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344A -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는 보상 회로, 커뮤테이션 셀 및 전력 변환기 - Google Patents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는 보상 회로, 커뮤테이션 셀 및 전력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344A
KR20160086344A KR1020167013658A KR20167013658A KR20160086344A KR 20160086344 A KR20160086344 A KR 20160086344A KR 1020167013658 A KR1020167013658 A KR 1020167013658A KR 20167013658 A KR20167013658 A KR 20167013658A KR 20160086344 A KR20160086344 A KR 20160086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
power electronic
electronic switch
compensation circuit
induc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하메드 아마르
장-마크 시르
야코비 마알랭엔 엘
파스칼 플뢰리
Original Assignee
티엠4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엠4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티엠4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86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02M1/0054Transistor switching losses
    • H02M1/0058Transistor switching losses by employing soft switching techniques, i.e. commutation of transistors when applied voltage is zero or when current flow is zer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 H03K17/082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by feedback from the outpu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82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by feedback from the output to the control circuit in composite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 H03K17/161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H03K17/165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by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 H03K17/168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composite switches
    • H02M2001/0009
    • H02M2001/0058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0027Measuring means of, e.g. currents through or voltages across the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02B70/1491

Abstract

본 개시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통해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보상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보상 회로는 턴-온시에 전력 전자 스위치의 인덕턴스 양단에 유도된 전압의 제 1 부분을 샘플링하는 회로 경로를 포함한다. 다른 회로 경로는 턴-오프시에 전력 전자 스위치의 인덕턴스 양단에 유도된 전압의 제 2 부분을 샘플링한다. 보상 회로는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 동안에 전압의 샘플링된 부분을 각각 공급하도록 구성된 게이트 드라이버 기준 접속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제 2 전력 전자 스위치와 병렬인 제 1 전력 전자 스위치와, 커뮤테이션 셀과, 한 쌍의 병렬 레그를 가진 전력 변환기를 제어하는 보상 회로가 개시되며, 각 전력 전자 스위치는 보상 회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는 보상 회로, 커뮤테이션 셀 및 전력 변환기{COMPENSATION CIRCUIT, COMMUTATION CELL AND POWER CONVERTER CONTROLLING TURN-ON AND TURN-OFF OF A POWER ELECTRONIC SWITCH}
본 개시는 전력 전자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는 보상 회로, 커뮤테이션 셀 및 전력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커뮤테이션 셀(commutation cell)은, 통상적으로, 가끔 인버터라고도 불리우는, DC-DC 변환기 및 DC-AC 변환기를 포함하는 전압원의 변환을 요구하는 전자 시스템에 이용된다. 예를 들어, 전기 및/또는 전기 하이브리드 자동차 응용에서 이용되는 것들과 같은 전력 변환기 회로에 대해 허용되는 제한된 공간 때문에 및 반도체의 고비용을 고려하여, 이들 커뮤테이션 셀의 집적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한다.
전력 변환기 회로에 있어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는 알려진 방식은 냉각 표면의 크기가 줄어들도록 그들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통상적인 전력 변환기 회로에 존재하는 전력 전자 스위치들에 있어서의 손실은 주로 2가지 소오스들, 즉, 전도성 손실 및 스위칭 손실에 의해 유발된다. 스위칭 손실을 줄이는 한가지 방식은 통상적으로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를 가속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전력 전자 스위치의 고속 턴-오프는 그들의 고주파 루프의 기생(스트레이(stray)) 인덕턴스에 과전압을 생성한다. 따라서, 전력 전자 스위치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오프를 늦추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통상적인 전력 변환기 회로의 전체적인 효율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전력 변환기 회로에 이용되는 것들과 같은 통상적인 커뮤테이션 셀의 이상적인 회로도이다. 커뮤테이션 셀(10)은 전압원(12)(또는 커패시터)으로부터의 DC 전압(Vbus)을 전류원(Iout)(또는 인덕턴스)으로 변환하며, 이 전류원(Iout)은 저항성 부하, 전기 모터 등일 수 있는 부하(14)에 적당한 전압(Vout)을 생성한다. 커뮤테이션 셀(10)은 프리휠 다이오드(freewheel diode)(16)와 제어형 전력 전자 스위치(18),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so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를 구비한다. 커패시터(Cin)는 전압원(120)의 전압(Vbus)의 변동을 제한하는데 이용되고, 인덕턴스(32)는 출력 전류(Iout)의 변동을 제한하는데 이용된다. 게이트 드라이버(도 1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그 다음 도면들에는 도시됨)는 전력 전자 스위치(18)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한다. 도 1에는 커뮤테이션 셀(10), 부하(14) 및 전압원(12)의 구성이 도시되며, 거기에서는 에너지가 전압원(12)에서 부하(14)로, 즉, 도면상에서 좌측으로 우측으로 흐른다. 또한, 커뮤테이션 셀(10)은 에너지가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반전 구성에 이용될 수 있다.
턴 온 시에, 전력 전자 스위치(18)에 의해 전류는 그의 콜렉터(22)에서 에미터(24)를 통과할 수 있게 되며, 그 시점에, 전력 전자 스위치(18)는 폐 회로(closed circuit)와 유사하게 될 수 있다. 턴 오프 시에, 전력 전자 스위치(18)는 전류가 그를 통과하지 않게 하며 개 회로(open circuit)로 된다.
게이트 드라이버는 전력 전자 스위치(18)의 게이트(26)와 에미터(24) 사이에 가변 제어 전압을 인가한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같은, 일부 유형의 전력 전자 스위치의 경우, 게이트 드라이버는 전압원 대신에 전류원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게이트(26)와 에미터(24)간에 인가된 전압이 "하이"일 경우, 전력 전자 스위치(18)는 콜렉터(22)에서 에미터(24)로 전류가 흐를 수 있게 한다. 게이트(26)와 에미터(24)간에 인가된 전압이 "로우"일 경우, 전력 전자 스위치(18)는 그를 통한 전류의 통과를 차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Vge로 표시된 게이트(26)와 에미터(24)간의 전압차는 게이트 드라이버에 의해 제어된다. Vge가 전력 전자 스위치(18)에 대한 임계치(Vge ( th ))보다 높으면, 스위치(18)는 턴 온되고, 콜렉터(22)와 에미터(24)간의 전압(Vce)은 거의 0으로 된다. Vge가 Vge(th)보다 낮으면, 전력 전자 스위치(18)는 턴 오프되고, Vce는 결국 Vbus에 도달한다.
