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793A -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793A
KR20160094793A KR1020150016272A KR20150016272A KR20160094793A KR 20160094793 A KR20160094793 A KR 20160094793A KR 1020150016272 A KR1020150016272 A KR 1020150016272A KR 20150016272 A KR20150016272 A KR 20150016272A KR 20160094793 A KR20160094793 A KR 20160094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frame
collection
remote controller
microcomput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5650B1 (ko
Inventor
김동헌
Original Assignee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6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6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9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propulsion power units being controlled from exterior of engine room, e.g. from navigation bridge; Arrangements of order tele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1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4Conveyors; Paddle wheels; Endless belts
    • H04N5/232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6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 B63B2035/008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remotely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13/00Navigational aids and us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13/02Navigational aids and us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using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은 강이나 호수 또는 양식장과 같은 소규모 수상지역의 부유물 수거용으로 최적화되어, 원격지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고 쉽게 수상 부유물을 수거할 수 있고, 배터리의 잔량정보와 지피에스를 통한 수거프레임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수거프레임의 유실을 방지하고, 충분한 부유물 수거활동 후 수거프레임을 복귀시킬 수 있다. 특히, 배터리의 잔량정보, 복귀소모량 및 운행가능량 등이 마이콤을 통해 계산되어 원격제어기로 전송되며, 하중감지센서로부터 수거함에 수거된 부유물의 하중을 감지하여 원격제어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수거프레임의 복귀여부를 편리하게 결정할 수도 있고, 필요시 수거프레임을 강제복귀시켜 수거프레임의 침몰이나 유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WATER SURFACE FLOATING MATTERS}
본 발명은 강이나 호수, 댐 및 양식장 등의 수면에 부유하는 각종 부유물, 예컨대 나무, 스티로폼, 플라스틱 및 캔 등을 수거하는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호수, 바다의 수면에는 각종 사고 및 재해로 인해 수질 오염원인인 각종 부유물이 떠다니고 있고, 이와 같은 수상 부유물은 생태계에 막대한 악영향을 주게 되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장마철 집중적으로 강이나 댐, 호수뿐만 아니라 양식장에 모이는 부유 쓰레기는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귀중한 식수원 및 먹거리인 해산물을 오염시키는 오염원이 되므로 반드시 수거해야 한다.
이러한 수상 부유물을 수거하는데 막대한 비용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위해 종래부터 중장비를 이용하거나 인력에 의존하는 수거 작업을 함으로써 비용대비 극히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수상 부유물을 수거하고 있다.
물론, 등록특허공보 제10-0352891호의 '부유물 수거용 선박'이나, 등록특허공보 제10-1235835호의 '부유 쓰레기 수거 처리용 선박' 등과 같이 선박의 선체에 부유물 수거장치를 설치하여 부유 쓰레기를 수거 및 처리하는 종래의 기술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유물 수거 선박은 그 자체로 대형의 선박으로서, 선박의 항해를 위해 많은 인력이 필요함은 물론 다량의 연료가 소비되고, 넓은 지역에서 주로 활동하는 것으로서, 작은 강이나 호수 또는 양식장과 같은 소규모 수상지역의 부유물 수거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강이나 호수 또는 양식장과 같은 소규모 수상지역의 부유물 수거용으로 최적화된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는, 수상에 부유하는 수거프레임과, 상기 수거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수상에 부유하는 상기 수거프레임을 전방으로 진행시키도록 추진부가 각각 구비된 한 쌍의 플로터와, 각각이 상기 수거프레임의 전방에 일정한 각도로 펼쳐지게 설치되고, 상기 수거프레임의 전방으로 접근하는 부유물을 내부로 끌어들여 상기 수거프레임의 전단으로 가이드하는 한 쌍의 수거가이드봉과, 전단이 수면에 잠기면서 후단이 상향 경사지게 상기 수거프레임의 전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거가이드봉에 의해 가이드된 상기 부유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무한궤도로 운행하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후방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거프레임의 