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329B1 -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329B1
KR101757329B1 KR1020160152693A KR20160152693A KR101757329B1 KR 101757329 B1 KR101757329 B1 KR 101757329B1 KR 1020160152693 A KR1020160152693 A KR 1020160152693A KR 20160152693 A KR20160152693 A KR 20160152693A KR 101757329 B1 KR101757329 B1 KR 101757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ding
information
bid
tender
announ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시형
김주현
함혜련
김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콘
Priority to KR1020160152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입찰시스템의 모든 입찰공고에서 운찰제가 적용되는 물품 입찰공고를 입수 및 분석하여 각 물품별로 제조사의 견적을 통해 합리적인 투찰정보를 투찰자에게 제공하여 투찰을 용이하게 하는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입찰공고 서버로부터 입찰공고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운찰제가 적용되는 물품 입찰공고를 선별한 후 견적 담당자를 배정하고 해당 입찰공고의 물품 제조 가능한 제조사에 견적을 요청한 후 견적결과와 제조사 평가에 의해 투찰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관련 투찰자들에 투찰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투찰 관리 서버; 투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투찰관련 부가정보를 입력하고 입찰공고별 견적을 처리하기 위한 운영단말; 투찰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투찰 정보에 따라 해당 입찰공고에 전자입찰하기 위한 다수의 투찰자 단말; 및 상기 투찰 관리 서버의 요청에 따라 입찰공고된 물품의 견적을 제공하는 제조사 단말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라장터와 같은 전자입찰시스템의 모든 입찰공고에서 운찰제가 적용되는 물품 입찰공고를 입수 및 분석하여 각 물품별로 실제 제조 가능한 제조사의 견적을 통해 투찰에 필요한 합리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BIDD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BIDDING }
본 발명은 전자입찰시스템의 입찰정보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입찰시스템의 모든 입찰공고에서 운찰제가 적용되는 물품 입찰공고를 입수 및 분석하여 각 물품별로 제조사의 견적을 통해 최적 이윤을 보장할 수 있는 투찰정보를 투찰자에게 제공하여 합리적인 투찰을 가능하게 하는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입찰(Electronic Bidding)이란 직접 입찰장소에 방문하여 입찰서류를 제출할 필요없이 인터넷을 통해 물품조달 또는 시설공사입찰 등에 참여할 수 있는 입찰방식으로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기관 및 기타 단체 등이 시설 공사, 물품, 용역 등과 관련하여 조달청이나 자체의 전자 입찰 시스템에 의하여 입찰 공고, 투찰, 개찰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낙찰자를 정해 계약 상대로 선정하는 것이다.
공공기관, 시·군청 및 학교 등 공공부문에서만 이용할 수 있었던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인 '나라장터'를 최근에는 민간부문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개방되어 현재는 아파트, 영농어조합법인, 비영리단체, 중소기업 등에서도 나라장터 전자입찰시스템을 활용하여 계약자를 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입찰 산업 분야의 확대로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많은 기업이나 단체들은 입찰공고의 정보를 수집하여 투찰 가능한 공고에 대해 분석한 후 투찰하는데, 종래에는 분석에 대한 지식이 없거나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지지 않아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입찰 참여자에게 입찰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등이 있으나 입찰정보와 낙찰결과 등의 단순정보만 제공하여 입찰 참여자들이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전자 입찰의 진행 절차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달청의 전자 조달 시스템인 ‘나라장터’ 또는 기타단체들의 자체 조달 시스템을 통하여 입찰 대상에 대해 입찰에 부치는 내용을 공고한다. 입찰 공고에는 입찰에 부치는 사항, 입찰 방법, 입찰 참가 자격, 현장 설명 및 설계서 열람, 입찰서 제출, 입찰 보증금 및 귀속, 개찰일시 및 장소, 낙찰자 결정, 입찰 무효, 청렴 계약이행 서약서, 기타 사항 등이 포함된다. 입찰 공고 후, 기초 금액에 근거하여 복수의 예비 가격이 생성되어 랜덤 방식으로 배열되고, 투찰한 입찰 참여자가 가장 많이 선택한 번호에 해당하는 예비 가격들을 산술 평균하여 예정 가격이 정해진다. 예정 가격에 투찰 기준율을 곱하여 낙찰 하한가가 결정되며, 낙찰 하한가격 이상 응찰자 중 가장 낮은 금액의 투찰자가 낙찰 예정자로 결정된다. 여기서, 기초 금액은 입찰에 기준이 되는 금액으로서, 이를 토대로 하여 복수의 예비 가격이 산출되며, 응찰자에게는 투찰 금액을 산출하는 기준이 된다.
