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836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836A
KR20160086836A KR1020167012673A KR20167012673A KR20160086836A KR 20160086836 A KR20160086836 A KR 20160086836A KR 1020167012673 A KR1020167012673 A KR 1020167012673A KR 20167012673 A KR20167012673 A KR 20167012673A KR 20160086836 A KR20160086836 A KR 20160086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data
restriction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야마다
도시유키 다니와키
Original Assignee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6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3Protocols for remote procedure calls [RP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제1 정보 처리 기기로부터 제2 정보 처리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해당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정보 처리 기기로부터 상기 조작에 기초하는 조작의 입력 데이터와, 상기 제2 정보 처리 기기로부터 상기 조작에 관한 조작 화면에 기초하는 화상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입력 처리 수단과, 상기 조작의 입력 데이터 또는 상기 화상의 입력 데이터에,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제한 처리 수단과, 제2 정보 처리 기기의 상태에 따른 제한 처리 내용을 포함하는 제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갖는다. 상기 제한 처리 수단은, 상기 화상의 입력 데이터와, 상기 제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격 조작에 의해 피제어 기기를 조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기 제어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여기에서는, 원격 조작되는 처리 장치와, 조작하는 측의 컴퓨터의 각각에 제어용의 소프트웨어를 도입함으로써, 원격 조작을 행하고 있다.
또한, KVM(Keyboard Video Mouse)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제어 장치와 피제어 기기를 접속하여, 먼 곳으로부터 피제어 기기를 원격 조작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8238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4860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34376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기기 제어 시스템, 또는 KVM 장치를 이용한 원격 조작에 있어서, 원격 조작을 행하는 오퍼레이터는, 피제어 기기 등으로부터 이격된 장소에서 피제어 기기를 조작하기 위해서, 피제어 기기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워 위험한 동작을 실행시킬 우려가 있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는, 클린 룸 내에 반도체 제조 장치가 설치되고, 클린 룸의 밖에서 오퍼레이터가 원격 조작으로 반도체 제조 장치를 조작하는 것이 상정된다. 그 경우, 제조 장치의 주변 환경이나 장치 상태를 파악할 수 없는 상태에서 원격 조작이 행하여지면, 경우에 따라서는 위험한 동작을 제조 장치에 실행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상술한 기기 제어 시스템 등에서는, 제어 장치 및 피제어 기기의 각각에 대하여, 제어용의 소프트웨어의 인스톨이나 하드웨어의 보수가 필요해지고, 특히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는, 제조 장치측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보수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걸린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는,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어 장치 및 피제어 기기의 보수 등을 적게 하여, 용이하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또한 안전성을 확보해서 원격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정보 처리 기기로부터 제2 정보 처리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해당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정보 처리 기기로부터 상기 조작에 기초하는 조작의 입력 데이터와, 상기 제2 정보 처리 기기로부터 상기 조작에 관한 조작 화면에 기초하는 화상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입력 처리 수단과, 상기 조작의 입력 데이터 또는 상기 화상의 입력 데이터에,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제한 처리 수단과, 제2 정보 처리 기기의 상태에 따른 제한 처리 내용을 포함하는 제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갖는다. 상기 제한 처리 수단은, 상기 화상의 입력 데이터와, 상기 제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장치 및 피제어 기기의 보수 등을 적게 하여, 용이하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또한 안전성을 확보해서 원격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오퍼레이터 단말기의 일례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오퍼레이터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리모트 KVM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리모트 KVM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한 전체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판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패턴 매칭 처리의 대상이 되는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패턴 매칭 처리의 템플릿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패턴 매칭 처리의 대상이 되는 화상이 템플릿 화상으로 분할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설정 데이터의 일례를 설명하는 표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의 판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의 전회의 판정 처리에 있어서의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의 현재의 판정 처리에 있어서의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의 판정 처리에서 생성된 차분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의 마스크 처리에 있어서의 차분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마스크 처리가 이루어진 차분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합성에 의해 생성된 데스크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차분 화상을 마스크 처리하지 않는 데스크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3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3 실시 형태에서 마스크 처리하는 데스크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3 실시 형태의 마스크 처리에 사용하는 마스크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3 실시 형태에서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a는 도 20b의 클릭 가능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있는 위젯을 비표시의 마스크 처리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b는 도 20b의 클릭 가능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있는 위젯을 반투명화시켜, 무효화한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c는 도 20b의 클릭 가능 영역 이외의 영역을 흑색으로 칠하여, 무효화한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d는 일부의 아이콘을 비표시의 마스크 처리한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e는 일부의 윈도우를 비표시의 마스크 처리한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원격 조작을 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 소위 리모트 KVM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모트 KVM 장치를 사용해서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원격 조작을 실현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제1 정보 처리 기기(100)와, 정보 처리 장치(101)와, 제2 정보 처리 기기(102)를 갖는다. 제1 정보 처리 기기(100)와 정보 처리 장치(101)는, 네트워크(200)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1)와 제2 정보 처리 기기(102)는, 케이블(2)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정보 처리 기기(100)는,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가 제2 정보 처리 기기(102)를 조작하기 위한 지시를 입력하는 장치(이하, 오퍼레이터 단말기라고 함)이다. 제1 정보 처리 기기(100)에 관한 상세는 후술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리모트 KVM 장치이다. 정보 처리 장치(101)에 관한 상세는 후술한다.
제2 정보 처리 기기(102)는, 예를 들어 반도체 디바이스 등을 제조하는 제조 장치(이하, 제조 장치라고 함)이다. 제2 정보 처리 기기(102)에 관한 상세는 후술한다.
네트워크(200)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인터넷 등의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회선이다.
또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200)는 별도의 서버, 라우터(Router) 또는 액세스 포인트 등의 노드(Node)를 통해서 접속된 2 이상의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정보 처리 기기(100)가 조작하기 위한 지시를 입력하는 장치이며, 또한 제2 정보 처리 기기(102)가 조작의 대상이 되는 장치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정보 처리 기기(102)가 조작하기 위한 지시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구성되고, 또한 제1 정보 처리 기기(100)가 조작의 대상이 되는 장치로서 구성된 경우, 즉 제1 정보 처리 기기(100)와 제2 정보 처리 기기(102)가 바뀐 구성이어도 된다.
<오퍼레이터 단말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오퍼레이터 단말기의 일례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는, 입력 처리부(100F1)와, 제어 처리부(100F2)와, 출력 처리부(100F3)를 갖는다.
입력 처리부(100F1)는,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에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입력 처리부(100F1)는, 후술하는 마우스 등 포인팅 디바이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 및 GUI(Graphical User Interface)에 의해, 커맨드 입력, 2차원적인 좌표 정보, 마우스의 클릭 등에 의한 스위치 동작 등의 조작을 접수하고, 접수한 조작 입력을 A/D 변환 등의 처리에 의해 데이터 또는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입력 처리부(100F1)는, 입력된 데이터를 후단의 처리에서 판독 가능한 형식, 또는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형식으로 데이터를 변환 또는 가공하는 처리 등을 행해도 된다. 또한, 입력 처리부(100F1)는,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입력용의 통신에 사용한 헤더 데이터 등 후단의 처리에는 불필요한 정보를 삭제하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제어 처리부(100F2)는, 후술하는 CPU(100H3) 등에 의해, 오퍼레이터 단말기(100)가 갖는 각 장치, 또는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에 접속된 외부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의 제어를 행한다.
출력 처리부(100F3)는,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로부터 입력 처리부(100F1)가 접수한 조작에 기초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조작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출력 처리부(100F3)는, 후술하는 네트워크 I/F를 사용해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조작 신호를 리모트 KVM 장치(101)에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출력 처리부(100F3)는, 출력하는 처리의 전처리로서, 출력처가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신호의 형식을 변환하는 처리, 또는 네트워크(200)를 통해서 송신하기 위해 헤더 데이터 등을 부가하는 처리 등을 행해도 된다.
<오퍼레이터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오퍼레이터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는 컴퓨터이다.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PC(Personal Computer), 서버 또는 메인 프레임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태블릿, 스마트폰, 휴대 전화기 등 모바일 기기이어도 된다.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는, 보조 기억 장치(100H1)와, 기억 장치(100H2)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100H3)와, 커넥터(100H4)와, 입력 I/F(100H5)와, 출력 I/F(100H6)와, 미디어 드라이브(100H7)를 갖는다.
또한,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I/F(100H8)를 갖고, 네트워크(200)에 접속하고 있다.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의 각 구성 요소끼리는, 버스(Bus)(100H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버스(100H9)에의 접속은, 브리지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접속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의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버스(100H9)는, 복수의 버스를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CPU(100H3) 등 고속의 전송용의 버스와, 입력 I/F(100H5) 등 저속 전송용의 버스가 상이하고, 브리지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버스끼리 서로 접속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보조 기억 장치(100H1)는, CPU(100H3) 및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의 제어에 의해, CPU(100H3)가 행하는 처리의 중간 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파라미터 또는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기억한다. 보조 기억 장치(100H1)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래시 SSD(Solid State Drive) 등이다.
기억 장치(100H2)는, CPU(100H3)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기억 영역, 소위 메모리(Memory) 등의 주기억 장치이다. 기억 장치(100H2)는,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파라미터 등의 정보를 기억한다.
CPU(100H3)는, 오퍼레이터 단말기(100)가 행하는 각 처리를 위한 연산,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CPU(100H3)는, 버스(100H9)를 통해서 보조 기억 장치(100H1)와, 기억 장치(100H2)와, 입력 I/F(100H5)와, 출력 I/F(100H6)의 사이에서 정보의 입출력을 행한다. 또한, CPU(100H3)는,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한, CPU(100H3)는, 병렬 처리에 의해 고속화를 행하기 위해서, 복수의 CPU 또는 복수의 코어(core)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CPU(100H3)에 의한 처리는,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별도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갖고, CPU(100H3)의 보조를 시켜서 처리가 행하여져도 된다.
또한, CPU(100H3)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기억 영역은, 기억 장치(100H2)의 기억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억 영역은, 보조 기억 장치(100H1)의 기억 영역을 사용하는, 소위 가상 메모리 방식을 사용해도 된다.
