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243A - 검색결과 페이지를 통한 컨텐츠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검색결과 페이지를 통한 컨텐츠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243A
KR20160086243A KR1020150055366A KR20150055366A KR20160086243A KR 20160086243 A KR20160086243 A KR 20160086243A KR 1020150055366 A KR1020150055366 A KR 1020150055366A KR 20150055366 A KR20150055366 A KR 20150055366A KR 20160086243 A KR20160086243 A KR 20160086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
keyword set
bidder
keyword
bid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993B1 (ko
Inventor
김지연
김성민
신은호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86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검색결과 페이지를 통한 컨텐츠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은, 업종별로 키워드들 추출하여 복수의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셋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 셋의 초기 단가를 설정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키워드 셋, 상기 초기 단가 및 집행기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키워드 셋과 연관되고 상기 초기 단가에 기초하며 상기 집행기간동안 독점적으로 노출될 노출상품에 대한 입찰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입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키워드 셋과 연관된 노출상품에 대한 입찰을 진행하여 낙찰자를 선정하는 단계,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집행기간동안 수신되는 키워드가 상기 키워드 셋에 포함된 키워드인 경우, 상기 낙찰자의 컨텐츠가 기설정된 영역에 배치된 검색결과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검색결과 페이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검색결과 페이지를 통한 컨텐츠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DING CONTENTS SEARCH RESULT PAG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검색결과 페이지를 통한 컨텐츠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의 노출을 위한 입찰 및 사용자들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포털사이트는 인터넷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거치게 되는 사이트로서, 정보검색 서비스나 커뮤니티와 같이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정 방문객을 확보하여 인터넷 비즈니스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스마트폰(Smart Phone)의 보급이 확산되고 이동통신망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유무선 매체들을 이용하여 검색이라는 행위를 통해 자신의 컨텐츠를 노출하고자 하는 컨텐츠 제공자들의 욕구가 존재하며, 매체들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선정된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를 다양한 방식을 통해 매체의 이용자들에게 노출한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03820호는 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한 직접 광고입찰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입찰을 통해 낙찰된 집행기간 동안 낙찰자의 컨텐츠를 검색결과 페이지의 특정 영역을 통해 독점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업종별로 키워드들 추출하여 복수의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셋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 셋의 초기 단가를 설정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키워드 셋, 상기 초기 단가 및 집행기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키워드 셋과 연관되고 상기 초기 단가에 기초하며 상기 집행기간동안 독점적으로 노출될 노출상품에 대한 입찰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입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키워드 셋과 연관된 노출상품에 대한 입찰을 진행하여 낙찰자를 선정하는 단계;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집행기간동안 수신되는 키워드가 상기 키워드 셋에 포함된 키워드인 경우, 상기 낙찰자의 컨텐츠가 기설정된 영역에 배치된 검색결과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검색결과 페이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업종별로 키워드들 추출하여 복수의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셋을 결정하는 키워드 셋 결정부; 상기 키워드 셋의 초기 단가를 설정하는 초기 단가 설정부;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키워드 셋, 상기 초기 단가 및 집행기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키워드 셋과 연관되고 상기 초기 단가에 기초하며 상기 집행기간동안 독점적으로 노출될 노출상품에 대한 입찰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입찰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입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키워드 셋과 연관된 노출상품에 대한 입찰을 진행하여 낙찰자를 선정하는 낙찰자 선정부;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집행기간동안 수신되는 키워드가 상기 키워드 셋에 포함된 키워드인 경우, 상기 낙찰자의 컨텐츠가 기설정된 영역에 배치된 검색결과 페이지를 생성하는 검색결과 페이지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검색결과 페이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검색결과 페이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입찰을 통해 낙찰된 집행기간 동안 낙찰자의 컨텐츠를 검색결과 페이지의 특정 영역을 통해 독점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찰을 위한 전체 프로세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위약금 부과 기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신규 인벤토리의 오픈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점별 인벤토리 오픈 기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찰등록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찰현황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키워드 상세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개별 입찰건을 위한 등록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찰건 조회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키워드 카테고리 관리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카테고리 추가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시스템이 포함하는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새로운 입찰 방식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입찰을 통해 낙찰된 집행기간 동안 낙찰자의 컨텐츠를 검색결과 페이지의 특정 영역을 통해 독점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동작 환경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110)와 컴퓨팅 시스템(120)이 네트워크(130)를 통해 연결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컴퓨팅 시스템(120)과 네트워크(1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를 대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모바일 장치(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또는 PDA), 셋톱 박스(예컨대, 텔레비전을 위한), 비디오 게임 콘솔, 또는 적절한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 장치 및 통신 기능을 갖는 임의의 다른 장치들일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2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의의 장치 또는 서로 연계된 복수의 장치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1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키워드 셋에 대해 입찰하기 위한 입찰 서비스 또는 상기 입찰 서비스를 통해 입찰에 낙찰된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가 노출되는 노출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컴퓨팅 시스템(120)은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상기 컨텐츠가 포함된 검색결과 페이지의 구성을 위한 코드를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수신된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결과 페이지를 구성하여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130)는, 예를 들어,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3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디바이스(110)와 컴퓨팅 시스템(120)은 각각의 통신 모듈(113, 123)을 거쳐 네트워크(1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모듈(113, 123)은 네트워크(130)와 상호작용하여 데이터, 요청, 응답, 명령 등과 같은 정보를 네트워크(130)상의 다른 장치로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10)와 컴퓨팅 시스템(120)은 프로세서(112, 122), 통신 모듈(113, 123) 그리고 메모리(111, 121)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1, 1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1, 1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111, 1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113, 123)을 통해 메모리(111, 1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이 네트워크(13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메모리(111, 1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112, 1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11, 121) 또는 통신 모듈(113, 123)에 의해 프로세서(112, 122)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112, 122)는 메모리(111, 1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찰을 위한 전체 프로세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키워드 셋 결정 단계(212)에서 컴퓨팅 시스템(120)은 업종별로 키워드들 추출하여 복수의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셋을 결정할 수 있다. 업종은 미리 기설정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업종마다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셋들이 결정될 수 있고, 업종별로 결정되는 키워드 셋들의 수는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초기 단가 설정 단계(214)에서 컴퓨팅 시스템(120)은 결정된 키워드 셋의 초기 단가를 설정할 수 있다. 하나의 키워드 셋에 대해 설정된 초기 단가는 해당 키워드 셋의 입찰 시의 입찰 시작가로 설정될 수 있다.
