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347A -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347A
KR20160095347A KR1020150016504A KR20150016504A KR20160095347A KR 20160095347 A KR20160095347 A KR 20160095347A KR 1020150016504 A KR1020150016504 A KR 1020150016504A KR 20150016504 A KR20150016504 A KR 20150016504A KR 20160095347 A KR20160095347 A KR 20160095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vermectin
composition
minutes
cyclodextr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8093B1 (ko
Inventor
최형규
정은용
Original Assignee
(주)이엘티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엘티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이엘티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50016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093B1/ko
Publication of KR20160095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40Cyclodextr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68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Phys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 이버멕틴(ivermectin)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농도의 이버멕틴을 함유하면서 우수한 기호성(palatability)과 안정성(stability)을 갖는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chewablel tablet)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의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조성물은 이버멕틴 5~20중량%,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cellulose) 5~12중량%, 건조효모(dried yeast) 12.5~37.5중량%, 대두분말(soybean powder) 5-15중량%, 싸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2.5~10중량% 및 유당(lactose) 5.5~70중량%를 혼합하여 달성되며, 가축에 경구 투여시 기호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우수한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The composition of ivermectin chewable tabl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 이버멕틴(ivermectin)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livestock)에 대한 기호성(palatability)이 탁월하며 제품의 안정성(stability)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 (chewable tablet)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버멕틴(Ivermectin)은 카발라(chabala)와 피서(fisher)에 의해 1980년 4월 22일자로 미합중국 특허 제4,199,569호에 소개된 바와 같이, 농작물 및 토양에 서식하는 각종 기생충에 대한 농업적인 용도뿐만 아니라, 포유동물의 광범위한 체외 기생충 및 내부 기생충에 대해 유용한 매우 효과적인 항기생충제이다.
또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아베르미틸리스(Streptomyces avermitilis)라는 방선균에서 생성된 이버멕틴 비(ivermectin B)의 반합성 유도체로서 독립성분 B1a(22,23-dihydroavermectin B1a, C48H74O14)를 적어도 80%, 그리고 독립성분 B16(22,23-dihydroavermectin B1b, C47H72O14)를 20%이하 함유하는 내외부 기생충 구제제로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감마아미노부틸산(gamma aminobutyric acid, 일명 GABA로 통칭)의 분비를 촉진시켜 기생충의 신경을 마비시킴으로서 주된 구충효과를 발휘한다(동물약품해설, 이장락, 1994, 서울대학교출판부, 192-3).
이버멕틴은 권장용량의 500배를 투여해도 안전할 정도로 독성이 매우 낮고 회충, 편충, 적색위충, 장결절충, 신충 등 내부기생충 뿐만 아니라 진드기, 이, 개선충 등 외부기생충에도 구제효과가 우수하여 현재 주사제(injectables), 포어온제제(pour-on), 사료첨가제(feed additives)제형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상기 주사제(injectables)는 투여 대상 동물이 소, 양, 돼지 이며 투여 시 체중에 따라 투여량을 계산한 후 근육내에 주사하여 사용하도록 개발되었다.
상기 포어온제제(pour-on)는 투여 대상 동물이 소이며 투여 시 체중에 따라 투여량을 계산한 후 등위에 발라주도록 개발되었다.
상기 사료첨가제(feed additive)는 투여 대상 동물이 소, 돼지이며 사료에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개발되었다.
최근 들어 축산업의 규모가 대형화 및 자동화되면서 사양관리 형태가 전문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돈만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번식전문 양돈장이나 송아지만 전문으로 생산하는 번식전문 목장의 수가 규모나 수 적인 면에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모축에게서 자축으로 병원체가 수직감염(vertical transmission) 되어 질병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사전에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질병전파 차단효과가 우수하여 전 세계적으로도 크게 유행하고 있는 사양관리 방식이다.
