후방 선체를 가지는 사쌍동선이면, 섀시부의 피치 자세는, 두 개의 전방 선체와 섀시부 사이의 힘 또는 부하를 증가시키고 두 개의 후방 선체와 섀시부 사이의 힘 또는 부하를 감소시킴으로써 (또는 이와 반대로 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선체에 대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의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펜더부의 수직력을 감소시키거나 실질적으로 제거하도록 서스펜션 시스템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의 적어도 두 개의 선체에 대하여 상기 섀시부의 상하동요 자세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이의 대안으로, 상기 펜더부의 수직력을 감소시키거나 실질적으로 제거하도록 서스펜션 시스템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섀시부와 상기 선박의 적어도 두 개의 선체 사이의 롤 자세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선박의 측면이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에 인접하게 되고, 선박이 좌측 및 우측 선체를 가지는 쌍동선이면, 섀시부의 롤 자세는, 좌측 선체와 섀시부 사이의 힘 또는 거리를 증가시키고 우측 선체와 섀시부 사이의 힘 또는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또는 이와 반대로 함으로써), 좌측 및 우측 선체에 대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선박이 두 개의 좌측 선체와 두 개의 우측 선체를 가지는 사쌍동선이면, 섀시부의 롤 자세는, 두 개의 좌측 선체와 섀시부 사이의 힘 또는 거리를 증가시키고 두 개의 우측 선체와 섀시부 사이의 힘 또는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또는 이와 반대로 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선체에 대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펜더부는 상기 선박의 섀시부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펜더부는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가지는 다수의 구체적 실시예에 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른 구성 또는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그의 첨부 도면과 그의 설명의 제공은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하지 않아야 된다.
도면들에서,
도 1은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다중선체 선박이 파일런에 도킹된 측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박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의 부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의 개략 도이다.
도 5는 제 1 조절 위치에 있는 도 1의 선박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6은 제 2 조절 위치에 있는 도 1의 선박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7은 제 3 조절 위치에 있는 도 1의 선박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8은 제 4 조절 위치에 있는 도 1의 선박의 측면 개략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선박(1)이 도시되며, 상기 선박은 파일런 또는 파운데이션 또는 다른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2)에 인접해 있다. 수면(3)은 단파장과 장파장은 선박 피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간단히 평평하게 도시되어 있다.
선박은 본체 또는 섀시부(10) 및 적어도 하나의 선체(11)를 가지며, 프론트 리딩 아암(12)과 같은 서스펜션 기하학적 구조에 의해 섀시부(10)에 대하여 선체(11)의 수직, 즉 상하동요(heave) 및 피치 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선박은 예를 들면, 좌측 선체와 우측 선체를 가지는, 쌍동선이며, 도 1에서는 우측 선체(11)만이 보인다. 이러한 유형의 선박은 본 출원인의 국제특허공개 WO2013/181699에 기술되어 있고, 이의 상세한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포함된다. 또한 서스펜션 시스템은 선체(11)와 섀시부(10)의 전방부 및 후방부 사이에 전방 및 후방 액츄에이터(13)(14)를 포함하고 있다. 액츄에이터의 구성과 상호연결의 예는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공개 US2013/0233225와 US2013/0233226 및 호주 가출원 2014904806에서 볼 수 있고, 다른 액츄에이터의 사용은 미합중국 특허출원 공개 US2013/0213288에 개시되어 있고, 이들의 상세한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포함된다.
