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256A -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256A
KR20140073256A KR1020120141288A KR20120141288A KR20140073256A KR 20140073256 A KR20140073256 A KR 20140073256A KR 1020120141288 A KR1020120141288 A KR 1020120141288A KR 20120141288 A KR20120141288 A KR 20120141288A KR 20140073256 A KR20140073256 A KR 20140073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personalized
product
page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세훈
박소희
전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파크아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파크아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파크아이엔티
Priority to KR1020120141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256A/ko
Publication of KR20140073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06Q30/0258Regis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Abstract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화 키워드 등록 요청이 수신된 경우, 키워드와 상품 간의 개인화된 연계를 위한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를 통한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화 키워드 선정 및 상품 선정이 완료됨에 따라, 선정된 개인화 키워드와 선정된 상품을 연계하여 등록 저장하는 단계;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 키워드에 관한 검색 요청이 수신된 경우, 사전 결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 키워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화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된 개인화 키워드와 연계 등록된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구매 요청 또는 관심 상품 등록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구매 요청 또는 상기 관심 상품 등록 요청에 상응하여 구매 진행 페이지의 제공 또는 관심 상품 등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화 키워드를 이용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RCHANDISE RECOMMENDING SERVICE}
본 발명은 개인화된 상품 추천이 가능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품 추천 서비스는 현재 전자 상거래 분야의 주요한 마케팅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품 추천 서비스는, 주로, 고객의 구매 행동을 분석하여 해당 고객이 선호할 가능성이 높은 상품을 추천하는 방식이나, 유사한 구매 행동 및 취향을 보인 다른 고객이 구매하였거나 관심을 보였던 상품을 고객에게 추천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구매 행동 기반의 상품 추천 서비스들은 본질적으로 그 고객의 구매 행동 패턴이 일관적일 것이라는 가정하에 동작하며, 과거의 통계 자료에 기초하여 상품을 고객에게 추천하기 때문에, 다양한 관심을 가진 고객 또는 특정 시점 및 상황에 따라 관심 분야가 가변하는 고객들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상품 추천 서비스는 해당 고객의 취미, 관심 분야, 구매 패턴 등에 기초하여 해당 고객을 특정 그룹 내로 소속시킨 후, 그 특정 집단 내에 속한 다수의 고객들에게 인기 있는 상품을 추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품 추천 서비스는 특정 그룹 내로 카테고리화된 고객들이 모두 비슷한 상품을 선호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상품 추천이 이루어지므로, 역시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수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양화된 그리고 가변하는 고객의 관심 사항에 따라 고객이 현재 시점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을 안내 받을 수 있는 상품 추천 서비스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다양화된 그리고 가변하는 고객의 관심 사항에 따라 고객이 현재 시점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적합한 상품을 안내 받을 수 있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화된 상품 추천이 가능하고 이에 따른 상품 구매가 발생하였을 때 추천 등록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부여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화 키워드 등록 요청이 수신된 경우, 키워드와 상품 간의 개인화된 연계를 위한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에는 개인화 키워드 선정 및 상품 선정을 위한 항목이 포함됨-;
상기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를 통한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화 키워드 선정 및 상품 선정이 완료됨에 따라, 선정된 개인화 키워드와 선정된 상품을 연계하여 등록 저장하는 단계;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 키워드에 관한 검색 요청이 수신된 경우, 사전 결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 키워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화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된 개인화 키워드와 연계 등록된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구매 요청 또는 관심 상품 등록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구매 요청 또는 상기 관심 상품 등록 요청에 상응하여 구매 진행 페이지의 제공 또는 관심 상품 등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화 키워드를 이용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에에서, 상기 검색된 개인화 키워드와 연계 등록된 상품에 관한 구매가 완료된 경우, 상기 구매 완료된 상품과 연계된 개인화 키워드에 관한 등록자에게 사전 결정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 상기 검색 결과 페이지, 상기 구매 진행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개인화 키워드 내보내기 버튼이 포함되되,
상기 개인화 키워드 내보내기 버튼을 통한 내보내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내보내기 요청된 개인화 키워드 및 해당 연계 상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전 지정된 수신자 및 상기 내보내기 요청을 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와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검색을 위한 상품 검색 페이지에는 개인화 키워드 담기 버튼이 포함되되,