후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후방으로 이송된 상기 부유물을 수거하는 수거함과, 상기 수거프레임의 상방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거프레임의 주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플로터, 컨베이어벨트 및 카메라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을 제어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과 원격지에서 무선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마이콤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원격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후단을 회전중심으로 전단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전단을 상하로 승강시키도록 상기 마이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는 리프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기는 휴대용 단말기이고, 상기 카메라는 IP카메라이고, 상기 마이콤은, 상기 원격제어기와 와이파이(Wi-Fi) 통신을 하는 아두이노(Arduino)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거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콤은, 상기 배터리의 잔량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원격제어기에 감지된 상기 배터리의 잔량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거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수거프레임의 현재 위치를 전송하는 지피에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콤은, 상기 지피에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수거프레임의 위치정보를 상기 원격제어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콤은, 상기 지피에스의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원격제어기와 상기 수거프레임 사이의 이격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이격거리를 상기 원격제어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콤은, 상기 이격거리에 대하여 상기 수거프레임이 상기 원격제어기로 복귀시 필요한 상기 배터리의 복귀소모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배터리의 복귀소모량을 상기 원격제어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콤은, 상기 배터리의 잔량정보 및 복귀소모량의 차이값인 운행가능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배터리의 운행가능량을 상기 원격제어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콤은, 상기 배터리의 운행가능량이 총량의 10%이내인 경우 상기 원격제어기에 복귀경고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의 운행가능량이 총량의 5%이내인 경우 상기 플로터를 제어하여 상기 수거프레임을 상기 원격제어기로 강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거함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콤은, 상기 하중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하중값이 기설정된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플로터를 제어하여 상기 수거프레임을 상기 원격제어기로 강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는, 작은 강이나 호수 또는 양식장과 같은 소규모 수상지역의 부유물 수거용으로 최적화되어, 원격지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고 쉽게 수상 부유물을 수거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잔량정보와 지피에스를 통한 수거프레임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수거프레임의 유실을 방지하고, 충분한 부유물 수거활동 후 수거프레임을 복귀시킬 수 있다.
특히, 배터리의 잔량정보, 복귀소모량 및 운행가능량 등이 마이콤을 통해 계산되어 원격제어기로 전송되며, 하중감지센서로부터 수거함에 수거된 부유물의 하중을 감지하여 원격제어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수거프레임의 복귀여부를 편리하게 결정할 수도 있고, 필요시 수거프레임을 강제복귀시켜 수거프레임의 침몰이나 유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서 리프팅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각 기능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프레임(100), 플로터(200), 수거가이드봉(300), 컨베이어벨트(400), 수거함(500), 카메라(600), 마이콤(700) 및 원격제어기(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리프팅부(410), 배터리(910), 지피에스(920) 및 하중감지센서(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거프레임(10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의 몸체로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취부 및 결합되고, 수상에 부유한다. 수거프레임(100)이 수상에 부유할 수 있기 위해서는, 물의 비중보다 작아야 하며, 재질에 따라 다양한 크기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나무나 스티로폼, 합성수지 재질을 가질 수도 있고, 중공인 내부를 가진 금속박판일 수도 있다. 어떠한 재질이나 형상이든 상기 수거프레임(100)은 수상에 부유할 수 있으면 족하다.
