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958A - 렌즈 유닛 - Google Patents

렌즈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958A
KR20160095958A KR1020150017645A KR20150017645A KR20160095958A KR 20160095958 A KR20160095958 A KR 20160095958A KR 1020150017645 A KR1020150017645 A KR 1020150017645A KR 20150017645 A KR20150017645 A KR 20150017645A KR 20160095958 A KR20160095958 A KR 20160095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de
camera
lens holder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지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켄지 요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켄지 요시다 filed Critical 켄지 요시다
Priority to KR1020150017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5958A/ko
Publication of KR2016009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Abstract

카메라에 장착함으로써, 도트 패턴 등의 촬영에 적합시키기 위한 렌즈 유닛을 제공한다.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에 장착하는 렌즈 유닛으로서, 카메라의 촬영구를 둘러싸도록 장착되는 하부 개구부와, 상부 개구부를 양단에 구비하는 통 형상의 렌즈 홀더와, 통 형상의 렌즈 홀더 내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렌즈와,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장착되는, 인증을 위한 ID 매체를 구비한 렌즈 유닛으로 하였다. 또한, 카메라의 촬영구를 둘러싸도록 장착되는 하부 개구부와, 상부 개구부를 양단에 구비한 통 형상의 렌즈 홀더와, 통 형상의 렌즈 홀더 내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렌즈와, 렌즈 홀더의 하부 개구부에 형성되며, 렌즈로부터 상기 카메라까지의 거리를 적정하게 조절하는 어저스터를 구비한 렌즈 유닛으로 하였다.

Description

렌즈 유닛 {LENS UNIT}
본 발명은 카메라의 촬영구를 둘러싸도록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장착하는 렌즈 유닛에 관한 것으로, 정보 코드의 하나인 ID 코드가 부호화된 패턴을, 렌즈 유닛을 통해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고, 당해 카메라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복호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의 촬영구를 둘러싸도록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장착하는 렌즈 유닛에 관한 것으로, 초점 거리를 어저스트 가능한 기구와, 렌즈 유닛에 장착되는 ID 매체에 형성된 정보 코드의 하나인 ID 코드가 부호화된 패턴을, 렌즈 유닛을 통해서 카메라에 의해 피사체와 함께 촬영하고, 당해 카메라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ID 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원 이전부터, 카메라에 의해 판독됨으로써 부호화된 정보 코드를 복호할 수 있는 이차원 코드가 널리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이차원 코드로는, QR 코드 (등록 상표. 이하 생략) 이 종래 널리 알려져 있다.
QR 코드는 인쇄 매체의 심미성을 손상시킨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인쇄 매체 본래의 디자인과 공존시키는 방법이 종래부터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1 은 모두, 임의로 설계한 디자인을 QR 코드와 일체화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 기술에 의해서도 인쇄 매체의 심미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이차원 코드를 제공한다는 과제를 달성할 수 없었으며, 인쇄 매체 본래의 디자인에 대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형태에 의해 이차원 코드를 공존시키는 것이 요구되어 왔기 때문에, QR 코드와는 달리 거의 불가시 (不可視) 이고, 디자인과 겹쳐서 인쇄 가능한 이차원 코드인 「도트 패턴」이 발명되어, 종래 널리 알려져 있다.
본원의 발명자는,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특허문헌 5 등의, 도트 패턴을 응용한 여러 가지 발명을 제안해 왔다.
또한, 특허문헌 5 는 도트 패턴을 K 성분에 의해 인쇄하고, 디자인이 가해져 있는 통상 인쇄 영역을 CMY 성분에 의해 인쇄함으로써, 적외선을 사용하여 K 성분에 의해 인쇄된 도트 패턴만을 추출해서 판독하기 가능하게 한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동 특허문헌 3 은 도트 패턴과 통상 인쇄 영역을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식별 가능하게 하는 도트 패턴 판독 방법의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5919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30729 국제 공개 2004/029871호 국제 공개 2007/105819호 국제 공개 2006/040832호
본원 발명의 제 1 과제는, 스마트폰, 휴대전화, PC 등의 부속되는 카메라는 일반 촬영을 주목적으로 한 것이어서 도트 패턴 등의 촬영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이들 카메라에 장착함으로써 도트 패턴 등의 촬영에 적합시키기 위한 렌즈 유닛을 제공하고, 나아가 렌즈 유닛이 구비한 렌즈로부터 카메라까지의 거리를 적정하게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제 2 과제는, 촬영시에 피사체와 동시에 렌즈 ID 를 촬영하여, 렌즈를 특정해서 피사체의 화상과 연관시키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제 3 과제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는 소정의 피사체가 정보 코드가 부호화된 도트 패턴이 인쇄된 인쇄 매체이고, 당해 인쇄 매체의 촬영에 바람직한 렌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제 4 과제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는 소정의 피사체의 촬영에 바람직한 렌즈 유닛을 제공하는 것으로, 자연광도 포함한 조명의 색ㆍ밝기에 의한 빛의 연출성에 의해 피사체의 화상을 올바르게 취득할 수 없기 때문에, 본래의 표면색으로 보정하는 것이다. 특히, 검사ㆍ분석 목적의 피부, 두피, 털, 손톱, 눈 등의 부위 등의 촬영에서는 본래의 색을 취득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원 발명은, 카메라와, 정보 코드를 복호화하는 해석 수단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장착하는 렌즈 유닛으로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구를 둘러싸도록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되는 하부 개구부와, 상부 개구부를 양단에 구비하는 통 형상의 렌즈 홀더와, 상기 통 형상의 렌즈 홀더 내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렌즈와,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장착되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에 필요한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을 갖고, 상기 해석 수단에 있어서 인증하기 위한 상기 정보 코드의 하나인 ID 코드가 부호화된 패턴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된 ID 매체를 구비한 렌즈 유닛이다.
또, 상기 ID 매체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부착되거나, 끼우거나, 또는 밀어 넣는 것 중 어느 것에 의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ID 코드가 부호화된 패턴은, 상기 ID 매체의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의 주연 (周緣) 근방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패턴은, 소정의 원의 둘레 상 또는 소정의 타원의 둘레 상 또는 소정의 닫힌 곡선의 둘레 상에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배치된 복수의 마크로 형성되고, 그 소정의 규칙에 의해 상기 ID 코드가 부호화된 서클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ID 매체의 개구부의 주연 근방 또는, 상기 ID 매체의 투명 영역의 중앙 근방 또는 주연 근방에, 상기 카메라의 촬영시에 핀트를 맞추기 쉽게 하기 위한 모양이 인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모양은 투과성의 잉크로 인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ID 매체는 상기 렌즈 홀더와 일체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렌즈 유닛은, 또한 소정의 위치에 적외선 필터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소정의 피사체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접면하여 촬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에 필요한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을 갖는 렌즈 커버를 추가로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소정의 피사체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 또는 상기 렌즈 커버에 접면하여 촬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ID 매체는, 상기 렌즈 커버의 상부 개구부에 부착되거나, 끼우거나, 밀어 넣거나, 또는 그 렌즈 커버와 상기 렌즈 홀더 사이에 삽입되는 것 중 어느 것에 의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렌즈 커버는, 상기 렌즈 홀더와 상기 ID 매체 중 적어도 어느 것과 일체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렌즈 유닛은 또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렌즈 홀더의 하부 개구부에 장착한 슬라이딩 방지구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슬라이딩 방지구는, 상기 렌즈 홀더의 하부 개구부에 부착되거나, 끼우거나, 또는 밀어 넣는 것 중 어느 것에 의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슬라이딩 방지구는 상기 렌즈 홀더와 일체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렌즈 홀더의 하부 개구부에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에 필요한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을 갖고, 상기 렌즈로부터 상기 카메라까지의 적정한 거리로 조절하는 어저스터 (adjuster) 를 추가로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렌즈 유닛은 또한,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의 외주벽 주변에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안정적으로 재치 (載置) 하기 위한 대좌 (臺座) 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대좌는, 상기 렌즈 홀더와 일체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대좌와,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에 필요한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을 갖는 렌즈 커버가 일체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렌즈 유닛은 또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카메라 또는 상기 카메라가 내장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장착하기 위해서, 그 렌즈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클립의 아암은, 일방의 단부가 상기 렌즈 홀더에 장착되고, 또다른 일방의 단부는 상기 카메라가 구비된 정보 처리 장치의 뒤쪽을 사이에 끼워넣듯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렌즈 홀더에 장착되는 상기 클립의 아암의 일방의 단부는, 링 형상 또는 U 형상의 멈춤구이고, 그 멈춤구에 그 렌즈 홀더를 통해서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클립의 멈춤구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나사 형상의 제 2 멈춤구가 상기 렌즈 홀더를 통해서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클립의 멈춤구와 상기 제 2 멈춤구 사이에 O 링이 상기 렌즈 홀더를 통해서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클립은, 상기 렌즈 홀더, 상기 렌즈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클립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뒤쪽을 사이에 끼우고, 상기 렌즈 유닛을 위를 향하게 하여 그 정보 처리 장치를 수평면에 재치한 경우, 그 클립의 아암이 수평면에 소정의 영역이 접면하도록 설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원 발명은, 카메라와, 정보 코드를 복호화하는 해석 수단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장착하는 렌즈 유닛으로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구를 둘러싸도록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되는 하부 개구부와, 상부 개구부를 양단에 구비하는 통 형상의 렌즈 홀더와, 상기 통 형상의 렌즈 홀더 내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렌즈와, 상기 렌즈 홀더의 하부 개구부에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에 필요한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을 갖고, 상기 렌즈로부터 상기 카메라까지의 거리를 적정하게 조절하는 어저스터를 구비한 렌즈 유닛이다.
또,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장착되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에 필요한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을 갖고, 상기 해석 수단에 있어서 인증하기 위한 상기 정보 코드의 하나인 ID 코드가 부호화된 패턴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된 ID 매체를 추가로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ID 매체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부착되거나, 끼우거나, 또는 밀어 넣는 것 중 어느 것에 의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ID 코드가 부호화된 패턴은, 상기 ID 매체의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의 주연 근방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패턴은, 소정의 원의 둘레 상 또는 소정의 타원의 둘레 상 또는 소정의 닫힌 곡선의 둘레 상에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배치된 복수의 마크로 형성되고, 그 소정의 규칙에 의해 상기 ID 코드가 부호화된 서클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ID 매체의 개구부의 주연 근방 또는, 상기 ID 매체의 투명 영역의 중앙 근방 또는 주연 근방에, 상기 카메라의 촬영시에 핀트를 맞추기 쉽게 하기 위한 모양이 인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모양은, 투과성의 잉크로 인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ID 매체는 상기 렌즈 홀더와 일체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렌즈 유닛은 또한, 소정의 위치에 적외선 필터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소정의 피사체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접면하여 촬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에 필요한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을 갖는 렌즈 커버를 추가로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소정의 피사체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 또는 상기 렌즈 커버에 접면하여 촬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렌즈 유닛은 또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렌즈 홀더의 하부 개구부에 장착한 슬라이딩 방지구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슬라이딩 방지구는, 상기 렌즈 홀더의 하부 개구부에 부착되거나, 끼우거나, 또는 밀어 넣는 것 중 어느 것에 의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슬라이딩 방지구는 상기 렌즈 홀더와 일체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슬라이딩 방지구는, 상기 어저스터의 개구부에 부착되거나, 끼우거나, 밀어 넣거나, 또는 그 어저스터와 상기 렌즈 홀더 사이에 장착되는 것 중 어느 것에 의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어저스터는, 상기 렌즈 홀더 또는 상기 슬라이딩 방지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렌즈 유닛은 또한,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의 외주벽 주변에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안정적으로 재치하기 위한 대좌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대좌는, 상기 렌즈 홀더와 일체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대좌와,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에 필요한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을 갖는 렌즈 커버가 일체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렌즈 유닛은 또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카메라 또는 상기 카메라가 내장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장착하기 위해서, 그 렌즈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클립의 아암은, 일방의 단부가 상기 렌즈 홀더에 장착되고, 또다른 일방의 단부는 상기 카메라가 구비된 정보 처리 장치의 뒤쪽을 사이에 끼워넣듯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렌즈 홀더에 장착되는 상기 클립의 아암의 일방의 단부는, 링 형상 또는 U 형상의 멈춤구이고, 그 멈춤구에 그 렌즈 홀더를 통해서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클립의 멈춤구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나사 형상의 제 2 멈춤구가 상기 렌즈 홀더를 통해서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클립의 멈춤구와 상기 어저스터 또는 상기 제 2 멈춤구 사이에 O 링이 상기 렌즈 홀더를 통해서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클립은, 상기 렌즈 홀더, 상기 렌즈 커버, 또는 상기 어저스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렌즈 홀더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좌, 상기 렌즈 커버, 상기 제 2 멈춤구, 상기 클립, 또는 상기 어저스터 중 적어도 그 어저스터는 나사에 의해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클립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뒤쪽을 사이에 끼우고, 상기 렌즈 유닛을 위를 향하게 하여 그 정보 처리 장치를 수평면에 재치한 경우, 그 클립의 아암이 수평면에 소정의 영역이 접면하도록 설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카메라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되어 있고, 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소정의 피사체의 화상 및/또는 상기 해석 수단에 의해 복호화된 정보 코드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카메라는 상기 해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소정의 피사체는, 정보 코드가 부호화된 도트 패턴이 인쇄된 인쇄 매체로서, 상기 해석 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도트 패턴으로부터 정보 코드를 복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렌즈와 일체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렌즈 유닛은 또한, 상기 소정의 피사체에 대략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상기 렌즈 홀더의 외주벽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광원과, 상기 광원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전원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패턴으로부터 ID 코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소정의 피사체의 촬영 화상을 대응시켜 기록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된 복호화된 ID 코드와 함께, 그 ID 코드에 대응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피사체의 촬영 화상을 서버에 송신하는 정보 처리 수단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소정의 피사체는 인체의 부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스마트폰, 휴대전화, 카메라가 달린 PC, 디지털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은, 렌즈 유닛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카메라의 촬영구를 둘러싸도록 장착하고, 그 정보 처리 장치에 구비된 해석 수단에 의해, 소정의 피사체와 함께 ID 코드가 부호화된 패턴을 그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그 ID 코드를 복호화하거나, 그 소정의 피사체와 함께 복호화된 그 ID 코드를 제 2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프로그램이다.
또, 상기 해석 수단은,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한 화상을 화상 처리하여 소정의 정보를 추가로 취득하고, 적어도 그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서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ID 코드와 함께 그 소정의 정보를 제 2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은, 렌즈 유닛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카메라의 촬영구를 둘러싸도록 장착하고, 소정의 피사체와 함께 ID 코드가 부호화된 패턴을 그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화상이 송신된 제 2 정보 처리 장치에 구비된 해석 수단에 의해, 그 화상으로부터 그 ID 코드를 복호화하는 프로그램이다.
또, 상기 해석 수단은,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한 화상을 화상 처리하여 소정의 정보를 추가로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은, 렌즈 유닛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카메라의 촬영구를 둘러싸도록 장착하고, 그 정보 처리 장치에 구비된 해석 수단에 의해, 상기 정보 코드가 부호화된 도트 패턴이 인쇄된 상기 소정의 매체를 그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그 정보 코드로 복호화하거나, 및/또는 복호화된 그 정보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거나, 및/또는 복호화된 그 정보 코드 및/또는 복호화된 그 정보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 2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프로그램이다.
본원 발명은, 렌즈 유닛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카메라의 촬영구를 둘러싸도록 장착하고, 그 정보 처리 장치에 구비된 해석 수단에 의해, 정보 코드가 부호화된 도트 패턴이 인쇄된 상기 소정의 매체와 함께 ID 코드가 부호화된 패턴을 그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그 정보 코드와 그 ID 코드로 복호화하거나, 및/또는 복호화된 그 정보 코드와 그 ID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거나, 및/또는 복호화된 정보 코드와 그 ID 코드, 및/또는 복호화된 정보 코드와 그 ID 코드에 대응한 정보를 제 2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프로그램이다.
본원 발명은, 렌즈 유닛을 구비하고, 프로그램을 탑재한, 카메라가 달린 정보 처리 장치이다.
본원 발명은, 프로그램을 탑재한 제 2 정보 처리 장치이다.
본원 발명은, 렌즈 유닛을 구비한, 카메라가 달린 정보 처리 장치이다.
본원 발명은, 카메라가 달린 정보 처리 장치와, 그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하는 제 2 정보 처리 장치를 구비한 정보 처리 시스템이다.
본건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 휴대전화, PC 등의 부속되는 일반 촬영을 주목적으로 한 카메라에 렌즈 유닛을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장착함으로써, 정보 코드의 하나인 ID 코드가 부호화된 패턴을 렌즈 유닛을 통해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고, 당해 카메라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복호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건 발명에 의하면, 렌즈 유닛이 구비한 렌즈로부터 카메라까지의 거리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건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는 소정의 피사체가 정보 코드가 부호화된 도트 패턴이 인쇄된 인쇄 매체인 경우에도, 당해 인쇄 매체의 촬영에 바람직한 렌즈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건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는 소정의 피사체가 인체의 예를 들어 피부, 두피, 털, 손톱, 눈 등의 부위인 경우에도, 당해 인체 부위의 촬영에 바람직한 렌즈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건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 1) 이다.
도 2 는 본건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 2) 이다.
도 3 은 본건 발명의 인쇄 매체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건 발명의 인쇄 매체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건 발명의 인쇄 매체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건 발명의 아이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건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건 발명에 있어서의 CMY 의 배치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 1) 이다.
도 9 는 본건 발명에 있어서의 CMY 의 배치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 2) 이다.
도 10 은 본건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본건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본건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본건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본건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본건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본건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은 본건 발명의 도트 패턴이 형성된 화상의 인쇄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은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는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은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은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는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은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에 부가되는 ID 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는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에 부가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는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에 부가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은 본건 발명의 조사 (照射)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 은 본건 발명의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 은 본건 발명의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는 본건 발명의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 은 휴대전화의 카메라에 사용되고 있는 필터 등의 파장과 투과율의 관계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 은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을 태블릿형 PC 에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 는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을 태블릿형 PC 에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 은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을 태블릿형 PC 에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 는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을 사용하여, 카드에 형성된 도트 패턴을 판독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5 는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을 사용하여, 피규어에 형성된 도트 패턴을 판독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6 은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이 형성된 피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 은 스마트폰에 렌즈 유닛을 장착하여, 카드에 형성된 도트 패턴을 판독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8 은 스마트폰에 렌즈 유닛을 장착하여, 카드에 형성된 도트 패턴을 판독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9 는 본건 발명의 서클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 은 본건 발명의 서클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 은 본건 발명의 서클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 는 본건 발명의 서클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 은 본건 발명의 서클 패턴에 있어서의 코드값의 할당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44 는 본건 발명의 서클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5 는 본건 발명의 서클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 은 본건 발명의 서클 패턴에 있어서의 코드값의 할당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47 은 본건 발명의 서클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 은 본건 발명의 서클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 는 본건 발명의 서클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 은 본건 발명의 서클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 은 본건 발명의 ID 코드가 인쇄된 렌즈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2 는 본건 발명의 클립이 형성된 렌즈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3 은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에 장착되는 ID 매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4 는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에 형성된 어저스터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5 는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에 형성된 어저스터 및 슬라이딩 방지구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 은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에 형성된 어저스터 및 슬라이딩 방지구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 은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에 형성된 어저스터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8 은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에 형성된 클립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9 는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의 각 구성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0 은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의 각 구성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1 은 본건 발명의 대좌가 형성된 렌즈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2 는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의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3 은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 주변 오른쪽 아래에서부터 빛이 강하게 입사된 도면이다.
도 64 는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의 ID 매체의 서클 도트 패턴이다.
도 65 는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의 서클 도트 패턴의 정보 도트의 수치 정보의 정의이다.
도 66 은 색 보정에 사용하는 ID 매체 (색 보정 매체) 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7 은 색 보정에 사용하는 ID 매체 (색 보정 매체) 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8 은 색 보정에 있어서, 보정값을 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그래프이다.
도 69 는 ID 매체 (색 보정 매체) 에 형성되는 계측점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한다.
<도트 패턴>
본 발명에 있어서 「도트 패턴」이란, 복수의 도트의 배치 알고리즘에 의해 정보 코드를 부호화한 것이다.
도트 패턴 (101) 은 본 발명의 어느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K 성분에 의해 인쇄된다. 즉, 인쇄 매체 상에는 도트 패턴 (101) 만이 K 성분에 의해 인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트 패턴 (101) 은 K 성분의 흑색에 의해 인쇄된다. 단, 여기서 말하는 흑색이란 후술하는 도트 패턴 (101) 의 판독시에 흑색이다, 라고 CPU 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의 것이면 족하다 (즉 명도가 낮은 회색 등이어도 된다).
또한, 도트 패턴 (101) 은 K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CMY 성분을 사용한 흑색 (이른바 콤포지트 블랙) 에 의해 인쇄되어도 된다. 또, 도트 패턴 (101) 을 CMY 성분 중의 어느 1 성분을 고계조로 인쇄하고, 그래픽은 다른 성분 중의 1 성분으로 인쇄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도트 패턴 인쇄에 선택한 성분 또는, 당해 성분과 그래픽 인쇄용으로 선택한 성분의 합성색을 도트로서 판독하면 된다. 그리고 그래픽의 이미지 영역을 복수의 부분 영역으로 구성하고, 그러한 부분 영역들의 성분은, 도트 패턴 인쇄에 선택한 1 성분 이외의 2 성분 중 어느 1 성분을 사용하며, 부분 이미지 영역마다 그 성분이 상이해도 상관없다. 요컨대, 도트 패턴 인쇄에 선택한 1 성분을 포함하는 성분만을 판독하면, 도트 패턴을 판독할 수 있다. 또, 도트 패턴 인쇄에 선택한 1 성분 또는, 3 성분이 혼합된 검정으로 도트의 인식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다른 성분은 도트 패턴 인쇄에 선택한 1 성분 이외의 2 성분을 어떻게 사용해도 상관없다.