상기 개인화 키워드 담기 버튼을 통한 담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상품 검색 페이지를 통해서 선택된 상품을, 상기 담기 요청한 사용자에 의해 사전 등록된 개인화 키워드 중 해당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화 키워드에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전 등록된 개인화 키워드 및 이와 연계된 상품에 관한 빠른 검색에 사용될 사전 정의된 심볼 연산자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전 정의된 심볼 연산자를 부가한 키워드 검색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검색 요청된 키워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화 키워드에 관한 검색 결과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의 상기 키워드 선정 항목에 키워드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입력 키워드와 상품 간 연계에 참조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키워드와 단어 또는 문맥 유사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전 등록된 개인화 키워드에 관한 검색 빈도, 추천 빈도, 상품 구매 회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통계 자료에 기초한 랭킹 정보를, 일반 상품 검색 페이지, 상기 검색 결과 페이지, 상기 구매 진행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에 화면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를 통한 제1 사용자의 개인화 키워드 선정 및 상품 선정이 완료됨에 따라, 선정된 개인화 키워드와 선정된 상품을 연계하여 등록 저장하는 개인화 키워드 등록부-여기서, 상기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에는 개인화 키워드 선정 및 상품 선정을 위한 항목이 포함됨-;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 키워드에 관한 검색 요청이 수신된 경우, 사전 결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 키워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화 키워드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된 개인화 키워드와 연계 등록된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구매 요청 또는 관심 상품 등록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구매 요청 또는 상기 관심 상품 등록 요청에 상응하여 구매 처리 및 관심 상품 등록 처리를 수행하는 구매 처리부;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개인화 키워드 등록 요청이 수신된 경우 키워드와 상품 간의 개인화된 연계를 위한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검색 요청에 상응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화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와 상기 구매 요청에 상응하여 구매 진행 페이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GUI 제공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매 처리부는, 상기 검색된 개인화 키워드와 연계 등록된 상품에 관한 구매가 완료된 경우, 상기 구매 완료된 상품과 연계된 개인화 키워드에 관한 등록자에게 사전 결정된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 상기 검색 결과 페이지, 상기 구매 진행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개인화 키워드 내보내기 버튼이 포함되되,
상기 개인화 키워드 내보내기 버튼을 통한 내보내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내보내기 요청된 개인화 키워드 및 해당 연계 상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전 지정된 수신자 및 상기 내보내기 요청을 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와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전송하는 SNS 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검색을 위한 상품 검색 페이지에는 개인화 키워드 담기 버튼이 포함되되,
상기 개인화 키워드 등록부는, 상기 개인화 키워드 담기 버튼을 통한 담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상품 검색 페이지를 통해서 선택된 상품을, 상기 담기 요청한 사용자에 의해 사전 등록된 개인화 키워드 중 해당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화 키워드에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사전 등록된 개인화 키워드에 관한 검색 빈도, 추천 빈도, 상품 구매 회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통계 자료에 기초한 랭킹 정보를 생성하는 랭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GUI 제공부는, 상기 랭킹 정보를, 일반 상품 검색 페이지, 상기 검색 결과 페이지, 상기 구매 진행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에 화면 표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개인화된 상품 추천을 통해서 보다 다양화된 상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관심 분야 또는 활동 영역이 가변적인 사용자들 간의 빠른 정보 공유를 통해 손쉬운 상품 구매를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개인화된 상품 추천 등록 사항에 기초하여 상품 구매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추천 등록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유익한 혜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개인 및 중간 판매자들이 인터넷 서점 내에 자신들의 추천 상품을 등록하고 자체적인 홍보활동을 통해 판매이익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키워드를 이용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전반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에 이용되는 화면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 등을 통해서는 개인화 키워드와 연계될 상품으로서 도서(책)의 경우를 주로 예시하겠지만, 개인화 키워드와 연계될 상품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음을 먼저 명확히 해두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키워드를 이용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전반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에 관한 구체적 설명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개념적 이해를 돕기로 한다.
