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131A - 직물과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비드가 외부로 드러나는 합성수지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직물과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비드가 외부로 드러나는 합성수지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131A
KR20160085131A KR1020150002130A KR20150002130A KR20160085131A KR 20160085131 A KR20160085131 A KR 20160085131A KR 1020150002130 A KR1020150002130 A KR 1020150002130A KR 20150002130 A KR20150002130 A KR 20150002130A KR 20160085131 A KR20160085131 A KR 20160085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mold
synthetic resin
exposed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6523B1 (ko
Inventor
박장원
Original Assignee
박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원 filed Critical 박장원
Priority to KR1020150002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523B1/ko
Publication of KR20160085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9/00Ribbons, tapes, welts, bands, beadings, or other decorative or ornamental strip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9/06Ribbons, tapes, welts, bands, beadings, or other decorative or ornamental strip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de by working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의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공동공간이 구비되는 제1금형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금형에 합성수지 재료를 투입하여 제1금형의 공동공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일정두께의 합성수지 성형체를 제조하여 탈형하는 단계와; 제1금형의 공동공간에 직물을 안치하는 단계와; 직물 상면에 합성수지 성형체를 안치하는 단계와; 직물과 합성수지 성형체가 안치된 제1금형 상면에 제2금형을 위치시켜 합형하는 단계와; 직물 상면에 안치된 합성수지 성형체가 용융되어 그 중 일부가 직물 조직으로 침투한 다음 직물 하면으로 노출되어 제1금형의 각 요철부위를 채우도록 제1금형과 제2금형을 합형한 상태로 가압, 가열하는 단계와; 직물 조직과 합체된 용융된 합성수지와, 직물 하면으로 노출되어 제1금형의 각 요철부위에 채워진 용융된 합성수지를 일체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루어지는 직물과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비드가 외부로 드러나는 합성수지 복합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직물과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비드가 외부로 드러나는 합성수지 복합직물의 제조방법{Manufactuaring method of complex fabric having plastic bead on one face}
본 발명은 합성수지 및 직물이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복합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물과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중의 일부가 직물의 조직을 침투하여 직물의 일면에 비드 형상으로 노출되는 복합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자 의류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 직물의 일면에 구슬이나 반구 형태의 비드(bead)를 부착함으로써 의류 자체를 다른 경쟁 제품과 차별화거나, 또는 의류의 특정 부위에 도안화된 디자인을 돋보이게 하는 기술이 속속 소개되고 있다. 이는 의류 이외도 신발이나 가방 등과 같이 직물을 소재로 하는 제품군에도 접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사용범위가 확장추세에 있다.
이들 기술의 대표적인 일례가 도 8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구성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51234호이며 그 개략적인 작동구성은 다음과 같다. 미도시된 제어장치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직물(A)이 일정 속도로 공급됨과 동시에 가열롤러(11)와 중공형 비드공급롤러(20)가 회전한다. 중공형 비드공급롤러(20)에는 흡기수단(30)에 의해 발생되는 흡기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비드저장조(40)내의 비드와 접하는 비드공급롤러(20)에는 비드(B)가 흡착 홀딩된다.
비드는 흡착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상태로 중공형 비드공급롤러(20)의 회전에 의해 가열롤러(11)쪽으로 이동한 다음, 가열롤러(11)로 공급되는 직물(A)의 저면과 접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가열롤러(11)의 가압력과 높은 가열 온도로 인해 직물(A)과 접하는 비드의 일면부위가 녹으면서 직물에 부착되어 일체화되는 것이다.