도트 패턴에 의한 정보 코드의 부호화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그리드 마크사의 Grid Onput (등록상표), Anoto 사의 아노토 패턴 등의 주지된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도트 패턴 (101) 의 부호화 알고리즘 자체는, 본 발명과 같이 가시광에 의해 판독하는 경우와, 주지 기술과 같이 적외선에 의해 판독하는 경우에서 공통된다.
도트 패턴 (101) 은 이밖에도, 시인할 수 없거나, 시인할 수 있다고 해도 단순한 모양으로서 인식되는 정도의 것이라면, 어떠한 도트 패턴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트 패턴 (101) 은 좌표값을 정의함으로써, 그 판독 위치에 따라 상이한 정보 코드를 부호화할 수 있다.
<이미지 영역>
본 발명에 있어서 「이미지 영역」이란, 도형이나 문자, 그림 문자, 화상, 사진이 인쇄된 영역을 의미한다.
이미지 영역 (102) 의 도형, 문자는 C 성분, M 성분, Y 성분, CM 성분, MY 성분, CY 성분 중 어느 하나의 성분에 의해 인쇄된다.
「CM 성분」이란 C 성분과 M 성분의 중첩 (重疊) 을, 「MY 성분」이란 M 성분과 Y 성분의 중첩을, 「CY 성분」이란 C 성분과 Y 성분의 중첩을 각각 의미한다.
또한, 이미지 영역 (102) 중에는, C 성분, M 성분, Y 성분, CM 성분, MY 성분, CY 성분 중 어느 하나의 성분에 의해 인쇄되는 부분 영역이 2 이상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단, 이미지 영역 (102) 중에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그 부분은 도트 패턴 (101) 의 판독시에 흑색의 도트로서 잘못 인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미지 영역 (102) 은 모든 부분 영역에 있어서,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을 형성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인쇄 매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매체 (103) 의 면 전체에 도트 패턴 (101) 을 인쇄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미지 영역 (102) 에만 도트 패턴 (101) 을 중첩 인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3 에 있어서 도트 패턴 (101) 은 인쇄 매체 (103) 의 면 전체가 아니라 임의의 영역에 인쇄해도 된다.
또한, 이미지 영역 (102) 에만 도트 패턴 (101) 을 중첩 인쇄하는 경우에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미지 영역 (102) 전체에 도트 패턴 (101) 을 중첩 인쇄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미지 영역 (102) 의 일부에 도트 패턴 (101) 을 중첩 인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매체 (103) 의 표면에 형성된 심볼이나 로고 (디자인화된 문자에 의한 로고에 한하지 않고, 이른바 표준 문자에 의한 로고도 포함한다) 에 도트 패턴 (101) 을 중첩 인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매체 표면에 형성된 심볼이나 로고에 도트 패턴을 중첩 인쇄한 것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이콘」이라고 한다.
<광학적 판독>
본 발명의 도트 패턴 (101) 으로부터 정보를 복호할 때에는, 카메라에 의해 도트 패턴 (101) 을 이미지 영역 (102) 째로 촬영하고, CPU 에 의해 화상 해석을 하여,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흑색의 부분을 도트 패턴 (101) 으로서 추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영역 (102) 에 있어서 흑색이 표현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도트 패턴 (101) 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 도트 패턴 (101) 을 CMY 성분 중의 어느 1 성분을 고계조로 인쇄하고, 이미지 영역 (102) 은 다른 성분으로 인쇄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도트 패턴 인쇄에 선택한 성분 또는, 당해 성분과 이미지 영역 (102) 의 인쇄용으로 선택한 성분의 합성색 (잉크의 혼합색) 을 도트 패턴 (101) 으로서 추출한다. 당연히, 이미지 영역 (102) 에 있어서 당해 성분과 이미지 영역 (102) 의 인쇄용으로 선택한 성분의 합성색이 표현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도트 패턴 (101) 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CPU 는 당해 도트 패턴 (101) 에 의해 부호화된 정보 코드를, 도트 패턴에 의한 정보 코드의 복호화 알고리즘에 따라서 복호화한다.
<변환 방법>
이미지 영역 (102) 은 CMY 성분 중, C 성분, M 성분, Y 성분, CM 성분, MY 성분, CY 성분 중 어느 하나의 성분에 의해 인쇄되도록 미리 디자인하거나, CMY 성분에 의해 표현된 원래의 화상을 C 성분, M 성분, Y 성분, CM 성분, MY 성분, CY 성분 중 어느 하나의 성분에 의해 인쇄되도록 변환하는 화상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통상의 CMY 값에 의해 표현된 화상 (일러스트나 사진 등) 을, C 성분, M 성분, Y 성분, CM 성분, MY 성분, CY 성분 중 어느 하나의 성분에 의해 인쇄되는 이미지 영역 (102) 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 1 변환 방법>
통상의 CMY 값에 의해 표현된 화상을 입력하고, 부분 영역마다의 CMY 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부분 영역마다의 C 성분, M 성분, Y 성분의 값을 비교하여, 가장 값이 낮은 성분을 없애는 것에 의해, C 성분, M 성분, Y 성분, CM 성분, MY 성분, CY 성분 중 어느 하나의 성분에 의해 인쇄되는 이미지 영역 (102) 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성분을 없애는」것은, 당해 성분의 값을 제로로 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과, 당해 성분을 인쇄하지 않도록 신호로서 인쇄 수단에 송신하는 것과, 당해 성분을 인쇄하는 신호를 인쇄 수단에 송신하지 않은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제 2 변환 방법>
제 1 변환 방법의 변형예로서, Y 성분이 색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에 착안한 변환 방법을 설명한다.
통상의 CMY 값에 의해 표현된 화상을 입력하고, 부분 영역마다의 CMY 값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부분 영역마다의 C 성분, M 성분, Y 성분의 값을 비교하여, 하기의 경우 구분에 의해 입력한 화상을, C 성분, M 성분, Y 성분, CM 성분, MY 성분, CY 성분 중 어느 하나의 성분에 의해 인쇄되는 이미지 영역 (102) 으로 부분 영역마다 변환한다.
(1) C ≥ Y ≥ M 인 경우,
(1-1) 또한 Y ≤ αM 인 경우, Y 성분을 없앤다.
(1-2) 또한 Y > αM 인 경우, M 성분을 없앤다.
(2) M ≥ Y ≥ C 인 경우,
(2-1) 또한 Y ≤ αC 인 경우, Y 성분을 없앤다.
(2-2) 또한 Y > αC 인 경우, C 성분을 없앤다.
(3) C > M > Y 인 경우, Y 성분을 없앤다.
(4) M > C > Y 인 경우, Y 성분을 없앤다.
(5) Y > C > M 인 경우,
(5-1) 또한 Y ≤ αM 인 경우, Y 성분을 없앤다.
(5-2) 또한 Y > αM 인 경우, M 성분을 없앤다.
(6) Y > M > C 인 경우,
(6-1) 또한 Y ≤ αC 인 경우, Y 성분을 없앤다.
(6-2) 또한 Y > αC 인 경우, C 성분을 없앤다.
또, 상기에서 나타낸 「α」는 임의의 계수이고, 바람직하게는 제 2 변환 방법은 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실제로 도트를 판독하면서, 설계자가 계수 α 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는, 광학 판독 수단의 촬상 해상도나 색 계조, 및/또는 인쇄물의 인쇄 정밀도, 재현 색 계조를 시뮬레이션하여 최적의 「α」를 정하면 된다.
<제 3 변환 방법>
제 3 변환 방법을 설명한다.
제 3 변환 방법에서는 통상의 CMY 값에 의해 표현된 화상을, 테이블을 이용하여 변환한다.
변환의 전제로서,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래 화상의 CMY 값의 비율에 대응한 변환 후의 CMY 값의 비율을 기술한 비율 변환 테이블을 작성한다. 이 비율 변환 테이블은 컴퓨터나 프린터의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변환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해 놓는다. 당연히 변환 후의 CMY 값의 비율은, C, M, Y 중 적어도 1 개의 값이 제로가 되도록 기술해 둘 필요가 있다.
C : 1 의 경우 Y : 1 Y : 2 Y : ~
M : 1 C : 1.25
M : 1.25
Y : 0
C : 0
M : 1.33
Y : 2.67
C : -
M : 0
Y : -
M : 2 C : 1.25
M : 1.5
Y : 0
C : 0
M : 2.33
Y : 2.67
C : -
M : 0
Y : -
M : ~ C : -
M : -
Y : 0
C : 0
M : -
Y : -
C : -
M : 0
Y : -
변환을 할 때에는, 통상의 CMY 값에 의해 표현된 화상을 입력하고, 부분 영역마다의 CMY 값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비율 변환 테이블을 참조하여, 당해 통상 CMY 값의 비율에 대응한 CMY 값의 비율로 변환하여, 당해 부분에 맵핑한다. 비율 변환 테이블은, 광학 판독 수단의 촬상 해상도나 색 계조, 및/또는 인쇄물의 인쇄 정밀도, 재현 색 계조를 시뮬레이션하여 미리 작성한다. 또는, 실제로 여러 가지 조건으로 인쇄된 시험 매체를 계측하여, 광학 판독 수단의 성능도 전제 조건에 추가해서 미리 비율 변환 테이블을 작성한다.
<제 4 변환 방법>
제 4 변환 방법은, 통상의 CMY 성분에 의해 표현된 화상 (일러스트나 사진 등) 을 임의의 색조로 변환함으로써, C 성분, M 성분, Y 성분, CM 성분, MY 성분, CY 성분 중 어느 하나의 성분에 의해 인쇄되는 이미지 영역으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1 색의 색조로 변환하는 경우>
1 색의 색조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CMY 성분에 의해 표현된 화상을 입력하고, 당해 화상의 부분마다의 명도를 산출하여, 당해 부분마다의 명도와 대응하는 값의 C 성분 (또는 M 성분, Y 성분) 을 맵핑함으로써, 화상을 C 성분에 의해서만 인쇄되는 이미지 영역 (102) 으로 변환한다.
다른 1 색의 색조로 변환하는 방법으로는, CMY 성분에 의해 표현된 화상을 일단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하고, 그 명도로 임의의 색조로 맵핑해도 된다. 맵핑할 때, 그레이 스케일의 값을 K, 임의의 색조의 스케일을 C 로 하여, C = F(K) 로 하는 함수 F 를 사용해도 된다. 또, 화상으로부터 그레이 스케일로의 변환 방법은, 중간값법, 가중 평균법, 단순 평균법, G 채널법 등이 있으며, 대상인 화상을 표현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을 선택하면 된다.
중간값법은 모든 화소의 R, G, B 값 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가산하여 2 로 나눈 값으로 하는 방법, 가중 평균법은 모든 화소의 R, G, B 값에 가중을 실시하여, 그들의 평균값으로 하는 방법, 단순 평균법은 R, G, B 값의 평균값으로 하는 방법, G 채널법은 R, G, B 값 중의 G 의 값으로 하는 방법이다.
산출한 명도와 변환 후의 값과의 관계는, 색조 변환 테이블에 의해 미리 기술해 두어도 된다.
<2 색의 색조로 변환하는 경우>
통상의 CMY 성분에 의해 표현된 화상을 입력하고, 선택한 성분 이외의 성분을 없앤다. 예를 들어, CM 2 색의 색조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Y 성분을 없애는 것에 의해 C 성분, M 성분, CM 성분 중 어느 하나의 성분에 의해 인쇄되는 이미지 영역 (102) 으로 변환된다.
여기서, 화상의 부분마다의 C 성분의 값 및 M 성분의 값에, 없앤 Y 성분의 값에 소정의 계수 β 를 곱한 값을 가산해도 된다.
또한, C 성분의 값과 M 성분의 값에서, 상이한 계수 β1, β2 를 Y 성분의 값에 곱한 값을 가산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4 변환 방법은 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설계자가 계수 β, β1, β2 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제 5 변환 방법>
제 5 변환 방법으로는, 변환 후의 화상의 색이 원래 화상의 색과 가능한 한 같게 보이도록 변환한다.
먼저, 통상의 CMY 성분에 의해 표현된 화상을 입력하고, 당해 화상을 소정 영역 (1021) 으로 분할하여, 그 소정 영역 (1021) 마다의 C 값, M 값, Y 값을 산출한다.
또, 소정 영역 (1021) 마다의 성분값으로부터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을 뺀 C 값, M 값, Y 값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각 소정 영역 (1021) 을, CMY 성분 중, C 성분에 의해서만 인쇄되는 C 성분 영역, M 성분에 의해서만 인쇄되는 M 성분 영역, Y 성분에 의해서만 인쇄되는 Y 성분 영역의 각각의 성분 영역 (1022) 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상기 성분 영역 (1022) 이 구비하는 성분의 값에, 각각의 상기 성분 영역 (1022) 이 구비하는 성분의 C 값, M 값, Y 값에 그 성분 영역 (1022) 의 면적의 값을 곱한 합계값과, 상기 소정 영역 (1021) 의 C 값, M 값, Y 값에 당해 소정 영역 (1021) 의 면적의 값을 곱한 합계값이 동등해지도록, 각각의 상기 성분 영역 (1022) 의 C 값, M 값, Y 값을 맵핑한다.
또한, 소정 영역 (1021) 을, CMY 성분 중, C 성분에 의해서만 인쇄되는 C 성분 영역, MY 성분에 의해서만 인쇄되는 MY 성분 영역의 각각의 성분 영역 (1022) 으로 분할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또는, M 성분에 의해서만 인쇄되는 M 성분 영역, CY 성분에 의해서만 인쇄되는 CY 성분 영역의 각각의 성분 영역 (1022) 으로 분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Y 성분은 검정 (도트) 과의 식별에 미치는 영향이 적기 때문에, C 성분과 MY 성분, 또는 M 성분과 CY 성분으로 분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어느 쪽을 선택할지는, C 성분이 M 성분보다 큰 경우, C 성분과 MY 성분으로 분할하고, C 성분이 M 성분보다 작은 경우, M 성분과 CY 성분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화상을 변환하더라도,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간의 눈에는 잘게 분할된 성분 영역 (1022) 마다의 색이 서로 섞여 (이것을 「뷰 믹스」라고 한다) 원래의 소정 영역 (1021) 의 색 (또는 그 근사색) 으로서 인식되기 때문에, 원래의 화상과 거의 동등한 화상으로서 시인시킬 수 있다. 또, 일반적인 인쇄 방식으로서 망점 방식과 FM 스크린 방식이 있다. 망점 방식에서는, C, M, Y 의 성분을 소정의 규칙으로 배치된 위치에 각 성분색의 도트를 인쇄하고, 그 성분의 계조를 도트의 크기 (망점량) 로 표현한다. 또한, 망점량이 작더라도 소정의 규칙에 의해 무아레를 방지하기 위해 각 성분이 겹쳐지는 장소가 발생한다. 망점량이 크면 각 성분이 겹쳐지고, 그 중복 부분은 색이 서로 섞여 흑색에 가까운 짙은 갈색 (콤포지트 블랙) 이 된다. 한편, FM 스크린 방식에서는, 인쇄 영역이 균일하게 분할된 소정 영역 내에 정렬된 인쇄점에 균일한 크기의 도트가 배치된다. 각 성분의 계조는, 소정 영역의 인쇄점에 배치되는 도트의 수에 의해 정해진다. 명도가 낮으면, K 성분의 도트의 수는 많아진다. 채도가 높으면 C, M, Y 성분의 도트의 수는 많아지고, K 성분의 도트의 수는 적어진다. 망점 방식과 FM 스크린 방식은 모두 뷰 믹스를 이용하고 있다. 단, FM 스크린 방식에서 C, M, Y 성분만으로 인쇄하면 흑색은 발생하지 않지만, 망점 방식에서는 C, M, Y 성분만으로 인쇄해도 콤포지트 블랙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C, M, Y 성분을 포함하는 영역에 있어서, 망점 방식이라도 콤포지트 블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변환하는 발명이다. 또, 콤포지트 블랙을 발생시켜 본래의 색을 표현하기 때문에, 콤포지트 블랙 대신에 도트 패턴의 흑색을 사용한다. 그 때, 도트 패턴의 도트의 크기를 가변으로 하여, 발생하는 콤포지트 블랙과 같은 정도의 색채 영향을 갖도록 도트의 크기를 제어해서 도트 패턴을 생성하면 된다. 즉, 단위 면적당 도트의 면적과 콤포지트 블랙의 면적과 같은 정도가 되도록 도트의 크기를 결정하면 된다. 그 때, 콤포지트 블랙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소정 영역에 C, M, Y 성분을 배치하지만, 콤포지트 블랙의 면적분만큼 각 C, M, Y 성분으로부터 뺄 필요가 있다. 화상 변환하여 콤포지트 블랙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색채가 사람의 눈에 거의 영향이 없는 도트의 크기로 하면 된다.
즉, 도트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의 크기를 갖는 제 1 도트 및 최대의 크기를 갖는 제 2 도트의 합계 면적과, 부분 영역 중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합계 면적을 비교한다.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합계 면적이 제 1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작은 경우에는, 부분 영역에 인쇄되는 도트 패턴을 제 1 도트로 한다.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합계 면적이 제 2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큰 경우에는, 부분 영역에 인쇄되는 도트 패턴을 제 2 도트로 한다.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합계 면적이 제 1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크고, 제 2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작은 경우에는, 부분 영역에 인쇄되는 도트 패턴의 도트의 합계 면적과,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합계 면적이 동등해지는 크기의 도트로 한다.
이 경우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합계 면적이 제 1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작거나, 또는 제 2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큰 경우에는, 소정의 범위에서 도트 패턴의 도트 간격의 크기를 제어하여, 제 1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크고, 제 2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작게 하여, 부분 영역에 인쇄되는 도트 패턴의 도트의 합계 면적과, 그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합계 면적이 동등해지는 크기의 도트로 한다.
단, 도트의 크기는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인식할 수 있는 크기의 범위이어야 한다.
또, 도 7 의 소정 영역 (1021) 은 직사각형이지만, 임의의 형상이라도 당연히 상관없다.
도 8 및 9 는, 도 7 의 소정 영역 (1021) 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는, 뷰 믹스에 의해 선명한 화상을 제공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RGB 와 동일한 배치 법칙으로 소정 영역 (1021) 의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한 것이다. (b) 는, 경계에 있어서 같은 색이 인접하지 않도록 소정 영역 (1021) 의 형상을 육각형으로 한 것이다. 도 9(a) 및 (b) 는, 경계에 있어서 같은 색이 인접하지 않도록 소정 영역 (1021) 의 형상을 삼각형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소정 영역 (1021) 은 여러 가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같은 형상이라도, C, M, Y 의 각 픽셀의 형상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사람이 소정의 인쇄물을 시인하는 데에 적정한 위치 또는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소정의 인쇄 영역에 있어서 분할되어 인쇄된 C, M, Y 의 성분 또는, C, M, Y 의 성분과 도트가 섞여 소정의 색으로 보이는 뷰 믹스가 적정하게 발생하도록, 성분 분할ㆍ맵핑하는 공정을 뷰 믹스 공정이라고 한다. 시점 (視點) 위치는, 인쇄 매체나 대상으로 하는 그래픽의 용도ㆍ크기ㆍ형상 등에 따라서 상이하다. 엽서 등 비교적 작은 인쇄 매체에서는, 20 ∼ 40 ㎝ 전후로 떨어져서 볼 때에 뷰 믹스가 발생하고, 포스터 등의 대형의 인쇄 매체에서는 1 m 이상에서 뷰 믹스가 발생하도록, 소정의 인쇄 영역을 정한다. 즉 미리 시점 위치를 대략 정하는 것에 의해서 적정한 소정 영역을 정하면 된다.
한편, 카메라를 매체에 가까이 하거나, 떨어져서 촬영하더라도, 정보 처리 장치의 프레임 버퍼 (촬상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일시 기억 매체) 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본래의 도트 패턴 (101) 의 배치를 적정하게 인식할 수 있는 해상도이면 된다. 어떠한 광원 (자연광, 인공광, 간접광) 에 의해 조사되어 인쇄면으로부터 각 성분의 반사광을 카메라가 촬상하는 점에서, 광이 합성되어 콤포지트 블랙이 발생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도트 패턴 (101) 을 이미지 영역 (102) 과 구별하여 촬영할 수 있다. 요컨대, 카메라의 해상도가 낮은 경우라도 CMY 성분과 잉크가 묻어 있지 않은 매체면의 색 (백색의 종이라면 백색) 에 의해 매체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섞여서 카메라의 소자에 촬상되지만, 잉크가 혼합되어 검게 (콤포지트 블랙) 되는 것과는 달리, 단위 면적에 있어서 광이 많이 섞이는 것에 의해 명도가 높아져, 도트 패턴 (101) 을 이미지 영역 (102) 과 구별하여 촬영할 수 있다.
