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405A - 개폐가능 펜스 - Google Patents

개폐가능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405A
KR20160095405A KR1020150016632A KR20150016632A KR20160095405A KR 20160095405 A KR20160095405 A KR 20160095405A KR 1020150016632 A KR1020150016632 A KR 1020150016632A KR 20150016632 A KR20150016632 A KR 20150016632A KR 20160095405 A KR20160095405 A KR 20160095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post
cross bar
lever
po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3461B1 (ko
Inventor
한세민
강성규
도솔아
이태희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6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461B1/ko
Publication of KR20160095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1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and having means for providing occasional passage, e.g. for emergenc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7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rotates around a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ga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5Fences with pivotable slats for reduced wind resistance or for adjusting visibility
    • E04H2017/149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 상황 발생시에 통로로 열 수 있게 하여 부상자나 노약자를 안전하게 대피시키고 펜스가 사고 수습의 장애가 되지 않게 하는 개폐가능 펜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폐가능 펜스는 지면에 간격을 두고 양측에 세워지는 포스트와, 포스트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가로대와, 포스트 내에 삽입되어 가로대의 양단부를 걸리게 함에 따라 가로대를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는 걸림대와, 포스트의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세워져 포스트를 따라 이동한 가로대가 배열되어 눕혀지게 됨에 따라 트레드를 이루는 회동대와, 걸림대의 걸림을 해제하여 가로대를 하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회동대에 모여 배열되게 하는 조작기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필요 상황 발생시에 통로로 열 수 있게 하여 부상자나 노약자를 안전하게 대피시키고 펜스가 사고 수습 및 활동에 장애가 되지 않게 하며, 펜스의 가로대가 인도와 차도의 경계턱에 걸쳐져서 휠체어나 운반 수레 등의 이동기구들이 쉽게 통과할 수 있게 하며, 펜스에 설치되는 조명램프를 통해 사고 시에 2차 사고를 방지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폐가능 펜스{Openable fence}
본 발명은 개폐가능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 상황 발생시에 통로로 열 수 있게 하여 부상자나 노약자를 안전하게 대피시키고 펜스가 사고 수습 및 활동에 장애가 되지 않게 하는 개폐가능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스는 자동차 도로의 양쪽에 설치한 보도(인도)와 차도를 구분하는 방호책으로 금속 재질의 울타리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펜스는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구역, 높은 축대, 다리, 인도, 인도가 설치되지 않은 도로 등과 같이 도로에서 인도 또는 도로의 일측으로 통행하는 보행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또한 펜스는 주택, 유치원, 초, 중, 고등학교 건물의 경계용, 어린이 보호구역, 화단, 공원 등에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펜스는 용도에 따라 그 높낮이가 다르게 설치되며, 범용적으로는 성인의 평균신장의 절반 정도의 높이로 설치되고, 재질은 플라스틱, 목재, 금속재(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로 설치된다.
한편, 학교 근처의 상가들과 그 밖에 많은 상가는 의무적으로 인도 앞에 펜스를 설치해야 한다. 상가 앞에 펜스가 설치되면 물건을 들여올 때 많은 불편이 생기므로 대부분 상가는 펜스 설치를 반대하고 있다. 펜스가 길게 설치된 길에서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인도로 대피해야 할 경우에도 펜스는 장애물로 인식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87370호에는 펜스 하부에 통로를 형성하여 개폐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만, 이는 동물유도 통로로서, 개폐도어가 한쪽 방향으로 개폐됨에 따라 야생동물이 진입금지구역을 자유롭게 벗어나 이동할 수 있게 한 구조에 불과하다.
따라서, 펜스의 역활을 수행하면서 긴급하게 필요할 때에 열리게 하는 펜스에 대한 요구가 있어왔다.