또한, 개체관리를 하기 때문에 사양관리나 질병관리 측면에서 매우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개체별 사양관리와 개체투약은 사료 급여 시 개체별 건강상태나 임신상태에 따라 급여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약품 투여 시 필요한 개체에 필요한 약제만을 투여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집단 투여에 따른 무분별한 투약으로 건강한 개체에도 약이 급여되어 약품의 오남용이 유발되고 이로 인한 내성문제까지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집단 투여 시는 건강한 개체가 질병에 감염된 개체보다 더 많은 사료를 섭취하기 때문에 실제 약을 먹어야할 허약한 개체의 사료 섭취량이 감소되어 사료에 혼합된 약제 섭취 또한 충분하지 못하여 질병의 치료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개체별 사양관리의 증가와 더불어 개체 투약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경구용 개체투여 약제의 개발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어 양축농가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종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사료첨가용 이버멕틴 구충제의 경우, 사료에 골고루 혼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개체별 사료섭취량이 다르기 때문에 약품성분의 섭취량이 불균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버멕틴 구충제를 가축에 개체별로 효과적으로 투여하기 위해서는 가축이 자율적으로 섭취 가능한 경구용 정제가 바람직하나 통상적으로 이버멕틴은 고유의 물성으로 인하여 후각과 미각이 발달한 일반 가축에 대하여 기호성이 매우 낮고 정제의 경우 유효성분 함량비율이 높아, 통상의 감미제 또는 향미제를 첨가하여 제조할 경우에도 가축의 자율적인 섭취가 낮아 투여 효과에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통상의 방법으로는 경구용 정제 제조는 지금까지 성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버멕틴을 가축용 구충제로서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가축의 구충목적으로 사용되는 이버멕틴을 개체별로 용이하게 투여할 수 있으면서 가축이 자율적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버멕틴 5~20중량%,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12중량%, 건조효모 12.5~37.5중량%, 대두분말5~15중량%, 싸이클로덱스트린 2.5~10중량% 및 유당5.5~7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액상 혼합조에 이버멕틴 5~20중량%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12중량% 및 싸이클로덱스트린 2.5~10중량%를 각각 투입하고, 상기 이버멕틴의 6~8배 중량%의 에탄올을 투입하여 30rpm속도로 10~30분간 교반한 후 12~24시간 상온에서 정치(定置)하여 혼합액을 조성하는 제 1단계와; 반죽 혼합기에 건조효모 12.5~37.5중량%와 대두분말 5~15중량%를 넣고 30rpm 속도로 5~20분간 혼합한 후 상기 혼합액을 투입하면서 10~30분간 더 혼합한 다음, 1.5mm 굵기로 압출하여 열풍건조기로 75℃에서 2~4시간 건조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1.0~1.5mm 크기의 과립을 형성하는 제 2단계와; 상기 과립을 혼합기에 투입하고 유당 5.5~70중량%를 첨가하여 10rpm속도로 6~9분간 혼합한 후 타정기로 이송하여 타정(打錠)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이버멕틴,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건조효모, 대두분말, 싸이클로덱스트린 및 유당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로서 가축에 투여 시 기호성이 탁월하며 제품의 안정성이 우수하여, 개체별로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구충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버멕틴(ivermectin)이 사용되는 화학적 구조를 도시한 구조식.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버멕틴 경구용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도시해 보인 개요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버멕틴(ivermectin)이 사용되는 화학적 구조를 도시한 구조식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버멕틴 경구용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도시해 보인 개요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은 이버멕틴,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cellulose), 건조효모(dried yeast), 대두분말, 싸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및 유당으로 조성된 복합 조성물로 구성된다.
가축의 구충 시 개체별로 투여하기 힘든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호성이 탁월한 경구용 정제로 제조하여 가축이 자율적으로 섭취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감미제나 향미제를 포함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 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호성 개선제인 건조효모 및 대두분말과 안정제로서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다.
