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012A - Brake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rake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012A
KR20160094012A KR1020150015029A KR20150015029A KR20160094012A KR 20160094012 A KR20160094012 A KR 20160094012A KR 1020150015029 A KR1020150015029 A KR 1020150015029A KR 20150015029 A KR20150015029 A KR 20150015029A KR 20160094012 A KR20160094012 A KR 20160094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brake system
sub
diame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0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015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4012A/en
Publication of KR20160094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0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e system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ke system for an automobile, comprises: a caliper housing, wherein an auxiliary cylinder, which communicates with a cylinder, and whose inner radius is reduced to be extended to an outer side, is formed on an inner end of the cylinder; a piston including a large diameter part which performs reciprocating motion on the cylinder, and a small diameter part which is extended from one side end of the large diameter part to perform reciprocating motion on the auxiliary cylinder; and a sealing member coupled between the auxiliary cylinder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auxiliary cylinder of the piston. According to brake system of an automobile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river works a brake pedal, return operation of the piston can be fast and accurate after the piston is moved frontward,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of the brake system.

Description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 시스템{Brake System for Vehicle}BACKGROUND ART Brake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 작동시 피스톤의 전방 이동후 피스톤의 리턴 작동이 신속하고 정확해지게 되어 브레이크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e system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ke system of an automobile, in which when a driver operates the brake pedal, the return operation of the piston after forward movement of the piston becomes quick and accur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ke system for a vehicle.

도 1과 도 2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brake system of a general automobile.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오일통로(111a)를 구비한 캘리퍼하우징(111)과, 캘리퍼하우징(111)에 의해 형성된 실린더(112)내에 장착되면서 유압의 힘을 이용해 직선으로 이동하는 피스톤(113)과, 캘리퍼하우징(111)의 전면에 가이드로드(114)를 매개로 결합되는 캘리퍼캐리어(115)와, 양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116a)가 캘리퍼캐리어(115)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15a)으로 끼워짐으로써 캘리퍼캐리어(115)와 결합되는 백플레이트(116)와, 백플레이트(116)의 전면에 결합되어 피스톤(113)이 유압의 힘을 이용해 작동될 때 디스크(121)의 양측면을 가압하면서 마찰력에 의한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브레이크패드(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a brake system of a general automobile includes a caliper housing 111 having an oil passage 111a and a cylinder 112 formed by the caliper housing 111, A caliper carrier 115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aliper housing 111 via a guide rod 114 and a slide protrusion 116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liper housing 115 are connected to the caliper carrier 115 A back plate 116 coupled to the caliper carrier 115 by being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115a formed in the back plate 116 and a back plate 116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plate 116 to operate the piston 113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a brake pad 117 for press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disk 121 to generate braking force by frictional force.

따라서, 운전자가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브레이크페달을 밟으면 마스터실린더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오일통로(111a)를 통해 실린더(112)의 내부로 유압이 밀려들어오게 되고, 이 유압에 의해 피스톤(113)은 실린더(112)의 밖으로 밀려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driver depresses the brake pedal to generate the braking force, the master cylinder is pressurized and the hydraulic pressure is pushed into the cylinder 112 through the oil passage 111a. By this hydraulic pressure, And is pushed out of the cylinder 112.

이때, 디스크(121)쪽으로 밀려나온 피스톤(113)은 캘리퍼캐리어(115)의 지지구(118)에 위치한 백플레이트(116)를 직선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백플레이트(116)에 결합된 브레이크패드(117)는 디스크(121)의 일측면과 접촉을 하면서 밀착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piston 113 pushed toward the disk 121 causes the back plate 116 located in the support 118 of the caliper carrier 115 to be linearly moved, and thus the brake pad (117) come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disk (121).

그리고, 디스크(121)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작동이 멈춘 브레이크패드(117)는 반작용에 의해 휠실린더(112)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고, 또한 캘리퍼캐리어(115)와 가이드로드(114)를 통해 연결된 캘리퍼하우징(111)은 전체적으로 뒤로 밀려나게 되며, 뒤로 밀려난 캘리퍼하우징(111)은 조임턱(119)측의 백플레이트(116)를 디스크(121)의 타측면쪽으로 밀어주게 된다.The brake pad 117,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ne side of the disk 121 and stops operating, is urged in the direction of the wheel cylinder 112 by the reaction and is also urged through the caliper carrier 115 and the guide rod 114 The caliper housing 111 that is pushed back pushes the back plate 116 on the side of the clamping jaw 119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disk 121. [

이에 따라, 상기 백플레이트(116)에 결합된 나머지의 브레이크패드(117)도 디스크(121)의 타측면과 접촉을 하면서 밀착되게 되며, 이로 인해 회전을 하고 있던 디스크(121)는 브레이크패드(117)와의 접촉시 발생하는 마찰제동력에 의해 회전이 멈춰지게 된다.Accordingly, the remaining brake pads 117 coupled to the back plate 116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disc 121, so that the disc 121, which has been rotating, The rotation is stopped by the frictional braking force generated at the time of contact.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 작동시 피스톤의 전방 이동후 실린더내의 잔존 유압으로 인해 피스톤의 리턴 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In such a conventional automotive brake syst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brake pedal, the return operation of the piston is not performed quickly due to the remaining hydraulic pressure in the cylinder after the piston is moved forward.