도 1에서, '사용자 Side'로서 사용자 A와 사용자 B는 각각 개인화 키워드의 등록자와 개인화 키워드를 이용하여 이와 연계된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를 대표하여 나타낸 것이다. 또한 '사업자 Side'와 'System Sid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와 해당 서비스의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측면에서 각각 정해진 역할을 구분한 것이다. 따라서 '사업자 Side'와 'System Side'는 해당 역할에 관한 주체가 서로 다를 수도 있고, 동일 주체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에서 '사업자 Side'와 'System Side'가 담당하는 것으로 도시된 세부적 역할도 도면에서와 상이할 수도 있으며, 그 각각의 세부적 역할은 서로 간에 변경 또는 교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A는 본 실시예의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개인화 키워드의 등록을 위한 등록 페이지를 통해서, 자신이 등록하고자 하는 개인화 키워드와 그 키워드와 연계될 상품(본 예에서는 관련 도서)을 선정함으로써, 개인화 키워드를 등록 신청(요청)한다[S1 참조].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서비스 시스템은 등록 신청된 개인화 키워드에 관한 중복 확인을 수행한 후, 기존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개인화 키워드인 경우에는 이에 관한 등록 및 DB 저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등록된 개인화 키워드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파될 수 있고[S5 참조], 이를 수신한 다른 사용자는 그 SNS를 통해 전파된 메시지를 통해서 등록된 개인화 키워드(및 연계 상품)에 접근하여 상품 구매 등을 할 수도 있다[S6 참조].
또한 다른 사용자(본 예에서는 사용자 B)는 본 실시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또는 모바일 페이지 또는 본 실시예의 서비스와 관련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이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라 함)을 다운로드 받고 해당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검색 화면 등을 통해 상품 검색/구매를 위한 검색어를 입력함으로써[S2 참조], 해당 검색어와 관련된 개인화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서비스 시스템은 입력된 검색어를 기초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고 사전 결정된 규칙에 따라 매칭되는 검색 결과를 출력한다[S3 참조]. 이때의 검색 결과에는 개인화 키워드 검색 결과 이외에도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 검색 결과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SNS 전파 과정을 통해서 또는 검색어 입력에 따른 검색 결과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 B가 특정 개인화 키워드와 연계된 연계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S4 참조], 해당 구매 상품과 연계된 개인화 키워드를 등록한 등록자(본 예에서는 사용자 A)에게 소정의 인센티브(본 예에서는 보상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S7, S8 참조].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개인화 키워드의 등록/검색 실행 및 관리를 위해서, 본 실시예의 서비스에서는 키워드에 관한 형태소 분석/처리, 금칙어 관리, 고유명사 권한 관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개인화 키워드와 관련된 랭킹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2 내지 도 6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이는 서버일 수 있음)는, 전송부(210), 수신부(220), 정보 관리부(230), 개인화 키워드 등록부(240), 구매 처리부(250), SNS 연동부(260), 검색부(270), 랭킹부(280), GUI 제공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부(210) 및 수신부(2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 측과의 관계에서 특정 정보 및 화면을 송수신 받기 위한 구성요소이며, 정보 관리부(230)는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및 일반적인 상품 검색/구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관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서는 개인화 키워드 등록부(240), 구매 처리부(250), SNS 연동부(260), 검색부(270), 랭킹부(280), GUI 제공부(29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3의 순서도의 설명 과정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위 구성요소들 모두가 본 발명의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이 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물론, 이 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개별적 기능에 초점을 맞춰 구분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 구현될 수도 있으며, 1개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복수의 구성요소로 분리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이유로, 특정 구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면, 각 구성요소로의 구분 및 그 명칭과 무관하게, 도 2의 해당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구성인 것으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는 개인화 키워드 등록자 측을 대표하여 1개의 사용자 단말(이하, 제1 사용자 단말(100))과, 개인화 키워드를 이용한 상품 구매를 행하는 구매자 측을 대표하여 1개의 사용자 단말(이하, 제2 사용자 단말(300))을 도시하였지만, 등록자 단말과 구매자 단말은 1개 이상일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200) 간,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300)과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200) 간은 서로 직접 통신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특정 중계 장치를 매개로 하여 연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제2 사용자 단말(100, 300)이 모바일 단말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맞춰 유저 측에서 실행되어야 할 특정 동작을 정의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50)(즉,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저 측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제공하는 특정 웹 페이지 혹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등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물론, 유저 측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포털 사이트 제공 업체(미도시) 혹은 각종 애플리케이션 제공 업체(미도시)가 운영하는 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200), 포털 사이트 제공 업체, 애플리케이션 제공 업체 등은, 유저 측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특정 저장 매체(미도시)를 저장해둘 수 있다.
