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476A - 송풍 장치 - Google Patents

송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476A
KR20160089476A KR1020167016796A KR20167016796A KR20160089476A KR 20160089476 A KR20160089476 A KR 20160089476A KR 1020167016796 A KR1020167016796 A KR 1020167016796A KR 20167016796 A KR20167016796 A KR 20167016796A KR 20160089476 A KR20160089476 A KR 20160089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air
blowing fan
upstream side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6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3277B1 (ko
Inventor
도시카츠 곤도우
요우헤이 가미야
마사루 가미야
다케시 미야모토
마사시 마츠카와
이사오 곤도
다카시 이토
가즈히로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60089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02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16Sealings between pressure and suction sides
    • F04D29/161Sealings between pressure and suction sid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164Sealings between pressure and suction sid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of an axial flow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04D29/3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comprising a rotating shrou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26Details of the casing section radially opposing blade t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송풍 팬(40)은 회전 중심에 설치되는 보스부(4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회전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42)와, 복수의 블레이드(42)의 외주 단부와 환상으로 접속하는 링부(43)를 가진다. 링부(43)의 공기 흐름 상류측 단부에 있어서의 반경 외측단(45)은 공기 흐름 상류측으로 갈수록 송풍 팬(40)의 회전축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위치된다. 그 때문에, 송풍 장치에 있어서, 역류 공기 흐름의 소용돌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송풍 장치{AIR-BLOWING DEVIC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해당 개시 내용이 참조에 의하여 본 출원에 편입된, 2014년 2월 2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031517호를 기초로 한다.
본 개시는 라디에이터 등의 열교환기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라디에이터(radiator)로 공기를 공급하는 축류 팬(axial flow fan) 및 축류 팬을 지지하고 또한 라디에이터로부터 축류 팬에 이르는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슈라우드를 구비하는 송풍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송풍 장치에 있어서, 슈라우드(shroud)는 축류 팬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부 및 축류 팬으로부터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부를 가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송풍 장치의 축류 팬으로서, 복수의 블레이드의 외주 단부와 환상으로 접속하는 링부를 가진 축류 링 팬(axial flow ring fan)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출원 공표 평성4-503392호 공보
본 개시의 발명자들의 검토에 따르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축류 링 팬을 구비하는 송풍 장치에서는 축류 팬으로부터 분출된 공기의 일부가 축류 팬의 링부와 슈라우드의 분출구부의 간극(팁 간극(tip gap))으로 유입되는 역류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의 공기 흐름 상류측 단면 근처에 있어서, 팁 간극으로부터 유출된 역류 공기의 흐름이 소용돌이를 형성하고, 송풍 팬으로 흡입되는 흡입 공기의 흐름이 이 소용돌이에 충돌하면, 흡입 공기의 흐름이 교란된다. 그리고 흐름이 교란된 상태에서 흡입 공기가 송풍 팬으로 흡입되기 때문에, 소음이 증대되기 쉽다.
본 개시는 상기 점을 감안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송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의한 송풍 장치는, 회전 구동되어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축류식의 송풍 팬 및 송풍 팬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부와 송풍 팬으로부터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부가 형성된 슈라우드를 구비한다. 송풍 팬은 회전 중심에 설치되는 보스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회전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 및 복수의 블레이드의 외주 단부와 둘레 방향으로 접속하는 링부를 가지고, 링부의 공기 흐름 상류측 단부에 있어서의 반경 외측단은 공기 흐름 상류측으로 갈수록 송풍 팬의 회전축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위치된다.