그런데, 현재 제안되고 있는 이들 기술들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복수 개의 비드를 회전롤러로서 직물의 일면에 단순히 결합시키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직물의 일면에 단순한 비드의 집합체 모양만을 구현할 수 있을 뿐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더욱이, 이들 기술들은 비드의 일면 부위를 녹여 직물의 표면과 결합시키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장시간 사용시 비드가 직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51234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뛰어나면서도 직물의 일면에 다양한 형상의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복합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임의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공동공간이 구비되는 제1금형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금형에 합성수지 재료를 투입하여 제1금형의 공동공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일정두께의 합성수지 성형체를 제조하여 탈형하는 단계와; 제1금형의 공동공간에 직물을 안치하는 단계와; 직물 상면에 합성수지 성형체를 안치하는 단계와; 직물과 합성수지 성형체가 안치된 제1금형 상면에 제2금형을 위치시켜 합형하는 단계와; 직물 상면에 안치된 합성수지 성형체가 용융되어 그 중 일부가 직물 조직으로 침투한 다음 직물 하면으로 노출되어 제1금형의 각 요철부위를 채우도록 제1금형과 제2금형을 합형한 상태로 가압, 가열하는 단계와; 직물 조직과 합체된 용융된 합성수지와, 직물 하면으로 노출되어 제1금형의 각 요철부위에 채워진 용융된 합성수지를 일체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은, 임의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공동공간이 구비되는 제1금형을 준비하는 단계와; 제1금형의 공동공간에 직물을 안치하는 단계와; 일정 온도로 가열되어 연화된 합성수지를 제1금형의 공동공간에 안치된 직물 상면에 투입하는 단계와; 직물과 연화된 합성수지가 투입된 제1금형 상면에 제2금형을 위치시켜 합형하는 단계와; 직물 상면에 투입된 연화된 합성수지 중 일부가 직물 조직으로 침투한 다음 직물 하면으로 노출되어 제1금형의 각 요철부위를 채우도록 제1금형과 제2금형을 합형한 상태에서 일정 힘으로 가압하는 단계와; 직물 조직과 합체된 연화된 합성수지와, 직물 하면으로 노출되어 제1금형의 각 요철부위에 채워진 연화된 합성수지를 일체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있다.
상기 직물 상면에 합성수지 성형체가 안치되면, 합성수지 성형체 상면에 보조 직물을 안치한 다음, 제2금형을 위치시켜 합형할 수 있다.
상기 직물 상면에 일정 온도로 가열되어 연화된 합성수지가 직물 상면에 투입되면, 연화된 합상수지 상면에 보조 직물을 안치한 다음, 제2금형을 위치시켜 합형할 수 있다.
상기 직물 및 보조 직물 각각은, 제1금형의 공동공간 형상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제1금형에 안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금형에는 제1금형의 요철형상에 대응하는 가압단이 마련되며, 상기 가압단이 제1금형의 공동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금형은, 일정두께의 탄성패드와 가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금형은 가압판과 합형될 수 있다.
상기 직물의 성형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는 임의 색상이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직물과 접하고 있는 용융된 합성수지 또는 일정 점도를 가지는 연화된 합성수지를 가압하여, 직물의 조직 사이 공간으로 침투한 합성수지 및 직물의 하면을 통해 노출된 합성수지를 일체로 냉각시키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내구성을 담보하는 복합직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금형을 이용하여 직물의 외부로 노출되는 합성수지의 형상 및 모양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임의 색상으로 인쇄된 직물을 이용하는 경우 직물의 외부로 노출되는 합성수지의 색상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색상이나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디자인이 구비된 복합직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a 내지 도 1d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직물 제조방법의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직물 제조방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공정도.
도 3a 및 도 3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직물 제조방법의 또 따른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직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공정도.
도 5a 내지 도 5d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직물 제조방법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직물 제조방법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복합직물의 구체적인 일 제품사진.