입찰 정보 수신 단계(216)에서 컴퓨팅 시스템(120)은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키워드 셋과 연관되고 초기 단가에 기초하며 집행기간동안 독점적으로 노출될 노출상품에 대한 입찰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상품에 대한 입찰은 특정 기간 동안 컨텐츠를 독점적으로 노출하고자 하는 컨텐츠 제공자들에 대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120)은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 네트워크를 통해 키워드 셋, 초기 단가 및 집행기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디바이스는 제공된 정보에 기반하여 입찰가를 포함하는 입찰 정보를 컴퓨팅 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입찰 단계(218)에서 컴퓨팅 시스템(120)은 컨텐츠 제공자들로부터 수신된 입찰 정보에 기반하여 입찰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입찰은 일주일 단위와 같은 집행기간 단위별로 진행될 수 있다. 입찰은 키워드 셋에 대한 n(상기 n은 자연수)번째 집행기간에 n+m(상기 m은 2 이상의 자연수)번째의 집행기간을 위한 입찰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이 1이고 m이 4인 경우, 1번째 집행기간에는 5번째 집행기간을 위한 입찰이 진행될 수 있다. 입찰은 n번째 집행기간 중에서도 집행기간의 시작일에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행기간이 일주일인 경우 집행기간의 시작일은 월요일로 설정될 수 있다.
낙찰 단계(220)에서 컴퓨팅 시스템(120)은 입찰의 낙찰자를 선정할 수 있다. 낙찰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집행기간동안 수신되는 해당 키워드 셋의 키워드들에 대해 낙찰자의 컨텐츠를 독점적으로 노출할 수 있는 권리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낙찰자의 컨텐츠는 수신된 키워드 셋의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 페이지의 기설정된 영역에 독점적으로 배치되어 노출될 수 있다. 기설정된 영역은 검색결과 페이지에서 항상 고정된 위치의 영역일 수 있다.
낙찰 포기 단계(222)에서 컴퓨팅 시스템(120)은 낙찰자의 낙찰 포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낙찰 포기에 따른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위약금 발생 단계(224)에서 컴퓨팅 시스템(120)은 낙찰 포기 시점에 따라 결정되는 위약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120)은 집행 ?(상기 k는 자연수)을 기준으로 컨텐츠의 노출을 집행한 경우의 과금 비용인 집행 금액의 일정 비율을 위약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k가 5인 경우, 집행 -5영업일 이전에 낙찰 포기가 발생한 경우에는 집행 금액의 10%를 위약금으로 결정하고, 집행 -5 영업일부터는 집행 금액의 30%를 위약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캠페인 등록 단계(226)에서 컴퓨팅 시스템(120)은 입찰과 낙찰자의 캠페인을 연결하여 캠페인을 등록할 수 있다. 낙찰을 포기하지 않는 낙찰자는 컨텐츠와 연관하여 미리 등록된 캠페인을 노출상품과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120)은 입찰을 위한 입찰 페이지를 입찰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고, 낙찰자에게는 입찰 페이지를 통해 캠페인을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캠페인에 등록된 캠페인 기간이 컨텐츠의 노출을 위한 집행기간을 포함하는 경우에만 캠페인이 노출상품과 연결될 수 있다.
라인 등록 단계(228)에서 컴퓨팅 시스템(120)은 캠페인과는 별도로 집행기간별 노출상품에 대한 계약을 나타내는 라인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낙찰자의 하나의 캠페인은 복수의 집행기간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집행기간은 각각의 계약(즉, 각각의 라인)으로 관리될 수 있다.
소재 등록 단계(230)에서 컴퓨팅 시스템(120)은 노출될 컨텐츠 소재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120)은 캠페인과 관련하여 미리 등록된 컨텐츠 소재 또는 별도로 수신되는 컨텐츠 소재를 등록할 수 있다.
