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631B1 -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631B1
KR101390631B1 KR1020120089245A KR20120089245A KR101390631B1 KR 101390631 B1 KR101390631 B1 KR 101390631B1 KR 1020120089245 A KR1020120089245 A KR 1020120089245A KR 20120089245 A KR20120089245 A KR 20120089245A KR 101390631 B1 KR101390631 B1 KR 101390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flame retardant
resin
flam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3469A (ko
Inventor
박희준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9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631B1/ko
Priority to PCT/KR2013/007257 priority patent/WO2014027812A1/ko
Publication of KR20140023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27K3/08Impregnating by pressure, e.g. vacuum 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16In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27K3/166Compounds of phosphor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34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 B27K2240/30Fireproof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함침용 난연 수지를 목재에 함침시켜 천연목재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난연성을 제공하는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난연목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목재의 제조방법은 수용성 난연제를 목재 내부에 함침함으로써 목재의 가장 큰 장점 중의 하나인 온도, 습도 조절기능과 천연의 목재향을 살리면서 난연 성능(불연, 준불연, 난연 및 방염)기준에 부합하는 목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목재에는 난연수지가 목재 내의 세포내강, 세포간극 등 미세한 공극에 건조후 접착이 되어 목재표면에 잔존하여도 탄소원자를 갖지 않는 인계폴리머와 달리 백화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접착력을 떨어뜨리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난연목재는 향균성 및 치수 안정성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Description

난연목재의 제조방법{Method of preparing fire-retardant wood}
본 발명은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난연목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목재함침용 난연수지를 목재에 함침시켜 천연목재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난연성을 제공하는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난연목재에 관한 것이다.
목재, 합판, 중밀도섬유판, 종이 등은 가구 및 건축 내장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목재는 가열하면 목타르, 목가스로 분해되고 가연성 목가스가 산화되면서 순식간에 건축물을 연소시켜 재산과 인명 피해를 유발하고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방염 및 난연처리가 필요하다.
목재관련 난연 조성물은 할로겐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및 무기계 난연제와 고분자의 혼합물 등으로 구성되어 피도포체의 표면에 코팅하여 사용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난연 조성물은 목재의 표면에 난연 도막을 형성함으로써 난연성을 부여하고 있고, 난연도막 형성시 피도포체에 난연 조성물의 흡수가 매우 적고, 도막의 건조 속도가 매우 늦어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장시간 방치시 도막의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방염이나 난연처리는 내장목재를 시공한 후 방염도료나 난연도료로 목재 표면을 도장 처리함으로써 표면에 도막을 형성시켜 목재의 가장 큰 장점 중의 하나인 온, 습도 조절기능, 목재의 천연 향을 차단시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한편, 종래에는 난연처리 후 목재 내의 세포 내강, 세포 간극 등에서 난연수지가 포화농도로 침투되어야 하나, 그 중 일부가 과포화상태로 목재 표면에 잔존하여 백화현상을 발생시키고, 그 결과 목재 접착시 접착력불량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진공가압처리를 이용하여 목재 내부에 난연제를 함침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목재 내부에 함침될 수 있는 난연성 수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목재 내부의 공간에 난연제가 수지고형분으로 함침되어 있는 천연 난연 목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목재 표면에 백화현상이나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난연 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건조된 목재를 진공챔버에 이송하는 단계 ;
상기 진공챔버를 감압하여 진공상태로 유지하고, 목재함침용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
상기 목재함침용 수지로 채워진 상기 진공챔버에 일정압력을 가압하여 상기 수지를 목재에 함침시키는 단계 ; 및
상기 수지가 함침된 목재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재함침용 수지는 물, 수용성 난연제 및 글리콜류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난연제는 구아니딘(guanidine)계 및 인계 난연제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난연목재의 제조방법에 관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목재의 제조방법은 수용성 난연제를 목재 내부에 함침함으로써 목재의 가장 큰 장점 중의 하나인 온도, 습도 조절기능과 천연의 목재향을 살리면서 난연 성능(불연, 준불연, 난연 및 방염)기준에 부합하는 목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목재에는 난연수지가 목재 내의 세포내강, 세포간극 등 미세한 공극에 건조후 접착이 되어 목재표면에 잔존하여도 탄소원자를 갖지 않는 인계폴리머와 달리 백화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접착력이 감소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난연목재는 향균성 및 치수 안정성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목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도 2는 본 발명의 난연목재와 난연수지 미처리 목재와의 치수안정성 성능 비교 데이터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목재이송단계, 진공 및 수지이송단계, 수지함침단계 및 목재건조단계를 포함하는 난연목재의 제조방법에 관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목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건조된 목재를 진공챔버로 이송하는 단계(S1), 챔버를 진공으로 유지시킨 후 목재함침용 난연수지를 챔버로 이송시키는 단계(S2), 난연 수지를 가압하여 목재에 함침시키는 단계(S3) 및 목재를 건조시키는 단계(S4)를 포함한다.