즉, 본원의 발명자는 도트를 인식할 수 없는 인간의 눈과, 도트를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의 시인 위치와 촬영 위치에 있어서의 색이 보이는 방식을 이용하여, 도트 패턴의 중첩 인쇄와 병존할 수 있는 인쇄 기술 및 가시광에 의한 도트 패턴 판독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망점 인쇄로, CMY 에 의해 그래픽을 표현한 경우에는 도 10(a) 과 같이, C, M, Y 가 배치되어 인쇄된다. 또, 망점의 형상은 둥글거나 또는 그 밖의 형상이어도 된다. 통상 도트는 흑색으로 도 10(b) 와 같이 배치되지만, 그래픽과 중첩 인쇄하면 도 10(c) 와 같이 인쇄된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망점으로 인쇄된 경우에는, 도 11(a) 와 같이, C, M, Y 가 겹친 영역은 잉크가 섞여, 흑색에 가까운 진한 갈색이 된다. 촬상한 (a) 의 화상으로부터 C, M, Y 성분만을 화상 처리에 의해 제거하면 도 11(b) 와 같이 C, M, Y 가 겹친 영역의 흑색에 가까운 진한 갈색의 화상이 된다. 흑색의 도트와 중첩 인쇄한 경우에는, 도 11(c) 와 같은 화상이 되어, 이 화상으로부터 도트만을 2 값화하여 추출하기가 곤란해진다. 또, 인쇄되고 잉크가 섞여 흑색에 가까운 짙은 갈색의 영역이, 도트의 크기와 비교하여 충분히 작아 (촬상 화상에서 적어도 면적이 1/4 정도 이하) 도트와 판별할 수 있는 경우의 C, M, Y 성분의 망점량이면 된다. 또, 도트의 크기 (직경) 의 적어도 1/2 정도 이하의 C, M, Y 의 각 망점량 (망점의 직경) 이면서 또한, 각 망점량이 50 % 미만이 되도록 그래픽을 표현하면 된다. 각 망점량이 50 % 미만이면 잉크가 섞여 흑색에 가까운 진한 갈색의 영역이 도트의 크기 (면적) 의 적어도 1/4 정도 이하가 되어, 도트를 판별할 수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망점 인쇄로, CMYK 에 의해 그래픽을 표현하여 도트를 중첩 인쇄한 경우에는 도 12(a) 와 같이, C, M, Y, K 가 배치되고, 도트가 흑색으로 중첩 인쇄된다. 촬상한 도 12(a) 의 화상으로부터 C, M, Y 성분만을 화상 처리에 의해 제거하면 도 12(b) 와 같이 C, M, Y 가 겹친 영역의 흑색에 가까운 진한 갈색과 K 의 흑색의 화상이 되어, 이 화상으로부터 도트만을 2 값화하여 추출하기가 곤란해진다. 또, 인쇄되고 잉크가 서로 섞여 흑색에 가까운 진한 갈색의 영역과 K 의 흑색 영역이, 도트의 크기와 비교하여 충분히 작아 (촬상 화상에서 적어도 면적이 1/4 정도 이하) 도트와 판별할 수 있는 경우의 C, M, Y, K 성분의 망점량이면 된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망점 인쇄로, C 만으로 그래픽을 표현하여 도트를 중첩 인쇄한 경우에는 도 13(a) 와 같이, C 가 배치되고, 도트가 흑색으로 중첩 인쇄된다. 화상 처리에 의해 도트의 흑색만을 추출하지만, C 성분이 큰 경우, 간이한 화상 처리에서는 도트와 같은 색으로 판단되는 경우도 있어, 간이한 화상 처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하는 C 성분값을 소정값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M 및 Y 만으로 인쇄한 경우가 도 13(b), 도 13(c) 이다. 단, 간이한 화상 처리이라도 Y 의 경우에는, Y 성분이 크더라도 도트를 판별하기 쉽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망점 인쇄로, C, M 만으로 그래픽을 표현하여 도트를 중첩 인쇄한 경우에는 도 14(a) 와 같이, C, M 이 배치되고, 도트가 흑색으로 중첩 인쇄된다. 화상 처리에 의해, 도트의 흑색만을 추출한다. 사용하는 화상 처리의 방법에 따라서, 도트의 판별에는 C, M 의 성분값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M, Y 만으로, C, Y 만으로 인쇄한 경우가 도 14(b), 도 14(c) 이고, 사용하는 화상 처리의 방법에 따라서, 도트의 판별에는 각 성분의 성분값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 는, 3 개의 상이한 성분에 의한 부분 영역을 포함하고, 3 개의 성분이 겹친 영역 (CMY 영역) 을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16(a) 는, 도 15 의 CMY 영역 및 그 부근의 부분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6(b) 는, 2 값화하여 C, M, Y 성분만을 화상 처리에 의해 제거한 도면이다. CMY 영역에서는 도트를 판별할 수 없다. CMY 영역 경계 부근에서는, C, M, Y 가 겹쳐 잉크가 섞이지 않도록 배치하여 인쇄하면, CMY 영역 이외에는 도트를 판별할 수 있다. 또, CMY 영역에서, C, M, Y 가 겹쳐 잉크가 섞인 영역 (콤포지트 블랙) 의 크기가 도트의 크기와 비교하여 충분히 작으면, 비교 계산을 함으로써 도트를 판별할 수 있다.
단, 도트와 콤포지트 블랙이 겹친 경우, 도트의 중심이 본래의 위치로부터 벗어난다. 그 벗어나는 모양이 크면 정보 코드가 부호화된 도트 패턴의 배치를 적절히 인식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 화상 처리시에 크기뿐만 아니라, 그들 형상으로부터 콤포지트 블랙을 배제하고 도트의 중심을 적절하게 구하면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인쇄 시스템>
본 발명을 이용한 도트 패턴이 형성된 화상의 인쇄 시스템에 대해서, 도 17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서버 (105) 에는 템플릿으로서의 일러스트 또는 사진이 화상 데이터로서 저장된다.
이 화상 데이터는, CMY 성분 중, C 성분, M 성분, Y 성분, CM 성분, MY 성분, CY 성분 중 어느 하나의 성분에 의해 인쇄되는 부분 영역을 1 또는 복수 포함하고, 또한,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도록, 미리 디자인되거나, 또는 전술한 변환 방법에 의해 화상 처리가 실시된 것이다.
고객은 고객용 단말 (106) 을 조작하여 일러스트 또는 사진을 게재한 카탈로그를 열람한다.
고객은 카탈로그 중에서 일러스트 또는 사진을 1 개 선택하고, 고객 단말 (106) 을 조작하여 선택 결과를 서버 (105) 에 송신하여 오더를 발생시킨다. 또, 고객 스스로 준비한 일러스트 또는 사진을 고객용 단말 (106) 로부터 서버 (105) 에 송신해도 된다.
서버 (105) 는 고객 단말 (106) 로부터 수신한 오더를 제공자 단말 (107) 에 송신한다.
서비스의 제공자는 제공자 단말 (107) 을 조작하여 고객이 선택한 화상 데이터에 도트 패턴 (101) 을 부가하여 도트 패턴이 형성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인쇄 장치 (108) 에 송신한다. 이 경우, 고객이 카탈로그로부터 선택한 화상 데이터는 미리 C 성분, M 성분, Y 성분, CM 성분, MY 성분, CY 성분의 부분 영역으로 나눠 도트를 판별할 수 있는 데이터여도 되고, 서버 (105) 에서 화상 변환해도 된다. 화상 변환된 도트 패턴이 형성된 화상 데이터는, 인쇄 장치 (108) 에 송신되어 인쇄된다. 또, 인쇄 장치 (108) 에 따라서는 각 성분의 배색에 의해 자동적으로 K 성분을 부가하는 경우가 있어, 그들을 제어하는 드라이버를 인쇄 장치 (108) 에 조합해 넣거나, 서버로부터 신호를 송신하여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쇄 장치 (108) 가 화상 변환 기능을 가져, 원래의 일러스트 또는 사진의 영역을 CMY 성분 중, C 성분, M 성분, Y 성분, CM 성분, MY 성분, CY 성분의 부분 영역으로 나누고, 도트 패턴을 K 성분에 의해 중첩 인쇄하여, 도트를 판별할 수 있는 도트 패턴이 형성된 화상인 인쇄 매체 (103) 를 출력해도 된다. 또, 상기한 화상 변환은 본 발명에 의해 제시된 도트를 판별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이어도 된다.
또, 인쇄시에는, 부분 영역에 인쇄되는 도트 패턴에 있어서, 도트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의 크기를 갖는 제 1 도트 및 최대의 크기를 갖는 제 2 도트의 합계 면적과, 부분 영역 중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합계 면적을 비교해도 된다.
이 경우,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합계 면적이 제 1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작은 경우에는, 부분 영역에 인쇄되는 도트 패턴을 제 1 도트로 한다.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합계 면적이 제 2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큰 경우에는, 부분 영역에 인쇄되는 도트 패턴을 제 2 도트로 한다.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합계 면적이 제 1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크고, 제 2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작은 경우에는, 부분 영역에 인쇄되는 도트 패턴의 도트의 합계 면적과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합계 면적이 동등해지는 크기의 도트로 한다.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합계 면적이 제 1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작거나, 또는 제 2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큰 경우에는, 소정의 범위에서 도트 패턴의 도트 간격의 크기를 제어하여, 제 1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크고, 제 2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작게 해서, 부분 영역에 인쇄되는 도트 패턴의 도트의 합계 면적과, 그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합계 면적이 동등해지는 크기의 도트로 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화상 정보의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크기를, 도트 패턴을 구성하는 도트의 크기와 비교하여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CMY 성분의 망점량으로 줄여서 변환하고, 제 1 도트 및 제 2 도트의 합계 면적과, CMY 성분의 망점량까지 줄인 망점량의 차분의 합계 면적을 비교해도 된다.
이 경우, CMY 성분의 망점량까지 줄인 망점량의 차분의 합계 면적이 제 1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작은 경우에는,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도트 패턴을 제 1 도트로 한다. CMY 성분의 망점량까지 줄인 망점량의 차분의 합계 면적이 제 2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큰 경우에는, 그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도트 패턴을 제 2 도트로 한다. CMY 성분의 망점량까지 줄인 망점량의 차분의 합계 면적이 제 1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크고, 제 2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작은 경우에는,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도트 패턴의 도트의 합계 면적과, CMY 성분의 망점량까지 줄인 망점량의 차분의 합계 면적이 동등해지는 크기의 도트로 한다.
CMY 성분의 망점량까지 줄인 망점량의 차분의 합계 면적이 제 1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작거나 또는 제 2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큰 경우에는, 소정의 범위에서 도트 패턴의 도트 간격의 크기를 제어하여, 제 1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크고, 제 2 도트의 합계 면적보다 작게 해서, CMY 성분 모두가 중첩되는 영역의 도트 패턴의 도트의 합계 면적과, CMY 성분의 망점량까지 줄인 망점량의 차분의 합계 면적이 동등해지는 크기의 도트로 해도 된다.
종래, 적외선에 의해서만 판독 가능한 잉크를 사용하여 도트 패턴을 인쇄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적외선에 의한 촬영을 금하기 위한 적외선을 차단하는 필터가 사용되고 있는 휴대전화 등의 카메라에서는, 도트 코드를 판독할 수가 없어, 전용의 스캐너를 사용해서 도트 패턴을 판독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가시광으로 판독 가능한 도트 패턴을 실현하였다. 그 때문에, 휴대전화, 스마트폰, 웹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등, 통상의 카메라로 도트 패턴을 판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더욱 간이하고 또한 광범위하게 도트 코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렌즈 유닛을 사용한 실시예>
도 18 ∼ 38 은, 도트 패턴 판독용의 렌즈 유닛 (200) 을 사용하여, 가시광에 의해 판독 가능한, 코드 정보를 부호화한 도트 패턴을 촬영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도트 패턴 판독용의 렌즈 유닛 (200) 은, 스마트폰, 타블렛 PC, 카메라가 달린 휴대전화 (이하 「스마트폰 등」)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상정한 것이다. 또, 코드 정보는, 코드값, 또는 좌표값, 또는 코드값 및 좌표값을 말한다.
그러나, 이 렌즈 유닛 (200) 을 통해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정보 코드가 부호화된 도트 패턴을 판독하고, 그 패턴을 정보 코드로 복호화하는 판독 수단과 정보 코드를 송신 또는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수단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이면, 어떠한 것이더라도 카메라에 장착하여 사용 가능하다. 렌즈 유닛 (200) 은, 카메라의 촬영구를 둘러싸도록 장착되는 하부 개구부와 인쇄 매체가 접면되는 상부 개구부를 양단에 구비하는 통 형상의 렌즈 홀더 (201) 와 렌즈 (202) 를 구비하고 있다. 또, 렌즈 유닛 (200) 을 통해서 카메라에 의해 도트 패턴을 촬영할 때에, 상부 개구부에 접면된 도트 패턴이 인쇄된 인쇄 매체가 피사계 심도 내가 되도록, 통 형상의 렌즈 홀더 (201) 내부의 소정 위치에 렌즈 (202) 를 구비하도록 배치ㆍ설계되어 있다.
한편, 스마트폰 등은 소비자가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인물 등의 대상물을 적외선 영역에서 촬영할 수 없도록, 700 정도 이상의 일부 가시광을 포함하는 적외선파장을 차단하는 필터가 장착되어 있다.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을 하는 경우, 많은 경우 극소의 피사체에 접근 (1 ∼ 2 ㎝ 전후) 하여 핀트를 맞추고 확대시켜 촬영하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피사체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뜨려 촬영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QR 코드 등의 이차원 코드를 스마트폰 등으로 촬영할 때 조차도, 손이 떨리거나 하여 순식간에 핀트를 맞추는 것이 어렵고 확대 배율도 낮다. 또, 오토포커스로 도트에 핀트를 맞출 때, 비교적 모양이 큰 QR 코드 등의 이차원 코드와 비교하여 너무나 도트가 극소하기 때문에, 탑재된 오토포커스가 작동하지 않아 핀트가 안 맞는 경우가 많다. 가령 핀트가 맞아 촬영되었다고 해도, 촬영 해상도의 한계로 인해 극소의 도트로부터 도트 코드를 해석할 수 있을 만큼의 정밀도로 도트 패턴을 판독해낼 수 없다. 따라서,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로는, 극소의 도트 패턴을 판독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렌즈 유닛 (200) 을 사용함으로써, 렌즈 유닛 (200) 과 인쇄 매체의 접면에서 핀트가 맞는 것과, 피사체의 도트 패턴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져, 도트 코드가 해석가능한 해상도로 도트 패턴을 포착할 수 있다. 이로써, 통상의 스마트폰 등으로 도트 패턴을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 피사계 심도가 큰 렌즈 유닛 (200) 을 사용함으로써, 인쇄 매체면과 접면하지 않아도 도트 패턴을 포착할 수 있다. 그리고, 피사계 심도가 큰 망원 렌즈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떨어진 위치에 있는 도트 패턴이 형성된 인쇄 매체를 촬영하여 도트 패턴을 포착할 수 있다.
도 18 ∼ 도 19 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렌즈 유닛 (200) 의 도면으로, 도 18 은 투시도, 도 19(a) 는 측면도, (b) 는 정면도 (매체 접면측), (c) 는 배면도 (렌즈 유닛 (200) 장착측) 이다.
렌즈 유닛 (200) 은, 상부가 테이퍼상, 하부가 원주 (圓柱) 형상의 구조로 되어 있다. 상부와 하부의 경계 부근에는, 렌즈 (202) (볼록 렌즈)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면에는 점착 부재가 형성되어 있어, 스마트폰 등에 장착할 수 있다. 렌즈 유닛 (200) 의 장착측의 외주벽내 (D) 에서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를 둘러싸도록 장착시킨다. 렌즈 유닛 (200) 의 구조는, 장착측의 외주벽내 (D) 에서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를 둘러싸도록 되어 있으면, 통 형상, 원추 형상, 상자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상부 개구부 또는 하부 개구부의 적어도 일방이 테이퍼상의 형상을 보이고 있어도 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1 장의 볼록 렌즈가 아니라 복수 장의 렌즈나 비구면이어도 된다. 이들에 의해, 렌즈의 수차를 억제하고, 피사계 심도를 크게 하여 핀트를 맞추기 쉽게 하거나, 렌즈의 높이를 낮게 할 수도 있다. 또, 렌즈 홀더 (201) 및 렌즈 (202) 로 이루어지는 렌즈 유닛 (200) 의 재질은 촬영하는 매체면을 밝게 하기 위해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단 렌즈 홀더 (201) 는 외부광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피사체의 도트 패턴을 촬영 가능한 정도의 광량만 확보할 수 있으면 반드시 투명할 필요는 없다 (반투명 등).
또한, 렌즈 (202) 는 제조 비용이 저렴한 투명 아크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유리를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렌즈 홀더 (201) 를 투명 아크릴, 렌즈 (202) 를 유리로 해도 된다. 모두 투명 아크릴로 제조하는 경우, 개구부 방향으로 넓어지고 있다면 일체 성형도 가능하며 더욱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20 은, 렌즈 유닛 (200) 의 여러 가지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렌즈 유닛 (200) 은, 하부 바닥면의 개구부 (하부 개구부) 가 카메라에 장착되고, 상부 상단의 개구부 (상부 개구부) 가 매체면과 접면한다.
휴대전화나 스마트폰에서는, 하부 개구부의 외주벽 내는 카메라를 덮을 정도 (직경 1.5 ㎝ 정도) 의 크기가 필요하고, 타블렛 PC 에서는 직경 3 ∼ 7 ㎜ 정도이면 된다. 한편, 상부 개구부는, (a) ∼ (c) 와 같이 여러 가지 크기를 고려할 수 있다.
(a) 는, 사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렌즈 유닛 (200) 으로, 상단의 도면이 정면도 (매체 접면측), 중단의 도면이 측면도, 하단의 도면이 배면도 (렌즈 장착측) 이다.
사발 모양의 경우에는 상부 개구부, 즉 매체측의 면적이 넓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드나 피규어를 재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단, 렌즈 유닛 (200) 의 장착측인 하부 개구부의 외주벽내 (D) 의 중앙에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가 위치하지 않으면, 촬영 범위가 어긋나 매체면에 인쇄된 도트 패턴을 상부 개구부 (W) 의 일부의 영역에서밖에 촬영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b) 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렌즈 유닛 (200) 으로, 상단의 도면이 정면도 (매체 접면측), 중단의 도면이 측면도, 하단의 도면이 배면도 (렌즈 장착측) 이다. 제조를 위한 금형도 만들기 쉬워 코스트 퍼포먼스가 높다.
(c) 는, 원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렌즈 유닛 (200) 으로, 상단의 도면이 정면도 (매체 접면측), 중단의 도면이 측면도, 하단의 도면이 배면도 (렌즈 장착측) 이다.
원추대 형상의 경우에는 상부 개구부, 즉 매체측의 면적이 좁아져 있다. 그 때문에, 상부 개구부 내측으로부터 보이는, 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인쇄 매체의 전체 영역을 확실하게 촬영하는 데에 적합하다. 즉, 렌즈 유닛 (200) 의 장착측인 하부 개구부의 외주벽내 (D) 의 어디에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가 위치하더라도, 확실하게 매체면에 인쇄된 도트 패턴을 상부 개구부 (W) 의 전체 영역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설계는 렌즈의 장착 위치, 렌즈의 초점 거리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상기 (a), (b) 도, (c) 만큼 용이하지 않지만 실현 가능하다. 당연히, 상부 개구부를 크게 하여 촬영 영역을 크게 하면 할수록, 광각 성질의 렌즈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a), (b), (c), 어느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렌즈 유닛 (200) 의 상부 개구부 주변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대좌를 형성하여, 피규어나 카드 등을 재치하기 쉽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용도에 따라서 각종 판독용 렌즈 유닛 (200) 을 구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21 은, 도 20(a) ∼ (c) 의 렌즈 유닛 (200) 의 매체 접면측 상부 개구부에 있어서, 개구를 형성한 렌즈 커버 (203) 를 설치한 것이다.
렌즈 커버 (203) 를 설치하고, 매체 접면측의 외주벽내 근방에 인쇄 영역을 형성해서, ID 코드나 핀트를 맞추기 쉽게 하기 위한 모양을 인쇄한다. 또, 인쇄면은 매체에 가까운 렌즈 커버 (203) 의 매체 접면측이 좋지만, 피사계 심도 내라면 인쇄면이 더러워지지 않도록 렌즈 (202) 측이어도 된다. 렌즈 커버 (203) 에 먼지나 더러움, 흠집이 생겨 매체면에 인쇄된 도트 패턴을 판독하기 어렵게 되지 않도록 중앙부에 개구를 형성하고, 링 형상으로 하고 있다.
도 22 는, 도 20(a) ∼ (c) 의 렌즈 유닛 (200) 의 매체 접면측 상부 개구부에 투명 렌즈 커버 (204) 를 설치한 것이다. 매체 접면측의 외주벽내 근방에 인쇄 영역을 형성해서, ID 코드나 핀트를 맞추기 쉽게 하기 위한 모양을 인쇄한다. 또, 인쇄면은 매체에 가까운 투명 렌즈 커버 (204) 의 매체 접면측이 좋지만, 피사계 심도 내라면 인쇄면이 더러워지지 않도록 렌즈측이어도 된다. 그리고, 렌즈 (202) 에 먼지가 부착되지 않도록 방진 장치로서도 유효하다. 또, 투명 렌즈 커버 (204) 에 먼지나 더러움, 흠집이 생겨 매체면에 인쇄된 도트 패턴을 판독하기 어렵게 되지 않도록 렌즈 유닛 (200) 의 매체 접면측의 외주 테두리보다 한층 렌즈측으로 떨어뜨린 장소에 투명 렌즈 커버 (204) 를 설치하고 있다.
도 23 은, 렌즈 유닛 (200) 의, 매체 접면측에 ID 코드를 부가한 도면이다. (a), (b), (c) 는, 렌즈 홀더 (201) 의 매체 접면측의 내벽에 절결 (切缺, 노치) 이 형성되어 있는 도면이다. 이 절결은 소정의 규칙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ID 코드가 부가되어 있다.
