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160A -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 Google Patents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160A
KR20160089160A KR1020150008750A KR20150008750A KR20160089160A KR 20160089160 A KR20160089160 A KR 20160089160A KR 1020150008750 A KR1020150008750 A KR 1020150008750A KR 20150008750 A KR20150008750 A KR 20150008750A KR 20160089160 A KR20160089160 A KR 20160089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body
inner coil
portions
magnetic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5395B1 (ko
Inventor
정동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8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395B1/ko
Priority to US14/930,888 priority patent/US10256032B2/en
Priority to CN201510849038.0A priority patent/CN105810386B/zh
Publication of KR20160089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01F27/36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mad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8Electric or magnetic shielding of printed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55Magnetic cores made from p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 기판의 일면과 타면에 배치된 코일 도체가 연결되어 형성된 내부 코일부가 매설된 자성체 본체를 포함하는 칩 전자부품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본체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의 상호 간섭을 억제하는 갭(gap)부를 포함하는 칩 전자부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Chip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on}
본 발명은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에 관한 것이다.
칩 전자부품 중 하나인 인덕터(inductor)는 저항, 커패시터와 더불어 전자회로를 이루어 노이즈(Noise)를 제거하는 대표적인 수동소자이다.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수동 소자들의 실장 면적을 줄이기 위해 칩 내부에 복수의 내부 코일부가 배치된 어레이(Array)형 인덕터를 사용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011090호
본 발명은 칩 내에 배치된 복수의 내부 코일부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의 유해한 상호 간섭을 억제할 수 있는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절연 기판의 일면과 타면에 배치된 코일 도체가 연결되어 형성된 내부 코일부가 매설된 자성체 본체를 포함하는 칩 전자부품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본체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의 상호 간섭을 억제하는 갭(gap)부를 포함하는 칩 전자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칩 내에 배치된 복수의 내부 코일부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의 유해한 상호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코일부 간 상호 간섭을 조절하여 커플링(coupling) 값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의 내부 코일부가 나타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내부 투영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2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내부 투영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갭(gap)부가 배치되지 않은 종래의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 내에 형성되는 자속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 내에 형성되는 자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칩 전자부품이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칩 전자부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을 설명하되, 특히 박막형 인덕터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의 내부 코일부가 나타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칩 전자부품의 일 예로써 전원 공급 회로의 전원 라인에 사용되는 박막형 인덕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100)은 자성체 본체(50), 상기 자성체 본체(50)의 내부에 매설된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 사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 및 상기 자성체 본체(50)의 외측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4 외부전극(81, 82, 83, 8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제 1 내지 제4”라는 한정은 그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상기 순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100)에 있어서, '길이' 방향은 도 1의 'L' 방향, '폭' 방향은 'W' 방향, '두께' 방향은 'T'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자성체 본체(50)는 길이(L)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단면(SL1, SL2)과, 상기 제 1 및 제 2 단면(SL1, SL2)을 연결하며 폭(W)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측면(SW1, SW2)과, 두께(T)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주면(ST1, ST2)을 가진다.
상기 자성체 본체(50)는 자기 특성을 나타내는 재료라면 제한되지 않고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페라이트 또는 금속 자성체 분말을 포함한다.
상기 페라이트는 예를 들어, Mn-Zn계 페라이트, Ni-Zn계 페라이트, Ni-Zn-Cu계 페라이트, Mn-Mg계 페라이트, Ba계 페라이트 또는 Li계 페라이트 등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자성체 분말은 철(Fe), 규소(Si), 붕소(B), 크롬(Cr), 알루미늄(Al), 구리(Cu), 니오븀(Nb) 및 니켈(N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결정질 또는 비정질 금속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자성체 분말은 Fe-Si-B-Cr계 비정질 금속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자성체 분말은 에폭시(epoxy)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 등의 열경화성 수지에 분산된 형태로 포함된다.
