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146A - 수용성 목재 난연액 및 그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성 목재 난연액 및 그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146A
KR20160094146A KR1020150015376A KR20150015376A KR20160094146A KR 20160094146 A KR20160094146 A KR 20160094146A KR 1020150015376 A KR1020150015376 A KR 1020150015376A KR 20150015376 A KR20150015376 A KR 20150015376A KR 20160094146 A KR20160094146 A KR 20160094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ame retardant
wood
solubl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환
김봉규
Original Assignee
(주)신영목재
김봉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영목재, 김봉규 filed Critical (주)신영목재
Priority to KR1020150015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4146A/ko
Publication of KR20160094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16In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27K3/166Compounds of phosphor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4Combined bleaching or impregnating and drying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 B27K2240/30Fireproof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장력이 작아 침투성이 우수한 수용성 목재 난연액 및 그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목재 난연액은 수용성이며, 물 100중량부와; 수용성 난연제 8~30중량부와; 계면활성제 1~20중량부; 를 포함하거나, 또는 물 100중량부와; 수용성 난연제 10~15중량부와; 계면활성제 4~10중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용성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은, a) 목재 내부의 공기와 수분과 이물이 제거되도록 진공챔버에 투입시켜 진공배기시키는 단계; b) 수용성 난연액을 목재가 담긴 챔버에 가득 주입한 다음 8~30㎏f/㎠의 압력으로 소정시간 가압시켜 수용성 난연액을 함침시키는 단계; c) 수용성 난연액이 함침된 목재를 진공배기시켜 수용성 난연액을 탈수시키는 단계; d) 수용성 난연액이 탈수된 목재를 소정시간 음지에서 자연건조시키는 단계; e) 자연건조된 목재를 건조기에 투입시켜 50~80℃의 온도로 1~4일간 완전 건조하는 단계; 일 수 있다.

Description

수용성 목재 난연액 및 그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fire-retardant wood and water-soluble fire-retardant liquid}
본 발명은 표면장력이 작아 침투성이 우수한 수용성 목재 난연액 및 그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木材)는 보온성이나 단열성 또는 흡습성 등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화재에 취약한 결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건축법이나 소방법 등의 심한 규제를 받고 있으며, 사용에도 많은 제한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목재를 난연화하여 건축법이나 소방법 등의 규제에 대응하려는 수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목재의 난연처리 방법에는, 목재 표면에 난연제를 도포시켜 도막(피막)을 형성하는 방법과, 수용성 난연액을 목재 내부로 진공가압시켜 함침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전자의 방법은 도막 건조가 더디고 생산성이 떨어지며, 목재의 온도/습도 조절기능과 목재의 천연향이 차단될 뿐 아니라 시간이 경과되면서 표면 도막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수용성 난연액을 함침시키는 방법은 수용성 난연액 중에 냉각액이나 부동액 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에틸렌글리콜을 혼합시켜 난연액의 증발을 억제시키고 난연액의 동결을 방지하면서 목재의 치수 안정성을 도모하고 있으나, 상기 에틸렌글리콜은 점조(粘稠)에 의해 끈적끈적하면서 단맛이 있는 무색 액체로, 습기를 잘 흡수하여 건조를 촉진시키는 반면, 특유의 끈적거림에 의해 표면장력이 커서 난연액의 목재 침투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인체에 흡수되는 경우 두통 등을 초래하는 독성을 가진 물질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7947호(발명의 명칭: 강도와 난연성이 강화된 합성목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합성목재, 2012년10월05일, 특허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3834호(발명의 명칭: 난연성을 구비하는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로 이루어진 합성목재, 2012년06월07일, 특허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232274호(발명의 명칭: 목재판재 및 플로어링보드를 위한 난연 방부성 고밀도 목재 제조방법, 2013년02월12일, 특허공개)
본 발명은 표면장력이 작아 침투성이 우수한 수용성 목재 난연액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장력이 작아 침투성이 우수한 수용성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목재의 난연처리용 난연액은 수용성이며, 물 100중량부와; 수용성 난연제 8~30중량부와; 계면활성제 1~20중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목재의 난연처리용 난연액은 수용성이며, 물 100중량부와; 수용성 난연제 10~15중량부와; 계면활성제 4~10중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난연재는 인산계 난연제 일 수 있다.