상기 목재 이송단계(S1)는 건조된 목재를 진공챔버로 이송하여 적재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원목을 건조기를 사용하여 수분 함량 15% 이내로 건조된 목재를 사용한다. 수분함량이 15% 이상 고함수율의 목재 내부로는 수지의 함침이 곤란하므로 먼저 건조시킨 후 목재 공극내부로 수지가 용이하게 함침될 수 있도록 건조하여야 한다.
챔버를 진공으로 유지시킨 후 목재함침용 난연수지를 챔버로 이송시키는 단계(S2)는 상기 진공챔버를 감압하여 진공상태로 유지하고, 목재함침용 난연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S2)는 진공챔버를 진공상태로 유지한 후 상기 난연 수지를 주입한다.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진공도는 상압(760mmHg)보다 낮은 범위일 수 있다.
진공챔버 내부가 진공상태일 때 상기 수지주입단계에서 좀 더 빠르게 수지를 약제탱크에서 진공챔버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보다 많은 양의 수지를 목재 내부로 주입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가압전 진공상태를 일정시간 유지시켜 탱크내 목재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와 수분을 최대한 제거한다. 즉, 목재 내 세포공극과 세포간극에 공기와 수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외부에서 강한 압력을 가하여도 약제가 충분히 침투하기 어렵다. 따라서, 약제를 가압하기 전에 충분한 진공상태에서 목재내 공기와 수분을 제거해 줌으로써 짧은 시간에 충분한 약제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난연수지를 목재내에 주입시키는 단계(S3)는 수지로 채워진 상기 진공챔버에 일정 압력을 가하여 상기 난연수지를 목재내부로 강제 주입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주입단계에 의해 상기 난연수지가 목재 내부의 공간에 존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목재 내에 존재하는 수분은 세포내강과 세포간극 등과같은 빈 공간에 존재하거나 세포벽 내의 미세한 공극에 물 분자의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난연수지가 함침되는 공간은 목재 내의 물이 존재하였던 공간들 즉, 세포내강, 세포간극 등 목재내 미세한 공극 등을 나타낸다.
상기 함침 단계(S3)는 진공챔버 내 난연 수지가 완전히 충진되면 가압펌프를 작동하여 난연 수지를 목재내로 강제 주입시킨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함침단계(S3)는 압력 및 시간을 목재의 종류나 목재함침용 수지의 조성비, 난연성, 준불연성, 불연성의 기준 등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목재는 수종별, 그리고 동일수종에서도 부위별(심재, 변재, 심·변재)로 세포조직과 수지 등 추출물의 함량이 다양하여 종래 통상적으로 가압하는 10kgf/cm2 이하의 압력으로는 이들 추출물과 세포조직에 막혀 약제가 내부로 원활히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 10kgf/cm2 이하의 압력으로 원하는 난연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가압시간이 장시간(수종별 차이는 있으나) 즉, 2~8시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
본원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함침 단계에서의 가압압력이 10kg/㎠ 초과, 바람직하게는 15kg/㎠이상으로 처리하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압압력을 20kgf/㎠이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함침 단계에서 압력이 15kg/㎠ 이하일 경우에는 기준량 이상의 난연 수지를 목재 내로 주입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정의 수지주입량 이상으로 주입시키기 위해서는 장시간이 소요된다.
상기 가압단계에서는 10kg/㎠ 압력, 바람직하게는 15kg/㎠ 이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가압펌프에 소정시간 간격으로 단속적으로 10kg/㎠ 초과, 바람직하게는 15kg/㎠ 초과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목재에 적절한 수지 함량이 함침되면, 진공챔버 내의 잔여수지를 펌프를 작동시켜 회수한 다음, 상기 목재를 건조기로 이송시킨다.