플로터(20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수거프레임(100)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수상에 부유하는 상기 수거프레임(100)을 전방으로 진행시키도록 추진부(210)가 각각 구비된다. 플로터(200) 역시 상기 수거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수상에 부유할 수 있는 재질 및 형상을 가지며, 수거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동일하게 설치되므로 쌍동선(catamaran)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플로터(200)는 각각 추진부(2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수거프레임(100)을 전방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방식이든 무관한다. 예컨대, 플로터(200)의 추진부(210)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모터의 회전력을 통한 프로펠러식일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로켓엔진이나 기타 추진력을 발생하는 다양한 추진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수거가이드봉(300)은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이 상기 수거프레임(100)의 전방에 일정한 각도로 펼쳐지게 설치되고, 상기 수거프레임(100)의 전방으로 접근하는 부유물을 내부로 끌어들여 상기 수거프레임(100)의 전단으로 가이드한다. 수거가이드봉(300)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각각의 끝단거리가 수거프레임(100)의 전단길이보다 길게 펼쳐져 수거프레임(100)이 전진시에 수거프레임(100)의 전단길이 외곽의 부유물도 함께 수거프레임(100)의 전단으로 가이드되도록 끌어들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수거가이드봉(300)은 도면상 각도가 고정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회전수단을 통해 수거가이드봉(300)의 펼쳐지는 각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수거가이드봉(300)은 수면에 평행하게 설치되지 않고, 상향 경사지게 설치하여 수거프레임(100)의 전진시 수거가이드봉(300)에 의해 발생하는 물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컨베이어벨트(400)는 전단이 수면에 잠기면서 후단이 상향 경사지게 상기 수거프레임(100)의 전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거가이드봉(300)에 의해 가이드된 상기 부유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무한궤도로 운행한다. 수거프레임(100)이 플로터(200)에 의해 수상을 전진하게 되고, 수거가이드봉(300)에 의해 부유물이 수거프레임(100)의 전단으로 가이드될 경우 부유물을 이송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벨트(400)와 후술하는 수거함(500)이 요구된다. 따라서, 컨베이어벨트(400)는 부유물이 수거프레임(100)의 전단으로 가이드되면, 부유물을 수거프레임(100)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컨베이어벨트(40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을 회전중심으로 전단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리프팅부(410)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벨트(400)의 전단이 상하로 승강 작동된다. 이러한 컨베이어벨트(400)의 상하 승강 작동은, 후술하겠지만 더 이상의 부유물을 이송할 필요가 없는 경우, 예컨대 수거프레임(100)의 복귀시나 수거함(500)에 수거된 부유물이 가득 찬 경우이다.
수거함(500)은 상기 컨베이어벨트(400)의 후방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거프레임(100)의 후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400)의 후방으로 이송된 상기 부유물을 수거한다. 즉, 수거프레임(100)의 전단으로 가이드된 부유물은 컨베이어벨트(400)에 의해 수거프레임(10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송되고, 이송된 부유물은 상기 수거함(500)에 수용되면서 수거되는 것이다.
카메라(600)는 상기 수거프레임(100)의 상방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거프레임(100)의 주변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600)를 통해 수거프레임(100)의 주변영상이 촬영되면, 수거프레임(100)의 진로를 방해하는 방해물이나 부유물의 위치가 확인되고, 그에 따라 수거프레임(100)의 진행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600)의 촬영영상은 후술하는 마이콤(700)을 통해 원격제어기(800)에 전달된다.
마이콤(700)은 상기 플로터(200), 컨베이어벨트(400) 및 카메라(60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마이콤(700)은 플로터(200)의 추진부(210)를 제어하여 수거프레임(100)의 전진이나 후진, 방향전환 및 정지 등을 제어하고, 컨베이어벨트(400)를 작동시키거나 리프팅부(410)를 제어하여 컨베이어벨트(400)의 전단을 상하로 승강시키며, 카메라(600)로부터 촬영된 주변영상을 수신받아 저장하거나, 후술하는 원격제어기(800)에 촬영된 영상을 전송한다.
원격제어기(800)는 상기 마이콤(700)과 원격지에서 무선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마이콤(700)에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따라서, 원격제어기(800)에서 상기 마이콤(700)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상술한 각 기능부, 예컨대 플로터(200), 컨베이어벨트(400) 및 카메라(600) 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원격제어기(800)는 관제센터일 수 있고, 데스크탑을 통해 마이콤(7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는 현재 널리 사용되는 스마트폰, 핸드헬드 컴퓨터나 PDA 등이며, 이러한 원격제어기(800)에 대하여, 상기 카메라(600)는 IP카메라를 사용하고, 상기 마이콤(700)은 상기 원격제어기(800)와 와이파이(Wi-Fi) 통신을 하는 아두이노(Arduino)일 수 있다. 즉, 스마트폰을 통한 무선 인터넷 통신으로 제어한다는 의미이다. 물론, 수거하고자 하는 수상지역의 규모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RF통신이나 기타 블루투스, 초음파 등의 다양한 무선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는, 작은 강이나 호수 또는 양식장과 같은 소규모 수상지역의 부유물 수거용으로 최적화되어, 원격지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고 쉽게 수상 부유물을 수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콤(7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9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콤(700)은 상기 배터리(910)의 잔량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원격제어기(800)에 감지된 상기 배터리(910)의 잔량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실시간으로 수상 부유물의 수거활동을 하면서, 배터리(910)의 잔량정보를 확인하여 배터리(910)가 모두 방전되기 전에 수거프레임(100)의 복귀를 촉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거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상기 수거프레임(100)의 현재 위치를 전송하는 지피에스(92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이콤(700)은 상기 지피에스(920)로부터 수시된 상기 수거프레임(100)의 위치정보를 상기 원격제어기(800)에 전송한다. 원격제어기(800)에서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수거프레임(100)의 현재 위치를 맵핑하고, 원격제어기(8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수거프레임(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는, 배터리(910)의 잔량정보와 지피에스(920)를 통한 수거프레임(100)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수거프레임(100)의 유실을 방지하고, 충분한 부유물 수거활동 후 수거프레임(100)을 복귀시킬 수 있다.
