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057A -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 Google Patents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057A
KR20160085057A KR1020150001934A KR20150001934A KR20160085057A KR 20160085057 A KR20160085057 A KR 20160085057A KR 1020150001934 A KR1020150001934 A KR 1020150001934A KR 20150001934 A KR20150001934 A KR 20150001934A KR 20160085057 A KR20160085057 A KR 20160085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sand
supporter
receptacle
screw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수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1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5057A/ko
Publication of KR20160085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0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5/04Bilge or keel blocks
    • B63B200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중량물의 블록 레벨 작업시 사용되는 스크류 잭의 상부에 샌드 잭을 설치하게 되어 스크류 잭에 가해지는 압력을 떨어트려 스크류 잭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스크류 잭 상부에 고중량물을 받침에 따라 하중에 의해 돌아가지 않는 스크류 잭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샌드 잭이 설치되되, 상기 샌드 잭은 스크류 잭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서포터와, 상기 하부서포터의 상측 내부로 끼워지는 상부서포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SAND-JACK STRUCTURE FOR ADJUSTING LEVEL OF HEAVY STRUCTURES}
본 발명은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중량물의 블록 레벨 작업시 사용되는 스크류 잭의 상부에 샌드 잭을 설치하게 되어 스크류 잭에 가해지는 압력을 떨어트려 스크류 잭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는 강판 등의 판재와 형강류 등의 각종 소재들을 적절한 형상으로 절단한 다음 이를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근래에 들어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건조 작업은 소규모의 블록 건조를 통해 작업 공정을 단축시키고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절감하고 있다.
즉, 소규모의 블록을 제작하는 소조립 공정과, 소조립된 블록을 수개씩 모아 결합하는 중조립 공정, 및 중조립된 블록을 다시 모아 결합시키는 대조립 공정 등을 거쳐 선박의 건조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블록식 건조에 있어 선체 블록은 작업장 바닥에 대해 별도의 지지 구조물을 매개로 하중을 지지받게 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종래 선체 블록의 하중 지지를 위한 구조물은 선체 블록의 외벽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하중을 지지하는 지주 캡(51), 상기 지주 캡(51)의 하부에 결합되어 직립한 상태로 배치되는 연결 구조물(53), 및 상기 연결 구조물(53)의 하부에 결합되고 작업자에 의한 수동 조작으로 승강이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스크류 잭(55)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연결 구조물(53)의 상/하단 부위는 각각 받침대(53a,53b)를 매개로 상기 지주 캡(51)과 상기 스크류 잭(55)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지주 캡(51)은 지지하는 대상인 선체 블록의 외벽 형태와 부합하는 형상의 접촉면(51a)을 상부에 형성하고, 상기 연결 구조물(53)은 상기 지주 캡(51)과 상기 스크류 잭(55) 사이를 연결하는 파이프 형태의 절단 가능한 강성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크류 잭(55)은 나사 체결방식의 구조물로서, 작업자에 의한 핸들 조작시 회전함으로써 그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구조물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종래 하중 지지를 위한 구조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 블록의 외벽(57)에 대해 다수의 개소로 설치됨으로써 선체 블록이 가지는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 잭(55)은 그 하부에 별도로 설치된 대형의 직립 구조물(59)에 의해 하중을 지지받을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지지 구조물을 이용하여 선체 블록의 하중을 지지한 상태에서 건조 작업을 마치게 되면, 설치된 지지 구조물에 대한 해체 작업을 반드시 실시해야 하는 데, 이 경우 지지 구조물에는 상당한 수준의 하중(대략 300톤 정도)이 작용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스크류 잭(55)의 승강 기능은 나사 결합부위에서 수반되는 마찰력에 의해 작업자에 의한 수동 조작으로 도저히 구현될 수 없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지지 구조물에 대한 해체 작업은 상기 지주 캡(51)과 상기 스크류 잭(55)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 구조물(53)에 대한 절단 작업을 통해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 결과, 종래 지지 구조물은 해체시 가스 토치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상기 연결 구조물(53)을 절단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지지 구조물의 반복적인 사용시 상기 연결 구조물(53)은 연결과 절단을 반복해야 하는 일회용 소모품의 형태로 활용될 수밖에 없으므로 경제적 손실은 물론 그에 따른 작업시수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특히, 지지 구조물에 있어 상기 연결 구조물(53)은 대형의 직립 구조물(59)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계로 인해 해체시 고공의 협소한 공간 내에서 절단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작업자의 근골격 계통에 각종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6767호(2013.11.26.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중량물의 블록 레벨 작업시 사용되는 스크류 잭 상부에 샌드 잭을 설치하게 되어 샌드 잭에 수용되어 있는 수용물이 흘러내려 압력이 떨어지면서 스크류 잭을 돌려 고중량물을 받치고 있는 새들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해체할 수 있는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중량물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고중량물을 받치게 되는 스크류 잭 상부에 설치되는 샌드 잭 구조로서, 상기 스크류 잭 상부에 고중량물을 받침에 따라 돌아가지 않게 되는 스크류 잭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샌드 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샌드 잭은, 상기 스크류 잭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서포터와, 상기 하부서포터의 상측 내부로 끼워지는 상부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서포터는,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몸통과, 상기 몸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스크류 잭 상부로 샌드 잭을 받쳐주면서 수용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은 수용부 내로 압력을 떨어트릴 수 있도록 수용물이 충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물은 고중량물의 하중에 따라 모래나 강구(鋼球) 또는 철분(鐵粉)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의 정면 하부에는 수용부를 관통하여 수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에는 수용부에 충전되어 있는 