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162A - 푸셔장치 - Google Patents

푸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162A
KR20160089162A KR1020150008760A KR20150008760A KR20160089162A KR 20160089162 A KR20160089162 A KR 20160089162A KR 1020150008760 A KR1020150008760 A KR 1020150008760A KR 20150008760 A KR20150008760 A KR 20150008760A KR 20160089162 A KR20160089162 A KR 20160089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body
pusher
upper cover
rotational force
cen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Priority to KR1020150008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9162A/ko
Publication of KR20160089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셔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 검사가 요구되는 피검사 디바이스를 검사장치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셔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홀이 마련되어 있는 상부커버;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홀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앙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하면서 하면이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에 배치된 피검사 디바이스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는 푸셔몸체;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홀 내에 삽입되고 상기 푸셔몸체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커버와 나사결합되어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커버에 대하여 상대회전하는 나사부를 포함하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푸셔몸체를 가압할 수 있는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수단이 상기 상부커버에 대하여 상대회전할 때 단위각도마다 상기 회전수단을 상기 푸셔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회전력 변화수단을 포함하는 푸셔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푸셔장치{Pusher apparatus}
본 발명은 푸셔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피검사 디바이스의 두께가 다양하여도 별도의 분해 조립이 없이 용이하게 피검사 디바이스를 검사장치 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푸셔장치에 대한 것이다.
반도체칩과 같은 피검사 디바이스의 푸셔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반도체칩과 같은 피검사 디바이스를 가압하여 이러한 피검사 디바이스가 하측에 배치된 검사장치의 단자와 접촉되도록 하여 피검사 디바이스에 대한 이상 유무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반도체칩 검사용 푸셔 장치의 예시로는, 등록특허 제10-1104413호(발명의 명칭: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접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등이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두께로 형성되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특성상, 푸셔 장치에 의해 검사가 요구되는 검사 대상인 반도체칩의 두께에 따라, 그러한 반도체칩을 가압하기 위한 푸셔의 높이도 변경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푸셔 장치에서는, 푸셔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지 않았고, 그에 따라 검사 대상인 피검사 디바이스의 높이가 달라질 때마다 푸셔 장치 자체를 변경하거나 또는 푸셔장치를 분해하여 다시 볼트 조립하여야 하는 등 검사 작업이 불편하고 검사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의 푸셔장치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푸셔장치(10)는, 상부커버(20), 푸셔몸체(30), 위치이동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커버(20)는 대략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중앙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커버(20)는 중앙이 개구된 하부지지판(26)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래칫(22)에 의하여 하부지지판(26)에 고정되거나 회전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푸셔몸체(30)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상부커버(20)의 중앙홀(21)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앙홀(2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면이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를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푸셔몸체(30)의 상단에는 베어링 볼(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 볼(31)은 상부판(32)에 의하여 위치이탈이 규제되어 있게 된다.