입찰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448289호로 공고된 '전문가의 낙찰 예측결과를 이용하는 입찰 컨설팅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문가 단말로부터 개별 입찰 건에 대하여 낙찰 금액으로 예측된 투찰 금액을 등록받는 전문가 투찰 등록부와, 구매자 단말의 조회 요청을 받고 등록된 입찰 정보별로 투찰 금액을 등록한 전문가의 이력과 낙찰률 기반의 낙찰 순위를 제공하는 전문가 정보 제공부와, 구매자의 구매 요청에 의해 선택된 투찰 금액의 결제를 처리하는 구매자 결제 처리부와, 결제의 처리가 완료된 투찰 금액과 산출 근거를 공개 처리하여 구매자 단말로 제공하는 투찰 정보 공개부를 포함하는 입찰 컨설팅 서버로 구성되어 낙찰률이 높은 전문가들의 투찰 정보를 구매자들에게 판매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입찰 정보 제공방법은 운찰제에 적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투찰 정보를 구매하는 방식이므로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응찰자가 입찰정보를 입수하여 직접 응찰에 참여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자입찰 홈페이지에 공고되는 입찰 정보자료가 매우 많고 세부적으로 분류되어 있지 않아 응찰자 본인이 입찰 가능한 입찰건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모든 입찰건의 세부 공고문을 일일이 조회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낙찰방식에 있어서 최저가 낙찰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된 적격심사 낙찰제는 기술(이행)능력 심사의 변별력이 부족해 예정가격을 운 좋게 잘 예측한 자가 낙찰되는 운찰제의 성향을 갖고 있기 때문에 투찰 금액의 산출이 중요한데, 무수히 많은 종류의 물품에 대해 투찰할 경우에는 각 종목에 대한 투찰 금액 산출이 어려워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예정가격에 대한 추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KR 10-1300517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나라장터와 같은 전자입찰시스템의 모든 입찰공고에서 운찰제가 적용되는 물품 입찰공고를 입수 및 분석하여 각 물품별로 실제 제조 가능한 제조사의 견적을 통해 최적 이윤이 보장되는 투찰정보를 투찰자에게 전송하여 합리적으로 투찰할 수 있게 하고, 투찰자의 개찰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입찰공고 서버로부터 입찰공고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운찰제가 적용되는 물품 입찰공고를 선별한 후 견적 담당자를 배정하고 해당 입찰공고의 물품 제조 가능한 제조사에 견적을 요청한 후 견적결과와 제조사 평가에 의해 투찰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관련 투찰자들에 투찰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투찰 관리 서버; 상기 투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투찰관련 부가정보를 입력하고 입찰공고별 견적을 처리하기 위한 운영단말; 상기 투찰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투찰정보와 투찰가 산출툴에 따라 해당 입찰공고에 전자입찰하기 위한 다수의 투찰자 단말; 및 상기 투찰 관리 서버의 요청에 따라 입찰공고된 물품의 견적을 제공하는 제조사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찰 관리 시스템은, 입찰보증금이나 낙찰자가 정해진 입찰의 물품 제조비용을 클라우드 펀딩으로 모집하기 위한 클라우드 펀딩 사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찰 관리 서버는 전자입찰 관련 사이트로부터 입찰공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투찰 관리 서버의 물품공고정보를 갱신하는 입찰공고 수집모듈과, 입찰공고 중 운찰제가 적용되는 물품조달 관련 전자 입찰공고만을 추출하여 입찰가능공고로 분류하는 입찰 가능 공고 선별 모듈과, 각 입찰공고별 조달 물품의 내역에 따라 견적이나 부가정보 입력 등을 처리할 담당자를 배정하는 공고별 담당자 배정모듈과, 배정된 입찰공고의 물품과 관련된 제조사를 찾아 해당 제조사에 견적을 요청한 후 해당 제조사로부터 견적을 접수하여 견적을 처리하는 입찰공고별 견적 처리 모듈과, 제조사의 견적을 토대로 제조사를 평가하고 기초금액으로부터 이윤율을 추정하며 리스크를 분석하여 해당 입찰공고의 투찰정보를 생성하는 투찰정보 생성모듈과, 다수의 투찰자나 투찰업체들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면서 투찰자를 관리하는 투찰자 관리모듈과, 상기 투찰자 관리모듈을 통해 획득된 다수의 투찰자 중에서 해당 입찰공고에 적합한 투찰자를 선별하는 투찰자 선별 모듈과, 투찰정보와 투찰가 산출툴을 해당 투찰자에게 전달하여 투찰을 요청하기 위한 투찰정보 제공모듈과, 개찰이 이루어진 입찰공고에 대해서 해당 공고에 투찰한 투찰자의 투찰정보와 낙찰 순위정보와 같은 개찰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개찰결과 확인모듈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투찰 관리 시스템이 입찰공고를 수집하여 물품 입찰공고를 갱신하는 단계; 투찰 관리 시스템이 입찰 가능한 공고를 선별하여 담당자를 배정하는 단계; 투찰 관리 시스템이 입찰 공고별로 견적을 