도 8은 종래 직물 일면에 비드를 형성시키는 장치의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제1금형을 준비한다. 제1금형(10)에는 도 1a와 같이, 임의 형상의 요철(12)이 형성된 공동공간이 구비된다. 요철(12)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의 디자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요철은 도면과 같이 서로 다른 깊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금형이 준비되면, 도 1b와 같이 제1금형(10)에 합성수지 재료를 투입하여 제1금형의 공동공간 형상, 구체적으로는 제1금형의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일정두께의 합성수지 성형체(20)를 제조하여 탈형한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 성형체(20)에는 제1금형(10)의 요철 형상에 대응되는 성형부(22)가 형성된다. 합성수지 성형체의 두께를 어느 정도로 할지 여부는 임의 사항으로서, 제1금형의 요철 형상 및 깊이 등을 감안해서 결정할 일이다.
사용되는 합성수지 재료는 관련업계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및 열경화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상의 합성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수지 성형체는 일정온도로 가열된 제1금형에 고상의 합성수지 재료를 투입한 다음, 적절한 형태의 덮개 금형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덮개 금형은 후술할 제2금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합성수지 성형체가 제조되어 탈형되면, 도 1c와 같이 제1금형(10)의 공동공간에 직물(30)을 안치한다. 안치되는 직물은 천연직물이나 인조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할 가압, 가열단계에서 용융된 합성수지가 침투가능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직물이라면 그 종류를 불문하고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직물을 제1금형에 안치하기 이전 단계에, 직물을 제1금형의 공동공간 형상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안치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럴 경우, 제1금형의 공동공간, 구체적으로는 요철의 형상이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또는 요철의 깊이가 얇은 경우에 용융된 합성수지가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직물의 성형은 전술한 합성수지 성형체의 경우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c는 성형부(32)가 형성된 직물(30)이 제1금형(10)에 안치되는 경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금형에 직물을 안치함에 있어,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직물(30)의 성형부(32)에 임의 색상의 인쇄층(36)을 형성하여 제1금형(10)에 안치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직물의 성형부에 인쇄층이 형성되면, 직물의 조직을 침투한 다음 직물의 일면으로 노출되는 용융된 합성수지가 인쇄된 색상으로 표현됨으로써 더욱 다양한 미적 표현이 가능해진다.
인쇄는 직물의 성형부 모두에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선택되는 특정 성형부에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성형부마다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인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인쇄는 스크린 등과 같이 관련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인쇄방법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직물이 제1금형에 안치되면, 직물 상면에 합성수지 성형체(20)를 안치한다. 안치 방법은 도 1c와 같이, 직물(30)의 성형부(32)를 제1금형(10)의 요철부위(12)에 먼저 안치하고, 합성수지 성형체(20)의 성형부(22)를 제1금형(10)에 안치된 직물(30)의 성형부(32) 상면에 안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직물(30)과 합성수지 성형체(20)가 안치된 제1금형(10) 상면에 제2금형(50)을 위치시켜 제1금형(10) 및 제2금형(50)을 합형한다. 제2금형(50)은 합성수지 성형체(20)를 가압하여 그 일부를 직물 조직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본 발명은 제2금형(50)이 아래와 같은 구성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1d와 같이, 가압단(52)이 마련되는 제2금형(50)을 이용하는 것이다. 가압단(52)은 제1금형(10)에 형성되는 요철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금형(50)에 마련되는 가압단(52)의 구체적인 돌출 정도 및 형상은 제1금형(10)과 제2금형(50) 사이에 안치되는 직물(30) 및 합성수지 성형체(20)의 두께를 감안해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는, 도 3a에 개시된 것과 같이, 일정두께를 가지는 탄성패드(40)와 가압판(60)을 이용하는 것이다. 탄성패드(40)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일부가 제1금형(10)의 요철부위로 밀려들어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두께는 제1금형(10)의 요철부위 깊이보다 큰 값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a와 같이 당초 h1의 두께를 가지는 탄성패드(40)는 가압판(60)의 작용으로 인해 도 3b와 같이 h2로 얇아지고, 이와 동시에 탄성패드(40)의 하부측 일부가 합성수지 성형체(30)의 성형부(32)로 밀려들어 가면서 합성수지 성형체(30)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가압판(60)은 평판 구조의 덮개금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미도시된 별도의 프레스에 의해 가압판에 가압력이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금형(10)과 제2금형(50)이 합형되면, 가압한 상태로 가열한다. 가압은 미도시된 프레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열은 제1금형(10) 내부로 열매를 유동시키거나 별도의 가열판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어느 정도 가열할지 여부는 직물(30) 및 합성수지 성형체(20)의 특성을 감안해서 결정할 일이다.