전력 전자 스위치(18)가 턴 온되면, 전류(Iout)는 전압원(12)(및 일시적으로 커패시터(20))으로 부터 부하(14)를 통해 및 콜렉터(22)와 에미터(24)를 통해 흐른다. 전력 전자 스위치(18)가 턴 오프되면, 전류(Iout)는 부하(14)로부터 순환하여 프리휠 다이오드(16)에서 지나간다. 따라서, 전력 전자 스위치(18) 및 프리휠 다이오드(16)는 서로 협력하여 동작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높은 빈도로 전력 전자 스위치(18)를 턴 온 및 턴 오프하면 출력 인덕턴스(Lout)(32)에서의 전류(Iout)는 아주 일정하게 유지된다.
예를 들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같은, 다른 전력 전자 스위치 유형의 경우, 용어 "게이트"는 "베이스"로 대체될 수 있고, 그 베이스는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게이트와 반대로, 전류에 의해 제어됨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차이가 커뮤테이션 셀(10)의 전체적인 동작 원리를 변경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의 통상적인 커뮤테이션 셀의 다른 회로도로서, 기생(스트레이) 인덕턴스를 보여준다. 도 1의 이상적인 모델과 대조적으로, 실제 커뮤테이션 셀의 부품들간의 접속은 기생 인덕턴스를 정의한다. 비록 기생 인덕턴스들은 커뮤테이션 셀(10)내의 여러 장소에 분산되지만, 도 2에 안출된 적당한 모델은, 전력 전자 스위치(18)의 에미터 인덕턴스(30)와, 프리휠 다이오드(16), 전력 전자 스위치(18) 및 커패시터(20)에 의해 형성되는 고주파 루프(36)의 주위의 (에미터 인덕턴스(30)과는 다른) 모든 다른 기생 인덕턴스를 나타내는 인덕턴스(34)를 포함하는 전체 기생 인덕턴스를 나타내는 2개의 개별적인 인덕턴스를 보여준다. 고주파 루프(36)는 전력 전자 스위치(18)의 스위칭시에 전류가 크게 변경되는 경로이다. 출력 인덕턴스(Lout)(32)는 고주파 루프의 일부가 아닌데, 이는 그의 전류가 커뮤테이션 기간에 걸쳐 아주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임을 알아야 한다.
도 3은 게이트 드라이버(40)를 추가로 나타내는 통상적인 커뮤테이션 셀의 회로도이다. 커뮤테이션 셀(10)의 일부 소자들은, 도시를 간략화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되지 않았다. 도 3에는, 포지티브 공급 전압(42)과 네거티브 공급 전압(44)을 가진 게이트 드라이버(40)가 추가로 도시되며, 게이트 드라이버(40)의 출력(46)은 게이트 저항(Rg)을 통해 전력 전자 스위치(18)의 게이트(26)에 접속된다. 게이트 드라이버(40)의 포지티브 공급 전압(42)은, +Vcc로 표시된 값을 가지며, 네거티브 공급 전압(44)은, -Vcc로 표시된 값을 가진다. 게이트 드라이버(40)의 입력(48)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커뮤테이션 셀(10)의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게이트 드라이버(40)의 출력(46)에서의 전압은, 게이트(26)에서의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Vcc로 상승하고 -Vdd로 하강한다. 에미터에 대한 게이트(26)의 입력 저항은 특히 IGBT의 경우에 매우 높을 수 있다. 그러나, 게이트(26)와 에미터(24)사이에 존재하는, 기생 밀러 커패시턴스는, 게이트 드라이버(40)가 +Vcc와 -Vdd 간에 교번할 때, 일부 전류가 출력(46)으로부터 흐를 수 있게 한다. 게이트 트랜지스터의 값(Rg)은 전력 전자 스위치(18)의 원하는 스위칭 속도와 기생 밀러 커패시턴스의 함수로서 선택되며, 그에 따라 게이트(26)에서의 전압은 원하는 스위칭 속도에 적당한 비율로 변경된다.
도 3에 있어서, 전력 전자 스위치(18)와 에미터 기생 인덕턴스(30)를 통해 흐르는 전류(Iigpt)는, 전력 전자 스위치(18)가 턴-온될 때에는, Iout와 필연적으로 동일하게 되며, 전력 전자 스위치(18)가 턴 오프될 때에는, (실질적으로) 0이 되도록 신속하게 감소하게 된다.
전력 전자 스위치(18)가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면, 그를 통해 흐르는 전류(Iigbt)는 고속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di/dt로 표시된 Iigbt의 이러한 변동은, 잘 알려진 수학식 (1)에 따라, 인덕턴스(30,34)에 걸쳐 전압을 생성한다.
Figure pct00001
여기에서, VL은 인덕턴스 양단에 유도된 전압이고, L은 인덕턴스 값이다.
기생 인덕턴스(34) 양단에 전압(VLs)이 생성되고, 에미터 기생 인덕턴스(30) 양단에 전압(VLe)이 생성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에미터 인덕턴스(30)를 포함하는 고주파 루프 인덕턴스(34) 양단에 도시된 극성들은, 전류(Iigbt)가 매우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di/dt가 네거티브 값을 취할 때, 전력 전자 스위치(18)의 턴-오프시에 획득된 전압을 반영한다. 전력 전자 스위치(18)의 턴 온시에는, 에미터 인덕턴스(30)를 포함하는 고주파 루프 인덕턴스(34) 양단의 전압이 반대 방향으로 된다.
이들 전압(VLs 및 VLe)은 전압원(12)으로부터의 전압(Vbus)과 직렬이다. 전력 전자 스위치(18)가 턴 오프되면, 콜렉터(22)와 에미터(24)간 전압은, 프리휠 다이오드(16)가 턴 온될 때 까지 증가한다. 이 시점에 있어서, Vbus, VLs 및 VLe가 추가되면 전력 전자 스위치(18)의 콜렉터(22)와 에미터(24)간에 중요한 과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전력 전자 스위치는 어느 정도 레벨의 동작 정격 전압을 가지지만, 극도의 과전압은 임의 전력 전자 스위치의 수명을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그의 너무 이른 고장을 일으키거나 심지어 디바이스를 고장나게 한다.