집행 단계(232)에서 컴퓨팅 시스템(120)은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집행기간동안 수신되는 키워드가 해당 키워드 셋에 포함된 키워드인 경우, 낙찰자의 컨텐츠가 기설정된 영역에 배치된 검색결과 페이지를 생성하여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컨텐츠의 노출을 집행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출상품의 입찰 방식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분 SPEC
타겟 광고주 프리미엄 광고주
매출 상위 300대 광고주
판매 키워드 판매 키워드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 로 관리
일반명사 집행, 브랜드 검색 키워드 제외, 연예인명 집행
가격 산정 방식 키워드 쿼리 카운트(keyword query count(QC)) 기반
(노출에 대한 가격)
판매 방식 입찰
판매 단위 키워드 셋 단위
(업종별로 미리 지정한 키워드 셋에 대한 입찰)
키워드별 노출 광고 키워드셋 별 광고 독점 노출
입찰 방식 일차 가격 경매(first price auction)
구매 단위 1주 집행 단위로 구매
입찰 시점 집행 - 4주전(n=1, m=4인 경우)
가격결정시점 집행 전 총집행 금액 결정
집행 가격 = 키워드 셋 낙찰가
예산 cap 운영 없음
최저가 결정 방식 최저가 기준 필요
품질지수 적용 여부 미적용
아래 표 2는, 입찰에 참여하는 광고주들에게 제시되는 문구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7월 1주차 냉장고 키워드 셋 키워드가 20 개 인데, 1주 예상 쿼리 카운트(query count, QC)는 5000 입니다.
최저가는 300만원부터 호가는 10만원 단위로 입찰에 참여하세요.
최고가 낙찰 방식이고, 입찰가는 비공개입니다.
낙찰되시면 해당 키워드에 대해서 1주일간 통합검색 우측에 독점 노출 됩니다.
키워드는 "업종>키워드 카테고리>키워드"의 단계로 관리될 수 있다. 여기서 키워드 카테고리는 개별 키워드들이 묶여 있는 단위로 앞서 설명한 키워드 셋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키워드 셋은 키워드 카테고리, 키워드 카테고리에 속하는 키워드들, 집행 일자, 최저 입찰가(앞서 설명한 최소 단가) 및 호가를 포함하는 입찰 단위 정보의 집합일 수도 있다.
키워드 카테고리는 추가/삭제가 가능할 수 있으며, 키워드 카테고리 내의 키워드들 역시 추가/삭제가 가능할 수 있다.
입찰 프로세스의 기준이 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1. 입찰 기간은 매주 월요일(월요일일 휴일인 경우 익영업일)의 10:00에서 14:00사이에 이루어질 수 있다.
2. 낙찰 발표는 15:00에 진행될 수 있다.
3. 집행단위(앞서 설명한 집행기간)는 1주 단위(월~일, 달력 일자 기준)로 설정될 수 있다.
4. 신규 인벤토리 오픈은 매월 첫 번째 월요일 입찰에 다음달 1주차 ~ 4주차(또는 5주차)의 인벤토리를 오픈(단, 다음달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관리에서 수동으로 각 주차별 인벤토리의 최초 입찰일을 설정하여 입찰자들에게 엑셀 파일로 전달)할 수 있다. 인벤토리를 오픈함은 입찰자들이 해당 집행기간의 입찰에 참여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5. 재입찰 인벤토리 오픈 기준
1) 입찰 시작 시간 10:00 이전에 공실 등록(낙찰포기, 유찰 등으로 인함)된 인벤토리에 대해서 인베토리 오픈할 수 있다.
2) 입찰 진행중(10:00~15:00)에는 공실 등록 액션을 불가할 수 있다.
3) 집행 -1주까지 재입찰이 가능할 수 있다.
6. 공실 등록이 가능한 액션
1) 유찰: 낙찰 프로세스 전 아무도 입찰에 참여하는 사람이 없는 경우.
2) 낙찰 포기(사용자): 낙찰건의 등록자가 집행기간 이전에 자의적으로 낙찰을 포기하는 경우.
3) 낙찰 포기(시스템): 낙찰건이 정해진 기간내 라인등록을 하지 않았을 경우. 시스템에서 낙찰 포기 처리.
4) 낙찰 포기(캠페인 관리자): 특정 사유에 의해서 캠페인 관리자가 강제 낙찰 포기 시킴.
7. 등록자의 낙찰 포기 프로세스
1) 입찰 관리 화면에서 등록자가 낙찰 포기를 처리할 수 있다.
2) 캠페인에 라인이 연결되어 있으면 낙찰 포기가 불가능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라인은 캠페인을 집행기간과 연결한 계약을 의미하는 것으로, 캠페인에도 별도의 라인들이 관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캠페인과 연결된 라인을 삭제한 이후에 낙찰을 포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
3) 캠페인 관리자가 라인 삭제 시 서비스 사이트(일례로, 입찰 관리 사이트)의 라인도 함께 삭제될 수 있다.
8. 낙찰 기준
1) 입찰 등록 건 중 가능 높은 가격(일차 가격 경매(first price auction)).