진행하는 단계; 투찰 관리 시스템이 접수된 제조업체의 견적서를 분석하고 기초금액으로부터 이윤율을 추정한 후 리스크를 분석하여 투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투찰 관리 시스템이 입찰 공고별로 참가 가능 투찰 업체를 선별하여 투찰정보와 투찰가 산출툴을 제공하는 단계; 및 투찰자 단말이 제공된 투찰가 산출툴에 따라 투찰가를 산출하여 전자입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투찰 관리 방법은, 상기 투찰 관리 시스템이 개찰 후 해당 입찰에 투찰한 업체들의 개찰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라장터와 같은 전자입찰시스템의 모든 입찰공고에서 운찰제가 적용되는 물품 입찰공고를 입수 및 분석하여 각 물품별로 실제 제조 가능한 제조사의 견적을 통해 최적의 이윤을 보장하면서 합리적으로 투찰할 수 있도록 제반 투찰정보와 투찰가 산정 툴을 제공하여 투찰이 용이하며 낙찰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을 생산할 수 있는 다수의 제조업체와 다수의 투찰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매 입찰마다 개찰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로 누적관리하여 다음 투찰에 참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찰 관리 서버의 기능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조사 선정 절차를 도시한 세부 순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투찰가 산정 절차의 세부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투찰 관리 시스템의 물품공고갱신 화면의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투찰 관리 시스템의 견적 담당자 지정 화면의 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투찰 관리 시스템의 견적요청 화면의 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투찰 관리 시스템의 견적 관리 화면의 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투찰 관리 시스템의 투찰 요청 화면의 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찰 정보 제공화면의 예,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투찰자 단말에서 투찰가를 직접 선출하는 화면의 예,
도 13a 내지 13e는 본 발명에 따라 투찰자 단말에서 추천구간을 이용하여 투찰가를 산출하는 화면의 예,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찰 관리 시스템의 개찰 결과 확인 화면의 예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찰 관리 서버의 기능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투찰 관리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Open API를 통해 입찰공고를 제공하는 조달청 서버(110)와, 조달청 서버(110)로부터 입찰공고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120a)에 저장하고 운찰제가 적용되는 물품 입찰공고를 선별한 후 견적 담당자를 배정하고 해당 입찰공고의 물품 제조 가능한 제조사에 견적을 요청한 후 견적결과와 제조사 평가에 의해 투찰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관련 투찰자(업체)들에게 투찰정보와 투찰가 산출툴을 제공하는 투찰 관리 서버(120)와, 투찰관련 부가정보를 입력하고 입찰공고별 견적을 처리하기 위한 운영단말(130)과, 제공된 투찰정보에 따라 투찰 여부를 결정하고 투찰가 산출툴에 따라 투찰가를 산출하여 조달청의 입찰공고에 전자입찰하기 위한 다수의 투찰자 단말(140)과, 입찰공고된 물품을 제조할 수 있는 다수의 제조사 단말(150)과, 클라우드 펀딩 사이트(160)로 구성되며 인터넷(102)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달청 서버(110)는 발주처로부터 발주정보를 입력받아 나라장터와 같은 전자입찰 시스템을 통해 입찰공고하고, Open API를 통해 입찰공고 정보를 일반에게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120a)에는 입찰공고 데이터, 투찰자 데이터, 제조사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고, 투찰 관리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120a)와 연동되어 본 발명에 따른 투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운영 단말(130)은 선별된 입찰공고 중 할당된 입찰공고에 대한 견적, 부가정보 입력 등 본 발명에 따른 투찰 관리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단말로서, 견적 담당자, 상급 운영자 등이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투찰자 단말(140)은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PC 등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앱이 탑재되어 있고, 투찰자(업체)가 투찰 관리 서버(120)를 통해 투찰 가능한 입찰공고와 투찰정보를 전달받으며, 원하는 입찰공고에 전자입찰 시스템을 통해 투찰하기 위한 것이다.