커넥터(100H4)는, 외부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접속하여, 외부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버스, 소위 외부 버스이다. 커넥터(100H4)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등으로 구성된다. 커넥터(100H4)는,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nc.) 1394, 또는 Thunderbolt(등록 상표) 등이어도 된다. 커넥터(100H4)는, 규격에 준한 커넥터 형상, 접속 핀 등의 물리적인 접속 단자, 접속 단자를 통해서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회로(도시하지 않음), 및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 등을 갖는다. 또한, 커넥터(100H4)는, 유선 회선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Bluetooth(등록 상표) 등의 무선 회선용인 것을 사용해도 된다.
입력 I/F(100H5)는,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에 입력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이다.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처리에 필요한 값, 또는 커맨드 등을 입력하는 키보드(100H51) 등이다. 또한, 입력 장치는, 이차원의 이동 거리를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에 입력하는 마우스(100H52) 등이어도 된다. 또한, 입력 장치는, 펜 타블렛 등 포인팅 디바이스 등이어도 된다. 또한, 입력 장치는, 커넥터(100H4)에 접속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출력 I/F(100H6)는, 처리 결과 등을 표시하는 출력 장치인 디스플레이(100H61), 디스플레이(100H61)에 출력하는 화상 신호를 제어하는 처리 회로(도시하지 않음),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 및 케이블(도시하지 않음) 등을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이다. 또한,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100H61) 대신에 프로젝터 등의 투영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입력 I/F(100H5)에 접속되는 입력 장치와, 출력 I/F(100H6)에 접속되는 출력 장치는,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가 일체로 된 장치, 소위 터치 패널 등이어도 된다.
미디어 드라이브(100H7)는, 기록 매체인 미디어(100H71)와 접속하여,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미디어(100H71)는, 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 또는 블루레이 등 광 디스크이다. 미디어(100H71)는, 플렉시블 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 또는 SD(등록 상표) 카드, 컴팩트 플래시(등록 상표) 등의 플래시 메모리이어도 된다. 또한, 정보의 입출력은, USB 메모리를 커넥터(100H4)에 접속해서, 또는 후술하는 네트워크 I/F(100H8)를 통해서 행해도 된다. 또한,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는, 미디어 드라이브(100H7)를 갖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네트워크 I/F(100H8)는,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LAN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 I/F(100H8)는, IEEE 등의 규격에 준한 커넥터 형상, 및 접속 핀 등의 물리적인 접속 단자와,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와 회선을 물리적으로 접속시키는 케이블과, 접속 단자를 통해서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회로(도시하지 않음), 및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또한,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는, LAN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어도 된다.
버스(100H9)는,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의 각 구성 요소간의 통신에 사용된다. 버스(100H9)는 소위 내부 버스이다. 버스(100H9)는, 예를 들어 PCI Express(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이다. 버스(100H9)는, PCI 또는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등이어도 된다.
또한,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는, 각종 프로그램에 의한 실행 대신에, 마찬가지의 처리 전부 또는 마찬가지의 처리의 일부를 실행할 수 있는 회로를,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또한,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는, ASIC 대신에,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등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또한, 설명한 하드웨어 구성은 일례이며,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는, 설명한 구성 요소를 모두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는, 설명한 구성 요소 이외의 요소가 추가, 또는 설명한 구성 요소를 용장화시켜서 다중화해서 가져도 된다.
<제조 장치>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제조 장치(102)는, 예를 들어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 중 포토리소그래피 프로세스에 있어서 포토레지스트의 도포와 현상을 행하는 장치 등이다. 이하,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조 장치(102)는, 입력 처리부(102F1)와, 제어 처리부(102F2)와, 출력 처리부(102F3)와, 프로세스 제어부(102F4)를 갖는다.
입력 처리부(102F1)는, 오퍼레이터가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에서 입력한 지시에 기초하는 조작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입력 처리부(102F1)는, 후술하는 네트워크 I/F에 의해 네트워크(200)를 통해서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로부터 조작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입력 처리부(102F1)는, 오퍼레이터의 원격 조작에 의한 프로세스 제어부(102F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용 GUI 버튼의 누르는 명령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접수한다. 입력 처리부(102F1)는, 조작 신호를 접수하는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입력 처리부(102F1)는, 조작 정보로서 제조 장치의 설정에 관한 수치 등의 데이터 또는 파라미터를 접수해도 된다.
또한, 입력 처리부(102F1)는, 입력된 데이터를 후단의 처리에서 판독 가능한 형식, 또는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형식으로 데이터를 변환, 또는 가공하는 처리 등을 행해도 된다. 또한, 입력 처리부(102F1)는,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입력용의 통신에 사용한 헤더 데이터 등 후단의 처리에는 불필요한 정보를 삭제하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제어 처리부(102F2)는, 후술하는 CPU(102H3) 등에 의해, 제조 장치(102)가 갖는 각 장치, 프로세스 제어부(102F4) 또는 제조 장치(102)에 접속된 외부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 처리부(102F2)는, 입력 처리부(102F1)에 입력된 프로세스 제어부(102F4)를 동작시키는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프로세스 제어부(102F4)를 동작시키는 등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 처리부(102F2)는, 후술하는 CPU(102H3) 등에 의해, 제조 장치(102)의 조작용의 GUI를 포함하는 조작 화면을 생성하고, 생성한 조작 화면을 후술하는 출력 처리부(102F3)에 출력시킨다.
출력 처리부(102F3)는, 후술하는 CPU(102H3) 및 후술하는 화상 출력 커넥터(102H4) 등에 의해, 제조 장치(102)를 조작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인 조작 화면을 출력한다. 출력 처리부(102F3)가 출력하는 조작 화면은, 리모트 KVM 장치(101)에 출력되어, 리모트 KVM 장치(101) 및 네트워크(200)를 통해서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에 송신된다. 또한, 출력 처리부(102F3)가 출력하는 조작 화면은, 리모트 KVM 장치(101)에 출력되어, 리모트 KVM 장치(101)에 접속되어 있는 출력 장치에 출력된다.
프로세스 제어부(102F4)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후술하는 제조 프로세스용 장치(1022)를 제어한다.
<제조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제조 장치(102)는, 정보 처리 장치(1021)와, 제조 프로세스용 장치(1022)를 갖는다. 정보 처리 장치(1021) 및 제조 프로세스용 장치(1022)는, 케이블(1023)로 접속되어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21)는 컴퓨터이다. 정보 처리 장치(1021)는, 예를 들어 PC, 서버 또는 메인 프레임 등이다.
정보 처리 장치(1021)는, 보조 기억 장치(102H1)와, 기억 장치(102H2)와, CPU(102H3)와, 화상 출력 커넥터(102H4)와, 입력 커넥터(102H5)와, 입출력 커넥터(102H6)를 갖는다.
정보 처리 장치(1021)의 각 구성 요소끼리는, 버스(102H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버스(102H7)에의 접속은, 브리지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접속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21)의 구성은, 도 5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버스(102H7)는 복수의 버스를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CPU(102H3) 등 고속 전송용의 버스와, 입출력 커넥터(102H6) 등 저속 전송용의 버스가 상이하고, 브리지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버스끼리 서로 접속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보조 기억 장치(102H1)는, CPU(102H3) 및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의 제어에 의해, CPU(102H3)가 행하는 처리의 중간 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파라미터 또는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기억한다. 보조 기억 장치(102H1)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래시 SSD 등이다.
기억 장치(102H2)는, CPU(102H3)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기억 영역, 소위 메모리 등의 주기억 장치이다. 기억 장치(102H2)는,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파라미터 등의 정보를 기억한다.
CPU(102H3)는, 정보 처리 장치(1021)가 행하는 각 처리를 위한 연산,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CPU(102H3)는, 버스(102H7)를 통해서 보조 기억 장치(102H1)와, 기억 장치(102H2)와, 입출력 커넥터(102H6)의 사이에서 정보의 입출력을 행한다. 또한, CPU(102H3)는,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한, CPU(102H3)는, 병렬 처리에 의해 고속화를 행하기 위해서, 복수의 CPU 또는 복수의 코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CPU(102H3)에 의한 처리는, 정보 처리 장치(1021)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별도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갖고, CPU(102H3)의 보조를 시켜서 처리가 행하여져도 된다.
또한, CPU(102H3)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기억 영역은, 기억 장치(102H2)의 기억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억 영역은, 보조 기억 장치(102H1)의 기억 영역을 사용하는, 소위 가상 메모리 방식을 사용해도 된다. 화상 출력 커넥터(102H4)와, 입력 커넥터(102H5)는, 예를 들어 리모트 KVM 장치(101) 등의 외부 장치와 접속하여, 외부 장치와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의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버스, 소위 외부 버스이다.
화상 출력 커넥터(102H4)는, 예를 들어 아날로그 RGB(Red Green Blue)용의 D-Sub15 핀 커넥터, HDMI(등록 상표)(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또는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등 화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입력 커넥터(102H5)는, 예를 들어 PS/2 커넥터, USB 또는 RS-232C(Recommended Standard 232C) 등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입력 커넥터(102H5)는,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nc.) 1394 또는 Thunderbolt(등록 상표) 등이어도 된다.
화상 출력 커넥터(102H4) 및 입력 커넥터(102H5)는, 규격에 준한 커넥터 형상, 접속 핀 등의 물리적인 접속 단자, 접속 단자를 통해서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회로(도시하지 않음) 및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 등을 갖는다. 또한, 입력 커넥터(102H5)는, 유선 회선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Bluetooth(등록 상표) 등의 무선 회선용인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입력 커넥터(102H5)는, 리모트 KVM 장치(101)가 수신 가능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디코더/인코더하는 처리 또는 리모트 KVM 장치(101)의 수신부와 동기를 취하는 등의 타이밍 조정을 행하는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가져도 된다.
또한, 화상 출력 커넥터(102H4) 및 입력 커넥터(102H5)는, 복수의 커넥터, 처리 회로 및 케이블로 구성되어도 된다.