2) 동일 가격 발생 시 먼저 입찰가 등록한 등록 건에게 낙찰 처리.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낙찰자가 낙찰을 포기하는 경우, 위약금이 발생될 수 있다. 아래 표 3은 위약금 기준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분 상세
위약금 발생 사유 1) 등록자가 낙찰 후 포기시
2) 낙찰 후 캠페인 등록기간 만료시까지 캠페인 미등록 시
3) 캠페인 관리자가 특정사유로 강제 낙찰 포기 처리 시
위약금 청구 대상 입찰 등록회사
위약금 부과 기준 1) 집행 -5영업일 이하에서 낙찰 포기 시 집행금액의 30% 부가
2) 집행 -5영업일 초과에서 낙찰 포기 시 집행 금액의 10% 부가
위약금 청구사유 노출상품에 대한 낙찰 포기
위약금 납부기한 집행 종료일자 익일의 마지막 일자(예시: 5/26 종료 시 납부기한은 6/30)
위약금 상세 유닛 해당 노출상품
위약금 면제 방법 캠페인 관리자가 강제 낙찰 포기 처리 시, 위약금 면제 처리 가능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위약금 부과 기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집행 시작일(14일 월요일)에서 -5영업일(7일 월요일)을 기준으로 7일 월요일 이전에 낙찰을 포기하는 경우에는 집행 금액(낙찰액)의 10%에 해당하는 위약금이, 7일 월요일부터는 집행 금액의 30%에 해당하는 위약금이 발생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신규 인벤토리의 오픈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는 집행기간에 대한 입찰일이 나타나 있다. 제1 점선박스(510)는 7월의 집행기간(6월 30일부터 8월 3일까지)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7월의 집행기간의 인벤토리에 대한 첫 입찰이 6월의 첫 번째 월요일인 6월 2일에 진행됨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점선박스(520)는 8월의 집행기간(8월 4일부터 8월 31일까지)을, 제3 점선박스(530)는 9월의 집행기간(9월 1일부터 4주간)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도 8월의 집행기간의 인벤토리에 대한 첫 입찰은 7월의 첫 번째 월요일인 7월 7일에, 9월의 집행기간의 인벤토리에 대한 첫 입찰은 8월의 첫 번째 월요일인 8월 4일에 진행됨을 나타내고 있다.
월별 첫 월요일(최초 입찰일)에 오픈되는 인벤토리에서는 최초의 최저가와 키워드 셋에 포함되는 키워드의 구성이 동일할 수 있다. 만약, 키워드의 성격이 네거티브로 급변하여 판매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다음 입찰 전에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월별 첫 입찰일이 연중에 휴일로 지정될 경우에는 익영업일이 최초 입찰일로 변경 처리될 수 있다. 집행 시작일과 집행 종료일, 그리고 최초 입찰일에 대한 기초 5년간의 데이터가 생성되어 입찰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매주 월요일(휴일인 경우 익영업일)에 입찰이 진행되고, 매월 첫 월요일에는 다음달의 신규 인벤토리가 오픈(월 단위 선정, 매월 첫 월요일 선정을 별도 엑셀로 정리해서 미리 반영)될 수 있다. 이때, 입찰에서 유찰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집행 전 주까지 반복적으로 재입찰이 진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점별 인벤토리 오픈 기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6월 2일에 6월 30일에서 8월 3일까지의 집행기간을 위한 신규 인벤토리가 오픈되고 입찰이 진행됨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6월 2일의 유찰 인벤토리는 집행 전 주의 월요일인 6월 30일까지 그리고 낙찰자가 나타날 때까지 매 주의 월요일마다 반복적으로 재입찰이 진행됨을 알 수 있다.
새로운 달의 신규 인벤토리에 대한 입찰이 진행되는 7월 7일에는 6월 2일의 신규 인벤토리에서 남은 기간을 위한 유찰 인벤토리에 대한 입찰이 진행될 수 있고, 7월 7일의 신규 인벤토리가 오픈되어 오픈된 신규 인벤토리에 대한 입찰이 함께 진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찰등록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점선박스(610)는 카테고리를 조회/선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서 조회 시점이 입찰 가능 기간에 있는 키워드 셋들이 조회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가전" 업종의 키워드 셋 "냉장고"가 조회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조회 시점이 입찰일이 아닐 경우에는 키워드 셋의 선택이 불가능하며 등록 버튼(620)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조회 시점이 입찰일인 경우 키워드 셋의 선택이 가능하며 등록 버튼(62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오픈 인벤토리는 입찰 등록의 시작 전부터 시스템이 오픈을 막는 시간까지 공실인 인벤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점선박스(630)의 최근 노출수는 해당 키워드의 최근 a주 집행기간 동안의 노출수의 평균을 의미할 수 있다. 물음표 아이콘은 최근 노출수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최근 노출수의 물음표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 "키워드 카테고리로 최근 3주간 집행된 노출수의 평균 - 키워드는 변동 가능하므로 참조하십시오."와 같은 설명문구가 제공될 수 있다.
제3 점선박스(640)의 최근 낙찰가는 해당 키워드셋으로 가장 최근에 낙찰된 가격 중 가장 높은 가격을 의미할 수 있다. 낙찰 포기 등의 이유로 낙찰일 기준으로는 복수 개의 낙찰가가 존재할 수 있다. 물음표 아이콘은 최근 낙찰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최근 낙찰가의 물음표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 "키워드 카테고리로 최근 낙찰된 가격입니다."와 같은 설명문구가 제공될 수 있다.
표(650)에서 "입찰현황" 항목은 동일 기간, 동일 등록자, 동일 키워드 셋에 대해서 입찰된 건을 카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찰현황" 항목의 값이 2라는 것은 동일 기간, 동일 등록자, 동일 키워드 셋에 대해서 2건의 입찰이 존재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입찰현황" 항목의 값은 화면 리로드시에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찰현황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표(650)에서 "입찰현황" 항목의 값 '2'의 링크가 선택된 경우에 팝업의 형태로 제공되는 입찰현황 화면(700)을 나타내고 있다. 입찰현황 화면(700)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집행기간(2014-07-21 ~ 2014-07-27)에 대해 두 개의 입찰(입찰번호 '11111', '11112')이 등록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표(650)에서 "선택" 항목은 입찰일이 아닐 경우에는 체크가 불가능하도록 서비스될 수 있으며, 입찰일 이외에도 공실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될 수 있다.