본 발명은 펜스에 대한 새로운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 상황 발생시에 통로로 열 수 있게 하여 부상자나 노약자를 안전하게 대피시키고 펜스가 사고 수습 및 활동에 장애가 되지 않게 하는 개폐가능 펜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펜스의 가로대가 인도와 차도의 경계턱에 걸쳐져서 휠체어나 운반 수레 등의 이동기구들이 쉽게 통과할 수 있는 개폐가능 펜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개폐가능 펜스는 지면에 간격을 두고 양측에 세워지는 포스트와, 포스트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가로대와, 포스트 내에 삽입되어 가로대의 양단부를 걸리게 함에 따라 가로대를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는 걸림대와, 포스트의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세워져 포스트를 따라 이동한 가로대가 배열되어 눕혀지게 됨에 따라 트레드를 이루는 회동대와, 걸림대의 걸림을 해제하여 가로대를 하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회동대에 모여 배열되게 하는 조작기구를 포함한다.
조작기구는 양측 포스트를 가로질러 설치된 조작축과, 조작축에 결합된 피니언과, 걸림대에 결합되고 피니언에 맛물려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걸림대를 이동시켜 가로대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랙과, 조작축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포스트에는 가로대를 안내하는 제1안내 슬릿홈이 형성되고, 포스트의 하부는 트여 회동대가 회동하여 눕혀지게 되어 있다. 레버는 포스트의 안내홈에 안내되어 회동하게 되어 있다. 평시에 레버가 조작되지 않도록 안전핀이 레버를 구속하고 있다.
가로대는 띠판 형태로 형성된다. 가로대의 양단부에는 충격완화부가 구비된다. 충격완화부는 가로대의 폭방향으로 돌출하여 가로대가 회동대에 배열될 때 가로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있다.
걸림대에는 가로대가 일정간격으로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회동대에는 가로대를 안내하는 제2안내 슬릿홈이 형성된다.
포스트 또는 가로대에는 2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조명하는 조명램프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개폐가능 펜스에 의하면, 필요 상황 발생시에 통로로 열 수 있게 하여 부상자나 노약자를 안전하게 대피시키고 펜스가 사고 수습 및 활동에 장애가 되지 않게 하며, 펜스의 가로대가 인도와 차도의 경계턱에 걸쳐져서 휠체어나 운반 수레 등의 이동기구들이 쉽게 통과할 수 있게 하며, 펜스에 설치되는 조명램프를 통해 사고시에 2차 사고를 방지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가능 펜스를 차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가능 펜스를 인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가능 펜스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1의 입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가능 펜스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6의 (d)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입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가능 펜스가 차도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어 펜스가 열린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가능 펜스를 차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가능 펜스를 인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가능 펜스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1의 입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가능 펜스(100)는 포스트(110)와 가로대(120)와 걸림대(130)와 회동대(140)와 조작기구(150)를 포함한다.
포스트(110)는 지면에 간격을 두고 양측에 세워지는 속이 빈 통으로서, 수직 몸통(111)의 하부에는 조작기구(150)의 후술하는 레버의 일부와 피니언 및 랙을 수용하여 덮는 하우징부(112)가 형성된다. 수직 몸통(11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가로대(120)를 안내하는 제1안내 슬릿홈(113)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수직 몸통(111)의 하부에는 회동대(140)를 수용하며 차도측으로 트인 개구부(11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이 개구부(114)를 통해 회동대(140)가 회동하여 눕혀지게 되어 있다.
하우징부(112)은 사분원통으로서, 그 원주면에는 조작기구(150)의 후술하는 레버를 안내하는 안내홈(112a)이 2줄로 형성되고, 그 측면에는 조작기구(150)의 후술하는 레버가 조작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안전핀(115)이 끼워진다.
가로대(120)는 포스트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띠판 형태로 형성된다. 가로대(120)의 본체(121) 양단부에는 고무재로 된 충격완화부(122)가 구비된다. 충격완화부(122)는 가로대(120)의 폭방향으로 돌출하여 가로대(120)가 회동대(140)의 내부에 배열될 때 가로대(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있다. 충격완화부(122)는 가로대(120)의 양단에 끼워지거나 가로대 본체(121)에 코팅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로대(120)는 포스트(110)의 제1안내 슬릿홈(113) 또는 회동대(140)의 후술하는 제2안내 슬릿홈에 끼워져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한편 걸림대(130)의 후술하는 걸림돌기에 걸리어, 포스트(110)의 길이방향(수직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다수개가 배치된다.