도 4는 2개의 통상적인 커뮤테이션 셀들로 형성된 통상적인 IGBT 레그(leg)의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3의 상술한 설명에서 소개된 2개의 커뮤테이션 셀(10)은 단일 루프로 접속되어 전력 변환기(50)의 IGBT 레그(70)를 형성하며, 도 1 내지 3의 IGBT는 도 4의 예시에서는 전력 전자 스위치(18)로서 이용된다. 제 1 전력 전자 스위치(하부의 IGBT(Q1))는 제 1 프리휠 다이오드(상부 프리휠 다이오드(D2))와 협력하여 동작하며, 제 1 전력 전자 스위치(상부의 IGBT(Q2))는 또 다른 프리휠 다이오드(하부의 프리휠 다이오드(D1))와 협력하여 동작한다. 각 IGBT는 그 자신의 게이트 드라이버(40)를 가진다. 전압원(12)은 기생 인덕턴스(Lc)를 통해 IGBT 레그(70)에 접속된 입력 커패시턴스(20)(Cin)에 병렬로 전압(Vbus)을 제공한다. 전력 변환기의 무선, 접속, 결합 해제 커패시터 및 회로 보드 트레이스들(traces)에 본질적으로 제공되는 기생 인덕턴스들이 도 4에 도시되었다. 참조번호 12와 같은 배터리로부터 3상 전기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이용되는 3상 전력 변환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IGBT 레그(70)들을 구비한다. 그러한 전력 변환기는 잘 알려져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추가적으로 설명하지 않겠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겠지만, 각 게이트 드라이버의 기준은 전형적으로 IGBT들(Q1, Q2)의 로직 핀들로 알려진 IGBT들(Q1, Q2)의 에미터에 접속된다. 간결성을 위해, 도 4의 설명은 하부의 IGBT(Q1)를 포함하는 그의 하부 부분에 집중된다.
도 2 및 도 3의 상술한 설명에서 논의된 전력 전자 스위치(18)에 대한 과전압 영향은 IGBT(Q1, Q2)에도 적용된다.
하부 IGBT(Q1)가 턴 오프되면, 과전압 기간동안, 전류는 하부 IGBT(Q1)에서 상부의 프리휠 다이오드(D2)로 운송된다. 적절하게 선택된 IGBT는 IGBT 레그(70)에 존재하는 여러 기생 인덕턴스(Lc, L+ Vbus, Lc -high, Le-high, Lc -low, Le-low 및 L- Vbus)에 걸쳐 전류 변동(di/dt)에 의해 생성된 과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실제로, 인덕턴스들이 거기에서의 전류의 변경을 억제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기생 인덕턴스의 극성들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IGBT 레그(70)에 추가적인 전압들이 전개된다. 소오스의 전압(Vbus)에 추가된 이들 전압으로 인해 하부의 IGBT(Q1)의 최대 콜렉터-에미터간 전압(Vce) 정격을 초과하는 전압이 유발된다. 상부 IGBT(Q2)도 이러한 문제를 겪는다.
게이트-에미터 전압의 경사를 완만하게 함에 의해, 전력 전자 스위치에 있어서의 과전압을 제한하고자 하는 해법이 존재한다. 그러나, 과전압의 과도한 제한은 전류의 보다 긴 스위칭 시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커뮤테이션 셀 성능을 줄이게 된다.
또한, 커뮤테이션 셀(10)과 전력 변환기(50)는, 높은 버스 전압(Vbus)에서 동작할 때, 그들의 최대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고주파 루프(36)의 기생 인덕턴스들의 양단에 생성된 과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오늘날의 해법은 전력 전자 스위치(18)의 최대 전압 정격에 근접한 버스 전압들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버스 전압들은 시간에 걸쳐 가변하거나 다른 응용들간에 가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통상적인 커뮤테이션 셀에 있어서의 과전압 보호는 통상적으로 안전 조치로서 과설계(overdesign)될 필요가 있다. 그 경우, 통상적인 커뮤테이션 셀은 그들의 최대 달성 가능 전력 출력 미만에서 작동한다.
특히, IGBT 레그들이 병렬로 배치될 때 커뮤테이션 셀의 병렬화로부터 동적 전류 공유와 관련된 수많은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병렬화된 한 쌍의 전력 전자 스위치들 중 하나의 천이가 동일한 쌍 중 다른 것보다 빠른 상태일 때, 이러한 가장 빠른 스위치가 다른 것들보다 많은 전류를 지원하고, 그에 따라 보다 많은 열을 생성한다. 이것은, 일부 병렬화된 전력 전자 스위치들의 조속한 노화를 빈번하게 유도하고, 그에 따라 전력 변환기의 수명이 조기에 끝나게 된다.
통상적으로, 그러한 동적 불균형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몇 가지 규칙이 뒤따른다. 제 1 규칙은, 동일한 게이트 저항 및 게이트 루프 인덕턴스를 가진 게이트 드라이버가 모든 전력 전자 스위치의 스위칭 시간들간의 지연을 최소화하는데 이용되는 매칭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를 각 전력 전자 스위치마다 이용하는 것이다. 제 2 규칙에 따르면, 병렬로 배치될 전력 전자 스위치들은, 그들이 기생 커패시턴스, 임계 전압 및 이득과 같은 본질적 파라메타와 매칭되도록 선택된다. 매칭된 전력 전자 스위치의 선택은, 동일 배치(batch)에서 제조된 스위치들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3 규칙은 모든 전력 전자 스위치를 위한 고주파수 루프에 동일한 회로 레이아웃(layout)을 이용하는 것이다. 많은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이러한 제 3 규칙을 충족시키기가 특히 어려운 경우가 빈번한데, 그 이유는 공통 전력 전자 스위치는 그들 자신의 전력 회로 경로를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이산 스위치들을 병렬로 배치할 경우, 기계적 및 패키징 필요성 때문에 그들 전력 회로 브렌치들의 각각을 매칭시키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전력 전자 스위치의 가변 특성을 보상할 수 있는 회로가 필요하다.
본 개시에 따르면, 게이트 드라이버를 통해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보상 회로가 제공된다. 보상 회로는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오프시에 전력 전자 스위치의 인덕턴스 양단에 유도된 전압의 제 1 부분을 샘플링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경로를 포함한다. 또한, 보상 회로는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오프시에 전력 전자 스위치의 인덕턴스 양단에 유도된 전압의 제 2 부분을 샘플링하도록 구성된 제 2 회로 경로를 포함한다. 보상 회로는,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동안 전압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각각 공급하도록 구성된 게이트 드라이버 기준 접속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는, 또한, 제 2 전력 전자 스위치와 병렬로 배치된 제 1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보상 회로와 관련되며, 그 제어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통해 이루어진다. 보상 회로는 제 1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시에 제 1 전력 전자 스위치의 인덕턴스 양단에 유도된 전압의 제 1 부분을 샘플링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경로를 포함한다. 보상 회로는 제 1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오프시에 제 1 전력 전자 스위치의 인덕턴스 양단에 유도된 전압의 제 2 부분을 샘플링하도록 구성된 제 2 회로 경로를 포함한다. 보상 회로는 제 1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동안에 전압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각각 공급하도록 구성된 게이트 드라이버 기준 접속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스위칭 과전압을 제한하는 구성으로 된 커뮤테이션 셀이 제공된다. 커뮤테이션 셀은, 기생 인덕턴스를 가진 전력 전자 스위치와, 기생 인덕턴스에 접속된 보상 회로를 구비하며, 기생 인덕턴스를 통해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시에 전압이 생성된다.