상기 위치이동수단(40)은, 상기 푸셔몸체(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하강부재(50)와 상승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강부재(50)란 상기 푸셔몸체(30)를 아래쪽으로 가압하여 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승부재(60)란 상기 푸셔몸체(30)를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하강부재(50)로서는, 상기 상부커버(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중앙홀(21)의 길이방향과 평행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가압용 핸들(51)과, 상기 가압용 핸들(51)과 결합볼트(51a)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용 핸들(5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며 상기 푸셔몸체(30)를 아래쪽으로 밀어낼 수 있는 스크류(52) 및 상기 가압용 핸들(51)의 회전각도를 규제하여 푸셔몸체(30)의 하강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회전각 규제수단(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5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커버(20)의 중앙홀(21)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며 회전하면서 전체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스크류(52)의 하단에는 베어링 볼(31)과 접촉되는 돌출부(52a)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스크류(52)의 돌출부(52a)가 베어링 볼(31)에 의하여 회전에 대한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푸셔몸체(30)를 하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가압용 핸들(51)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상부커버(20)의 중앙홀(21)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스크류(52)가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52)가 하강하면서 상기 푸셔몸체(30)를 아래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회전각 규제수단(53)은, 상기 상부커버(2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가압용 핸들(51)의 회전경로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가압용 핸들(51)이 회전과정에서 상기 회전각 규제수단(53)에 접촉하게 되면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러한 회전각 규제수단(53)은 피검사 디바이스를 가압하기 위한 미리 조정된 가압높이에서 푸셔몸체(30)의 하강이 멈추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승부재(60)는, 상기 가압용 핸들(51)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푸셔몸체(30)를 상기 스크류(52)와 함께 상승시키는 것으로서, 고정볼트(61) 및 스프링(6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볼트(6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머리가 상부커버(20)에 마련되어 있는 수용홈(23)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23)과 상부커버(20)의 하면을 관통하는 통공(24)을 통과하여 푸셔몸체(30)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판(32)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62)은 상기 고정볼트(61)의 볼트 머리와 상기 상부커버(20)의 수용홈(23)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볼트(61)를 탄성지지하는 것이다. 즉, 상기 스프링(62)이 상기 고정볼트(61)를 상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킴에 따라서 고정볼트(61)에 의하여 고정되는 푸셔몸체(30)는 상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가압용 핸들(51)이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크류(52)가 상승할 때 상기 상승부재(60)에 의하여 푸셔몸체(30)는 스크류(52)와 접촉된 상태로 스크류(52)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푸셔장치의 작동모습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은 푸셔몸체(30)가 상부커버(20)의 중앙홀(21) 내의 수용공간 (25) 상면에 근접하게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즉, 도 6 및 도 7은 푸셔몸체(30)가 상부커버(20)의 수용공간 (25) 상면에 S2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는데, 이때에는 피검사 디바이스(미도시)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게 된다. 이후, 가압용 핸들(5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가압용 핸들(51)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52)가 상기 가압용 핸들(51)과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스크류(52)는 푸셔몸체(30)를 하강시키게 되며 가압용 핸들(51)이 회전각 구제수단(53)에 의하여 회전이 멈추게 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몸체(30)가 상부커버(20)의 수용공간(25) 상면에 S1(S1>S2)의 간격을 가지게 배치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피검사 디바이스(미도시)를 상기 푸셔몸체(30)가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피검사 디바이스(미도시)에 대한 검사를 마친후에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미도시)를 푸셔몸체(30)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미도시)와 상기 푸셔몸체(30)와 이격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가압용 핸들(5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가압용 핸들(5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스크류(52)는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스프링(62)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는 고정볼트(61)가 푸셔몸체(30)를 스크류(52)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승하게 한다. 이때, 푸셔몸체(30)의 상단과 상부커버(20)의 수용공간(25) 상면 사이의 간격은 S2(S2 < S1)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푸셔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푸셔장치는 검사가 요구되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두께를 확인하여 푸셔몸체가 일정량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압용 핸들을 회전각 규제수단까지 회전시키는 구조에 대한 것인데, 이 경우 피검사 디바이스의 두께가 변경시 검사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푸셔몸체의 높낮이를 정밀하게 변경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441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두께가 다양하여도 용이하고 정밀하게 푸셔몸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푸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푸셔장치는, 전기적 검사가 요구되는 피검사 디바이스를 검사장치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셔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홀이 마련되어 있는 