또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에 배터리(910) 및 지피에스(920)를 통하여 배터리(910)의 잔량정보를 통한 수거활동의 계속여부와 지피에스(920)를 통한 수거프레임(100)의 현재위치에 대한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임의적인 판단과 함께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수거프레임(100)을 복귀시켜 더욱 편리한 사용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이콤(700)은 상기 지피에스(920)의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원격제어기(800)와 상기 수거프레임(100) 사이의 이격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이격거리를 상기 원격제어기(8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콤(700)은 상기 이격거리에 대하여 상기 수거프레임(100)이 상기 원격제어기(800)로 복귀시 필요한 상기 배터리(910)의 복귀소모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배터리(910)의 복귀소모량을 상기 원격제어기(8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격제어기(800)에서는 배터리(910)의 잔량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수거프레임(100)과 원격제어기(800) 간의 이격거리가 표시되고, 상기 이격거리를 기준으로 수거프레임(100)의 복귀시 필요한 배터리(910)의 복귀소모량이 표시됨으로써, 배터리(910)의 복귀소모량이 배터리(910)의 잔량정보에 근접할 경우 수거프레임(100)의 복귀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이콤(700)은 상기 배터리(910)의 잔량정보 및 복귀소모량의 차이값인 운행가능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배터리(910)의 운행가능량을 상기 원격제어기(8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910)의 운행가능량이 총량의 10%이내인 경우 상기 원격제어기(800)에 복귀경고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910)의 운행가능량이 총량의 5%이내인 경우 상기 플로터(200)를 제어하여 상기 수거프레임(100)을 상기 원격제어기(800)로 강제 복귀시킬 수 있다.
한편, 수상 부유물의 수거활동시 상술한 마이콤(700)을 통해 계산된 배터리(910)의 운행가능량이 충분한 경우라도, 수거함(500)이 가득 차 더 이상의 부유물 수거가 곤란하거나 또는 수거된 부유물의 무게가 무거워 수거프레임(100)의 운행이 불가능할 정도인 경우에는 수거활동을 중지하고, 수거프레임(100)을 복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는, 상기 수거함(500)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센서(5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콤(700)은 상기 하중감지센서(510)로부터 감지된 하중값이 기설정된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플로터(200)를 제어하여 상기 수거프레임(100)을 상기 원격제어기(800)로 강제 복귀시킬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마이콤(700)은 수거프레임(100)의 강제 복귀 전에, 하중감지센서(510)로부터 감지된 하중값이 기설정된 설정값에 근접할 경우 하중경고신호를 전송하여 미리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는, 배터리(910)의 잔량정보, 복귀소모량 및 운행가능량 등이 마이콤(700)을 통해 계산되어 원격제어기(800)로 전송되며, 하중감지센서(510)로부터 수거함(500)에 수거된 부유물의 하중을 감지하여 원격제어기(80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수거프레임(100)의 복귀여부를 편리하게 결정할 수도 있고, 필요시 수거프레임(100)을 강제복귀시켜 수거프레임(100)의 침몰이나 유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수거프레임
200 : 플로터 210 : 추진부
300 : 수거가이드봉
400 : 컨베이어벨트 410 : 리프팅부
500 : 수거함 510 : 하중감지센서
600 : 카메라
700 : 마이콤
800 : 원격제어기
910 : 배터리 920 : 지피에스

Claims (10)

  1. 수상에 부유하는 수거프레임과,
    상기 수거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수상에 부유하는 상기 수거프레임을 전방으로 진행시키도록 추진부가 각각 구비된 한 쌍의 플로터와,
    각각이 상기 수거프레임의 전방에 일정한 각도로 펼쳐지게 설치되고, 상기 수거프레임의 전방으로 접근하는 부유물을 내부로 끌어들여 상기 수거프레임의 전단으로 가이드하는 한 쌍의 수거가이드봉과,
    전단이 수면에 잠기면서 후단이 상향 경사지게 상기 수거프레임의 전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거가이드봉에 의해 가이드된 상기 부유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무한궤도로 운행하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후방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거프레임의 후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후방으로 이송된 상기 부유물을 수거하는 수거함과,
