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725A - 발효 태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 또는 항피로 조성물과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발효 태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 또는 항피로 조성물과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725A
KR20160090725A KR1020150047710A KR20150047710A KR20160090725A KR 20160090725 A KR20160090725 A KR 20160090725A KR 1020150047710 A KR1020150047710 A KR 1020150047710A KR 20150047710 A KR20150047710 A KR 20150047710A KR 20160090725 A KR20160090725 A KR 20160090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enzyme
fucoidan
present
placen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362B1 (ko
Inventor
김종배
이미경
이원경
신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60090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0Placenta; Placental stem cells; Amniotic fluid; Amnion; Amniotic stem cells
    • A23L1/3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7Sulfated polysaccharides, e.g. chondroitin sulfate, dermatan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8Molluscs, e.g. fresh-water molluscs, oysters, clams, squids, octopus, cuttlefish, snails or s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후코이단 (fucoidan), 코엔자임 Q10 (coenzyme Q10), 및 달팽이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및 (b) 발효 태반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 촉진용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효 태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 또는 항피로 조성물과 그의 용도 {A composition for reinforcing immune function and anti-fatigue comprising fermented placenta and its use}
본 발명은 (a) 후코이단 (fucoidan), 코엔자임 Q10 (coenzyme Q10), 및 달팽이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및 (b) 발효 태반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 촉진용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감염 및 질병의 발생은 면역 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신체 면역체계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 면역 증강 물질을 통해 이들 면역 반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대식세포(Macrophage)는 내재면역뿐만 아니라 적응면역 등 다양한 숙주 반응에 관여하여 숙주방어와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면역 반응 시에는 IL-1β(interleukin-1β), IL-6(interleukin-6) 및 TNF-α(tumor necrosis factor-α)와 같은 사이토카인(cytokine)을 생산하여 감염 초기에 생체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로 알려져 있다(약학회지 2013; 57(6): 394~399).
전창배 외(약학회지 2013; 57(6): 394~399)는 마디풀(Polygonum aviculare L.) 추출물의 대식구 면역 증강 효과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허선미 외(Kor. J. Pharmacogn. 2011; 42(3): 246~252)는 한국산 겨우살이로부터 겨우살이로부터 분리한 렉틴(KML-C)의 면역 증강 효과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및 달팽이 추출물의 복합 조성물이 면역 증강에 효과가 있다는 것은 보고된바 없다.
한편, 항피로제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2012-0033443는 대황 추출물의 항피로 효과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피로의 원인은 체내 저장되어 있는 에너지원의 결핍 또는 이용 불능, 대사 작용에 의한 피로물질의 축적, 체내의 항상성 실조 등으로 구분되나, 대부분 많은 요인의 상승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로의 회복을 위해서는 충분한 에너지원의 공급과 휴식, 체내 피로물질의 생성 억제 및 제거 등이 요구되나 실제로 바쁜 현대사회에서 충분한 영양섭취와 휴식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므로, 피로 회복을 위한 기능성 소재의 발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물 소재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및 달팽이 추출물의 복합 조성물이 면역 증강 및 피로 회복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a) 후코이단 (fucoidan), 코엔자임 Q10 (coenzyme Q10), 및 달팽이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및 (b) 발효 태반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 촉진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후코이단 (fucoidan), 코엔자임 Q10 (coenzyme Q10), 및 달팽이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및 (b) 발효 태반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 촉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후코이단 (fucoidan), 코엔자임 Q10 (coenzyme Q10), 및 달팽이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및 (b) 발효 태반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 촉진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후코이단 (fucoidan), 코엔자임 Q10 (coenzyme Q10), 및 달팽이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및 (b) 발효 태반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 촉진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대식세포 RAW 264.7의 증식능을 증진시켰으며(실험예 1, 도 1), 활성화된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진 일산화질소 (NO)의 생성량을 증가시켰고(실험예 2, 도 2), 대식세포의 활성에 의한 종양괴사인자 알파 (TNF-α)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예 3, 도 3). 즉, 상기 조성물은 면역세포 증식, 일산화질소 (Nitro oxide, NO) 생성, 및 종양괴사인자 알파 (TNF-α) 생성을 촉진하며, 이를 통하여 면역 증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평소 피로함을 느끼는 개체에 투여한 결과, 개체의 피로 회복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실험예 4, 표 3).