상기 인산계 난연제는, 트리에틸인산(Triethyl Phosphate), 폴리인산암모늄(Ammonium Poly Phosphate),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알콜, 또는 알콜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용성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은, a) 목재 내부의 공기와 수분과 이물이 제거되도록 진공챔버에 투입시켜 진공배기시키는 단계; b) 수용성 난연액을 목재가 담긴 챔버에 가득 주입한 다음 8~30㎏f/㎠의 압력으로 소정시간 가압시켜 수용성 난연액을 함침시키는 단계; c) 수용성 난연액이 함침된 목재를 진공배기시켜 수용성 난연액을 탈수시키는 단계; d) 수용성 난연액이 탈수된 목재를 소정시간 음지에서 자연건조시키는 단계; e) 자연건조된 목재를 건조기에 투입시켜 50~80℃의 온도로 1~4일간 완전 건조하는 단계; 일 수 있다.
상기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에서, 수용성 난연액은, 물 100중량부와; 수용성 난연제 10~15중량부와; 계면활성제 4~10중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에서, 수용성 난연재는, 트리에틸인산(Triethyl Phosphate), 폴리인산암모늄(Ammonium Poly Phosphate),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에서, 계면활성제는 알콜, 또는 알콜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용성 난연액에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표면장력이 크게 낮아 종래 수용성 난연액에 비해 침투성(함침성능)이 3배 이상 향상되고, 난연 처리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며, 생산성 또한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수용성 난연액은 침투성이 우수하여 목재의 난연 효과가 뛰어날 뿐 아니라, 알콜계 및 무기질이므로 유독성 가스나 분진 등이 발생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하며 오염원을 발생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면서 목재 고유의 특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난연액은 유기바인더가 사용되지 않는 무기 난연액으로 종래 난연액에 비하여 표면장력이 매우 낮아 난연성이 매우 우수하며, 초음파 또는 초음파 진동자로 수용성 난연액 및/또는 목재를 진동시키면 수용성 난연액의 침투성이 더욱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목재의 표면 뿐 아니라, 내부 셀룰로오스까지 골고루 함침 처리되므로, 일정 이상의 온도에 일정시간 노출되더라도 난연성이 유지되며, 또한, 표면에 난연제 등이 코팅되어 있지 않으므로, 목재 내부의 빈 공간인 셀로로오스를 통해 여전히 온도 및 습도 조절기능을 할 수 있으며, 목재의 천연향을 포함한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수용성 난연액의 함침 상태 참고도.
도 2 : 본 발명에서 난연처리 하기 전의 목재 사진.
도 3 : 본 발명 수용성 난연액을 이용하여 목재에 난연처리 한 후의 단면 사진.
도 4 : 본 발명 수용성 난연액을 이용하여 난연 목재를 제조하는 공정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 목재 난연액은, 목재 내부(內部)로 효율적이면서 골고루 함침(침투)될 수 있도록 수용성 난연액이며, 물, 수용성 난연제, 계면활성제가 적정 비율로 혼합 조성된다.