제조사 단말(150)은 제조사가 투찰 관리 서버(120)로부터 견적을 접수하면, 해당 견적을 입력받아 투찰 관리 서버(120)로 견적을 제공하고, 낙찰자로부터 주문을 받기 위한 것이다,
클라우드 펀딩 사이트(160)는 입찰보증금이나 낙찰자가 정해진 입찰의 물품 제조비용 등을 클라우드 펀딩으로 모집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투찰 관리 서버(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찰공고 수집모듈(121)과, 입찰 가능 공고 선별모듈(122), 공고별 담당자 배정모듈(123), 입찰공고별 견적 처리 모듈(124), 제조사 관리모듈(125), 투찰정보 생성모듈(126), 투찰자 선별모듈(127), 투찰자 관리모듈(128), 투찰정보 제공모듈(129), 개찰결과 확인모듈(121-1)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입찰공고 수집모듈(121)은 조달청 서버(110) 등과 같은 전자입찰 관련 사이트로부터 입찰공고 데이터를 Open API 방식 등으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120a)에 저장하여 관리 서버(120)의 물품공고정보를 갱신한다.
입찰 가능 공고 선별모듈(122)은 입찰공고 중 운찰제가 적용되는 물품조달 관련 전자 입찰공고만을 추출하여 입찰 가능 공고로 분류하고, 공고별 담당자 배정모듈(123)은 각 입찰 공고별 조달 물품의 내역 등에 따라 견적이나 부가정보 입력 등을 처리할 담당자를 배정한다.
제조사 관리모듈(125)은 물품별 제조사 정보를 관리하고, 입찰공고별 견적 처리 모듈(124)은 배정된 입찰공고의 물품과 관련된 제조사를 찾아 해당 제조사에 견적을 요청한 후 해당 제조사로부터 견적을 접수하여 견적을 처리한다.
투찰정보 생성모듈(126)은 제조사의 견적을 토대로 제조사 평가 등을 거친 후 해당 입찰공고에 적합한 투찰정보를 생성한다. 투찰자 관리모듈(128)은 다수의 투찰자나 투찰업체들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면서 투찰자를 관리하고, 투찰자 선별모듈(127)은 투찰자 관리모듈(128)을 통해 획득된 다수의 투찰자 중에서 해당 입찰공고에 적합한 투찰자들을 선별하며, 투찰정보 제공모듈(129)은 해당 투찰자들에게 투찰정보와 투찰가 산출툴 등을 전달하여 투찰을 도와준다. 개찰결과 확인모듈(121-1)은 개찰이 이루어진 입찰공고에 대해서 해당 공고에 투찰한 투찰자의 투찰정보와 낙찰자 순위 등 개찰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조사 선정 절차의 세부 순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투찰정보 제공(S12) 및 투찰자 단말에서의 투찰가 산출(S13) 절차의 세부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투찰 관리 시스템(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찰 관리 서버(120)가 조달청 서버(110)로부터 Open API 방식으로 입찰공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120a)에 저장한다(S1).