상기 건조단계(S4)는 수지가 함침된 목재를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단계는 목재 내부에 수지와 함께 함침되어 존재하는 물을 증발시켜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함침단계 동안 수용액 상태로 목재 내부의 공간에 존재하는 난연제가 상기 건조단계에 의해 물이 증발함에 따라 고형분 상태로 목재 내부 공간을 채워 잔존하게 된다. 상기 건조단계는 건조기 내에서 온도, 습도, 그리고 송풍을 조절하여 상기 목재를 건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단계는 목재를 100도 이하의 저온에서 인공건조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면 0도 초과 100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도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에 의해 수지함침 목재의 함수율이 15%, 바람직하게는 12% 이내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를 거치면 물이 증발함에 따라 상기 목재함침용 수지의 성분들(난연제, 수용성 글리콜류, 기타 첨가제 등)이 (수지)고형분으로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불연목재는 120kg/㎥이상, 준불연목재는 65kg/㎥이상, 그리고 난연목재는 40kg/㎥이상의 수지고형분을 함침시킴으로써 각각의 난연 성능 기준에 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함침단계에 의해 목재에 함침된 수지고형분 함량이 40kg/㎥이상일 수 있으며, 불연목재의 제조를 위해서는 수지고형분 함량이 120kg/㎥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목재 함침용 난연수지는 물, 수용성 난연제 및 수용성 글리콜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상기 수용성 글리콜류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도데카메틸렌글리콜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이다. 또한, 수용성 글리콜류로서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스틸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디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수용성 글리콜류는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1,000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이내인 것이 좋다.
상기 수용성 글리콜류는 수용성 난연제의 증발을 막고 목재를 부드럽게 하고, 목재 내부에 함침되어 목재의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수용성 난연제가 동절기에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결방지제로서의 기능을 부여한다.
상기 목재함침용 난연수지는 물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수용성 글리콜류 1~10, 바람직하게는 1~3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난연제는 구아니딘(guanidine)계 난연제 및 인계 난연제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계 난연제는 탄소원자를 갖는 인계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인계 난연제로는 인산, 인산암모늄, 폴리인산암모늄, 인계폴리머, 인산요소, 우레탄인산화합물 또는 인산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인산은 난연 기능보다는 인계난연제를 용해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구아니딘계 난연제로는 구아니딘, 설파민산 구아니딘, 구아니딘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계 난연제는 인과 질소가 결합한 폴리머로서 접착력이 우수하고 가교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난연성이 강한 특징이 있다. 또한 탄소원자를 갖는 인계난연제는 목재 내의 세포 내강, 세포간극 등 미세한 공극에 건조된 후 접착되며, 목재 표면에 잔존하여도 백화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접착이나 도장 및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구아니딘 인산화합물은 혼합된 인계 난연제와 구아니딘 난연제 일부가 반응하여 형성된 화합물이다
상기 구아니딘 인산화합물은 목재 내의 미세한 공극에 흡착되고, 목재 표면에 잔존하여도 백화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접착력이 떨어지지 않게 한다.
상기 난연수지는 물 100중량부에 대해 인산 1~10중량부, (폴리)인산암모늄 5~45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 1~3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연수지는 물 100중량부에 대해 인계 난연제 10~100중량부, 구아니딘계 난연제 5~45중량부 및 수용성 에틸렌글리콜 1~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연수지는 물 100중량부에 대해 인산 1~10중량부, 인산암모늄 10~99중량부, 구아니딘 5~45중량부 및 수용성 에틸렌글리콜 1~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연수지는 탄소원자를 구비하는 인계폴리머, 우레탄난연제, 멜라민, 아크릴분산제, 설파민산 구아니딘 및 우레아 중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계폴리머는 탄소원자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인산화합물, 폴리우레탄인산화합물, 에틸렌디아민 포스페이트, 싸이클릭 포스페이트, 디에틸에틸 포스페이트, 디에틸포스페이트, 디메틸(메틸)포스페이트 및 트리에틸렌포스페이트의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목재함침용 난연수지에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첨가제로는 방미제, 방부제, 착색제, 방향제 등을 물 100중량부 대비 1~1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조습작용을 할 수 있는 다공성 알루미나, 실리카겔, 염화칼슘 등과 같은 무기질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난연목재에 관계한다. 상기 난연목재는 수용성 난연재, 수용성 글리콜류 및 물이 목재내 공간에 함침된 난연목재로서, 상기 난연목재는 상기 수용성 난연제, 수용성 글리콜류 및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진공챔버에서 가압하여 함침시킨 후 상기 물을 건조시켜 형성되고, 상기 수용성 난연제가 목재 내의 공간에 수지 고형분 상태로 함침되어 존재한다.