상기 수용성 난연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난연제 8~30중량부와, 계면활성제 1~20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알콜 또는 알콜계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의 혼합량은 1~2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혼화성이 불량하고 목재 침투성이 저하되며,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침투 효과 증대없이 비용 상승만 초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수용성 난연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난연제 10~15중량부와, 계면활성제 4~10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며, 최상의 목재 함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난연재로는 인산계 난연제나 구아니딘(guanidine)계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인산계 난연제는 환경친화적이면서 목재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무기계열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계열의 인산계 난연제로는, 트리에틸인산(Triethyl Phosphate), 폴리인산암모늄(Ammonium Poly Phosphate),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인산암모늄(Ammonium Poly Phosphate),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등은 입자상이고, 트리에틸인산(Triethyl Phosphate)은 액상이다, 물론 입자상의 무기 인계 난연제를 물과 적절히 혼합 및 교반하면 액상 또는 수용성이 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액제의 표면장력을 작게하여 액제가 목재 내부로 효율적(효과적)으로 함침(또는 침투)할 수 있도록 작용하며, 알콜 또는 알콜계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며,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2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4~10중량부가 최상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종래의 수용성 난연액에 사용된 에틸렌글리콜은 자동차 부동액이나 냉각액으로 널리 사용되는 화합물로서, 점조(粘稠)에 의해 끈적끈적하면서 단맛이 있는 무색 액체로, 습기를 잘 흡수하여 건조를 촉진시키는 반면, 특유의 끈적거림에 의해 난연액의 목재 침투성을 저해시키며, 인체에 흡수되는 경우 두통 등을 초래하는 독성을 가진 물질이다.
본 발명은 수용성 난연액의 침투력 향상을 통한 난연 목재의 품질향상과 생산시간 단축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의 혼화성을 증가시키고, 목재에 형성된 무수한 공극 사이로 난연액제를 효과적으로 투입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 그 종류에 제한없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Cationic surfactant)로는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이미다졸리늄염, 아민염 등이 있고, 음이온 계면활성제(Anionic surfactant)로는 카르복시산염, 술폰산염, 인산염, 황산염 등이 있으며, 양성 계면활성제(Amphoteric surfactant)로는 이미다졸린, 베테인, 아미노산, 알킬설포베타인, 알킬카르복시베타인 등이 있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로는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디에탄올아민, 에톡실레이티드 알콜, 아민 유도체, 산화에틸렌,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알킬모노글리세릴에테르 등이 있다.
도 4는 상기 수용성 난연액을 이용하여 난연 목재를 제조하는 공정 예시도로, a) 준비된 목재를 진공설비를 갖춘 진공챔버에 투입한 다음 소정시간 진공배기시켜 목재 표면과 목재 내부(셀룰로오스 부분)에 함유된 수분과 공기 및 불순물 등을 배출 및 제거시키거나 그 잔류량을 최소화하고, b) 수용성 난연액을 진공챔버에 고압 주입시켜 수용성 난연액이 목재 표면 및 내부의 셀룰로오스 까지 골고루 침투 및 함침되면, c) 진공 배기시키는 방법으로 목재에 함침된 수용성 난연액의 일부를 탈수 처리하고, d) 탈수 처리된 목재를 진공챔버로부터 꺼낸 다음 음지에서 자연 건조시킨 후, e) 건조실에서 소정온도로 소정시간 가열 건조시켜 난연 목재가 제조되며, 계면활성과 고압 침투에 의해 수용성 난연액이 목재 내부로 골고루 침투하여 우수한 품질의 난연 목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성 난연액을 이용하여 난연 목재를 제조하는 공정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목재 준비
원목을 소정 크기로 재제한 다음 표면을 대패하는 방법으로 나이테, 옹이, 나무결과 같은 목재의 특성이 유지되도록 표면 가공한다. 상기 목재의 함수율은 약 19% 이하, 이를테면 10~19%가 바람직하며, 이보다 낮은 경우 수용성 난연액의 함침량이 부족하여 난연성이 떨어지며, 이보다 높은 수용성 난연액의 과량 함침으로 수용성 난연액의 낭비가 초래되고 함침시간 및 건조시간이 지연된다.
2. 수용성 난연액 준비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난연제 8~30중량부와, 계면활성제 1~20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용성 난연액, 또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난연제 10~15중량부와, 계면활성제 4~10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용성 난연액을 준비한다.
본 발명 수용성 난연액은 계면활성제에 의해 표면장력이 작아 수용성 에틸렌글리콜이 혼합된 기존의 수용성 난연액에 비하여 수 배, 이를테면 3배 이상 침투성이 우수하며, 이에 따라 가압 압력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압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기존 난연액의 경우 표면장력이 크기 때문에 표면에 거품이 발생하면서 침투성이 크게 저하된다.)