상기 자성체 본체(5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100)은 그 기본 구조가 동일 칩 내에 2 이상의 내부 코일부가 배치된 인덕터 어레이(Array) 형태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는 상기 자성체 본체(50) 내부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및 제 2 절연 기판(21, 22)의 일면에 형성된 제 1 코일 도체(43, 45)와, 상기 절연 기판(21, 22)의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된 제 2 코일 도체(44, 46)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 도체(43, 44, 45, 46)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 기판(21, 22)의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평면 코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 도체(43, 44, 45, 46)는 나선(spira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 기판(21, 22)의 일면과 타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코일 도체(43, 44, 45, 46)는 상기 절연 기판(21, 2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비아(미도시)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 도체(43, 44, 45, 46)는 절연 기판(21, 22) 상에 전기 도금을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 도체(43, 44, 45, 46)와 비아는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은(Ag), 팔라듐(Pd), 알루미늄(Al), 니켈(Ni), 티타늄(Ti), 금(Au), 구리(Cu), 백금(Pt)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 도체(43, 44, 45, 46)는 절연막(미도시)으로 피복되어 자성체 본체(50)를 이루는 자성 재료와 직접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코일부는 상기 자성체 본체(50)의 길이(L) 방향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대칭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 기판(21, 22)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기판, 페라이트 기판 또는 금속계 연자성 기판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 기판(21, 22)의 중앙부는 관통되어 관통 홀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 홀은 자성 재료로 충진되어 제 1 및 제 2 코어부(51, 52)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의 내측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코어부(51, 5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의 내측에 자성 재료로 충진되는 제 1 및 제 2 코어부(51, 52)를 형성함에 따라 인덕턴스(L)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는 상기 자성체 본체(50)의 길이(L)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자성체 본체(50) 내부의 폭(W) 방향의 제 1 및 제 2 측면(SW1, SW2) 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 사이에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를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내부 코일부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의 유해한 상호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칩 내부에 복수의 내부 코일부가 배치된 어레이(Array)형 칩 전자부품의 경우 내부 코일부 간 유해한 간섭에 의해 제품의 오동작 발생 및 효율 저하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칩 전자부품이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칩 전자부품 내에 매설된 복수의 내부 코일부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내부 코일부의 형상 및 위치 관계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내부 코일부 간의 유해한 간섭을 억제하기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 사이에 상기 자성체 본체(50) 내부의 폭(W) 방향의 제 1 및 제 2 측면(SW1, SW2) 측에 각각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를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내부 코일부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의 유해한 상호 간섭을 억제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는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의 유해한 상호 간섭을 억제할 수 있는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자성체 본체(50)를 이루는 재료와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성체 본체(50)를 이루는 재료와 다른 재료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더라도 그 조성 등이 다른 경우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는 열경화성 수지, 금속 자성체 분말, 페라이트 및 유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는 상기 자성체 본체(50)보다 투자율이 낮으며,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의 유해한 상호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는 상기 자성체 본체(50)의 외측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4 외부전극(81, 82, 83, 84)와 접속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외부전극(81, 82, 83, 84)은 상기 자성체 본체(50)의 제 1 및 제 2 측면(SW1 , SW2)에 형성되며, 자성체 본체(50)의 두께(T) 방향의 제 1 및 제 2 주면(ST1, ST2)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외부전극(81, 82, 83, 84)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외부전극(81, 82, 83, 84)은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은(Ag), 팔라듐(Pd), 알루미늄(Al), 니켈(Ni), 티타늄(Ti), 금(Au), 구리(Cu), 백금(Pt)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도 2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내부 투영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2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내부 투영 평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는 상기 제 1 코일 도체(43, 45)의 일 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자성체 본체(50)의 제 1 측면(SW1)으로 노출되는 제 1 인출부(43', 45')와, 상기 제 2 코일 도체(44, 46)의 일 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자성체 본체(50)의 제 2 측면(SW2)으로 노출되는 제 2 인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인출부(43', 45')는 상기 자성체 본체(50)의 제 1 측면(SW1)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외부전극(81, 82)과 접속되고, 상기 제 2 인출부(미도시)는 상기 자성체 본체(50)의 제 2 측면(SW2)에 배치된 제 3 및 제 4 외부전극(83, 84)과 접속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전극(81, 82)은 입력 단자이고, 제 3 및 제 4 외부전극(83, 84)은 출력 단자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력 단자인 제 1 외부전극(81)에서 입력된 전류는 상기 제 1 내부 코일부(41)의 제 1 코일 도체(43)를 거쳐 비아 및 상기 제 1 내부 코일부(41)의 제 2 코일 도체(44)를 지나 출력 단자인 제 3 외부전극(83)으로 흐르게 된다.