본 개시는, 추가로, 한 쌍의 병렬 레그들을 구비한 전력 변환기와 관련되는데, 각 레그는 직렬로 접속된 한 쌍의 전력 전자 스위치들을 가지며, 각 전력 전자 스위치는 보상 회로들 중 하나를 구비한다.
본 개시는 한 쌍의 병렬 레그들을 구비한 전력 변환기와 관련되며, 각 레그는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한 쌍의 커뮤테이션 셀을 직렬로 접속시킨다.
상술한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주어진, 예시적인 실시 예의 이하의 비제한적 설명을 읽으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단지 이하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전력 변환기 회로에 이용되는 통상적인 커뮤테이션 셀의 이상적인 회로도;
도 2는 기생(스트레이) 인덕턴스가 도시된, 도 1의 통상적인 커뮤테이션 셀의 다른 회로도;
도 3은 게이트 드라이버가 추가로 도시된 통상적인 커뮤테이션 셀의 회로도;
도 4는 2개의 통상적인 커뮤테이션 셀로 형성된 통상적인 IGBT 레그의 회로도;
도 5는 5개의 병렬화된 IGBT 레그들을 포함하는 전력 변환기의 회로도;
도 6은 제 1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보상 회로를 도시한 도 5의 일부의 상세도;
도 7은 제 2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보상 회로를 도시한 도 5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여러 도면에서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특징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여러 측면은 전반적으로 스위칭 시에 전력 변환기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과전압 문제를 다룬다.
특히, IGBT의 턴 오프시에 커뮤테이션 셀에서의 과전압을 제한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회로들은, Jean-Marc Cyr 등에 의한, 국제특허공개번호 WO 2013/082705 A1, 국제특허출원번호 PCT/CA2013/000805, 미국가출원번호 61/808,254, 61/898,502, 61/904,038, 61/905,045 및 61/904,050 및 http://www.advbe.com/docs/DeciElec2013-Jean Marc Cyr - TM4.pdf에서 입수할 수 있는 “Reducing switching losses and increasing IGBT drive efficiency with ReflexTM gate driver technology”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들 개시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수록된다.
본 기술은 커뮤테이션 셀의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 오프 및 턴 온시의 과전압 및 스위칭 손실의 제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안출된 회로 및 방법들은 전반적으로 병렬화된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 온 및/또는 턴 오프시에 과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다른 해법과 호환 가능하다. 제한 없이, 개시된 기술은 단일 커뮤테이션 셀, 2개의 캐스케이드형(cascaded) 커뮤테이션 셀을 가진 레그 및 병렬화된 레그에 이용될 수 있다.
커뮤테이션 셀에 있어서,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오프시의 di/dt는 커뮤테이션 셀의 고주파 루프의 기생(스트레이) 인덕턴스 양단에 전압을 생성한다. 이 전압은 커뮤테이션 셀에 전력을 제공하는 버스 전압에 추가하여 전력 전자 스위치 양단에 인가된다. 전력 전자 스위치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전력 전자 스위치 양단에 존재하는 과전압의 샘플을 주입하는 것에 기초한 해법이 제안되었다. 본 개시에 따라 구축된 커뮤테이션 셀은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시에 전력 전자 스위치의 인덕턴스 양단에 유도된 전압의 다른 부분을 각각 선택하여, 이들 부분들이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하는 한 쌍의 회로 경로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IGBT 레그들을 형성하는 커뮤테이션 셀의 쌍들(pairs)을 포함하는 전력 변환기와 관련하여 주로 설명되며, 한 쌍의 IGBT 레그들은 고전력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추가로 병렬 배치된다. 그러나, 단일 커뮤테이션 셀 또는 단일 IGBT 레그에도 동일한 교시가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하의 설명은 게이트 절연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의 이용과 주로 연관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IGBT에 대한 언급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기술이 금속-산화물-반도체 필드-효과 트랜지스터(MOSFET),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와 유사한 전력 전자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성된 커뮤테이션 셀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시된 보상 회로는 독특한 특성을 가진 병렬화된 전력 전자 스위치들간의 동적 불균형의 감소에 의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전력 전자 스위치의 병렬 동작을 도모한다. 이것은, 턴-온 및 턴-오프시의 스위칭된 전류의 균형화에 의해 달성된다. 각각의 개별적인 전력 전자 스위치의 고주파 루프의 기생 인덕턴스 양단의 강하 전압(drop voltage)의 피드백을 그의 각각의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에 주입하기 위해 보상 회로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병렬화된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시의 속도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 보상 회로는 턴-온 동안에 전력 전자 스위치의 게이트에 인가된 전압을 동적으로 감소시키고, 턴-오프동안에 그것을 증가시킴에 의해 커뮤테이션 셀에 있어서의 전류 변동(di/dt)을 개별적으로 조정한다. 물론, 개시된 보상 회로는, 그것이 스위칭 동안의 과전압 제어의 전반적인 문제에 대한 대안적인 해법을 제공함으로써, 단일 전력 전자 스위치 구성 또는 단일 레그 구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2개의 병렬화된 IGBT 레그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기의 회로도이다. 또한 도 5에는 각 전력 전자 스위치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대한 개별적 피드백 루프 및 부품 상호 접속에 의해 유발된 기생 인덕턴스가 도시된다. 도 5의 예시에 있어서, 2개의 레그는 동일 모듈 또는 다른 모듈의 스위치들로부터 또는 이산 부분들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문맥에 있어서, '모듈'은 공통 웨이퍼로부터 제조된 여러 IGBT들 및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칩을 포함하는 패키지이다. 또한, 2개의 병렬화된 스위치들은 출력에서 이용 가능한 상 전류(phase current)를 증가시키기 위한 병렬화된 이산 부분들일 수 있다.
제 1 레그(100)는 하부 IGBT(Q1), 그와 연관된 프리휠 다이오드(D2) 및 기생 인덕턴스(Lc1-low 및 Le1 -low), 상부 IGBT(Q2), 그와 연관된 프리휠 다이오드(D1) 및 기생 인덕턴스(Lc2-high 및 Le2-high)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게이트 드라이버(GD1 및 GD2)는 각각 하부 및 상부 IGBT(Q1 및 Q2)의 게이트와 연관된다. 게이트 드라이버(GD1 및 GD2)는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들과 접속된 IGBT(Q1 및 Q2)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킨다. 각 게이트 드라이버(GD1 및 GD2)의 게이트 드라이버 기준(복귀 경로)은 각각 보상 회로(112,114)에 접속되고, 각 보상 회로는 또한 그들 각각의 IGBT(Q1, Q2)의 기생 에미터 인덕턴스(Le1-low, Le2-high) 양단에 접속된다.