상부커버;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홀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앙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하면서 하면이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에 배치된 피검사 디바이스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는 푸셔몸체;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홀 내에 삽입되고 상기 푸셔몸체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커버와 나사결합되어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커버에 대하여 상대회전하는 나사부를 포함하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푸셔몸체를 가압할 수 있는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수단이 상기 상부커버에 대하여 상대회전할 때 단위각도마다 상기 회전수단을 상기 푸셔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회전력 변화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푸셔장치에서, 상기 회전력 변화수단은, 단위각도만큼 회전시마다 상기 회전력의 크기를 소정의 제1회전력과, 상기 제1회전력보다 낮은 제2회전력 사이에서 교대로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푸셔장치에서, 상기 회전력 변화수단은,
상기 회전수단의 나사부 상측에 일체로 마련되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볼록부와, 각각의 볼록부 사이에 마련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요철부; 및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축에 대하여 직각인 가상의 라인을 따라서 위치이동하며 상기 요철부의 표면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를 상기 회전수단의 중심축을 향하여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셔장치에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부커버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푸셔장치에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상부커버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에 삽입되는 통형부재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푸셔장치에서, 상기 푸셔몸체는,
상면이 상기 회전수단의 하면에 접촉하고 내부에 하측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제1 푸셔몸체와,
일부는 상기 제1 푸셔몸체의 수용공간 내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1 푸셔몸체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하면이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의 상면에 접촉하는 제2 푸셔몸체와,
상기 제1 푸셔몸체와 상기 제2 푸셔몸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푸셔몸체와 상기 하부푸셔몸체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셔장치에서, 상기 제1 푸셔몸체에는, 상기 하단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턱이 마련되고,
상기 제2 푸셔몸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측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되 가장자리 하단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상부 푸셔몸체와, 상기 상부 푸셔몸체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면이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의 상면에 접촉하는 하부 푸셔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셔장치에서,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일단은 상기 제2 푸셔몸체의 상면과 마주보는 제1 푸셔몸체의 수용공간 내측면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푸셔몸체의 상면에 접촉되는 압축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푸셔장치에 의하면, 푸셔몸체를 이동시키는 회전수단이 회전각 변환수단에 의하여 정밀하게 회전조정이 됨으로서 푸셔몸체에 대한 위치조정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푸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푸셔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푸셔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푸셔장치의 Ⅳ-Ⅳ 단면도.
도 5는 도 3의 푸셔장치의 Ⅴ-Ⅴ 단면도.
도 6은 도 1의 푸셔장치의 작동도.
도 7은 도 6의 푸셔장치의 Ⅶ-Ⅶ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셔장치의 측면도.
도 9는 도 8의 푸셔장치는 Ⅸ-Ⅸ 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8의 푸셔장치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11은 도 8의 푸셔장치에 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푸셔장치(100)는, 전기적 검사가 요구되는 피검사 디바이스(170)를 검사장치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커버(110), 푸셔몸체(120), 회전수단(130) 및 회전력 변화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커버(110)는, 대략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중앙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커버(110)의 양측면에는 래칫(11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래칫(112)에 의하여 피검사 디바이스(170)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지지하는 검사용 소켓(16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홀(111)은, 원형단면을 가지는 원형홀(111a)과, 상기 원형홀(111a)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원형홀(111a)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사각홀(111b)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형홀(111a)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회전수단(130)의 나사부(131)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중앙홀(111) 주위에는 고정볼트(1131)와 스프링(1132)이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공(113)이 마련되는데, 상기 고정볼트(1131)은 스프링이 끼워진 상태에서 푸셔몸체(120)에 결합됨으로서 상기 푸셔몸체(120)에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중앙홀(111) 주위에는 회전력 변화수단(140)의 일구성인 걸림수단(142)이 삽입되는 돌출부(114)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돌출부(114)는 중앙홀(111) 주위의 상부커버(110)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돌출부(114)에는 상기 중앙홀(111)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삽입공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공 내에는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는 통형부재(1141)가 마련되며, 상기 통형부재(1141) 내에 걸림수단(142)이 삽입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통형부재(1141)에서 상기 중앙홀(111) 측의 단부는 개구되어 있으며 그 반대편은 소정의 막음부재(1142)에 의하여 막혀있게 된다.
