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961A - 분리형 커넥터 및 결합 키트 - Google Patents

분리형 커넥터 및 결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961A
KR20160089961A KR1020150009637A KR20150009637A KR20160089961A KR 20160089961 A KR20160089961 A KR 20160089961A KR 1020150009637 A KR1020150009637 A KR 1020150009637A KR 20150009637 A KR20150009637 A KR 20150009637A KR 20160089961 A KR20160089961 A KR 20160089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transceiver
case
inner hous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895B1 (ko
Inventor
이상로
김승호
이우진
유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티
이상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티, 이상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티
Priority to KR1020150009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895B1/ko
Publication of KR20160089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1Bayonet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시버를 수용하는 케이스에 내삽되어 결합되는 커넥팅부, 커넥팅부가 케이스에 내삽되는 경우 트랜시버에 체결되는 래치, 및 래치를 가압하여 트랜시버와 래치의 결합을 해제하는 래치 해제부를 포함하며, 커넥팅부가 케이스에 내삽되는 경우, 래치 해제부의 적어도 일부는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커넥터를 SFP에 견고하고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어 작업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결합 키트{Connector and Coupling kit}
본 발명은 커넥터 및 결합 키트에 관한 것이다.
RRH(Remote Radio Head)는, LTE(Long Term Evolution) 보급 확대와 함께 기지국이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 용량을 늘리면서도 기지국 투자비는 줄일 수 있어 기지국 표준 장비로 빠르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상기 RRH의 내부에는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transceiver)가 구비되는데, 상기 SFP는 네트워크 장치들을 파이버 채널이나, 기가비트 이더넷과 같은 광섬유 기반의 전송 시스템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로서, 직렬 전기 신호들을 직렬 광학신호들로 변환하며, 그 반대로도 변환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SFP를 RRH의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실장하고 외부기기는 케이블을 통해 RRH의 포트에 연결하고 상기 SFP와 포트를 인도어 패치 코드(Indoor Patch Cord)로 연결하여, SFP와 외부기기를 연결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SFP와 포트를 연결하는 인도어 패치 코드가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문제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일례는 SFP에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SFP에 대한 2중 체결 구조를 통해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며, 베이오넷(bayonet) 방식을 통해 작업 신뢰성이 향상되는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외부 환경에 적용이 가능한 방수형의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상기 커넥터를 구비한 결합 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는, 트랜시버를 수용하는 케이스에 내삽되어 결합되는 커넥팅부; 상기 커넥팅부가 상기 케이스에 내삽되는 경우 상기 트랜시버에 체결되는 래치; 및 상기 래치를 가압하여 상기 트랜시버와 래치의 결합을 해제하는 래치 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부가 상기 케이스에 내삽되는 경우, 상기 래치 해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노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래치 해제부는, 커넥팅부가 구비되는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구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래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편은, 가압부와, 상기 연장편의 말단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와 일체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부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래치를 가압하여 상기 트랜시버와 래치의 결합을 해제하는 가압 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부가 상기 케이스에 내삽되는 경우, 상기 가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내측에 상기 커넥팅부가 구비된 케이블을 수용하며,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내측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하우징을 내부에 수용하며, 내측면에 위치하는 후크 해제부를 포함하는 외측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 해제부는, 상기 트랜시버로부터의 해제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후크를 상기 결합홈과의 결합으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하우징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외측 하우징을 상기 케이스와의 결합방향으로 가압하는 체결 너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너트부는, 상기 내측 하우징의 베이오넷 홈에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베이오넷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 해제부와 체결 너트부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래치 해제부를 상기 체결 너트부에 대해 유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트랜시버는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transceiver)일 수 있다.