가압된 상태에서 가열이 이루어지면, 직물(30) 상면에 안치된 합성수지 성형체(20)는 용융되며, 용융된 합성수지 중의 일부는 제2금형(50)에 의해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직물(30) 조직 사이 공간으로 침투한 다음, 직물(30) 하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직물은 통상적으로 경사 및 위사로 짜여진 조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직 사이 공간으로 침투한 용융된 합성수지는 직물의 하면 모두를 일정하게 밀폐하는 형상으로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사이 사이에 간격을 두고 불균일하게 노출된다. 즉, 비드 형상과 유사하게 노출되는 것이다. 또한, 직물 하면은 제1금형의 요철부위와 접하고 있기 때문에, 직물의 하면을 통해 외부로 불균일하게 노출되는 합성수지는 직물 하면과 요철부위 사이에 채워진다.
용융된 합성수지의 일부가 직물(30)의 하면을 통해 불균일하게 노출되어 제1금형(10)의 요철부위에 채워지면, 직물 조직과 합체된 용융된 합성수지 및 직물 하면으로 노출되어 제1금형의 각 요철부위에 채워진 용융된 합성수지, 그리고 직물 상면에 잔존하는 합성수지를 일체로 냉각한다.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용융된 합성수지가 고화되면, 제2금형(50) 및 제1금형(10)의 합형을 해제한 다음 복합직물을 탈형하면 본 발명이 종료된다.
도 7에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복합직물의 구체적인 일 제품사진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직물을 성형한 다음, 직물의 성형부에 스크린으로 인쇄한 상태에서 금형을 가압 및 가열하고, 이후 냉각을 거쳐 구현된 제품이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합성수지가 직물의 일면에 금형의 요철 형상에 대응하여 비드 형상으로 불균일하게 노출되되, 노출된 비드의 외면은 인쇄된 색상으로 표현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합성수지는 용융된 상태에서 일부는 직물 상면에 잔존하고, 일부는 직물의 조직 사이 공간으로 침투한 상태에서 냉각을 거쳐 직물과 일체화되기 때문에 비록 일정 형상의 비드가 직물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할지라도 합성수지는 전체가 단일 구조가 되어 견고한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게다가, 외부로 노출되는 비드의 형상 및 모양은 사용되는 금형의 요철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직물 성형부에 인쇄를 하는 경우 외부로 드러나는 비드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금형(10)에 직물(30) 및 합성수지 성형체(20)를 순차적으로 안치하고, 합성수지 성형체(20) 상면에 보조 직물(30´)를 안치한 상태에서 제2금형(50)을 합형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즉, 직물(30) 및 보조 직물(30´) 사이에 합성수지 성형체(20)가 내재되어 제1, 2금형(10, 50)이 합형되는 구성이다. 보조 직물(30´)은 직물(30)과 대동소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가압 및 가열이 이루어지면, 직물(30) 상면에 안치된 합성수지 성형체(20)는 용융되며, 용융된 합성수지 중의 일부는 제2금형(50)에 의해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직물(30) 조직 사이 공간으로 침투한 다음, 직물(30) 하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하지만, 합성수지 성형체(20)의 상부에도 보조 직물(30´)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압 및 가열과정에서 용융된 합성수지 중의 일부는 그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보조 직물(30´)의 조직 사이 공간으로 침투하게 되고, 뒤이어 냉각과정을 거치게 되면 합성수지 성형체(20)는 직물(30) 뿐 아니라 보조 직물(30´)과도 일체화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완전한 합성수지 일체형의 복합직물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 제2금형은 전술한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금형이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직물을 구현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로서 아래와 같은 방법을 제안한다. 이에 대한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제1금형을 준비한다. 준비되는 제1금형은 도 5a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대동소이하다. 즉, 제1금형(10)에는 표현하고자 하는 임의 형상의 요철(12)이 마련된다.