또한, 피스톤의 리턴 작동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운전자에게 브레이크 작동 신뢰감을 떨어트리고. 급가속과 급제동이 필요한 순간에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운전자의 의지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Also, since the return operation of the piston is not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it reduces the reliability of the brake operation to the dri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is not achieved at the moment of rapid acceleration and sudden braking required by the driver.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 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 작동시 피스톤의 전방 이동후 피스톤의 리턴 작동이 신속하고 정확해지게 되어 브레이크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ake system for an automobile which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brake system by making the return operation of the piston quick and accurate after the driver moves forwar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The purpose of the brake system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린더의 내측단에 실린더와 연통되며 내경이 축소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실린더가 형성되어 있는 캘리퍼 하우징; 실린더에서 왕복운동하는 대경부와, 대경부의 일측단에서 연장되어 부실린더에서 왕복운동하는 소경부가 구비되어 있는 피스톤; 피스톤의 소경부 외주면과 부실린더 사이에 결합되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liper housing having an inner end communicating with a cylinder and having a sub-cylinder having an inner diameter reduced and extending outward is formed; A piston having a large-diameter portion reciprocating in the cylinder, and a small-diameter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large-diameter portion and reciprocating in the sub-cylinder; There is provided an automotive brake system including a sealing member coupled between a small-diameter portion peripheral surface of a piston and a sub-cylinde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 작동시 피스톤의 전방 이동후 피스톤의 리턴 작동이 신속하고 정확해지게 되어 브레이크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rake system of an automobile,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brake pedal, the return operation of the piston after forward movement of the piston becomes quick and accurat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brake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rake system of a vehicle,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rake system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ke system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brake system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brake system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rake system of an automobile is op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king system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braking system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rake system of an automobile is op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실린더(309)의 내측단에 실린더(309)와 연통되며 내경이 축소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실린더(305a)가 형성되어 있는 캘리퍼 하우징(301); 실린더(309)에서 왕복운동하는 대경부(310)와, 대경부(310)의 일측단에서 연장되어 부실린더(305a)에서 왕복운동하는 소경부(313)가 구비되어 있는 피스톤; 피스톤의 소경부(313) 외주면과 부실린더(305a) 사이에 결합되는 씰링부재(3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brake system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forming a sub cylinder 305a communicating with the cylinder 309 at the inner end of the cylinder 309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reduced and extending outward, A caliper housing (301); A large diameter portion 310 reciprocating in the cylinder 309 and a small diameter portion 313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310 and reciprocating in the sub cylinder 305a; And a sealing member 320 coupl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313 of the piston and the sub cylinder 305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실린더(309)에 장착된 피스톤의 왕복운동시 부압에 의해 피스톤을 리턴시키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309)와 연통되는 부실린더(305a)가 구비되어 브레이크 작동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The brake system of the automob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 cylinder 305a communicating with the cylinder 309 so as to generate a force for returning the piston by the negative pressure in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ston mounted on the cylinder 309 So that the brake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smoothly.

캘리퍼 하우징(301)은 주철재질의 안장 모양으로 형성되며 일측으로 돌출된 실린더형성부(303)의 내부에 피스톤이 장착되도록 디스크쪽으로 개구되어 있는 실린더(309)가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형성부(303)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부실린더형성부(305)의 내부에는 부실린더(305a)가 형성되어 있다.The caliper housing 301 is formed in a saddle shape of a cast iron material and has a cylinder 309 opened to the disk so that the piston is mounted inside the cylinder forming portion 303 protruding to one side, A sub-cylinder 305a is formed inside the sub-cylinder forming portion 305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ub-cylinder forming portion 305. As shown in FIG.

그리고, 실린더(309)의 내측단 즉, 실린더(309)의 내측 단부에는 실린더(309)와 연통되며 내경이 축소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실린더(305a)가 형성되어 있어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시 부실린더(305a)에 진공 상태가 형성되게 되어 있다.At the inner end of the cylinder 309, that is, at the inner end of the cylinder 309, a sub-cylinder 305a communicating with the cylinder 309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reduced and extending outward is formed. So that a vacuum state is formed in the cylinder 305a.

