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478A -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478A
KR20240030478A KR1020220109579A KR20220109579A KR20240030478A KR 20240030478 A KR20240030478 A KR 20240030478A KR 1020220109579 A KR1020220109579 A KR 1020220109579A KR 20220109579 A KR20220109579 A KR 20220109579A KR 20240030478 A KR20240030478 A KR 20240030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sleeping
cleaning robot
robo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환
Original Assignee
김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환 filed Critical 김승환
Priority to KR1020220109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478A/ko
Publication of KR20240030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47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4Springs torsional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충전스테이션에서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수면청소로봇을 충전 시 자성에 의해 스테이션과 로봇에 설치된 무선충전부가 서로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면청소로봇의 무선충전스테이션에 구비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내부에 구비되어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무선충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충전부는 내부에 충전코일이 구비되는 충전코일부와, 상기 충전코일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자력이 발생되는 자력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ROBOT FOR WATER CLEANING}
본 발명은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충전스테이션에서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수면청소로봇을 충전 시 자성에 의해 스테이션과 로봇에 설치된 무선충전부가 서로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호수, 바다의 수면에는 각종 사고 및 재해로 인해 수질 오염원인인 각종 부유물이 떠다니고 있고, 이와 같은 수상 부유물은 생태계에 막대한 악영향을 주게 되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장마철 집중적으로 강이나 댐, 호수뿐만 아니라 양식장에 모이는 부유 쓰레기는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귀중한 식수원 및 먹거리인 해산물을 오염시키는 오염원이 되므로 반드시 수거해야 한다.
이러한 수상 부유물을 수거하는데 막대한 비용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위해 종래부터 중장비를 이용하거나 인력에 의존하는 수거 작업을 함으로써 비용대비 극히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수상 부유물을 수거하고 있다.
물론, 등록특허공보 제10-0352891호의 '부유물 수거용 선박'이나, 등록특허공보 제10-1235835호의 '부유 쓰레기 수거 처리용 선박' 등과 같이 선박의 선체에 부유물 수거장치를 설치하여 부유 쓰레기를 수거 및 처리하는 종래의 기술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유물 수거 선박은 그 자체로 대형의 선박으로서, 선박의 항해를 위해 많은 인력이 필요함은 물론 다량의 연료가 소비되고, 넓은 지역에서 주로 활동하는 것으로서, 작은 강이나 호수 또는 양식장과 같은 소규모 수상지역의 부유물 수거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특허공보 제10-1655650호의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나, 등록특허공보 제10-1935414호의 '부유물 수거용 자율 수상로봇' 등의 로봇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장치의 배터리 등을 안정적으로 충전하기 위한 스테이션의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2891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5835호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5650호 특허문헌 4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5414호 특허문헌 5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368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충전스테이션에서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수면청소로봇을 충전 시 자성에 의해 스테이션과 로봇에 설치된 무선충전부가 서로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공급이 없이 자성 발생여부가 기계적으로 구동되는 스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면청소로봇의 무선충전스테이션에 구비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내부에 구비되어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무선충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충전부는 내부에 충전코일이 구비되는 충전코일부와, 상기 충전코일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자력이 발생되는 자력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력발생부는 스위치가 구비된 자석부재와, 상기 자석부재의 상하에 구비되는 비자성체와, 상기 자석부재의 좌우에 구비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무선충전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부재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충전스테이션에서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수면청소로봇을 충전 시 자성에 의해 스테이션과 로봇에 설치된 무선충전부가 서로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전원공급이 없이 자성 발생여부가 기계적으로 구동되는 스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가 구비된 무선충전스테이션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의 자력발생부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가 구비된 무선충전스테이션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의 자력발생부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무선충전스테이션에서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수면청소로봇을 충전 시 자성에 의해 무선충전스테이션과 수면청소로봇에 설치된 무선충전부가 서로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면청소로봇(10, 이하, '로봇'이라 한다)의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스테이션(20, 이하, '스테이션'이라 한다)에 구비되는 가이드(100)와, 상기 가이드(100) 내부에 구비되어 승강수단(미도시)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무선충전부(2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테이션(20)은 수상에 부유되도록 구비되어, 로봇(10)이 작업 중 저전력상태가 되었을 때 또는 작업 완료 후 충전을 위해 복귀하는 대상으로서 로봇(10)의 위치 등을 수신하며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내설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태양광패널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10)은 수면에 부유한 상태로 운행하며 수면에 있는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것으로, 스테이션(20)과 위치 등을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추진장치가 구비되고, 이물질이 수집되는 이물질 수집부 등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로봇(10)과 스테이션(20)에는 각각 무선충전부(12,200)가 구비되어 로봇(10)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은 스테이션(20)에 설치되는 무선충전부(200)를 주 구성으로 한다.