이하, 본 발명에서의 약학 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태반은 태아와 모체 사이에서 태아의 생존과 성장에 필요한 물질교환을 매개하는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효 태반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태반을 구입하여 발효하거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발효 태반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효 방법은 당업계에서 태반 조성물의 발효를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태반은 일 예로 포유류의 태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엔자임 Q10(coenzyme Q10)은 체내에서 작용하는 조효소의 하나로 유비퀴논, 비타민Q 등으로 불리는 비타민 유사작용 인자이다. 본 발명에서 코엔자임 Q10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또는 자연계에서 유래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후코이단은 끈적끈적한 점질 구조의 황산염화한 다당류로, 후코스(Fucose)라는 기본당과 황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물질이다. 본 발명에서 후코이단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또는 자연계에서 재배 또는 채취한 것으로부터 정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미역, 다시마, 큰실말, 슈가켈프 (Laminaria saccharina), L.디지타타 (L. digitata), 태평양 모자반 (Fucus distichus), 오키나와 모즈쿠 (Cladosiphon okamuranus)와 같은 갈조류에서 분리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달팽이는 복족류 또는 달팽이과(Fruticiola sieboldiana)에 속하는 육산패류로 세계에 약 2만 종이 알려져 있다. 달팽이의 주요 영양성분은 단백질(54.29%), 지질(4.18%), 탄수화물(30.45%), 회분(4.07%)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하다. 달팽이에서 분비되는 끈끈한 점액을 구성하는 성분을 뮤신(Mucin)이라 하며 뮤신을 구성하고 있는 주성분은 콘드로이친황산(chondroitin sulfate)이다. 달팽이 추출물의 피부보습, 피부탄력 강화, 미백,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알려져 있으나, 그의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바 없다.
본 발명에서 달팽이 추출물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또는 자연계에서 재배 또는 채취한 것을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물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은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 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상기 달팽이를 용매에 침지하고, 10 내지 25℃의 상온에서 추출하는 냉침추출법, 40 내지 100℃로 가열하여 추출하는 가열추출법, 초음파를 가하여 추출하는 초음파추출법, 환류냉각기를 이용한 환류추출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성물은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및 달팽이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면역 증강이란, 항원에 대한 생체 방어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항원에 대한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능을 상승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면역 증강의 기작은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대식세포 등 항원 제공 세포의 활성을 촉진하거나, 림프구에 대한 특이적인 활성을 촉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및 달팽이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대식세포 RAW 264.7의 증식능을 증진시켰으며(도 1), 활성화된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진 NO의 생성량을 증가시켰고(도 2), 대식세포의 활성에 의한 TNF-α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3).
즉, 상기 조성물은 면역세포 증식, NO 생성, 및 TNF-α 생성을 촉진하며, 이를 통하여 면역 증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로 회복이란 누적된 피로를 해소하거나 피로 증상이 제거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및 달팽이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을 평소 피로함을 느끼는 개체에 투여한 결과, 개체의 피로 회복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3).