피스톤은 크게 대경부(310)와 소경부(313)로 이루어지는데, 실린더(309)에서 왕복운동하는 대경부(310)와, 대경부(310)의 일측단에서 연장되어 부실린더(305a)에 삽입되며 부실린더(305a)에서 왕복운동하는 소경부(313)가 구비된다.The piston includes a large diameter portion 310 and a small diameter portion 313. The large diameter portion 310 reciprocates in the cylinder 309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310 extends from one end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310 to the sub cylinder 305a. Diameter portion 313 which is inserted and reciprocates in the sub-cylinder 305a.

피스톤의 대경부(310)는 디스크쪽이 개구되고 대경부(310)의 내측 단부는 폐쇄된 중공으로 형성되며, 내측 단부의 외주면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직경이 축소된 봉 형상의 소경부(313)가 돌출 형성되어 부실린더(305a)의 내부로 삽입되게 되어 있다.The large diameter portion 310 of the piston has a small diameter portion 313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inner diameter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sub cylinder 305a.

그리고, 피스톤의 소경부(313) 외주면과 부실린더(305a) 사이에는 씰링부재(320)가 결합되어 피스톤의 왕복운동시 실린더(309)로 유입되는 브레이크 오일이 부실린더(305a)로 유입되지 않고 밀본시키게 되어 있다. A sealing member 320 is coupl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313 of the piston and the sub cylinder 305 so that the brake fluid flowing into the cylinder 309 does not flow into the sub cylinder 305a when the piston reciprocates It is shattered.

또한, 피스톤의 왕복운동시 씰링부재(320)가 이탈되지 않도록 부실린더(305a)의 내주면 또는 피스톤의 소경부(313) 외주면에 씰링부재(320)가 결합되는 고정홈(307)이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일례로 부실린더(305a)의 내주면에 고정홈(307)이 형성되고 이 고정홈(307)에 씰링부재(320)가 결합된 것을 도시하였다. A fixing groove 307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 cylinder 305a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313 of the piston so that the sealing member 320 is engag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mall- In the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fixing groove 307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 cylinder 305a, and the sealing member 320 is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307. [

따라서, 비록 본 발명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피스톤의 소경부(313) 외주면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씰링부재(320)가 결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Therefo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is noted that a fix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313 of the piston and the sealing member 320 may be coupled.

한편, 실린더(309)와 부실린더(305a)의 사이에는 부실린더(305a)의 단부에서 점진적으로 내경이 확대되는 확경부(3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확경부(311)에는 브레이크부스터와 연결되는 오일통로(302)가 형성되어 있다.Between the cylinder 309 and the sub cylinder 305a is formed a diameter enlarged portion 311 whose inner diameter is gradually enlarged at the end of the sub cylinder 305a and the diameter enlarged portion 311 is connected to a brake booster An oil passage 302 is formed.

확경부(311)는 부실린더(305a)의 끝단에서 실린더(309)의 내측단쪽으로 점진적으로 내경이 확대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오일통로(302)를 통해서 유입되는 브레이크 오일이 충진되어 피스톤의 대경부(310)에 가하는 작동력이 높아지게 되어 있다.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311 is formed such that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inner end of the cylinder 309 from the end of the sub cylinder 305a so that the brake oil flowing through the oil passage 302 is filled, The actuating force applied to the arm 310 is increased.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발으면 브레이크부스터에서 가압된 브레이크 오일이 오일통로(302)를 통해서 실린더(309)로 유입되어 유압으로 피스톤을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어 있다.Accordingly, when the driver applies the brake pedal, the brake oil pressurized by the brake booster flows into the cylinder 309 through the oil passage 302, and pushes the piston forward by hydraulic pressure.

또한, 확경부(311)의 내경이 오일통로(302)에서 부실린더(305a)쪽으로 갈수록 줄어들게 형성되어 있어서, 부실린더(305a)쪽에 미치는 유압은 실린더(309)쪽에 비해 매우 낮아지게 되어 브레이크 오일이 부실린더(305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The inner diameter of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311 is reduced from the oil passage 302 toward the sub cylinder 305a so that the oil pressure on the side of the sub cylinder 305a i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cylinder 309, So that it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ub cylinder 305a.

여기서, 오일통로(302)는 부실린더(305a)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홈(307)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서, 오일통로(302)에서 나오는 브레이크 오일이 씰링부재(320)에 미치는 유압을 줄여주고 동시에 오일통로(302)와 씰링부재(320) 사이에서 와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일 이동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을 줄여주게 된다.The oil passage 302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groove 307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 cylinder 305a so that the hydraulic oil exerted by the brake oil exiting the oil passage 302 on the sealing member 320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vortices from occurring between the oil passageway (302) and the sealing member (320), thereby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due to oil movement.