제 2 레그(200)는 하부 및 상부 IGBT(Q3, Q4)와 대응하는 프리휠 다이오드(D3, D4)를 포함한다. 상부 IGBT(Q2, Q4)는 각 보상 회로(114, 118)에 접속된 각 게이트 드라이버(GD2, GD4)에 의해 (동시에) 병렬로 턴 온되어, 포지티브 Vbus 탭에서 포트(300)에 접속된 부하로 전류를 제공하는데, 그 부하는 예를 들어 3상(three-phase) 모터의 단상(one phase)이다. 상부 IGBT(Q2, Q4)는 병렬로 턴 오프되는 반면, 하부 IGBT(Q1, Q3)는 각 게이트 드라이버(GD1, GD3)에 의해 턴 온되어, 부하로부터 네거티브 Vbus 탭으로 전류 경로를 제공한다.
제 2 레그(200)는 제 1 레그(100)와 동일하며, 여기에서는 추가로 설명하지 않겠다. 포트(300)에 접속된 부하에 더 많은 전력을 제공하기를 원할 경우, 제 1 및 제 2 레그(100, 200)에 대해 병렬로 추가적인 레그가 이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부하의 전력 요건에 따라 및 전력 변환기에 있어서의 IGBT의 전력 정격에 따라 다수의 병렬 레그들이 선택될 것이다.
IGBT들(Q2, Q4)이 턴-온 또는 턴-오프되면, IGBT(Q2, Q4)의 각 게이트 회로가 최소 지연 및 유사 게이트 회로 파라메타들의 견지에서 유사한 타이밍을 제공할 경우, 전류의 변경 레이트(di/dt)는 레그들(100 또는 200) 중 보다 낮은 전체 기생 인덕턴스를 가진 레그(100 또는 200)에서 더 높게 된다. 예를 들어, 합 Le1 -low + Lc1 -low + Le2 -high + Lc2 -high이 합 Le3 -low + Lc3 -low + Le4 -high + Lc4 -high보다 작으면, 레그(100)에서의 보다 낮은 전체 인덕턴스가 di/dt에 대해 보다 작은 저항을 대립시킨다. 그 경우, IGBT(Q2)는 IGBT(Q4)보다 높은 전류를 커뮤테이트(commutate)하여, 턴-온시에 보다 많은 손실을 낭비하게 한다. 그 경우, IGBT(Q2)는 IGBT(Q4)보다 높은 열적 스트레스를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IGBT(Q2, Q4)가 턴 오프되면, 그들은, 전력 변환기의 레그(100, 200)에 각각 존재하는 Q2에 대한 L- Vbus, Le1 -low, Lc1 -low, Le2 -high, Lc2 -high L+ Vbus와, Q4에 대한 L- Vbus, Le3-low + Lc3 -low + Le4 -high + Lc4 -high 및 L+ Vbus를 포함하는 여러 기생 인덕턴스들 양단의 di/dt에 의해 생성된 과전압을 견딜 수 있다. 실제로, 인덕턴스들은 거기에서의 전류의 변경에 저항하기 때문에, 각 레그(100, 200)의 회로에서 추가적인 전압들이 전개된다. 신뢰성 때문에,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Vbus 탭들간의 전압에 추가된 이들 전압들은 각 IGBT의 최대 정격 전압 아래로 유지되어야 한다. IGBT들(Q2, Q4)간의 다른 턴-오프 di/dt는 턴-오프 손실에 있어서의 불균형 및 다른 전압 오버슈트(overshoot)를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IGBT의 게이트 드라이버에서의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각 전력 전자 스위치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접속된 보상 회로를 추가함에 의해, 각 IGBT의 기생 에미터 인덕턴스에 유도된 전압의 샘플들이 게이트 드라이버에서 피드백되어, 각 IGBT마다 독자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 동안에, IGBT를 통과하는 전류의 변화 레이트(di/dt)를 제어한다.
그에 따라, 각 IGBT의 기생 에미터 인덕턴스 양단의 전압의 제어 부분이 게이트 드라이버에서 주입되어 전력 회로에서 IGBT의 게이트 회로로 네거티브 전압(피드백)을 생성하며, 그에 따라 게이트-에미터 전압(Vge)의 변동이 완만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지연 또는 추가적인 게이트 전류를 크게 유발하지 않고도 게이트 전압에 직접 작용하게 된다.
통상적인 시판중인 IGBT 모듈에서는 에미터의 국소적인 전력 접속들간의 에미터 인덕턴스가 최적이 아니기 때문에, 턴-온 및 턴-오프 시점동안에 각각 게이트 드라이브 회로에 주입된 전압의 샘플을 최적화하기 위해 보상 회로가 개발되었다. 도 6은 제 1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보상 회로를 도시한 도 5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6에는 보상 회로(112)의 실시 예를 가진 병렬화된 레그(100, 200)의 하부가 도시된다.
간결성을 위해, 보상 회로(112) 및 IGBT(Q1)와 그의 게이트 드라이브(GD1)에 대한 그의 접속만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보상 회로(114,116,118)는 유사하게 구성됨을 알아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 회로(112)는 기생 인덕턴스(Le1 -low) 양단에 직렬로 접속된 저항들(R1,R2)을 구비한 턴-온 저항성 분배기 회로를 포함한다. 다이오드(Don)는 게이트 드라이버(GD1)의 기준(113)에 저항들(R1,R2)의 접합을 상호 접속시킨다.
유사하게, 보상 회로(112)는 기생 인덕턴스(Le1 -low) 양단에 직렬로 접속된 저항들(R3,R4)을 구비한 턴-오프 저항성 분배기 회로를 포함한다. 다이오드(Doff)는 게이트 드라이버(GD1)의 기준(113)에 저항들(R3,R4)의 접합을 상호 접속시킨다.
턴-온 및 턴-오프 저항성 분배기 회로는 게이트 드라이버(GD1)로 피드백되는 유도 전압의 레벨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한다. IGBT(Q1)의 턴-오프시에, Q1을 통과하는 전류의 네거티브 변동은 기생 인덕턴스 양단에 강하 전압을 유발한다(이것은 턴-오프시에 기생 에미터 인덕턴스상에 생성된 전압의 극성을 보여주는 도 2를 참조하면 가장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에미터 전압은 기준(113)에서의 전압보다 낮다. 턴-온 다이오드(Don)는 그 시점에 도통하지 않지만, 턴-오프 다이오드(Doff)는 도통하게 된다. IGBT(Q1)의 턴-온시에는 그 반대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턴-온 및 턴-오프 다이오드(Don, Doff)는 IGBT(Q1)의 적절한 스위칭 시점에 정확한 저항성 분배기가 이용될 수 있게 한다.