ID 코드란, 렌즈 유닛 (200) 을 특정하기 위한 코드 정보이다. ID 코드로 코드 정보를 부호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카메라로 도트 패턴을 촬영하였을 때에, 어떤 렌즈 유닛 (200) 을 사용하여 촬영한 것인지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마트폰 등에 저장된 도트 패턴 판독용 소프트웨어는, ID 코드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 소프트웨어를 기동하지 않는다. ID 코드를 인식한 경우에는, 판독한 도트 패턴을 해석한다. 이로써, 렌즈 유닛 (200) 의 위조나 부정 사용의 방지, 촬영 화상의 품질 보증 (소정의 성능으로 촬영), ID 코드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 등이 가능해진다. 또, 절결은, 반원 또는 다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 및 임의의 크기를 갖고 있다. 상기 서술한 소정의 규칙에 형상과 크기의 조합을 추가로 더함으로써, 보다 정보 코드를 늘린 ID 코드를 부호화할 수도 있다.
(d) 는, 렌즈 유닛 (200) 의 매체 접면측에 렌즈 커버 (203) 를 장착하여, 상부 개구부 주변에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도트를 배치하고, 그 배치 간격의 조합과 순서로 코드를 정의하는 서클 패턴이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자에 의해서 발명된 스트림 도트 패턴을 회전 방향으로 배치하여 사용하면 더욱 많은 정보를 ID 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스트림 도트 패턴의 상세한 것은 국제 공개 공보 WO2011/007783 에 개시되어 있다. 렌즈 커버 (203) 는, 매체에 인쇄된 도트나 그래픽과 서클 패턴을 판별할 수 있는 색과 소재가 아니면 안된다. 당연히, 서클 패턴의 촬영에는 일정한 밝기와 콘트라스트가 필요하고, 서클 패턴이 인쇄되는 영역은 유백색의 아크릴이나 백색 (인쇄여도 된다)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서클 패턴은 원형의 도트일 필요는 없고, 다각형의 도트, 또는 선분 등의 임의의 형상과 크기를 갖는 복수의 마크로 형성되어, 마크의 형상과 크기의 조합을 소정의 규칙에 더해서 ID 코드가 부호화된 서클 패턴이면 된다. 또한, 마크에 복수의 색을 사용하여 조합시킴으로써, 더욱 ID 코드의 정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4 는, 렌즈 유닛 (200) 의 매체 접면측에 렌즈 커버 (203) 또는 투명 렌즈 커버 (204) 를 장착하고, 오토포커스로 핀트를 맞추기 위한 모양을 인쇄한 도면이다. 휴대전화나 스마트폰의 카메라에서는 도트를 촬영하는 경우, 도트가 극소하기 때문에 핀트를 맞추기가 어려워, 정확하게 도트 패턴을 촬영할 수 없다, 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렌즈 유닛 (200) 에 장착한 렌즈 커버 (203) 또는 투명 렌즈 커버 (204) 에 핀트를 맞추기 위한 모양을 부가한다. 그 모양에 핀트를 맞춰서 도트를 촬영하면, 도트 패턴에도 핀트가 맞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연히, 렌즈 커버 (204) 의 인쇄 매체 접면측 또는 렌즈측 표면이 상기 상부 개구부에 접면된 상기 인쇄 매체와 함께 피사계 심도 내가 되도록 핀트가 맞는 카메라 및 렌즈 (202) 의 조합과, 적절히 렌즈 (202) 가 배치되지 않으면 안된다. 또, 도트 코드의 해석은, 렌즈 커버 (203) 중앙의 개구를 통해서 촬영된 도트 패턴이거나, 투명 렌즈 커버 (204) 의 모양도 ID 코드도 인쇄되어 있지 않은 중앙부에서 촬영된 도트 패턴을 대상으로 한다. 렌즈 커버 (203) 는, ID 코드가 인쇄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트와 ID 코드를 판별할 수 있는 색과 소재가 아니면 안된다. 특히, 카메라로 ID 코드를 판독하도록 촬영하기 위해서는, ID 코드에는 일정한 밝기와 콘트라스트가 필요하고, ID 코드가 인쇄되는 영역은 유백색의 아크릴이나 백색 (인쇄여도 된다) 인 것이 바람직하다.
(a), (c) 는, 개구가 형성된 렌즈 커버 (203), (b), (d) 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투명 렌즈 커버 (204) 이다.
(a) 는, 개구 내주를 절결하여, 그 외주에 동심원상의 모양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잘려나간 부위는 ID 코드로서 정보 코드를 부호화하는 것이다.
(b) 는, 동심원상의 모양만이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동심원상의 모양을 ID 코드로서 정보 코드를 부호화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모양을 형성하고 있는 색이나 그 영역의 크기의 조합, 순서에 의해서 정보 코드를 ID 코드로 부호화로 해도 된다. 또, 모양은 핀트가 맞으면 어떠한 모양이어도 된다. 단, 렌즈 커버 (203) 또는 투명 렌즈 커버 (204) 를 통해서 도트 패턴이나 그래픽이 겹쳐 촬상되어도, ID 코드로서 인식되지 않으면 안된다.
(c) 및 (d) 는, 내주에 소정의 규칙으로 형성된 서클 패턴, 그 외주에 동심원상의 모양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클 패턴은 ID 코드를 부호화하는 것이다. 렌즈 커버 (203) 또는 투명 렌즈 커버 (204) 를 통해서 매체에 인쇄된 도트 패턴이나 그래픽이 겹쳐 촬상되고, 서클 패턴이 판독되도록, (c) 의 렌즈 커버 (203) 는 유백색의 아크릴, (d) 의 투명 렌즈 커버 (204) 는 ID 코드가 인쇄되는 영역의 바탕을 백색 (인쇄여도 된다)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유백색의 아크릴이면 더욱 좋다. 왜냐하면, 백색의 경우에는 빛의 투과율이 낮아져, 모양의 인쇄 영역이나 인쇄 매체면이 유백색의 아크릴에 비해 약간 어두워진다. 촬영면은 가능한 한 밝은 쪽이 핀트를 맞추기 쉽고, 도트와 그래픽도 판별하기 쉽다. 또한, 아크릴이면 멀티인젝션에 의해 투명부와 동시에 성형도 가능하여 코스트 퍼포먼스가 우수하다. 또, 성형시에 잉크를 흘려 부어 아크릴에 모양을 부가해도 된다. 전체면에서 포커스 기능이 작동하는 카메라에서는, 주변에서 포커스해도 핀트가 맞기 때문에, 이와 같이 렌즈 커버 (203) 또는 투명 렌즈 커버 (204) 의 외주에 모양을 배치할 수 있다.
도 25 는, 중앙부에서 포커스 기능이 작용하는 카메라용 렌즈 유닛 (200) 에 형성된 투명 렌즈 커버 (204) 의 중앙부에 핀트를 맞추기 위한 투과성의 잉크로 인쇄된 모양을 형성한 도면이다. 또, 그래픽 상에 도트 패턴이 중첩 인쇄된 매체를 판독하는 경우, 투명 렌즈 커버 (204) 를 통해서 판독하는 것이 되며, 도트 및 그래픽과, 핀트 맞춤을 위한 모양이 겹쳐서 촬영된다. 따라서, 그들이 겹친 화상으로부터 도트만을 추출하지 않으면 안된다. 예를 들어, 모양이 빨강 (R) 인 경우, 그래픽이 시안 (C) 이면, C 는 파랑 (B) 과 초록 (G) 을 발광하고 있고 빨강 (R) 의 성분은 없기 때문에, 촬영 화상은 빨강 (R) 의 모양이 검정 (B) 이 되고 도트가 검정 (B) 이면 도트를 판별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모양이 시안 (C) 인 경우, 그래픽이 파랑 (B) 이면 촬영 화상은 파랑 (B), 초록이면 초록 (G), 노란색 (Y) 이면 초록 (G), 마젠타 (M) 이면 파랑 (B), 시안 (C) 또는 백 (W) 이면 시안 (C) 이 되어, 그래픽이 빨강 (G) 일 때만 촬상 화상은 검정 (B) 이 되고 도트가 검정 (B) 이면 도트를 판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핀트 맞춤을 위한 모양을 시안 (C) 으로 그리고 도트를 검정 (B) 으로 인쇄한 경우에는, 그래픽에는 빨강 (R) 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즉, 도트의 색과 같은 색이 되지 않도록 핀트 맞춤을 위한 모양과 그래픽의 색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또, 항상 도트만이 인쇄되는 경우에는, 핀트 맞춤을 위한 모양과 도트가 판별되면 된다. 또한, 항상 도트가 그래픽과 중첩 인쇄되는 경우에는, 그 그래픽으로 오토포커스되어 핀트가 맞춰지기 때문에, 핀트 맞춤을 위한 모양은 필요없다. 요컨대, 핀트 맞춤을 위한 모양은 도트만이 인쇄되는 경우와, 그래픽과 중첩 인쇄되는 경우가 혼재할 때에 필요하게 된다. 또, 모양에 사용하는 색은, 색 온도가 낮기 때문에 그래픽에 파랑을 사용하더라도 진한 검정으로는 되지 않는 노란색을 사용하면 된다.
(a) 는, 중앙부에 동심원상의 모양, 그 주변에 서클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 렌즈 커버 (204) 는 서클 패턴이 인쇄되는 영역의 바탕을 백색 (인쇄여도 된다) 으로 해도 되지만, 유백색의 아크릴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백색의 경우에는 빛의 투과율이 낮아져, 모양의 인쇄 영역이나 인쇄 매체면이 유백색의 아크릴에 비해 약간 어두워진다. 촬영면은 가능한 한 밝은 쪽이 핀트를 맞추기 쉽고, 도트와 그래픽도 판별하기 쉽다. 또한, 아크릴이면 멀티인젝션에 의해 투명부와 동시에 성형도 가능하여 코스트 퍼포먼스가 우수하다. 또, 성형시에 잉크를 흘려 부어 아크릴에 모양을 부가해도 된다.
(b) 는, 중앙부에 동심원상의 모양, 렌즈 홀더 (201) 의 매체 접면측 내벽에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도면이다. 이 절결은 소정의 규칙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ID 코드가 부호화되어 있다.
(c) 는, 중앙부에 동심원상의 모양만이 형성되어 있다. 동심원상의 모양을 ID 코드로서 정보 코드를 부호화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모양을 형성하고 있는 색이나 그 영역의 크기의 조합, 순서에 의해서 정보 코드를 ID 코드로 부호화해도 된다. 또, 모양은 핀트가 맞으면 어떠한 모양이어도 된다. 단, 투명 렌즈 커버 (204) 를 통해서 도트 패턴이나 그래픽이 겹쳐 촬영되더라도 ID 코드로서 인식되지 않으면 안된다.
또, 상기 도 23 ∼ 도 25 에서 설명한 서클 패턴 및 모양은, 인쇄 외에 각인하는 것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각인된 부분은 음영이 생겨 판독할 수 있다. 단, 콘트라스트가 낮기 때문에 인식율은 낮다. 대량 생산하는 경우, 각인은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도 26 은,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 (200) 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이다.
렌즈 유닛 (200) 의 구조는 도 20 과 동일하지만, 상부 개구부에 접면한 인쇄 매체면에 대략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렌즈 홀더의 외주벽의 소정 위치에 광원 (205) 및 배터리 (206) (버튼 전지 등) 가 형성되어 있다. 광원은 크기가 작고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LED 가 바람직하다. 또한, LED 는 렌즈 유닛 (200) 과 함께 저렴하기 때문에 전원 버튼을 형성하지 않고, 1 회용으로 해도 된다. 또, 전지 저장 케이스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되며, 렌즈 홀더 (201) 의 측면에 배치해도 되고, 도선을 연장하여 렌즈 홀더 (201) 와 배터리 (206) 와 별체로 해도 된다.
(a) 는, 사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렌즈 유닛 (200) 으로, 상단의 도면이 정면도, 중단의 도면이 측면도, 하단의 도면이 배면도이다.
(b) 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렌즈 유닛 (200) 으로, 상단의 도면이 정면도, 중단의 도면이 측면도, 하단의 도면이 배면도이다.
(c) 는, 원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렌즈 유닛 (200) 으로, 상단의 도면이 정면도, 중단의 도면이 측면도, 하단의 도면이 배면도이다.
또, 동 도 (a) ∼ (c) 에서는 광원 (205) 의 수는 1 개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 (205) 이 2 개이어도 되며, 더욱 인쇄 매체면을 균일하게 조사하기 위해서 3 개 이상이어도 된다. 특히, 도 29 에 기재하는 디퓨저 (209) 를 형성한 경우나 확산 발광형 LED 를 광원 (205) 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빛을 굴절ㆍ확산시켜 인쇄 매체면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 (205) 을 1 개로 해도 된다.
도 27 은,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 (200) 의 다른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이다.
(a) 는, 전원 버튼 (207)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 (205) 을 LED 로 하면, 매우 전력을 절약할 수 있고, 렌즈 유닛 (200) 은 저렴하기 때문에, 전원 버튼을 형성하지 않고 1 회용으로 할 수 있다.
(b) 는, 배터리 (206) 가 렌즈 홀더 (201) 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이다. 렌즈 유닛 (200) 과 배터리 (206) 는, 도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렌즈 홀더 (201) 에 배터리 (206) 를 수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렌즈 홀더 (201) 의 제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도 28 은,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에 있어서, 렌즈 커버 (204) 를 설치한 도면이다. 이 렌즈 커버 (204) 의 용도는 도 22 와 동일하다. 또, 개구부를 형성한 렌즈 커버 (203) 를 설치해도 된다. 그 경우의 용도는 도 23 과 동일하다.
도 29 는,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매체면이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광원 (205) 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원 근방의 렌즈 홀더 (201) 에 광원 (205) 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굴절ㆍ확산 반사시켜, 상부 개구부에 접면한 인쇄 매체면에 균일하게 조사시키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디퓨저 (209) 를 형성해도 되고, 확산 발광형 LED 를 광원 (205) 에 사용해도 된다.
(a) 는,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에 있어서, 광원 (205) 에 백색 LED (208) 를 사용한 것이다. 도트를 인식할 수 없을 정도에 매체면이 어둡더라도 백색 LED (208) 로 조사함으로써 매체면을 밝게 하여 도트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이로써, (1) 주변 환경이 어두운 경우, (2) 렌즈 홀더 (201) 를 빛이 투과하지 않는 색,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3) 렌즈 유닛 (200) 을 피규어 등의 오브젝트에 내장하는 경우라도, 도트 코드의 판독이 가능해진다. 또, 렌즈 유닛 (200) 에 의해 도트 코드를 판독하는 프로그램을 기동시켰을 때에,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가 하얗게 밝아져, 매체면을 비춰도 된다.
(b) 는, 동 도 (a) 에 투명 렌즈 커버 (204) 를 설치한 것으로, 렌즈측의 외주벽내 근방에 인쇄 영역을 형성해서, ID 코드나 핀트 맞춤용의 모양을 인쇄한다. 또, 도 25 와 동일하게 투과색으로 중앙부에 모양을 인쇄해도 된다.
(c) 는,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에 있어서, 투명 렌즈 커버 (204) 를 설치하고, 광원 (205) 에 소정의 파장의 IR LED (210) 를 사용한 것이다. 투명 렌즈 커버 (204) 에는 렌즈 (202) 측의 외주벽내 근방에 인쇄 영역을 형성해서, ID 코드나 핀트 맞춤용의 모양을 인쇄한다. 투명 렌즈 커버 (204) 의 매체 접면측에는 소정의 파장 이상의 적외선만을 투과시키고 다른 파장광을 차단하는 IR 필터 (211) 를 형성한다. 또, ID 코드나 핀트 맞춤용의 모양을 형성하지 않으면, IR 필터 (211) 는 투명 렌즈 커버 (204) 로부터 렌즈 유닛 (200) 장착측까지의 어느 위치에 형성해도 된다. 렌즈 (202) 의 표면에 필터 가공해도 된다.
IR LED (210) 로 그래픽 상에 도트 패턴이 중첩 인쇄된 매체면을 조사하면,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 (카본 블랙 등) 으로 도트를 인쇄한다면, 카메라의 촬상 화상에서는 도트의 부분만 검게 촬영되게 되어, 용이하게 도트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또, 동 도의 IR LED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은, 스마트폰 등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사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사용되어 있더라도 완전히 적외선이 차단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한다.
또, 동 도 (a) ∼ (c) 에서는 광원 (205) 의 수는 2 개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성능이 높은 디퓨저 (209) 를 형성한 경우나 확산 발광형 LED 를 광원 (205) 에 사용한 경우에는 빛을 굴절ㆍ확산시켜 인쇄 매체면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 (205) 이 1 개여도 된다.
도 30 은, 백색 LED (208) 와 휴대전화나 스마트폰 내장 카메라의 필터, 적외선의 필터, IR LED 의 파장과 투과율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에는, 적외선 차단 필터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6 및 도 29(c) 에 나타내는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에는, IR 필터 (211) (가시광 차단 필터) 가 형성되어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700 ㎚ 이상의 파장을 커트한다. 한편, IR 필터는, 700 ㎚ 정도 이하의 파장을 커트한다. IR LED 로 850 ㎚ 정도의 파장이 강한 적외광을 조사함으로써, 5 % 전후 투과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라도,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로 인쇄된 도트 패턴을 판독할 수 있다.
도 31 은 렌즈 유닛 (200) 을 태블릿형 PC (212) 의 카메라에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와 같이, 렌즈 유닛 (200) 은, 태블릿형 PC (212) 와의 접촉면에 도포된 도시하지 않은 점착 부재에 의해 탈착 가능하다. 물론, 떼어낼 수 없도록 렌즈 유닛 (200) 을 완전히 접착하거나, 태블릿형 PC (212) 과 일체 성형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동 도에서는 태블릿형 PC (212) 의 카메라에 렌즈 유닛 (200) 을 장착시킨 예를 설명하였지만, 스마트폰 (222) 의 카메라 부분에 장착시켜도 됨은 물론이다.
도 32, 도 33 은, 렌즈 유닛 (200) 의 형태 및 장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이다.
도 32(a) 의 렌즈 유닛 (200) 은, 바닥면의 하부 개구부에 점착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태블릿형 PC (212) 또는 스마트폰 (222) 의 카메라 부분에 직접 장착되고, 탈착이 가능하다. 물론, 떼어낼 수 없도록 렌즈 유닛 (200) 을 완전히 접착하거나, 태블릿형 PC (212) 또는 스마트폰 (222) 와 일체 성형으로 해도 된다.
도 32(b) 에서는, 클립 (213) 과 렌즈 유닛 (200) 이 일체가 되어 있다. 클립 (213) 의, 렌즈 유닛 (200) 의 바닥부와 접하는 부분은, 인쇄 매체면을 촬영하기 위한 구멍이 뚫려 있거나, 또는 투명하게 되어 있다. 사용자는, 태블릿형 PC (212) 또는 스마트폰 (222) 의 카메라 부분을 클립으로 사이에 끼움으로써, 렌즈 유닛 (200) 의 장착ㆍ분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점착력이 저하되는 점착 부재와 비교하여 내용 (耐用) 기간도 꽤 길어진다.
도 32(c) 는, 도 26 등에서 설명한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과 클립 (213) 이 일체로 되어 있다. 클립 (213) 에는 전원 공급 케이블 (USB 나 이어폰, 전용 휴대 커넥터가 달린 케이블 등을 포함한다) 이 형성되어 있다. 클립 (213) 을 장착할 때에, 케이블의 커넥터를 태블릿형 PC (212) 또는 스마트폰 (222) 의 커넥터에 삽입한다. 이로써, 태블릿형 PC (212) 나 스마트폰 (222) 으로부터 전원을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클립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이라도 마찬가지로 상기 전원 공급 케이블에 의해 전원을 취할 수 있다.
도 33(a) ∼ (c) 는, 카트리지 형상의 케이스 (221) 와 렌즈 유닛 (200) 이 일체로 되어 있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케이스는 스마트폰 (222) 나 휴대전화에 사용된다. 케이스 (221) 의, 렌즈 유닛 (200) 의 바닥부와 접하는 부분은, 인쇄 매체면을 촬영하기 위한 구멍이 뚫려 있거나, 또는 투명하게 되어 있다. 사용자는, 렌즈 유닛 (200) 이 스마트폰 (222) 의 뒤쪽 (디스플레이와 반대측) 에 위치하도록, 스마트폰 (222) 나 휴대전화에 케이스를 끼움으로써, 렌즈 유닛 (200) 의 장착ㆍ분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점착력이 저하되는 점착 부재와 비교하여 내용 기간도 꽤 길어진다. 나아가, 렌즈 유닛 (200) 의 장착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매회 장착시마다 위치 결정을 하지 않아도 정확하게 장착된다.
동 도 (b) 는,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과 케이스 (221) 가 일체로 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에는, 케이스 (221) 에 배터리 (206) 및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2(c) 와 같이, 전원 공급 케이블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동 도 (c) 는, 스마트폰 (222) 나 휴대전화로부터 전원을 취하는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것에 의하면, 케이스 (221) 에 전원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보다 저렴하고 또한 간단하게 케이스 (221) 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32(c) 와 같이, 전원 공급 케이블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동 도 (a) 와 같이, LED 를 구비하지 않은 렌즈 유닛 장착용으로서 휴대전화 보호 케이스로 겸용해도 된다.
도 34 는 태블릿형 PC 의 카메라에 장착된 렌즈 유닛 (200) 에 의해, 카드 (214) 에 인쇄된 도트 패턴을 판독하는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 는, 카드 (214) 의 일면 전체에 도트 패턴을 형성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카드 (214) 의 도트 패턴이 형성된 면을, 렌즈 유닛 (200) 에 접면시킨다. 카드 (214) 에 인쇄된 도트 패턴은, 렌즈 (202) 에 의해 확대하여 촬영된다.