이어 투찰 관리 서버(110)는 입찰공고 데이터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공고 정보를 갱신한다(S2). 도 6을 참조하면, 공고번호나 공고게시일 등을 입력하고 공고갱신 버튼을 클릭하면 공고가 갱신되는데, 물품공고 현황화면에는 공고번호, 공고명, 수요처, 입찰방식, 계약방법, 물품명, 지역, 추정가격 등이 게시되어 있고, 기초금액 가져오기 버튼을 통해 해당 공고의 기초금액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화면의 하단에는 선택된 공고에 대한 입찰관련정보가 세부적으로 게시되어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투찰 관리 서버(110)는 물품공고 갱신 후 입찰가능 공고를 선별하고, 선별된 입찰공고의 견적 담당자를 배정한다(S3,S4). 견적 담당자 배정은 도 7의 화면과 같이, 버튼을 통해 담당자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견적 담당자는 다수의 제조사 리스트 중에서 배정된 물품의 제조와 관련된 제조사를 선정하여 견적을 요청하고, 제조사는 견적 요청에 따라 견적을 산출한 후 견적을 투찰 관리 서버(120)로 제공한다(S5~S8). 견적요청 화면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사 정보를 보고 입찰공고와 관련된 물품을 제조하는 제조사를 선정하여 견적을 요청한다.
이어 투찰 관리 서버(110)는 각 입찰공고별 제조사의 견적서를 수신받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제조사에 대해 진행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9). 도 4를 참조하면, 제조사 견적을 분석하고, 제조사의 생산능력을 평가한 후 견적가와 기초금액, 예정가격 추정 등을 통해 낙찰시의 이익률을 추정하고, 리스크 등을 분석한다(S101~S103). 분석결과로부터 이익률과 리스크 등을 고려하여 진행 여부를 판단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104,S105).
이후 분석결과에 대해 관리자에게 승인을 요청하여 승인이 안되면 제조사 견적 과정을 반복하고, 승인이 되면 투찰자 리스트에서 투찰자를 선별한다(S10,S11). 투찰 관리 시스템(100)에서 승인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결제 화면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이어 선별된 투찰자들에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찰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투찰자는 투찰여부를 판단한 후 투찰자 단말(150)에서 투찰가를 산정한다(S12,S13). 도 5를 참조하면, 투찰정보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고상세정보, 심사총평, 리스크 분석 등의 정보가 포함됨과 아울러 투찰가를 투찰자가 투찰자 단말에서 산출할 수 있는 투찰가 산출툴이 제공된다(S201).
투찰정보를 보고 투찰 의향이 있으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찰가 산출 메뉴에서 투찰가를 직접 산출할 수 있는 "가격을 산정하겠습니다"나 추천 구간을 활용하여 투찰가를 산출할 수 있는 "추천 구간을 확인하겠습니다"를 선택한다(S202).
직접 산출을 선택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금액, 예정가격, 낙찰하한율, 사정율 범위를 보고 투찰자가 사정율을 입력하여 투찰가를 산출한다(S203~S05). 이때 투찰가는, '투찰금액=기초금액×사정율×낙찰하한율'과 같이 기초금액에 사정율과 낙찰하한율을 곱해 구해진다.
삭제
도 13a 내지 13e는 본 발명에 따라 투찰자 단말에서 추천구간을 이용하여 투찰가를 산출하는 화면의 예로서, 도 13a는 1구간을 선택한 경우 나타나는 사정율의 예이고, 도 13b는 2구간을 선택한 경우 나타나는 사정율의 예이며, 도 13c는 3구간을 선택한 경우 나타나는 사정율의 예이다. 그리고 도 13d는 3구간에서 98.2 사정율을 선택한 경우 나타나는 화면의 예이고, 도 13e는 투찰이 완료된 후 투찰 관리화면의 예이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추천 구간 활용을 선택할 경우,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구간과 해당 추천구간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 후 추천구간을 선택하면 해당 추천 구간의 사정율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제공하여 사정율을 선택하게 한다(S206~S210). 사정율을 선택하면, 도 13d와 같이 선택된 사정율을 표시함과 아울러 소수 둘째 자리 이하를 임의로 입력하게 하거나 자동으로 랜덤하게 선정하여 수학식 1에 따라 투찰가를 자동으로 산출한다(S211).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음 표 1과 같이 Ⅰ, Ⅱ, Ⅲ 3개의 구간으로 구분되고, 각 구간에서의 사정율은 버튼 형태로 표시되어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간 설명
본 구간은 49%의 비교적 많은 낙찰자가 선정되는 반면, 참여 입찰자수가 가장 많은 구간이니다.