또한 표(650)에서 "카테고리" 항목은 키워드 셋의 대표명과 키워드 셋에 포함된 키워드들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키워드 상세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표(650)에서 "카테고리" 항목에 포함된 링크를 클릭하는 경우에 팝업의 형태로 제공되는 키워드 상세 화면(800)을 나타내고 있다. 키워드 상세 화면(800)에는 카테고리와 집행기간 그리고 카테고리(키워드 셋)에 포함된 키워드들이 나열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개별 입찰건을 위한 등록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례로, 도 6의 화면(600)에서 사용자가 표(650)의 "선택" 항목을 통해 집행기간을 선택하고 등록 버튼(620)을 클릭하는 경우, 등록 화면(900)이 팝업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등록 화면(900)을 통해 광고주와 입찰가를 입력하여 선택된 집행기간에 대한 개별 입찰건을 등록할 수 있다.
"입찰 관련 메일 수신 주소"는 알림메일 수신주소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체크박스 클릭 시 텍스트 박스 입력이 가능해지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텍스트 박스 안에는 작성자의 사용자 정보에 등록된 이메일 주소가 디폴트로 표시될 수 있다.
시스템은 입찰가가 입력되면, 최저 입찰가 이하의 입찰가에 대한 오류나 호가 단위의 오류 등을 확인하여 오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집행기간에 대해 기 등록한 입찰건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오류 팝업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찰건 조회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입찰건 조회 화면(1000)은 사용자가 입찰중인 입찰건들을 조회하여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집행기간(1010)은 사용자가 원하는 집행기간을 입력하여 입력된 집행기간 이내에 사용자가 입찰한 건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디폴트 값은 [금일(Today) ~ 기한 없음]로 설정될 수 있다.
노출상품의 입찰 상태별 정의는 아래 표 4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상태 설명에는 집행대기, 집행중을 기술하며 조회 옵션에서는 집행(집행대기, 집행중)을 보여줄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태별 버튼 활성화는 아래 표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캠페인의 연결 버튼은 라인을 삭제하고 다시 캠페인을 연결할 수 있도록 처리될 수 있으며, 캠페인 연결 시 해당 캠페인의 연결 버튼은 삭제될 수 있다.
카테고리 링크(1030)는 클릭 시 도 8과 같이 카테고리 상세 화면(800)이 팝업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 "캠페인" 항목, "라인" 항목, "소재" 항목 및 "리포트" 항목은 아래와 같은 각 상태별 출력 내용을 나타낼 수 있다.
l 입찰중: "캠페인" 항목부터 "리포트" 항목까지 모두 값 없음으로 처리되어 출력될 수 있다.
l 낙찰: "캠페인" 항목에는 연결 버튼이 출력될 수 있고, 연결 버튼을 통해 캠페인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라인" 항목에는 설정된 라인(해당 입찰의 계약)의 식별자가 출력될 수 있다. 라인 연결은 라인이 캠페인 관리 시스템에 등록되면 출력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소재" 항목과 "리포트" 항목은 값 없음으로 처리될 수 있다.
l 라인 등록전: "캠페인" 항목에는 캠페인 식별자가 출력될 수 있고, "라인" 항목, "소재" 항목 및 "리포트" 항목은 값 없음으로 처리될 수 있다.
l 준비(집행대기): "캠페인" 항목에는 캠페인 식별자가 출력되고, "라인" 항목에는 라인 식별자가 출력될 수 있으며, "소재" 항목에는 소재 식별자가 출력될 수 있다.
l 집행중: "캠페인" 항목에는 캠페인 식별자가 출력되고, "라인" 항목에는 라인 식별자가 출력될 수 있으며, "소재" 항목에는 소재 식별자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집행되고 있는 컨텐츠의 노출에 대한 통계정보를 포함하는 리포트의 "보기" 링크가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캠페인 식별자(1040)는 캠페인 연결 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캠페인 연결 링크의 클릭 시 캠페인 세부 화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캠페인 세부 화면은 화면의 갱신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소재 식별자(1050)는 소재 조회 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캠페인 연결 링크의 클릭 시 소재 세부 화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소재를 등록하는 시점에는 "소재" 항목에 소재 등록을 위한 버튼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재 등록을 위한 버튼은 라인 연결이 완료된 후에 출력될 수 있고, 등록이 완료되면 소재 식별자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라인을 연결하는 시점에는 "라인" 항목에 라인 연결을 위한 버튼이 출력될 수 있다. 라인 연결을 위한 버튼은 캠페인의 등록 이후에 출력될 수 있다.
"리포트" 항목의 "보기" 링크는 (1) 일별 노출수, (2) 클릭수 그래프, (3) 클릭수 지표, (4) 링크별 보고서의 엑셀 다운로드, (5) 키워드 및 링크별 보고서의 엑셀 다운로드, (6) 라인별 노출수, 클릭수, 클릭율 지표, (7) 키워드별 노출수, 클릭수 클릭율 지표 등의 통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입찰건 조회 화면(1000)에서 "상태" 항목의 입찰중인 건을 선택하면 해당 로(row)가 하이라이트 처리되며 하단의 액션 버튼들(입찰액 수정 버튼, 입찰 포기 버튼 및 낙찰 포기 버튼) 중에서 입찰중 상태에서 동작이 가능한 버튼(입찰액 수정 버튼 및 입찰 포기 버튼)만 활성화 처리되어 보여질 수 있다.