이러한 첨가제품은 기호성이 우수하면서도 제품 중 유효성분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의 조성비가 이버멕틴 5~20중량%,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12중량%, 건조효모 12.5~37.5중량%, 대두분말 5~15중량%, 싸이클로덱스트린 2.5~10중량% 및 유당 5.5~70중량%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이버멕틴을 정제의 중량%를 기준으로 5~2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버멕틴이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투여대상 가축에게 투여해야하는 정제의 수가 많고, 2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기호성 개선제의 중량%가 낮아져 기호성에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결착제인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를 기준으로 5~12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5중량%이하일 경우에는 정제의 결착력이 낮아 유통 중 파손제품이 발생하며, 12중량% 이상일 때에는 기호성에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호성 개선제인 건조효모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를 기준으로 12.5~37.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효모가 12.5중량%이하인 경우에는 기호성 개선효과가 미흡하였고, 37.5중량% 이상 시는 정제의 결착력이 낮아져 제형상의 문제점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건조효모과 함께 사용되는 기호성 개선제인 대두분말은 건조효모와 2.5:1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 조성물의 중량%를 기준으로 5~1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두분말이 5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기호성 개선효과가 미흡하였고, 15중량% 이상 시는 정제의 결착력이 낮아져 제형상의 문제점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중 안정제로 사용된 싸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를 기준으로 2.5~1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싸이클로덱스트린이 2.5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유효성분의 안정화 효과가 미흡하였고, 10중량%이상 시는 지나친 과량 사용으로 바람직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경구용 정제 복합조성물 중 유당(lactose)은 부형제로서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당은 유효성분인 이버멕틴, 결착제로 사용되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기호성 개선제인 건조효모 및 대두분말과 안정제인 싸이클로덱스트린의 중량% 합산 값에 따라 경구용 정제 복합조성물의 총 중량%가 100중량%가 되도록 첨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제 1 내지 제 3단계에 의해 구현되는바, 상기 제1단계는 이버멕틴의 6~8배 중량%에 해당하는 에탄올을 액상 혼합조에 넣은 다음, 정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이버멕틴 5~20중량%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12중량% 및 싸이클로덱스트린 2.5~10중량%를 각각 투입하여 30rpm속도로 10~30분간 교반한 후 12~24시간 상온에서 정치(定置)하여 혼합액을 조성한다.
상기 제 1단계의 혼합액 조성단계에서 에탄올에 이버멕틴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싸이클로덱스트린을 넣어 30rpm속도로 교반하는 시간은 20분이 가장 바람직하며, 교반 후 상온에서 정치시간(定置時間)은 18시간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단계는 반죽 혼합기에 건조효모 12.5~37.5중량%와 대두분말 5~15중량%를 넣고 30rpm 속도로 5~20분간 혼합한 후 상기 1단계에서 제조한 혼합액을 투입하면서 10~30분간 더 혼합한 다음, 1.5mm 굵기로 압출하여 열풍건조기로 75℃에서 2~4시간 건조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1.0~1.5mm 크기로 과립화 한다.
또한, 상기 제 2단계의 과립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반죽 혼합기에 건조효모와 대두분말의 혼합비는 2:1이 바람직하며, 30rpm속도로 혼합하는 시간은 10분이 바람직하며, 여기에 혼합액을 투입하면서 30rpm속도로 혼합하는 시간은 20분이 가장 바람직하고, 75℃에서 건조시간은 3시간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제 2단계에서 제조한 과립을 혼합기에 옮기고 유당 5.5~70중량%를 첨가하여 10rpm속도로 6~9분간 혼합한 후 타정기로 이송하여 타정(打錠)함으로서 최종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이 완성되며, 이때 상기 제 3단계에서 과림과 유당의 혼합시간은 7분30초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다음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는 바이다.