상기 푸셔몸체(120)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상부커버(110)의 중앙홀(111)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앙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하면서 하면이 상기 상부커버(110)의 하측에 배치된 피검사 디바이스(17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푸셔몸체(120)은 상부커버(110)의 사각홀(111b) 내에 삽입되어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푸셔몸체(120)는, 상면이 상기 회전수단(130)의 하면에 접촉하고 내부에 하측으로 개구된 수용공간(1213)이 마련되는 제1 푸셔몸체(121)와, 일부는 상기 제1 푸셔몸체(121)의 수용공간(1213) 내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1 푸셔몸체(12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하면이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170)의 상면에 접촉하는 제2 푸셔몸체(122)와, 상기 제1 푸셔몸체(121)와 상기 제2 푸셔몸체(122)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푸셔몸체(121)와 상기 제2푸셔몸체(122)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1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푸셔몸체(121)는, 대략 판형상을 가지며 고정볼트(1131)에 의하여 지지되는 판부재(1211)와, 상기 판부재(1211)의 하측에 배치되며 중앙에 사각구멍이 마련되는 프레임부재(1212)로 이루어진다. 상기 판부재(1211)와 프레임부재(1212)의 결합에 의하여 소정의 수용공간(1213)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부재(1212)의 단부에는 하단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1213)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턱(1214)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판부재(1211)와 상기 프레임부재(1212)는 소정의 제1볼트(1215)에 의하여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푸셔몸체(122)는, 상기 수용공간(1213) 내측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며 가장자리 하단이 상기 걸림턱(1214)에 걸리는 상부 푸셔몸체(1221)와, 상기 상부 푸셔몸체(122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면이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170)의 상면에 접촉하는 하부 푸셔몸체(122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푸셔몸체(1221)는, 대략 직사각형 판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푸셔몸체(1222)는 상기 상부 푸셔몸체(1221)보다 작은 크기의 단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상부 푸셔몸체(122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푸셔몸체(1221)의 상면 측에는 충격흡수수단(123)인 압축코일 스프링이 일부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충격흡수수단(123)은, 일단이 상기 제2 푸셔몸체(122)의 상면과 마주보는 제1 푸셔몸체(121)의 수용공간(1213) 내측면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푸셔몸체(122)의 상면에 접촉되는 압축코일 스프링이다. 이러한 충격흡수수단(123)은 상기 상부 푸셔몸체(1221)의 상면에 마련된 삽입홈에 하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가 상기 상부 푸셔몸체(1221)로부터 돌출되어 제1 푸셔몸체(121)의 판부재(1211)에 접촉하고 있게 된다.
이러한 충격흡수수단(123)은, 상기 제1 푸셔몸체(121)와 상기 제2 푸셔몸체(122)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며, 상기 제1푸셔몸체(121)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일부 흡수하여 그 충격력이 제2푸셔몸체(122) 및 피검사 디바이스(170)로 그대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검사 디바이스(17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수단(130)은, 상기 상부커버(110)의 중앙홀(111) 내에 삽입되고 상기 푸셔몸체(1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커버(110)와 나사결합되어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커버(110)에 대하여 상대회전하는 나사부(131)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수단(130)은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그 하단에 접촉되어 있는 상기 푸셔몸체(120)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푸셔몸체의 하강은 상기 회전수단의 하강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푸셔몸체의 상승은 회전수단이 상승함에 따라서
이러한 회전수단(130)은, 대략 원기둥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부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31)가 마련되며 이러한 수나사산이 상술한 푸셔몸체(120)의 중앙홀(111) 내에 마련된 암나사산과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서 회전수단(13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푸셔몸체(120)와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나사부(131)의 상측에는 회전력 변환수단의 일구성인 요철부(141)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게 된다. 요철부(141)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회전력 변화수단(140)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상기 회전력 변화수단(140)은, 상기 회전수단(130)이 상기 상부커버(110)에 대하여 상대회전할 때 단위각도마다 상기 회전수단(130)을 상기 푸셔몸체(1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회전력 변화수단(140)은, 단위각도만큼 회전시마다 상기 회전력의 크기를 소정의 제1회전력과, 상기 제1회전력보다 낮은 제2회전력 사이에서 교대로 변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회전력이란 걸림수단(142)의 접촉부(1421)가 오목부(14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록부(1412)로 가기 위한 회전력을 의미하며, 제2회전력이란 볼록부(1412)의 접촉된 걸림수단(142)의 접촉부(1421)가 오목부(1411) 측으로 가기 위한 회전력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단위각도는 사용자의 조건에 따라서 다소 다를 수 있으나, 대략 푸셔몸체(120)를 0.1mm 정도 하강시킬 수 있는 각도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력 변화수단(140)은, 상기 회전수단(130)의 나사부(131) 상측에 일체로 마련되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볼록부(1412)와, 각각의 볼록부(1412) 사이에 마련되는 오목부(1411)를 포함하는 요철부(141); 및 상기 회전수단(130)의 회전축에 대하여 직각인 가상의 라인을 따라서 위치이동하며 상기 요철부(141)의 표면에 접촉하는 접촉부(1421)와, 상기 접촉부(1421)를 상기 회전수단(130)의 중심축을 향하여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수단(1422)을 포함하는 걸림수단(142)을 포함한다.