상기 내측 하우징의 외측면 상에 구비되며, 상기 내측 하우징과 상기 외측 하우징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결합 키트는, 중공을 포함하며, 외주면 상에 결합홈이 구비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의 중공을 통해 트랜시버와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어댑터의 중공을 통해 트랜시버와 결합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커넥팅부와, 상기 래치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래치 해제부와, 내측에 상기 커넥팅부가 구비된 케이블을 수용하며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구비되어 상기 어댑터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내측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부가 상기 어댑터의 중공에 내삽되는 경우, 상기 래치 해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어댑터의 외측에 노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광섬유 기반의 전송 시스템과 SFP를 직접 연결할 수 있어 제조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는 SFP에 견고하고 확실한 체결이 가능하므로 작업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가 외부기기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팅부, 래치 해제부, 및 체결 너트부의 일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내측 하우징 및 체결 너트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내부 하우징, 외부 하우징 및 베이스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가 외부기기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팅부, 래치 해제부, 및 체결 너트부의 일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내측 하우징 및 체결 너트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내부 하우징, 외부 하우징 및 베이스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팅부(100), 래치 해제부(200), 내측 하우징(300), 외측 하우징(400), 베이스(500), 체결 너트(6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부(100)는, 케이블(10)의 일단에 위치하며 트랜시버(2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래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10)은, 일례로서 광케이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케이블(10)을 통해 연결되는 양 기기 간의 정보 전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 어떠한 부재로도 구비될 수 있다. 트랜시버(20)는, 일례로서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transceiv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블(10)에 의해 연결되어 양방향 또는 일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기기로도 구비될 수 있다.
커넥팅부(100)는, 트랜시버(20)를 수용하는 케이스(21)에 내삽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커넥팅부(100)의 래치(120)는, 트랜시버(20)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래치(120)를 가압하여 트랜시버(20)와 래치(120)의 결합을 해제하는 래치 해제부(2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커넥팅부(100)가 케이스(21)에 내삽되는 경우에도, 래치 해제부(200)의 적어도 일부는 케이스(2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케이스(21)의 내측으로 손가락을 무리하게 집어넣을 필요 없이 래치 해제부(200)를 케이스(21)의 외측에서 가압하여 래치(120)와 트랜시버(20) 사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커넥팅부(100)는, 케이블(10)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10)의 타단은 파이버 채널이나, 기가비트 이더넷과 같은 광섬유 기반의 전송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블(10)은, 트랜시버(20)와 상기 전송 시스템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커넥팅부(100)는, 트랜시버(2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래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커넥팅부(100)는 트랜시버(20)로부터 분리되기 위해 래치(120)의 결합이 해제될 필요가 있으므로 커넥팅부(100)와 트랜시버(20) 사이의 안정적인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커넥팅부(100)는, 일례로서 커넥팅 포트(110) 및 래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포트(110)는, 일례로서 트랜시버(20)의 포트(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케이블(10)을 통해 연결된 전송 시스템 등과 트랜시버(20) 사이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커넥팅 포트(110)는, 일례로서 두 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래치(120)는, 트랜시버(20)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래치(120)는, 일례로서 연장부(121) 및 체결 돌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21)는, 커넥팅 포트(110)로부터 연장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연장부(121)는, 커넥팅 포트(110)의 상면으로부터 후측 상방(도 3 참조)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장부(121)의 후측 끝단에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파지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파지부(123)는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상태가 유지되며 파지부(123)가 하방으로 가압되는 경우 파지부(123)는 하방으로 이동하지만 외력이 제거되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체결 돌기(122)는, 연장부(12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체결 돌기(122)는, 트랜시버(20)의 체결홈(미도시)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즉, 체결 돌기(122)는, 트랜시버(20)의 체결홈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돌기(122)는, 일례로서 연장부(121)의 측방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체결 돌기(122)는, 연장부(121)의 일부가 함몰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체결 돌기(122)는, 형상에 제한이 없으며 트랜시버(20)의 체결홈에 체결되기 위한 형상은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 돌기(122)를 통해, 커넥팅 포트(110)가 트랜시버(20)의 포트에 접촉되면 체결 돌기(122)가 트랜시버(20)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팅 포트(110)와 트랜시버(20)의 포트 사이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파지부(123)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체결 돌기(122)를 트랜시버(20)의 체결홈으로부터 해제하여야만 커넥팅 포트(110)와 트랜시버(20)의 포트 사이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래치(120)의 파지부(123)에는 래치 해제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래치 해제부(200)가 래치(120)와 트랜시버(20) 사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래치 해제부(200)는, 래치(120)와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래치 해제부(200)는, 래치(120)를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래치 해제부(200)는 래치(120)를 트랜시버(20)로부터 결합 해제할 수 있다. 래치 해제부(20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래치(120)의 파지부(123)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래치(120)의 파지부(123)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래치(120)는 트랜시버(20)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래치 해제부(200)가 하방으로 가압되는 경우, 래치 해제부(200)는 래치(120)의 파지부(123)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상기 파지부(123)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체결 돌기(122)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트랜시버(20)의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되므로 래치(120)와 트랜시버(2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즉, 래치 해제부(200)가 하방으로 가압되어 래치(120)의 파지부(123)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래치(120)의 체결 돌기(122)는 트랜시버(20)의 체결홈으로부터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래치 해제부(200)는, 커넥팅부(100)가 구비되는 케이블(10)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구(215)의 상면(216)으로부터 래치(120)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편(211)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 해제부(200)는,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소정의 길이 이상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이유로 래치 해제부(200)는, 롱 래치(200)로 호칭될 수 있다.