다음의 표 1과 같은 성분으로부터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정중(1,000mg)
이버멕틴 100mg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80mg
건조효모 250mg
대두분말 100mg
싸이클로덱스트린 50mg
유당 420mg
이에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에탄올 700ml를 액상 혼합조에 넣고 이버멕틴 100g,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80g, 싸이클로덱스트린 50g을 차례로 투입하여 30rpm속도로 20분간 교반한 후 상온에서 18시간 동안 그대로 정치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따로 반죽 혼합기에 건조효모 250g, 대두분말 100g을 각각 투입하여 30rpm속도로 10분간 혼합한 후 상기에서 제조한 혼합액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20분간 교반한 후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하고 열풍건조기에서 75℃로 3시간 건조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1.0~1.5mm크기로 정립한 과립을 분말 혼합기에 옮기고 유당 420g을 투입하여 10rpm속도로 7분30초 동안 혼합한 다음 타정하여 1,000정의 경구용 정제 복합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다음의 표 2의 성분으로부터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정중(1,000mg)
이버멕틴 100mg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80mg
대두분말 100mg
싸이클로덱스트린 50mg
유당 670mg
이에 경구용 정제 복합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건조효모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다음의 표 3의 성분들로부터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성 분 1정중(1,000mg)
이버멕틴 100mg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80mg
건조효모 250mg
싸이클로덱스트린 50mg
유당 520mg
이에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대두분말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다음의 표 4의 성분들로부터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정중(1,000mg)
이버멕틴 100mg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80mg
건조효모 250mg
대두분말 100mg
유당 470mg
이에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싸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다음의 표 5의 성분들로부터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정중(1,000mg)
이버멕틴 100mg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80mg
싸이클로덱스트린 50mg
유당 770mg
이에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건조효모 및 대두분말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다음의 표 6의 성분들로부터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정중(1,000mg)
이버멕틴 100mg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80mg
대두분말 100mg
유당 720mg
이에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건조효모 및 싸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다음의 표 7의 성분들로부터 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정중(1,000mg)
이버멕틴 100mg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80mg
건조효모 250mg
유당 570mg
이에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대두분말 및 싸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다음의 표 8의 성분들로부터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정중(1,000mg)
이버멕틴 100mg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80mg
유당 820mg
이에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건조효모, 대두분말 및 싸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종 류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 조성물
실시 예 1 이버멕틴+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건조효모+대두분말+싸이클로덱스트린+유당
실시 예 2 이버멕틴+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대두분말+싸이클로덱스트린+유당
실시 예 3 이버멕틴+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건조효모+싸이클로덱스트린+유당
실시 예 4 이버멕틴+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건조효모+대두분말+유당
실시 예 5 이버멕틴+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싸이클로덱스트린+유당
실시 예 6 이버멕틴+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대두분말+유당
실시 예 7 이버멕틴+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건조효모+유당
실시 예 8 이버멕틴+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유당
이버멕틴 약리학적 조성물의 구성
<실험 예 1>
1. 실험 방법
실시 예 1, 2, 3, 4, 5, 6, 7 및 8을 각각 모돈, 비육우 및 착유우(젖소)에 각각 투여하였다.
2. 실험 결과
각 실시예 조성물의 기호성을 다음의 표 10과 같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조성물의 기호성
Figure pat00002
: 탁월 (5분 이내에 95%이상의 개체가 자율적으로 섭취함)
○ : 우수 (5분 이내에 85~94%의 개체가 자율적으로 섭취함)
△ : 보통 (5분 이내에 75~84%의 개체가 자율적으로 섭취함)
□ : 미흡 (5분 이내에 65~74%의 개체가 자율적으로 섭취함)
× : 불량 (5분 이내에 65%미만의 개체가 자율적으로 섭취함)
<실험 예 2>
1. 실험방법
실시 예 1, 2, 3, 4, 5, 6, 7 및 8을 각 각 가속시험방법에 따라 안정성(stability) 시험을 실시하였다.
2. 실험결과
각 실시예 조성물의 안정성은 다음의 표 11과 같다.