본 구간은 20%의 낙찰자가 선정되며, 함여입찰자수는 보통인 구간입니다.
본 구간은 10%의 비교적 적은 낙찰자가 선정되는 반면, 참여입찰자수가 가장 적은 구간입니다.
이어 투찰자는 단말기를 통해 조달청 서버(110)의 전자입찰 시스템에 접속하여 투찰한다(S14). 관리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찰 업체를 추가하거나 삭제하여 구성할 수 있고, 투찰자(업체) 정보에는 투찰 업체명, 투찰요청일, 공고확인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이후 개찰 일시가 되어 개찰이 이루어지면, 낙찰 우선순위가 정해지고, 조달청 서버(110)는 투찰 관리 서버(120)가 요청하면 개찰결과를 제공한다(S15,S16).
이어 조달청서버(110)는 낙찰 우선 순위자에게 적격심사 서류를 요청하여 접수하고, 적격심사결과 기준점 이상이면 최선 순위자를 낙찰자로 확정하고, 미달하면 차순위자를 적격심사하여 낙찰자를 확정한다(S17~S19).
이어 투찰 관리 서버(120)는 관련자들이 개찰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필요시 클라우드 펀딩을 처리한다(S20). 개찰결과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입찰공고의 투찰업체 사업자번호, 업체명, 대표자, 투찰금액, 투찰율 등이 표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투찰 관리 시스템 102: 인터넷
110: 조달청 서버 120: 투찰 관리 서버
120a: 데이터베이스 130: 운영 단말
140: 투찰자 단말 150: 제조사 단말
160: 클라우드 펀딩 사이트

Claims (6)

  1. 입찰공고 서버로부터 입찰공고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운찰제가 적용되는 물품 입찰공고를 선별한 후 견적 담당자를 배정하고 해당 입찰공고의 물품 제조 가능한 제조사에 견적을 요청한 후 견적결과와 제조사 평가에 의해 투찰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관련 투찰자들에 투찰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투찰 관리 서버와, 상기 투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투찰관련 부가정보를 입력하고 입찰공고별 견적을 처리하기 위한 운영단말과, 상기 투찰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투찰정보와 투찰가 산출툴에 따라 해당 입찰공고에 전자입찰하기 위한 다수의 투찰자 단말과, 상기 투찰 관리 서버의 요청에 따라 입찰공고된 물품의 견적을 제공하는 제조사 단말을 포함하는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투찰 관리 서버는
    전자입찰 관련 사이트로부터 입찰공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투찰 관리 서버의 물품공고정보를 갱신하는 입찰공고 수집모듈과,
    입찰공고 중 운찰제가 적용되는 물품조달 관련 전자 입찰공고만을 추출하여 입찰가능공고로 분류하는 입찰 가능 공고 선별 모듈과,
    각 입찰공고별 조달 물품의 내역에 따라 견적이나 부가정보 입력 등을 처리할 담당자를 배정하는 공고별 담당자 배정모듈과,
    배정된 입찰공고의 물품과 관련된 제조사를 찾아 해당 제조사에 견적을 요청한 후 해당 제조사로부터 견적을 접수하여 견적을 처리하는 입찰공고별 견적 처리 모듈과,
    제조사의 견적을 토대로 제조사를 평가하고 기초금액으로부터 이윤율을 추정하며 리스크를 분석하여 해당 입찰공고의 투찰정보를 생성하는 투찰정보 생성모듈과,
    다수의 투찰자나 투찰업체들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면서 투찰자를 관리하는 투찰자 관리모듈과,
    상기 투찰자 관리모듈을 통해 획득된 다수의 투찰자 중에서 해당 입찰공고에 해당되는 투찰자를 선별하는 투찰자 선별 모듈과,
    투찰정보와 투찰가 산출툴을 해당 투찰자에게 전달하여 투찰을 요청하기 위한 투찰정보 제공모듈과,