래치 해제부(200)는, 일례로서 메인바디(210)와 탄성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바디(210)는, 일례로서 연장편(211), 가압 해제부(212), 가압부(213), 결속홈(214), 케이블 수용구(215)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편(211)은 커넥팅부(100)가 구비되는 케이블(10)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구(215)의 상면(216)으로부터 래치(120)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편(211)의 일측은 메인바디(210)의 케이블 수용구(215)의 상면(216)에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측은 가압 해제부(212)로 호칭될 수 있으며, 래치(120)를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연장편(211)은, 가압부(213)와, 연장편(211)의 말단에 구비되며 가압부(213)와 일체로 이동하여 가압부(213)가 가압되는 경우 래치(120)를 가압하여 트랜시버(20)와 래치(120)의 결합을 해제하는 가압 해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넥팅부(100)가 케이스(21)에 내삽되면, 가압부(213)의 적어도 일부는 케이스(2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케이스(21)의 외측에 위치하는 가압부(213)를 가압하여 트랜시버(20)와 래치(12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결속홈(214)은, 케이블 수용부(610)의 절곡부(612)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서 결속홈(214)은 소정 길이 이상으로 형성되며, 절곡부(612)는 상기 결속홈(214)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수용구(215)는, 커넥팅부(100)가 구비된 케이블(10)을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수용구(215)를 형성하는 케이블 수용구(215)의 상면에는, 살핀 바와 같이 연장편(211)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220)는, 일례로서 래치 해제부(200)의 메인바디(210)와 체결 너트부(600)의 케이블 수용부(6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 바디(210)는, 체결 너트부(600)에 대해 유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바디(210)의 케이블 수용구(215)에 수용되는 케이블(10)도 소정 범위 내에서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케이블(10)의 말단에 구비되는 커넥팅부(100)도, 소정 범위 내에서 유동이 가능하므로 트랜시버(20)의 위치가 정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x, y, z축 방향으로 공차를 허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내측 하우징(300)은 내측에 케이블(10)을 수용하며 외측면(301)으로부터 돌출 구비되어 트랜시버(20)를 수용하는 케이스(21)의 어댑터(22)의 결합홈(23)에 결합되는 후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내측 하우징(300)의 후크(310)는 어댑터(22)의 결합홈(23)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하우징(300)은, 후술할 외측 하우징(400)의 중공(403)의 형상에 대응하는 지지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320)를 통해 외측 하우징(400)의 내측면(401)이 내측 하우징(3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내측 하우징(300)과 외측 하우징(400) 사이에 물이나 이물 등이 유동하는 것을 막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내측 하우징(300)은, 체결 너트부(600)가 결합되는 너트 결합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하우징(300)의 후측은 후술할 베이스(500)의 중공(501)에 수용되고, 내측 하우징(300)의 전방측은 외측 하우징(400)의 중공(403)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 너트부(600)는 내측 하우징(300)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외측 하우징(400)을 케이스(21)와의 결합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체결 너트부(600)가 내측 하우징(300)에 결합되면 내측 하우징(300), 외측 하우징(400), 및 베이스(500)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외측 하우징(400)은, 내측 하우징(300)을 내부에 수용하며 내측면(401)에 위치하는 후크 해제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 해제부(410)는, 트랜시버(20)로부터의 해제방향(후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후크(310)를 결합홈(23)과의 결합으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후크 해제부(410)는, 일례로서 얇은 판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크(310)의 경사면을 가압하여 후크(310)가 결합홈(23)에 삽입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후크 해제부(410)는, 외측 하우징(400)의 내측면(401) 전방측에 구비될 수 있다. 외측 하우징(400)은,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중공(403)에 내측 하우징(300)을 수용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내측에 케이블(10)을 수용하고 중공(501)을 통해 내측 하우징(300)을 수용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내측 하우징(300)을 보호하고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체결 너트부(600)는, 내측 하우징(300)의 너트 결합부(330)에 결합되어 베이스(500)가 내측 하우징(300)을 수용하는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체결 너트부(600)가 너트 결합부(330)에 결합되면, 외측 하우징(400)이 베이스(500)에 가압되어 케이스(21)와 베이스(500)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체결 너트부(600)는, 내측 하우징(300)의 베이오넷 홈(331)에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베이오넷 돌기(6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베이오넷 홈(331)과 베이오넷 돌기(624)는 베이오넷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오넷(bayonet) 