상기 조성물에서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달팽이 추출물의 중량비는 100 : 0.1 내지 5 : 0.1 내지 5 : 0.1 내지 5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중량비는 100 : 0.5 내지 3 : 0.5 내지 3 : 0.5 내지 3인 것일 수 있다.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달팽이 추출물의 농도가 상기 비율보다 낮을 경우 생리활성의 발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발효 태반 단독 물질과 비교하여 기능 수준이 차이가 미비하다. 또한, 상기의 비율보다 높을 경우는 원료 자체의 이취, 흡습 또는 변색 등으로, 조성물의 품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조성물은 용액, 겔 (gel), 에멀젼 (emulsion),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micro-emulsion), 마이크로캡슐 (capsule), 리포좀 (liposome), 크림 (cream), 로션 (lotion), 연고, 에어로졸 (aerosol), 스프레이 (spray), 페이스트 (paste), 및 패치 (patch)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일제제로도 사용할 수 있고, 공인된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합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 (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항산화제, 완충액 및/또는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희석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및 달팽이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 효과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0 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및 달팽이 추출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이 필요하거나 필요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구체적으로, 개체에 상기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후코이단 (fucoidan), 코엔자임 Q10 (coenzyme Q10), 및 달팽이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및 (b) 발효 태반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 촉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조성물은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및 달팽이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및 달팽이 추출물은 천연 물질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안정성이 입증되었으므로, 상식할 수 있으면서도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을 도모할 수 있는 식품의 형태로 제조되어 섭취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식품은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에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액상, 및 환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형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각종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 효과에 방해가 되지 않는 다른 성분을 추가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생약 추출물,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식품보조첨가제는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식품에 포함되는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100㎖를 기준으로 1 내지 30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달팽이 추출물의 중량비는 100 : 0.1 내지 5 : 0.1 내지 5 : 0.1 내지 5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중량비는 100 : 0.5 내지 3 : 0.5 내지 3 : 0.5 내지 3인 것일 수 있다.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달팽이 추출물의 농도가 상기 비율보다 낮을 경우 생리활성의 발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발효 태반 단독 물질과 비교하여 기능 수준이 차이가 미비하다. 또한, 상기의 비율보다 높을 경우는 원료 자체의 이취, 흡습 또는 변색 등으로, 조성물의 품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후코이단 (fucoidan), 코엔자임 Q10 (coenzyme Q10), 및 달팽이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및 (b) 발효 태반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 촉진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조성물은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및 달팽이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사료용 조성물은 사료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달팽이 추출물의 중량비는 100 : 0.1 내지 5 : 0.1 내지 5 : 0.1 내지 5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중량비는 100 : 0.5 내지 3 : 0.5 내지 3 : 0.5 내지 3인 것일 수 있다.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달팽이 추출물의 농도가 상기 비율보다 낮을 경우 생리활성의 발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발효 태반 단독 물질과 비교하여 기능 수준이 차이가 미비하다. 또한, 상기의 비율보다 높을 경우는 원료 자체의 이취, 흡습 또는 변색 등으로, 조성물의 품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후코이단 (fucoidan), 코엔자임 Q10 (coenzyme Q10), 및 달팽이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및 (b) 발효 태반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 촉진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조성물은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및 달팽이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을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하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형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 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달팽이 추출물의 중량비는 100 : 0.1 내지 5 : 0.1 내지 5 : 0.1 내지 5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중량비는 100 : 0.5 내지 3 : 0.5 내지 3 : 0.5 내지 3인 것일 수 있다.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달팽이 추출물의 농도가 상기 비율보다 낮을 경우 생리활성의 발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발효 태반 단독 물질과 비교하여 기능 수준이 차이가 미비하다. 또한, 상기의 비율보다 높을 경우는 원료 자체의 이취, 흡습 또는 변색 등으로, 조성물의 품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면역세포 증식, 일산화질소 생성, 및 종양괴사인자 알파 생성을 촉진하며, 이를 통하여 면역 증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평소 피로함을 느끼는 개체에서 피로 회복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대식세포의 증식 증가에 의한 면역 증강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일산화질소 (NO)의 생성 증가에 의한 면역 증강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종양괴사인자 알파 (TNF-α) 생성 증가에 의한 면역 증강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하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복합 조성물의 제조 ( 실시예 1 내지 8, 비교예 1 내지 3)
발효하지 않은 일반돈태반과 발효돈태반은 일본의 Horus 社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후코이단 분말로서 큰실말 추출물 분말과 코엔자임 Q10, 달팽이 추출물은 상용품을 이용하여, 하기의 비율로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세포배양액 처리농도 (ppm) LPS (0.1ng/ml) 처리
일반
돈태반
발효
돈태반
후코이단
분말
코엔자임
Q10
달팽이
추출물
비교예1 - - - - - x
비교예2 - - - - - O
비교예3 130 - - - - O
실시예1 - 130 - - - O
실시예2 - - 1 O
실시예3 - - - 1 O
실시예4 - - - - 1.5 O
실시예5 - 130 1.5 - - O
실시예6 - 130 1.5 1 - O
실시예7 - 13 . 0.1 0.1 O
실시예8 - 130 1 1 1.5 O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하기 표 2의 비율의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및 달팽이 추출물 과 잔량의 부형제를 이용하여 300mg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품조성 (%)
일반
돈태반
발효
돈태반
후코이단
분말
코엔자임
Q10
달팽이
추출물
부형제
제조예1 - - - - - 100
제조예2 13 0.15 0.1 0.1 잔량
제조예3 13 0.15 0.1 0.1 잔량
실험예 1. 복합 조성물에 의한 대식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
대식세포는 식균작용이 있기 때문에 항원을 잡아먹을 수 있어 자연면역에서 중요한 기능을 나타낸다. 이들은 미생물, 항원, 죽은 조직, 적혈구 등을 식균작용으로 파괴할 수 있다.