상기 요철부(141)는, 상기 상부커버(110)의 중앙홀(11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부커버(11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수단(130)의 나사부(131)의 상측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나사부(131)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정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걸림수단(142)인 상기 접촉부(1421)와 상기 걸림수단(142)은 상기 통형부재(1141) 내에 삽입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접촉부(1421)는 상기 통형부재(1141)의 일단에서 돌출된 반구형의 볼부와, 상기 볼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통형부재(1141) 내에 삽입되는 기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부는 상기 볼부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1422)은, 일단은 접촉부(1421)의 단부에 접촉하고 타단은 상기 통형부재(1141) 내부에 마련된 막음부재(1142)에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접촉부(1421)를 상기 요철부(141)의 표면을 향하여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1422)으로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탄성가압을 위해서라면 고무와 같은 신축성이 있는 소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도면번호 150, 160은 각각 손잡이부재(150), 검사용 소켓(160)을 의미한다.
상기 손잡이부재(150)는, 회전수단(130)의 상측에 배치되어 회전수단(1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소정의 각도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손잡이부재(150)는 회전수단(130)의 요철부(141)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게 된다.
상기 검사용 소켓(160)은, 피검사 디바이스(170)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170)가 검사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촉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검사장치에 탑재되며 사각형태의 구멍이 마련되는 베이스부재(161)와, 상기 베이스부재(161)의 구멍 내에 삽입되며 내부에 피검사 디바이스(170)가 안착되는 소켓부재(1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푸셔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피검사 디바이스(170)의 두께를 확인한 후에 상기 푸셔몸체(120)를 위치시킬 높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푸셔몸체(120)를 현재 상태보다 대략 0.4 mm 정도 하강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부재(150)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손잡이부재(15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수단(130)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서 회전수단(130)은 푸셔몸체(1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회전력 변화수단(140)에 의하여 상기 회전수단(130)의 회전력이 변화된다. 예를 들어 요철부(141)의 어느 한 오목부(1411)에 배치된 접촉부(1421)는 요철부(141)의 회전에 따라서 볼록부(1412)와 접촉하면서 후퇴하게 되고 다음 오목부(1411)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촉부(1421)가 오목부(1411)와 볼록부(1412) 사이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회전수단(13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이 상대적으로 변화된다. 어느 한 오목부(1411)에 배치된 접촉부(1421)는 탄성바이어스수단(1422)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데, 볼록부(1412) 측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회전력이 크게 요구되어 외력을 크게 가하지 않는 이상 정지상태를 유지하려고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단위각도가 0.1mm도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0.4mm 푸셔몸체(120)를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회전력이 총 4번 변화되면 된다. 최초 오목부(1411)에서 4번째의 오목부(1411)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0.4mm 가 하강되기 때문에 정밀하면서도 정확한 푸셔몸체(120)의 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푸셔몸체(120)가 제1푸셔몸체(121)와 제2푸셔몸체(122)로 구분되고 그 사이에 충격흡수수단(123)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푸셔몸체(120)가 피검사 디바이스(170)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피검사 디바이스(17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푸셔장치(100)는, 상부커버(110)에 피검사 디바이스(170)의 두께에 맞게 푸셔몸체(120)를 용이하고 원하는 정도로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손잡이부재(150)의 회전에 따라서 용이하게 푸셔몸체(120)를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때 단위각도를 정밀하게 설정하면 회전력 변화수단(140)에 의하여 원하는 회전각도만큼 회전수단(13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각도(어느 한 오목부에서 인접한 다음 오목부까지의 각도)를 24도 정도로 하고, 걸림수단(142)의 걸림에 의하여 0.1mm 단위로 푸셔몸체(12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력 변화수단으로서 요철부와 걸림수단의 일 예를 언급하고 있으나, 다양한 수단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걸림수단으로는 요철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상부커버의 상측으로부터 돌출된 탄성변형가능한 얇은 사각판일 수 있다. 즉, 외팔보 형태로 일단이 상기 상부커버에 고정되고 타단은 요철부에 접촉되어 있는 얇은 판일 수 있으며 상기 얇은 판은 탄력성이 좋은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외에 요철부도 다양한 단위각도로 회전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푸셔장치 110...상부커버