사용자가 카드 (214) 를 렌즈 유닛 (200) 상에 재치하면, 판독한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출력 또는 조작 명령이 실행된다. 그리고, 재치한 카드 (214) 를 회전시킴으로써, 도트 패턴의 방향과 카메라의 앵글 (카메라 상향 방향) 과의 회전각에 의해 출력하는 정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214) 를 카메라에 대하여 30 도의 방향으로 재치한 경우에는, 「안녕하십니까 (만날 때 인사)」라는 음성이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로부터 출력되고, 그리고 나서 카드 (214) 를 회전시켜 90 도의 방향으로 재치한 경우에는, 「안녕히 가십시오」라는 음성이 출력된다. 물론, 대응하는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도 된다. 그리고, 판독한 코드 정보를 인터넷이나 휴대전화망을 통해서, 도트 코드 관리 서버에 송신하여 대응하는 컨텐츠를 열람 또는 다운로드하거나,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에 의해 태블릿형 PC 가 제어되어도 된다. 스마트폰을 사용한 경우도 동일하다.
또한, 코드 정보에 XY 좌표도 추가하여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는, 카드 (214) 의 어느 부분을 렌즈 유닛 (200) 상에 재치할지에 따라서, 입력되는 XY 좌표값에 대응하여 출력하는 정보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동시에 상기 회전각에 대응하는 정보도 선택 조건으로 해도 좋다.
또한, 광원 (205) 으로 백색 LED (208) 를 사용한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을 사용하면, 주변이 도트 패턴을 판독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확실하게 코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 (205) 으로 IR LED (210) 를 사용한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을 사용하여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 (카본 블랙 등) 로 도트를 인쇄한 인쇄 매체를 촬영하면, 촬상 화상에서는 도트의 부분만 검게 촬영되게 되어, 용이하게 도트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또, IR LED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은, 스마트폰 등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사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사용되어 있어도 완전히 적외선이 차단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한다.
(b) 는, 카드 (214) 의 일면에 가드 (215) 가 형성되어 있고, 가드 (215) 중에만 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이다. 가드 (215) 는, 도트 패턴 판독용 렌즈에 끼우는 구조로 되어 있다. 사용자가, 가드 (215) 를 도트 패턴 판독용 렌즈에 끼우면, 카드 (214) 에 인쇄된 도트 패턴은 렌즈 (202) 에 의해 확대되어 촬영된다.
사용자가 가드 (215) 를 렌즈 유닛 (200) 에 끼우고 나서 카드 (214) 를 회전시킴으로써, 입출력되는 정보를 변화시킬 수 있다. (a) 에서는, 카드 (214) 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카드 (214) 가 어긋나 버려, 잘 회전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b) 와 같이 가드 (215) 를 형성함으로써 이 문제가 해결되어, 카드 (214) 가 어긋나지 않고 회전할 수 있어, 사용자가 희망하는 조작을 실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시각 장애자도 가드 (215) 를 확인할 수 있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a) 및 (b) 에서 설명한, 도트 패턴의 판독에 의해 입출력 정보를 변화시키는 기술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제4465016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시각 장애자에게 있어서 이 가드는 도트 패턴이 인쇄 매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35 는 피규어 (216) 에 형성된 도트 패턴을 판독하는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이다.
(a) 는, 태블릿형 PC 의 카메라에 장착된 도트 패턴 판독용 렌즈 위에, 피규어 (216) 를 재치한 도면이다. 이 피규어 (216) 의 바닥부에는 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고, 카메라는 피규어 (216) 바닥부의 도트 패턴을 판독하여 정보를 복호한다.
또, 렌즈 유닛 (200) 상에서 피규어 (216) 를 회전시킴으로써, 입출력되는 정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규어 (216) 를 재치했을 때에는「안녕하십니까」라는 음성이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로부터 출력되고, 90 도 회전한 경우에는 「안녕히 가십시오」라는 음성이 출력된다.
(b) 는, 피규어 (216) 와 도트 패턴 판독용 렌즈가 일체가 된 도면이다. 동 도의 피규어 (216) 는, 대좌 하부에 렌즈 유닛 (200) 이 장착되어 있다. 대좌의 뒤쪽에, 도트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피규어 (216) 를 태블릿형 PC (212) 의 카메라 위에 재치하면, 카메라는, 피규어 (216) 의 렌즈를 통해서 피규어 (216) 에 형성된 도트 코드를 판독한다.
또, 카메라 상에서 피규어 (216) 를 회전시킴으로써, (a) 와 동일하게 입출력되는 정보를 변화시킬 수 있다.
(a) 및 (b) 와 같은, 피규어 (216) 의 회전에 의해 출력 정보를 변화시키는 기술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제4465016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또, 상기한 조작 및 판독한 코드 정보에 대한 정보 처리, 및 광원 (205) 으로 백색 LED (208) 나 IR LED (210) 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도 34 의 설명과 동일한 조작ㆍ처리가 모두 가능하다.
도 36 은, 백색 LED 조사 기능을 가진 렌즈 유닛 (200) 을 내장한 피규어 (216) 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피규어 (216) 의 대좌에는, 렌즈 유닛 (200) 과 백색 LED (208) 와 배터리 (206) 가 내장되어 있다. 사용자가 피규어 (216) 를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에 재치하면, 카메라는, 피규어 (216) 의 렌즈 유닛 (200) 을 통해서 피규어 (216) 에 형성된 도트 코드를 판독한다. 렌즈 유닛 (200) 이 피규어 (216) 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의 빛이 차단되더라도, 백색 LED (208) 가 인쇄 매체면을 조사하여 도트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백색 LED (208) 의 배터리 (206) 는 피규어에 내장되고, 전원 버튼 (207) 은 피규어의 눈에 띄지 않은 장소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피규어를 들어 올리거나, 피규어에 닿았을 때에 기동하는 센서형의 전원 스위치로 해도 된다.
또, 상기한 조작 및 판독한 코드 정보에 대한 정보 처리, 및 광원 (205) 으로 백색 LED (208) 나 IR LED (210) 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도 34 의 설명과 동일한 조작ㆍ처리가 모두 가능하다.
도 37 ∼ 도 38 은, 스마트폰 (222) 의 카메라에 장착된 렌즈 유닛 (200) 에 의해 카드 (214) 에 인쇄된 도트 패턴을 판독하는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7 은 렌즈 유닛 (200) 에 접면하기 전의 상태, 도 38 은 접면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카드 (214) 를 고정시키고, 스마트폰 (222) 을 잡고, 카드 (214) 의 일부를 터치하여 도트 패턴을 판독한다.
또한, 도 3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유닛 (200) 을 사용하여 촬영한 도트 패턴을, 스마트폰 (222) 또는 태블릿형 PC (212) 의 디스플레이에 그대로 표시해도 된다. 물론, 판독한 도트 코드에 대응한 컨텐츠를 표시해도 된다. 스마트폰 (222) 을 쥐고 카드 (214) 의 도트 패턴을 판독하는 경우, 판독한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출력 또는 조작 명령이 실행된다. 그리고, 스마트폰 (222) 을 회전시킴으로써, 도트 패턴의 방향과 카메라의 앵글 (카메라 상향 방향) 과의 회전각에 의해서 출력하는 정보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코드 정보에 XY 좌표가 추가하어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는, 카드 (214) 의 어느 부분을 렌즈 유닛 (200) 상에서 촬영할지에 따라서, 입력되는 XY 좌표값에 대응하여 출력하는 정보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동시에 상기 회전각에 대응하는 정보도 선택 조건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조작 및 판독한 코드 정보에 대한 정보 처리, 및 광원 (205) 으로 백색 LED (208) 나 IR LED (210) 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도 34 의 설명과 동일한 조작ㆍ처리가 모두 가능하다.
<서클 패턴>
도 39 ∼ 도 50 은, ID 코드가 부호화된 서클 패턴의 개념 및 실례이다. 이들은, 원주 (圓周) 상, 타원의 둘레 상, 또는 소정의 닫힌 곡선의 둘레 상 (이하 「원주 상 등」) 에 인쇄 또는 각인된 이웃하는 마크와 마크 사이의 원주 상 등의 복수의 길이의 둘레 길이, 또는 인접하는 마크와 마크의 복수의 거리의 직선 거리 (이하 「마크간 거리」) 의 조합 및/또는 정렬 방식으로 부호화한 서클 패턴이다.
도 39 는, 서클 패턴 (300) 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 (a) 는 원 형상의 서클 패턴, (b) 는 타원 형상의 서클 패턴, (c) 는 그 밖의 폐곡선에 의해 형성된 서클 패턴이다.
이와 같이, 서클 패턴 (300) 은, 임의의 폐곡선 상에 마크 (301) 를 배치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0 은, 서클 패턴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는, 폐곡선의 도심 (圖心) 에 1 개의 마크 (301) 를 배치한 도면으로 (a) 가 원 형상의 서클 패턴인 경우, (b) 가 타원 형상의 서클 패턴인 경우, (c) 가 그 밖의 폐곡선 형상의 서클 패턴인 경우이다.
이와 같이, 도심에 마크 (301) 를 배치함으로써,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서클 패턴 (300) 을 CPU 가 화상 해석을 할 때에, 서클 패턴 (300) 의 영역을 판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마크 (301) 를 배치하는 장소는, 폐곡선의 도심 외에, 폐곡선의 중심이어도 된다. 또한, 도심 또는 중심에 배치하는 마크 (301) 의 수는 도시하지 않지만 1 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여도 된다. 특히, 폐곡선의 형상이나 크기 등의 파라미터가 미리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 폐곡선 내의 마크에 그들의 정보를 제공하고, 당해 특정하여 사용 코드를 복호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타원형은, 2 개의 마크 (301) 를 부여함으로써 타원을 특정할 수 있고 용이하게 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 둘레 상의 마크 (301) 와 구별하기 위해, 마크 (301) 의 크기, 형상, 색을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1 ∼ 도 50 은,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41 이후에는 서클 패턴이 원 형상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모든 실시예가 타원 형상, 그 밖의 임의의 폐곡선 형상의 서클 패턴에 대해서도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41 은, 마크로서 시점 (始點) 마크 (302) 및 부호화 마크 (정보 도트 (303)) 를 배치한 서클 패턴 (300) 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원주 상에 부호화하기 위한 시점을 정하는 시점 마크 (302) 를 배치하고, 시계 방향으로 부호화 마크로서 정보 도트 (303) 를 배치하고, 각 인접하는 마크 사이의 소정의 간격이 시점 마크 (302) 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정렬하는 조합으로 ID 코드를 부호화한다. 또, 반시계 방향으로 부호화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마크 사이의 소정의 간격은, 인접하는 마크와 마크 사이의 원주 상의 복수의 둘레 길이를 갖는 정보 도트간 둘레 길이, 또는 정보 도트간 거리로 한다. 조합의 지표는, 정보 도트간 둘레 길이 (304) ,정보 도트간 거리 (305)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a) 는 시점 마크 (302) 가 정보 도트 (303) 보다 큰 형상의 마크, (b) 는 시점 마크 (302) 가 정보 도트 (303) 와는 상이한 형상의 마크, (c) 는 시점 마크 (302) 가 정보 도트 (303) 와 동일한 형상의 마크가 2 개 나란하게 배치된 마크, (d) 는 시점 마크 (302) 가 정보 도트 (303) 와 동일한 형상이지만 색에 의해 식별된 마크, (e) 는 시점 마크 (302) 가 정보 도트 (303) 와 동일한 형상의 마크가 외주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된 마크, (f) 는 시점 마크 (302) 가 정보 도트 (303) 와 동일한 형상의 마크가 외주 방향으로 2 개 나란하게 배치된 마크이다. 모두, 정보 처리 장치의 판독 수단에 의해 시점 마크 (302) 로서 정보 도트로 판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c) 및 (f) 는 3 개 이상 나란하게 시점 마크 (302) 를 형성해도 되고, (e) 는 내주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어도 된다.
(g) ∼ (i) 는 동심원의 직경이 상이한 서클 패턴 (300) 이 2 개 형성된 예이다. 즉, 크기가 상이한 서로 닮은 형태의 원을 동심원상으로 나란히 형성한 것이다. 이로써, 보다 많은 정보량을 정의할 수 있다. 물론, 더욱 정보량을 늘리기 위해 복수의 서클 패턴 (300) 을 형성해도 된다. (g) 는 정보 도트 (303) 가 모두 동일 형상이고, 외주의 서클 패턴 (300) 에 정보 도트 (303) 와 크기가 상이한 도트를 시점 마크 (302) 로 하고 있다. 그 내측의 위치에 내주의 시점 마크 (302) 로서 정보 도트 (303) 가 배치되어 있다. (h) 는 외주와 내주를 용이하게 판별하기 위해, 외주와 내주의 정보 도트 (303) 의 크기를 다르게 하고, 시점 마크 (302) 는 정보 도트 (303) 와는 상이한 형상의 마크로 하고 있다. (i) 도 외주와 내주를 용이하게 판별하기 위해, 외주와 내주의 정보 도트 (303) 의 형상을 다르게 하고, 시점 마크 (302) 는 정보 도트 (303) 와는 상이한 크기의 마크로 하고 있다.
또, (g) ∼ (i) 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서클 패턴 (300) 이 원 형상인 경우에는, 크기가 상이한 서로 닮은 형태의 원의 중심을 일치시켜, 작은 원을 큰 원에 내포시킨다. 그러나, 타원 형상이나 임의의 폐곡선 형상인 경우에는, 크기가 상이한 서로 닮은 형태의 타원 또는 폐곡선의 도심을 일치시켜, 작은 쪽의 타원 또는 폐곡선을 큰 쪽의 타원 또는 폐곡선에 내포시킨다.
도 42 는, 시점 마크 (302) 가 1 개와 정보 도트 (303) 가 2 개인 합계 3 개의 마크를 배치한 예이다. 각 마크 사이의 간격은 1 ∼ 3 종류의 간격이 되도록 정보 도트 (303) 를 배치하고 있다. 또, 원주 상의 3 개의 좌표값이 구해지면, 중심 위치와 반경이 구해지고 각 마크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다.
(a) 는 3 종류의 간격을 형성하여 정보 도트 (303) 가 배치되어 있고, 가장 짧은 간격을 (1) (동 도의 둥근 원 안의 숫자 1 에 해당, 이하 동일), 2 번째로 짧은 간격을 (2), 가장 긴 간격을 (3) 으로 한 경우의 조합으로, 시점 마크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6 종류의 조합이 있다.
(b) 는 2 종류의 간격을 형성하여 정보 도트 (303) 가 배치되어 있고, 가장 짧은 간격을 (1), 2 번째로 짧은 간격을 (2) 로 한 경우의 조합으로, 시점 마크 (302) 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6 종류의 조합이 있다. 이와 같이, (1) 과 (2) 의 어느 것이 동일 간격이어도 된다.
(c) 는 1 종류의 간격을 형성하여 정보 도트 (303) 가 배치되어 있고, 그 간격을 (1) 로 한 경우의 조합으로, 당연히 조합은 1 종류밖에 없다. 상기 (a) ∼ (c) 에서 합계의 조합은 13 종류 있고, 13 개의 ID 코드를 부호화할 수 있다. 이것을 2 개의 서클 패턴으로 형성하면, 13 × 13 = 169 개의 ID 코드를 부호화할 수 있다.
도 42 에서는 합계 3 개의 마크를 배치하였지만, ID 코드를 부호화할 수 있는 코드의 수는,
N 이 4 인 경우에는,
Figure pat00001
N 이 3 또는 5 인 경우에는,
Figure pat00002
에 의해 구해진다.
따라서, 4 개의 마크에서는 75 개가 된다. 여기서, 서클 패턴 (300) 에 3 개와 4 개의 마크 (301) 의 양쪽을 포함하도록 마크 (301) 를 배치한 경우에는, 13 + 75 = 88 개의 ID 코드를 부호화할 수 있다. 또, 5 개의 마크 (301) 에서는 541 개, 6 개의 마크 (301) 에서는 4683 개, 10 개의 마크 (301) 에서는 22174447 개의 ID 코드를 부호화할 수 있다.
도 43 은, 도 42 에서 나타낸 3 개의 마크 (301) 를 배치한 경우의 조합에 코드값을 할당한 표이다. 조합의 케이스에 어느 코드값을 할당할지는 임의이다.
도 44 는, 복수의 마크 (301) 를 포함함으로써 1 개의 코드가 부호화된 서클 패턴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클 패턴 (300) 에 연속하는 L 개에서 M 개까지의 마크 (301) 를 배치할 수 있다. 그러면, M - L + 1 종류의 서클 패턴 (300) 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동 도에서는, (a) 는 마크 (301) 를 3 개 배치한 경우, (b) 는 마크 (301) 를 4 개 배치한 경우, (c) 는 마크를 5 개 배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요컨대, L = 3, M = 5 이다. 따라서, 서클 패턴 (300) 의 종류는 5 - 3 + 1 = 3 종류이다.
그리고, 3 종류의 각각에 있어서, 도 42 ∼ 도 43 에서 설명한 조합에 의해, ID 코드를 부호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a) 의 경우에는 마크 (301) 가 3 개이고, 13 개의 ID 코드를 부호화할 수 있다. (b) 의 경우에는 마크 (301) 가 4 개이고, 88 개의 ID 코드를 부호화할 수 있다. (c) 의 경우에는 마크 (301) 가 5 개이고, 541 개의 ID 코드를 부호화할 수 있다. 따라서, 서클 패턴 (300) 이 3 개에서 5 개까지의 마크 (301) 를 포함하도록 한 경우에는, 13 + 75 + 541 = 629 개의 ID 코드를 부호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이한 갯수의 마크 (301) 를 배치할 수 있도록 설정함으로써, 서클 패턴 (300) 이 보다 많은 ID 코드를 부호화할 수 있게 된다.
도 45 는, 시점 마크 (302) 를 배치하지 않은 4 개의 정보 도트 (303) 만의 배치이며, 각 정보 도트 (303) 의 간격은 1 ∼ 4 종류의 간격이 되도록 정보 도트 (303) 를 배치하고, 복수의 정보 도트간 원주 또는 정보 도트간 거리의 조합만으로 코드를 부호화하고 있다. 이것은 시점 마크 (302) 가 없는 것에 의해, 정보량은 적어지지만, 동일 형상의 정보 도트만으로 형성할 수 있어 외관상 아름답고, 정보 처리 장치의 판독 수단에 의해 시점 마크 (302) 와 정보 도트 (303) 의 판별이 필요없기 때문에 용이하게 ID 코드로 복호화할 수 있다. 또,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어느 것으로 부호화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a) 는 4 종류의 간격을 형성하여 정보 도트 (303) 가 배치되어 있으며, 가장 짧은 간격을 (1), 2 번째로 짧은 간격을 (2), 3 번째로 짧은 간격을 (3), 가장 긴 간격을 (4) 로 한 경우의 조합이고, 시계 방향으로 6 종류의 조합이 있다.
(b) 는 3 종류의 간격을 형성하여 정보 도트 (303) 가 배치되어 있고, 가장 짧은 간격을 (1), 2 번째로 짧은 간격을 (2), 가장 긴 간격을 (3) 으로 한 경우의 조합으로, 시계 방향으로 9 종류의 조합이 있다. 이와 같이, (1) ∼ (3) 중 어느 하나 또는 2 개가 동일 간격이어도 된다.
(c) 는 2 종류의 간격을 형성하여 정보 도트 (303) 가 배치되어 있고, 가장 짧은 간격을 (1), 2 번째로 짧은 간격을 (2) 로 한 경우의 조합으로, 시점 마크 (302) 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4 종류의 조합이 있다. 이와 같이, (1) 과 (2) 중 어느 하나가 동일 간격이어도 된다.
(d) 는 1 종류의 간격을 형성하여 정보 도트 (303) 가 배치되어 있고, 그 간격을 (1) 로 한 경우의 조합으로, 당연히 조합은 1 종류밖에 없다. 상기 (a) ∼ (d) 에서 합계의 조합은 20 종류 있어, 20 개의 ID 코드를 부호화할 수 있다. 이것을 2 개의 서클 패턴 (300) 으로 형성하면, 20 × 20 = 400 개의 ID 코드를 부호화할 수 있다. 또, 시점 마크 (302) 가 없어도, 기준의 방향을 정해 둠 (예를 들어 동 도와 같이 상향) 으로써, 도 42 ∼ 43 과 동일하게 순열 조합에 의해 부호화할 수 있다.
도 46 은, 도 45 에서 나타낸 4 개의 마크를 배치한 경우의 조합에 코드값을 할당한 표이다. 조합의 케이스에 어떠한 코드값을 할당할지는 임의이다.
도 47 은, 동일한 서클 패턴 (300) 을 복수 나란하게 배치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서클 패턴 (300) 은 복수를 나란히 배치해도 된다. 이로써, 인쇄물 등, 일정한 면적을 갖는 매체에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어디를 판독해도 동일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원의 직경을 좀더 작게 하여, 간격을 벌려 서클 패턴을 배치해도 된다.
도 48 ∼ 도 50 은, 복수의 서클 패턴 (300) 으로 1 개의 코드를 부호화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복수 (도면에서는 9 개) 의 서클 패턴 (300) 으로 1 개의 데이터 블록을 구성한다. 그리고, 1 개의 데이터 블록이 1 개의 코드를 부호화하고 있다.
도 48 은, 데이터 블록의 영역을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서클 패턴 (300) 에서는, 동일한 데이터 블록을 인쇄물 등에 복수 반복해서 인쇄할 수 있다. 그 경우, 어느 것이 1 개의 데이터 블록의 영역인지를 인식할 수 없으면, CPU 는 서클 패턴 (300) 을 정확하게 해석하여, 코드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가 없다. 그래서, 데이터 블록의 영역을 정의할 필요가 있다.