    개찰이 이루어진 입찰공고에 대해서 해당 공고에 투찰한 투찰자의 투찰정보와 낙찰 순위정보와 같은 개찰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개찰결과 확인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투찰정보 제공모듈은
    공고 상세 정보와, 심사총평과, 리스크 분석의 정보가 포함됨과 아울러 투찰가를 투찰자가 투찰자 단말에서 산출할 수 있는 투찰가 산출툴을 제공하되
    상기 투찰가 산출툴은 기초금액, 예정가격, 낙찰하한율, 사정율 범위를 보고 투찰자가 사정율을 입력하여 투찰가를 직접 산출할 수 있는 직접 산출 항목과, 낙찰자수와 입찰참여자수에 따라 추천 구간을 구분하여 선택된 추천 구간에서 사정율을 입력하여 투찰가를 산출하는 추천구간 산출 항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찰 관리 시스템은,
    입찰보증금이나 낙찰자가 정해진 입찰의 물품 제조비용을 클라우드 펀딩으로 모집하기 위한 클라우드 펀딩 사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구간은
    49%의 낙찰자가 선정되는 반면, 참여 입찰자수가 가장 많은 제1구간과,
    20%의 낙찰자가 선정되며, 참여입찰자수가 보통인 제2구간과,
    10%의 낙찰자가 선정되는 반면, 참여입찰자수가 가장 적은 제3구간으로 구분되고,
    해당 추천 구간에서 해당 추천 구간의 사정율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제공하여 사정율을 선택하게 하고, 사정율을 선택하면, 선택된 사정율을 표시함과 아울러 소수 둘째 자리 이하를 임의로 입력하게 하거나 자동으로 랜덤하게 선정하여 투찰가를 자동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시스템.
  4. 투찰 관리 시스템이 입찰공고를 수집하여 물품 입찰공고를 갱신하는 단계;
    투찰 관리 시스템이 입찰 가능한 공고를 선별하여 담당자를 배정하는 단계;
    투찰 관리 시스템이 입찰 공고별로 견적을 진행하는 단계;
    투찰 관리 시스템이 접수된 제조업체의 견적서를 분석하고 기초금액으로부터 이윤율을 추정한 후 리스크를 분석하여 투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투찰 관리 시스템이 입찰 공고별로 참가 가능 투찰 업체를 선별하여 투찰정보와 투찰가 산출툴을 제공하는 단계; 및
    투찰자 단말이 제공된 투찰가 산출툴에 따라 투찰가를 산출하여 전자입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투찰정보와 투찰가 산출툴을 제공하는 단계는,
    공고 상세 정보와, 심사총평과, 리스크 분석의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투찰가를 투찰자가 투찰자 단말에서 산출할 수 있는 투찰가 산출툴을 제공하되
    상기 투찰가 산출툴은 기초금액, 예정가격, 낙찰하한율, 사정율 범위를 보고 투찰자가 사정율을 입력하여 투찰가를 직접 산출할 수 있는 직접 산출 항목과, 낙찰자수와 입찰참여자수에 따라 추천 구간을 구분하여 선택된 추천 구간에서 사정율을 입력하여 투찰가를 산출하는 추천 구간 산출 항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찰 관리 방법은,
    상기 투찰 관리 시스템이 개찰 후 해당 입찰에 투찰한 업체들의 개찰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구간은
    49%의 낙찰자가 선정되는 반면, 참여 입찰자수가 가장 많은 제1구간과,
    20%의 낙찰자가 선정되며, 참여입찰자수가 보통인 제2구간과,
    10%의 낙찰자가 선정되는 반면, 참여입찰자수가 가장 적은 제3구간으로 구분되고,
    해당 추천 구간에서 해당 추천 구간의 사정율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제공하여 사정율을 선택하게 하고, 사정율을 선택하면, 선택된 사정율을 표시함과 아울러 소수 둘째 자리 이하를 임의로 입력하게 하거나 자동으로 랜덤하게 선정하여 투찰가를 자동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방법.