입출력 커넥터(102H6)는, 제조 프로세스용 장치(1022)를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입출력 커넥터(102H6)는, D/A 변환 회로(도시하지 않음) 및 출력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출력 커넥터에 케이블(1023)을 접속시킨다. 입출력 커넥터(102H6)는, 입력 커넥터(102H5)를 통해서 리모트 KVM 장치(101)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조 프로세스용 장치(102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입출력 커넥터(102H6)는, A/D 변환 회로(도시하지 않음) 및 입력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입력 커넥터에 케이블(1023)을 접속시킨다. 입출력 커넥터(102H6)는, 제조 프로세스용 장치(1022)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조 프로세스용 장치(1022)의 상태 등을 파악한다.
제조 장치(102)는, 입출력 커넥터(102H6)로부터 입출력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조 프로세스용 장치(1022)의 조작용의 조작 화면을 생성하고, 화상 출력 커넥터(102H4)를 통해서 리모트 KVM 장치(101)에 화상을 출력한다.
제조 장치(102)는, 리모트 KVM 장치(101)로부터 입력 커넥터(102H5)를 통해서 입력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조 프로세스용 장치(1022)를 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제조 프로세스용 장치(1022)를 제어시켜서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또한, 제조 장치(102)는, 제조 프로세스용 장치(1022)가 실장하는 각종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조 장치(102)의 상태 등을 파악하여, 상태를 반영시킨 조작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조작 화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리모트 KVM 장치(101)에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2 정보 처리 기기(102)는, 제조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정보 처리 기기(102)는, PC, 서버 또는 메인 프레임 등 정보 처리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제2 정보 처리 기기는, 다른 FA(Factory Automation)용 장치, 로봇 또는 기계 공작 장치 등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어도 된다.
<리모트 KVM 장치>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리모트 KVM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리모트 KVM 장치(101)는, 입력 처리부(101F1)와, 기억부(101F2)와, 제어 처리부(101F3)와, 제한 처리부(101F4)와, 출력 처리부(101F5)를 갖는다.
입력 처리부(101F1)는, 화상 입력부(101F11)와, 제한 데이터 입력부(101F12)와, 제어 신호 입력부(101F13)를 갖는다.
입력 처리부(101F1)는, 각 커넥터를 통해서 다른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리모트 KVM 장치(101)에 신호 및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입력 데이터는, 입력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변환 등의 처리가 행하여져, 생성된다.
화상 입력부(101F11)는, 제조 장치(102)로부터 화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조작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등,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제한 데이터 입력부(101F12)는, 기억 매체 등으로부터 제한 처리용의 제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제한 데이터에 관한 상세는 후술한다.
제어 신호 입력부(101F13)는,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로부터 제조 장치(102)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입력 처리부(101F1)는, 후단의 처리의 전처리로서, 데이터를 소정의 포맷 형식으로 변환 또는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하는 처리 등을 행해도 된다.
기억부(101F2)는, 후술하는 기억 장치(101H2)에 각 데이터, 파라미터, 각 처리의 중간 처리 결과의 데이터 등의 정보를 기억시킨다. 기억부(101F2)는, 입력 처리부(101F1)로부터 입력된 각종 데이터를 후술하는 기억 장치에 기억시킨다.
제어 처리부(101F3)는, 후술하는 연산 장치(101H1) 및 각 장치의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리모트 KVM 장치(101)가 갖는 각 장치의 제어를 행한다.
제한 처리부(101F4)는, 후술하는 연산 장치(101H1)에 의해, 후술하는 제한 처리를 행한다.
제한 처리부(101F4)는, 판정 처리부(101F41)와, 금지 처리부(101F42)와, 화상 처리부(101F43)와, 메시지 출력 처리부(101F44)를 갖는다.
판정 처리부(101F41)는, 후술하는 연산 장치(101H1)에 의해, 후술하는 판정 처리를 행한다.
금지 처리부(101F42), 화상 처리부(101F43) 및 메시지 출력 처리부(101F44)는, 후술하는 연산 장치(101H1)에 의해, 판정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각종 제한 처리를 행한다. 제한 처리에 관한 상세는 후술한다.
출력 처리부(101F5)는, 후술하는 연산 장치(101H1), 각 I/F 및 각 장치의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리모트 KVM 장치(101)로부터 외부의 장치에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출력 처리부(101F5)는, 화상 출력부(101F51)와, 제한 신호 출력부(101F52)를 갖는다. 출력 데이터는, 출력 처리부(101F5)에 의해 출력되어, 리모트 KVM 장치(101)로부터 오퍼레이터 단말기(100) 또는 제조 장치(102)에 송신되는 신호 등이다.
화상 출력부(101F51)는, 후술하는 연산 장치(101H1), 후술하는 네트워크 I/F(101H4) 또는 후술하는 화상 출력 I/F(101H8)에 의해 화상을 출력한다. 화상에 관한 제한 처리가 행해진 경우, 화상 출력부(101F51)는, 제한 처리가 행하여진 화상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화상 출력부(101F51)는, 후술하는 네트워크 I/F(101H4)를 사용해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상 출력부(101F51)는, 후술하는 화상 출력 I/F(101H8)에 접속된 디스플레이(101H81) 등 출력 장치에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한 신호 출력부(101F52)는, 후술하는 연산 장치(101H1) 및 출력용 커넥터(101H6)에 의해, 제한 처리가 행하여진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한 신호 출력부(101F52)는, 네트워크(200)를 통해서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제한 처리가 행해진 경우, 제한 처리된 제어 신호를 제조 장치(102)에 출력한다.
또한, 출력 처리부(101F5)는, 출력하는 처리의 전처리로서, 출력처가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D/A 변환, RGB2YCC 변환 등의 처리이다. 또한, 출력 처리부(101F5)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송신하기 위해 헤더 데이터 등을 부가하는 처리, 암호화, 압축 처리 또는 인코드 처리 등을 행해도 된다.
<리모트 KVM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리모트 KVM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리모트 KVM 장치(101)는, 연산 장치(101H1)와, 기억 장치(101H2)와, 미디어 커넥터(101H3)와, 네트워크 I/F(101H4)와, 입력용 커넥터(101H5)와, 출력용 커넥터(101H6)와, 화상 입력 I/F(101H7)와, 화상 출력 I/F(101H8)를 갖는다.
연산 장치(101H1)는, 각종 연산 및 제어를 행하는 IC(Integrated Circuit), 제어 장치 및 주변 회로로 구성된다. 연산 장치(101H1)는, 예를 들어 FPGA, CPLD, ASIC, DSP 또는 SiP(System in a Package) 등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연산 장치(101H1)는, 복수의 IC 또는 복수의 코어(core)로 구성되어도 된다.
기억 장치(101H2)는, 연산 장치(101H1)가 연산에 사용하는 데이터 등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이며, 소위 메모리이다. 기억 장치(101H2)는, 예를 들어 DDR-SDRAM(Double-Data-Rate Synchronous Dynamic Access Memory) 또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기억 장치(101H2)는, 타이밍 조정을 행하는, 소위 아비트레이션(Arbitration) 회로 또는 비트(Bit) 폭을 변환하는 래퍼(Wrapper) 회로 등의 주변 회로를 가져도 된다.
미디어 커넥터(101H3)는, 기록 매체인 미디어(101H3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미디어(101H31)와 파일 또는 데이터 등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미디어 커넥터(101H3)는, 미디어(101H31)에 대응한 소켓, 접속 핀 등의 접속 단자를 갖는다. 또한, 미디어 커넥터(101H3)는, 접속 단자를 통해서 입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회로를 갖는 IC(도시하지 않음) 등을 갖는다.
미디어(101H31)는, 예를 들어 SD(등록 상표) 카드, 컴팩트 플래시(등록 상표) 등 플래시 메모리이다. 또한, 미디어 커넥터(101H3)를 USB 커넥터로 하고, 미디어(101H31)를 USB 메모리로 해도 된다.
또한, 정보의 입출력은, 기억 매체를 통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네트워크 I/F(101H4)에 의해, 네트워크(200)에 접속되어 있는 파일서버(도시하지 않음)에 파일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리모트 KVM 장치(101)는, 네트워크(200)를 통해서 정보를 취득하는 기억 매체를 불필요로 하는 방식에 의해 정보를 입출력해도 된다.
네트워크 I/F(101H4)는, 네트워크(200)에 접속하여, 별도의 장치와 데이터 등의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 I/F(101H4)는, 예를 들어 LAN에 대응하는 RJ-45 커넥터, 및 처리 회로를 가진 IC 등을 갖는다. 네트워크 I/F(101H4)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200)를 통해서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와,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로부터 제조 장치(102)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 신호의 입력, 및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에 제조 장치(102)의 조작 화면에 기초한 화상 신호의 출력 등을 행한다. 또한, 네트워크 I/F(101H4)는, 유선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I/F(101H4)는, 안테나 및 무선 LAN용의 처리 회로 등을 갖고, 무선 LAN으로 실현해도 된다.
입력용 커넥터(101H5)는, 입력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입력용 커넥터(101H5)는, 예를 들어 USB 커넥터, PS/2 등이다. 입력용 커넥터(101H5)은, 처리 회로를 가진 IC 등을 갖는다. 입력용 커넥터(101H5)는, 키보드(101H51) 또는 마우스(101H52) 등 입력 장치가 접속된다. 제조 장치(102)의 오퍼레이터는, 입력 장치에 의해 조작 화면에 있어서의 GUI로부터 제조 장치(102)를 조작하기 위한 지시를 입력한다. 입력용 커넥터(101H5)는, 입력된 지시에 기초하여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후술하는 출력용 커넥터(101H6)는, 제조 장치(102)에 출력 데이터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출력시킨다. 또한, 입력용 커넥터(101H5)는, 유선 회선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입력용 커넥터(101H5)는, 안테나 및 규격에 준한 처리를 행하는 처리 회로 등을 갖고, Bluetooth(등록 상표) 등의 무선 회선용으로 실현해도 된다. 또한, 입력 장치는, 펜 타블렛 등 포인팅 디바이스 등이어도 된다.