동 도 (a) 는, 소정의 서클 패턴 (300) 의 시점 마크 (302) 를, 다른 서클 패턴 (300) 의 시점 마크 (302) 와 다르게 한 도면이다. 동 도에서는, 좌측 위의 서클 패턴 (300) 만 정보 도트 (303) 와 크기가 상이한 시점 마크 (302) 를 갖고 있고, 다른 서클 패턴 (300) 은, 정보 도트 (303) 와 형상이 상이한 시점 마크를 갖고 있다. 이로써, 시점 마크 (302) 의 상이한 서클 패턴 (300) 기준을 기준으로 하여 데이터 블록의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b) 는, 소정의 서클 패턴 (300) 의 마크 (301) 의 형상을, 다른 서클 패턴 (300) 의 마크 (301) 의 형상과 다르게 한 도면이다. 동 도에서는, 좌측 위의 서클 패턴 (300) 만 삼각형의 마크 (301) 가 배치되어 있고, 다른 서클 패턴 (300) 은 원형의 마크 (301) 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삼각형의 마크 (301) 가 배치되어 있는 서클 패턴 (300) 을 기준으로 하여 데이터 블록의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c) 는, 소정의 서클 패턴 (300) 의 배치 방법을, 다른 서클 패턴 (300) 의 배치 방법과 다르게 한 도면이다. 동 도에서는, 좌측 위의 서클 패턴 (300) 만 시점 마크 (302) 가 원형, 정보 도트 (303) 가 삼각형이고, 다른 서클 패턴 (300) 은 시점 마크 (302) 가 삼각형, 정보 도트 (303) 가 원형이다. 이로써, 시점 마크 (302) 가 원형, 정보 도트 (303) 가 삼각형인 서클 패턴 (300) 을 기준으로 하여 데이터 블록의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또, (a) ∼ (c) 이외에도,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데이터 블록의 영역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9 는, 데이터 블록의 방향을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같은 서클 패턴 (300) 이라고 해도, 어느 방향을 정위 (正位), 즉 서클 패턴 (300) 을 인식하기 위한 기준으로 할지에 따라서, CPU 의 해석 결과 및 실행되는 처리의 결과가 달라진다. 따라서, 어떤 방향을 기준으로 서클 패턴 (300) 이 형성되어 있는가를 인식시키기 위해, 데이터 블록의 방향을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동 도 (a) 는, 시점 마크 (302) 의 위치에 의해 데이터 블록의 방향을 정의한 것이다. 동 도에서는, 시점 마크 (302) 가 왼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데이터 블록이 좌향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동 도 (b) 는, 마크 (301) 의 배치 방법에 의해 데이터 블록의 방향을 정의한 것이다. 이 경우, 어떤 특정한 마크 간격의 조합을 갖는 서클 패턴 (300) 의 위치를 데이터 블록의 방향으로 정의한다. 특정한 조합은, 데이터 블록의 방향을 정의하는 서클 패턴 (300) 이외의 서클 패턴 (300) 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b) 에서는, 좌측 위의 서클 패턴 (300) 만 (1) (2) (3) (4) (각각 동 도의 둥근 원 안의 숫자에 해당) 의 조합이 되도록 마크 (301) 가 배치되어 있다. 다른 서클 패턴에 (1) (2) (3) (4) 의 조합이 사용되는 일은 없다. 이로써, 데이터 블록이 상향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좌측 위의 서클 패턴 (300) 만 마크 (301) 를 4 개로 하고, 다른 것을 4 개 이외의 마크 (301) 로 형성해도 된다.
동 도 (c) 는, 특정한 서클 패턴 (300) 만 시점 마크 (302) 를 형성함으로써, 데이터 블록의 방향을 정의한 것이다. 동 도에서는, 좌측 위의 서클 패턴 (300) 에만 시점 마크 (302) 가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서클 패턴 (300) 에는 시점 마크 (302) 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데이터 블록이 상향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좌측 위의 서클 패턴 (300) 에 의해 데이터 블록의 방향이 정의되기 때문에, 다른 서클 패턴은, 시점 마크 (302) 를 형성하지 않아도 코드를 부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데이터 블록의 생성 알고리즘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50 은, 데이터 블록의 3 × 3 의 서클 패턴을 연속적으로 배치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데이터 블록은, 상하 좌우 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치된다. 따라서, 카메라로 판독하는 경우에는, 1 개의 데이터 블록을 판독할 필요가 있다. 또, 인접하는 각 데이터 블록이 동일한 경우에는, 동 도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로 판독하는 중심 주변의 데이터 블록과 동수의 3 × 3 의 서클 패턴 (300) 을 판독하면 된다. 단, 각각의 서클 패턴 (300) 은,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가를 인식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도 49 와 같이 데이터 블록의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동 도에서는, 좌측 위의 서클 패턴 (300) 의 시점 마크 (302) 만 크기가 상이하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블록의 영역 및 방향을 정의하고 있다. 도면 중의 + 를 카메라로 판독하는 중심으로 하면, 주변의 3 × 3 의 서클 패턴에는 반드시 시점 마크 (302) 만 크기가 상이한 서클 패턴 (300) 이 포함되어 있고, 이로써 영역과 방향을 알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서 당해 3 × 3 의 각 서클 패턴의 코드를 복호화하여, 하나의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1 개의 원주 상에 많은 정보 도트 (303) 를 배치하면, 서클 패턴 (300) 의 정보량을 늘릴 수 있다. 그러나, 정보 도트 (303) 의 수가 많아지면, 정보 도트 (303) 끼리의 간격이 조밀해져, 외관상 나빠지고, 인쇄 정밀도나 판독 정밀도에 따라 정보 도트 (303) 가 연결되어 버려, 코드를 정확하게 판독, 해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갯수가 상이한 서클 패턴 (300) 을 나란히 정렬하여 1 개의 코드를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데이터 블록으로서 서클 패턴 (300) 의 정보량을 늘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서클 패턴 (300) 의 마크 (301) 는, 인쇄 또는 각인 외에, 절결에 의해서 형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3(a) ∼ (c) 에 기재한 것이다.
이러한 절결을 형성함으로써도, 도 39 ∼ 도 50 에서 설명한 서클 패턴 (300) 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도트 패턴 등의 2 차원 코드는 직선 또는 직사각형상의 평면 상에 배치하는 것에 적합했지만, 원 형상이나 도넛 형상의 매체에 배치하기는 곤란하였다. 본건 발명의 서클 패턴 (300) 에서는, 원이나 타원, 나아가 불규칙한 폐곡선의 형상에도 용이하게 마크를 배치하여, 2 차원 코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건 발명의 렌즈 유닛 (200) 에 사용되는 렌즈 커버 (203) 를 식별하기 위한 ID 코드로서 사용된다. 그 밖에, 원 형상이나 도넛 형상의 매체용에 2 차원 코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서클 패턴 (300) 은, 마크 (301) 간 거리의 비교에 의해 코드를 부호화하기 때문에, 곡면 상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정확하게 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어, 종래 2 차원 코드를 배치하기가 곤란하였던 곡면에도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판독 수단을 기울여서 판독하여 도트 패턴 (서클 패턴 (300)) 이 크게 변형되더라도, 상기한 이유로 코드의 복호화를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렌즈 유닛의 다른 실시예>
도 51 ∼ 도 58 은, 렌즈 유닛 (200) 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이다.
또, 이하의 렌즈 유닛 (200) 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렌즈 유닛 (200) 과, 상기에서 설명한 모든 실시예를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D 코드 및 클립)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인쇄된 ID 코드 (401) 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렌즈 커버 (203) 또는 투명 렌즈 커버 (204) 에 ID 코드 (401) 를 인쇄하고 있었다. 그러나, ID 코드 (401) 는 그 이외의 방법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도 51 은, ID 코드 (401) 를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직접 인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에서는, ID 코드 (401) 로서 서클 패턴 (300) 을 직접 인쇄하고 있지만, 다른 ID 코드 (401) 를 인쇄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ID 코드 (401) 를 시일 (seal) 에 인쇄하여, 렌즈 홀더 (201) 의 상부 개구부에 부착해도 된다.
또한, ID 코드는, 렌즈 커버 (203) 와 렌즈 (202) 사이에 끼워 넣거나, 밀어 넣어도 된다.
도 52 ∼ 53 은, ID 코드 (401) 가 인쇄된 매체를 사이에 끼울 수 있는 렌즈 커버 (203) 를 형성한, 클립이 형성된 렌즈 유닛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클립 (213) 은, 도 32(b) 에서 설명한 클립의 변형예이다. 즉, 태블릿형 PC (212) 또는 스마트폰 (222) 의 카메라 부분을 사이에 끼우기 위한 클립 (213) 이, 렌즈 유닛 (200) 과 일체가 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클립 (213) 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52(a) 는, 클립이 형성된 렌즈 유닛의 사시도, (b) 는 정면도이다. 본 렌즈 유닛 (200) 은, 렌즈 커버 (203), 렌즈 홀더 (201), 클립 (213) 을 구비하고 있다. 렌즈 커버 (203) 와 렌즈 홀더 (201) 는 분리 가능하고,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커버 (203) 와 렌즈 홀더 (201) 상부 사이에, ID 코드 (401) 가 인쇄된 매체인 ID 매체 (402) 가 사이에 끼워져 있다.
렌즈 홀더 (201) 는, 중앙이 개구부 (403) 또는 필름 등의 투명 시트를 형성한 투명 영역으로 되어 있어,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에 필요한 영역이 확보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ID 코드 (401) 를 갖는 렌즈 유닛 (200) 을 간단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조업자는,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된 렌즈 유닛 (200) 을 회수하여, 사용되고 있던 ID 매체 (402) 를 빼고, 새로운 ID 매체 (402) 를 끼워 넣고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지구 환경 및 경제성을 배려한 렌즈 유닛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52 는, ID 매체를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는 렌즈 커버 (203) 를 형성한 렌즈 유닛 (200) 의 일례로,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클립 (213) 을 갖지 않는 형태여도 된다.
도 53 은, 도 52 의 렌즈 홀더 (201) 에 사용하는 ID 매체 (402) 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ID 매체 (402) 는, 원형의 매체에 ID 코드 (401) 를 인쇄한 것이다. 매체 중앙은 개구부로 되어 있어,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에 필요한 영역이 확보되어 있다. 개구부의 주변에 ID 코드 (401) 가 인쇄되어 있다. 동 도 (a) 는, ID 코드 (401) 인 서클 패턴 (300) 이 인쇄된 ID 매체 (402) 이다. 동 도 (b) 는, 오토포커스로 핀트를 맞추기 위한 핀트 맞춤용 모양 (404) 과 서클 패턴 (300) 이 인쇄된 ID 매체 (402) 이다.
핀트 맞춤용 모양 (404) 은, 적외선 및 가시광을 투과하는 잉크로 인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핀트 맞춤용 모양 (404) 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는 필요한 ID 코드 (401) 및 피사체의 도트 패턴만을 촬영할 수 있다.
또, 매체 중앙은 개구부 (403) 대신에, 필름 등의 투명 시트를 형성한 투명 영역으로 해도 된다. 투명 시트를 형성함으로써, 렌즈 (202) 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ID 매체 (402) 는 렌즈 홀더 (201) 와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어저스터 및 슬라이딩 방지구)
도 54 ∼ 56 은, 어저스터 (406) 및 슬라이딩 방지구 (407) 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어저스터)
어저스터란, 높이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발명의 어저스터 (406) 는 렌즈 유닛 (200) 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 54 는, 클립을 갖지 않은 렌즈 유닛 (200), 도 55 ∼ 56 은, 클립을 갖는 렌즈 유닛 (200) 의 경우이다. 도 57 은, 어저스터 (406) 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저스터 (406) 는 중앙에 개구부 (403) 를 갖는 원통 형상 구조로 되어 있다. 어저스터 (406) 의 내벽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렌즈 홀더 (201) 에도 홈이 형성되어 있어, 어저스터 (406) 와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도 5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유닛 (200) 은, 렌즈 일체형 렌즈 홀더 (405) 와, 어저스터 (406) 로 구성되어 있다. 동 도 (b) 는, 본 발명의 가장 흔히 사용되는 실시예로, ID 매체 (402), 렌즈 커버 (203), 렌즈 일체형 렌즈 홀더 (405), 나사 형상 멈춤구 (408), 어저스터 (406), 슬라이딩 방지구 (407) 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 일체형 렌즈 홀더 (405) 의 상부에는, 나사 형상 멈춤구 (408) (나사가 형성된 캡) 가 고정 장착되어 있다. 한편, 어저스터 (406) 는, 렌즈 일체형 렌즈 홀더 (405) 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도 55 는, 어저스터 (406) 및 슬라이딩 방지구 (407) 를 갖는, 클립이 형성된 렌즈 유닛 (200) 의 사시도, (b) 는 정면도이다. 도 56 은, 클립이 형성된 렌즈 유닛 (200) 에 있어서, 어저스터 (406) 로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렌즈 홀더 (201) 본체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 54 의 렌즈 유닛 (200) 과 동일하다. 클립 (213) 은, 나사 형상 멈춤구 (408) 와 어저스터 (406) 사이에 형성된다. 카메라와 렌즈 (202) 의 거리를 가깝게 하는 경우에는, 도 5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저스터 (406) 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거리를 멀게 하는 경우에는, 도 5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저스터 (406) 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어저스터 (406) 를 최대한 상부로 이동시킨 경우와, 최대한 하부로 이동시킨 경우와의 거리의 차이는 약 2 센티미터이다.
스마트폰 (222) 등에 형성된 카메라의 최적 핀트는, 기종에 따라 상이한 경우가 있다. 그 경우, 렌즈로부터 카메라까지의 최적 거리도 달라진다. 따라서, 렌즈 유닛 (200) 의 구조에 따라서는 핀트가 정확하게 맞지 않아, 최적의 촬영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핀트가 정확하게 맞도록, 기종마다 개별적인 렌즈 유닛 (200) 을 제조하면 매우 비용이 커진다.
그리고 사용자는, 스마트폰 (222) 등에 커버 (보호 케이스) 를 씌워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커버의 두께는 제품에 따라서 상이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커버에 따라서는 핀트가 정확하게 맞지 않게 되어, 최적의 촬영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어저스터 (406) 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이 어저스터 (406) 를 형성함으로써, 어떠한 카메라라도, 또, 어떠한 커버를 사용하더라도 렌즈 (202) 로부터 카메라까지의 거리를 최적으로 조정하여, 피사체를 정확하게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피사체의 촬영에 대해서는, 렌즈 유닛 (200) 의 상부 개구부를 피사체에 접면시켜 촬영하는 것 외에, 렌즈 유닛 (200) 과 피사체를 일정 거리 떼어서 촬영할 수도 있다. 접면시키거나, 또는 얼라만큼 떼어서 촬영할지는, 각 피사체의 도트 패턴의 크기 등에 따라서 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어저스터 (406) 중앙은, 개구부 (403) 대신에 투명 시트 등을 형성한 투명 영역으로 해도 된다. 투명 시트 등을 형성함으로써, 렌즈 (202) 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저스터 (406) 의 구조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렌즈 홀더 (201)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렌즈 (202) 로부터 카메라까지의 거리를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구조로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슬라이딩 방지구)
다음으로, 슬라이딩 방지구 (407) 에 대해서 설명한다.
슬라이딩 방지구는, 중앙에 개구부 (403) 를 갖는 도넛 형상의 구조를 하고 있고, 렌즈 홀더 (201) 의 하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저스터 (406) 의 하부에 끼워 맞춰져 있다. 또한, 고무 등의 점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스마트폰 (222) 등의 표면은 매끈매끈한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 유닛 (200) 을 장착하더라도 미끄러져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방지를 위해 클립 (213) 등으로 고정시켜도, 렌즈 유닛 (200) 이 약간 흔들려, 핀트가 정확하게 안 맞는 경우가 생긴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방지구를 형성함으로써, 스마트폰 (222) 등으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거나 흔들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방지구 (407) 는, 본 발명과 같이 어저스터 (406) 의 하부에 끼워맞추는 것 외에, 어저스터 (406) 에 부착하거나 밀어 넣는 것에 의해서 형성해도 된다. 또, 렌즈 유닛 (200) 의 하부에 직접 부착하거나 끼우거나, 밀어 넣거나 함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또, 어저스터 (406) 와 렌즈 홀더 (201) 사이에 장착함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또는, 어저스터 (406) 와 슬라이딩 방지구 (407) 를 일체 성형해도 된다.
(클립)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클립 (213) 에 대해서, 도 58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클립 (213) 의 일방의 단부는 렌즈 홀더 (201) 에 장착되어 있고, 또 다른 일방의 단부는, 카메라가 구비된 측의 뒤쪽을 사이에 끼워넣듯이 형성되어 있다.
클립 (213) 은, 아암 (410) 과 멈춤구를 구비하고 있다. 멈춤구는, 렌즈 홀더 (201) 를 장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아암 (410) 의 일방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멈춤구에는, 동 도 (a) 에 나타내는 링 형상 멈춤구 (409) 및 동 도 (b) 에 나타내는 U 형상 멈춤구 (411) 가 있다. 링 형상 멈춤구 (409) 는, 렌즈 홀더 (201) 를 빼낼 때에, 먼저 링을 떼고 나서 클립 (213) 을 떼어낼 필요가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부족하다는 문제는 있지만, 강도가 강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U 형상 멈춤구 (411) 는 강도가 약하다는 문제가 있지만, 렌즈 홀더 (201) 를 간단히 빼낼 수 있어, 편리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아암 (410) 의 또다른 일방의 단부는, 스마트폰 (222) 등의 뒤쪽을 사이에 끼워넣듯이 형성되어 있다.
또, 멈춤구의 상부에는, 제 2 멈춤구를 장착해도 된다. 제 2 멈춤구는, 도 54, 5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 형상의 나사 형상 멈춤구 (408) 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형태여도 된다. 제 2 멈춤구를 장착함으로써, 클립 (213) 의 멈춤구 (409, 411) 를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멈춤구 (409, 411) 와 어저스터 (406) 사이, 또는 멈춤구 (409, 411) 와 제 2 멈춤구 사이에 O 링 (412) 을 장착해도 된다. 이로써, 어저스터 (406) 나 제 2 멈춤구를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클립 (213) 은, 렌즈 홀더 (201), 렌즈 커버 (203), 또는 어저스터 (406) 중 하나 또는 복수와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도 59 및 60 은, 렌즈 유닛 (200) 의 각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유닛 (200) 은, 렌즈 커버 (203), ID 매체 (402), 나사 형상 멈춤구 (408), 렌즈 일체형 렌즈 홀더 (405), 어저스터 (406), 슬라이딩 방지구 (407) 로 구성된다. 여기에 추가로, 상기 서술한 클립 (213) 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도 60 은, 추가로 O 링 (412) 을 형성한 예이다. O 링 (412) 은, 나사 형상 멈춤구 (408) 와 어저스터 (406) 사이에 삽입된다.
또, 렌즈 홀더 (201) 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어저스터 (406) 를 나사에 의해 탈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렌즈 홀더 (405) 는, 렌즈 (202) 와 일체형이 아니라,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 밖의 구조)
그 밖에 본 실시예의 렌즈 유닛 (200) 에는, 여러 가지 구조가 있을 수 있다.
도 61 은, 렌즈 일체형 렌즈 홀더 (405) 의 상부 개구부의 외주벽 주변에 대좌 (413) 를 형성한 것이다. 대좌 (413) 를 형성함으로써, 피사체를 안정적으로 재치할 수 있어, 촬영시의 흔들림을 막을 수 있다.
대좌는, 렌즈 홀더 (201, 405) 또는 렌즈 커버 (203) 와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또, 대좌와 렌즈 커버 (203) 와 렌즈 홀더 (201, 405) 가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렌즈 유닛 (200) 에는, 도 29(c) 에서 설명한 IR 필터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렌즈 유닛에는, 도 26 ∼ 29 에서 설명한 광원 및 전원을 형성해도 된다.
(이용 형태)
도 62 는, 상기 서술한 렌즈 유닛 (200) 의 가장 바람직한 이용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동 도 (a) 는, 도 54 에서 나타낸, 클립 (213) 을 갖지 않은 렌즈 유닛 (200) 의 이용 형태이다.
클립 (213) 을 갖지 않은 렌즈 유닛 (200) 은, 태블릿형 PC (212) 에 대한 이용에 적합하다. 태블릿형 PC (212) 는, 책상에 재치하여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렌즈 유닛 (200) 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 도 (b) (c) 는, 도 52, 55 에서 나타낸, 클립 (213) 을 갖는 렌즈 유닛 (200) 의 이용 형태이다.
클립 (213) 을 갖는 렌즈 유닛 (200) 은, 스마트폰 (222) 나 휴대전화에 대한 이용에 적합하다. 스마트폰 (222) 나 휴대전화는 손에 쥐고 이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렌즈 유닛 (200) 을 단지 배치하는 것만으로는, 렌즈 유닛 (200) 이 어긋나거나 빠지거나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동 도 (b) 는, 어저스터 (406) 를 하부로 이동시킨 경우이다. 카메라와 렌즈 (202) 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핀트가 정확하게 맞지 않아, 적절한 촬영 화상을 얻을 수 없다. 그래서, 어저스터 (406) 를 이동시킴으로써 카메라와 렌즈의 거리를 적정하게 유지한다.
동 도 (c) 는, 어저스터 (406) 를 상부로 이동시킨 경우이다. 동 도에서는, 스마트폰 (222) 에 스마트폰용 커버 (414) 가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와 스마트폰용 커버 (414) 사이에는, 이미 일정한 거리가 발생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어저스터 (406) 를 상부로 이동시켜, 카메라와 렌즈 (202) 의 거리가 멀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어저스터를 사용함으로써, 카메라의 렌즈의 표면에서부터 본 렌즈 유닛 (200) 의 렌즈 (202) 단까지의 거리 (H) 를 최적 거리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렌즈 유닛 (200) 은 태블릿형 PC (212), 스마트폰 (222), 휴대전화의 상태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연성, 편리성이 우수하다.