마찬가지로, 입력 단자인 제 2 외부전극(82)에서 입력된 전류는 상기 제 2 내부 코일부(42)의 제 1 코일 도체(45)를 거쳐 비아 및 상기 제 2 내부 코일부(42)의 제 2 코일 도체(46)를 지나 출력 단자인 제 4 외부전극(84)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는 상기 자성체 본체(50) 내부의 폭(W) 방향의 제 1 및 제 2 측면(SW1, SW2) 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 간의 간격(a)은 0㎛ < a < 300㎛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 간의 간격(a)이 0㎛, 즉,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인덕턴스 저하되고, 갭(gap)부로 인해서 자성체 본체(50)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300㎛를 초과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의 유해한 상호 간섭으로 인해 제품의 오동작 발생 및 효율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 간의 간격(a)을 조절하여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 간 상호 간섭을 조절하고, 커플링(coupling) 값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는 상기 자성체 본체(50)의 두께(T) 방향의 제 1 주면(ST1)으로부터 제 2 주면(ST2)까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는 상기 자성체 본체(50)의 두께(T)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I-I'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절연 기판(21, 22)의 일면에 배치된 제 1 코일 도체(43, 45)와, 절연 기판(21, 22)의 타면에 배치된 제 2 코일 도체(44, 46)는 절연 기판(21, 22)을 관통하는 비아(48, 49)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 사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는 상기 자성체 본체(50) 내부의 폭(W) 방향의 제 1 및 제 2 측면(SW1, SW2) 측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의 높이, 간격, 재질 등을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 간 상호 간섭을 조절하여 커플링(coupling) 값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 간의 공간은 상기 자성체 본체(50)를 이루는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성체 본체(50)가 열경화성 수지에 금속 자성체 분말이 분산된 형태일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 간의 공간도 열경화성 수지에 금속 자성체 분말이 분산된 형태일 수 있다.
도 5a는 갭(gap)부가 배치되지 않은 종래의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 내에 형성되는 자속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 내에 형성되는 자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갭(gap)부가 배치되지 않은 칩 전자부품의 경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 간 자속의 상호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도 5b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 사이에 제 1 및 제 2 갭(gap)부(61, 62)가 배치됨으로써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41, 42) 간 자속의 상호 간섭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도 6은 도 1의 칩 전자부품이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100)의 실장 기판(200)은 칩 전자부품(100)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210)과, 인쇄회로기판(210)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전극 패드(220)를 포함한다.
상기 칩 전자부품(100)의 외측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4 외부전극(81, 82, 83, 84)이 각각 전극 패드(220) 위에 접촉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솔더(solder)(230)에 의해 솔더링(soldering)되어 인쇄회로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을 제외하고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의 특징과 중복되는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칩 전자부품
21, 22 : 절연 기판
41, 42 :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
43, 44, 45, 46 : 코일 도체
50 : 자성체 본체
51, 52 : 제 1 및 제 2 코어부
61, 62 : 제 1 및 제 2 갭(gap)부
81, 82, 83, 84 : 제 1 내지 제 4 외부전극
200 : 실장 기판
210 : 인쇄회로기판
220 : 전극 패드
230 : 솔더

Claims (14)

  1. 절연 기판의 일면과 타면에 배치된 코일 도체가 연결되어 형성된 내부 코일부가 매설된 자성체 본체를 포함하는 칩 전자부품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본체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 사이에 배치되며,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자성체 본체 내부의 폭 방향의 제 1 및 제 2 측면 측에 각각 배치된 제 1 갭(gap)부 및 제 2 갭(gap)부를 포함하는 칩 전자부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갭(gap)부는 열경화성 수지, 금속 자성체 분말, 페라이트 및 유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칩 전자부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갭(gap)부는 상기 자성체 본체를 이루는 재료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칩 전자부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갭(gap)부는 상기 자성체 본체의 두께 방향의 제 1 주면으로부터 제 2 주면까지 형성되는 칩 전자부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갭(gap)부 간의 간격(a)은 0㎛ < a < 300㎛를 만족하는 칩 전자부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갭(gap)부 간의 공간은 상기 자성체 본체를 이루는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칩 전자부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본체는 금속 자성체 분말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칩 전자부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도체는 도금으로 형성된 칩 전자부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는 상기 자성체 본체의 폭 방향의 제 1 및 제 2 측면으로 각각 노출되는 제 1 및 제 2 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인출부는 상기 자성체 본체의 제 1 측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외부전극과 접속되고, 상기 제 2 인출부는 상기 자성체 본체의 제 2 측면에 배치된 제 3 및 제 4 외부전극과 접속된 칩 전자부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전극은 입력 단자이고, 상기 제 3 및 제 4 외부전극은 출력 단자인 칩 전자부품.