게이트 드라이버는 그들 각자의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에 대한 개별적인 제어를 가지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게이트 저항(Ron, Roff)은 IGBT(Q1)의 게이트 및 게이트 드라이버(GD1)의 출력을 상호 접속시켜서, 개별적인 스위칭 시점에, 도 3 및 도 4의 게이트 저항(Rg) 역할을 한다. 게이트 저항(Ron,Roff)의 값을 증가시키면 턴-온 및 턴-오프시의 전류의 변동 레이트가 느려지며, 그들의 값을 감소시키면 턴-온 및 턴-오프시에 이러한 변동 레이트가 빨라진다. 이것은 커뮤테이션에 큰 영향을 주는 전력 회로의 기생 인덕턴스에 있어서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개방 루프 작용이다.
따라서, 턴-오프 동안에, R4에 대한 R3의 비율은 Roff와 조합되어 IGBT(Q1)에서의 전류 하강 레이트를 설정한다. 2개의 게이트 저항(R3,R4)의 값들은 IGBT(Q1)의 게이트 회로에 주입되는 기생 에미터 인덕턴스 양단의 샘플링된 전압의 피드백 부분을 결정한다. 게이트 저항들의 값은 턴-오프 손실을 제어하도록 조정되며, 그에 의해 IGBT(Q1)에 대한 열적 스트레스가 제어되고, IGBT(Q1)상의 과전압이 그의 최대 정격 미만으로 유지된다.
턴-온 동안에, R2에 대한 R1의 비율은 Ron와 조합되어 IGBT(Q1)에서의 전류 상승 레이트를 설정한다. 2개의 게이트 저항(R1,R2)의 값들은 IGBT(Q1)의 게이트 회로에 주입되는 기생 에미터 인덕턴스 양단의 샘플링된 전압의 피드백 부분을 결정한다. 이들 저항들의 값 및 보상 회로(116)의 대응하는 저항들의 값들은 병렬화된 IGBT들(Q1, Q3)간의 턴-온 손실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조정되며, 그에 의해 그들의 열적 스트레스가 제어되고, 다른 쪽의 프리휠 다이오드들의 복구 전류가 그들의 최대 정격내에 유지되게 된다.
본 기술은, 폐 루프 작용에 의해, 또 다른 IGBT와 병렬로 배치된 각 IGBT(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또 다른 전력 전자 스위치와 병렬로 배치된 각 전력 전자 스위치간의)의 전류 상승 및 하강 시간의 레이트를 그들 각자의 레그의 기생 인덕턴스에 따라 개별적으로 조정한다. 그러므로, 턴-오프시의 그들의 과전압과 턴-온시의 복구 전류를 제어하면서, 그들의 스위칭 손실의 균형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이 기술은 전력 전자 스위치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균등하게 한다.
도 7은 제 2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보상 회로를 도시한 도 5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7의 제 2 실시 예는 저항(R2)과 턴-오프 다이오드(Doff)가 제거되었다는 점에서 보상 회로(112)와 다른 보상 회로(122)를 개시한다.
따라서, 보상 회로(122)는, IGBT(Q1)의 에미터 전압이 기준(113)보다 높을 때, 턴-온 동안 저항(R3)과 병렬이 되도록 접속되는 저항(R1)을 포함한다. 다이오드(Don)는 저항(R1)을 게이트 드라이버(GD1)의 기준(113)에 상호 접속시킨다. 따라서, R3과 병렬인 R1의 값과 R4의 값은 턴-온 동안 신호의 적당한 부분이 게이트 드라이버로 피드백되도록 선택된다.
보상 회로(122)는 기생 에미터 인덕턴스(Le1 -low) 양단에 직렬로 접속된 저항(R3,R4)을 구비하는 턴-오프 저항성 분배기를 형성한다. 보상 회로(122)의 구성에 다이오드(Doff)는 필요치 않는데, 이는 다이오드(Don)의 구성으로 인해 턴-오프시에 저항(R1)이 동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턴-오프 동안, R4에 대한 R3의 비율은 Roff와 조합되어 IGBT(Q1)에서의 과전압 제한을 조정하도록 전류 하강 레이트를 설정한다. 2개의 저항(R3,R4)의 값들은 IGBT(Q1)의 게이트 회로에 주입되는 기생 에미터 인덕턴스에 유도된 전압의 피드백 부분을 결정한다. 이들 저항들의 값은 IGBT(Q1)상의 과전압이 그의 정격 제한 아래로 유지되고 IGBT들(Q1, Q3)들간의 턴-오프 손실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조정되는데, 후자의 경우, 유사한 보상 회로(124)의 이용으로부터 혜택을 받는다.
보상 회로(122)가 도 6의 보상 회로(122)보다 소자들이 적은 반면(저항(R2)과 다이오드(Doff)가 없음), 이 보상 회로는 조정 가요성(adjustment flexibility)이 보다 덜하다.
상기에서는, 턴-온 및 턴-오프시에 IGBT(Q1)의 동작을 개선하고, 턴-온 및 턴-오프시에 병렬화된 전력 전자 스위치들의 스위칭 전류의 균형을 유지시킴으로써, 병렬화된 전력 전자 스위치들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동적 불균형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생 에미터 인덕턴스(Le1 -low) 양단에 유도된 전압이 게이트 드라이버(GD1)로 피드백되도록 선택되었다. 대안적으로, 제어중인 전력 전자 스위치와 동일한 레그의 기생 인덕턴스로부터 샘플 전압이 획득되므로, 그러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기생 인덕턴스에 유도된 전압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보상 회로(112,122)의 본 설명은, 다른 보상 회로에 또한 적용되며, 기생 에미터 인덕턴스에 유도된 전압의 일 부분을 선택하는데 이용된 저항성 회로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예를 들어, 변환기(transformer) 또는 다른 전압 어댑터를 포함하는 회로와 같이 유도 전압의 일부를 선택하도록 다른 유형의 회로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전기차의 모터와 같은 접속 부하(connected load)에 교류 전류를 제공하기 위해, 반도체의 풀 레그(full leg), 다른 쪽의 전력 전자 스위치 쌍 및 프리휠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커뮤테이션 셀 또는 병렬 반도체 레그들과 같은, DC-DC 변환기 및 DC-AC 변환기에 적용할 수 있는 해법을 설명하였다.