본 발명의 수용성 난연액은 유기바인더가 사용되지 않는 무기 난연제로 점도가 0~5 정도여서 종래 수용성 난연액에 비하여 표면장력이 크게 낮아 침투성이 우수하며, 후술하는 초음파 또는 초음파 진동자로 수용성 난연액 및/또는 목재를 진동시키면 수용성 난연액의 침투성이 더욱 우수하다.
3. 진공챔버 투입
표면 가공된 복수의 목재를 진공설비가 갖추어진 진공챔버에 투입하되, 이격수단, 이를테면 산대 등을 이용하여 목재끼리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적재 및 수납시켜 수용성 난연액이 효율적으로 함침(침투)될 수 있도록 준비한다.
4. 목재 진공 배기
진공챔버에 목재가 투입되면, 진공설비를 이용하여 진공챔버 내부를 진공시키면서 소정시간 배기시켜 목재 표면과 목재 내부(셀룰로오스)에 함유된 수분과 공기 및 불순물을 배출 및 제거시키거나 잔류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용성 난연액이 목재 내부, 또는 목재의 셀룰로오스 내부로 효과적으로 침투될 수 있도록 조성한다.
즉, 목재 내부에 수분, 공기, 불순물 등이 잔류하면 수용성 난연액의 침투가 어려우나 상기 진공배기에 의해 목재 내부로 충분한 양의 수용성 난연액의 투입 또는 침투가 우수하며, 또한 균일한 침투가 달성된다.
5. 수용성 난연액의 고압 주입 및 함침
고압 함침기를 이용하여 진공배기된 목재에 수용성 난연액을 8~30㎏f/㎠의 압력으로 소정시간 함침시켜 목재 내부로 골고루 침투시킨다. 상기 압력은 수종 및 두께, 밀도,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한 압력이 선택된다.
목재의 특성, 예컨대 함침이 용이하지 않은 수종의 경우 30㎏f/㎠ 까지 가압할 수 있으며, 가압력이 30㎏f/㎠를 초과하는 경우 목재의 물성이나 외형적 손상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8㎏f/㎠ 미만으로 가압하는 경우 침투시간이 과다 소요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 수용성 난연액은 점성과 표면장력이 작아 목재 침투성이 기존 약재의 수 배 이상이며, 이에 따라 가압 압력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압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반면, 기존 난연액의 경우 표면장력이 크기 때문에 표면에 거품이 생겨 침투성이 크게 저하된다.
도 1은 목재에 형성되는 공극을 예시한 것이고, 도 2는 난연 처리하기 전의 목재 단면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 수용성 난연액으로 난연 처리한 후 약 2시간 건조한 상태의 목재 단면 사진으로, 수용성 난연액이 목재에 형성된 무수한 공극을 통하여 목재 내부로 골고루 함침 침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알콜계 계면활성제의 증발작용에 의해 목재 건조시간이 더욱 단축되지만, 기존 수용성 난연액은 표면장력에 의해 난연(처리)효율이 매우 떨어지고 더딜 뿐 아니라, 건조시간 또한 상당히 소요된다.
6. 목재 진공배기 및 탈수
함침에 사용된 수용성 난연액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회수한 다음, 진공설비를 이용하여 진공챔버 내부를 진공 배기시켜 목재의 표면과 셀룰로오스 내부에 과도하게 잔류하는 수용성 난연액을 일정 비율, 예컨대 8~15%로 탈수함으로써 난연액난연성은 유지하면서 빠른 건조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압-배기를 반복하는 이유는 수용성 난연액의 침투성을 높이기 위함이며, 진공배기 방식으로 탈수하는 것은 보다 용이하게 골고루 탈수하기 위함이다.