이에 따르면, 송풍 팬의 분출 공기 흐름(주류(主流))에 대하여 역류(逆流)하는 공기가 송풍 팬의 링부와 슈라우드의 분출구부의 클리어런스로부터 유출될 때의 흐름을 정류(整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의 공기 흐름 상류측 단면 근처에 있어서, 역류 공기 흐름의 소용돌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송풍 팬의 흡입 공기 흐름과 역류 공기 흐름의 소용돌이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 팬의 흡입 공기와 역류 공기가 간섭하는 것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링부의 공기 흐름 상류측 단부에 있어서의 반경 외측단은 공기 흐름 상류측으로 갈수록 상기 송풍 팬의 회전축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위치된다"라는 것은 "링부의 공기 흐름 상류측 단부에 있어서의 반경 외측단의 전역이 공기 흐름 상류측으로 갈수록 회전축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위치된다"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링부의 공기 흐름 상류측 단부에 있어서의 반경 외측단의 일부가 공기 흐름 상류측으로 갈수록 회전축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위치된다"라는 의미도 포함한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송풍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송풍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송풍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송풍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송풍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 형태 상호에 있어서,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균등한 부분에는 도면 중 동일 부호를 붙인다.
(제 1 실시 형태)
본 개시의 제 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나는 송풍 장치는 자동차의 냉매 방열기(10) 및 라디에이터(20)의 냉각에 이용되는 송풍 장치이다. 송풍 장치는 슈라우드(30), 송풍 팬(blower fan)(40) 및 모터(5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냉매 방열기(10)는 도시하지 않는 냉동 사이클 내를 순환하는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하여 냉매를 냉각하는 열교환기이다. 라디에이터(20)는 엔진 냉각수와 외기를 열교환하여 엔진 냉각수를 냉각하는 열교환기이다. 냉매 방열기(10) 및 라디에이터(20)의 외형은 평면에서 보아, 즉, 공기 흐름 방향과 수직인 면에 있어서 직사각형상(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장방형상)으로 되어 있다.
냉매 방열기(10)는 라디에이터(20)의 차량 전방측, 즉, 공기 흐름 상류측에 배치된다. 냉매 방열기(10) 및 라디에이터(20)는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슈라우드(30)는 수지제(예를 들면, 유리 섬유 함유 폴리프로필렌(glass fiber-filled polypropylene))로서, 모터(50)를 지지하고, 또한 송풍 팬(40)에 의해 유기(誘起)되는 공기 흐름이 냉매 방열기(10) 및 라디에이터(20)로 흐르도록 공기 흐름을 가이드하는 부품이다. 슈라우드(30)는 라디에이터(20)의 차량 후방측, 즉, 공기 흐름 하류측에 배치된다.
슈라우드(30)는, 환상(원통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송풍 팬(40)의 외주를 덮도록 구성된 원통부(31) 및 라디에이터(20)의 공기 흐름 하류측의 공간을 원통부(31)까지 매끄러운 유로에 의하여 접속하는 평면부(32)를 가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평면부(32)가 송풍 팬(40)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부를 구성하고, 원통부(31)가 송풍 팬(40)으로부터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부를 구성한다.
평면부(32)는 라디에이터(20)의 배면, 즉, 라디에이터(20)의 차량 후방측의 면을 덮는다. 평면부(32)는 원통부(31)와 연통하는 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외부와도 연통한다.
또한, 원통부(31)의 평면 형상은 원형으로 되어 있다. 한편, 슈라우드(30)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즉, 슈라우드(3)의 외주 가장자리부(300)의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평면부(32)의 개구 면적은 원통부(31)의 개구 면적보다 크다.
송풍 팬(40)은 공기를 송풍하는 축류식의 송풍 팬이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송풍 팬(40)은, 회전 중심에 설치되는 보스부(4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회전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42) 및 복수의 블레이드(42)의 외주 단부와 환상으로 접속하는 링부(ring portion)(43)를 가진다.