이하, 도 3의 순서도를 중심으로 도 2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도 4 내지 도 6를 함께 참조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에 이용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개인화 키워드 등록 요청이 수신된 경우, GUI 제공부(290)는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를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도 3의 S310]. 여기서, 상기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는, 사용자에 의해 선정된 키워드와 특정 상품 간의 개인화된 연계 등록을 위해 제공되는 GUI 화면으로서,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개인화 키워드로서 등록하고자 하는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워드 등록' 항목(도 4의 도면부호 1번 항목 참조), 개인화 키워드의 등록(즉, 화면 노출) 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기간 설정' 항목(도 4의 도면부호 2번 항목 참조), 개인화 키워드와 관련하여 또는 사용자 개인적인 관심 사항 등에 관한 코멘트/메시지를 입력 가능하게 하기 위한 '내용 작성' 항목, 개인화 키워드와 연계시키고자 하는 상품 목록을 선택하기 위한 '상품 선택' 항목(도 4의 도면부호 3번 항목 참조) 등이 포함되고 있다.
여기서, '키워드 등록' 항목을 참조하면, 입력 공간 내에 # 심벌이 디폴트(default)로 표시되고 있다. 여기서, # 심벌은, 일반 키워드와 개인화 키워드를 구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기능한다. 다만, 본 예에서는 구분 식별자로서 # 심벌을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사전 등록된 심벌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분 식별자는, 추후 상품 검색 과정에서는 개인화 키워드 검색을 위한 심벌 연산자로서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일반 검색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를 단순 입력한 경우에는 개인화 키워드 검색 결과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 심벌을 입력 한 후 특정 키워드를 연이어 입력한 경우에만 개인화 키워드 검색 결과가 제공되도록 시스템 구현될 수도 있다. 물론,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 심벌을 부가하지 않은 단순 키워드 입력의 경우, 일반 검색 결과와 함께 개인화 키워드 검색 결과가 동시 표출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즉, 이러한 경우, 상기 # 심벌은 검색자 측 관점에서는 사전 등록된 개인화 키워드 및 이와 연계된 연계 상품의 빠른 검색에 사용되는 심볼 연산자로서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개인화 키워드 등록 과정에서 키워드 중복 확인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동일한 개인화 키워드는 등록자를 달리하는 경우 등록 허용되도록 시스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이 중복 확인 과정을 통해서 개인화 키워드의 중복이 완전히 불허되도록 시스템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에에 따를 때, 개인화 키워드로서 등록 불가한 키워드(즉, 금칙어 또는 불용어)가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금칙어로는 예를 들어, 상업 광고와 직접 연관된 키워드, 선량풍속을 저해하는 키워드 등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고, 또한 상품 속성에 따라 특정인에게 개인화 키워드 등록 권리를 부여하기에 부적합한 키워드(일 예로, 상품이 도서인 경우에는 출판사명 등, 물론 이 경우 개인화 키워드 등록 주체가 출판사인 경우에는 허용할 수도 있음)가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금칙어는 서비스 정책에 관련된 사항이므로, 다양히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유사하게 서비스 정책에 관련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사항들로는, 사용자 1인 별 등록 가능한 개인화 키워드 개수, 1개의 개인화 키워드와 연계 가능한 상품 개수, 개인화 키워드와 관련된 등록 사항에 관한 수정 가능 여부, 인센티브 부여 시점 및 내용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개인화 키워드 검색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와 완전히 일치(Exact matching)하는 개인화 키워드만을 검색 결과로 보여줄지 혹은 일부 단어나 문맥 상 유사한 개인화 키워드까지를 검색 결과로 보여줄지 등과 관련된 사전 결정된 규칙 등도 서비스 정책 사항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서비스 정책 사항들에 관하여는 별도의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개인화 키워드와 연계시킬 상품을 선택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4의 하단 또는 도 5에서와 같은 상품 검색 페이지에서 개인화 키워드 담기 버튼(도 5의 도면부호 7번 항목 참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개인화 키워드와 연계 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에서 사용자에 의해 개인화 키워드가 입력된 경우, 그 입력한 키워드와 상품 간의 연계 과정에 참조(보조)할 수 있도록, 입력 키워드와 단어 또는 문맥 유사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리스트를 화면 상에 표출해줄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화면 표출된 상품 리스트를 참조하여 연계 상품을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연계 상품 선정 방식이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외에도, 도 4의 개인화 키워드 등록 화면을 참조하면, 개인화 키워드 내보내기 버튼(도 4의 도면부호 4번 항목 참조), 해당 사용자에 의해 먼저 등록 처리된 개인화 키워드 목록을 표시하는 영역(도 4의 도면부호 5번 항목 참조), 개인화 키워드 관련 사항에 관한 안내를 위한 항목(도 4의 도면부호 6번 항목 참조)가 더 포함되고 있다.