7. 목재 자연건조
목재 표면에 묻은 수용성 난연액이 제거될 수 있도록 통풍이 잘되는 음지에서 수 시간 자연 건조한다. 상기 목재는 수용성 난연액이 잘 떨어지거나 낙하할 수 있도록 기울이는 방법으로 건조시간을 더욱 줄일 수 있다.
8. 목재 가열건조
건조기에 투입시켜 50~80℃의 온도로 1~4일간 가열시켜 완전 건조함으로써, 목재 내부에 잔류하는 수용성 난연액이 목재의 셀룰로오스 표면에 달라붙은 상태로 고형화되므로 목재가 한꺼번에 난연처리 되며, 무기질이므로 도막이 형성되지 않아 천연 목재의 고유 특성이 유지된다.
8. 목재 가공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루버가공 등의 공정을 거쳐 난연처리된 목재를 완성한다.
9. 포장 및 출고
난연처리된 목재를 소정의 단위로 포장하고, 보관 및/또는 출고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수용성 난연액을 함침시킬 때, 진공챔버 내부에 초음파진동자를 설치하여 가압 및 함침되는 수용성 난연액과 목재가 초음파에 의해 진동되도록 함으로써 수용성 난연액의 함침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초음파진동자에 의한 초음파는 20㎐~20,000㎐ 범위의 실제 가청 주파수를 벗어난 20,000㎐ 이상의 진동을 말하며, 초음파를 수중으로 조사하면 수를 헤아릴 수 없는 미세한 공진(Cavitation)이 발생하였다가 소멸하는 현상이 반복되는데 공진이 발생될 때의 기포의 진동은 마이크로(micro) 과류를 생성하여 물질교반작용이 일어나며 이 공진이 소멸할 때 에너지는 수 십만 배~수 백만 배로 확대되어 기포의 압력과 온도가 상승하여 마이크로 열작용과 분산작용을 통해 목재내에서의 물리/화학적반응이 촉진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1초에 20,000~2,000,000(20㎑~2㎒)회 전후로 반복되고 수용성 난연액이 공진하면서 표면장력이 더욱 낮아지며, 아울러 목재 세포 사이의 공극으로 더욱 잘 침투하게 되므로 함침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에서 초음파 진동자를 진공챔버의 내부에 설치하여 수용성 난연액 및/또는 목재가 진동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완충수단을 이용하여 수용성 난연액 및/또는 목재가 주로 진동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용성 난연액은 인체에 해롭지 않은 무기계 난연액이므로 실내 공기 오염이 방지되는 친환경적이다.
본 발명의 수용성 난연액은 흡수율이 높아 도막이 미세하게 형성되어 목재 고유의 특성인 온도, 습도 조절기능과 천연의 목재향이 유지되며, 백화현상이나 황변현상 등이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물 100중량부와; 수용성 난연제 8~30중량부와; 계면활성제 1~20중량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목재 난연액.
  2. 물 100중량부와; 수용성 난연제 8~30중량부와; 알콜 1~20중량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목재 난연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용성 난연재는 인산계 난연제 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목재 난연액.
  4. 제3항에 있어서, 인산계 난연제는, 트리에틸인산(Triethyl Phosphate), 폴리인산암모늄(Ammonium Poly Phosphate),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목재 난연액.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목재 난연액.