사용자가 입찰액 수정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입찰액의 수정이 가능한 입찰액 수정 팝업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입찰액 수정 팝업에서는 입찰액까지의 그리드 정보를 출력하고, 금액을 수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입찰 등록과 동일하게 호가 단위로 입찰액을 수정할 수 있다. 이때, 최소 입찰액 이하로는 금액이 입력되지 되지 않도록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입찰액의 수정이 완료되면, 입찰건 조회 화면(1000)에서 해당 건의 입찰액과 최종입찰 수정일시가 업데이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찰 포기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입찰액 수정 버튼이 클릭된 경우와 유사하게 해당 로(row)가 하이라이트 처리되며 하단의 액션 버튼들(입찰액 수정 버튼, 입찰 포기 버튼 및 낙찰 포기 버튼) 중에서 입찰중 상태에서 동작이 가능한 버튼(입찰 포기 버튼)만 활성화 처리되어 보여질 수 있다. 입찰 포기가 완료되면 "상태" 항목의 값은 [입찰포기] 상태로 변경되며, 최종 입찰 수정일시 부분도 업데이트되어 출력될 수 있다.
캠페인 연결 시 로딩되는 캠페인의 조건은, 캠페인의 상태가 완료가 아니며, 캠페인의 집행기간이 낙찰 키워드 셋의 집행기간을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 광고유형이 상술한 노출상품이고, 광고주가 낙찰된 광고주여야 하며, 캠페인이 등록자의 회사 소속의 캠페인(대행사 또는 렙사)이여야 목록에 출력되도록 서비스될 수 있다. 캠페인 연결이 완료되면 메일로 캠페인 관리 시스템으로 라인연결 요청이 발송될 수 있다.
라인이 연결되지 않은 건에 대하여 낙찰포기를 하는 경우에는 발생하는 위약금과 경고 문구가 팝업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라인이 연결된 경우에는 라인을 삭제한 후에 낙찰 포기를 하라는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소재를 등록하는 시점에는 "소재" 항목에 소재 등록을 위한 버튼이 출력될 수 있다. 라인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태가 "준비" 상태로 변경될 수 있고, 준비 상태인 건은 "소재" 항목에 소재 등록을 위한 버튼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키워드 카테고리 관리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키워드 카테고리 관리 화면(1100)에서 상태별 보기 인터페이스(1110)는 사용중, 사용중지 및 전체 중 하나의 카테고리를 조회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디폴트로는 사용중 상태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중지 상태는 사용중 조회에서는 나오지 않고 전체 및 사용중지 조회 시만 출력될 수 있으며, 회색으로 텍스트 색깔이 다르게 보여질 수 있다.
카테고리 영역(1120)에서는 다양한 카테고리들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는 클릭 시 볼드로 하이라이트 처리될 수 있다. 카테고리는 카테고리 영역(11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1단계 카테고리와 2단계 카테고리로 구성될 수 있고, 클릭을 통해 1단계 카테고리와 2단계 카테고리가 모두 조회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 영역(1120)에서 카테고리는 1단계 카테고리명의 가나다 순으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표(1130)에서 "카테고리명" 항목은 카테고리를 조회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테고리 조회시 세부 항목이 오른쪽에 표시될 수 있고, 디폴트로는 가장 첫 번째의 1단계 카테고리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카테고리를 조회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클릭하여 카테고리를 조회하는 경우, 리드 온니(read only) 화면으로 보여지며 수정 버튼을 누르면 버튼이 [저장] [취소]로 변경되어 수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표(1130)에서 "상위 카테고리 이동" 항목은 2단계 카테고리에서 상위 카테고리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1단계 카테고리의 조회시에는 해당 영역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카테고리 추가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카테고리 추가 화면(1200)에서는 상위 또는 하위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 박스(1210)는 하위 카테고리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카테고리는 한번에 5개까지 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카테고리가 생성되면 디폴트 상태는 "사용중"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시스템이 포함하는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컴퓨팅 시스템(120)에 대응할 수 있으며, 키워드 셋 결정부(1310), 초기 단가 설정부(1320), 정보 전송부(1330), 입찰 정보 수신부(1340), 낙찰자 선정부(1350), 검색결과 페이지 생성부(1360) 및 검색결과 페이지 전송부(1370)를 포함하는 프로세서(122)를 포함할 수 있다.
키워드 셋 결정부(1310)는 업종별로 키워드들 추출하여 복수의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셋을 결정할 수 있다. 업종은 미리 기설정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업종마다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셋들이 결정될 수 있고, 업종별로 결정되는 키워드 셋들의 수는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초기 단가 설정부(1320)는 키워드 셋의 초기 단가를 설정할 수 있다. 초기 단가는 키워드 셋에 대한 입찰 시 최저 입찰가로 활용될 수 있다.
정보 전송부(1330)는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 네트워크를 통해 키워드 셋, 초기 단가 및 집행기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찰을 위한 입찰 페이지가 구성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입찰 페이지를 통해 키워드 셋, 초기 단가 및 집행기간에 대한 정보가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디바이스에서는 다양한 키워드 셋들 중에서 선택되는 키워드 셋에 대한 입찰이 요청될 수 있다.