상기 수용성 난연제가 가압에 의해 목재 내부 공간에 함침된 후 목재를 함수율 12% 이하로 건조함에 따라 물속에 용해되어 있던 난연제와 클리콜류가 고형분 상태로 목재 내부 공간에 충진되어 존재한다.
상기 목재내에 잔전하는 난연수지 고형분은 인계 난연제, 구아니딘 인산화합물 및 글리콜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아니딘 인산화합물은 인계 난연제와 구아니딘 난연제 일부가 반응하여 형성된 화합물이다
상기 목재함침용 난연수지에 대해서는 앞에서 상술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난연 목재는 목재 내부에 난연제가 함침되어 잔존하므로 난연 성능(불연, 준불연, 난연, 방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표면에 난연제가 코팅되어 있지 않으므로, 목재 내부의 빈 공간을 통해 여전히 온도 및 습도 조절기능을 할 수 있으며, 천연의 목재 향을 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다양한 도장이나 착색 등을 다양하게 처리할 수 있다.
목재의 가장 큰 단점 중의 하나가 치수불안정으로 수축과 팽창, 이로인한 휨, 뒤틀림 등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난연목재는 이러한 치수 불안정성 및 항균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두께 10mm, 폭 100mm인 편백나무 판재에 물 360g, 인산 90g, 폴리인산암모늄 150g, 에틸렌글리콜 3g, 방부제 6g 비율의 목재함침용 수지를 상온, 진공도 86mmHg에서 5분간 유지시킨 후, 가압압력 20kgf/㎠, 5분 동안 처리하여 240kg/㎥ 이상을 함침하였다.
이어서, 상기 목재를 인공 건조기에서 함수율 약12%로 건조시킴으로써 불연 및 방염성능기준에 만족하는 내장용 불연목재, 방염목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두께 10mm, 폭 100mm인 국산 낙엽송 판재에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한 결과 평균 47kg/㎥을 함침하였다.
실시예 2에서의 함침량은 목재 수종을 제외한 동일 조건에서 실시예 1의 편백나무의 1/6에 해당하였다. 실시예 2에서도 난연목재 기준 40kg/㎥ 이상에 해당하므로 난연성능과 방염성능에 부합하는 목재를 제조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낙엽송으로 준불연목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동일 압력 20kgf/㎠에서 최소한 15분이상 처리하였을 때 평균 71kg/㎥이상이 함침되어 준불연 목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낙엽송을 불연목재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20kgf/㎠ 압력에서 최소한 90분 이상 가압처리함으로써 함침량 120kg/㎥이상에 도달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두께 10mm, 폭 100mm인 미송(Douglas fir) 판재에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한 결과 5분에 80kg/㎥이상, 25분에 100kg/㎥이상, 그리고 60분에 120kg/㎥이상을 함침시킬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을 참고하면, 목재의 수종, 가압력, 처리시간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난연 수지를 소정량 이상 함침시킬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실시예 4
두께10mm,폭 100mm인 스프루스(Spruce)판재에 물360g, 인산45g, 폴리인산암모늄 75g, 인산구아니딘 150g, 에틸렌 글리콜 3g, 방부제 6g을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하였다. 이어서, 인공건조기에서 함수율 약12~18%로 건조시킴으로써 난연 및 방염성능기준에 만족하는 난연목재와 방염목재를 제조하였다.
