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676A -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및 그 개시방법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및 그 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676A
KR20160089676A KR1020150009200A KR20150009200A KR20160089676A KR 20160089676 A KR20160089676 A KR 20160089676A KR 1020150009200 A KR1020150009200 A KR 1020150009200A KR 20150009200 A KR20150009200 A KR 20150009200A KR 20160089676 A KR20160089676 A KR 20160089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creation
creative
uploaded
cou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5122B1 (ko
Inventor
이은영
Original Assignee
이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영 filed Critical 이은영
Priority to KR1020150009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122B1/ko
Publication of KR20160089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창작물을 업로드하며, 업로드된 상기 창작물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상기 창작물을 수신하고, 상기 창작물을 탐색하며, 탐색된 상기 창작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창작물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물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에 매핑되는 상기 창작물을 탐색하는 제어부 및 탐색된 상기 창작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및 그 개시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LOCATION-BASED PERSONAL CREATIONS}
본 발명은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및 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창작물을 업로드하고, 업로드된 창작물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 조건에 따라 창작물을 디스플레이하는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및 그 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들은 그림 그리기를 통해 자신의 생각 또는 감정을 표현한다. 그림 그리기는 아이들의 창의력이나 상상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종이에 그림을 그리는데, 종이에 그린 그림은 공간을 차지하며, 보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수가 늘어나면서,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이나 동영상 촬영하고, 또는 이미지를 편집하여 웹상에 업로드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아이들이 그린 그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여러 사람들과 그림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그림에 위치정보가 저장되면, 사용자들이 올린 그림을 위치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사용자 본인이 올린 그림과 다른 나라의 아이들이 올린 그림을 통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별 또는 나라별 아이들이 선호하는 그림의 형태 또는 색상 정보를 정리하여 보여줌으로써, 부모들도 아이들의 성장과정을 기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난감 제조 업체 등에 제공되어 상업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이들이 그린 창작물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창작물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에 따라 창작물을 분류할 수 있는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및 그 개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위치에 따라 창작물을 분류하여 서로 다른 도시 또는 나라의 아이들과 소통할 수 있는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및 그 개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위치에 따라 창작물을 분류하여 아이들이 선호하는 모양 또는 색상 등을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및 그 개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창작물을 업로드하며, 업로드된 상기 창작물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상기 창작물을 수신하고, 상기 창작물을 탐색하며, 탐색된 상기 창작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창작물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물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에 매핑되는 상기 창작물을 탐색하는 제어부, 및 탐색된 상기 창작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창작물을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창작물을 업로드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작동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창작물을 스캔(SCAN)할 수 있다.
또한, 업로드된 상기 창작물은 상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도시별 또는 나라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업로드된 상기 창작물은 상기 도시별 또는 상기 나라별로 업로드된 상기 창작물의 수량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업로드된 상기 창작물은 선택된 도시 또는 선택된 나라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도시별 또는 상기 나라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창작물을 업로드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의 수신부에서 상기 창작물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물 정보 및 디스플레이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의 제어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에 매핑되는 상기 창작물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의 송신부를 통해 상기 창작물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창작물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창작물을 업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스캔된 상기 창작물의 색조를 보정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작물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탐색된 상기 창작물이 도시별 또는 나라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작물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탐색된 상기 창작물이 상기 도시별 또는 상기 나라별로 업로드된 상기 창작물의 수량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작물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탐색된 상기 창작물이, 선택된 도시 또는 선택된 나라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도시별 또는 상기 나라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및 그 개시방법은 창작물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창작물을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서로 다른 도시 또는 나라의 아이들이 서로 소통할 수 있다.
또한, 위치에 따라 창작물을 분류하여 아이들이 선호하는 모양 또는 색상 등을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방법에서 창작물을 업로드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방법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창작물을 탐색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장치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및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하여 창작물(50)을 업로드하며, 업로드된 창작물(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스마트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Tablet) PC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3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네트워크(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다운받은 응용프로그램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업로드되는 창작물(50)은 아이들이 그린 그림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창작물(50)은 아이들이 그린 그림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아이들이 만든 모형 또는 종이 접기 등 창작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저장된 창작물(50)을 업로드(Upload)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작동된 카메라(150)를 이용하여 창작물(50)을 스캔(Scan)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메모리(Memory)가 내장되어 카메라(150)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사용자 단말기(100)에 저장된 창작물(50)을 서비스 서버(200)로 업로드할 수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카메라(150)가 작동되면, 카메라(150)를 이용하여 창작물(50)을 스캔할 수 있다. 스캔된 창작물(50)은 서비스 서버(200)로 업로드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업로드된 창작물(50)을 수신하고, 창작물(50)을 탐색하며, 탐색된 창작물(50)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서비스 서버(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부(210), 제어부(220) 및 송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창작물(50)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물(50) 정보 및 디스플레이 조건을 수신할 수 있다.
창작물(50) 정보에는 창작물(50)이 생성된 위치, 시간, 창작물(50)을 그린 아이의 나이, 도시, 또는 창작물(50)에 대한 설명 등이 있을 수 있다.