대식세포는 여러 가지 물질을 세포 밖으로 분비하는 대표적인 분비세포로서, 약 50가지 이상의 활성이 있는 물질을 분비한다. 이들 대식세포 분비물질들은 염증반응의 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단백질 분해효소나 지질 대사물질, 사이토카인 등은 염증반응의 진행과 유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식세포는 또한 염증반응으로 인한 조직의 파괴를 막아줄 수 있는 여러 가지 혈장 단백질도 분비하며, 혈액응고인자나 보체 단백질 등도 분비한다 그 외에도 혈관생성인자도 분비하며, 다른 면역세포의 작용을 조절하는 사이토카인을 분비하기도 한다. 따라서 대식세포의 증식은 면역 시스템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시험물질에 의한 대식세포의 증식능을 측정함으로써 시험물질에 의한 면역 증강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먼저,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 (Mouse macrophage cell line, ATCC The Global Bioresource Center, USA)를 구입하여, 2.5 x 106 cells/㎖의 세포농도로 96-well microplate에 100 ㎕씩 분주하였다. 배지는 10% FBS (GibcoBRL, Grand Island, NY, USA) 및 1% penicillin/streptomycin (Thermo Scientific Hyclone, Waltham, MA, USA)을 첨가한 DMEM (GibcoBRL, Grand Island, NY, USA) 배지를 사용하였고, 5% CO2, 37℃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RAW 264.7 세포를 분주한 세포 배양액에 LPS (Lipopolysaccharide) (Sigma, St. Louis, MO, US)를 0.1ng/ml를 처리하여 염증을 유도하였다(비교예 1는 LPS 처리하지 않음).
그 후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시료를 배양액에 처리하고 3일간 배양하였다. 생육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CCK-8 (Cell Counting Kit-8, Dojindo Co. Ltd., Kumamoto, Japan)을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LPS를 처리할 경우 감소된 대식세포 증식능이,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및 달팽이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실시예 8)을 처리할 경우 매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복합 조성물이 대식세포 증식능을 촉진함으로써 면역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험예 2. 복합 조성물에 의한 일산화질소 생성 촉진 효과
일산화질소 (Nitric Oxide, NO)는 면역계에서 외부물질에 대한 방어 작용을 하는 중요한 신호 전달 물질로, 일산화질소 합성 효소 (nitric oxide synthase, NOS)의 작용에 의해 L-아르기닌 (L-arginine)이 L-시트룰린 (L-citruline)으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며 면역계에서는 방어 물질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면역계에서는 면역전달물질인 세포활성물질의 영향을 받아 면역효과세포가 많은 양의 일산화질소를 생성할 수 있게 유도되면 많은 양의 일산화질소가 면역 염증반응 부위에 유리되어 면역반응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박테리아가 대식세포 내 살균작용에 의해 분해될 때 박테리아를 죽이기 위해 대식세포가 일산화질소를 분비하게 된다. 따라서, 활성화된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진 일산화질소의 생성량을 측정함으로써 시험물질에 의한 면역기능의 증진 활성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대식세포 RAW 264.7에 염증을 유도하고,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시료를 배양액에 처리하였다. 그 후 세포를 24시간 배양하고, 900 rpm, 4℃에서 5분간 원심분리 후 세포 배양액을 회수하여 배양액 중 생산된 일산화질소 생산능을 확인하였다. 세포 배양액 내의 일산화질소의 양은 Griess reagent (Promega Co., Madison, WI, USA)를 이용,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LPS를 처리할 경우 감소된 NO 생성능이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및 달팽이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실시예 8)을 처리할 경우 매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효 태반(실시예 1), 후코이단(실시예 2), 코엔자임 Q10(실시예 3), 달팽이 추출물(실시예 4)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에 비하여, 복합 조성물의 처리 시 NO 생성능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복합 조성물이 NO 생성능을 촉진함으로써 면역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험예 3. 복합 조성물에 의한 종양괴사인자 알파( TNF -α) 생성 촉진 효과