KR1020160152693A 2016-11-16 2016-11-16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757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693A KR101757329B1 (ko) 2016-11-16 2016-11-16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693A KR101757329B1 (ko) 2016-11-16 2016-11-16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329B1 true KR101757329B1 (ko) 2017-07-13

Family

ID=59352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693A KR101757329B1 (ko) 2016-11-16 2016-11-16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32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8060A (zh) * 2018-03-28 2018-08-21 施益斌 平台服务器以及建筑设计师评分系统
CN108564338A (zh) * 2018-03-28 2018-09-21 施益斌 平台服务器以及建筑设计招投标服务系统
CN111833006A (zh) * 2019-04-23 2020-10-27 中国石化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非定型产品框架式招投标管理平台
KR102270097B1 (ko) * 2019-12-23 2021-06-25 최용대 전자 입찰용 투찰 관리 시스템
KR102453260B1 (ko) 2021-10-05 2022-10-11 신범수 투찰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556B1 (ko) * 2015-05-07 2016-10-24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556B1 (ko) * 2015-05-07 2016-10-24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8060A (zh) * 2018-03-28 2018-08-21 施益斌 平台服务器以及建筑设计师评分系统
CN108564338A (zh) * 2018-03-28 2018-09-21 施益斌 平台服务器以及建筑设计招投标服务系统
CN108428060B (zh) * 2018-03-28 2021-09-28 施益斌 平台服务器以及建筑设计师评分系统
CN108564338B (zh) * 2018-03-28 2021-10-01 施益斌 平台服务器以及建筑设计招投标服务系统
CN111833006A (zh) * 2019-04-23 2020-10-27 中国石化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非定型产品框架式招投标管理平台
KR102270097B1 (ko) * 2019-12-23 2021-06-25 최용대 전자 입찰용 투찰 관리 시스템
KR102453260B1 (ko) 2021-10-05 2022-10-11 신범수 투찰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329B1 (ko) 물품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7146331B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ier prioritization
US766468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onic commerce facility client-based presentation offer management
US200801621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aggregating rankings of people, companies and products based on social network acquaintances and authoristies' opinions
US20090018894A1 (en) Lead Marketplace System and Method with Ratings System
KR101517966B1 (ko) 입찰 참여 분석서비스 제공방법
KR102200456B1 (ko) 복지몰 상품 구성 학습 서버
US20150019378A1 (en) Data Processing Tool to Facilitate Secure and Confidential Interaction Among Buyers, Sellers and Real Estate Agents With Anti-Spoofing Mechanism
KR20200000264A (ko) 온라인 또는 모바일에 의한 시공업체 선정 시스템 및 시공업체 선정 방법
KR101448290B1 (ko) 전문가의 낙찰 예측 분포도를 이용하는 입찰 컨설팅 시스템 및 그 입찰 컨설팅 방법
US20090043661A1 (en) Client-server system for managing an item database and item transactions with user-item associations
KR101023641B1 (ko) 법원경매에서 인터넷 공동투자를 위한 온라인 입찰가격 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grawal et al. Matching intermediaries for information goods in the presence of direct search: an examination of switching costs and obsolescence of information
KR100938398B1 (ko) 타겟 워드를 이용한 인터넷 광고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1448289B1 (ko) 전문가의 낙찰 예측 결과를 이용하는 입찰 컨설팅 시스템 및 그 입찰 컨설팅 방법
KR100707724B1 (ko) 온라인 쇼핑몰 중개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 중개 시스템
JP2016004442A (ja) 販売価格算出装置および販売価格算出システム
US117347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loan trading exchange
KR20050099157A (ko) 온라인 쇼핑몰 중개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 중개 시스템
KR20000030498A (ko) 인터넷을 이용한 비상장주식 매매 지원 시스템
JP2002157474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
US117633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loan trading exchange
KR102436819B1 (ko) 견적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102090871B1 (ko) 판매자에게만 중개 수수료를 받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한 부동산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300827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Loan Trading Exch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