승객 및/또는 화물이 선박(1)과 파일런(2)사이를 이동할 때, 둘 사이의 상대 운동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사다리(21)는 파일런(2)의 메인 바디(20)의 일측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사다리는 도 2의 평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다리의 어느 일측의 수직 폴(22)에 의해 보호된다. 이러한 유형의 구성은 통상 추진 시스템(15)의 추력을 사용하여 폴(22)에 대한 선박의 펜더부(16)를 구동하며, 펜터부(16)의 형상은 파일런에 대한 선박의 측면 위치를 제공하도록 설계되며, 흔히 선박의 섀시부(10)와 사다리(21) 사이를 이동하는 승객의 이동을 위한 계단이 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데크상의 한 위치 또는 심지어 전체 데크를 일정한 높이 또는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의 사용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선박(1)과 파일런(2)과 같은 구조물 사이에 접촉이 이루어지고 유지되면, 종래의 제어 시스템의 사용은 접촉점이 수직으로의 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대체로 부적합하다. 소프트 피치 강성을 가지는 서스펜션 시스템의 사용이 가능하며, 이는 선박 섀시부와 폴 사이의 수직력의 크기, 즉 주로 마찰력의 크기를 감소시켜서 안전한 이동을 보조한다. 도 3은 선박과 파일런 사이(섀시부(10)의 펜더부(16)로부터 폴(22)까지)의 반력 FR 및 마찰력 FF을 갖는 파일런(2)에 대한 선박(1)의 전방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펜더부(16)는 선박의 일부로서, 마찰력 센서 및 반력 센서를 용이하게 내포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다수의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변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출력은 마찰력 신호 또는 반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처리된다. 이와 달리, 반력 센서는 펜더부(16)의 종방향 압축만을 단순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면 전반을 통해 균등한 부품들에는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4는 전방 좌측 선체(41), 전방 우측 선체(42), 후방 좌측 선체(43) 및 후방 우측 선체(44)를 가지는 사쌍동선에 대한 제어 시스템(40)을 나타내며, 각각의 선체는 위시본(wishbone) 또는 다른 적절한 서스펜션 기하학적 구조에 의해 본체(45)에 연결되어 있다. 섀시부(10)는, 비록 단일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지만, 각각의 위치본과 섀시부 사이의 한 쌍의 평행 액츄에이터(13) 또는 (14)에 의해 전방과 후방 선체들 상부에 지지된다. 각 쌍의 각각의 액츄에이터는 상호연결된 전방 쌍의 액츄에이터와 후방 쌍의 액츄에이터를 형성하여 측면으로 연결된다. 유체가 상호연결된 전방 쌍의 액츄에이터와 후방 쌍의 액츄에이터 사이에 이동되도록 펌프(46)가 설치되고, 상기 펌프는 양방향성이며, 섀시부(10)의 피치 자세가 조절될 수 있도록 가역 모터(47)에 의해 구동된다. 제어 시스템(40)은 펜더 마찰 센서(49), 서스펜션 시스템 변위 및/또는 압력 센서(50), 섀시부의 자세를 검출할 수 있는 가속도계(51) 및 선수 높이 센서(52)와 같은 다수의 센서로 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전자 제어 유닛(48)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쌍동선에 대해 도시되었지만, 제어 시스템(40)은 도 1 내지 3의 쌍동선에 대한 사용에 대해서도 매우 유사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의 쌍동선의 서스펜션 시스템의 제어로 돌아가서, 만일 마찰력이 측정되어 제어 시스템에 대한 입력으로서 사용되면, 서스펜션은 마찰력을 최소화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섀시부(10)와 폴(22) 사이의 미끄러짐에 대한 훨씬 더 큰 안전 여유도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선박 폴 접촉의 동적 시뮬레이션이 종래(즉, 서스펜션 록킹); 수동(passive) 소프트 피치 서스펜션; 접촉까지의 능동(active) 높이 제어; 및 능동 힘 제어의 4 상태로 샘플 선박에 대해 실행되었다. 4.8초 주기의 +/- 300mm 파동이 선박에 대한 입력 헤드이고 추진 시스템의 추력은 50%로 설정되었다.
종래의 선박 폴 접촉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서스펜션이 종래의 고정 선체 쌍동선에 대한 느슨한 비교를 허용하도록 견고하게 로킹되었다. 물이 선체들과 본체 사이를 흐를 수 있기 때문에, 폐쇄된 터널을 가지는 종래의 쌍동선보다 더 좋은 결과를 여전히 제공할 것이다. 종래의 선박이 폴과 접촉한 후에는, 선박의 섀시부상의 펜더부가 초기 폴 접촉 위치로부터 350mm 더 높은 정상 상태 위치로 미끄러지기 때문에, 대략 3초 후에 높이의 초기 스윙이 있게 되어서, 폴상의 선수 상방 높이 옵셋을 초래하게 된다. 종래의 선박 모델에 대한 정상 상태 마찰력 스윙은 13kN이다.