출력용 커넥터(101H6)는, 제조 장치(102)와 접속되어, 제조 장치(102)에 출력 데이터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출력용 커넥터(101H6)는, 예를 들어 RS232-C 커넥터 등이다.
화상 입력 I/F(101H7)는, 제조 장치(102)와 접속되어, 제조 장치(102)로부터 조작 화면에 기초하는 화상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화상 출력 I/F(101H8)는, 디스플레이(101H81) 등 출력 장치와 접속되어, 화상 입력 I/F(101H7)에 입력된 조작 화면을 디스플레이(101H81)에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101H81) 대신에 프로젝터 등의 투영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입력용 커넥터(101H5)에 접속되는 입력 장치와, 화상 출력 I/F(101H8)에 접속되는 출력 장치는,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가 일체로 된 장치, 소위 터치 패널 등이어도 된다.
또한, 리모트 KVM 장치(101)는,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소위 인터로크 신호가 입력 가능해도 된다. 예를 들어, 리모트 KVM 장치(101)는, 인터로크 신호가 입력된 경우,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로부터의 원격 조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인터로크는, 리모트 KVM 장치(101)에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스위치의 ON/OFF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전체 처리>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한 전체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스텝 S0801에서는, 도 1의 리모트 KVM 장치(101)는, 도 1의 제조 장치(102)로부터 조작 화면을 취득한다. 도 1의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는, 도 1의 리모트 KVM 장치(101)가 취득한 조작 화면을 도 1의 리모트 KVM 장치(101)로부터 취득한다.
스텝 S0802에서는, 오퍼레이터는, 도 1의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에, 도 1의 제조 장치(102)에 소정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을 입력한다.
스텝 S0803에서는, 도 1의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는, 스텝 S0802에서 오퍼레이터가 입력한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도 1의 리모트 KVM 장치(101)에 송신한다. 송신된 제어 신호는, 도 1의 리모트 KVM 장치(101)의 입력 처리부(101F1)에 의해, 도 1의 리모트 KVM 장치(101)에 입력되고, 입력 데이터가 생성된다.
스텝 S0804에서는, 도 1의 리모트 KVM 장치(101)는, 스텝 S0801에서 취득한 조작 화면과, 도 1의 리모트 KVM 장치(101)의 기억부(101F2)에 기억되어 있는 제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제한 처리를 행할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처리를 행한다. 판정 처리에 관한 상세는 후술한다.
스텝 S0805에서는, 도 1의 리모트 KVM 장치(101)는, 스텝 S0804의 판정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제한 처리를 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한 처리가 필요한 경우(스텝 S0805에서 "예"), 스텝 S0806으로 진행되어, 후술하는 제한 처리를 행한다. 제한 처리가 불필요한 경우(스텝 S0805에서 "아니오"), 스텝 S0807로 진행된다.
스텝 S0806에서는, 도 1의 리모트 KVM 장치(101)는, 스텝 S0802에서 입력된 제어 신호 또는 스텝 S0801에서 취득된 조작 화면에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제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각 처리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복수의 하드웨어 리소스에 의해 분산시켜 처리되어도 된다.
스텝 S0805에서는, 도 1의 리모트 KVM 장치(101)는, 스텝 S0804의 판정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제한 처리를 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한 처리가 필요한 경우(스텝 S0805에서 "예"), 스텝 S0806으로 진행되어, 후술하는 제한 처리를 행한다. 제한 처리가 불필요한 경우(스텝 S0805에서 "아니오"), 스텝 S0807로 진행된다.
스텝 S0806에서는, 도 1의 리모트 KVM 장치(101)는, 스텝 S0802에서 입력된 제어 신호 또는 스텝 S0801에서 취득된 조작 화면에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제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각 처리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복수의 하드웨어 리소스에 의해 분산시켜 처리되어도 된다.
<판정 처리>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판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판정 처리는, 도 8의 스텝 S0804의 처리에 상당한다. 판정 처리는,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에 의해 행하여진다.
스텝 S0901에서는,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도 8의 스텝 S0801에서 취득한 조작 화면을 도 6의 화상 입력부(101F11)로부터 취득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조작 화면은, 설명을 위해, PC에서 사용되는 소위 데스크탑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조작 화면은 PC용의 화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조 장치 등의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화면 등이어도 된다.
조작 화면은, 예를 들어 데스크탑 화면(3)이다. 이하, 조작 화면이 데스크탑 화면(3)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데스크탑 화면(3)은, 예를 들어 타이틀 텍스트(31)와, 단말기 조작 아이콘(32)과,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3)과, 데이터 삭제 아이콘(34)과, 네트워크 그룹(35)을 갖는다. 네트워크 그룹(35)은, 예를 들어 메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51)과 네트워크 이용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52) 등 마찬가지의 종류의 아이콘을 그룹화한 윈도우이다.
스텝 S0902에서는,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타이틀 텍스트(31)와 마찬가지의 화상 데이터를 도 6의 제한 데이터 입력부(101F12)로부터 제한 데이터를 취득한다. 제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패턴 데이터이다. 제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미디어(101H31)에 기억되어 있는 제한 데이터를 취득하고, 기억부(101F2)에 기억한다. 패턴 데이터는, 예를 들어 타이틀 텍스트(31)의 화상 데이터이다.
타이틀 텍스트(31)는, 조작 화면을 송신한 제조 장치(102)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도 10의 경우, 타이틀 텍스트(31)는, 제조 장치(102)가 스타트의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이하, 조작 화면이 도 10의 경우, 및 제한 데이터가 타이틀 텍스트(31)에 나타내는 「스타트」의 화상 데이터이며, 기억부(101F2)에 「스타트」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스텝 S0903에서는,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도 10의 화상 데이터에, 「스타트」 화상 데이터와 동일한 화상이 있는지를 판정하는 처리, 소위 패턴 매칭 처리를 행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패턴 매칭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패턴 매칭 처리는, 2개의 화상이 유사한지를 평가하는 소위 템플릿 매칭법 등의 알고리즘에 의해 실현된다. 알고리즘은, 논리 회로에 실장이 용이한, 소위 SSD(Sum of Squared Difference) 또는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 등이다. 또한, 알고리즘은, 휘도 또는 밝기의 변화에 강하게 하기 위해서, NCC(Normalized Cross-Correlation) 또는 ZNCC(Zero-mean Normalized Cross-Correlation)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알고리즘은, 고정밀도의 대응짓기를 행하기 위해서, POC(Phase-Only Correlation) 등이어도 된다.
도 11a는, 패턴 매칭 처리의 대상이 되는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패턴 매칭 처리의 대상이 되는 화상은, 도 10에서 나타낸 데스크탑 화면(3)이다.
도 11b는, 템플릿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템플릿 화상은, 기억부(101F2)에 기억된 화상이며, 타이틀 텍스트(31)와 동일한 「스타트」 화상 데이터이다. 또한, 도 11c는, 패턴 매칭 처리의 대상이 되는 화상이 템플릿 화상으로 분할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패턴 매칭 처리는, 예를 들어 도 11a의 데스크탑 화면(3)을, 도 11b의 템플릿 화상과 동일한 면적의 화상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영역이 템플릿 화상과 동일한지 여부로 판정한다. 판정은, 예를 들어 각 화상 영역을 구성하는 전체 화소의 휘도값의 총합이, 템플릿 화상의 총합과 동일한 경우, 또는 양쪽의 총합의 차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 2개의 화상은 동일한 화상이라고 판정한다.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전체 화상 중, 하나 이상 동일한 화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데스크탑 화면(3)은 템플릿 화상을 포함한다고 판정한다.
또한, 판정은, 휘도값 대신에 예를 들어 Red, Green, Blue 등의 색을 나타내는 값에 의해 행하여져도 된다. 또한, 판정은, 총합 대신에, 평균값 등 통계 처리에 의해 산출할 수 있는 별도의 값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패턴 매칭 처리는, 화상에 의한 템플릿 매칭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0의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문자 인식을 사용해서 패턴 매칭 처리를 행해도 된다. 문자 인식에 의한 패턴 매칭 처리는, 예를 들어 기억부(101F2)에 「스타트」의 텍스트 데이터를 기억하고, 문자 인식 처리에 의해 도 10의 화상 데이터에 있는 문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 등이다.
또한, 패턴 매칭 처리는, 화상에 의한 템플릿 매칭과, 문자 인식에 의한 템플릿 매칭을 조합해서 행해도 된다.
스텝 S0904에서는,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스텝 S0903의 패턴 매칭 결과에 기초해서 소정의 패턴 데이터와 동일한 화상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0903에서 데스크탑 화면(3)이 템플릿 화상을 포함한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0904에서 "예"),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후술하는 제한 처리가 필요하다고 판정하는 스텝 S0905로 진행한다. 스텝 S0903에서 데스크탑 화면(3)이 템플릿 화상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0904에서 "아니오"), 스텝 S0906으로 진행하여,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후술하는 제한 처리가 불필요하다고 판정한다.
스텝 S0904에서는,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설정 데이터를 취득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설정 데이터의 일례를 설명하는 표이다.
설정 데이터는, 도 12의 설정 데이터(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한 처리에 의해 행하여지는 제한 처리 내용과, 제한 처리 내용을 행하는 상태가 대응지어져서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이다.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예를 들어 미디어(101H31)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4)를 취득하고, 기억부(101F2)에 기억한다.
예를 들어, 제조 장치(102)의 관리자가, 조작 화면의 데스크탑 화면(3)이 도 10에 도시한 「스타트」인 상태에 있어서 「메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51)을 클릭 가능」이라고 설정하는 경우, 설정 데이터에는 도 12의 설정 데이터(4)에서 나타낸 「설정 번호」가 「1」이도록 하는 설정을 행한다. 설정은, 설정 데이터(4)의 「설정 번호」가 「1」인 경우, 상태는 「스타트」, 제한 처리 내용은 「메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51)을 클릭 가능」이라고 하는 것처럼, 제한 처리를 행하는 상태와, 제한 처리 내용을 대응지어서 설정 데이터(4)에 입력한다. 즉, 이 경우,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도 10에 도시한 데스크탑 화면(3)에 의해 「스타트」의 상태라고 판정한다.