  11. 절연 기판의 일면과 타면에 배치된 코일 도체가 연결되어 형성된 내부 코일부가 매설된 자성체 본체를 포함하는 칩 전자부품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본체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코일부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의 상호 간섭을 억제하는 갭(gap)부를 포함하는 칩 전자부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갭(gap)부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자성체 본체 내부의 폭 방향의 제 1 및 제 2 측면 측에 각각 배치된 제 1 갭(gap)부 및 제 2 갭(gap)부를 포함하는 칩 전자부품.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갭(gap)부는 상기 자성체 본체보다 투자율이 낮은 칩 전자부품.
  14. 상부에 복수의 전극 패드를 갖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위에 실장된 제 1 항의 칩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KR1020150008750A 2015-01-19 2015-01-19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KR102105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750A KR102105395B1 (ko) 2015-01-19 2015-01-19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US14/930,888 US10256032B2 (en) 2015-01-19 2015-11-03 Electronic component
CN201510849038.0A CN105810386B (zh) 2015-01-19 2015-11-27 电子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750A KR102105395B1 (ko) 2015-01-19 2015-01-19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160A true KR20160089160A (ko) 2016-07-27
KR102105395B1 KR102105395B1 (ko) 2020-04-28

Family

ID=5640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750A KR102105395B1 (ko) 2015-01-19 2015-01-19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56032B2 (ko)
KR (1) KR102105395B1 (ko)
CN (1) CN1058103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689B1 (ko) * 2014-10-14 2018-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KR102117512B1 (ko) * 2015-07-01 2020-06-01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JP6520875B2 (ja) * 2016-09-12 2019-05-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部品およびインダクタ部品内蔵基板
KR102004811B1 (ko) * 2018-01-17 2019-07-29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덕터
US11495389B2 (en) 2020-05-12 2022-11-08 Apple Inc. Inductor with embedded symmetric resonant circuit
CN112653255B (zh) * 2020-12-16 2022-06-07 西南科技大学 一种无线充电耦合机构及无线充电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0256A (ja) * 1997-03-21 1998-10-09 Taiyo Yuden Co Ltd 電子部品
KR20050011090A (ko) 2003-07-21 2005-01-29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코어부를 삽입한 인덕터 제조방법
KR101165837B1 (ko) * 2003-06-12 2012-07-13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방법
WO2014013070A1 (en) * 2012-07-19 2014-01-23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the rendering of multi-channel audio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6350A (en) * 1975-03-26 1976-03-23 Katsuichi Goto Coil assembly for bobbin wound transformer
JP2601666Y2 (ja) * 1992-05-08 1999-11-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コイル
JP4560848B2 (ja) 1999-04-15 2010-10-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インダクタアレイ
JP2011071457A (ja) 2008-12-22 2011-04-07 Tdk Corp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US8451083B2 (en) * 2010-05-31 2013-05-28 Tdk Corporatio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34351B1 (ko) * 2010-10-21 2014-08-26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213090B1 (ko) * 2011-07-14 2012-12-18 유한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전력 전송장치용 코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JP5871329B2 (ja) 2013-03-15 2016-03-01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42402B1 (ko) 2013-03-25 2014-09-17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0256A (ja) * 1997-03-21 1998-10-09 Taiyo Yuden Co Ltd 電子部品
KR101165837B1 (ko) * 2003-06-12 2012-07-13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방법
KR20050011090A (ko) 2003-07-21 2005-01-29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코어부를 삽입한 인덕터 제조방법
WO2014013070A1 (en) * 2012-07-19 2014-01-23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the rendering of multi-channel audio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395B1 (ko) 2020-04-28
CN105810386B (zh) 2020-09-04
US20160211071A1 (en) 2016-07-21
CN105810386A (zh) 2016-07-27
US10256032B2 (en) 201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531B1 (ko)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KR102163414B1 (ko) 코일 전자부품
KR101652850B1 (ko) 칩 전자부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기판
KR102105396B1 (ko)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KR102105392B1 (ko)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KR101762024B1 (ko) 코일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101762023B1 (ko) 코일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102105395B1 (ko)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US9490061B2 (en) Coil component and board having the same
KR102117512B1 (ko) 코일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20160019266A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실장기판
KR101823193B1 (ko)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US9984804B2 (en) Coil component
KR20160044756A (ko)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CN108417339B (zh) 片式电子组件和具有该片式电子组件的板
CN105990009B (zh) 线圈部件和具有该线圈部件的板
KR20190082181A (ko) 칩 전자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