    상기 수거프레임의 상방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거프레임의 주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플로터, 컨베이어벨트 및 카메라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을 제어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과 원격지에서 무선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마이콤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원격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후단을 회전중심으로 전단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전단을 상하로 승강시키도록 상기 마이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는 리프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는 휴대용 단말기이고,
    상기 카메라는 IP카메라이고,
    상기 마이콤은,
    상기 원격제어기와 와이파이(Wi-Fi) 통신을 하는 아두이노(Arduin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콤은,
    상기 배터리의 잔량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원격제어기에 감지된 상기 배터리의 잔량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수거프레임의 현재 위치를 전송하는 지피에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콤은,
    상기 지피에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수거프레임의 위치정보를 상기 원격제어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지피에스의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원격제어기와 상기 수거프레임 사이의 이격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이격거리를 상기 원격제어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이격거리에 대하여 상기 수거프레임이 상기 원격제어기로 복귀시 필요한 상기 배터리의 복귀소모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배터리의 복귀소모량을 상기 원격제어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배터리의 잔량정보 및 복귀소모량의 차이값인 운행가능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배터리의 운행가능량을 상기 원격제어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배터리의 운행가능량이 총량의 10%이내인 경우 상기 원격제어기에 복귀경고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의 운행가능량이 총량의 5%이내인 경우 상기 플로터를 제어하여 상기 수거프레임을 상기 원격제어기로 강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콤은,
    상기 하중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하중값이 기설정된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플로터를 제어하여 상기 수거프레임을 상기 원격제어기로 강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KR1020150016272A 2015-02-02 2015-02-02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KR101655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272A KR101655650B1 (ko) 2015-02-02 2015-02-02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272A KR101655650B1 (ko) 2015-02-02 2015-02-02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793A true KR20160094793A (ko) 2016-08-10
KR101655650B1 KR101655650B1 (ko) 2016-09-07

Family

ID=56713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272A KR101655650B1 (ko) 2015-02-02 2015-02-02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650B1 (ko)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1293A (zh) * 2017-05-23 2017-09-15 陕西科技大学 一种自动化水面垃圾清洁装置
CN107200100A (zh) * 2017-06-08 2017-09-26 天津理工大学 一种小型水面垃圾清理器
KR20180046400A (ko) * 2016-10-27 2018-05-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부유물 수거용 자율 수상로봇
CN108622328A (zh) * 2018-03-27 2018-10-09 安徽师范大学 一种水面综合清理船
CN108860487A (zh) * 2018-03-01 2018-11-23 淮海工学院 一种智能水面清污机器人
CN109159861A (zh) * 2018-08-23 2019-01-08 罗晓辉 一种水面垃圾清理船
CN109356133A (zh) * 2018-10-16 2019-02-19 珠海市水通环保设备有限公司 水面漂浮物收集装置
CN110001875A (zh) * 2019-03-22 2019-07-12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用于水面垃圾清洁与分类的水面机器人及分类打捞方法
CN110029617A (zh) * 2019-03-07 2019-07-19 蒋辰曦 海滩垃圾清洁车