송풍 팬(40)은 슈라우드(30)의 원통부(31)의 중공 부분에 배치된다. 링부(43)의 외주면과 원통부(31)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클리어런스(틈새, clearance)(6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송풍 팬(40)은 원통부(31) 내에서 원통부(31)와 접촉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모터(50)는 송풍 팬(40)으로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기이고, 모터 샤프트(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모터(50)는 슈라우드(30)의 원통부(31)에 설치된 복수의 모터 스테이(motor stators)(33)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모터(50)는 모터 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송풍 팬(40)을 회전시키고, 송풍 팬(40)의 축선 방향, 즉,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이상이 송풍 장치의 전체 구성이다.
다음으로, 슈라우드(30)의 원통부(31) 및 송풍 팬(40)의 상세한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부(43)의 공기 흐름 상류측의 단부에는 회전축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플랜지부(44)가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부(44)는 공기 흐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구성된다. 플랜지부(44)는 링부(43)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플랜지부(44)는 링부(43)의 일부를 구성한다. 슈라우드(30)의 원통부(31)는 링부(43)에 있어서의 플랜지부(44) 이외의 부위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다. 링부(43)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부(31)와 대략 평행한 평행부 및 평행부의 상류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44)를 구비한다.
링부(43)에 있어서의 공기 흐름 상류측 단부, 즉, 플랜지부(44)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단(45)은 공기 흐름 상류측으로 갈수록 회전축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랜지부(44)에 있어서의 반경 방향 외측단(45)은 공기 흐름 상류측으로 갈수록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링부(43)의 플랜지부(44)에 있어서의 외측단(45)은 회전축의 공기 흐름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갈수록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만곡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링부(43)의 공기 흐름 상류측 단부에 위치하는 플랜지부(44)의 외측단(45)은 회전축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단면 원호상으로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링부(43)의 공기 흐름 상류측 단부에 위치하는 플랜지부(44)의 외측단(45)을 공기 흐름 상류측으로 갈수록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만곡시킴으로써, 송풍 팬(40)의 분출 공기 흐름(주류)에 대하여 역류하는 공기가 송풍 팬(40)의 링부(43)와 슈라우드(30)의 원통부(31)의 클리어런스(61)로부터 유출될 때의 흐름을 정류(整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42)의 공기 흐름 상류측 단면 근처에 있어서, 역류 공기 흐름의 소용돌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송풍 팬(40)의 흡입 공기 흐름과 역류 공기 흐름의 소용돌이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 팬(40)의 흡입 공기와 역류 공기가 간섭하는 것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개시의 제 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4를 기초로 설명한다. 본 제 2 실시 형태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링부(43)의 공기 흐름 상류측 단부에 위치하는 플랜지부(44)의 외측단(45)의 형상이 상이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링부(43)의 공기 흐름 상류측 단부에 위치하는 플랜지부(44)의 외측단(45)은 공기 흐름 상류측으로 갈수록 회전축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직선적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즉, 플랜지부(44)의 외측단(45)은 공기 흐름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갈수록 직선적으로 반경 외측으로 확대되도록 경사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송풍 팬(40)의 링부(43)와 슈라우드(30)의 원통부(31)의 클리어런스(61)로부터 유출되는 역류 공기 흐름을 정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개시의 제 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5를 기초로 설명한다. 본 제 3 실시 형태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링부(43)의 공기 흐름 상류측 단부에 위치하는 플랜지부(44)의 외측단(45)의 형상이 상이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부(44)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단(45)은 공기 흐름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반경 외측이 확대되도록 단면 형상이 계단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송풍 팬(40)의 링부(43)와 슈라우드(30)의 원통부(31)의 클리어런스(61)로부터 유출되는 역류 공기 흐름을 정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실시 형태)
본 개시는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개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이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다.
(1) 각 실시 형태에서는 링부(43)의 공기 흐름 상류측 단부에 위치하는 플랜지부(44)의 외측단(45)의 전역을 공기 흐름 상류측으로 갈수록 회전축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44)의 외측단(45)의 일부를 공기 흐름 상류측으로 갈수록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2) 각 실시 형태에서는 링부(43)의 플랜지부(44)를 공기 흐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구성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링부(43)의 플랜지부(44)가 공기 흐름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좋다.