즉, 상기 로봇(10)이 스테이션(20)으로 복귀하면 각 무선충전부(12,200)가 접촉하도록 하여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무선충전스테이션(20)의 무선충전부(200)로부터 무선충전 시에만 선택적으로 자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로봇(10)의 무선충전부(12)의 코일(14) 주변에 구비되는 자성체(미도시)에 부착되어 각 무선충전부(12,200)가 서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충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충전하지 않을 때에는 무선충전부(200)의 자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로봇(10)이 작업을 위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무선충전부(200)의 자력발생 여부가 별도의 전원 없이 기계적인 구조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무선충전부(200)는 내부에 충전코일의 구비되는 충전코일부(210)와, 상기 충전코일부(2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자력이 발생되는 자력발생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충전부(220)의 충전코일부(210)는 스테이션(20)에 승강수단(미도시)에 의해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스테이션(20)에 로봇(10)이 진입한 경우에 하강하여 로봇(10)의 무선충전부(12)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미도시)은 모터구동에 의한 스크류축 방식 또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유압잭, 공압잭, 랙피니언, 체인 등 공지의 승강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승강수단에 대한 세부구성은 본 발명에서 청구하는 바가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자력발생부(220)는 스위치(221)가 구비된 자석부재(222)와, 상기 자석부재(222)의 상하에 구비되는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체(224)와, 상기 자석부재(222)의 좌우에 구비되는 강철 등의 자성체(226)를 포함한다.
즉, 상기 자석부재(222)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 단부에 스위치(221)가 구비되며, 상기 비자성체(224)와 자성체(226)에 의해 외주면이 둘러 싸인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스위치(221)를 이용하여 자석부재(222)를 회전시킴에 따라 자성체(226)가 자화되어 자력발생부(220)로부터 자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자석부재(222)의 양 극이 비자성체(224)와 나란한 상태에서는 자력발생부(220)에 자력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가 되고, 자석부재(222)의 양 극이 자성체(226)와 나란한 상태에서는 자력발생부(220)에 자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100)에는 상기 무선충전부(200)의 승강에 따라 상기 스위치(221)를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부재(11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전환부재(110)는 무선충전부(200)가 하강 시 스위치(221)가 지나가는 경로상에 돌출 형성되어 스위치(221)를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10)이 스테이션(20)에 진입하여 승강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무선충전부(200)가 하강하면, 스위치(221)가 전환부재(110)에 의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자석부재(222)가 자력을 발생시키는 방향, 즉 자석부재(222)의 양 극이 비자성체(224)와 나란하게 되는 방향에서 자석부재(222)의 양 극이 자성체(226)와 나란하게 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자력발생부(220)에서 자력이 발생됨으로써 상기 로봇(10)의 무선충전부(12)에 구비되는 자성체(미도시)에 부착되어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석부재(222)에는 자석부재(222)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토션스프링(223)이 구비될 수 있다.
그래서, 로봇(10)의 충전이 완료되거나, 로봇(10)이 작업을 시작하려는 경우 무선충전부(200)가 상승할 때 토션스프링(223)의 복원력에 의해 스위치(2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자석부재(222)의 양 극이 자성체(226)와 나란하게 되는 방향에서 자석부재(222)의 양 극이 비자성체(224)와 나란하게 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자력발생부(220)에서 자력 발생이 중단되고, 로봇(10)의 무선충전부(12)와의 고정이 해제되게 되는 것으로, 무선충전부(200)의 자력발생 여부가 별도의 전원 없이 자석부재(222)의 스위치(221)와 토션스프링(223) 및 전환부재(110) 간의 기계적인 구조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무선충전부(200)가 도 3a의 위치에서 하강하여 도 3b의 위치에서 로봇(10)의 무선충전부(12)에 접촉된 상태에서 무선충전부(200)가 더 하강하여 로봇(10)이 가압되어 수면 아래로 무선충전부(200)의 하강 높이만큼 가라앉는 상태가 되며, 도 3c의 위치가 되었을 때 무선충전부(200)에 자력이 발생하여 무선충전부(12,200)가 서로 부착되게 된 상태로 충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충전이 완료되면 도 3d의 위치까지 무선충전부(12,200)가 부착된 상태로 로봇(10)이 수면 위에 부유한 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자력발생부(220)의 자력 발생이 중단되어 로봇(10)의 무선충전부(12)와의 고정이 해제되고 무선충전부(200)는 더 상승하여 처음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로봇(10)의 무선충전부(12)는 무선충전부(200)의 가압 시 로봇(10)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때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로봇(10)의 무게중심 축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충전부(12,200)의 접촉이 도 3c의 위치가 되었을 때 이루어지도록 로봇(10)의 무선충전부(12)의 높이와 스테이션(20)의 