이 중 개인화 키워드 내보내기 버튼의 기능에 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해당 사용자가 개인화 키워드 내보내기 버튼을 누른 경우(즉, 내보내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SNS 연동부(260)는 내보내기 요청된 개인화 키워드 및 해당 연계 상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 정보(예를 들어, 단축 URL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특정 SNS로 전파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경우, 해당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SNS를 통해서 해당 사용자와 인적 네트워크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수신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물론 이상에서는 SNS 전파의 경우만을 설명하였지만,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지정 수신자에게 해당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상에서 설명한 개인화 키워드 내보내기 버튼은, 도 4의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 이외에도, 검색 결과 페이지, 상품 구매 진행 페이지 등에도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개인화 키워드의 등록자 이외에도, 상품 검색자 또는 구매자에 의해서도 그 등록자의 개인화 키워드 관련 메시지가 SNS 전파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에는 개인화 키워드의 공개/비공개 설정을 위한 항목도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비공개 설정된 경우에는,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키워드 입력 또는 SNS 접근을 통해서만 검색 가능하고, 또한 실시간 검색 혹은 랭킹 리스트를 통해서는 노출되지 않도록 처리될 수 있다.
상술한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를 통한 개인화 키워드 및 연계 상품 선정이 완료된 경우, 개인화 키워드 등록부(240)는 그 선정된 키워드와 상품 간을 연계하여 등록 저장할 수 있다[도 3의 S32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인화 키워드가 등록된 이후, 본 실시예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타인(이하, 제2 사용자로 가정함)에 의한 키워드 검색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검색부(270)는 사전 결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 키워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화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때 입력 키워드는 # 심벌의 부가 없이 입력된 것일 수도 있고, # 심벌이 부가되어 입력된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입력 상황에 따라 검색 결과 페이지에 포함되는 내용이 달라질 수 있음은 앞서 이미 설명한 바이다. 이때, 검색 결과 페이지는 GUI 제공부(290)에 의해 생성되어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될 것이다[도 3의 S330].
이러한 검색 결과 페이지의 일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은 최초 검색 결과 페이지에 리스트 표출된 관련 개인화 키워드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클릭)한 경우에 2차적으로 표출되는 검색 결과 페이지일 수도 있고, 관련 개인화 키워드가 단 1개여서 최초 표출되는 검색 결과 페이지일 수도 있다. 도 6의 검색 결과 페이지를 참조하면, 해당 개인화 키워드의 추천을 위한 항목(도 6의 도면부호 8번 항목 참조), 실시간 랭킹 리스트 표출 영역(도 6의 도면부호 9번 항목 참조), SNS 내보내기 버튼(도 6의 도면부호 10번 항목) 등이 포함되고 있다. 이외에도 도 6을 통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검색 결과 페이지에는 검색된 개인화 키워드 및 연계 상품에 관한 소셜 댓글을 입력할 수 있는 항목도 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중 실시간 랭킹 리스트 표출 영역과 관련하여 설명하면,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랭킹부(280)는, 사전 등록된 개인화 키워드들에 관한 검색 빈도, 추천 빈도, 상품 구매 회수 등에 기초하여 통계 처리를 수행한 결과로서 랭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랭킹 정보는 검색 결과 페이지, 구매 진행 페이지 등 화면 상에 표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검색 결과 페이지 등을 통한,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의 개인화 키워드 연계 상품에 관한 구매 요청 또는 관심 상품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구매 처리부(250)는 이에 상응하여 구매 처리 및 관심 상품 등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도 3의 S340]. 이 경우, GUI 제공부(290)는 구매 처리 및 관심 상품 등록 처리 과정에서 제2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화면(구매 진행 페이지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서 개인화 키워드와 연계되어 등록된 연계 상품에 관한 실제 상품 구매가 완료되는 경우, 구매 처리부(250)는, 그 개인화 키워드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사전 결정된 인센티브(일 예로, 보상 포인트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키워드를 이용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다양화된 그리고 가변하는 고객의 관심 사항에 따라 고객이 현재 시점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적합한 상품을 안내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개인화된 상품 추천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품 구매가 발생하였을 때 추천 등록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부여함으로써 상품 추천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제1 사용자 단말
300 : 제2 사용자 단말
200 :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210 : 전송부
220 : 수신부
230 : 정보 관리부
240 : 개인화 키워드 등록부
250 : 구매 처리부
260 : SNS 연동부
270 : 검색부
280 : 랭킹부
290 : GUI 제공부

Claims (12)

  1.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화 키워드 등록 요청이 수신된 경우, 키워드와 상품 간의 개인화된 연계를 위한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에는 개인화 키워드 선정 및 상품 선정을 위한 항목이 포함됨-;