수동 소프트 피치 선박 폴 접촉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선박이 폴과 접촉한 후, (30% 정도 더 작지만) 초기 접촉 위치로부터 대략 250 mm 더 높은 정상 상태 위치까지의 수직 미끄러짐이 재차 폴상에 있다. 정상 상태 마찰력 스윙은 9kN으로 약 30% 정도 감소된다. 서스펜션 시스템의 피치 강성은, 예컨대 본 출원인의 상술한 선행 참고 문헌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롤 강성보다 더 낮을 수 있다.
구조물(즉, 파일런)에 대한 선수 높이를 측정하고, 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평균하면, 설정 포인트가 선택될 수 있고, 뒤이어서 섀시부가 폴을 접촉할 때 섀시부의 선수 높이가 설정 포인트로 능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접촉이 이루어지자 마자, 능동 선수 높이 제어는 비활성화될 수 있고, 서스펜션 시스템의 피치 컴플라이언스는 파도들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폴(22)상의 섀시부(10)의 미끄러짐을 무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6kN이거나, 종래의 선박 시뮬레이션의 힘 스윙의 50% 미만의 정상 상태 마찰력 스윙이 있다.
하지만, 폴을 접촉하기 전에 능동 선수 높이 제어의 이용에 추가하여, 제어 시스템이 능동 힘 제어, 즉 본 실시예에서 섀시부와 파일런 사이의 마찰력에 따르는 서스펜션 시스템의 피치 모드에서의 제어로 스위치하면, 가장 안전한 접촉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다시 폴(22)상의 섀시부(10)의 미끄러짐을 무시할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하게는, 정상 상태 마찰력 스윙이 바로 2kN로 감소시키거나 종래의 선박 시뮬레이션의 힘 스윙의 대략 15%로 감소된다. 이는 분명히 섀시부의 선수와 파일런(2)의 폴(22)사이에 최소 운동(minimal motion)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충분한 안전 여유도도 제공한다.
섀시부가 각각의 파도 사이클에서 파일런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진폭으로 파도 높이가 증가되어 정상 상태 위치를 유지할 수 없으면, 종래의 선박 제한 파도 진폭은 325mm이고, 수동 소프트 피치 선박 제한 파도 진폭은 425mm이고, 접촉까지 제어되고 있는 능동 선수 높이 선박은 500mm의 제한 파도 진폭을 가지고, 제어 입력으로서 마찰력을 이용하는 능동 힘 제어 선박은 600mm 또는 종래 선박의 파도 높이의 거의 두 배의 제한 파도 진폭을 가진다.
상기 모델화된 예에서, 섀시부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치하도록 허용되며, 섀시부(10)의 펜더부(16)는 파일런(20)상의 폴(22)과 고정 접촉점을 유지한다. 도 4의 제어 시스템은 섀시부의 피치가 허용되는 제어 형태를 제공한다. 섀시부와 파일런과 같은 구조물 사이의 접촉 전에, 선수 높이 센서(52)는 구조물에 대한 선수 높이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그 선수 높이의 평균은 선수 높이 설정 포인트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펌프(46)는 전자 제어 유닛(48)과 모터(47)에 의해 작동되어 섀시부(10)의 펜더부(16)가 파일런(20)의 폴(22)과 도킹될 때까지 설정 포인트에 선수 높이를 유지한다. 액츄에이터가 행정 한계에 이를 때까지 상하동요 또는 다른 특성을 가지는 선수 높이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가속도계(51) 및/또는 서스펜션 시스템 변위 및/또는 압력 센서(50)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박이 폴과 접촉하면, 펜더 반응 센서(도시하지 않음)는, 선수 높이가 상하 조절될 필요가 있는지, 그리고 만일 그렇다면 어떤 크기로 조절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데 펜더 마찰력 센서(49)로부터 출력을 취하여, 접촉 반력이 선수 높이 제어로부터 마찰력 제어까지의 제어 알고리즘을 변경하기에 충분한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시 펌프(46)가 전자 제어 유닛(48)과 모터(47)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조절 가능한 지지대(13)(14)를 조절하여 선체와 섀시부 사이의 피치 힘 또는 변위를 제공하고 섀시부(10)의 펜더부(16)가 파일런(20)의 폴(22)과 접촉하는 동안에 펜더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섀시부가 피치를 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큰 진폭의 수면(3) 높이 변화에 대해 정상 높이로 선수를 유지하는 한편에, 피칭 대신에,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섀시부(10) 레벨, 즉 수평을 유지하는 것은 승객의 안락함을 향상시키면서도 수면 높이 변화의 진폭은 감소시킨다. 고정 선체 쌍동선을 이용하면 선박이 어느 정도 피칭하기 때문에, 제어 시스템이 섀시부의 상하동요와 함께 적어도 어느 정도의 피칭을 도킹 제어에 포함하도록 허용하는 것이 안락함의 관점에서 허용 가능하고 성능적인 관점에서 유용할 수 있다.