CN110641631A (zh) * 2019-09-29 2020-01-03 北京邦源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河道管理的全自动无人船及其应用
CN111676922A (zh) * 2020-05-06 2020-09-18 北京点域科技有限公司 一种水污染漂浮物清理装置
CN111877290A (zh) * 2020-08-10 2020-11-03 重庆交通大学 一种智能水面清洁机器人
CN112112140A (zh) * 2020-08-12 2020-12-22 王志超 一种生态水库浮藻自动清理装置
CN112459028A (zh) * 2020-11-25 2021-03-09 澜途集思生态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水质维护机器人以及运行方法
CN112726540A (zh) * 2020-12-24 2021-04-30 浙江水利水电学院 可根据平原河道水位高度升降的垃圾收集装置
KR102259517B1 (ko) * 2020-02-26 2021-06-0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부유물 수거용 무인로봇
CN113715974A (zh) * 2021-08-17 2021-11-30 谢够连 一种节能环保湖面垃圾收集装置
KR20220082168A (ko) * 2020-12-09 2022-06-17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사이펀 원리를 이용한 원격제어형 오니흡입제거장치
KR20220082164A (ko) * 2020-12-09 2022-06-17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사이펀 원리를 이용한 원격제어형 오니흡입제거장치
CN115027630A (zh) * 2022-07-21 2022-09-09 张恺知 一种水面无人船
KR20220133020A (ko) * 2021-03-24 2022-10-04 김대인 해양폐기물 자율운항 수거시스템
CN115266631A (zh) * 2022-07-14 2022-11-01 长江水利委员会水文局荆江水文水资源勘测局 一种水上悬移质泥沙在线监测平台
CN117822533A (zh) * 2024-03-04 2024-04-05 山东环宇地理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国土规划综合整治用水资源生态修复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47594B (zh) * 2016-10-21 2018-02-09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无线充电自动清理水面机器人系统
KR102032623B1 (ko) * 2017-12-22 2019-10-1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쌍동선 형태의 무선 조종 해양쓰레기 수거 드론
CN110185013A (zh) * 2019-05-09 2019-08-30 上海海事大学 基于机器视觉识别的水面清洁船装置及水面清洁方法
KR102031828B1 (ko) * 2019-06-27 2019-10-16 주식회사 웨이스트에너지솔루션 해양 쓰레기 일괄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및 그 관리 시스템
KR20240030478A (ko) 2022-08-31 2024-03-07 김승환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933A (ko) * 1999-02-11 2000-09-15 이성진 수상 부유물 수거선
KR20000076555A (ko) * 1999-01-29 2000-12-26 가부시끼가이샤덴코샤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및 그 원격조종장치
KR20030003132A (ko) * 2002-09-30 2003-01-09 장일도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KR20100008652A (ko) * 2008-07-16 2010-01-2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쌍동선을 이용한 무인선박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555A (ko) * 1999-01-29 2000-12-26 가부시끼가이샤덴코샤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및 그 원격조종장치
KR20000055933A (ko) * 1999-02-11 2000-09-15 이성진 수상 부유물 수거선
KR20030003132A (ko) * 2002-09-30 2003-01-09 장일도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KR20100008652A (ko) * 2008-07-16 2010-01-2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쌍동선을 이용한 무인선박 시스템

Cited B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400A (ko) * 2016-10-27 2018-05-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부유물 수거용 자율 수상로봇
CN107161293A (zh) * 2017-05-23 2017-09-15 陕西科技大学 一种自动化水面垃圾清洁装置
CN107200100A (zh) * 2017-06-08 2017-09-26 天津理工大学 一种小型水面垃圾清理器
CN108860487A (zh) * 2018-03-01 2018-11-23 淮海工学院 一种智能水面清污机器人
CN108860487B (zh) * 2018-03-01 2023-08-18 淮海工学院 一种智能水面清污机器人
CN108622328A (zh) * 2018-03-27 2018-10-09 安徽师范大学 一种水面综合清理船
CN108622328B (zh) * 2018-03-27 2023-11-10 安徽师范大学 一种水面综合清理船
CN109159861B (zh) * 2018-08-23 2020-09-18 华琳琳 一种水面垃圾清理船
CN109159861A (zh) * 2018-08-23 2019-01-08 罗晓辉 一种水面垃圾清理船
CN109356133A (zh) * 2018-10-16 2019-02-19 珠海市水通环保设备有限公司 水面漂浮物收集装置
CN110029617A (zh) * 2019-03-07 2019-07-19 蒋辰曦 海滩垃圾清洁车