(3) 각 실시 형태는 실시 가능한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하여도 좋다.
(4) 각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송풍 장치를 자동차의 냉매 방열기(10) 및 라디에이터(20)의 냉각에 이용되는 송풍 장치로서 구성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은 일례이다. 즉, 상기에서 나타낸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본 개시를 실현할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송풍 장치는 적어도 슈라우드(30)와 송풍 팬(40)을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Claims (5)

  1. 회전 구동되어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축류식의 송풍 팬(40) 및
    상기 송풍 팬(40)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부(32)와 상기 송풍 팬(40)으로부터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부(31)가 형성된 슈라우드(30)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 팬(40)은,
    회전 중심에 설치되는 보스부(4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회전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42)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42)의 외주 단부와 둘레 방향으로 접속하는 링부(43)를 가지고,
    상기 링부(43)의 공기 흐름 상류측 단부에 있어서의 반경 외측단(45)은 공기 흐름 상류측으로 갈수록 상기 송풍 팬(40)의 회전축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위치되는
    송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43)의 공기 흐름 상류측 단부에 있어서의 반경 외측단(45)은 상기 회전축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매끄럽게 돌출하여 만곡되어 있는
    송풍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43)의 공기 흐름 상류측 단부에 있어서의 반경 외측단(45)은 공기 흐름 상류측으로 갈수록 상기 회전축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직선적으로 경사져 있는
    송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43)의 공기 흐름 상류측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플랜지부(44)가 접속되고,
    상기 플랜지부(44)의 반경 외측단(45)은 공기 흐름 상류측으로 갈수록 상기 송풍 팬(40)의 회전축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위치되는
    송풍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40)은 상기 슈라우드(30)의 상기 분출구부(31)와 상기 송풍 팬(40)의 상기 링부(43)의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송풍 팬(4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 흐름에 대하여 역류하는 공기 흐름이 상기 클리어런스로부터 유출될 때 정류될 수 있도록, 상기 반경 외측단(45)이 설치되는
    송풍 장치.
KR1020167016796A 2014-02-21 2015-02-20 송풍 장치 KR101833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31517A JP2015155681A (ja) 2014-02-21 2014-02-21 送風装置
JPJP-P-2014-031517 2014-02-21
PCT/JP2015/000806 WO2015125486A1 (ja) 2014-02-21 2015-02-20 送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476A true KR20160089476A (ko) 2016-07-27
KR101833277B1 KR101833277B1 (ko) 2018-03-02

Family

ID=53878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796A KR101833277B1 (ko) 2014-02-21 2015-02-20 송풍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95114B2 (ko)
EP (1) EP3109482A4 (ko)
JP (1) JP2015155681A (ko)
KR (1) KR101833277B1 (ko)
CN (1) CN106062378A (ko)
CA (1) CA2940270C (ko)
MX (1) MX2016009574A (ko)
WO (1) WO20151254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3116B2 (en) * 2016-02-08 2019-11-12 Robert Bosch Gmbh Engine cooling fan casing shroud with unobstructed outlet
JP2018096312A (ja) 2016-12-15 2018-06-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送風機、及び送風機を有する冷凍装置
JP6829672B2 (ja) * 2017-09-14 2021-02-1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ファン
EP4139575A1 (en) * 2020-04-23 2023-03-01 Clark Equipment Company Identification and reduction of backflow suction in cooling syste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3392A (ja) 1989-05-30 1992-06-18 シーメンス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軸流リングファン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8034A (en) * 1923-10-10 1925-12-29 Losel Franz Steam-turbine construction
US3028072A (en) * 1958-05-05 1962-04-03 Torrington Mfg Co Air impelling fan and associated part
JPH0544696A (ja) * 1991-08-08 1993-02-23 Matsushita Refrig Co Ltd 送風機
US5489186A (en) 1991-08-30 1996-02-06 Airflow Research And Manufacturing Corp. Housing with recirculation control for use with banded axial-flow fans
FR2683599B1 (fr) * 1991-11-07 1994-03-04 Ecia Carenage perfectionne pour ventilateur et son application a un groupe motoventilateur d'automobile.