또, 렌즈 유닛 (200) 의 이용 형태는 상기 서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기호나 사용 상황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인체 부위의 촬영)
그리고 본 발명의 렌즈 유닛 (200) 은, 도트 패턴뿐만 아니라, 인체의 부위를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체의 부위란, 피부, 두피, 털, 손톱, 눈 등이다. 인체를 예시하였지만, 소정의 부위로는 사람에 한정되지 않고 생물의 부위 모두가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부위로는 고유한 특징을 갖는 피사체 또는 촬영 화상이면 무엇이든지 상관없으며, 고유의 ID 코드와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피사체여도 상관없다.
일례로서, 인체의 피부를 촬영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부의 컨디션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30 배 정도로 확대한 고정밀도의 피부 화상이 불가결하다. 지금까지 고액의 피부 진단기로 촬영하지 않으면 정확한 피부 진단은 불가능하다고 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의 렌즈 유닛 (200) 을 스마트폰 (222) 에 장착함으로써 간단하게 고정밀도의 피부 화상의 촬영이 가능해진다. 대부분의 여성은 보호 케이스에 넣어 스마트폰 (222) 을 사용하는데, 케이스 위에서부터 장착해도 초점이 맞는 어저스트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보호 케이스를 떼어내는 일없이 최적의 촬영이 가능해졌다. 또한, 렌즈 개구부에 도트 코드에 의한 ID 를 형성하고, 피부와 함께 도트 코드를 촬영하여 개인의 피부 진단을 실시함으로써, 적절한 에이징 케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촬영된 피부 화상은 촬영 환경, 요컨대 옥외에서의 아침 저녁이나 주변 환경 (저녁노을이나 흐림, 비, 눈, 건물의 색, 녹색숲 안 등) 의 촬영이나, 옥내에서의 조명이나 주변 환경 (벽의 색이나 조명의 색ㆍ강도ㆍ배치 등) 의 촬영에 따라서 렌즈에 들어가는 빛의 색이 변화하기 때문에, 적정한 피부 진단이 곤란해진다. 또, 촬영 환경 이외에도, 스마트폰 (222) 의 기종에 따라서는 약간 푸른 기가 돌거나, 붉은 기가 돌거나, 뿌옇게 비치도록 카메라의 성능의 차이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매체 자체의 색을 백색으로 하고, 촬영된 피부 화상과 동시에 촬영된 ID 매체 (402) 의 화상에 있어서, ID 매체 (402) 의 백색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화상 해석하여 피부 화상의 보정량을 구하고, 이 보정량을 기초로 피부 화상의 보정을 실시한다. 또한, 렌즈의 주변에서 들어가는 빛은 균일하지 않고, 방향에 따라서도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도 63 과 같이, 적어도 서클 도트 (300) 가 형성되어 있는 주위의 4 ∼ 8 방향에서의 매체의 화상을 기초로 화상 해석하여 피부 화상의 보정량을 정할 필요가 있다. 도 63 에서는, 오른쪽 밑에서부터 빛이 강하게 입사되고 있는 사례이다. 이들 4 ∼ 8 방향에서의 보정량을 기초로, 피부 촬영 영역 전역의 보정량을 보간하여 피부 화상의 보정을 실시한다. 보정량의 가장 간단한 계산 방법은, 백색은 R, G, B 가 100 % 이기 때문에, 촬영된 ID 매체 화상을 R', G', B'로 하면, 보정량은 그 차분인 ΔR = R-R', ΔG = G-G', ΔB = B-B'가 되고, 촬영된 피부 화상에 ΔR, ΔG, ΔB 를 가산하면 된다. 또, 화상 해석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피부 진단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빛 환경과 카메라에 있어서 ID 매체 (402) 의 백색을 촬영하고, 촬영된 R, G, B 의 값을 기준으로 보정량을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클 도트 (300) 의 도트를 흑색으로 인쇄하고, 촬영된 ID 매체 (402) 의 백색과 도트의 흑색을 사용하여 보정량을 계산하면 더욱 정밀도가 향상된다. 흑색은 R, G, B 가 0 % 이기 때문에, 촬영된 ID 매체 (402) 상의 서클 도트 화상을 R”, G”, B”로 하면, 백색을 기초로 한 보정량 ΔR, ΔG, ΔB 와, 흑색을 기초로 한 보정량 R”, G”, B”로 보완되는 보정량 (촬영된 피부 화상은, R, G, B 의 레벨에 따라서 보정량이 상이하다) 을 R, G, B 레벨의 전역에서 구하고, 피부 화상을 보정하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피부 촬영 영역의 주변의 ID 매체 (402) 의 도트가 4 ∼ 8 방향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또, ID 매체를 흑색, 도트를 백색으로 하여, 동일하게 보정량을 계산해도 된다. 또, 도트를 흑색이 아니라 R, G, B 를 사용하여, 각 색으로 보정량을 계산해서 피부 화상을 보정해도 된다.
여기서, 피부 촬영 영역 주변의 ID 매체의 4 ∼ 8 방향의 위치에 도트를 반드시 배치하기 위해서는, 하기에 나타내는 제 2 서클 도트 패턴을 사용하면 된다.
도 64 와 같이, 서클 도트 패턴은, 서클 상의 가상 폐쇄 곡선 상에 소정 간격으로 기준 도트를 배치하고, 기준 도트의 적어도 1 개를 다른 도트와 식별할 수 있는 형태의 키 도트로 하여, 서클 도트 패턴의 배치 방향과 시점을 정의하고, 가상적으로 기준 도트에 의해 정의된 서클 (가상 폐쇄 곡선) 상에 있어서, 기준 도트의 배치로부터 정해지는 가상점을 시점으로 하여, 거리와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 정보 도트를 배치하여 정보를 정의한다. 키 도트는, 다른 정보 도트와 식별하기 위해서는, (1) 도트의 크기를 바꾼다. (2) 도트의 형상을 바꾼다. (3) 소정의 방향으로 도트를 이동시킨다. (4) 복수의 도트를 배치한다. (5) 도트의 색을 바꾼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키 도트를 표현한다. 그리고 추가로 가상점에 도트를 배치할지 여부에 의해서도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동 도의 (a) 에서는, 기준 도트의 상방에 1 개의 도트를 배치하고, 이 2 개의 도트로 키 도트를 정의하고 있다. 정보 도트는 키 도트의 방향 (상방) 을 기준으로 하여 비스듬한 4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동 도의 (b) 에서는, 서클 (가상 폐쇄 곡선) 을 사이에 끼우듯이 2 개의 도트를 서클의 법선 방향에 배치하여 키 도트를 정의하고 있다. 정보 도트는 서클의 법선 방향 외향을 기준으로 하여 비스듬한 4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정보 도트는, 키 도트의 방향 (상방) 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좌우 방향에 배치해도 된다. 또, 서클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좌우 방향에 배치해도 된다. 그 때, 좌우 방향은 서클을 따라서 배치해도 된다. 물론, 상하 방향을 없애고 서클 방향에만 정보 도트를 배치해도 된다. 또, 모든 정보 도트의 배치는 임의의 방향으로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65 은, 정보 도트의 배치에 의해 정의되는 수치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의 (a) 는 비스듬한 4 방향, 동 도의 (b) 는 상하 4 방향, 동 도의 (c) 는 비스듬한 4 방향과 상하 4 방향의 8 방향의 수치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상점에서부터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더욱 많은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정보량을 늘리기 위해서, 서로 닮은 형태이며 크기가 상이한 서클 도트를 동일한 중심점에서 복수 배치해도 된다.
또, 피부 진단은 직접 피부 화상을 촬영하지 않고, 각질 체커를 피부에 부착하고, 피부로부터 각질층을 채취한 각질 체커를 본 발명의 렌즈 유닛 (200) 을 사용하여 촬영해도 된다. 어느 쪽이던 간에, 촬영 화상을 외부 데이터 베이스에 송신한다. 외부 데이터 베이스측에서 화상 처리 및 패턴 인식을 실시하여 피부 화상의 데이터 베이스와 대조, 피부 진단을 실시하여, 결과를 사용자에게 회신하는 서비스는 매우 사용자의 요구에 합치하는 것이다.
<색 보정에 관해서>
다음으로, 소정의 피사체의 색 보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얼굴의 피부 사진을 촬영한 경우, 아침에 촬영하였을 때와 저녁에 촬영한 경우에서는 피부의 색이 다르다. 저녁은, 빛이 붉어지기 때문에, 붉은 기를 띤다. 요컨대, 소정의 피사체는, 자연광이나 조명 등에 의한 환경광에 의해서 촬영한 색이 영향을 받는다.
어느 물체가 본래 가지고 있는 색을 표면색이라고 한다. 빛에 의해서 그 색이 변하는 것을, 빛의 연출 효과라고 한다.
빛의 연출 효과에 의해서 소정의 피사체의 색이 변하기 때문에, 조정을 행하지 않으면, 진짜 피사체의 색을 알 수 없다. 특히 검사ㆍ분석 목적으로 피사체의 촬영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보정을 행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하, 색 보정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도 66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6 은, 색 보정에 사용하는 ID 매체이다. 외측의 모양은, 색 보정에 사용된다. 그 내측에는, ID 코드인 서클 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중앙은 개구부로 되어 있거나, 또는 필름 등의 투명 시트를 형성한 투명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 ID 매체라고 기재하고 있지만, 반드시 ID 코드가 인쇄되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에는 색 보정 매체로 한다.
(케이스 1 : 백색을 사용하는 경우)
도 66(a) 는, 백색으로 색 보정을 행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ID 매체 (색 보정 매체) 이다.
피사체를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경우, 그 화상은 RGB 로 촬영된다. 색 보정 매체의 완전한 백색은, 백색광을 조사하면, 각 색에 있어서 전부 반사된다. 따라서, R = 100, G = 100, B = 100 이다. 한편, 현실의 환경광 하에서 촬영한 경우에는, 완전한 백색이라도 반드시 R = 100, G = 100, B = 100 이 된다고는 말할 수 없다. 백색을 사용하여 색 보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백색을 촬영한 각 R, G, B 값을 100 으로부터 빼서 구한 차분을, 피사체를 촬영한 화소의 각 R, G, B 값에 가산하면 된다.
색 보정 매체의 외측 주변의 백색 부분을 촬영했을 때에, 예를 들어, R = 95, G = 80, B = 90 이었다고 하자. 이 경우의 차분은, R = 5, G = 20, B = 10 인 것으로부터, 환경광이나 카메라의 개체차에 의해 각 빛의 강도가 영향을 받고 있다. 여기서, 피사체를 촬영한 화상 전역의 화소값마다 R = 5, G = 20, B = 10 을 가산하면, 백색의 부분에 대해서는 R = 100, G = 100, B = 100 으로 보정한 것으로 되어, 완전한 백색을 표현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흑색을 촬영한 경우라도 그 영역은 반드시 R = 5, G = 20, B = 10 이상이 되어, 흑색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다. 이는, 흑색과 백색의 중간값의 것도 올바르게 보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래서, 도 6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한 피사체의 화소값을 RGB, 보정 후의 화소값을 R'G'B' 로 하고, 색 보정 매체의 백색의 부분을 촬영한 결과의 화소값을 rgb 로 하면,
보정 후의 R' 는 R = 1 ∼ 100 을 채용하기 때문에, 편의상 미지수 x 에 대하여 선형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하여,
R' = x ----- (1)
또한, 색 보정 매체의 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r 과, R 에서 R' 를 이끌어낼 때, (1) 과 동일값이 되는 x 를 사용하여,
R = rx/100 ----- (2)
따라서,
x = 100R/r 이 된다.
이것을 (1) 식에 대입하면, 미지수 x 가 사라지고 R'가 구해진다.
R' = 100R/r 이 되어, 보정 후의 R 값이 구해진다.
이 계산 방법에 의해 G', B'도 구해진다.
이상으로부터, 피사체를 촬영한 화상 전역의 화소값마다 상기한 계산을 함으로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식은 선형으로 중간색을 보간한 것에 불과하다. 더욱 보정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γ 보정이나 그 밖의 보정식, 실험식 또는 실험에서 얻어진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 2 : 백색과 흑색을 사용하는 경우)
도 66(b) 는, 백색과 흑색의 인쇄로 색 보정을 행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ID 매체 (색 보정 매체) 이다. 흑색은 빛을 전부 흡수하기 때문에, 어떤 빛을 쏘여도 흑색이 된다. 요컨대, 빛의 색에 영향받지 않고, R = 0, G = 0, B = 0 이 된다. 그 때문에, 흑색은 색 보정의 기준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단, 카메라의 개체차에 따른 영향은 꼭 그렇지만은 않다.
본래, 색의 값은 0 ∼ 100 이다. 그러나, 색 보정 매체의 흑색 부분을 촬영했을 때에, R = 5, G = 10, B = 0, 색 보정 매체의 백색 부분을 촬영했을 때에, R = 95, G = 80, B = 90 이었던 경우, 촬영한 피사체의 화소값은, R = 5 ∼ 95, G = 10 ∼ 80, B = 0 ∼ 90 의 범위의 값이 되고, 이들을 0 ∼ 100 의 계조가 되도록 보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도 6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한 피사체의 화소값을 RGB, 보정 후의 화소값을 R'G'B' 로 하고, 색 보정 매체의 흑색 부분을 촬영한 결과의 화소값을 r0g0b0, 백색 부분을 촬영한 결과의 화소값을 rgb 로 하면, 보정 후의 R'는 R = 1 ∼ 100 을 채용하기 때문에, 편의상 미지수 x 에 대하여 선형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하여,
R' = x ----- (1)
또한, 색 보정 매체의 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r, r0 과, R 에서 R' 를 이끌어 낼 때, (1) 과 동일값이 되는 x 를 사용하여,
R = (r - r0)x/100+r0 ----- (2)
따라서,
((r - r0)/100) × x = R - r0
x = 100 (R - r0)/(r - r0) 이 된다.
이것을 (1) 식에 대입하면, 미지수 x 가 사라지고 R'가 구해진다.
R' = 100(R - r0)/(r - r0) 이 되어, 보정 후의 R 값이 구해진다.
이 계산 방법으로 G', B' 도 구해진다. 또, 백색에서의 보정과 마찬가지로, 상기 식은 선형으로 중간색을 보간한 것에 불과하다. 더욱 보정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γ 보정이나 그 밖의 보정식, 실험식 또는 실험에서 얻어진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 3 : 적색, 녹색, 청색을 사용하는 경우)
도 66(c) 는, 적색, 녹색, 청색의 인쇄로 색 보정을 행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ID 매체 (색 보정 매체) 이다.
피사체를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경우, 그 화상은 RGB 로 촬영된다. 색 보정 매체에 인쇄되는 적색, 녹색, 청색은 백색광을 조사하면, 각 색에 있어서 전부 반사된다. 따라서, R = 100, G = 100, B = 100 이 된다. 한편, 현실의 환경광 하에서 촬영한 경우에는 완전한 적색, 녹색, 청색이라도, 반드시 R = 100, G = 100, B = 100 이 된다고는 말할 수 없다. 그래서, RGB 를 사용하여 색 보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적색, 녹색, 청색을 촬영한 각 R, G, B 값을 100 으로부터 빼서 구해지는 차분을, 피사체를 촬영한 화소의 각 R, G, B 값에 가산하면 된다.
색 보정 매체의 외측 주변의 적색, 녹색, 청색의 부분을 촬영하였을 때에, 예를 들어, R = 95, G = 80, B = 90 이었다고 하자. 이 경우의 차분은, R = 5, G = 20, B = 10 으로, 환경광이나 카메라의 개체차에 따라서 각 빛의 강도가 영향을 받고 있다. 여기서, 피사체를 촬영한 화상 전역의 화소값마다 R = 5, G = 20, B = 10 을 가산하면, 적색, 녹색, 청색의 부분에 대해서는 R = 100, G = 100, B = 100 으로 보정한 것이 되어, 완전한 적색, 녹색, 청색을 표현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흑색을 촬영한 경우라도, 그 영역은 반드시 R = 5, G = 20, B = 10 이상이 되어, 흑색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다. 이는, 흑색과 백색의 중간값도 올바르게 보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래서, 도 6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한 피사체의 화소값을 RGB, 보정 후의 화소값을 R'G'B'로 하고, 전술한 색 보정 매체의 적색, 녹색, 청색의 부분을 촬영한 결과를 rgb 로 하면, 보정 후의 R'는 R = 1 ∼ 100 을 채용하기 때문에, 편의상 미지수 x 에 대하여 선형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하여,
R' = x ----- (1)
또한, 색 보정 매체의 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r 과, R 에서 R' 를 이끌어낼 때, (1) 과 동일값이 되는 x 를 사용하여,
R = rx/100 ----- (2)
따라서,
x = 100R/r 이 된다.
이것을 (1) 식에 대입하면, 미지수 x 가 사라지고 R'가 구해진다.
R' = 100R/r 이 되어, 보정 후의 R 값이 구해진다.
이 계산 방법에 의해 G', B'도 구해진다.
이상으로부터, 피사체를 촬영한 화상 전역의 화소값마다 상기한 계산을 함으로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식은 선형으로 중간색을 보간한 것에 불과하다. 더욱 보정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γ 보정이나 그 밖의 보정식, 실험식 또는 실험에서 얻어진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 4 : 적색, 녹색, 청색, 흑색을 사용하는 경우)
도 66(d) 는, 적색, 녹색, 청색, 흑색의 인쇄로 색 보정을 행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ID 매체 (색 보정 매체) 이다. 흑색은 빛을 전부 흡수하기 때문에, 어떤 빛을 쏘여도 흑색이 된다. 요컨대, 빛의 색에 영향받지 않고서, R = 0, G = 0, B = 0 이 된다. 그 때문에, 흑색은 색 보정의 기준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단, 카메라의 개체차에 따른 영향은 꼭 그렇지만은 않다.
본래, 색의 값은 0 ∼ 100 이다. 그러나, 색 보정 매체의 흑색 부분을 촬영했을 때에, R = 5, G = 10, B = 0, 색 보정 매체의 적색, 녹색, 청색 부분을 촬영했을 때에, R = 95, G = 80, B = 90 이었던 경우, 촬영한 피사체의 화소값은, R = 5 ∼ 95, G = 10 ∼ 80, B = 0 ∼ 90 의 범위의 값이 되고, 이들을 0 ∼ 100 의 계조가 되도록 보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도 6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한 피사체의 화소값을 RGB, 보정 후의 화소값을 R'G'B' 로 하고, 색 보정 매체의 흑색 부분을 촬영한 결과의 화소값을 r0g0b0, 적색, 녹색, 청색 부분을 촬영한 결과의 화소값을 rgb 로 하면, 보정 후의 R' 는 R = 1 ∼ 100 을 채용하기 때문에, 편의상 미지수 x 에 대하여 선형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하여,
R' = x ----- (1)
또한, 색 보정 매체의 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r, r0 과, R 에서 R' 를 이끌어 낼 때, (1) 과 동일값이 되는 x 를 사용하여,
R = (r - r0)x/100+r0 ----- (2)
따라서,
((r - r0)/100) × x = R - r0
x = 100 (R - r0)/(r - r0) 이 된다.
이것을 (1) 식에 대입하면, 미지수 x 가 사라지고 R' 가 구해진다.
R' = 100(R - r0)/(r - r0) 이 되어, 보정 후의 R 값이 구해진다.
이 계산 방법으로 G', B' 도 구해진다. 또, 백색에서의 보정과 마찬가지로, 상기 식은 선형으로 중간색을 보간한 것에 불과하다. 더욱 보정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γ 보정이나 그 밖의 보정식, 실험식 또는 실험에서 얻어진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색 보정 매체를 사용했을 때의 피사체를 촬영한 화상의 보정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백색, 적색, 녹색, 청색의 색 보정 매체를 촬영했을 때, 어느 것의 화소값이 100 이 된 경우, 본래는 100 을 초과한 화소값으로, 포화 (saturation) 가 발생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카메라의 감도 등의 보정에 의해, RGB 의 어느 화소값도 100 을 약간 하회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흑색에 대해서도 RGB 의 어느 화소값도 0 을 약간 상회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방으로부터 빛이 들어가는 경우)
빛은 반드시 피사체에 균일하게 조사되는 것은 아니며, 태양빛이거나 조명이라도 실제로는 측방으로부터 빛이 입사되어, 균일하지 않고 밝은 측에서부터 약간 어두운 측으로 서서히 밝기나 색이 변화하여, 피사체가 조사되는 경우가 많다.
도 67(a) 에서는, 이러한 색 보정 매체에 링 형상으로 백색과 흑색을 형성함으로써,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빛의 변화를 상세히 계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빛의 변화를 색 보정하기 위한 순서를 이하에 나타낸다.
(1) 도 6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색 및 흑색의 계측점을 필요 장소에 형성하고 (본 도에서는 12 군데), (케이스 2 : 백색과 흑색을 사용하는 경우) 의 산정 방식에 따라서, 당해 장소의 rgb 값과 r0g0b0 값의 각각을 계측한다. 백색 및 흑색 모두, 원주 상 등간격으로 8 ∼ 12 점의 계측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백색 및 흑색에 관해서, 색 보정 매체의 중심점 (원주 상의 계측점의 중심점) 을 평균값 계산점으로 하여, 원주 상의 계측 결과의 각 평균값을 당해 평균값 계산점의 rgb 값과 r0g0b0 값으로 한다.
(3) 평균값 계산점의 rgb 값과 r0g0b0 값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원주 상의 계측 결과의 rgb 값과 r0g0b0 값까지의 각 값을 선형 보간에 의해, 반경 방향의 전체 화소의 위치에 있어서의 rgb 값과 r0g0b0 값을 구한다. 계산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전체 화소가 아니라 반경 방향을 소정의 수로 분할하고, 그 분할 구간을 대표하는 점의 각 값을 구해도 된다.