무선충전부(200)의 이동높이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자력발생부(220)는 충전코일부(210)의 외부에 두개 또는 그 이상이 구비되어 로봇(10)의 무선충전부(12)의 코일(미도시) 주변에 구비되는 자성체(미도시)에 부착될 때 무선충전부(12,200)의 코일(미도시)과 충전코일부(210)가 보다 정확히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에 의하면, 무선충전스테이션에서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수면청소로봇을 충전 시 자성에 의해 스테이션과 로봇에 설치된 무선충전부가 서로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전원공급이 없이 자성 발생여부가 기계적으로 구동되는 스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충전스테이션에서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수면청소로봇을 충전 시 자성에 의해 스테이션과 로봇에 설치된 무선충전부가 서로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10: 수면청소로봇 12,200: 무선충전부
20: 무선충전스테이션 100: 가이드
110: 전환부재
210: 충전코일부 220: 자력발생부
221: 스위치 222: 자석부재
223: 토션스프링 224: 비자성체
226: 자성체

Claims (4)

  1. 수면청소로봇의 무선충전스테이션에 구비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내부에 구비되어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무선충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충전부는 내부에 충전코일이 구비되는 충전코일부와, 상기 충전코일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자력이 발생되는 자력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부는 스위치가 구비된 자석부재와,
    상기 자석부재의 상하에 구비되는 비자성체와,
    상기 자석부재의 좌우에 구비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무선충전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재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
KR1020220109579A 2022-08-31 2022-08-31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 KR20240030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579A KR20240030478A (ko) 2022-08-31 2022-08-31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579A KR20240030478A (ko) 2022-08-31 2022-08-31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478A true KR20240030478A (ko) 2024-03-07

Family

ID=9027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579A KR20240030478A (ko) 2022-08-31 2022-08-31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47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891B1 (ko) 2000-07-13 2002-09-16 한국수자원공사 부유물 수거용 선박
KR101093684B1 (ko) 2009-08-05 2011-12-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중 탐사 로봇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KR101235835B1 (ko) 2012-04-24 2013-02-21 (주)신원이앤씨 부유 쓰레기 수거 처리용 선박
KR101655650B1 (ko) 2015-02-02 2016-09-07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KR101935414B1 (ko) 2016-10-27 2019-04-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부유물 수거용 자율 수상로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891B1 (ko) 2000-07-13 2002-09-16 한국수자원공사 부유물 수거용 선박
KR101093684B1 (ko) 2009-08-05 2011-12-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중 탐사 로봇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KR101235835B1 (ko) 2012-04-24 2013-02-21 (주)신원이앤씨 부유 쓰레기 수거 처리용 선박
KR101655650B1 (ko) 2015-02-02 2016-09-07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KR101935414B1 (ko) 2016-10-27 2019-04-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부유물 수거용 자율 수상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6923B1 (ko) 파력을 이용한 자가발전 수단을 구비한 표식수단
CN106347594B (zh) 一种无线充电自动清理水面机器人系统
CN203876955U (zh) 一种新型的水上垃圾清洁双体船
CN113665738A (zh) 一种海上防撞锚浮标
KR101551402B1 (ko) 파력 발전 시스템
KR20240030478A (ko) 수면청소로봇 무선충전장치
CN207773395U (zh) 一种水利工程用的打捞装置
CN105507202A (zh) 一种无人电动两栖清理车
CN108914899B (zh) 一种用于水体垃圾收集装置
CN116142396A (zh) 一种水质采样及回收垃圾移动平台及工作方法
CN114132446A (zh) 一种水面垃圾收集装置
Liang et al. Design of water surface collection robot based on deep sea cage culture
KR101945628B1 (ko) 파력을 이용한 부력식 진동 발전기
CN111017164A (zh) 水下水质检测机器人
CN1635275A (zh) 浮力位能
CN217267346U (zh) 一种移动式水上散状漂浮物收集装置
CN111645813A (zh) 一种水面清洁用多功能智能控制无人船
CN213442997U (zh) 一种水环境治理用便于安装的漂浮物打捞设备
CN217717107U (zh) 一种海洋工程用环境水质监测装置
CN218027557U (zh) 一种利用清洁能源发电的海面垃圾清理机
CN220136677U (zh) 一种组合式采样系统
CN211107910U (zh) 一种水面水底两用垃圾探测清理智能船
TWI774359B (zh) 水上垃圾收集裝置
CN213114560U (zh) 一种河道治理用垃圾清理装置
CN216863674U (zh) 一种节能环保的废水治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