SG48931A1 (en) * 1994-02-16 1998-05-18 Mitsubishi Electric Corp Blower
US6024537A (en) * 1997-07-29 2000-02-15 Valeo Engine Cooling, Inc. Axial flow fan
IT1319637B1 (it) * 2000-01-20 2003-10-20 Gate Spa Ventilatore,particolarmente per un convogliatore d'aria associato adun radiatore di un autoveicolo.
JP4140236B2 (ja) * 2000-12-28 2008-08-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送風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用室外機
KR100729650B1 (ko) * 2002-02-27 2007-06-18 한라공조주식회사 소음저감구조를 가지는 쉬라우드
JP4085948B2 (ja) * 2003-10-01 2008-05-14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却ファンおよび送風機
US20070160468A1 (en) * 2004-04-05 2007-07-12 Haruhiro Tsubota Cooling device
KR101155809B1 (ko) * 2005-03-26 2012-06-12 한라공조주식회사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
JP2008014302A (ja) * 2006-06-09 2008-01-24 Nippon Densan Corp 軸流ファン
JP2008057480A (ja) * 2006-09-01 2008-03-13 Daikin Ind Ltd シュラウド付プロペラファン
WO2009105460A2 (en) * 2008-02-21 2009-08-27 Borgwarner Inc. Partial ring cooling fan
EP2618066B1 (en) * 2010-09-14 2019-09-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Blower for outdoor unit, outdoo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DE102012207552A1 (de) 2011-05-13 2012-11-1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Kühlerlüftermodul
FR2989423B1 (fr) * 2012-04-16 2015-03-06 Valeo Systemes Thermiques Ventilateur pour automobile a encombrement axial reduit
EP2886872A1 (en) * 2013-12-17 2015-06-24 Delphi Automotive Systems Luxembourg SA Engine fa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3392A (ja) 1989-05-30 1992-06-18 シーメンス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軸流リングファ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95114B2 (en) 2019-12-03
EP3109482A4 (en) 2017-02-22
US20160333893A1 (en) 2016-11-17
JP2015155681A (ja) 2015-08-27
EP3109482A1 (en) 2016-12-28
WO2015125486A1 (ja) 2015-08-27
KR101833277B1 (ko) 2018-03-02
CN106062378A (zh) 2016-10-26
MX2016009574A (es) 2016-10-21
CA2940270A1 (en) 2015-07-27
CA2940270C (en)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717B1 (ko) 송풍 장치
US20170261000A1 (en) Blower
US9909485B2 (en) Cooling fan module and system
KR101833277B1 (ko) 송풍 장치
US9716420B2 (en) Fan and electric machine assembly and methods therefor
JPWO2016068280A1 (ja) 送風装置および掃除機
ES2901052T3 (es) Entrada para ventilador axial
US8585374B2 (en) Fan motor cooling with primary and secondary air cooling paths
US10072670B2 (en) Fan shroud assembly
US9945391B2 (en) Diffuser collar
CN107532612B (zh) 离心式鼓风机
JP2007040197A (ja) プロペラファン
WO2014147952A1 (ja) 片吸込み型遠心送風機
JP6224952B2 (ja) 送風装置
JP2019108872A (ja) 送風ファン
WO2015122134A1 (ja) 送風装置
JP5772370B2 (ja) 多翼送風機
JP2016166558A (ja) 送風機
JP6695419B2 (ja) 電動送風機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7040200A (ja) プロペラファン
JP6550909B2 (ja) 送風装置
JP2017031944A (ja) 軸流送風機
JP2012207661A (ja) ブロ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