제1금형(10)이 준비되면, 제1금형(10)의 공동공간에 직물(30)을 안치한다. 안치되는 직물은 천연직물이나 인조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할 가압, 가열단계에서 용융된 합성수지가 침투가능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직물이라면 무방하다. 직물(30)을 제1금형(10)에 안치함에 있어, 도 5b와 같이 직물(30)을 미리 성형하여 직물에 제1금형(10)의 요철형상에 대응하는 성형부(3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직물(30)의 성형부(32)에 임의 색상의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음은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제1금형(10)에 직물(30)이 안치되면, 도 5c와 같이 합성수지(20´)를 직물(30) 상면에 투입한다. 투입되는 합성수지는 고상의 합성수지 재료를 가열하여 일정 점도를 가지는 상태로 연화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합성수지 재료는 관련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열경화성 합성수지 재료 및 열가소성 합성수지 재료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일정 점도를 가지는 연화된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이유는, 후술할 가압단계에서 합성수지가 일정 점도를 가져야 직물의 조직 사이 공간을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의 점도를 가지도록 합성수지를 가열하지 여부는 사용되는 직물의 특성을 감안해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수지가 직물 상면에 투입되면, 연화된 합성수지는 그 자체로 일정한 유동성을 가져 직물의 성형부(제1금형의 요철부위)에 용이하게 채워질 수 있다. 합성수지의 투입은 관련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단 중의 어느 하나로 수행될 수 있다.
합성수지(20´)가 직물(30) 상면에 투입되면, 제1금형(10) 상면에 제2금형(50)을 위치시켜 합형한다. 제2금형(5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금형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d에는 이 중에서, 가압단(52)이 마련되는 제2금형(50)을 이용하여 제1금형(10)과 합형하는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제1, 2금형(10, 50)이 합형되면, 미도시된 별도의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합형된 금형을 일정 힘으로 가압하는 단계가 이어진다. 합형된 금형을 가압하면, 직물 상면에 투입된 일정 점도를 가지는 합성수지(20´) 중 일부가 직물(30) 조직 사이 공간으로 침투한 다음, 직물(30)의 하면을 통해 제1금형(10)의 요철부위에 채워진다. 즉, 연화된 합성수지의 일부는 직물의 조직 사이 공간에 채워지고, 직물의 조직 사이 공간에 채워진 합성수지 중의 일부는 직물의 하면을 통해 노출되는 것이다.