실험 1(난연성)
실시예 1의 목재를 한국 건설생활 환경시험 연구원에 난연성능을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표 1은 한국 건설생활 환경시험 연구원에서의 시험성적서이다. 표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난연목재는 KS F ISO 5660-1 :2008, KS F 2271 : 2006으로 시험하여 준불연 요건을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2065357575-pat00001
실험 2(치수안정성)
두께10mm, 폭 100mm인 편백나무 판재에 실시예 1의 난연수지를 진공상태에서 5분간 15kgf/cm2의 압력으로 주입한 목재를 온도 40℃, 상대습도 90%인 항온항습기에서 1주일간 방치하였다.
도 2는 실험 2의 치수안정성 시험데이터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난연목재(NF Wood)의 치수안정성이 무처리 목재에 비하여 흡습율은 52.74%에서 22.88%로, 두께 팽창율은 3.18%에서 0.16%로 약 20배, 폭방향 팽창율은 4.06%에서 0.40%로 약 9배정도 치수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3 항균성
실시예 4에서 사용한 난연수지를 목재 판재에 붓으로 도포(30g/m2 이상)하고, 사용균주는ASTM-G21규정에 의거한 혼합포자(Aspergillus niger ATCC 9642 (ASN), 흑곰팡이 등)를 사용하였다. 사용배지는 ASTM-G21규정에 의거 Neutrient salt Dextrose agar(NSAGA medium)를 사용하였다. 실험대상 목재를 incubator에 넣고, 사용균주를 25℃ 4주일간 배양하고, 결과를 관찰하여 이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주 2주 3주 4주
저항성 저지환
(mm)
저항성 저지환
(mm)
저항성 저지환
(mm)
저항성 저지환
(mm)
실시예 4 0 7 0 7 0 7 0 7
무처리 목재 0 0 0 0 1 0 2 0
※ 저항성 0 : 균사발육 인지 안됨, 저항성 1 : 전면적 10%
저항성 2 : 전면적 10~30%, 저항성 3 : 전면적 30~60%
저항성 4 : 전면적 60%~전면적
※ 판정기준 : 1차 저항성 판정 후, 2차로 저지환 상대비교(클수록 양호함)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난연 목재는 4주가 경과되었어도 저항성이 0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항균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0)

  1. 건조된 목재를 진공챔버에 이송하는 단계 ;
    상기 진공챔버를 감압하여 진공상태로 유지하고, 목재함침용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
    상기 목재함침용 수지로 채워진 상기 진공챔버에 10㎏/㎠ 초과하는 압력을 가하여 상기 수지를 목재에 함침시키는 단계 ; 및
    상기 수지가 함침된 목재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재함침용 수지는 물, 수용성 난연제 및 글리콜류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 및 구아니딘계 난연제를 함께 사용하고,
    상기 건조단계에 의해 상기 수용성 난연제가 목재 내의 공간에 고형분 상태로 함침되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계 및 건조단계에서 상기 건조된 목재는 함수율이 15%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난연제로는 인산암모늄, 폴리인산암모늄, 인계폴리머, 인산요소 및 우레탄인산화합물의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구아니딘계 난연제로는 구아니딘, 설파민산 구아니딘 및 구아니딘인산의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함침용 수지는 물 100중량부에 대해 인계 난연제 10~100중량부, 구아니딘계 난연제 5~45중량부 및 글리콜류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함침용 수지는 탄소원자를 구비하는 인계폴리머, 우레탄난연제, 멜라민, 아크릴분산제, 설파민산 구아니딘 및 우레아 중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목재를 100도 이하의 저온에서 건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단계는 상기 진공챔버 내의 가압 압력을 15kg/㎠ 이상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KR1020120089245A 2012-08-16 2012-08-16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KR101390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245A KR101390631B1 (ko) 2012-08-16 2012-08-16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PCT/KR2013/007257 WO2014027812A1 (ko) 2012-08-16 2013-08-13 난연수지 및 이를 이용한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245A KR101390631B1 (ko) 2012-08-16 2012-08-16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037A Division KR20140023853A (ko) 2012-08-16 2013-06-19 목재함침용 난연수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469A KR20140023469A (ko) 2014-02-27
KR101390631B1 true KR101390631B1 (ko) 2014-04-29

Family