가로대(120)의 차도측 측면에는 2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조명하는 LED 램프 등의 조명램프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램프는 사고(교통사고나 차량사고 등)시 운전자의 주의를 집중하게 하여 차량의 안전거리를 확보하게 하므로써 2차 사고를 방지하게 한다. 조명램프는 포스트(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걸림대(130)는 포스트(110)의 제1안내 슬릿홈(113)와 개구부(114)의 내부에 끼워져 배치된 봉형태로 되어 있다. 걸림대(130)는 조작기구(15)의 조작에 따라 포스트(110)의 전후방향(차도측 및 인도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걸림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대(120)가 일정간격으로 걸리는 다수의 걸림돌기(131)를 구비한다. 걸림대(130)는 포스트(110) 내에 삽입되어 가로대(120)의 양단부를 걸리게 함에 따라 가로대(120)를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킨다.
회동대(140)는 포스트(110)의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세워져 포스트(110)를 따라 이동한 가로대(120)가 배열되어 눕혀지게 됨에 따라 트레드를 이루며, 포스트(110)의 개구부(114) 내에 걸림대(130)의 하부와 함께 수용된다. 회동대(140)의 측면에는 가로대(120)를 안내하는 제2안내 슬릿홈(141)이 회동대(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회동대(140)의 하단에는 포스트(110)의 하단을 관통하여 끼워져 회동대(140)가 회동되게 하는 힌지핀(142)이 구비된다.
조작기구(150)는 걸림대(130)의 걸림을 해제하여 가로대(120)를 하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회동대(140)에 모여 배열되게 한다. 조작기구(150)는 양측 포스트(110)를 가로질러 설치된 조작축(151)과, 조작축(151)에 고정된 피니언(152)과, 걸림대(130)에 고정되고 피니언(152)에 맛물려 피니언(152)의 회전에 따라 걸림대(130)를 이동시켜 가로대(120)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랙(153)과, 조작축(151)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154)를 구비한다.
조작축(151)은 포스트(110)의 하우징부(112)를 관통하여 끼워져 레버(154)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게 되어 있으며, 조작축(151)의 중간부는 커버(155)에 의해 덮여 있다. 커버(155)는 펜스가 열릴 때 인도 측에 단턱이 생기지 않게 하여 휠체어나 운반 수레 등의 이동기구들이 쉽게 통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피니언(152)과 랙(153)은 하우징부(112)의 내부에 위치한다. 레버(154)는 피니언(152)의 양측 조작축(151) 부분에서 돌출된 연결봉(154a)이 하우징부(112)의 안내홈(112a)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패달 형태로 형성된다. 돌출 연결봉(154a)은 하우징부(112)에 끼워지는 안전핀(115)에 의해 구속되어, 레버(154)가 원하지 않게 밟히더라도 회동하지 않게 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가능 펜스의 작용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의 (d)의 상세도이며, 도 8은 도 7의 입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 상황 발생시에 펜스를 통로로 열어야 할 경우에는 안전핀(115)를 포스트(110)의 하우징부(112)에서 제거하고(도 6의 (a) 참고), 조작 기구의 레버(154)를 밟으면(도 6의 (b) 참고), 피니언(153)이 회전하고 랙(153)이 연동하여 걸림대(130)가 인도측으로 이동하여 가로대(120)를 구속하고 있는 걸림돌기(131)가 가로대(120)의 하측에서 빠지게 된다(도 3 참조).