선박의 섀시부에 고정되는 대신에, 대안으로 펜더부는 파일런에 고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파일런 부하 이력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마찰 신호 및/또는 반력 신호는 선박 제어 시스템에 의해 입력으로서 사용을 위해 전송된다.
제어 시스템은 서스펜션 시스템이 선박의 섀시부와 파일런의 폴 사이의 펜더부에서 적어도 마찰력에 따라 제어되는 도킹 또는 피도킹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선택기와 같은 사용자 제어 입력은 선박이 파일런과 도킹되는 것을 판단하기 위해 마찰력의 감지 또는 반력의 바람직한 감지를 초기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모드 선택기는 터치 스크린 또는 다른 입력 장치상의 스위치 또는 입력일 수 있다. 또는, 피도킹 모드는 추진 추력, 속도 또는 GPS 위치와 같은 다른 입력과 단독 또는 조합하여 마찰력을 이용해서 검출될 수 있다.
마찰력은 다른 것들 중에서 반력의 함수이기 때문에, 마찰력이 높거나 반력의 소정 비율, 즉 45, 50, 60를 초과 또는 예를 들면 반력의 75%를 초과하는 범위로 스윙하여 안전 여유도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반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박의 추진 시스템의 추력을 제어 시스템에 의해 조절하여 반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선박 운항의 안전 여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최대 마찰력이 소정 비율(즉 문턱값), 예를 들면, 반력의 20 또는 30%보다 적으면, 선박의 추진 시스템의 추력은 제어 시스템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반력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서 선박 운항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턱값은 이동하는 승객이 있는지, 선박의 이동을 위한 준비가 바로 되어있는 지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박의 파일롯(pilot) 또는 이동이 임박한 선박의 데크상의 누군가가 버튼 또는 다른 입력 장치를 누를 수 있거나, 또는 이동이 발생하고 있는 동안에, 자동 센서가 이동 활동을 탐지하여 문턱값, 즉 안전 여유도를 증가하도록 선택할 수 있지만, 선박은 이동을 준비하는 동안 연료 효율 문턱값을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선박이 파일런으로부터 떨어져 물러나서 파일런과 접촉을 상실하게 되면, 반력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여 이를 검출하고 마찰력에 따른 피도킹 모드를 자동으로 퇴장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도킹 전의 선수 높이 제어와 같은 서스펜션 제어의 다른 모드들 및 잠재적으로 예를 들어 해양 상태 또는 속도에 따른 다중 트랜짓(transit) 모드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짓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츄에이터는 독립적이거나 상호 연결된 유압 또는 공압 램 또는 전자석 액츄에이터 또는 다른 공지된 형태의 조절 가능 지지대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모터가 조절 가능 지지대의 조절, 즉 유압 또는 공압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 또는 리니어 전기 모터의 조절을 구동하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코일 스프링 또는 에어 스프링 등의 추가 지지대가 제공될 수 있다. 조절 가능 지지대가 조절되면, 지지대는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고, 즉, 섀시부와 적어도 두 개의 선체 사이에 변위를 일으키거나, 또는 힘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즉, 지지력은 입력 및 다른 지지대에 따라, 변위의 발생 또는 발생이 없이 변화한다.