  6. a) 목재 내부의 공기와 수분과 이물이 제거되도록 진공챔버에 투입시켜 진공배기시키는 단계;
    b) 수용성 난연액을 목재가 담긴 챔버에 가득 주입한 다음 8~30㎏f/㎠의 압력으로 소정시간 가압시켜 수용성 난연액을 함침시키는 단계;
    c) 수용성 난연액이 함침된 목재를 진공배기시켜 수용성 난연액을 탈수시키는 단계;
    d) 수용성 난연액이 탈수된 목재를 소정시간 음지에서 자연건조시키는 단계;
    e) 자연건조된 목재를 건조기에 투입시켜 50~80℃의 온도로 1~4일간 완전 건조하는 단계;
    로 된 수용성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수용성 난연액은, 물 100중량부와; 수용성 난연제 8~30중량부와; 계면활성제 1~20중량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수용성 난연재는, 트리에틸인산(Triethyl Phosphate), 폴리인산암모늄(Ammonium Poly Phosphate),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알콜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
KR1020150015376A 2015-01-30 2015-01-30 수용성 목재 난연액 및 그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 KR20160094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376A KR20160094146A (ko) 2015-01-30 2015-01-30 수용성 목재 난연액 및 그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376A KR20160094146A (ko) 2015-01-30 2015-01-30 수용성 목재 난연액 및 그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972A Division KR101671247B1 (ko) 2016-02-18 2016-02-18 수용성 목재 난연액 및 그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146A true KR20160094146A (ko) 2016-08-09

Family

ID=5671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376A KR20160094146A (ko) 2015-01-30 2015-01-30 수용성 목재 난연액 및 그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41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026B1 (ko) * 2019-03-06 2019-10-17 (주)티엔팀버 난연 목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난연목재
CN114425872A (zh) * 2020-10-29 2022-05-0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高阻燃等级复材制件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834B1 (ko) 2011-12-12 2012-06-07 주식회사 영화산업 난연성을 구비하는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로 이루어진 합성목재
KR101187947B1 (ko) 2012-03-08 2012-10-05 김현용 강도와 난연성이 강화된 합성목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합성목재
KR101232274B1 (ko) 2012-08-31 2013-02-12 동위기업 (주) 목재판재 및 플로어링보드를 위한 난연 방부성 고밀도 목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834B1 (ko) 2011-12-12 2012-06-07 주식회사 영화산업 난연성을 구비하는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로 이루어진 합성목재
KR101187947B1 (ko) 2012-03-08 2012-10-05 김현용 강도와 난연성이 강화된 합성목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합성목재
KR101232274B1 (ko) 2012-08-31 2013-02-12 동위기업 (주) 목재판재 및 플로어링보드를 위한 난연 방부성 고밀도 목재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026B1 (ko) * 2019-03-06 2019-10-17 (주)티엔팀버 난연 목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난연목재
CN114425872A (zh) * 2020-10-29 2022-05-0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高阻燃等级复材制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247B1 (ko) 수용성 목재 난연액 및 그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
JP6554229B2 (ja) 防炎、難燃、準不燃合板天井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94328B1 (ko)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KR20160124728A (ko) 목재의 난연 방수 처리방법
KR101390631B1 (ko)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KR20160131983A (ko) 목재의 난연 방부 처리방법
JP2006219329A (ja) 安定なホウ素化合物の液状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WO201200671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ultra low density composite using natural fibers
KR101905682B1 (ko) 목재용 친환경 난연액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방염 목재, 난연 목재 및 준불연 목재의 제조방법
KR20160094146A (ko) 수용성 목재 난연액 및 그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
KR100643004B1 (ko) 불연 목재의 제조 방법
CN104647537A (zh) 一种多效木材阻燃剂及其制备方法与处理工艺
KR20130019468A (ko) 목재함침용 난연수지
JP2005047140A (ja) 難燃性木質繊維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647522A (zh) 用于木材浸渍的高效环保阻燃剂及其处理工艺
KR101459717B1 (ko) 불연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섬유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
RU2501761C1 (ru)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150144306A (ko) 목재의 난연 방수 처리방법
KR101760889B1 (ko) 준불연, 단열 및 항균성 복합 보드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보드
KR20150143392A (ko) 목재의 난연 방부 처리방법
JP2014144540A (ja) 木材の耐火性付与方法
JP5751691B2 (ja) 木質材料用不燃化薬剤、この木質材料用不燃化薬剤の製造方法、この木質材料用不燃化薬剤を用いた木質材料の不燃化方法及び不燃化木質材料
CN111618962A (zh) 一种实木地热地板坯板的改性方法
JP2016221729A (ja) 木材薬液処理方法、それによる薬液含浸圧密化単板、それらを利用した単板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単板積層品
KR102033026B1 (ko) 난연 목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난연목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118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226

Effective date: 2016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