111...중앙홀 112...래칫
113...수용공 114...돌출부
1141...통형부재 1142...막음부재
120...푸셔몸체 121...제1푸셔몸체
1211..판부재 1212...프레임부재
1213...수용공간 1214...걸림턱
1214...제1볼트 122...제2푸셔몸체
1221...상부 푸셔몸체 1222...하부 푸셔몸체
123...충격흡수수단 130...회전수단
131...나사부 140...회전력 변화수단
141...요철부 1411...오목부
1412...볼록부 142...걸림수단
1421...접촉부 1422...탄성바이어스수단
150...손잡이부재 160...검사용 소켓
170...피검사 디바이스

Claims (8)

  1. 전기적 검사가 요구되는 피검사 디바이스를 검사장치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셔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홀이 마련되어 있는 상부커버;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홀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앙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하면서 하면이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에 배치된 피검사 디바이스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는 푸셔몸체;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홀 내에 삽입되고 상기 푸셔몸체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커버와 나사결합되어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커버에 대하여 상대회전하는 나사부를 포함하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푸셔몸체를 가압할 수 있는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수단이 상기 상부커버에 대하여 상대회전할 때 단위각도마다 상기 회전수단을 상기 푸셔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회전력 변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변화수단은, 단위각도만큼 회전시마다 상기 회전력의 크기를 소정의 제1회전력과, 상기 제1회전력보다 낮은 제2회전력 사이에서 교대로 변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변화수단은,
    상기 회전수단의 나사부 상측에 일체로 마련되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볼록부와, 각각의 볼록부 사이에 마련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요철부; 및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축에 대하여 직각인 가상의 라인을 따라서 위치이동하며 상기 요철부의 표면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를 상기 회전수단의 중심축을 향하여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수단을 포함하는 걸림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부커버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셔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상부커버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에 삽입되는 통형부재 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몸체는,
    상면이 상기 회전수단의 하면에 접촉하고 내부에 하측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제1 푸셔몸체와,
    일부는 상기 제1 푸셔몸체의 수용공간 내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1 푸셔몸체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하면이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의 상면에 접촉하는 제2 푸셔몸체와,
    상기 제1 푸셔몸체와 상기 제2 푸셔몸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푸셔몸체와 상기 하부푸셔몸체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푸셔몸체에는, 상기 하단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턱이 마련되고,
    상기 제2 푸셔몸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측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되 가장자리 하단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상부 푸셔몸체와, 상기 상부 푸셔몸체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면이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의 상면에 접촉하는 하부 푸셔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셔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일단은 상기 제2 푸셔몸체의 상면과 마주보는 제1 푸셔몸체의 수용공간 내측면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푸셔몸체의 상면에 접촉되는 압축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셔장치.