이어서,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스타트」의 상태인 경우, 제한 처리가 필요하다고 판정하고, 「스타트」의 상태 이외의 경우, 제한 처리가 불필요하다고 판정한다. 따라서, 스텝 S0904에서는,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스타트」의 템플릿 화상을 데스크탑 화면(3)에 포함한다고 판정한 경우, 제한 처리가 필요하다고 판정한다.
또한, 도 12의 설정 데이터(4)의 설정 번호가 1, 및 설정 번호가 2인 것과 같이, 하나의 상태에 대하여 복수의 제한 처리 내용을 설정해도 된다.
또한, 도 12의 설정 데이터(4)의 설정 번호가 1, 및 설정 번호가 3인 것과 같이, 복수의 상태로 제한 처리 내용을 설정해도 된다.
또한, 도 12에서는 「설정 번호」에 대하여 「상태」와 「제한 처리 내용」을 설정했지만, 조작자의 속성에 따라서 설정 내용을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어, 조작자가 관리자인지 일반 유저인지에 따라, 제한 처리의 설정 내용을 변경해도 된다. 반도체 제조 장치의 원격 조작의 경우라면, 조작자가 유지 보수 작업자, 프로세스 기술자, 프로세스 오퍼레이터인지에 따라 제한 처리의 설정 내용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그 경우, 오퍼레이터 단말기에의 로그인 ID 등에 의해 조작자의 속성을 판단해도 된다. 이와 같이, 장치의 상태나 조작자의 속성에 따라서 설정 내용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원격 조작에 있어서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조작의 자유도를 적절히 확보할 수 있다.
패턴 매칭 처리에 의해, 도 1의 리모트 KVM 장치(101)는, 제조 장치(102)의 상태를 조작 화면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제한 처리>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한 처리는, 전단의 처리인 판정 처리에서 제한 처리가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 즉 도 8의 스텝 S0805에서 "예"가 된 경우에 행하여지는 처리이다.
제한 처리에 의해, 도 1의 리모트 KVM 장치(101)는, 오퍼레이터가 행하는 제조 장치(102)의 원격 조작 중, 소정의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거나, 또는 무효로 하기 위한 제한을 원격 조작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다.
스텝 S1301에서는,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조작 화면인 데스크탑 화면(3)을 취득한다.
스텝 S1302에서는,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스텝 S0804의 판정 처리에서 판정된 제조 장치(102)의 상태를 취득한다.
스텝 S1303에서는,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도 8의 판정 처리에서 취득된 설정 데이터(4)로부터 제한 처리 내용을 취득한다.
스텝 S1304에서는,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제어 신호로부터 제한 처리의 대상이 되는 신호를 제한하는 처리를 행한다. 제한하는 처리는, 예를 들어 대상이 되는 신호를 소거하는 처리 등이다. 오퍼레이터가 설정 데이터(4)로 제한 처리의 대상이 되는 처리를 입력한 경우,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제조 장치(102)에 출력하는 제어 신호로부터 제한 처리의 대상이 되는 처리 대응한 제어 신호를 제한한다. 즉, 리모트 KVM 장치(101)는, 제한 처리의 대상이 되는 조작이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경우, 제조 장치(102)에 대하여 출력을 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2의 설정 데이터(4)의 경우, 스텝 S0804의 판정 처리에 있어서 제조 장치(102)의 상태가 「스타트」이며, 설정 데이터(4)로부터 설정 번호 「1」 및 「2」의 제한이 필요하다고 판정되었다고 하면, 리모트 KVM 장치(101)는, 오퍼레이터가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로부터의 조작 중, 메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51)의 클릭 이외의 조작은 제한 처리의 대상으로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도 12의 설정 데이터(4)의 경우이고, 또한 오퍼레이터가 메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51) 이외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3)을 클릭하는 조작을 한 경우, 스텝 S1304에서는,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3)을 클릭하는 조작에 기초하는 제어 신호를 제한한다.
제한 처리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의 판단은, 예를 들어 리모트 KVM 장치(101)는, 화면 내의 제한 처리의 대상이 되는 영역과, 제한 처리의 대상이 되지 않는 영역의 좌표 데이터를 갖는다. 리모트 KVM 장치(101)는,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조작이 제한 처리의 대상이 되는 영역에서 행하여진 조작인지 제한 처리의 대상이 되지 않는 영역에서 행하여진 조작인지를 좌표 데이터로부터 판단함으로써, 아이콘의 조작에 대하여 제한된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한 처리의 대상이 되는 처리에 대응한 제어 신호를 제한함으로써, 도 1의 리모트 KVM 장치(101)는, 제조 장치(102)에 안전한 조작에 기초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므로, 장치의 원격 조작에 있어서 안전성을 확보한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스텝 S1304에서 제한의 대상이 되는 조작은, 클릭에 기초하는 입력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외의 도 7의 출력용 커넥터(101H6)로부터 제조 장치(102)에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한 처리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3의 키보드(100H51)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 또는 도 7의 출력용 커넥터(101H6)로부터 제조 장치(102)에 출력되는 RS232C의 제어 신호 지시 등을 제한 처리해도 된다.
또한, 스텝 S1304에서 조작을 제한하는 처리를 행한 경우, 오퍼레이터에 통지하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이하, 도 12의 설정 데이터(4)의 경우이며 또한 오퍼레이터가 메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51) 이외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3)을 클릭하는 조작을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메시지 박스를 사용해서 오퍼레이터에 통지하는 일례이다. 스텝 S1304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3)을 클릭하는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제한하는 처리를 행한 경우, 도 1의 리모트 KVM 장치(101)는, 도 14에 도시하는 통지용의 데스크탑 화면(9)을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에 송신한다.
통지용의 데스크탑 화면(9)은, 도 10의 데스크탑 화면(3)에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3)을 클릭하는 조작은 제한 처리되어 있다는 취지를 알리는 메시지 박스(91)를 겹쳐서 생성된다.
메시지 박스(91)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제한 처리되는 조작을 알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에의 통지 방법은, 메시지 박스(91)를 사용한 통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에 경고음을 출력시키는 처리, 또는 다른 팝업 GUI를 사용한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도 6의 기억부(101F2)에 기억되는 제한 데이터는, 제한 처리의 대상을 특정하는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한 처리의 대상에서 벗어나는 데이터를 기억하고, 기억된 데이터 이외의 개소를 제한 처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6의 기억부(101F2)에 기억되는 제한 데이터는, 화상의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문자 또는 기호를 기억하는 텍스트 데이터이어도 된다. 제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화면의 일정한 범위, 크기, 위치 또는 레이아웃을 나타내기 위한 좌표 데이터이어도 된다. 제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QR 코드(등록 상표) 또는 바코드 등의 마커 데이터이어도 된다. 제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에러 메시지 박스 등을 특정하기 위한 메시지 윈도우의 형상 또는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데이터이어도 된다.
리모트 KVM 장치(101)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로부터 물리적으로 먼 곳에 있는 장치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반도체 제조 장치는, 공간에 부유하는 파티클 등이 매우 적은 장소, 소위 클린 룸에 설치된다. 오퍼레이터는, 반도체 제조 장치를 조작하는 경우, 클린 룸에 들어가는데, 그때, 옷 갈아입기, 손 세정, 및 에어 샤워하는 등의 수고가 발생한다. 또한, 클린 룸 내에서 작업하는 오퍼레이터는, 동작, 발한 또는 내쉬는 숨 등에 의해 오염원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클린 룸에 들어가는 오퍼레이터의 인원수 및 빈도는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리모트 KVM 장치(101)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클린 룸에 들어가지 않고 반도체 제조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제한 처리 및 판정 처리는, 리모트 KVM 장치(101)가 행한다. 그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 단말기(100) 및 제조 장치(102)에는, 새롭게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하는 등 보수를 할 필요성이 감소한다. 따라서, 리모트 KVM 장치(101)에 의해, 제어 장치 및 피제어 기기의 보수 등을 적게 하여, 용이하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보수를 행하지 않아도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 처리는, 오퍼레이터의 조작을 제한할 수 있는 처리이다. 리모트 KVM 장치(101)는, 제조 장치(102)의 조작 화면으로부터 장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상태에 따라서는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원격 조작에 관한 제어 신호가 제조 장치(102)에 전해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 장치(102)가 반도체 제조 장치인 경우,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의 오퍼레이터가 먼 곳에 있어, 제조 장치(102)의 주변 상황을 모르는 상황에서, 제조 장치(102)의 메인터넌스가 행하여지고 있는 도중에 장치를 조작하는 것은 위험을 수반한다. 원격 조작에 의한 제조 장치(102)의 조작 중, 제조 장치(102)의 상태에 따라서는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조작을 제한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리모트 KVM 장치(101)에 의해, 안전성을 확보해서 원격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로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을 사용한다. 따라서,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정보 처리 기기에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정보 처리 기기에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제조 장치(102)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제조 장치(102)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는, 정보 처리 장치에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리모트 KVM 장치(101)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리모트 KVM 장치(101)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전체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에서 행하는 도 8의 전체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 형태는, 스텝 S0804의 화상에 의한 판정 처리, 및 스텝 S0806의 제한 처리의 내용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제2 실시 형태의 판정 처리>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의 판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판정 처리에서는, 스텝 S1501 및 스텝 S1502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도 9 스텝 S0901 및 스텝 S0902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고,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조작 화면 및 패턴 데이터를 취득한다.
스텝 S1503에서는,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차분 화상을 생성한다. 차분 화상은, 전회의 판정 처리가 행하여진 조작 화면과, 현재의 판정 처리의 조작 화면을 비교해서 상이한 부분의 화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이다. 전회의 판정 처리의 조작 화면은, 전회의 판정 처리의 후술하는 스텝 S1508에서, 예를 들어 도 6의 기억부(101F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판독해서 취득한다.