방식이라 함은, 나사 결합과 같이 회전에 의하지만 회전각 360°모두에서 결합이 완성되지 않고 특정 회전각에서만 결합이 완성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일례로서 도 6을 참고하면 베이오넷 돌기(624)가 내주면을 빙둘러 2 세트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베이오넷 마운트(620)는 360°의 회전각 중 2회의 회전각에서만 내측 하우징(300)의 베이오넷 홈(331)과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베이오넷 마운트(620)가 포함된 커넥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체결 너트부(600)의 체결이 완성되었는지 여부를 나사 결합 방식과 비교하여 손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베이오넷 홈(331)은, 일례로서 장턱(332)과 단턱(333)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장턱(332)과 단턱(333)은 모두 내측 하우징(300)의 외주면을 빙둘러 구비되지만, 장턱(332)이 단턱(333)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2개의 돌기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형성된 베이오넷 돌기(624)가 장턱(332)을 유동하는 경우에는 베이오넷 홈(331)에 결합되지 못하고 단턱(333)을 사이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베이오넷 홈(331)에 결합하게 된다.
체결 너트부(600)는, 일례로서 케이블 수용부(610), 베이오넷 마운트(620), 마운트 수용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610)는, 커넥팅부(100)가 구비되는 케이블(10)이 수용되는 케이블 수용구(611)와, 래치 해제부(200)의 결속홈(214)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절곡부(612)와, 베이오넷 마운트(620)의 내측면(622)의 나사산(623)과 결합되는 나사산(6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수용부(610)와 래치 해제부(200)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오넷 마운트(620)는, 케이블 수용부(610)가 수용되는 중공(621)과, 내측면(622)에 형성되어 케이블 수용부(61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나사산(623)과 결합되는 나사산(623)과, 내측 하우징(300)의 베이오넷 홈(331)에 결합되는 베이오넷 돌기(624)와, 외측면(625)에 구비되어 마운트 수용부(630)의 내측면과 결합되는결합구(626)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 수용부(630)는, 베이오넷 마운트(620)가 수용되는 마운트 수용구(631)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베이오넷 마운트(620)와 마운트 수용부(630)는, 일체로서 회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마운트 수용부(630)의 파지부(632)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면 베이오넷 마운트(62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케이블 수용부(610)는, 베이오넷 마운트(62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는 방수를 위한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는, 일례로서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링부재(710), 제2 실링부재(720), 및 제3 실링부재(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7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300)과 외측 하우징(400) 사이에 구비되어 내측 하우징(300)과 외측 하우징(400) 사이의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7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수용부(610)와 베이오넷 마운트(6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실링부재(720)는 케이블 수용부(610)의 후측에 결합되어 방수, 실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실링부재(7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2)와 케이스(2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3 실링부재(730)는, 어댑터(22)와 케이스(21) 사이의 방수, 실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가 트랜시버(20)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와, 트랜시버(2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전의 상태로 준비된다. 이때, 트랜시버(20)는, 케이스(2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넥팅부(100)를 파지하여 커넥팅부(100)의 커넥팅 포트(110)를 트랜시버(20)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다(A). 이때, 커넥팅 포트(110)의 상면에 구비되는 래치(120)가 트랜시버(20)에 결합될 때까지 커넥팅 포트(110)는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커넥팅 포트(110)를 삽입하면서 육안으로 커넥팅 포트(110)가 트랜시버(20)에 올바르게 결합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내측 하우징(300)의 후크(310)를 케이스(21)의 어댑터(22)의 결합홈(23)에 체결한다. 이 상태에서 결합 너트(60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B), 결합 너트(600)가 내측 하우징(300)의 너트 결합부(330)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베이스(500)와 외측 하우징(400)은 어댑터(22)와 너트 결합부(330) 사이에서 고정된다. 이때, 결합 너트(600)의 베이오넷 돌기(624)는 내측 하우징(300)의 베이오넷 홈(331)에 베이오넷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사용자는 결합 너트(600)가 내측 하우징(300)에 대한 결합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가 트랜시버(2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결합 너트(600)를 타측으로 회전시킨다(C). 이에 따라, 결합 너트(600)와 내측 하우징(30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다. 즉, 베이스(500)와 외측 하우징(400)은 결합 너트(600)의 가압에서 해제된다. 