CN110001875B (zh) * 2019-03-22 2024-04-12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用于水面垃圾清洁与分类的水面机器人及分类打捞方法
CN110001875A (zh) * 2019-03-22 2019-07-12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用于水面垃圾清洁与分类的水面机器人及分类打捞方法
CN110641631A (zh) * 2019-09-29 2020-01-03 北京邦源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河道管理的全自动无人船及其应用
CN110641631B (zh) * 2019-09-29 2023-10-24 北京邦源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河道管理的全自动无人船及其应用
KR102259517B1 (ko) * 2020-02-26 2021-06-0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부유물 수거용 무인로봇
CN111676922A (zh) * 2020-05-06 2020-09-18 北京点域科技有限公司 一种水污染漂浮物清理装置
CN111877290A (zh) * 2020-08-10 2020-11-03 重庆交通大学 一种智能水面清洁机器人
CN112112140A (zh) * 2020-08-12 2020-12-22 王志超 一种生态水库浮藻自动清理装置
CN112459028A (zh) * 2020-11-25 2021-03-09 澜途集思生态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水质维护机器人以及运行方法
KR20220082164A (ko) * 2020-12-09 2022-06-17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사이펀 원리를 이용한 원격제어형 오니흡입제거장치
KR20220082168A (ko) * 2020-12-09 2022-06-17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사이펀 원리를 이용한 원격제어형 오니흡입제거장치
CN112726540A (zh) * 2020-12-24 2021-04-30 浙江水利水电学院 可根据平原河道水位高度升降的垃圾收集装置
KR20220133020A (ko) * 2021-03-24 2022-10-04 김대인 해양폐기물 자율운항 수거시스템
CN113715974A (zh) * 2021-08-17 2021-11-30 谢够连 一种节能环保湖面垃圾收集装置
CN115266631A (zh) * 2022-07-14 2022-11-01 长江水利委员会水文局荆江水文水资源勘测局 一种水上悬移质泥沙在线监测平台
CN115266631B (zh) * 2022-07-14 2023-10-03 长江水利委员会水文局荆江水文水资源勘测局 一种水上悬移质泥沙在线监测平台
CN115027630A (zh) * 2022-07-21 2022-09-09 张恺知 一种水面无人船
CN115027630B (zh) * 2022-07-21 2023-12-19 北京世航华远科技有限公司 一种水面无人船
CN117822533A (zh) * 2024-03-04 2024-04-05 山东环宇地理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国土规划综合整治用水资源生态修复装置
CN117822533B (zh) * 2024-03-04 2024-05-17 山东环宇地理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水资源生态修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650B1 (ko)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650B1 (ko)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KR101935414B1 (ko) 부유물 수거용 자율 수상로봇
CN205615676U (zh) 一种智能水面清洁船
KR101606037B1 (ko) 방제작업용 무인선
CN109501974B (zh) 水面垃圾清理船
US9670636B2 (en) Aqua-robotic pollutant removing systems and devices, and methods of removing pollutants from bodies of water
WO2011003838A1 (en) A dredge vessel system
CN109594544A (zh) 一种水面清洁器
AU2019201190B2 (en) System for dangerous current identification, characterization, alerting and for distressed swimmer location and assistance
US116611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marine debris
CN202936769U (zh) 一种溢油回收机器人
CN110667790A (zh) 一种空气动力水面除草清污装备和清污方法
KR20230025227A (ko) 해수면 청소 선단
Abdullah et al. Design and prototype development of portable trash collector boat for small stream application
EP2288755A1 (en) Contaminant recovery device for contaminants on watersurface
CN108891545B (zh) 一种水草打捞船及其工作方法
CN201792995U (zh) 海上漂浮垃圾回收船
US20220028240A1 (en) System for dangerous current identification, characterization, alerting and for distressed swimmer location and assistance
KR102606919B1 (ko) 해양폐기물 자율운항 수거시스템
CN210658281U (zh) 一种水面清洁器
CN114991104A (zh) 一种湖泊沙滩两用的垃圾清理装置
SE513195C2 (sv) Metod och anordning vid oljebekämpning
KR20190061685A (ko) 자동화 유회수 유/무인 선박
FI128632B (fi) Öljyntorjuntayksikkö
CN204527552U (zh) 清漂船横向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