도 6의 기억부(101F2)에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첫회의 판정 처리는,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의 판정 처리를 행하는 등, 도 6의 기억부(101F2)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는 별도의 판정 처리를 행한다. 이하, 첫회의 판정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의 판정 처리를 행하고, 후술하는 스텝 S1508에서 전회의 판정 처리의 각종 데이터가 도 6의 기억부(101F2)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의 차분 화상 및 차분 화상의 생성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는, 전회의 판정 처리의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a에서는, 전회의 판정 처리의 조작 화면이 예를 들어, 도 10에서 나타낸 데스크탑 화면(3)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6b는, 현재의 판정 처리의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b는, 전회의 판정 처리의 조작 화면인 도 16a의 데스크탑 화면(3)에 폴더(71)가 추가된 변경 후 데스크탑 화면(7)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전회의 판정 처리의 조작 화면은, 도 16a의 데스크탑 화면(3), 및 현재의 판정 처리의 조작 화면은, 도 16b의 현재의 판정 처리의 조작 화면이 변경 후 데스크탑 화면(7)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6c는, 스텝 S1503에서 생성된 차분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차분 화상(8)은, 도 16a의 데스크탑 화면(3)과, 도 16b의 변경 후 데스크탑 화면(7)을 비교하여, 상이한 부분을 추출한 화상이다. 도 16a의 데스크탑 화면(3)과, 도 16b의 변경 후 데스크탑 화면(7)은, 변경 후 데스크탑 화면(7)에 폴더(71)가 추가되어 있는 부분이 상이하므로, 도 16c는, 예를 들어 폴더(71)의 화상이 된다.
스텝 S1504 내지 스텝 S1507에서는,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제1 실시 형태의 도 9의 스텝 S0903 내지 스텝 S0906의 처리를,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변경 후 데스크탑 화면(7) 전체에 행하였다. 이에 반해, 스텝 S1504 내지 스텝 S1507에서는,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차분 화상(8)에 대하여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1504 내지 스텝 S1507에서,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변경 후 데스크탑 화면(7)에 대하여 화상 사이즈가 작은 차분 화상(8)에 대해서 패턴 매칭 처리 및 제한 처리가 필요한지의 판정 처리를 행한다. 패턴 매칭 처리 및 제한 처리가 필요한지의 판정 처리는, 작은 화상에 대하여 행하기 때문에, 계산량이 적어,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다.
스텝 S1504에서는, 차분 화상(8)의 경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차분 화상(8)에 「스타트」의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패턴 매칭에 의해 판정한다.
스텝 S1505에서, 차분 화상(8)에 「스타트」의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한 처리가 필요하다고 판정하는 스텝 S1506으로 진행된다. 스텝 S1505에서, 차분 화상(8)에 「스타트」의 문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1507로 진행되고, 제한 처리가 필요한지 여부의 판정에서는, 후술하는 스텝 S1508에서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판정 처리의 결과와 마찬가지의 판정을 행한다. 변경 후 데스크탑 화면(7)은, 도 16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틀 텍스트(31)에 「스타트」의 문자를 갖고 있다. 전회의 판정 처리에서는, 스텝 S1506에 의해 제한 처리가 필요하다고 판정하는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고, 제한 처리가 필요하다고 판정한 결과가 도 6의 기억부(101F2)에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스텝 S1507에서는, 제한 처리가 필요하다고 판정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1508에서는, 도 6의 판정 처리부(101F41)는, 도 6의 기억부(101F2)에, 변경 후 데스크탑 화면(7), 차분 화상(8), 차분 화상(8)의 좌표 위치 및 스텝 S1507에서 제한 처리가 필요하다고 판정한 결과를 기억시킨다.
<제2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
제2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에서는,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시지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제한 처리되는 조작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는, 도 14에서 설명한 메시지에 의한 제한 처리와, 후술하는 마스크 처리를 조합시킨 제한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의 제어 신호를 제한하는 처리를 차분의 정보로 행해도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2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에서는, 예를 들어 제한 처리로서, 후술하는 마스크 처리를 행한다. 이하, 제2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를, 후술하는 마스크 처리의 경우에서 설명한다.
마스크 처리는, 예를 들어 도 12의 설정 데이터(4)에서 사용을 제한한다고 설정된 아이콘에 음영 등의 처리를 행하여, 화면상에서 시각적으로 오퍼레이터에게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처리이다.
마스크 처리는, 예를 들어 도 12의 설정 데이터(4)에서 사용을 제한한다고 설정된 아이콘에 음영 등의 처리를 행한다. 음영 등의 처리가 이루어진 영역에서 오퍼레이터가 조작한 경우, 마스크 처리는,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가 조작에 대응하는 제조 장치(102)에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제한하는 처리를 행하여, 제한하는 처리가 행하여지는 것을 나타내는 처리이다.
마스크 처리의 상세는, 후술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에서는, 제한 처리를 차분 화상(8)에 대하여 행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에서는, 차분 화상(8)에 제한 처리한 화상과, 전회의 제한 처리에서 생성된 후술하는 마스크 처리된 조작 화면과, 합성해서 조작 화면을 생성하고, 출력한다.
스텝 S1701에서는,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차분 화상과, 전회의 마스크 처리한 조작 화면을 취득한다. 차분 화상(8)은, 도 15의 판정 처리에서 도 6의 기억부(101F2)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해서 취득한다. 전회의 마스크 처리한 조작 화면은, 후술하는 스텝 S1708에서, 예를 들어 도 6의 기억부(101F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판독해서 취득한다. 도 6의 기억부(101F2)에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첫회의 제한 처리는,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를 행하는 등, 도 6의 기억부(101F2)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는 별도의 제한 처리를 행한다. 이하, 첫회의 제한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를 행하고, 후술하는 스텝 S1708에서, 전회의 제한 처리의 각종 데이터가 도 6의 기억부(101F2)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스텝 S1702 및 스텝 S1703에서는,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제1 실시 형태의 도 13의 스텝 S1302 및 스텝 S1303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고, 제조 장치(102)의 상태 및 도 6의 기억부(101F2)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4)에 기초하여 제한 처리 내용을 취득한다.
스텝 S1704 내지 스텝 S1707에서는,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제1 실시 형태와 달리, 스텝 S1701에서 취득한 차분 화상(8)에 대해서 마스크 처리가 필요한지의 판단 및 마스크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704에서는,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차분 화상(8)에 대해서 마스크 처리가 필요한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차분 화상(8)에 대해서 스텝 S1703에서 취득한 제한 처리 내용에 기초하여 마스크 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스텝 S1704에서 "예"), 스텝 S1705로 진행되고,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차분 화상에 대해서 마스크 처리를 행한다. 차분 화상(8)에 대해서 스텝 S1703에서 취득한 제한 처리 내용에 기초하여 마스크 처리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스텝 S1704에서 "아니오"), 스텝 S1707로 진행되고,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차분 화상과, 전회의 마스크 처리한 조작 화면을 합성하고, 합성에 의해 생성한 화상을 출력한다.
스텝 S1705에서는,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차분 화상에 대해서 마스크 처리를 행한다. 차분 화상(8)이 도 16c이고 또한 설정 데이터가 도 12의 설정 데이터(4)인 경우, 차분 화상(8)은, 도 16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더(71)이다. 폴더(71)는, 도 12의 설정 데이터(4)에 기초하여 마스크 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의 마스크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는, 차분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a는, 도 16c의 화상과 동일하다.
도 18b는, 마스크 처리된 차분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b는, 도 18a의 차분 화상(8)을 스텝 S1705의 마스크 처리인 음영에 의해, 마스크 처리된 차분 화상(81)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스텝 S1706에서는,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마스크 처리된 차분 화상(81)과, 전회의 마스크 처리한 조작 화면을 합성하여, 출력한다. 전회의 마스크 처리한 조작 화면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20c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이며, 전회의 제한 처리의 후술하는 스텝 S1708에서 도 6의 기억부(101F2)에 기억되어 있다.
도 18c는, 합성에 의해 생성된 데스크탑 화면(82)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합성에 의해 생성된 데스크탑 화면(82)은, 도 18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가, 후술하는 도 20c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에, 마스크 처리된 차분 화상(81)을 겹쳐서 조작 화면을 생성함으로써 생성된다.
또한, 합성의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판정 처리에 있어서의 도 15의 스텝 S1508에서, 차분 화상에 관한 정보로서, 차분 화상의 위치, 크기, 범위 등을 나타내는 좌표 정보를 기억하고, 제한 처리의 스텝 S1706에서 사용해도 된다.
스텝 S1707에서는,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20c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과, 도 18a의 차분 화상(8)을 합성하여 출력한다.
도 18d는, 차분 화상을 마스크 처리하지 않는 경우의 합성에 의해 생성된, 차분 화상을 마스크 처리하지 않는 데스크탑 화면(83)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차분 화상을 마스크 처리하지 않는 데스크탑 화면(83)은, 예를 들어 스텝 S1703에서 취득되는 설정 데이터(4)에서 폴더(71)가 메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51)과 마찬가지로, 클릭 가능하다고 설정된 경우 등에 생성되는 화상이다.
차분 화상을 마스크 처리하지 않는 데스크탑 화면(83)은, 스텝 S1706에서,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가, 차분 화상(8)과, 전회의 마스크 처리한 조작 화면을 합성해서 생성된다.
스텝 S1708에서는,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스텝 S1706의 합성에 의해 생성된 데스크탑 화면(82)을 도 6의 기억부(101F2)에 기억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는, 마스크 처리를 행할지 여부의 판단, 및 마스크 처리의 대상을 데스크탑 화상보다 화상 사이즈가 작은 차분 화상에 대하여 행하기 때문에, 계산량이 적어,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데스크탑 화면에 폴더가 증가한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을 행했지만,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화면상에 팝업 화면이 표시된 경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차분 처리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2의 설정 데이터(4)에서의 설정 번호 「3」과 같이, 상태가 「파일명을 지정해서 실행」이라는 팝업 화면이 표시된 경우에, 그 차분 화상에 대하여 판정 처리 및 제한 처리를 행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한 처리 및 판정 처리는, 리모트 KVM 장치(101)에 의해 행한다. 그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 단말기(100) 및 제조 장치(102)에는, 새롭게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하는 등 보수를 할 필요성이 감소된다. 따라서, 리모트 KVM 장치(101)에 의해, 제어 장치 및 피제어 기기의 보수 등을 적게 하여, 용이하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보수를 행하지 않아도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다.