서스펜션 시스템은 선체 위의 섀시부의 지지대 모두를 제공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예컨대 섀시부가 물에 접하는 선체부(water-engaging hull portion)를 포함하면, 서스펜션 시스템은 선체에 대하여 섀시부의 일부 지지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쌍동선에 대해 설명하고 있고, 대부분 실시예에서 전방 좌측, 전방 우측, 후방 좌측 및 후방 우측 조절 가능 지지대들인 4개의 조절 가능 지지대를 포함한다 하더라도, 다른 다수의 선체를 가지는 선박에 적용될 수 있다. 각각의 조절 가능 지지대는 둘 이상의 액츄에이터 또는 탄성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쌍동선 상에서, 전방 좌측 조절 가능 지지대는 후방 좌측 조절 가능 지지대로부터 종방향으로 이격되며, 서스펜션 아암을 통하는 것과 같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좌측 선체와 섀시부 사이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전방 우측 및 후방 우측 조절 가능 지지대는 우측 선체 상에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둘 모두는 우측 선체와 섀시부 사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전방 (좌측 및 우측) 조절 가능 지지대는 섀시부의 전방부의 적어도 부분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반면에 후방 조절 가능 지지대는 섀시부의 후방부의 적어도 부분적인 지지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마찰력에 근거한 제어 시스템은 전방 좌측 조절 가능 지지대가 전방 좌측 선체와 섀시부 사이에 연결되고, 전방 우측 조절 가능 지지대가 전방 우측 선체와 섀시부 사이에 연결되고, 후방 좌측 조절 가능 지지대가 후방 좌측 선체와 섀시부 사이에 연결되고, 후방 우측 조절 가능 지지대가 후방 우측 선체와 섀시부 사이에 연결되는 사쌍동선에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위의 기재 내용은 파일런 또는 다른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을 접촉하는 선박의 선수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선미(stern)가 파일런 또는 다른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을 접촉하더라도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선박의 좌측 또는 우측은 섀시부와 파일런 또는 다른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 사이에 도킹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영역이 선박의 좌측 또는 우측에 있으면, 섀시부는 도 5 및 6에서 실시예의 피치 대신에 롤링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은 개량 및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21)

  1. 다중선체 선박의 적어도 하나의 시스펜션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선박은 섀시부, 상기 섀시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선체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선체 위에 상기 섀시부의 적어도 일부의 지지대를 제공하고, 상기 서스펜션 시스템은 조절 가능 지지대와, 상기 조절 가능 지지대의 지지력의 조절 및/또는 변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과 선박 섀시부 사이의 펜더부상에 마찰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펜더 마찰력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펜더 마찰력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지지력 및/또는 상기 섀시부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선체 사이의 변위를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펜더부 상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도록 배치되는,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과 상기 선박 섀시부 사이의 펜더부상에 마찰력을 나타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펜더 마찰력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부는 상기 선박의 상기 섀시부에 부착되는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상기 섀시부와 상기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 사이에 반력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펜더 반력 입력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펜더 마찰력 입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펜더 반력 입력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에 따라 추진 추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가능 지지대는 상기 섀시부를 실질적으로 수평 자세에 유지하면서 상기 펜더부상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하도록 조절되는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가능 지지대는 전방 좌측, 전방 우측, 후방 좌측 및 후방 우측 조절 가능 지지대인 4개의 조절 가능 지지대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선체는 좌측 선체 및 우측 선체이며, 상기 전방 좌측 및 후방 좌측 조절 가능 지지대는 좌측 선체상에서 종방향으로 이격되고, 또한 상기 전방 우측 및 후방 우측 조절 가능 지지대는 우측 선체상에 종방향으로 이격되는 제어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선체는 전방 좌측 선체, 전방 우측 선체, 후방 좌측 선체 및 후방 우측 선체이며, 상기 각각의 전방 좌측 또는 전방 우측 조절 가능 지지대는 상기 섀시부의 전방부와 각각의 상기 선체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의 상기 후방 좌측 또는 후방 우측 조절 가능 지지대는 상기 섀시부의 후방부와 각각의 상기 선체 사이에 위치되는 제어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전방 또는 후방 단부는 상기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에 인접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섀시부가 피치하도록 허용하면서 상기 펜더부의 수직력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제거하도록 상기 전방 좌측 및 전방 우측 지지대 및/또는 상기 후방 좌측 및 후방 우측 지지대를 조절하는 제어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좌측 또는 우측이 상기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에 인접할 때,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섀시부가 롤링하도록 허용하면서 상기 펜더부의 수직력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제거하도록 상기 전방 좌측 및 후방 좌측 지지대 및/또는 전방 우측 및 상기 후방 우측 지지대를 조절하는 제어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부는 상기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에 부착되는 제어 시스템.