KR1020150008760A 2015-01-19 2015-01-19 푸셔장치 KR20160089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760A KR20160089162A (ko) 2015-01-19 2015-01-19 푸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760A KR20160089162A (ko) 2015-01-19 2015-01-19 푸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162A true KR20160089162A (ko) 2016-07-27

Family

ID=5661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760A KR20160089162A (ko) 2015-01-19 2015-01-19 푸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9162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854B1 (ko) * 2017-04-18 2018-06-20 주식회사 테라마이크론 반도체칩 검사용 소켓의 커버장치
JP2018190707A (ja) * 2017-04-28 2018-11-29 エヌティーエ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微細高さ調節が可能な二重スクリューテストソケット
KR102259642B1 (ko) * 2020-05-18 2021-06-01 유정시스템(주) 반도체 칩 검사용 소켓 장치
KR102286021B1 (ko) * 2020-12-21 2021-08-03 유정시스템(주) 반도체 디바이스의 실장 테스트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한 장치
KR102335175B1 (ko) * 2020-08-12 2021-12-0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적 검사장치
KR20220003256A (ko) *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프로웰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 장치용 소켓에 사용되는 보조 푸셔 및 그 보조 푸셔를 사용하는 소켓
KR20220020718A (ko) *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검사 장치
KR20220162269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검사용 가압 장치
KR20230040618A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티에프이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용 소켓에서 고정 핀을 분리하기 위한 지그
WO2024063447A1 (ko) * 2022-09-23 2024-03-28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검사용 푸셔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413B1 (ko) 2009-09-25 2012-01-16 세크론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접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413B1 (ko) 2009-09-25 2012-01-16 세크론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접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854B1 (ko) * 2017-04-18 2018-06-20 주식회사 테라마이크론 반도체칩 검사용 소켓의 커버장치
JP2018190707A (ja) * 2017-04-28 2018-11-29 エヌティーエ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微細高さ調節が可能な二重スクリューテストソケット
CN108963491B (zh) * 2017-04-28 2020-03-03 Nts株式会社 能够进行精确高度调节的双螺纹测试插座
KR102259642B1 (ko) * 2020-05-18 2021-06-01 유정시스템(주) 반도체 칩 검사용 소켓 장치
KR20220003256A (ko) *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프로웰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 장치용 소켓에 사용되는 보조 푸셔 및 그 보조 푸셔를 사용하는 소켓
KR102335175B1 (ko) * 2020-08-12 2021-12-0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적 검사장치
KR20220020718A (ko) *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검사 장치
KR102286021B1 (ko) * 2020-12-21 2021-08-03 유정시스템(주) 반도체 디바이스의 실장 테스트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한 장치
KR20220162269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검사용 가압 장치
KR20230040618A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티에프이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용 소켓에서 고정 핀을 분리하기 위한 지그
WO2024063447A1 (ko) * 2022-09-23 2024-03-28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검사용 푸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9162A (ko) 푸셔장치
US8342872B2 (en) Socket having two plates for holding contact pins and an urging member for urging the plates together
EP1907868B1 (en) Integrated circuit test socket
KR101032648B1 (ko) 테스트용 소켓
KR101535229B1 (ko) 범용 테스트 소켓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 장치
US8092231B2 (en) Socket for electric component
JP2011257227A (ja) 半導体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CN108963491B (zh) 能够进行精确高度调节的双螺纹测试插座
KR101482246B1 (ko) 푸셔장치
KR101677708B1 (ko) 반도체 칩 테스트 소켓
KR20110137558A (ko) 반도체 패키지용 검사소켓
KR20150093046A (ko) 웨이퍼 테스트 장치
TWI638173B (zh) Detector and probe card tip grinding device
TWI550275B (zh) 用於承載托盤之浮動定位裝置
JP6404104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WO2019131164A1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200394017Y1 (ko) 칩 수동 검사용 소켓의 높이조절용 누름쇠 구조
KR200482392Y1 (ko) 래치를 구비하는 테스트 소켓
EP4066602A1 (en) Semiconductor test socket with a floating plate and latch for holding the semiconductor device
KR102038968B1 (ko) 반도체 디바이스 검사용 인서트, 베이스 및 테스트 소켓
KR20120005580U (ko) 볼단자와 컨택핀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한 비지에이 테스트 소켓용 어댑터
KR101650520B1 (ko) 검사용 푸셔장치
JP6837392B2 (ja) マニュアルアクチュエータ
KR100985499B1 (ko) 켈빈 테스트용 소켓
KR101401912B1 (ko) 높이 조절식 반도체칩 검사용 푸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