제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리모트 KVM 장치(101)는, 오퍼레이터에게 원격 조작으로 행하면 위험한 조작을 알림으로써, 오퍼레이터에 의한 위험한 조작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리모트 KVM 장치(101)에 의해, 원격 조작에 있어서 안전성을 확보한 조작을 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로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3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을 사용한다. 따라서,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는, 제1 정보 처리 기기에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오퍼레이터 단말기(100)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 단말기(100)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정보 처리 기기에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제조 장치(102)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제조 장치(102)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에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리모트 KVM 장치(101)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리모트 KVM 장치(101)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전체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에서 행하는 도 8의 전체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제3 실시 형태는, 스텝 S0806의 제한 처리의 내용이 상이하다.
<제3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3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의 제3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는, 도 13의 제1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와 비교하여, 도 13의 스텝 S1304가, 스텝 S1904 및 스텝 S1905로 되어 있는 것이 상이하다. 따라서, 도 19의 제3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에 있어서의 스텝 S1901 내지 스텝 S1903의 처리는, 도 13의 제1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에 있어서의 S1301 내지 스텝 S1303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3의 제1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와 상이한 개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스텝 S1904에서는,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도 12의 설정 데이터(4)에 설정된 현재의 상태에 대응하는 제한 처리를 행한다. 이하, 상태가 「스타트」인 경우, 「메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51)을 클릭 가능」을 메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51)의 부분 이외를 음영 표시로 하는 처리로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스텝 S1904에서는,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스텝 S1901에서 취득한 데스크탑 화면(3)에 메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51)이 표시되는 영역 이외에 마스크 처리를 행한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화면을 마스크 처리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는, 스텝 S1901에서 취득되는 데스크탑 화면(3)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취득되는 데스크탑 화면(3)은, 도 10 및 도 9의 스텝 S0901에서 취득되는 화상과 동일한 데이터이다.
도 20b는, 마스크 처리에 사용하는 마스크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마스크 데이터(5)는, 데스크탑 화면(3)과 화상의 세로, 및 가로의 화소수가 동일한, 즉 동일한 크기의 화상 데이터이다. 마스크 데이터(5)는, 클릭 가능 영역(51)이 설정된다. 클릭 가능 영역(51)은, 투과의 화상 영역이며, 미리 영역을 지정한다. 마스크 데이터(5)를 겹친 경우, 클릭 가능 영역(51)의 부분에는, 겹쳐진 화상의 부분이 마스크되지 않고 표시된다.
도 20c는,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은, 도 20a의 데스크탑 화면(3)에, 도 20b의 마스크 데이터(5)를 겹쳐서 생성된다. 마스크 처리에 의해, 도 6의 제한 처리부(101F4)는, 도 20a의 화상 중, 클릭 가능한 영역, 즉 도 20b에서 지정한 클릭 가능 영역(51)을 표시하고, 다른 영역을 음영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을 생성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도 20c에 의해, 현재의 상태에서 원격 조작에 의해 실행 가능한 조작 내용을 알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제한 처리와 조합해서 복수의 제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한 처리는, 제한 처리를 하는 대상을 아이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한 처리는, 예를 들어 다른 종류의 위젯(Widget)에 제한 처리를 행해도 된다. 제한 처리의 대상은, 예를 들어 탭(Tab), 스크롤바(Scrollbar), 텍스트박스(Textbox), 체크 박스(Checkbox), 라디오 버튼(Radiobutton) 또는 윈도우(Window) 등의 GUI이다.
마스크 처리는, 도 20a 내지 도 20c의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마스크 처리는, 비표시, 무효화 등이어도 된다.
도 21a 내지 도 2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마스크 처리의 종류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a 내지 도 21e는, 모두 도 20a 내지 도 20c에서 설명한 마스크 처리와 마찬가지로, 도 20a의 데스크탑 화면(3)에, 도 20b의 마스크 데이터(5)를 겹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a 내지 도 20c와, 도 21a 내지 도 21e에서는, 클릭 가능 영역(51) 이외의 영역에 행하는 마스크 처리가 상이하다.
도 21a는, 도 20b의 클릭 가능 영역(51) 이외의 영역에 있는 위젯을 비표시의 마스크 처리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비표시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1)은, 도 20에서 설명한 마스크 처리와 마찬가지로, 도 20a와, 도 20b로부터 생성된다. 즉, 비표시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1)은, 도 20b에서 지정한 클릭 가능 영역(51)을 표시하고, 다른 영역에 대하여 비표시의 마스크 처리를 행함으로써 생성된다.
도 21b는, 도 20b의 클릭 가능 영역(51) 이외의 영역에 있는 위젯을 반투명화시켜, 무효화한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반투명화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2)은, 도 20a 내지 도 20c에서 설명한 마스크 처리와 마찬가지로, 도 20a와, 도 20b로부터 생성된다. 즉, 반투명화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2)은, 도 20b에서 지정한 클릭 가능 영역(51)을 표시하고, 다른 영역을 반투명화의 마스크 처리를 행함으로써 생성된다.
도 21c는, 도 20b의 클릭 가능 영역(51) 이외의 영역을 흑색으로 칠하여, 무효화한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색으로 칠해서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3)은, 도 20a 내지 도 20c에서 설명한 마스크 처리와 마찬가지로, 도 20a와, 도 20b로부터 생성된다. 즉, 색으로 칠해서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3)은, 도 20b에서 지정한 클릭 가능 영역(51)을 표시하고, 다른 영역을 흑색으로 칠하는 마스크 처리를 행함으로써 생성된다.
도 1의 리모트 KVM 장치(101)는, 도 21a 내지 도 21e에 나타낸 비표시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1), 반투명화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2), 또는 색으로 칠해서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3)을 오퍼레이터에 출력한다. 오퍼레이터는, 각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으로부터 현재의 상태에서 원격 조작에 의해 실행 가능한 조작 내용을 알 수 있다.
또한, 마스크 처리는, 일부의 위젯을 마스크 처리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1d 또는 도 21e와 같이 소정의 위젯을 마스크 처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21d는, 일부의 아이콘을 비표시의 마스크 처리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d에서는, 일부의 아이콘이 도 21a와 마찬가지의 비표시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4)을 나타내고 있다. 일부의 아이콘이 비표시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4)은, 도 10의 단말기 조작 아이콘(32)을 비표시로 한 경우의 예에 해당한다. 일부의 아이콘이 비표시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4)의 경우, 오퍼레이터는, 단말기 조작 아이콘(32)의 조작만을 오퍼레이터가 행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1e는, 일부의 윈도우를 비표시의 마스크 처리한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21d는, 일부의 윈도우가 도 21a와 마찬가지의 비표시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5)이다. 일부의 윈도우가 비표시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65)은, 도 10의 네트워크 그룹(35)의 윈도우, 및 네트워크 그룹(35)에 포함되는 메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51)과 네트워크 이용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52)을 비표시로 한 경우의 예이다.
또한, 도 6의 기억부(101F2)에 기억되는 마스크 처리용의 데이터는, 마스크 처리의 대상을 특정하는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마스크 처리의 대상에서 벗어나는 데이터를 기억하고, 기억된 데이터 이외의 개소를 마스크 처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6의 기억부(101F2)에 기억되는 마스크 처리용의 데이터는, 화상의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스크 처리용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문자 또는 기호를 기억하는 텍스트 데이터이어도 된다. 마스크 처리용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화면의 일정한 범위, 크기, 위치 또는 레이아웃을 나타내기 위한 좌표 데이터이어도 된다. 마스크 처리용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QR 코드(등록 상표) 또는 바코드 등의 마커 데이터이어도 된다. 마스크 처리용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에러 메시지 박스 등을 특정하기 위한 메시지 윈도우의 형상 또는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데이터이어도 된다.
또한, 제한 처리는, 마스크 처리만을 행하는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한 처리는, 마스크 처리와, 마스크 처리된 영역에서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처리를 조합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한 처리는, 마스크 처리와, 마우스의 커서를 마스크 처리된 영역에 이동시키지 않는 배타 처리를 행하는 처리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0의 경우, 마우스의 커서는, 메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351)의 영역 이외로의 이동은 입력할 수 없는 처리 등을 마스크 처리와 조합해서 행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한 처리 및 판정 처리는, 리모트 KVM 장치(101)에 의해 행한다. 그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 단말기(100) 및 제조 장치(102)에는, 새롭게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하는 등 보수를 할 필요성이 감소한다. 따라서, 리모트 KVM 장치(101)에 의해, 제어 장치 및 피제어 기기의 보수 등을 적게 하여, 용이하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보수를 행하지 않아도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다.
마스크 처리를 행함으로써, 리모트 KVM 장치(101)는, 오퍼레이터에, 원격 조작으로 행하면 위험한 조작이 될 수 있는 것을 알릴 수 있어, 오퍼레이터에 의한 위험한 조작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리모트 KVM 장치(101)에 의해, 원격 조작에 있어서 안전성을 확보한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조 장치(102)로부터 오퍼레이터 단말기측에서 표시를 시키고 싶지 않은 화면, 예를 들어 제조 장치(102)에서 로그인 조작을 행할 때의 화면 등이, 오퍼레이터 단말기에 표시되는 것을 제한하여, 시큐리티를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1)은, 별개로 복수의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를 가져도 된다.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각종 처리는, 처리를 고속으로 행하기 위해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병행, 또는 분산해서 처리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시스템 구성은 일례이며, 용도나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이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각 처리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2 이상의 컴퓨터에 의해 분산, 용장 또는 병렬로 처리되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가 사용하는 정보는, 2 이상의 기억 장치에 분산 또는 용장해서 기억되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PC 등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FPD(Flat Panel Display) 등 디스플레이 제조, 또는 태양 전지 등 전자 기기, 및 전자 부품 제조의 제조 장치에 관한 분야에서 실시할 수 있다.