  13. 선박의 섀시부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상기 섀시부, 적어도 두 개의 선체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선체 위에 상기 섀시부의 적어도 일부의 지지를 제공하는 서스펜션 시스템, 및 서스펜션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시스템은 피도킹 모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작동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피도킹 모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선박의 상기 섀시부와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 사이의 펜더부의 마찰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마찰력에 대응하여, 상기 펜더부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제거하도록 상기 서스펜션 시스템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도킹 모드에 진입 또는 퇴장 시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모드 선택기의 도킹 모드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상기 섀시부와 상기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 사이의 반력을 상기 펜더부에서 감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피도킹 모드에 진입 또는 퇴장 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펜더부에서의 반력을 적어도 하나의 최소 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부의 수직력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제거하도록 상기 서스펜션 시스템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섀시부와 상기 선박의 적어도 두 개의 선체 사이의 피치 자세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부의 수직력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제거하도록 상기 서스펜션 시스템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선체에 대하여 상기 섀시부의 상하동요 자세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부의 상기 수직력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제거하도록 상기 서스펜션 시스템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섀시부와 상기 선박의 적어도 두 개의 선체 사이의 롤링 자세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부가 상기 선박의 상기 섀시부에 부착되는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부가 상기 고정 또는 부유 구조물에 부착되는 방법.
KR1020167018498A 2013-12-11 2014-12-11 선박용 도킹 제어 KR102229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3904833 2013-12-11
AU2013904833A AU2013904833A0 (en) 2013-12-11 Modelling and control of a multi-body marine vessel including suspension
PCT/AU2014/001118 WO2015085352A1 (en) 2013-12-11 2014-12-11 Docking control for vess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176A true KR20160096176A (ko) 2016-08-12
KR102229026B1 KR102229026B1 (ko) 2021-03-18

Family

ID=53370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498A KR102229026B1 (ko) 2013-12-11 2014-12-11 선박용 도킹 제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49947B2 (ko)
EP (1) EP3079980B1 (ko)
JP (1) JP6562941B2 (ko)
KR (1) KR102229026B1 (ko)
AU (1) AU2014361732B2 (ko)
WO (1) WO201508535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723B1 (ko) * 2016-11-24 2018-07-18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조파저항감쇠가 용이한 다선체 선박
KR20200106598A (ko) * 2019-03-05 2020-09-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천해 해저지형 탐사용 수상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2925B1 (en) 2016-12-13 2019-03-19 Brunswick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steering a marine vessel
CN108189965B (zh) * 2017-12-25 2019-05-03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用于横摇力矩直接测量的试验系统及安装方法
CN108177723A (zh) * 2018-02-08 2018-06-19 武汉理工大学 三体船侧体智能调节装置及调节方法
CN108454788A (zh) * 2018-04-04 2018-08-28 上海航盛船舶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海上风电风机运维船的靠泊引桥装置
EP3590817A1 (en) * 2018-07-04 2020-01-08 Ørsted Wind Power A/S A method for the use in offshore crew transfer
EP3699078B1 (en) * 2019-02-20 2023-01-18 Van Halteren Technologies Boxtel B.V. Motion compensating gangw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0239674B (zh) * 2019-06-25 2020-08-04 南京蒽天捷能源科技有限公司 可移动串联式浮动液货过驳海工平台及过驳方法
KR20230049582A (ko) 2020-04-24 2023-04-13 노티-크래프트 엘티디 선박 자세 제어 장치
US11628920B2 (en) 2021-03-29 2023-04-18 Brunswick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teering a marine vessel