(4) 반경 방향의 보간점에서부터, 각 값을 선형 보간에 의해, 원주 방향의 전체 화소의 위치에 있어서의 rgb 값과 r0g0b0 값을 구한다. 물론 계산을 간략화하게 하기 위해서, 전체 화소가 아니라 원주 방향을 소정의 수로 분할하고, 그 분할 구간을 대표하는 점의 각 값을 구해도 된다.
(5) (3), (4) 에 의해 구해진 rgb 값과 r0g0b0 값으로부터, (케이스 2 : 백색과 흑색을 사용하는 경우) 의 산정 방식을 따라서, 당해 위치의 화소의 색을 보정한다. 또, 계산을 간략화한 경우에는, 반경 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분할한 구간으로 형성되는 영역의 보정은 동일 식으로 실시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피사체에 조사하는 빛의 변화를 시뮬레이션하고, 검사ㆍ분석 목적에서도 사용에 견딜 수 있는 색 보간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67(b) 에서는, 백색과 흑색을 교대로 배치하고 있지만, 백색과 흑색 합하여 근접하는 4 군데의 각각에서 rgb 값과 r0g0b0 값을 계측하고, 각각의 평균값을 구하여, 당해 평균값을 도 69(b) 의 rgb 값 계산 대표점의 rgb 값과 r0g0b0 값으로 한다. 이 이후의 색 보정은, 전술한 방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된다. 도 67(c), (d) 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보간 및 색 보정을 실시하면 된다. 말할 필요도 없지만, 2 차원적으로 보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어, 적절한 방법으로 보간하면 된다.
본 발명은, 엽서, 우표, 그리팅 카드, 쿠폰, 게임 카드, 교육용 카드, 피규어 외에, 종래의 바 코드나 QR 코드 등의 2 차원 코드가 이용되고 있는 모든 인쇄 매체에 대하여, 가시광에 의해 판독 가능한 눈에 보이지 않는 도트 패턴을 부여한다고 하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블릿형 PC, 스마트폰, 휴대전화에 보호 케이스의 위에서부터도 장착 가능한 렌즈 유닛을 제공한다고 하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서클 패턴이 형성된 ID 매체를 비롯해, 원 형상이나 도넛 형상의 매체용에 2 차원 코드로서 도트 패턴을 제공하는 것과 함께, ID 매체와 피사체를 동시에 촬영하고, ID 와 피사체를 연관시킨다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촬영 화상의 색을 피사체 본래의 색으로 보정하는 색 보정의 기술에 의해 인체의 피부 등을 정확하게 검사ㆍ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미용, 의료 분야에서의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101 : 도트 패턴
102 : 이미지 영역
1021 : 소정 영역
1022 : 성분 영역
103 : 인쇄 매체
104: 아이콘
105 : 서버
106 : 고객 단말
107 : 제공자 단말
108 : 인쇄 장치
200 : 렌즈 유닛
201 : 렌즈 홀더
202 : 렌즈
203 : 렌즈 커버
204 : 투명 렌즈 커버
205 : LED
206 : 배터리
207 : 전지 버튼
208 : 백색 LED
209 : 디퓨저
210 : IR LED
211 : IR 필터
212 : 태블릿형 PC
213 : 클립
214 : 카드
215 : 가드
216 : 피규어
221 : 케이스
222 : 스마트폰
230 : 적외선 차단 필터
300 : 서클 패턴
301 : 마크
302 : 시점 마크
303 : 정보 도트
304 : 정보 도트간 둘레 길이
305 : 정보 도트간 거리
401 : ID 코드
402 : ID 매체
403 : 개구부
404 : 핀트 맞춤용 모양
405 : 렌즈 일체형 렌즈 홀더
406 : 어저스터
407 : 슬라이딩 방지구
408 : 나사 형상 멈춤구
409 : 링 형상 멈춤구
400 : 아암
411 : U 자상 멈춤구
412 : O 링
413 : 대좌
414 : 스마트폰용 커버

Claims (76)

  1. 카메라와, 정보 코드를 복호화하는 해석 수단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장착하는 렌즈 유닛으로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구를 둘러싸도록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되는 하부 개구부와, 상부 개구부를 양단에 구비하는 통 형상의 렌즈 홀더와,
    상기 통 형상의 렌즈 홀더 내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렌즈와,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장착되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에 필요한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을 갖고, 상기 해석 수단에 있어서 인증하기 위한 상기 정보 코드의 하나인 ID 코드가 부호화된 패턴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된 ID 매체를 구비한 렌즈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D 매체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부착되거나, 끼우거나, 또는 밀어 넣는 것 중 어느 것에 의해 장착되는 렌즈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ID 코드가 부호화된 패턴은, 상기 ID 매체의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의 주연 근방에 형성된 렌즈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소정의 원의 둘레 상 또는 소정의 타원의 둘레 상 또는 소정의 닫힌 곡선의 둘레 상에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배치된 복수의 마크로 형성되고, 그 소정의 규칙에 의해 상기 ID 코드가 부호화된 서클 패턴인 렌즈 유닛.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D 매체의 개구부의 주연 근방 또는, 상기 ID 매체의 투명 영역의 중앙 근방 또는 주연 근방에, 상기 카메라의 촬영시에 핀트를 맞추기 쉽게 하기 위한 모양이 인쇄된 렌즈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양은 투과성의 잉크로 인쇄된 렌즈 유닛.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D 매체는 상기 렌즈 홀더와 일체 성형된 렌즈 유닛.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은, 또한 소정의 위치에 적외선 필터를 구비한 렌즈 유닛.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피사체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접면하여 촬영되는 렌즈 유닛.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에 필요한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을 갖는 렌즈 커버를 추가로 구비한 렌즈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피사체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 또는 상기 렌즈 커버에 접면하여 촬영되는 렌즈 유닛.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ID 매체는, 상기 렌즈 커버의 상부 개구부에 부착되거나, 끼우거나, 밀어 넣거나, 또는 그 렌즈 커버와 상기 렌즈 홀더 사이에 삽입되는 것 중 어느 것에 의해 장착되는 렌즈 유닛.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커버는, 상기 렌즈 홀더와 상기 ID 매체 중 적어도 어느 것과 일체 성형된 렌즈 유닛.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은 또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렌즈 홀더의 하부 개구부에 장착한 슬라이딩 방지구를 구비한 렌즈 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방지구는, 상기 렌즈 홀더의 하부 개구부에 부착되거나, 끼우거나, 또는 밀어 넣는 것 중 어느 것에 의해 장착되는 렌즈 유닛.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방지구는 상기 렌즈 홀더와 일체 성형된 렌즈 유닛.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하부 개구부에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에 필요한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을 갖고, 상기 렌즈로부터 상기 카메라까지의 적정한 거리로 조절하는 어저스터를 추가로 구비한 렌즈 유닛.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은 또한,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의 외주벽 주변에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안정적으로 재치하기 위한 대좌를 구비한 렌즈 유닛.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는, 상기 렌즈 홀더와 일체 성형된 렌즈 유닛.
  20. 제 10 항에 종속하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와,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에 필요한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을 갖는 렌즈 커버가 일체 성형된 렌즈 유닛.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은 또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카메라 또는 상기 카메라가 내장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장착하기 위해서, 그 렌즈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을 구비한 렌즈 유닛.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아암은, 일방의 단부가 상기 렌즈 홀더에 장착되고, 또다른 일방의 단부는 상기 카메라가 구비된 정보 처리 장치의 뒤쪽을 사이에 끼워넣듯이 형성된 렌즈 유닛.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에 장착되는 상기 클립의 아암의 일방의 단부는, 링 형상 또는 U 형상의 멈춤구이고, 그 멈춤구에 그 렌즈 홀더를 통해서 장착된 렌즈 유닛.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멈춤구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나사 형상의 제 2 멈춤구가 상기 렌즈 홀더를 통해서 장착된 렌즈 유닛.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멈춤구와 상기 제 2 멈춤구 사이에 O 링이 상기 렌즈 홀더를 통해서 장착된 렌즈 유닛.
  26. 제 2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렌즈 홀더, 상기 렌즈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 성형된 렌즈 유닛.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뒤쪽을 사이에 끼우고, 상기 렌즈 유닛을 위를 향하게 하여 그 정보 처리 장치를 수평면에 재치한 경우, 그 클립의 아암이 수평면에 소정의 영역이 접면하도록 설계된 렌즈 유닛.
  28. 카메라와, 정보 코드를 복호화하는 해석 수단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장착하는 렌즈 유닛으로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구를 둘러싸도록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되는 하부 개구부와, 상부 개구부를 양단에 구비하는 통 형상의 렌즈 홀더와,
    상기 통 형상의 렌즈 홀더 내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렌즈와,
    상기 렌즈 홀더의 하부 개구부에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에 필요한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을 갖고, 상기 렌즈로부터 상기 카메라까지의 거리를 적정하게 조절하는 어저스터를 구비한 렌즈 유닛.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장착되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에 필요한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을 갖고, 상기 해석 수단에 있어서 인증하기 위한 상기 정보 코드의 하나인 ID 코드가 부호화된 패턴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된 ID 매체를 추가로 구비한 렌즈 유닛.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ID 매체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부착되거나, 끼우거나, 또는 밀어 넣는 것 중 어느 것에 의해 장착되는 렌즈 유닛.
  31.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ID 코드가 부호화된 패턴은, 상기 ID 매체의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의 주연 근방에 형성된 렌즈 유닛.
  32. 제 29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소정의 원의 둘레 상 또는 소정의 타원의 둘레 상 또는 소정의 닫힌 곡선의 둘레 상에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배치된 복수의 마크로 형성되고, 그 소정의 규칙에 의해 상기 ID 코드가 부호화된 서클 패턴인 렌즈 유닛.
  33. 제 29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D 매체의 개구부의 주연 근방 또는, 상기 ID 매체의 투명 영역의 중앙 근방 또는 주연 근방에, 상기 카메라의 촬영시에 핀트를 맞추기 쉽게 하기 위한 모양이 인쇄된 렌즈 유닛.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양은, 투과성의 잉크로 인쇄된 렌즈 유닛.
  35. 제 29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D 매체는 상기 렌즈 홀더와 일체 성형된 렌즈 유닛.
  36. 제 29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은 또한, 소정의 위치에 적외선 필터를 구비한 렌즈 유닛.
  37. 제 28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피사체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접면하여 촬영되는 렌즈 유닛.
  38. 제 29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에 필요한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을 갖는 렌즈 커버를 추가로 구비한 렌즈 유닛.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피사체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 또는 상기 렌즈 커버에 접면하여 촬영되는 렌즈 유닛.
  40. 제 29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은 또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렌즈 홀더의 하부 개구부에 장착한 슬라이딩 방지구를 구비한 렌즈 유닛.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방지구는, 상기 렌즈 홀더의 하부 개구부에 부착되거나, 끼우거나, 또는 밀어 넣는 것 중 어느 것에 의해 장착되는 렌즈 유닛.
  42. 제 40 항 또는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방지구는 상기 렌즈 홀더와 일체 성형된 렌즈 유닛.
  43. 제 40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방지구는, 상기 어저스터의 개구부에 부착되거나, 끼우거나, 밀어 넣거나, 또는 그 어저스터와 상기 렌즈 홀더 사이에 장착되는 것 중 어느 것에 의해 장착되는 렌즈 유닛.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터는, 상기 렌즈 홀더 또는 상기 슬라이딩 방지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 성형된 렌즈 유닛.
  45. 제 29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은 또한,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의 외주벽 주변에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안정적으로 재치하기 위한 대좌를 구비한 렌즈 유닛.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는, 상기 렌즈 홀더와 일체 성형된 렌즈 유닛.
  47.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와, 상기 렌즈 홀더의 상부 개구부에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에 필요한 개구부 또는 투명 영역을 갖는 렌즈 커버가 일체 성형된 렌즈 유닛.
  48. 제 29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은 또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카메라 또는 상기 카메라가 내장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장착하기 위해서, 그 렌즈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을 구비한 렌즈 유닛.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아암은, 일방의 단부가 상기 렌즈 홀더에 장착되고, 또다른 일방의 단부는 상기 카메라가 구비된 정보 처리 장치의 뒤쪽을 사이에 끼워넣듯이 형성된 렌즈 유닛.
  50. 제 48 항 또는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에 장착되는 상기 클립의 아암의 일방의 단부는, 링 형상 또는 U 형상의 멈춤구이고, 그 멈춤구에 그 렌즈 홀더를 통해서 장착된 렌즈 유닛.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멈춤구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나사 형상의 제 2 멈춤구가 상기 렌즈 홀더를 통해서 장착된 렌즈 유닛.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멈춤구와 상기 어저스터 또는 상기 제 2 멈춤구 사이에 O 링이 상기 렌즈 홀더를 통해서 장착된 렌즈 유닛.
  53. 제 38 항에 종속하는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렌즈 홀더, 상기 렌즈 커버, 또는 상기 어저스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 성형된 렌즈 유닛.
  54. 제 38 항에 종속하는 제 45 항에 종속하는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좌, 상기 렌즈 커버, 상기 제 2 멈춤구, 상기 클립, 또는 상기 어저스터 중 적어도 그 어저스터는 나사에 의해 탈착 가능한 렌즈 유닛.
  55.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뒤쪽을 사이에 끼우고, 상기 렌즈 유닛을 위를 향하게 하여 그 정보 처리 장치를 수평면에 재치한 경우, 그 클립의 아암이 수평면에 소정의 영역이 접면하도록 설계된 렌즈 유닛.
  56. 제 1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렌즈 유닛.
  57. 제 1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되어 있고, 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소정의 피사체의 화상 및/또는 상기 해석 수단에 의해 복호화된 정보 코드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렌즈 유닛.
  58. 제 1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해석 수단을 포함하는 렌즈 유닛.
  59. 제 1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피사체는, 정보 코드가 부호화된 도트 패턴이 인쇄된 인쇄 매체로서,
    상기 해석 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도트 패턴으로부터 정보 코드를 복호화하는 렌즈 유닛.
  60. 제 1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렌즈와 일체 성형된 렌즈 유닛.
  61. 제 1 항 내지 제 6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은 또한, 상기 소정의 피사체에 대략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상기 렌즈 홀더의 외주벽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광원과,
    상기 광원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구비한 렌즈 유닛.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렌즈 유닛.
  63.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제 29 항 내지 제 6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패턴으로부터 ID 코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소정의 피사체의 촬영 화상을 대응시켜 기록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한 렌즈 유닛.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된 복호화된 ID 코드와 함께, 그 ID 코드에 대응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피사체의 촬영 화상을 서버에 송신하는 정보 처리 수단을 구비한 렌즈 유닛.
  65. 제 1 항 내지 제 58 항, 제 60 항 내지 제 6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피사체는 인체의 부위인 렌즈 유닛.
  66. 제 1 항 내지 제 6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스마트폰, 휴대전화, 카메라가 달린 PC, 디지털카메라인 렌즈 유닛.
  67.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제 29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유닛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카메라의 촬영구를 둘러싸도록 장착하고, 그 정보 처리 장치에 구비된 해석 수단에 의해, 소정의 피사체와 함께 ID 코드가 부호화된 패턴을 그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그 ID 코드를 복호화하거나, 그 소정의 피사체와 함께 복호화된 그 ID 코드를 제 2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프로그램.
  68.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 수단은,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한 화상을 화상 처리하여 소정의 정보를 추가로 취득하고, 적어도 그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서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ID 코드와 함께 그 소정의 정보를 제 2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프로그램.
  69.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제 29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유닛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카메라의 촬영구를 둘러싸도록 장착하고, 소정의 피사체와 함께 ID 코드가 부호화된 패턴을 그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화상이 송신된 제 2 정보 처리 장치에 구비된 해석 수단에 의해, 그 화상으로부터 그 ID 코드를 복호화하는 프로그램.
  70.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 수단은, 상기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한 화상을 화상 처리하여 소정의 정보를 추가로 취득하는 프로그램.
  71. 제 1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유닛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카메라의 촬영구를 둘러싸도록 장착하고, 그 정보 처리 장치에 구비된 해석 수단에 의해, 상기 정보 코드가 부호화된 도트 패턴이 인쇄된 상기 소정의 매체를 그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그 정보 코드로 복호화하거나, 및/또는 복호화된 그 정보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거나, 및/또는 복호화된 그 정보 코드 및/또는 복호화된 그 정보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 2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프로그램.
  72.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제 29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유닛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카메라의 촬영구를 둘러싸도록 장착하고, 그 정보 처리 장치에 구비된 해석 수단에 의해, 정보 코드가 부호화된 도트 패턴이 인쇄된 상기 소정의 매체와 함께 ID 코드가 부호화된 패턴을 그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그 정보 코드와 그 ID 코드로 복호화하거나, 및/또는 복호화된 그 정보 코드와 그 ID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거나, 및/또는 복호화된 정보 코드와 그 ID 코드, 및/또는 복호화된 정보 코드와 그 ID 코드에 대응한 정보를 제 2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프로그램.
  73. 제 1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유닛을 구비하고, 제 67 항, 제 68 항, 제 71 항, 제 7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을 탑재한,카메라가 달린 정보 처리 장치.
  74. 제 69 항 또는 제 7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을 탑재한 제 2 정보 처리 장치.
  75. 제 1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유닛을 구비한, 카메라가 달린 정보 처리 장치.
  76. 제 75 항에 기재된 카메라가 달린 정보 처리 장치와, 그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하는 제 2 정보 처리 장치를 구비한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150017645A 2015-02-04 2015-02-04 렌즈 유닛 KR20160095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645A KR20160095958A (ko) 2015-02-04 2015-02-04 렌즈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645A KR20160095958A (ko) 2015-02-04 2015-02-04 렌즈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958A true KR20160095958A (ko) 2016-08-12

Family

ID=56714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645A KR20160095958A (ko) 2015-02-04 2015-02-04 렌즈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595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9871A1 (ja) 2002-09-26 2004-04-08 Kenji Yoshida ドットパターンを用いた情報再生・入出力方法、情報再生装置、携帯情報入出力装置および電子玩具
WO2006040832A1 (ja) 2004-10-15 2006-04-20 Kenji Yoshida ドットパターンを印刷形成した媒体面の印刷構造、印刷方法、およびその読取方法
WO2007105819A1 (ja) 2006-03-10 2007-09-20 Kenji Yoshida 情報処理装置への入力処理システム
JP2009230729A (ja) 2008-03-21 2009-10-08 Akiba Soft:Kk ビジュアルなqrコード
JP2009259192A (ja) 2008-03-27 2009-11-05 Denso Wave Inc 二次元コード、二次元コード生成方法、二次元コードを表示させる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二次元コードを利用した認証方法、及び二次元コードを利用した情報提供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9871A1 (ja) 2002-09-26 2004-04-08 Kenji Yoshida ドットパターンを用いた情報再生・入出力方法、情報再生装置、携帯情報入出力装置および電子玩具
WO2006040832A1 (ja) 2004-10-15 2006-04-20 Kenji Yoshida ドットパターンを印刷形成した媒体面の印刷構造、印刷方法、およびその読取方法
WO2007105819A1 (ja) 2006-03-10 2007-09-20 Kenji Yoshida 情報処理装置への入力処理システム
JP2009230729A (ja) 2008-03-21 2009-10-08 Akiba Soft:Kk ビジュアルなqrコード
JP2009259192A (ja) 2008-03-27 2009-11-05 Denso Wave Inc 二次元コード、二次元コード生成方法、二次元コードを表示させる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二次元コードを利用した認証方法、及び二次元コードを利用した情報提供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5272B2 (ja) 印刷用データの生成方法
WO2014007268A1 (ja) レンズユニット
US9338379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an image of a person&#39;s skin
KR101091327B1 (ko) 피사체 상에 내재한 불가시 이미지를 관측하면서 간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N109074475A (zh) 包括在光学图像传感器上方且与光源横向相邻的针孔阵列掩膜的电子设备和相关方法
US200901899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medical examination and real time transmission to remote locations
US20080212168A1 (en) Extended depth of field imaging system using chromatic aberration
CN102984448A (zh) 利用颜色数字图像对动作如锐度修改进行控制的方法
KR20100029839A (ko) 개인 케어 제품 추천 방법 및 그를 위한 도구
JP2012141729A (ja) 真贋判定方法、真贋判定装置、真贋判定システムおよびカラー二次元コード
US20200166332A1 (en) Measuring device, system, method, and program
US10712203B2 (en) Color calibration device, color calibration system, color calibration hologram, color calibration method, and program
CN205181512U (zh) 用于辨别牙齿颜色的牙科用装置
JP5294100B1 (ja) ドットパターン読み取り用レンズユニット、ドットパターン読み取り用レンズユニットを台座に装着されたフィギュア、ドットパターン読み取り用レンズユニットに載置するカード、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
US7948665B2 (en) Uniform illumination for camera based scanning devices
KR20160095958A (ko) 렌즈 유닛
US10726224B2 (en) Authenticable digital cod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473670B2 (en) Peripheral with image processing function
US106707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lluminating and identifying an object
ES2213678T3 (es) Telefono movil provisto de una camara.
EP1387204A4 (en) OPTICAL SCANNING DEVICE, IMAGE READER THEREWITH; PICTURE GENERATING DEVICE AND PHOTOGRAPHING DEVICE
CN106028015A (zh) 颜色处理装置和方法以及颜色处理系统
KR20100054840A (ko) 고성능 다중-모드 손바닥지문 및 손가락지문 스캐닝 장치 및 시스템
Gaiani et al. Under the lens of ISLe: Leonardo da Vinci’s" Landscape" drawing analysed by colourimetry
CN107431791B (zh) 拍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