이와 같은 브레이크 시스템은 도 6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 오일이 실린더(309) 내로 유입되어 피스톤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부실린더(305a)에는 진공 상태의 부압이 형성된다.6, when the driver depresses the brake pedal, the brake oil flows into the cylinder 309 and the piston moves forward. At this time, the negative pressure in the vacuum state is applied to the sub cylinder 305a .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게 되면 도 6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실린더(305a)에 형성된 부압으로 피스톤의 리턴이 이루어지게 되어, 브레이크 작동이 신속하고 정확해지게 된다.When the driver releases his / her foot from the brake pedal, the piston returns to the negative pressure formed in the sub-cylinder 305a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6, so that the brake operation becomes quick and accurat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 작동시 피스톤의 전방 이동후 피스톤의 리턴 작동이 신속하고 정확해지게 되어 브레이크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rake system of an automobile,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brake pedal, the return operation of the piston after forward movement of the piston becomes quick and accurat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brake system.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01: 캘리퍼 하우징 303: 실린더형성부
305: 부실린더형성부 305a: 부실린더
307: 고정홈 309: 실린더
310: 대경부 311: 확경부
313: 소경부 320: 씰링부재
301: caliper housing 303: cylinder forming part
305: secondary cylinder forming portion 305a: secondary cylinder
307: Fixing groove 309: Cylinder
310: large-diameter part 311:
313: Small diameter part 320: Sealing member

Claims (5)

실린더의 내측단에 상기 실린더와 연통되며 내경이 축소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실린더가 형성되어 있는 캘리퍼 하우징;
상기 실린더에서 왕복운동하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의 일측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부실린더에서 왕복운동하는 소경부가 구비되어 있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소경부 외주면과 상기 부실린더 사이에 결합되는 씰링부재;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
A caliper housing communicating with the cylinder at an inner end of the cylinder, the caliper housing having a reduced inner diameter and extending outward;
A piston having a large-diameter portion reciprocating in the cylinder and a small-diameter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large-diameter portion and reciprocating in the sub-cylinder;
A sealing member coupl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mall-diameter portion of the piston and the sub-cylinder;
The brake system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실린더의 내주면 또는 상기 피스톤의 소경부 외주면에는 상기 씰링부재가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cylinder or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mall-diameter portion of the piston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to which the sealing member is coupl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와 부실린더의 사이에는 상기 부실린더의 단부에서 점진적으로 내경이 확대되는 확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n enlarged diameter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cylinder and the sub-cylinder such that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at an end of the sub-cylind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부에는 브레이크부스터와 연결되는 오일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nd an oil passage connected to the brake booster is formed in the enlarged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통로는 상기 부실린더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홈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il passage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 fix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cylinder.
KR1020150015029A 2015-01-30 2015-01-30 Brake System for Vehicle KR2016009401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029A KR20160094012A (en) 2015-01-30 2015-01-30 Brake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029A KR20160094012A (en) 2015-01-30 2015-01-30 Brake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012A true KR20160094012A (en) 2016-08-09

Family

ID=5671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029A KR20160094012A (en) 2015-01-30 2015-01-30 Brake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401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7508B2 (en) Electronic disc brake
KR20100043695A (en) Caliper disk brake
KR102494459B1 (en) Caliper brake apparatus
KR20150137718A (en) Electric caliper brake
JP2015532243A (en) Brake booster for vehicle brak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rake booster for vehicle brake system
KR20160094012A (en) Brake System for Vehicle
KR101638846B1 (en) Plunger type master cylinder for brake
KR20150128273A (en) Disk brake
KR101316170B1 (en) a brake pad cover shim for vehicle' disc brakes
JP6052615B2 (en) Reaction type disc brake
KR101394126B1 (en) Disk brake
KR20140019493A (en) Electronic parking brake
KR20050120468A (en) Piston of brake caliper for vehicle
KR101484224B1 (en) Brake caliper unit
KR20180126827A (en) Disk brake apparatus for vehicle
KR20090011466A (en) Piston structure of caliper brake for a vehicle
KR20180047864A (en) Electric disk brake
KR102032723B1 (en) Piston assembly and electric parking brake having the same
KR101040936B1 (en) Parking brake device of disk brake
JP2019173926A (en) Disc brake device for vehicle
KR20100031993A (en) Piston seal of disk brake
KR20160049263A (en) Piston of caliper brake for vehicle
KR100791852B1 (en) Drum brake wheel cylinder
JP5790520B2 (en) Disc brake device
KR20230022731A (en) Brake pad for disc brea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