본 국제 출원은, 2013년 11월 1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3-238356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2013-238356호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본 국제 출원에 원용한다.
1 : 정보 처리 시스템 2 : 케이블
3 : 데스크탑 화면 31 : 타이틀 텍스트
32 : 단말기 조작 아이콘
33 :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
34 : 데이터 삭제 아이콘 35 : 네트워크 그룹
351 : 메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
352 : 네트워크 이용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아이콘
4 : 설정 데이터 5 : 마스크 데이터
51 : 클릭 가능 영역
6 :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
61 : 비표시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
62 : 반투명화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
63 : 색으로 칠해서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
64 : 일부의 아이콘이 비표시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
65 : 일부의 윈도우가 비표시의 마스크 처리된 데스크탑 화면
7 : 판정 처리의 데스크탑 화면 71 : 폴더
8 : 차분 화상 81 : 마스크 처리된 차분 화상
82 : 합성에 의해 생성된 데스크탑 화면
83 : 차분 화상을 마스크 처리하지 않는 데스크탑 화면
9 : 통지용의 데스크탑 화면 91 : 메시지 박스
100 : 오퍼레이터 단말기(제1 정보 처리 기기)
101 : 리모트 KVM 장치(정보 처리 장치)
102 : 제조 장치(제2 정보 처리 기기)
200 : 네트워크 100F1 : 입력 처리부
100F2 : 제어 처리부 100F3 : 출력 처리부
101F1 : 입력 처리부 101F11 : 화상 입력부
101F12 : 제한 데이터 입력부 101F13 : 제어 신호 입력부
101F2 : 기억부 101F3 : 제어 처리부
101F4 : 제한 처리부 101F41 : 판정 처리부
101F42 : 금지 처리부 101F43 : 화상 처리부
101F44 : 메시지 출력 처리부 101F5 : 출력 처리부
101F51 : 화상 출력부 101F52 : 제한 신호 출력부

Claims (8)

  1. 제1 정보 처리 기기로부터 제2 정보 처리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기기로부터의 조작에 기초하는 입력 데이터와, 상기 제2 정보 처리 기기로부터 상기 조작에 관한 조작 화면에 기초하는 화상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입력 처리 수단과,
    상기 조작의 입력 데이터 또는 상기 화상의 입력 데이터에,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제한 처리 수단과,
    제2 정보 처리 기기의 상태에 따른 제한 처리 내용을 포함하는 제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상기 제한 처리 수단은,
    상기 화상의 입력 데이터와, 상기 제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출력 처리 수단을 갖고,
    상기 제한 처리 수단은, 상기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조작의 입력 데이터에 상기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출력 처리 수단은,
    상기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가 행하여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정보 처리 기기에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출력 처리 수단을 갖고,
    상기 제한 처리 수단은, 상기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화상의 입력 데이터에 상기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출력 처리 수단은,
    상기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가 행하여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정보 처리 기기에 출력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데이터는,
    적어도 마커 데이터, 화상 데이터, 좌표 데이터, 레이아웃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인,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처리 수단이 판정 상기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는,
    상기 화상의 입력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제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마스크 처리하는 처리인,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이전에 상기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가 행하여진 과거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제한 처리 수단이 상기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는,
    상기 과거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화상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인, 정보 처리 장치.
  7.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포함하는 제1 정보 처리 기기로부터 제2 정보 처리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기기로부터의 조작에 기초하는 조작의 입력 데이터와, 상기 제2 정보 처리 기기로부터 상기 조작에 관한 조작 화면에 기초하는 화상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입력 처리 수단과,
    상기 조작의 입력 데이터 또는 상기 화상의 입력 데이터에,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제한 처리 수단과,
    제2 정보 처리 기기의 상태에 따른 제한 처리 내용을 포함하는 제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상기 제한 처리 수단은,
    상기 화상의 입력 데이터와, 상기 제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할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정보 처리 시스템.
  8. 제1 정보 처리 기기로부터 제2 정보 처리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기기로부터의 조작에 기초하는 조작의 입력 데이터와, 상기 제2 정보 처리 기기로부터 상기 조작에 관한 조작 화면에 기초하는 화상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화상의 입력 데이터와, 상기 제한 데이터에 기초해서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할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조작의 입력 데이터 또는 상기 화상의 입력 데이터에, 상기 소정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고,
    제2 정보 처리 기기의 상태에 따른 제한 처리 내용을 포함하는 제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정보 처리 방법.
KR1020167012673A 2013-11-18 2014-11-13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KR201600868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38356 2013-11-18
JP2013238356A JP6678375B2 (ja) 2013-11-18 2013-11-18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PCT/JP2014/080117 WO2015072526A1 (ja) 2013-11-18 2014-11-13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836A true KR20160086836A (ko) 2016-07-20

Family

ID=53057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673A KR20160086836A (ko) 2013-11-18 2014-11-13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261717A1 (ko)
JP (1) JP6678375B2 (ko)
KR (1) KR20160086836A (ko)
TW (1) TWI671676B (ko)
WO (1) WO20150725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2817B2 (ja) * 2016-08-04 2018-09-1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6944291B2 (ja) * 2017-07-05 2021-10-06 株式会社ディスコ 加工装置
JP7469854B2 (ja) * 2019-05-20 2024-04-17 シュナイダーエレクトリ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面作成装置
CN110928460B (zh) * 2019-10-09 2021-12-03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交互平板的操作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WO2024062567A1 (ja) * 2022-09-21 2024-03-28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2387A (ja) 2002-03-22 2003-10-03 Tokyo Electron Ltd 機器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機器制御方法
JP2004348605A (ja) 2003-05-23 2004-12-09 Tokyo Electron Ltd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034376A (ja) 2005-07-22 2007-02-08 Fujitsu Component Ltd 切り替え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0809B2 (ja) * 2003-01-28 2009-07-2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粒状物体の検査装置およびその検査方法
EP1678937A4 (en) * 2003-10-10 2010-07-28 Enfora L P REGULATION OF THE USE OF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5347953A (ja) * 2004-06-01 2005-12-15 Canon Inc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被制御装置
JP2006352460A (ja) * 2005-06-15 2006-12-28 Toyota Motor Corp リモート操作システム、サービスセンタ及びリモート操作装置
JP4956938B2 (ja) * 2005-08-25 2012-06-20 富士通株式会社 リモート操作プログラム、方法及び端末装置
JP4439475B2 (ja) * 2006-01-31 2010-03-24 キヤノンソフト情報システム株式会社 イベント実行システム
JP2008244633A (ja) * 2007-03-26 2008-10-09 Seiko Epson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AU2008203410A1 (en) * 2007-07-30 2009-02-19 Daryl Morellini Profiling method and apparatus
JP5290553B2 (ja) * 2007-09-20 2013-09-1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Kvmスイッチ、kvm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055099B2 (ja) * 2007-12-06 2012-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リモート操作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4956400B2 (ja) * 2007-12-18 2012-06-20 株式会社京三製作所 車両存否判定装置、車両存否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70415A (ja) * 2009-01-23 2010-08-05 Nec Corp 動作変更装置と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とプログラム
US20120116547A1 (en) * 2009-07-22 2012-05-10 Mikio Shigehara Remote control system for machine tool
US8522016B2 (en) * 2010-06-18 2013-08-27 Axis Technology Software, LLC On-the-fly data masking
US8655345B2 (en) * 2011-01-08 2014-02-18 Steven K. Gold Proximity-enabled remote control
JP5734085B2 (ja) * 2011-05-13 2015-06-10 株式会社Nttドコモ 画面共有装置、画面共有システム、画面共有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648387B (zh) * 2011-07-22 2017-02-08 东芝医疗系统株式会社 医用图像控制系统以及便携终端
JP2013137669A (ja) * 2011-12-28 2013-07-11 Ntt Docomo Inc 画面共有装置及び画面共有方法
JP2013211736A (ja) * 2012-03-30 2013-10-10 Nippon Seiki Co Ltd 車載装置
JP6120670B2 (ja) * 2013-05-16 2017-04-26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2387A (ja) 2002-03-22 2003-10-03 Tokyo Electron Ltd 機器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機器制御方法
JP2004348605A (ja) 2003-05-23 2004-12-09 Tokyo Electron Ltd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034376A (ja) 2005-07-22 2007-02-08 Fujitsu Component Ltd 切り替え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99999A (ja) 2015-05-28
WO2015072526A1 (ja) 2015-05-21
JP6678375B2 (ja) 2020-04-08
TW201531922A (zh) 2015-08-16
US20160261717A1 (en) 2016-09-08
TWI671676B (zh)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98817B1 (en) User interface logical and execution view navigation and shifting
KR20160086836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EP37987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industrial applications
US20200007602A1 (en) Remote desktop video streaming alpha-channel
EP2838003A1 (en) User interaction and display of tree hierarchy data on limited screen space
US10339255B2 (en) Program development support devic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thereon computer-readable program development support program, and program development support method
EP3940538A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or registration processing based on deep learning and electronic device
CN107479957A (zh) 一种多系统应用的切换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2022126793A (ja) 端末の制御方法及び装置、電子機器、記憶媒体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7506457B (zh) 一种数据处理的方法和设备
US20220317833A1 (en) Preferential automation view curation
US20170039037A1 (en) Live mobile application visual editor demo
CN112416332B (zh) 一种图形化编程的界面展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8920230A (zh) 鼠标悬浮操作的响应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WO2021153620A1 (ja) プログラミング学習支援方法、プログラミング学習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908292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CN112584065B (zh) 一种课件的显示方法、系统、设备和存储介质
US7146594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chematic generation
CN112035210A (zh) 用于输出颜色信息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JP2006301729A (ja) 画面作成方法および画面作成装置
CN102221899A (zh) 管理多台计算机的操作接口、操作方法及其程序产品
US10678517B1 (en) User interface synthesis based upon extracted presentation document graphical features
EP3635527B1 (en) Magnified input panels
TW202236037A (zh) 用於多部電子計算裝置的機器人流程自動化裝置及機器人流程自動化方法
JP2016177668A (ja) ブロックダイヤグラム管理装置、ブロックダイヤグラ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