이후, 제1금형(10) 및 제2금형(50)을 일정시간 냉각한다. 금형이 냉각되면, 직물 상면에 잔존하는 연화된 합성수지 및 직물 조직 사이 공간으로 침투한 연화된 합성수지는 직물과 일체화되면서 고화된다. 또한, 가압력에 의해 직물 하면을 통해 노출된 연화된 합성수지는 제1금형의 요철부위 형상으로 성형되면서 자연스럽게 비드 형상으로 구현된다. 즉, 합성수지는 직물 조직과 일체화면서 복합직물의 일 구성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 실시예는 합형된 금형을 가압한 상태에서 가열하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금형을 별도로 가열하지 않고 합형된 금형을 일정 힘으로 가압만 하되, 가압과정에서 합성수지가 직물의 조직 사이 공간으로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를 일정 점도를 가지도록 연화과정을 거쳐 투입한다는 점에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차이점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며, 이로 인해 구현되는 제품의 특징 또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6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금형(10)에 직물(30)을 안치한 다음, 직물(30) 상면에 합성수지(20´)를 투입하고, 투입된 합성수지(20´) 상면에 보조 직물(30´)를 안치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 역시, 직물(30) 및 보조 직물(30´) 사이에 합성수지(20´)가 내재되어 제1, 2금형(10, 50)이 합형되는 구성이다. 이후의 과정은 대동소이하며, 이에 따라 구현되는 제품은 도 2에 따라 구현되는 제품과 대동소이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제1금형 20 : 합성수지 성형체
30 : 직물 40 : 탄성패드
50 : 제2금형 60 : 가압판

Claims (8)

  1. 임의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공동공간이 구비되는 제1금형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금형에 합성수지 재료를 투입하여 제1금형의 공동공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일정두께의 합성수지 성형체를 제조하여 탈형하는 단계와;
    제1금형의 공동공간에 직물을 안치하는 단계와;
    직물 상면에 합성수지 성형체를 안치하는 단계와;
    직물과 합성수지 성형체가 안치된 제1금형 상면에 제2금형을 위치시켜 합형하는 단계와;
    직물 상면에 안치된 합성수지 성형체가 용융되어 그 중 일부가 직물 조직으로 침투한 다음 직물 하면으로 노출되어 제1금형의 각 요철부위를 채우도록 제1금형과 제2금형을 합형한 상태로 가압, 가열하는 단계와;
    직물 조직과 합체된 용융된 합성수지와, 직물 하면으로 노출되어 제1금형의 각 요철부위에 채워진 용융된 합성수지를 일체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직물과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비드가 외부로 드러나는 합성수지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2. 임의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공동공간이 구비되는 제1금형을 준비하는 단계와;
    제1금형의 공동공간에 직물을 안치하는 단계와;
    일정 온도로 가열되어 연화된 합성수지를 제1금형의 공동공간에 안치된 직물 상면에 투입하는 단계와;
    직물과 연화된 합성수지가 투입된 제1금형 상면에 제2금형을 위치시켜 합형하는 단계와;
    직물 상면에 투입된 연화된 합성수지 중 일부가 직물 조직으로 침투한 다음 직물 하면으로 노출되어 제1금형의 각 요철부위를 채우도록 제1금형과 제2금형을 합형한 상태에서 일정 힘으로 가압하는 단계와;
    직물 조직과 합체된 연화된 합성수지와, 직물 하면으로 노출되어 제1금형의 각 요철부위에 채워진 연화된 합성수지를 일체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물과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비드가 외부로 드러나는 합성수지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직물 상면에 합성수지 성형체가 안치되면, 합성수지 성형체 상면에 보조 직물을 안치한 다음, 제2금형을 위치시켜 합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과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비드가 외부로 드러나는 합성수지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직물 상면에 일정 온도로 가열되어 연화된 합성수지가 직물 상면에 투입되면, 연화된 합상수지 상면에 보조 직물을 안치한 다음, 제2금형을 위치시켜 합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과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비드가 외부로 드러나는 합성수지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및 보조 직물 각각은, 제1금형의 공동공간 형상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제1금형에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과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비드가 외부로 드러나는 합성수지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형에는 제1금형의 요철형상에 대응하는 가압단이 마련되며, 상기 가압단이 제1금형의 공동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과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비드가 외부로 드러나는 합성수지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형은, 일정두께의 탄성패드와 가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금형은 가압판과 합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과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비드가 