CN113221295B (zh) * 2021-06-21 2024-02-13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护舷材的设计制造方法及护舷材
DE102022109821A1 (de) 2022-04-22 2023-10-26 Offcon GmbH Aktiver fender, aktives fender-system sowie verfahren zur regelung einer relativen bewegung
WO2023202746A1 (de) 2022-04-22 2023-10-26 Offcon GmbH Aktiver fender, aktives fender-system sowie verfahren zur regelung einer relativen bewegung
CN117533473B (zh) * 2024-01-09 2024-04-12 上海新纪元机器人有限公司 具有并联机器人装置的船舶及自平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9155A (ja) * 2010-05-16 2013-07-18 ノウティ−クラフト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多胴船の制御
US20130213288A1 (en) * 2012-02-22 2013-08-22 Velodyne Acoustics, Inc. Boat with active suspension system
WO2013174886A1 (en) * 2012-05-22 2013-11-28 Otso Limited Vessel gangwa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7861A (en) * 1974-06-26 1979-02-06 Irving Brummenaes Process for mooring a ship and a fender arrangement for such mooring process
JP2003520725A (ja) * 2000-01-07 2003-07-08 エフ・エム・シー・テクノロジーズ・インク 能動力反動システム及び受動減衰を有する係船システム
NZ520450A (en) * 2002-07-30 2004-12-24 Mooring Systems Ltd Method of controlling a mooring system
JP4401293B2 (ja) * 2002-08-14 2010-01-20 ヘイリング テクノロジーズ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船舶
US6763774B1 (en) * 2003-02-10 2004-07-20 Boston Whaler, Inc. Active deck suspension system
US7137350B2 (en) * 2004-05-21 2006-11-21 Waldock William L Catamaran with extending platform carried by the underwing and an extending deployable ramp carried by the extending platform
US8484787B2 (en) * 2009-03-25 2013-07-16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s College Fenders for pier protection against vessel collision
GB2483401B (en) * 2009-11-05 2012-09-26 David Armstrong Pivoting deck vessel
EP2571752B1 (en) * 2010-05-16 2020-04-29 Nauti-Craft Pty Ltd Multi-hulled water craft including suspension
US9027496B2 (en) * 2011-09-16 2015-05-12 Doug Zucco Watercraft mooring standoff
US9272753B2 (en) 2012-06-05 2016-03-01 Nauti-Craft Pty Ltd Improvements to multi-hull vessel suspension geometry
AU2014245840B2 (en) 2013-03-25 2018-01-18 Nauti-Craft Ltd Stabilising of marine bodi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9155A (ja) * 2010-05-16 2013-07-18 ノウティ−クラフト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多胴船の制御
US20130213288A1 (en) * 2012-02-22 2013-08-22 Velodyne Acoustics, Inc. Boat with active suspension system
WO2013174886A1 (en) * 2012-05-22 2013-11-28 Otso Limited Vessel gangway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723B1 (ko) * 2016-11-24 2018-07-18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조파저항감쇠가 용이한 다선체 선박
KR20200106598A (ko) * 2019-03-05 2020-09-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천해 해저지형 탐사용 수상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9980A4 (en) 2017-08-09
US20160355241A1 (en) 2016-12-08
US9849947B2 (en) 2017-12-26
WO2015085352A1 (en) 2015-06-18
EP3079980A1 (en) 2016-10-19
JP2016539861A (ja) 2016-12-22
AU2014361732A1 (en) 2016-06-02
EP3079980B1 (en) 2019-02-06
KR102229026B1 (ko) 2021-03-18
AU2014361732B2 (en) 2018-02-01
JP6562941B2 (ja)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026B1 (ko) 선박용 도킹 제어
EP2817213B1 (en) Boat with active suspension system
US9487277B2 (en) Vessel, motion platform, method for compensating motions of a vessel and use of a Stewart platform
US10286980B2 (en) Control of multi-hulled vessels
CN102985317B (zh) 包括悬架的多船体船舶
US9731798B2 (en) Stabilising of marine bodies
US20230278687A1 (en) Automatic sail depowering and camber control
US10331143B2 (en) Control of marine suspension systems
JP2846015B2 (ja) 半潜水式・双胴型浮体付き船舶
KR101259027B1 (ko) 가변형 거주구
JPH0628396Y2 (ja) 上部構造物動揺制御式双胴船
JP2557950Y2 (ja) 上部構造物分離型高速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