Figure pat00003
실시예 조성물의 안정성, 40(±1), 75(±5)%Rh, 플라스틱기밀용기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3)

  1. 이버멕틴 5~20중량%,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12중량%, 건조효모 12.5~37.5중량%, 대두분말5~15중량%, 싸이클로덱스트린 2.5~10중량% 및 유당 5.5~7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
  2. 액상 혼합조에 이버멕틴 5~20중량%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12중량% 및 싸이클로덱스트린 2.5~10중량%를 각각 투입하고, 상기 이버멕틴의 6~8배 중량%의 에탄올을 투입하여 30rpm속도로 10~30분간 교반한 후 12~24시간 상온에서 정치(定置)하여 혼합액을 조성하는 제 1단계와;
    반죽 혼합기에 건조효모 12.5~37.5중량%와 대두분말 5~15중량%를 넣고 30rpm 속도로 5~20분간 혼합한 후 상기 혼합액을 투입하면서 10~30분간 더 혼합한 다음, 1.5mm 굵기로 압출하여 열풍건조기로 75℃에서 2~4시간 건조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1.0~1.5mm 크기의 과립을 형성하는 제 2단계와;
    상기 과립을 혼합기에 투입하고 유당 5.5~70중량%를 첨가하여 10rpm속도로 6~9분간 혼합한 후 타정기로 이송하여 타정(打錠)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의 과립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반죽 혼합기에 건조효모와 대두분말의 혼합비는 2: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50016504A 2015-02-03 2015-02-03 가축용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88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504A KR101688093B1 (ko) 2015-02-03 2015-02-03 가축용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504A KR101688093B1 (ko) 2015-02-03 2015-02-03 가축용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347A true KR20160095347A (ko) 2016-08-11
KR101688093B1 KR101688093B1 (ko) 2016-12-20

Family

ID=5671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504A KR101688093B1 (ko) 2015-02-03 2015-02-03 가축용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1796A (zh) * 2021-06-15 2022-06-10 湖南喜来高动物保健品有限公司 一种伊维菌素预混剂及其制备方法和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2140A (ja) * 2002-08-16 2006-01-19 メリアル リミテッド 非動物製品含有獣医製剤
KR101109036B1 (ko) * 2009-06-19 2012-01-31 (주)이엘티사이언스 펜벤다졸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
JP4976640B2 (ja) * 2001-09-17 2012-07-18 イーライ リリ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害虫駆除製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6640B2 (ja) * 2001-09-17 2012-07-18 イーライ リリ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害虫駆除製剤
JP2006502140A (ja) * 2002-08-16 2006-01-19 メリアル リミテッド 非動物製品含有獣医製剤
KR101109036B1 (ko) * 2009-06-19 2012-01-31 (주)이엘티사이언스 펜벤다졸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1796A (zh) * 2021-06-15 2022-06-10 湖南喜来高动物保健品有限公司 一种伊维菌素预混剂及其制备方法和设备
CN114601796B (zh) * 2021-06-15 2023-11-17 湖南喜来高动物保健品股份有限公司 一种伊维菌素预混剂及其制备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093B1 (ko)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429B1 (ko) 기호성의 유연한 저작성 수의학 조성물
JP6388890B2 (ja) 血を吸うおよび血を消費する寄生生物の、殺寄生生物剤の経口投与による全身処置
CA2965524C (en) Palatable chewable veterinary composition
EP0009688B1 (de) Medikiertes Tierfutter auf Basis Lebermeh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4203214A (zh) 软咀嚼药用产品
CN102670516A (zh) 一种替米考星可溶性粉剂及其制备方法
BR112020003235A2 (pt) composições orais e métodos de preparação das mesmas
US7582612B2 (en) Multi-action anthelmintic formulations
CN103751201A (zh) 一种犬、猫用抗寄生虫口服崩解片及其制备方法
KR101688093B1 (ko) 가축용 이버멕틴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50351428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orally dosing postnatal swine
KR101109036B1 (ko) 펜벤다졸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
KR101025498B1 (ko) 염산브롬헥신 경구용 액제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1554936A1 (en) Ketoprofen-supplemented animal feed and use thereof in the simultaneous treatment of a group of animals for processes which are accompanied by fever, inflammation and/or pain
CN115671288B (zh) 一种抗寄生虫复方软咀嚼药物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RU2294196C2 (ru) Лечебно-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и способ ее применения при паразитозах животных
CN116077514A (zh) 一种含百里酚和伊维菌素的用于防治动物螨病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05418704A (zh) 一种替米考星-糖精复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170947B1 (ko) 동물용 의약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02069B1 (ko) 파라세타몰 경구용 수용산제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BR102014031535A2 (pt) formulação farmacêutica e processo de obtenção de uma solução de uso oral contendo praziquantel e solução de uso oral contendo praziquantel assim obtida
KR900000547B1 (ko) 동물용 약품제형
CN115006364A (zh) 一种宠物用米尔贝肟吡喹酮风味片的制备方法及产品
CN111840234A (zh) 一种兽用复方驱虫颗粒剂及其制备方法
CN104997733A (zh) 水溶性磷霉素钙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