따라서, 포스트(110)의 하부에 끼워진 가로대(120)는 회동대(140)의 제2안내 슬릿홈(141)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모이는 한편, 포스트(110)의 상부에 끼워진 가로대(120)는 포스트(110)의 제1안내 슬릿홈(113)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한 후 회동대(140)의 제2안내 슬릿홈(141)에 삽입되어 더욱 하측으로 이동하여 모두 회동대(140)의 내부에 배열된다. 이러한 상태가 도 6의 (c)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가로대(120)의 양단에 구비된 충격완화부(122)는 가로대(120)가 하측으로 이동할 시의 부딪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가로대(120)가 회동대(140)의 내부에 배열될 때 가로대(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회동대(140)의 최상측에 끼워진 가로대(120)을 잡고 차도측으로 당기면 회동대(140)가 힌지핀(14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회동대(140)와 가로대(120)가 트레드를 이루어 차도에 걸쳐지게 되어, 휠체어나 운반 수레 등의 이동기구들이 쉽게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도 10은 통로(P)가 형성된 펜스(100)를 통해 구호 요원(M)들이 응급 활동을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응급 조치가 완료되면 회동대(140)와 가로대(120)를 원위치시켜 복구시킨다. 복구시에는 가로대(120)의 높이를 인접하는 펜스의 가로대와 맞추고 걸림대(130)의 걸림돌기에 가로대(120)가 걸리도록 별도의 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펜스
110 : 포스트 111 : 수직 몸통
112 : 하우징부 113 : 제1안내 슬릿홈
114 : 개구부 115 : 안전핀
120 : 가로대 121 : 가로대 본체
122 : 충격완화부 130 : 걸림대
131 : 걸림돌기 141 : 회동대
142 : 힌지핀 150 : 조작기구
151 : 조작축 152 : 피니언
153 : 랙 154 : 레버
155 : 커버
M : 구호 요원 P : 통로

Claims (11)

  1. 지면에 간격을 두고 양측에 세워지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가로대와,
    상기 포스트 내에 삽입되어 상기 가로대의 양단부를 걸리게 함에 따라 사기 가로대를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는 걸림대와,
    상기 포스트의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세워져 상기 포스트를 따라 이동한 상기 가로대가 배열되어 눕혀지게 됨에 따라 트레드를 이루는 회동대와,
    상기 걸림대의 걸림을 해제하여 상기 가로대를 하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회동대에 모여 배열되게 하는 조작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능 펜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는
    양측 포스트를 가로질러 설치된 조작축과,
    상기 조작축에 결합된 피니언과,
    상기 걸림대에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에 맛물려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걸림대를 이동시켜 상기 가로대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랙과,
    상기 조작축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능 펜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에는 상기 가로대를 안내하는 제1안내 슬릿홈이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의 하부는 트여 상기 회동대가 회동하여 눕혀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능 펜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포스트의 안내홈에 안내되어 회동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능 펜스.
  5. 청구항 2에 있어서,
    평시에 상기 레버가 조작되지 않도록 안전핀이 상기 레버를 구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능 펜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는 띠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능 펜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의 양단부에는 충격완화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능 펜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부는 상기 가로대의 폭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가로대가 상기 회동대에 배열될 때 상기 가로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능 펜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대에는 상기 가로대가 일정간격으로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능 펜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대에는 상기 가로대를 안내하는 제2안내 슬릿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능 펜스.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또는 상기 가로대에는 2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조명하는 조명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능 펜스.