창작물(50)이 생성된 위치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작성한 창작물 정보 중 위치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창작물(50)을 디스플레이하는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 조건에 매핑(Mapping)되는 창작물(50)을 탐색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 조건을 수신한 후 업로드된 창작물(50) 중 디스플레이 조건에 매핑되는 창작물(50)을 탐색할 수 있다.
제어부(220)를 통해 탐색된 창작물(50)을 송신부(230)에 전송될 수 있는데, 송신부(230)는 탐색된 창작물(50)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 조건에 따라 창작물(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창작물(50)을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업로드된 창작물(50)은 데이터 베이스(2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220)는 데이터 베이스(250)에 저장된 창작물(50) 중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조건에 매핑되는 창작물(50)을 탐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업로드된 창작물(50)은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되며,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조건에 매핑되는 창작물(50)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탐색된 창작물(50)이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업로드된 창작물(50)은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도시별 또는 나라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작물(50)을 위치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하여, 업로드된 창작물(50)이 언제 어디서 창작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창작물(50)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각 나라별로 창작물(50)을 디스플레이하여 다른 나라의 아이들이 업로드한 창작물(50)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110)에는 나라별로 폴더가 생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각각의 폴더를 클릭하면 해당 나라에서 업로드된 창작물(50)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수요에 따라 나라별 폴더에 도시별 폴더가 추가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나라의 창작물(50)을 다시 도시별로 정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업로드된 창작물(50)은 도시별 또는 나라별로 업로드된 창작물(50)의 수량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작물(50)의 위치정보와 업로드된 창작물(50)의 수량이 탐색되면 창작물(50)은 업로드된 수량이 가능 많은 나라부터 업로드된 수량이 가장 적은 나라 순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업로드된 창작물(50)은 선택된 도시 또는 선택된 나라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도시별 또는 나라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작물(50)의 위치를 대한민국으로 지정하면, 대한민국과의 거리가 가까운 나라로부터 거리가 먼 나라 순으로 디스플레하거나 또는 반대로 거리가 먼 나라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나라 순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된 창작물(50)은 사용자의 수요에 따라 문서파일로 저장되어, 도서, 책자 또는 앨범 제작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200)에서 창작물(5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창작물(50)을 탐색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탐색된 창작물(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S100).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창작물(50)을 업로드할 수 있다(S200).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저장된 창작물(50)이나 사용자 단말기(100)의 카메라(150)를 통해 창작물(50)을 스캔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방법에서 창작물(50)을 업로드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창작물(50)을 업로드하는 단계(S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스캔된 창작물(50)의 색조를 보정하는 단계, 창작물(50)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단계, 및 창작물(50)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창작물(50)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1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창작물(50)에 대하여 색조 보정을 할 수 있는데, 색조 보정(A)은 예를 들어, 창작물(50)의 밝기, 명암대비 및 채도 등에 대한 보정일 수 있다.
다만 색조 보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창작물(50)의 색상을 노란색 계열 또는 붉은색 계열 등으로 바꾸는 보정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창작물(50)의 기울기에 대한 보정이 있을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작물(50)이 기울어진 상태로 업로드될 경우, 창작물(50)의 기울기를 보정(B)할 수 있다.
창작물(50)에 대한 기울기 보정은 일반적인 그림 보정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기울기 보정 기술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업로드된 창작물(50)은 사시도면이 아닌 정면도면으로 보정될 수 있다.
창작물(50)에 대한 색상 보정 또는 기울기 보정이 끝나면 창작물(50) 정보 입력단계가 있을 수 있다. 창작물(50) 정보에는 창작물(50)의 타이틀, 생성된 날짜, 위치 또는 창작물(50)의 내용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창작물(50)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C)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작물(50)에 대한 색조 보정, 기울기 보정 또는 정보 작성이 끝나면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한 창작물(50) 업로드 단계(S100)가 완료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창작물(50)이 업로드되면 서비스 서버(200)의 수신부(210)에서 창작물(50)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물(50) 정보 및 디스플레이 조건을 수신할 수 있다(S300).
수신부(210)에 수신하는 창작물(50) 정보 중 위치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일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위치정보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원하는 디스플레이 조건을 입력(D)하거나 또는 원하는 디스플레이 조건을 선택(D)하면 창작물(50)에 대한 디스플레이 조건이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어서, 서비스 서버(200)의 제어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조건에 매핑되는 창작물(50)을 탐색할 수 있다(S400).