수용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볼트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은 몸통 하부에 수용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수용부 내에 수용물을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서포터는 수용부 내로 수용물이 충전되는 원통형의 용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의 수용부에 충전되는 수용물의 충전량에 따라 샌드 잭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서포터는, 상기 하부서포터의 몸통 내부로 끼워지는 가이드구와, 상기 가이드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가이드구의 하부에 설치되는 누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구는 하부서포터의 몸통 내주에 대응하는 외주면을 가지게 되어 하부서포터의 몸통 내부에 끼워져 상하로 상대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은 가이드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중량물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누름판은 가이드구의 하부 내측으로 끼워져 용접 고정되어 몸통 내부에 충전된 수용물의 상부에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샌드 잭의 상,하부서포터는 고중량물을 지지하며 다습한 외부에서 반복사용될 수 있도록 고강도의 강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에 따르면, 고중량물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고중량을 받치게 되는 스크류 잭의 상부에 샌드 잭이 설치되면서 샌드 잭에 충전되는 수용물의 배출에 따라 압력이 떨어져 스크류 잭을 원활하게 돌릴 수 있어 쉽고 안전한 레벨 조정이 가능하여 작업의 안전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재사용할 수 있어 자재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선체 및 블록의 하중 지지를 위한 구조물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지지 구조물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의 샌드 잭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의 샌드 잭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의 샌드 잭을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의 샌드 잭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의 샌드 잭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의 샌드 잭을 도시한 절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로서, 고중량물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고중량물을 받치게 되는 스크류 잭(100)과, 상기 스크류 잭(100) 상부에 고중량물을 받침에 따라 하중에 의해 돌아가지 않게 되는 스크류 잭(1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샌드 잭(20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에서 스크류 잭(100)은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잭 구조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샌드 잭(200)은, 상기 스크류 잭(100)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서포터(300)와, 상기 하부서포터(300)에 설치되는 상부서포터(400)를 포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서포터(30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몸통(310)과, 상기 몸통(3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닥판(32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몸통(310)은, 내부에 수용부(311)가 형성되며 수용부(311) 내로 압력을 떨어트릴 수 있도록 수용물(330)이 충전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몸통(310)의 정면 하부에는 수용부(311)를 관통하여 수용물(330)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312)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312)에는 수용부(311)에 충전되어 있는 수용물(330)의 누출을 방지하고 수용물(330)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볼트(B)가 체결되어지게 된다.
상기 수용물(330)은 고중량물의 하중에 따라 모래나 강구(鋼球) 또는 철분(鐵粉) 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들 수용물(330)에 요구되는 특성은 입자상태로 이동되어 적절한 다짐을 행하면 축방향력에 대해 충분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즉, 수용물(330)을 모래로 사용할 때에는 고중량물 중에서 어느 정도의 하중에 대해서는 적용할 수 있으며, 강구 또는 철분을 사용할 때에는 모래를 사용할 때 보다는 중량이 높은 고중량물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물(330)은 수용부(311)에 충전되는 충전량의 증가에 따라 서포터의 높이를 높일 수 있고 배출구(312)를 통해 수용물(330)을 배출시킴으로써 서포터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닥판(320)은 몸통(3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스크류 잭(100)의 상부로 샌드 잭(200)을 받쳐주게 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320)은 몸통(310) 하부에 수용부(311)의 바닥면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수용부(311)에 수용물(330)을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하부서포터(300)는, 상기 수용부(311) 내로 수용물(330)이 충전되는 원통형의 용기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서포터(400)는, 상기 하부서포터(300)의 몸통(310) 내부로 끼워지는 가이드구(410)와, 상기 가이드구(4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판(420), 및 상기 가이드구(4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누름판(43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구(410)는 하부서포터(300)의 몸통(310) 내부에 대응하는 외주면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구(410)는 하부서포터(300)의 상측으로부터 몸통(310) 내부에 끼워져 수용물(330)에 따라 상하로 상대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구(410)는 몸통(310) 내부로 밀착되게 결합되면서 수용부(311)에 충전되는 수용물(330)의 충전량 및 수용물(330)의 배출에 따라 몸통(310)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구(410)는 몸통(310) 내경과 동일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받침판(420)은 가이드구(410)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고중량물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누름판(430)은 가이드구(410)의 하부 내측으로 끼워져 용접 고정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누름판(430)은 몸통(310) 내부의 수용부(311)에 충전된 수용물(330)의 상부에 접촉 가능하게 된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누름판(430)이 가이드구(410)의 하부에 용접되면서 수용물(330)의 상부에 밀착되어 수용물(330)을 눌러주고 수용물(330)이 배출되면 수용물(330)의 배출과 함께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본 실시예의 상,하부서포터(300,400)는 고중량물을 지지함에 따라 안정적인 지지와 함께 다습한 외부에서 반복사용할 수 있도록 고강도의 강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샌드 잭 구조는 고중량물에 적용되는 것으로, 선박 특히 잠수함 건조시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는 상기 스크류 잭(100)의 상부에 샌드 잭(200)이 설치되어 샌드 잭(2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압력이 떨어져 스크류 잭(100)이 돌아가게 된다.