TNF-α는 염증반응 중 특히 급성 기 반응 (acute-phase protein)의 구성원인 사이토카인(cytokine)이다. TNF-α는 주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의해 분비되는데, 보조 T 세포, 자연살해세포, 그리고 뉴런 등의 다양한 세포에서도 분비된다. TNF-는 활성화된 대식세포 또는 비장세포에서 분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인체에 침입한 병원체 및 종양세포들에 대한 제거 활성을 증진시킨다. TNF-α는 림프구와 상호작용하여 림프구의 활성과 성장 등을 조절하며 특히 Th-1 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으로 뇌경색이나 암 같은 질병에 있어 면역을 증강시킨다. 또한 TNF-α는 암세포의 세포 용해를 유도함으로써 직접적인 항암 작용을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시험물질이 TNF-α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함으로써 시험물질에 의한 면역 증강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먼저,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대식세포 RAW 264.7에 염증을 유도하고,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시료를 배양액에 처리하였다. 그 후 세포를 24시간 배양하고, 900 rpm, 4℃에서 5분간 원심분리 후 세포 배양액을 회수하여 배양액 중 생산된 TNF-α의 생산능을 확인하였다. TNF-α는 ELISA 키트 (BD Biosciences, Co., Ltd., San Diego, CA, USA)를 이용,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LPS를 처리할 경우 감소된 TNF-α의 생성능이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및 달팽이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실시예 8)을 처리할 경우 매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효 태반(실시예 1), 후코이단(실시예 2), 코엔자임 Q10(실시예 3), 달팽이 추출물(실시예 4)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에 비하여, 복합 조성물의 처리 시 TNF-α 생성능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복합 조성물이 TNF-α 생성능을 촉진함으로써 면역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험예 4. 복합 조성물에 의한 피로 회복 촉진 효과
평소 피로함을 느끼는 20~50세 성인을 그룹별 10명씩 모집하여, 제조예 2의 정제를 3개월간 하루 3정씩 섭취하도록 하였다. 섭취 전/후의 피로 개선에 관한 5개의 항목의 주관적인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5점 척도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항목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섭취전 섭취후 변화 섭취전 섭취후 변화 섭취전 섭취후 변화
하루종일 피곤하고
졸린다.
4.2 3.8 ▼0.4 4.8 3.6 ▼1.2 4.4 3.0 ▼1.4
잠을 자도, 상쾌하지
않고 몸이 무겁다.
3.2 3.4 △0.2 3.0 2.0 ▼1.0 3.6 2.2 ▼1.4
활동을 조금만 몸이
무겁고 피곤하다.
4.2 4.0 ▼0.2 4.6 3.6 ▼1.0 4.0 3.0 ▼1.0
피곤한데 잠이 오지 않을 때가 있다. 3.2 3.2 - 3.0 2.4 ▼0.6 3.4 2.2 ▼1.2
잘때 코를 심하게
곤다.
1.6 1.8 △0.2 1.0 1.0 - 1.2 1.0 ▼0.2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성물을 함유하지 않고 부형제만 넣은 정제를 섭취한 군 (제조예 1)은 주관적인 만족도 설문조사의 모든 항목에서 섭취 전/후 차이가 거의 없었다.
한편, 발효 태반, 후코이단, 코엔자임 Q10, 및 달팽이 추출물이 함유된 정제를 섭취한 군에서는 모든 설문 항목에서 주관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발효 태반 대신 일반 태반을 포함하는 제조예 2보다 변화의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및 달팽이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이 피로 회복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a) 후코이단 (fucoidan), 코엔자임 Q10 (coenzyme Q10), 및 달팽이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및 (b) 발효 태반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 촉진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달팽이 추출물의 중량비는 100 : 0.1 내지 5 : 0.1 내지 5 : 0.1 내지 5인 것인,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면역세포 증식, 일산화질소 (Nitro oxide, NO) 생성, 및 종양괴사인자 알파 (TNF-α) 생성을 촉진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4. (a) 후코이단 (fucoidan), 코엔자임 Q10 (coenzyme Q10), 및 달팽이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및 (b) 발효 태반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 촉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태반, 코엔자임 Q10, 후코이단, 달팽이 추출물의 중량비는 100 : 0.1 내지 5 : 0.1 내지 5 : 0.1 내지 5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a) 후코이단 (fucoidan), 코엔자임 Q10 (coenzyme Q10), 및 달팽이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및 (b) 발효 태반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또는 피로 회복 촉진용 사료 조성물.