탐색된 창작물(50)은 서비스 서버(200)의 송신부(2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송신될 수 있다(S500)
이어서, 송신부(230)로부터 송신된 창작물(50)이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600).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이 선택한 디스플레이 조건에 매핑되는 창작물(50)을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창작물(50)은 여러 가지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제어부(220)를 통해 탐색된 창작물(50)은 도시별 또는 나라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창작물(50)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같은 도시별 또는 같은 나라별로 창작물(50)을 탐색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를 통해 탐색된 창작물(50)이 도시별 또는 나라별로 업로드된 창작물(50)의 수량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작물(50)의 위치정보와 업로드된 창작물(50)의 수량이 탐색되면 창작물(50)은, 업로드된 창작물(50)의 수량이 가능 많은 나라로부터 업로드된 창작물(50)의 수량이 가장 적은 나라순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를 통해 탐색된 창작물(50)이 선택된 도시 또는 선택된 나라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도시별 또는 나라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작물(50)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선택된 나라와의 거리에 따라 나라별로 창작물(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참조된 도면들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및 그 개시방법은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창작물(50)을 업로드함으로써 종이로 된 창작물(50)에 비해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창작물(5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나라의 아이들이 그린 창작물(50)을 탐색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서로 다른 나라의 아이들이 서로 소통할 수 있다. 또한, 나라별 아이들이 선호하는 모양 또는 색상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0: 창작물
100: 사용자 단말기
110: 화면
150: 카메라
200: 서비스 서버
210: 수신부
220: 제어부
230: 송신부
250: 데이터 베이스
300: 네트워크

Claims (11)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창작물을 업로드하며, 업로드된 상기 창작물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상기 창작물을 수신하고, 상기 창작물을 탐색하며, 탐색된 상기 창작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창작물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물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에 매핑되는 상기 창작물을 탐색하는 제어부; 및
    탐색된 상기 창작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창작물을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창작물을 업로드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작동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창작물을 스캔하는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업로드된 상기 창작물은,
    상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도시별 또는 나라별로 디스플레이되는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업로드된 상기 창작물은,
    상기 도시별 또는 상기 나라별로 업로드된 상기 창작물의 수량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업로드된 상기 창작물은,
    선택된 도시 또는 선택된 나라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도시별 또는 상기 나라별로 디스플레이되는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7. 사용자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창작물을 업로드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의 수신부에서 상기 창작물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물 정보 및 디스플레이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의 제어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에 매핑되는 상기 창작물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의 송신부를 통해 상기 창작물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창작물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을 업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스캔된 상기 창작물의 색조를 보정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탐색된 상기 창작물이 도시별 또는 나라별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탐색된 상기 창작물이 상기 도시별 또는 상기 나라별로 업로드된 상기 창작물의 수량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탐색된 상기 창작물이, 선택된 도시 또는 선택된 나라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도시별 또는 상기 나라별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인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방법.
KR1020150009200A 2015-01-20 2015-01-20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및 그 개시방법 KR101645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200A KR101645122B1 (ko) 2015-01-20 2015-01-20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및 그 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200A KR101645122B1 (ko) 2015-01-20 2015-01-20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및 그 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676A true KR20160089676A (ko) 2016-07-28
KR101645122B1 KR101645122B1 (ko) 2016-08-03

Family

ID=5668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200A KR101645122B1 (ko) 2015-01-20 2015-01-20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및 그 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1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05B1 (ko) * 2007-01-19 2007-12-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컨텐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80029228A (ko) * 2006-09-28 2008-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27251A (ko) * 2009-09-10 2011-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91121A (ko) * 2013-01-07 2014-07-21 주식회사 이니컴퍼니 사진 및 동영상 공유 시스템 및 공유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228A (ko) * 2006-09-28 2008-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8605B1 (ko) * 2007-01-19 2007-12-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컨텐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10027251A (ko) * 2009-09-10 2011-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91121A (ko) * 2013-01-07 2014-07-21 주식회사 이니컴퍼니 사진 및 동영상 공유 시스템 및 공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122B1 (ko)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12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content aware photo filters
US10831436B2 (en) Object display system, user communication device, and object display method and program
CN105320695B (zh) 图片处理方法及装置
US20130188061A1 (en) Photographer's Guidance Systems
US8725399B2 (en) Map display system and map display method
CN105005960B (zh) 获取水印照片的方法、装置及系统
US1007011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40127345A (ko) 환경을 생성하고 환경내 위치기반 경험을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TW201621701A (zh) 拍照方法及智慧終端機、雲端伺服器
JP7209474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10751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653676A (zh) 一种景点推荐方法及系统
JP200917603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TW201814553A (zh) 適地性空間物件遠距管理方法與系統
KR20210064989A (ko) 3차원 모델링의 실시간 렌더링 방법
WO2011096343A1 (ja) 撮影位置提案システム、撮影位置提案装置、撮影位置提案方法、及び撮影位置提案用プログラム
KR20170040492A (ko) 스마트 서비스 환경에서 디바이스 등록 방법 및 장치
KR101645122B1 (ko) 위치기반 창작물 개시 시스템 및 그 개시방법
JP2011155584A (ja) 撮像システム、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CN109040584A (zh) 一种互动拍摄的方法和装置
JP5889690B2 (ja) 撮影システム及び撮影管理サーバ
JP5794476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印刷物
TWI611307B (zh) 適地性空間物件資料建立方法、顯示方法與應用系統
JP2001358927A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9043006A (ja) 周辺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周辺情報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