따라서, 결합 너트(600), 베이스(500), 외측 하우징(400)은 모두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는 결합 너트(600)를 후방으로 밀고, 베이스(500)도 후방으로 밀고(D), 외측 하우징(400)도 후방으로 가압한다(E). 이를 통해, 외측 하우징(400)의 후크 해제부(410)가 내측 하우징(300)의 후크(310)와 어댑터(22)의 결합홈(23) 사이의 결합을 해제한다. 한편, 사용자가 외측 하우징(400)을 후방으로 추가로 가압하면 외측 하우징(400)과 내측 하우징(300)이 모두 후방으로 이동하여 래치 해제부(200)가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는 래치 해제부(200)의 가압부(213)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가압부(213)가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하면, 가압부(213)와 일체로 구비되는 가압 해제부(212) 역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래치(120)의 파지부(123)도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F). 한편, 래치(120)의 파지부(123)가 이동하면, 파지부(123)와 일체로 구비되는 체결 돌기(122) 역시 하방으로 이동하여 트랜시버(20)의 체결홈으로부터 구속이 해제된다. 이때, 사용자가 커넥팅 포트(110)를 후방으로 당기면(G) 커넥팅부(100)와 트랜시버(20)의 결합은 해제된다. 즉,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에서는 래치 해제부(200)의 가압부(213)가 어댑터(22)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래치 해제부(200)를 가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래치(120)의 결합도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는 트랜시버(20)와의 결합 과정에서 커넥팅 포트(110)와 트랜시버(20) 사이의 결합을 육안으로 명확히 확인할 수 있고 결합 너트(600)가 완전히 체결된 것인지 여부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분리 과정에서 외측 하우징(400)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내측 하우징(300)과 어댑터(22)의 후크 결합을 해제하고 어댑터(22)의 외측까지 길게 연장 구비되는 래치 해제부(200)를 가압하여 커넥팅부(100)의 래치(120)와 트랜시버(20) 사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는 2중 결합 구조로서 견고하지만 결합의 해제는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커넥팅부
200 : 래치 해제부
300 : 내측 하우징
400 : 외측 하우징
500 : 베이스
600 : 체결 너트부

Claims (11)

  1. 트랜시버를 수용하는 케이스에 내삽되어 결합되는 커넥팅부;
    상기 커넥팅부가 상기 케이스에 내삽되는 경우 상기 트랜시버에 체결되는 래치; 및
    상기 래치를 가압하여 상기 트랜시버와 래치의 결합을 해제하는 래치 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부가 상기 케이스에 내삽되는 경우, 상기 래치 해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노출되어 위치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해제부는,
    커넥팅부가 구비되는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구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래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편을 포함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편은, 가압부와, 상기 연장편의 말단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와 일체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부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래치를 가압하여 상기 트랜시버와 래치의 결합을 해제하는 가압 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부가 상기 케이스에 내삽되는 경우, 상기 가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하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내측에 상기 커넥팅부가 구비된 케이블을 수용하며,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내측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하우징을 내부에 수용하며, 내측면에 위치하는 후크 해제부를 포함하는 외측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 해제부는, 상기 트랜시버로부터의 해제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후크를 상기 결합홈과의 결합으로부터 해제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하우징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외측 하우징을 상기 케이스와의 결합방향으로 가압하는 체결 너트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너트부는, 상기 내측 하우징의 베이오넷 홈에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베이오넷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해제부와 체결 너트부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래치 해제부를 상기 체결 너트부에 대해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transceiver)인 커넥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하우징의 외측면 상에 구비되며, 상기 내측 하우징과 상기 외측 하우징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11. 중공을 포함하며, 외주면 상에 결합홈이 구비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의 중공을 통해 트랜시버와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어댑터의 중공을 통해 트랜시버와 결합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커넥팅부와, 상기 래치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래치 해제부와, 내측에 상기 커넥팅부가 구비된 케이블을 수용하며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구비되어 상기 어댑터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내측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부가 상기 어댑터의 중공에 내삽되는 경우, 상기 래치 해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어댑터의 외측에 노출되어 위치하는 결합 키트.