KR1020150016632A 2015-02-03 2015-02-03 개폐가능 펜스 KR101663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632A KR101663461B1 (ko) 2015-02-03 2015-02-03 개폐가능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632A KR101663461B1 (ko) 2015-02-03 2015-02-03 개폐가능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405A true KR20160095405A (ko) 2016-08-11
KR101663461B1 KR101663461B1 (ko) 2016-10-07

Family

ID=5671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632A KR101663461B1 (ko) 2015-02-03 2015-02-03 개폐가능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4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5433A (zh) * 2017-12-28 2018-05-04 盛琳芫 一种道路护栏用轨道电动车
CN108729384A (zh) * 2018-06-06 2018-11-02 吴金阳 一种自动检测地震并收起且便于人群疏散的市政围栏
KR20210118511A (ko) 2020-03-23 2021-10-01 (주)다정하이테크 안전 울타리 출입문의 힌지장치
CN114396196A (zh) * 2021-12-20 2022-04-26 上海骎麦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安全防护装置及使用方法
CN115030539A (zh) * 2022-06-23 2022-09-09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可翻转式沟槽防护及过道及沟槽防护方法
CN116905894A (zh) * 2023-09-08 2023-10-20 中铁城建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零星钢结构及其吊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430B1 (ko) 2019-07-09 2020-12-17 김민재 회전에 의해 개폐 가능한 펜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168A (ko) * 2002-08-24 2003-12-18 영신산업 주식회사 조명수단이 구비된 가이드레일의 반사체 구조
KR20060036970A (ko) * 2004-10-27 2006-05-03 이완영 현수식 봉형 문
KR100872200B1 (ko) * 2007-08-17 2008-12-09 도아기업 주식회사 도로용 울타리
KR100960150B1 (ko) * 2009-11-18 2010-05-27 임번상 비상용 개폐식 안전 난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168A (ko) * 2002-08-24 2003-12-18 영신산업 주식회사 조명수단이 구비된 가이드레일의 반사체 구조
KR20060036970A (ko) * 2004-10-27 2006-05-03 이완영 현수식 봉형 문
KR100872200B1 (ko) * 2007-08-17 2008-12-09 도아기업 주식회사 도로용 울타리
KR100960150B1 (ko) * 2009-11-18 2010-05-27 임번상 비상용 개폐식 안전 난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5433A (zh) * 2017-12-28 2018-05-04 盛琳芫 一种道路护栏用轨道电动车
CN108729384A (zh) * 2018-06-06 2018-11-02 吴金阳 一种自动检测地震并收起且便于人群疏散的市政围栏
CN108729384B (zh) * 2018-06-06 2020-08-11 东阳市中傲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自动检测地震并收起且便于人群疏散的市政围栏
KR20210118511A (ko) 2020-03-23 2021-10-01 (주)다정하이테크 안전 울타리 출입문의 힌지장치
CN114396196A (zh) * 2021-12-20 2022-04-26 上海骎麦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安全防护装置及使用方法
CN115030539A (zh) * 2022-06-23 2022-09-09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可翻转式沟槽防护及过道及沟槽防护方法
CN116905894A (zh) * 2023-09-08 2023-10-20 中铁城建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零星钢结构及其吊装方法
CN116905894B (zh) * 2023-09-08 2023-11-28 中铁城建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零星钢结构及其吊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461B1 (ko)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461B1 (ko) 개폐가능 펜스
KR101345534B1 (ko) 바리케이드 겸용 볼라드
KR20180033457A (ko) 보안 문
KR101874056B1 (ko) 동물보호용 가드레일
JPH01502836A (ja) 締め付け個所のない止め柱
ES2623394T3 (es) Rampa que tiene una barrera lateral
ES2921452T3 (es) Iluminación de puertas de vehículos
US3750331A (en) Movable barrier for use at the entrance to a parking site or the like
PT1710197E (pt) Dispositivo de segurança para um carro de grua
US3913264A (en) Parking space barrier
KR200403447Y1 (ko) 상하조절식 볼라드
GB2430964A (en) Barrier for preventing the passage of vehicles other than disabled vehicles
JP2017119471A (ja) 駐輪ロック装置
US3600853A (en) Parking field security device
KR101224474B1 (ko) 출입통제용 바리케이드
JP2018044424A (ja) 迷惑駐車防止抑制装置
KR102385140B1 (ko) 트랩형 노면 경전철 도로용 안전 난간
ES2334009T3 (es) Faldon retractil bajo la cabina.
US20100329781A1 (en) Road Barricade
JP3198423U (ja) スライド型門扉
KR200420451Y1 (ko) 출입문이 구비된 도로용 가이드레일
US11105055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limiting transverse movement along an overhanging ledge
JP6520591B2 (ja) クレーンに備えられたキャブガード
JP2008285129A (ja) 分離型上下可動式駅ホーム転落防止柵
RU2333308C1 (ru) Барьер противотаранны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