    상기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를 통한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화 키워드 선정 및 상품 선정이 완료됨에 따라, 선정된 개인화 키워드와 선정된 상품을 연계하여 등록 저장하는 단계;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 키워드에 관한 검색 요청이 수신된 경우, 사전 결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 키워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화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된 개인화 키워드와 연계 등록된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구매 요청 또는 관심 상품 등록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구매 요청 또는 상기 관심 상품 등록 요청에 상응하여 구매 진행 페이지의 제공 또는 관심 상품 등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화 키워드를 이용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개인화 키워드와 연계 등록된 상품에 관한 구매가 완료된 경우, 상기 구매 완료된 상품과 연계된 개인화 키워드에 관한 등록자에게 사전 결정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화 키워드를 이용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 상기 검색 결과 페이지, 상기 구매 진행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개인화 키워드 내보내기 버튼이 포함되되,
    상기 개인화 키워드 내보내기 버튼을 통한 내보내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내보내기 요청된 개인화 키워드 및 해당 연계 상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전 지정된 수신자 및 상기 내보내기 요청을 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와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개인화 키워드를 이용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품 검색을 위한 상품 검색 페이지에는 개인화 키워드 담기 버튼이 포함되되,
    상기 개인화 키워드 담기 버튼을 통한 담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상품 검색 페이지를 통해서 선택된 상품을, 상기 담기 요청한 사용자에 의해 사전 등록된 개인화 키워드 중 해당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화 키워드에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화 키워드를 이용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사전 등록된 개인화 키워드 및 이와 연계된 상품에 관한 빠른 검색에 사용될 사전 정의된 심볼 연산자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전 정의된 심볼 연산자를 부가한 키워드 검색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검색 요청된 키워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화 키워드에 관한 검색 결과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개인화 키워드를 이용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의 상기 키워드 선정 항목에 키워드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입력 키워드와 상품 간 연계에 참조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키워드와 단어 또는 문맥 유사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화 키워드를 이용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사전 등록된 개인화 키워드에 관한 검색 빈도, 추천 빈도, 상품 구매 회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통계 자료에 기초한 랭킹 정보를, 일반 상품 검색 페이지, 상기 검색 결과 페이지, 상기 구매 진행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에 화면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화 키워드를 이용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8.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를 통한 제1 사용자의 개인화 키워드 선정 및 상품 선정이 완료됨에 따라, 선정된 개인화 키워드와 선정된 상품을 연계하여 등록 저장하는 개인화 키워드 등록부-여기서, 상기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에는 개인화 키워드 선정 및 상품 선정을 위한 항목이 포함됨-;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 키워드에 관한 검색 요청이 수신된 경우, 사전 결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 키워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화 키워드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된 개인화 키워드와 연계 등록된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구매 요청 또는 관심 상품 등록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구매 요청 또는 상기 관심 상품 등록 요청에 상응하여 구매 처리 및 관심 상품 등록 처리를 수행하는 구매 처리부;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개인화 키워드 등록 요청이 수신된 경우 키워드와 상품 간의 개인화된 연계를 위한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검색 요청에 상응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화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와 상기 구매 요청에 상응하여 구매 진행 페이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GUI 제공부
    를 포함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처리부는, 상기 검색된 개인화 키워드와 연계 등록된 상품에 관한 구매가 완료된 경우, 상기 구매 완료된 상품과 연계된 개인화 키워드에 관한 등록자에게 사전 결정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키워드 등록 페이지, 상기 검색 결과 페이지, 상기 구매 진행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개인화 키워드 내보내기 버튼이 포함되되,
    상기 개인화 키워드 내보내기 버튼을 통한 내보내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내보내기 요청된 개인화 키워드 및 해당 연계 상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전 지정된 수신자 및 상기 내보내기 요청을 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와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전송하는 SNS 연동부