KR1020150047710A 2015-01-21 2015-04-03 발효 태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 또는 항피로 조성물과 그의 용도 KR101669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995 2015-01-21
KR20150009995 2015-01-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844A Division KR102178926B1 (ko) 2015-01-21 2016-10-13 발효 태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 또는 항피로 조성물과 그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725A true KR20160090725A (ko) 2016-08-01
KR101669362B1 KR101669362B1 (ko) 2016-10-26

Family

ID=567069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710A KR101669362B1 (ko) 2015-01-21 2015-04-03 발효 태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 또는 항피로 조성물과 그의 용도
KR1020160132844A KR102178926B1 (ko) 2015-01-21 2016-10-13 발효 태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 또는 항피로 조성물과 그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844A KR102178926B1 (ko) 2015-01-21 2016-10-13 발효 태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 또는 항피로 조성물과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669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461B1 (ko) 2022-01-07 2023-01-12 (주)제이비 바이오 태반 고상발효산물과 그 용도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5127B (zh) * 2017-11-14 2020-09-29 广东环境保护工程职业学院 南极磷虾油和泛醌的协同抗疲劳组合物、胶囊及制备方法
KR101988959B1 (ko) 2019-05-13 2019-06-14 주식회사 한미양행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또는 항피로용 조성물
KR102562307B1 (ko) * 2020-12-04 2023-07-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양태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51393A (ko) 2021-05-06 2022-11-15 도영복 인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건강기능성 차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4582A (ko) * 2004-05-11 2007-03-02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항피로 조성물
KR101132392B1 (ko) * 2009-08-14 2012-04-03 (주)청룡수산 발효 태반 조성물 및 그 용도
KR20130012417A (ko) * 2011-07-25 2013-02-04 아쿠아그린텍(주) 감태 추출물 유래의 후코이단을 함유하는 방사선 방호능을 가진 면역증강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4582A (ko) * 2004-05-11 2007-03-02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항피로 조성물
KR101132392B1 (ko) * 2009-08-14 2012-04-03 (주)청룡수산 발효 태반 조성물 및 그 용도
KR20130012417A (ko) * 2011-07-25 2013-02-04 아쿠아그린텍(주) 감태 추출물 유래의 후코이단을 함유하는 방사선 방호능을 가진 면역증강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461B1 (ko) 2022-01-07 2023-01-12 (주)제이비 바이오 태반 고상발효산물과 그 용도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362B1 (ko) 2016-10-26
KR102178926B1 (ko) 2020-11-13
KR20160122110A (ko)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326B1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78926B1 (ko) 발효 태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 또는 항피로 조성물과 그의 용도
KR101382400B1 (ko) 흰점박이꽃무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8137998A (ja) 皮膚改善剤及び美容健康用経口組成物
JP2007204423A (ja) ササ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該抽出物の利用
JP5594819B2 (ja) 脂質代謝改善用組成物
KR20210014231A (ko)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24050702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カーリ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肥満または肥満から誘導された代謝症候群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
US20180221424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rthritis, containing sargassum serratifo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2315959B1 (ko) 새싹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731859B1 (ko)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 체중 감소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WO2017119476A1 (ja) 神経性疾患予防用組成物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941183B1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7080B1 (ko) 갯지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102379612B1 (ko)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7841B1 (ko) 바이칼린-아연착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20150058698A (ko)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조성물
KR101610894B1 (ko) 맛이 차폐된 비타민 c 과립
JP2018095580A (ja) 抗不安用組成物
JP2007084535A (ja) ワサビを有効成分とする脂肪蓄積抑制用組成物
KR20210003994A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연잎 유래 효소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206623B2 (ja) 糖代謝異常の予防および改善用組成物
KR102567997B1 (ko) 발효 태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과 그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