외부로 드러나는 합성수지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성형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는 임의 색상의 인쇄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과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비드가 외부로 드러나는 합성수지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KR1020150002130A 2015-01-07 2015-01-07 직물과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비드가 외부로 드러나는 합성수지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KR101646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130A KR101646523B1 (ko) 2015-01-07 2015-01-07 직물과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비드가 외부로 드러나는 합성수지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130A KR101646523B1 (ko) 2015-01-07 2015-01-07 직물과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비드가 외부로 드러나는 합성수지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131A true KR20160085131A (ko) 2016-07-15
KR101646523B1 KR101646523B1 (ko) 2016-08-08

Family

ID=56506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130A KR101646523B1 (ko) 2015-01-07 2015-01-07 직물과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비드가 외부로 드러나는 합성수지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5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2457B2 (ja) * 1998-04-15 2007-09-05 株式会社タイカ 生地と表面樹脂とを具えて成る構造体並びに生地への表面樹脂の接着方法
KR101251234B1 (ko) 2011-10-26 2013-04-08 조정래 장식용 비드의 원단 부착 장치
KR20130128103A (ko) * 2012-05-16 2013-11-26 최영묵 요철 형상을 갖춘 핸들커버용 장식커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01489B1 (ko) * 2011-12-20 2014-05-29 (주)디엑스디 크리에이티브스 열가소성 합성수지 제품의 제조방법
KR101445677B1 (ko) * 2014-04-03 2014-10-02 박장원 임의 모양의 성형체가 내장되는 복합직물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2457B2 (ja) * 1998-04-15 2007-09-05 株式会社タイカ 生地と表面樹脂とを具えて成る構造体並びに生地への表面樹脂の接着方法
KR101251234B1 (ko) 2011-10-26 2013-04-08 조정래 장식용 비드의 원단 부착 장치
KR101401489B1 (ko) * 2011-12-20 2014-05-29 (주)디엑스디 크리에이티브스 열가소성 합성수지 제품의 제조방법
KR20130128103A (ko) * 2012-05-16 2013-11-26 최영묵 요철 형상을 갖춘 핸들커버용 장식커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45677B1 (ko) * 2014-04-03 2014-10-02 박장원 임의 모양의 성형체가 내장되는 복합직물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523B1 (ko)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17384A (zh) 羊毛起绒织物制品的制造方法
CN107949466B (zh) 用于以注射成型工艺将鞋底成型到鞋帮上的方法
TW201427615A (zh) 自動化製程生產之鞋子及其製鞋方法
KR101226675B1 (ko)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1445677B1 (ko) 임의 모양의 성형체가 내장되는 복합직물체의 제조방법
CN108883568B (zh) 图案形成方法
KR101646523B1 (ko) 직물과 일체구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비드가 외부로 드러나는 합성수지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KR20150100111A (ko) 피유 캐스팅을 이용한 신발 갑피의 제조 방법
CN109730392A (zh) 一种快速透水注射双密度鞋及制作方法
CN101306595B (zh) 一种橡胶嵌块与皮料或布料结合一体的生产加工工艺
CN112172197B (zh) 用于机动车辆的天然纤维强化的装饰构件的制造方法
TWI583617B (zh) 功能性皮料合成方法
US3439083A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a mat or carpet like the two-colour rubber mats molded
KR101317646B1 (ko) 열가소성 합성수지와 핫 멜트로 이루어지는 성형 부품의 제조방법
KR101614757B1 (ko) 입체 인쇄면을 가지는 제품의 제조방법
KR20070025259A (ko) 원단에 직접 성형되는 라벨 제조방법
TWI617424B (zh) 平面體型態成型鞋面方法及其結構
KR100558200B1 (ko) 실크 인쇄된 투명필름의 변형 합착에 의한 입체 무늬부를갖는 아크릴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79862B1 (ko) 환편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CN107901548A (zh) 一种新型pu覆膜鞋面及该鞋面的制作工艺
KR20230119294A (ko) 입체 형상의 성형물이 내장된 무재봉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CN220834108U (zh) 一种新型的玩具结构
KR890001779B1 (ko) 복지원단상에 고주파로 용착시킨 합성수지 입체라벨 및 그 제조방법
KR101698861B1 (ko) 열가소성 합성수지 제품의 제조방법
CN108652136A (zh) 鞋面的立体型态成形于立体鞋面面材的方法及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