당업자라면, 커뮤테이션 셀, 전력 변환기 및 보상 회로의 설명이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임의 방식으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을 알 것이다. 본 개시의 혜택을 본 당업자라면 다른 실시 예들을 쉽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커뮤테이션 셀, 전력 변환기 및 보상 회로는 커뮤테이션 셀 및 전력 변환기에 이용되는 전력 전자 스위치의 가변 특성과 관련된 기존의 필요성 및 과제에 대한 가치있는 해법을 맞춤 제공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커뮤테이션 셀, 전력 변환기 및 보상 회로의 구현의 일상적인 특징 모두를 도시하고 설명한 것은 아니다. 물론, 임의의 그러한 실질적인 커뮤테이션 셀, 전력 변환기 및 보상 회로의 구현의 개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응용 관련 제약, 시스템 관련 제약 및 사업 관련 제약의 준수와 같은 개발자의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많은 구현 지정적 결정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들 특정 목표는 구현마다 달라지고 개발자마다 달라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개발 노력이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본 개시의 혜택을 입은 전력 전자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일상적인 공학적 작업일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커뮤테이션 셀, 전력 변환기 및 보상 회로는 그들의 응용이 상기에서 설명하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부분 및 구성의 세부 사항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 것이다. 제안된 커뮤테이션 셀, 전력 변환기 및 보상 회로는 다르게 구현될 수 있고 여러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문구 또는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을 위한 것은 아님을 알 것이다. 커뮤테이션 셀, 전력 변환기 및 보상 회로가 예시적인 실시 예에 의해 상기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범주 및 본질을 벗어나지 않고도 그것이 수정될 수 있다.

Claims (25)

  1. 게이트 드라이버를 통해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보상 회로로서,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시에 전력 전자 스위치의 인덕턴스 양단에 유도된 전압의 제 1 부분을 샘플링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경로;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오프시에 전력 전자 스위치의 인덕턴스 양단에 유도된 전압의 제 2 부분을 샘플링하도록 구성된 제 2 회로 경로; 및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 동안에 전압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각각 공급하도록 구성된 게이트 드라이버 기준 접속을 구비하는
    보상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턴스는 전력 전자 스위치의 기생 인덕턴스인
    보상 회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회로 경로는,
    인덕턴스 양단에 직렬로 접속된 제 1 및 제 2 저항; 및
    제 1 및 제 2 저항의 접합과 게이트 드라이버 기준 접속간에 접속된 턴-온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턴-온 다이오드는 턴-오프 동안에 도통하지 않는
    보상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회로 경로는,
    인덕턴스 양단에 직렬로 접속된 제 3 및 제 4 저항; 및
    제 3 및 제 4 저항의 접합과 게이트 드라이버 기준 접속간에 접속된 턴-오프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턴-오프 다이오드는 턴-온 동안에 도통하지 않는
    보상 회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회로 경로는,
    직렬로 접속된, 제 1 저항, 턴-온 다이오드 및 제 2 저항; 및
    제 1 저항과 턴-온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된 제 3 저항을 포함하고,
    턴-온 다이오드와, 제 2 저항 및 제 3 저항의 접합은 게이트 드라이버 기준 접속과 접속되고,
    턴-온 다이오드는 턴-오프 동안에 도통하지 않는
    보상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회로 경로는 제 2 및 제 3 저항을 포함하는
    보상 회로.
  7. 제 2 전력 전자 스위치와 병렬된 배치된 제 1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보상 회로로서,
    그 제어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보상 회로는,
    제 1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시에 제 1 전력 전자 스위치의 인덕턴스 양단에 유도된 전압의 제 1 부분을 샘플링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경로;
    제 1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오프시에 제 1 전력 전자 스위치의 인덕턴스 양단에 유도된 전압의 제 2 부분을 샘플링하도록 구성된 제 2 회로 경로; 및
    제 1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 동안에 전압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각각 공급하도록 구성된 게이트 드라이버 기준 접속을 구비하는
    보상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턴스는 전력 전자 스위치의 기생 인덕턴스인
    보상 회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회로 경로는,
    인덕턴스 양단에 직렬로 접속된 제 1 및 제 2 저항; 및
    제 1 및 제 2 저항의 접합과 게이트 드라이버 기준 접속간에 접속된 턴-온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턴-온 다이오드는 턴-오프 동안에 도통하지 않는
    보상 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2 회로 경로는,
    인덕턴스 양단에 직렬로 접속된 제 3 및 제 4 저항; 및
    제 3 및 제 4 저항의 접합과 게이트 드라이버 기준 접속간에 접속된 턴-오프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턴-오프 다이오드는 턴-온 동안에 도통하지 않는
    보상 회로.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회로 경로는,
    직렬로 접속된, 제 1 저항, 턴-온 다이오드 및 제 2 저항; 및
    제 1 저항과 턴-온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된 제 3 저항을 포함하고,
    턴-온 다이오드와, 제 2 저항 및 제 3 저항의 접합은 게이트 드라이버 기준 접속과 접속되고,
    턴-온 다이오드는 턴-오프 동안에 도통하지 않는
    보상 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2 회로 경로는 제 2 및 제 3 저항을 포함하는
    보상 회로.
  13. 스위칭 과전압을 제한하는 구성으로 된 커뮤테이션 셀로서,
    기생 인덕턴스를 가진 전력 전자 스위치 - 상기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시에 기생 인덕턴스를 통해 전압이 생성됨 - ; 및
    기생 인덕턴스에 접속되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보상 회로를 구비하는
    커뮤테이션 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회로는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시에 다른 이득을 이용하여 기생 인덕턴스를 통해 생성된 전압의 샘플을 인가하는
    커뮤테이션 셀.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전력 전자 스위치는 게이트 절연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금속-산화물-반도체 필드 효과 트랜지스터 및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부터 선택되는
    커뮤테이션 셀.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테이션 셀은, 전력 전자 스위치와 협력하여 동작하는 프리휠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커뮤테이션 셀.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테이션 셀은, 게이트 드라이버 기준 접속에서 보상 회로에 접속된 게이트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게이트 드라이버는 전력 전자 스위치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게이트 드라이버는 전력 전자 스위치에 인가된 게이트-에미터 전압을 제어하는
    커뮤테이션 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테이션 셀은, 게이트 드라이버를 전력 전자 스위치의 게이트에 개별적으로 접속시키는 턴-온 저항과 턴-오프 저항을 구비하는
    커뮤테이션 셀.
  19.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생 인덕턴스는 기생 에미터 인덕턴스인
    커뮤테이션 셀.
  20. 제 13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력 전자 스위치는 또 다른 전력 전자 스위치와 병렬로 배치되는
    커뮤테이션 셀.
  21. 전력 변환기로서,
    한 쌍의 병렬 레그들을 구비하며,
    각 레그는 직렬 접속된 한 쌍의 전력 전자 스위치를 가지며,
    각 전력 전자 스위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보상 회로를 구비하는
    전력 변환기.
  22. 전력 변환기로서,
    한 쌍의 병렬 레그들을 구비하며,
    각 레그는 제 7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한 쌍의 보상 회로를 포함하고,
    각 보상 회로는 대응하는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는
    전력 변환기.
  23. 전력 변환기로서,
    한 쌍의 병렬 레그들을 포함하며,
    각 레그는 제 13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한 쌍의 커뮤테이션 셀들을 직렬로 접속시키는
    전력 변환기.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병렬화된 전력 전자 스위치들의 각 쌍은 동일한 제조 배치(manufacturing batch)로부터 선택되는
    전력 변환기.