입찰 정보 수신부(1340)는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키워드 셋과 연관되고 초기 단가에 기초하며 집행기간동안 독점적으로 노출될 노출상품에 대한 입찰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입찰 정보는 제1 사용자 디바이스에서의 입찰에 대한 요청과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낙찰자 선정부(1350)는 수신된 입찰 정보에 기반하여 키워드 셋과 연관된 노출상품에 대한 입찰을 진행하여 낙찰자를 선정할 수 있다. 노출상품에 대한 입찰은 특정 기간 동안 컨텐츠를 독점적으로 노출하고자 하는 컨텐츠 제공자들에 대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낙찰자 선정부(1350)는 키워드 셋에 대한 n(상기 n은 자연수)번째 집행기간에 n+m(상기 m은 2 이상의 자연수)번째의 집행기간을 위한 입찰을 진행하여 낙찰자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낙찰자 선정부(1350)는 입찰에 대한 낙찰포기 또는 입찰자의 부재로 인한 유찰이 발생하여 낙찰자가 선정되지 못한 경우, n+m-1번째 집행기간까지 매 집행기간마다 n+m번째의 집행기간을 위한 입찰을 재진행하여 낙찰자를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입찰은 매 집행기간의 시작일에 진행될 수 있다.
검색결과 페이지 생성부(1360)는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집행기간동안 수신되는 키워드가 키워드 셋에 포함된 키워드인 경우, 낙찰자의 컨텐츠가 기설정된 영역에 배치된 검색결과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결과 페이지 생성부(1360)는 집행기간동안에 키워드 셋에 포함된 키워드가 수신되는 경우, 검색결과 페이지의 기설정된 영역에 낙찰자의 컨텐츠가 독점적으로 배치되도록 검색결과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검색결과 페이지 전송부(1370)는 생성된 검색결과 페이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낙찰자의 컨텐츠는 컨텐츠와 연관하여 미리 등록된 캠페인을 노출상품과 연결시킴으로써 관리될 수 있고, 캠페인에 대해 등록된 캠페인 기간이 집행기간을 포함하는 경우에 캠페인이 노출상품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찰을 통해 낙찰된 집행기간 동안 낙찰자의 컨텐츠를 검색결과 페이지의 특정 영역을 통해 독점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주체들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업종별로 키워드들 추출하여 복수의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셋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 셋의 초기 단가를 설정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키워드 셋, 상기 초기 단가 및 집행기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키워드 셋과 연관되고 상기 초기 단가에 기초하며 상기 집행기간동안 독점적으로 노출될 노출상품에 대한 입찰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입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키워드 셋과 연관된 노출상품에 대한 입찰을 진행하여 낙찰자를 선정하는 단계;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집행기간동안 수신되는 키워드가 상기 키워드 셋에 포함된 키워드인 경우, 상기 낙찰자의 컨텐츠가 기설정된 영역에 배치된 검색결과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검색결과 페이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집행기간동안에 상기 키워드 셋에 포함된 키워드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검색결과 페이지의 기설정된 영역에 상기 낙찰자의 컨텐츠가 독점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검색결과 페이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을 진행하여 낙찰자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 셋에 대한 n(상기 n은 자연수)번째 집행기간에 n+m(상기 m은 2 이상의 자연수)번째의 집행기간을 위한 입찰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을 진행하여 낙찰자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찰에 대한 낙찰포기 또는 입찰자의 부재로 인한 유찰이 발생하여 낙찰자가 선정되지 못한 경우, n+m-1번째 집행기간까지 매 집행기간마다 상기 n+m번째의 집행기간을 위한 입찰을 재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은 매 집행기간의 시작일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찰자의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와 연관하여 미리 등록된 캠페인을 상기 노출상품과 연결시킴으로써 관리되고,
    상기 캠페인에 대해 등록된 캠페인 기간이 상기 집행기간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캠페인이 상기 노출상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업종별로 키워드들 추출하여 복수의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셋을 결정하는 키워드 셋 결정부;
    상기 키워드 셋의 초기 단가를 설정하는 초기 단가 설정부;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키워드 셋, 상기 초기 단가 및 집행기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키워드 셋과 연관되고 상기 초기 단가에 기초하며 상기 집행기간동안 독점적으로 노출될 노출상품에 대한 입찰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입찰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입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키워드 셋과 연관된 노출상품에 대한 입찰을 진행하여 낙찰자를 선정하는 낙찰자 선정부;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집행기간동안 수신되는 키워드가 상기 키워드 셋에 포함된 키워드인 경우, 상기 낙찰자의 컨텐츠가 기설정된 영역에 배치된 검색결과 페이지를 생성하는 검색결과 페이지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검색결과 페이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검색결과 페이지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 페이지 생성부는,
    상기 집행기간동안에 상기 키워드 셋에 포함된 키워드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검색결과 페이지의 기설정된 영역에 상기 낙찰자의 컨텐츠가 독점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검색결과 페이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낙찰자 선정부는,
    상기 키워드 셋에 대한 n(상기 n은 자연수)번째 집행기간에 n+m(상기 m은 2 이상의 자연수)번째의 집행기간을 위한 입찰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낙찰자 선정부는,
    상기 입찰에 대한 낙찰포기 또는 입찰자의 부재로 인한 유찰이 발생하여 낙찰자가 선정되지 못한 경우, n+m-1번째 집행기간까지 매 집행기간마다 상기 n+m번째의 집행기간을 위한 입찰을 재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낙찰자의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와 연관하여 미리 등록된 캠페인을 상기 노출상품과 연결시킴으로써 관리되고,
    상기 캠페인에 대해 등록된 캠페인 기간이 상기 집행기간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캠페인이 상기 노출상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시스템.