KR1020150009637A 2015-01-21 2015-01-21 분리형 커넥터 및 결합 키트 KR101669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637A KR101669895B1 (ko) 2015-01-21 2015-01-21 분리형 커넥터 및 결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637A KR101669895B1 (ko) 2015-01-21 2015-01-21 분리형 커넥터 및 결합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961A true KR20160089961A (ko) 2016-07-29
KR101669895B1 KR101669895B1 (ko) 2016-11-01

Family

ID=5661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637A KR101669895B1 (ko) 2015-01-21 2015-01-21 분리형 커넥터 및 결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8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1076B1 (ko) * 1995-10-12 2000-11-01 엘리 웨이스 , 알 비 레비 광 커넥터용 잭 리셉터클(Jack receptacle for an otical connector)
JP2001290050A (ja) * 2000-02-29 2001-10-19 Lucent Technol Inc 光ファイバ用コネクタ
KR20020046947A (ko) * 2000-12-12 2002-06-21 요시무라 마사오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US7338214B1 (en) * 2006-08-25 2008-03-0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fiber optic connector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1076B1 (ko) * 1995-10-12 2000-11-01 엘리 웨이스 , 알 비 레비 광 커넥터용 잭 리셉터클(Jack receptacle for an otical connector)
JP2001290050A (ja) * 2000-02-29 2001-10-19 Lucent Technol Inc 光ファイバ用コネクタ
KR20020046947A (ko) * 2000-12-12 2002-06-21 요시무라 마사오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US7338214B1 (en) * 2006-08-25 2008-03-0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fiber optic connector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895B1 (ko)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3826B2 (en) Pluggable optical transceiver module
EP3007284B1 (en) Blind mating and floating rf connector assembly with low intermodulation
US9176287B2 (en) Connector and plug that incorporates same
US7645162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slider element
US8672696B2 (en) Hybrid connector and cable with said connector
JP2013505476A (ja) 統合された光および電気インタフェース
US9110255B2 (en) Optical connector, optical transmission device and assembly method for optical transmission device
US9461404B2 (en) Connector
KR20120097399A (ko) 푸시-풀 상호 연결 시스템
US20150277070A1 (en) Electric-port sfp photoelectric module
WO2017092113A1 (zh) 双面两用连接器
KR101669900B1 (ko) 일체형 커넥터 및 결합 키트
US20100232757A1 (en) Lc adapter
KR101669895B1 (ko) 분리형 커넥터 및 결합 키트
US10754097B2 (en) Adapter and adapter assembly using same
CN110927889B (zh) 一种一次对接的光纤插头连接器及组件
KR101821043B1 (ko) 복합 커넥터
CA3012317C (en) Locking in-place small form factor pluggable transceiver module
EP4083675A1 (en) Optical connector mechanism and optical connector
CN210123488U (zh) 一种极性可变的光纤连接器
KR101778181B1 (ko) 커넥터 연결 유닛 및 커넥터
KR101909458B1 (ko) 옥외용 광커넥터
JP2014063177A (ja) 装置および方法
CN216672101U (zh) 扩展坞及转换器
CN104793299B (zh) 组合光和电气接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