    를 더 포함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품 검색을 위한 상품 검색 페이지에는 개인화 키워드 담기 버튼이 포함되되,
    상기 개인화 키워드 등록부는, 상기 개인화 키워드 담기 버튼을 통한 담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상품 검색 페이지를 통해서 선택된 상품을, 상기 담기 요청한 사용자에 의해 사전 등록된 개인화 키워드 중 해당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화 키워드에 연계하여 저장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사전 등록된 개인화 키워드에 관한 검색 빈도, 추천 빈도, 상품 구매 회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통계 자료에 기초한 랭킹 정보를 생성하는 랭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GUI 제공부는, 상기 랭킹 정보를, 일반 상품 검색 페이지, 상기 검색 결과 페이지, 상기 구매 진행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에 화면 표출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20141288A 2012-12-06 2012-12-06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73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288A KR20140073256A (ko) 2012-12-06 2012-12-06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288A KR20140073256A (ko) 2012-12-06 2012-12-06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256A true KR20140073256A (ko) 2014-06-16

Family

ID=5112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288A KR20140073256A (ko) 2012-12-06 2012-12-06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325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243A (ko) * 2015-01-09 2016-07-19 네이버 주식회사 검색결과 페이지를 통한 컨텐츠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8012648A3 (ko) * 2016-07-13 2018-03-08 헬로우링크 주식회사 식별번호를 이용한 상품 검색방법
WO2019039673A1 (ko) * 2017-08-21 2019-02-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의 웹 페이지 분석에 기초한 제품 키워드 정보 자동추출 장치 및 방법
KR20190038436A (ko) * 2017-09-29 2019-04-08 이다커뮤니케이션즈(주) 맞춤형 페르소나 관리서버를 이용한 보험상품 추천 시스템 및 보험상품 추천 방법
KR20210059593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텐원더스 콘텐츠 기반의 상품 판매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WO2023249153A1 (ko) * 2022-06-22 2023-12-28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243A (ko) * 2015-01-09 2016-07-19 네이버 주식회사 검색결과 페이지를 통한 컨텐츠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8012648A3 (ko) * 2016-07-13 2018-03-08 헬로우링크 주식회사 식별번호를 이용한 상품 검색방법
WO2019039673A1 (ko) * 2017-08-21 2019-02-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의 웹 페이지 분석에 기초한 제품 키워드 정보 자동추출 장치 및 방법
KR20190038436A (ko) * 2017-09-29 2019-04-08 이다커뮤니케이션즈(주) 맞춤형 페르소나 관리서버를 이용한 보험상품 추천 시스템 및 보험상품 추천 방법
KR20210059593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텐원더스 콘텐츠 기반의 상품 판매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WO2023249153A1 (ko) * 2022-06-22 2023-12-28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4503B1 (en) Hosted product recommendations
US20120265635A1 (en) Social network recommendation polling
US20070043583A1 (en) Reward driven online system utilizing user-generated tags as a bridge to suggested links
JP535743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00128321A (ko) 광고 표시 방법, 광고 표시 시스템 및 광고 표시 프로그램
US201400675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cision retailing
CN102314654B (zh) 一种信息推送方法及信息推送服务器
KR101231946B1 (ko) 코디네이션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및 경영관리시스템
CN105719156A (zh) 用于识别和推广已添加标签的商品的系统及方法
KR20180099254A (ko) 쇼핑 후기의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2132308A (zh) 在线社区中的信息分享
KR20140073256A (ko)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30204701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marketing targeted products to users of social media
EP2711850A1 (en) Review text output system, review text output method,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0896613B1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KR20180071204A (ko) 이미지의 태그정보 기반 상품정보 제공 및 구매 방법 및 장치
WO2013096749A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user recommendations
KR101979237B1 (ko)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129409A (ko) 온라인 쇼핑몰의 검색 추천 방법
JP6567688B2 (ja) 管理装置、管理方法、非一時的な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7126707A1 (ja) 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
JP2011113323A (ja) 顧客情報管理サーバ、及び顧客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20180070850A (ko) 이미지의 태그정보 기반 상품정보 제공 및 구매 방법 및 장치
JP6698041B2 (ja)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073846A (ko)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한 온라인쇼핑몰의 맞춤형 큐레이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