KR1020150055366A 2015-01-09 2015-04-20 검색결과 페이지를 통한 컨텐츠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52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407 2015-01-09
KR20150003407 2015-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243A true KR20160086243A (ko) 2016-07-19
KR102052993B1 KR102052993B1 (ko) 2019-12-09

Family

ID=5661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366A KR102052993B1 (ko) 2015-01-09 2015-04-20 검색결과 페이지를 통한 컨텐츠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9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15411A (zh) * 2020-07-08 2020-10-23 易购购(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降低围标的采购方法及系统
CN113836384A (zh) * 2021-09-09 2021-12-24 北京来也网络科技有限公司 结合rpa和ai的中标信息获取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434B1 (ko) 2021-10-19 2022-03-08 주식회사 노티플러스 노출 화면 특성 기반의 콘텐츠 노출 영역 설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239A (ko) * 2003-04-25 2004-11-03 엔에이치엔(주) 검색어 입찰을 통한 인터넷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38629A (ko) * 2002-08-22 2005-04-27 오버처 서비시스, 인코포레이티드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검색 결과의 경매-기반 순위화를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485322B1 (ko) * 2003-03-08 2005-04-27 엔에이치엔(주) 검색 엔진에서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
KR100488887B1 (ko) * 2004-03-31 2005-05-11 엔에이치엔(주) 인터넷 검색 광고를 위한 키워드 입찰 제어 방법 및키워드 입찰 제어 시스템
KR20050074879A (ko) * 2004-02-28 2005-07-19 엔에이치엔(주) 카테고리 별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37810A (ko) * 2008-10-02 2010-04-12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검색 광고에 대한 경매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111497B1 (ko) * 2011-04-25 2012-02-22 주식회사 로그 도메인별 업종 분류 방법 및 업종 검색 방법
KR101314025B1 (ko) * 2013-04-24 2013-10-01 박지선 키워드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47469A (ko) * 2012-10-12 2014-04-22 전영욱 자동 반복 경매 방법
KR20140062663A (ko) * 2012-11-14 2014-05-26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검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3256A (ko) * 2012-12-06 2014-06-16 주식회사 인터파크아이엔티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8629A (ko) * 2002-08-22 2005-04-27 오버처 서비시스, 인코포레이티드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검색 결과의 경매-기반 순위화를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485322B1 (ko) * 2003-03-08 2005-04-27 엔에이치엔(주) 검색 엔진에서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
KR20040092239A (ko) * 2003-04-25 2004-11-03 엔에이치엔(주) 검색어 입찰을 통한 인터넷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4879A (ko) * 2004-02-28 2005-07-19 엔에이치엔(주) 카테고리 별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88887B1 (ko) * 2004-03-31 2005-05-11 엔에이치엔(주) 인터넷 검색 광고를 위한 키워드 입찰 제어 방법 및키워드 입찰 제어 시스템
KR20100037810A (ko) * 2008-10-02 2010-04-12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검색 광고에 대한 경매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111497B1 (ko) * 2011-04-25 2012-02-22 주식회사 로그 도메인별 업종 분류 방법 및 업종 검색 방법
KR20140047469A (ko) * 2012-10-12 2014-04-22 전영욱 자동 반복 경매 방법
KR20140062663A (ko) * 2012-11-14 2014-05-26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검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3256A (ko) * 2012-12-06 2014-06-16 주식회사 인터파크아이엔티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314025B1 (ko) * 2013-04-24 2013-10-01 박지선 키워드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15411A (zh) * 2020-07-08 2020-10-23 易购购(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降低围标的采购方法及系统
CN113836384A (zh) * 2021-09-09 2021-12-24 北京来也网络科技有限公司 结合rpa和ai的中标信息获取方法、装置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993B1 (ko) 201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314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to remote users by inter-computer communications
US9965782B2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selective disclosure of information from competing bidders
US20090265229A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buyer driven services e-commerce
US20080294640A1 (en) Pop-Up Software Application
US20030088479A1 (en) Online scheduling system
US201403245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Business Lead Generation and Auctioning
US11049063B2 (en) Asset communication hub
US200701006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ffering real estate promotions to buyers and buyers' agents
US20140025421A1 (en) On-lin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tching event vendors with event planners in real-time
KR101757329B1 (ko)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797486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managing assignments
KR20160086243A (ko) 검색결과 페이지를 통한 컨텐츠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50294337A1 (en) Content cre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that dynamically prices access based on user behavior
KR20220095068A (ko) 부동산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26447B1 (ko) 사이버 스타 발굴/육성 시스템 및 방법
JP5373003B2 (ja) 広告処理装置及び方法
US8725558B1 (en) Intra-site product advertising system
US11410222B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user interface for management of seller partner services
US202001429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ce opportunity management and volunteer management
US20130054293A1 (en) System and database for matching event vendors with event planners in real-time.
JP5965429B2 (ja) 選定装置、選定方法および選定プログラム
KR20220042104A (ko) 회원들을 대상으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AU20172082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ng Trending Assets
KR20190088446A (ko) 사용자의 매체를 통해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시스템
US20130080243A1 (en) Pay per inse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19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30

Effective date: 201904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