ID=5026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245A KR101390631B1 (ko) 2012-08-16 2012-08-16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168B1 (ko) 2022-12-26 2023-07-19 주식회사 씨알 방염 칼라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045B1 (ko) 2016-07-29 2018-07-19 (주) 대현목재 자연친화적 기능성 목재의 제조방법
WO2019031859A1 (ko) * 2017-08-10 2019-02-14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목재-무기질 적층 복합재
KR102157316B1 (ko) * 2018-07-11 2020-09-1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목재-무기질 적층 복합재
CN109746993B (zh) * 2018-12-29 2023-10-17 湖北宝源木业有限公司 一种湿刨片的浸渍装置及湿刨片的浸渍方法
KR102033026B1 (ko) * 2019-03-06 2019-10-17 (주)티엔팀버 난연 목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난연목재
KR102255282B1 (ko) 2020-11-23 2021-05-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목재용 난연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염 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난연 및 준불연 목재의 제조방법
WO2023191119A1 (ko) * 2022-03-28 2023-10-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난연성, 치수안정성 및 내후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외장용 목재의 가공 방법
KR102528138B1 (ko) * 2022-03-28 2023-05-03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난연성, 치수안정성 및 내후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외장용 목재의 가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941A (ko) * 1993-07-29 1995-02-16 안태현 목조구조물의 내후성 방염처리 방법 및 그의 보존처리제 조성물
KR20040066126A (ko) * 2001-11-16 2004-07-23 아사노 모쿠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불연 목재의 제조 방법
KR100801613B1 (ko) 2006-12-27 2008-02-11 주식회사 우드컴 난연성 원목 마루바닥재 제조방법과 그 원목 마루바닥재
JP2011051279A (ja) * 2009-09-03 2011-03-17 Namiki Mokuzai Kk 水系の難燃性を具備した木材・プラスチックス複合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941A (ko) * 1993-07-29 1995-02-16 안태현 목조구조물의 내후성 방염처리 방법 및 그의 보존처리제 조성물
KR20040066126A (ko) * 2001-11-16 2004-07-23 아사노 모쿠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불연 목재의 제조 방법
KR100801613B1 (ko) 2006-12-27 2008-02-11 주식회사 우드컴 난연성 원목 마루바닥재 제조방법과 그 원목 마루바닥재
JP2011051279A (ja) * 2009-09-03 2011-03-17 Namiki Mokuzai Kk 水系の難燃性を具備した木材・プラスチックス複合体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168B1 (ko) 2022-12-26 2023-07-19 주식회사 씨알 방염 칼라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469A (ko)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631B1 (ko)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KR101194328B1 (ko)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KR101602108B1 (ko) 난연, 준불연 및 흡음 합판 천정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991116B (zh) 速生木材通过多效复合改性处理制备强化实木板材的方法
CN107553645B (zh) 一种木芯材真空浸渍改性的方法
KR20130019468A (ko) 목재함침용 난연수지
KR101232274B1 (ko) 목재판재 및 플로어링보드를 위한 난연 방부성 고밀도 목재 제조방법
KR20160131983A (ko) 목재의 난연 방부 처리방법
CN104015241A (zh) 一种防霉抗菌阻燃墙面装饰竹帘的生产方法
KR20160124728A (ko) 목재의 난연 방수 처리방법
KR101671247B1 (ko) 수용성 목재 난연액 및 그 난연액을 이용한 난연 목재 제조방법
KR20160070222A (ko) 목재의 수지 주입성 개선을 위한 처리방법
WO2014027812A1 (ko) 난연수지 및 이를 이용한 난연목재의 제조방법
CN104420626A (zh) 一种制造驱蚊木地板的方法
KR20140023853A (ko) 목재함침용 난연수지
CN104647522A (zh) 用于木材浸渍的高效环保阻燃剂及其处理工艺
KR101441192B1 (ko) 난연종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난연종이
CN106378843A (zh) 糠醇聚合物浸渍的木材及其制备方法
KR20150143392A (ko) 목재의 난연 방부 처리방법
JPH02116505A (ja) 改質合板
CN1267259C (zh) 一种木材浸注树脂压密方法
CN110948623A (zh) 一种改性木材及改性木材的制备方法和应用
CN111618962A (zh) 一种实木地热地板坯板的改性方法
CN106393361A (zh) 一种烷基烯酮二聚体协同纳米二氧化钛疏水增强的速生木材改性剂
CN106363738A (zh) 一种用于制造户外家具速生木材改性的复合阻燃防水改性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