  25.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전력 전자 스위치들은 동일한 제조 배치로부터 선택되는
    전력 변환기.
KR1020167013658A 2013-11-14 2014-11-06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는 보상 회로, 커뮤테이션 셀 및 전력 변환기 KR201600863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904045P 2013-11-14 2013-11-14
US61/904,045 2013-11-14
PCT/CA2014/051065 WO2015070344A1 (en) 2013-11-14 2014-11-06 Compensation circuit, commutation cell and power converter controlling turn-on and turn-off of a power electronic swi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344A true KR20160086344A (ko) 2016-07-19

Family

ID=5305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658A KR20160086344A (ko) 2013-11-14 2014-11-06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는 보상 회로, 커뮤테이션 셀 및 전력 변환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68693B2 (ko)
KR (1) KR20160086344A (ko)
CN (1) CN105814780B (ko)
CA (1) CA2930188A1 (ko)
WO (1) WO2015070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9525B2 (ja) 2011-12-07 2017-11-29 ティーエム4・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Igbtのターンオフ過電圧の制限
WO2015070347A1 (en) 2013-11-14 2015-05-21 Tm4 Inc. Commutation cell, power converter and compensation circuit having dynamically controlled voltage gains
DE102014209690B4 (de) * 2014-05-21 2020-02-20 Robert Bosch Gmbh Kommutierungszelle
WO2016205929A1 (en) * 2015-06-23 2016-12-29 Tm4 Inc. Physical topology for a power converter
FR3041193B1 (fr) * 2015-09-11 2018-11-09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Dispositif electronique de controle d'un commutateur,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JP2018528753A (ja) * 2015-09-14 2018-09-27 ティーエム4・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スイッチング過電圧を制限するために構成されるパワーコンバータ
EP3174205A1 (en) * 2015-11-27 2017-05-31 ABB Technology Oy Control circuit with feedback
US9994110B2 (en) 2016-08-30 2018-06-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gate solid state devices to reduce switching loss
JP6760156B2 (ja) 2017-03-20 2020-09-2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変換装置
JP7034330B2 (ja) * 2018-11-05 2022-03-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ゲート駆動回路および電力変換装置
WO2023157185A1 (ja) * 2022-02-17 2023-08-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ゲート駆動回路及び電力変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2421A (ja) * 1984-11-06 1986-05-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バイポ−ラ・ダ−リントン・パワ−トランジスタの駆動回路
US6204717B1 (en) * 1995-05-22 2001-03-20 Hitachi, Ltd. Semiconductor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for use in equipment such as a power converting apparatus
US5723916A (en) * 1996-05-17 1998-03-03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load driving device including load current limiting circuitry
FI105509B (fi) * 1998-08-12 2000-08-31 Abb Industry Oy Ohjainpiiri
JP3752943B2 (ja) * 2000-01-31 2006-03-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素子の駆動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563724B2 (en) * 2001-10-03 2003-05-13 Bruce W. Carsten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off BJT used as synchronous rectifier
JP3891090B2 (ja) * 2001-12-06 2007-03-07 株式会社デンソー 還流ダイオードおよび負荷駆動回路
JP3883925B2 (ja) * 2002-07-30 2007-02-2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用半導体素子の駆動回路
US7660094B2 (en) * 2004-12-14 2010-02-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Inverter circuit
DE202006002761U1 (de) * 2006-02-21 2006-06-01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Hochsetztreiber mit minimaler Schaltfrequenz
CN101421910B (zh) * 2006-04-06 2011-06-08 三菱电机株式会社 半导体元件的驱动电路
US7940503B2 (en) * 2008-05-27 2011-05-10 Infineon Technologies Ag Power semiconductor arrangement including conditional active clamping
US8405445B2 (en) * 2008-05-30 2013-03-2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Switching circuit and imaging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CN102192487B (zh) * 2010-02-28 2015-01-1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源模块和点亮设备以及使用它们的照明设备
KR101449083B1 (ko) * 2010-05-06 2014-10-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스위칭 게이트 드라이브
US9793889B2 (en) * 2011-03-15 2017-10-17 Infineon Technologies Ag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circuit to compensate for parasitic inductance
JP6239525B2 (ja) * 2011-12-07 2017-11-29 ティーエム4・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Igbtのターンオフ過電圧の制限
EP2615737B1 (en) * 2012-01-13 2021-05-05 ABB Schweiz AG Active gate drive circuit
DE102012207147B4 (de) * 2012-04-27 2016-01-21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Ansteuern von Leistungshalbleiterschaltern
WO2014043795A1 (en) 2012-09-24 2014-03-27 Tm4 Inc. Topology for controlled power switch module
US10587257B2 (en) * 2013-04-04 2020-03-10 Tm4 Inc. Commutation cell and compensation circuit therefor
EP2816728B1 (en) * 2013-06-20 2020-08-05 ABB Schweiz AG Active gate drive circuit
US9774244B2 (en) 2013-11-01 2017-09-26 Tm4 Inc. Power converter configured for limiting switching overvoltage
WO2015070347A1 (en) 2013-11-14 2015-05-21 Tm4 Inc. Commutation cell, power converter and compensation circuit having dynamically controlled voltage gains
EP2884661B1 (en) * 2013-12-11 2019-02-06 ABB Schweiz AG Method and apparatus for balancing currents
EP2942870B1 (en) * 2014-05-09 2018-07-25 ABB Schweiz AG Arrangement and method for a power semiconductor switch
US9595954B2 (en) * 2014-11-10 2017-03-14 Nxp Usa, Inc. Method and circuit for recharging a bootstrap capacitor using a transfer capac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30188A1 (en) 2015-05-21
US9768693B2 (en) 2017-09-19
US20160301308A1 (en) 2016-10-13
CN105814780B (zh) 2019-03-12
WO2015070344A1 (en) 2015-05-21
CN105814780A (zh)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6344A (ko) 전력 전자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는 보상 회로, 커뮤테이션 셀 및 전력 변환기
US9882465B2 (en) Commutation cell, power converter and compensation circuit having dynamically controlled voltage gains
CA2907472C (en) Commutation cell and compensation circuit therefor
EP3314656B1 (en) Physical topology for a power converter
US9729139B2 (en) Cooperative control method for power semiconductor elements connected in parallel, current balance control device, and power module
JP6556712B2 (ja) スイッチング過電圧を制限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電力変換器
KR20160135224A (ko) 전자 스위치의 콜렉터-에미터 전압 변동을 제어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회로
US20230396147A1 (en) Power converter apparatus and method
JP2021078349A (ja) スイッチング回路
Xu et al. Suppressing gate voltage oscillation in paralleled SiC MOSFETs for HEV/EV traction inverter application
US10084439B2 (en) Driver circuit
CN108141129B (zh) 配置为限制开关过电压的电力转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