상기의 샌드 잭(200)은 스크류 잭(100) 상부에 하부서포터(300)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서포터(300)의 상부 내측으로 상부서포터(400)가 결합되면서 상기 상부서포터(400)가 상하로 상대이동하게 된다.
상기 하부서포터(300)의 몸통(310) 내부에 수용물(330)이 충전되고 상기 수용물(330)의 상부로 하여 누름판(430)이 수용물(330) 상부에 밀착되면서 상부서포터(400)가 몸통(310) 내부로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통(310)의 수용부(311)에 수용물(330)이 충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배출구(312)에 체결된 볼트(B)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수용물(330)이 배출구(312)를 통해 배출되어지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수용물(330)이 배출되면서 수용부(311) 내에 수용물(330)의 충전량이 줄어들게 되고 상기 수용물(330)의 상부에 안착되어지는 상부서포터(400)가 수용물(330)의 배출에 따라 하부서포터(300) 내부에서 하부로 내려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311) 내의 수용물(330)이 흘러내려 압력이 떨어지면서 스크류 잭(100)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물(330)의 배출에 따라 압력을 떨어트려 용이하고 안전하게 레벨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수용부(311) 내에 수용물(330)을 다시 채워넣을 수 있게 되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스크류 잭
200 : 샌드 잭
300 : 하부서포터
310 : 몸통
311 : 수용부
312 : 배출구
320 : 바닥판
330 : 수용물
400 : 상부서포터
410 : 가이드구
420 : 받침판
430 : 누름판
B : 볼트

Claims (13)

  1. 고중량물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고중량물을 받치게 되는 스크류 잭 상부에 설치되는 샌드 잭 구조로서,
    상기 스크류 잭 상부에 고중량물을 받침에 따라 하중에 의해 돌아가지 않는 스크류 잭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샌드 잭이 설치되되,
    상기 샌드 잭은 스크류 잭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서포터; 및
    상기 하부서포터의 상측 내부로 끼워지는 상부서포터를 포함하는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서포터는,
    내부에 수용물이 충전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몸통; 및
    상기 몸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스크류 잭 상부로 샌드 잭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의 정면 하부에는 수용부를 관통하여 수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수용부에 충전되어 있는 수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고 배출시킬 수 있도록 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물은 모래나 강구(鋼球) 또는 철분(鐵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몸통 하부에 수용부 내에 수용물이 충전될 수 있도록 수용부의 바닥면을 밀폐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충전되는 수용물은 샌드 잭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충전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서포터는 수용부 내로 수용물이 충전되는 원통형의 용기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서포터는,
    상기 하부서포터 내부로 끼워지는 가이드구;
    상기 가이드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중량물을 지지하는 받침판; 및
    상기 가이드구의 하부에 설치되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는 하부서포터의 몸통 내부에 대응하는 외주면을 가지게 되어 하부서포터의 몸통 내부에 끼워져 상하로 상대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가이드구의 하부 내측으로 끼워져 용접 고정되어 수용물의 상부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서포터는 고중량물을 지지함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다습한 외부에서 반복사용할 수 있도록 고강도의 강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서포터는 고중량물을 지지함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다습한 외부에서 반복사용할 수 있도록 고강도의 강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KR1020150001934A 2015-01-07 2015-01-07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KR201600850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934A KR20160085057A (ko) 2015-01-07 2015-01-07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934A KR20160085057A (ko) 2015-01-07 2015-01-07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057A true KR20160085057A (ko) 2016-07-15

Family

ID=5650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934A KR20160085057A (ko) 2015-01-07 2015-01-07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50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4568A (zh) * 2017-07-28 2017-12-08 广船国际有限公司 船舶支撑工装及该船舶支撑工装拆除墩木的方法
CN111591412A (zh) * 2020-05-20 2020-08-2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用于矿砂船的钢坞墩
CN113291439A (zh) * 2020-02-21 2021-08-24 舟山中远海运重工有限公司 一种砂箱坞墩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767U (ko) 2012-05-16 2013-11-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체의 하중 지지를 위한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767U (ko) 2012-05-16 2013-11-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체의 하중 지지를 위한 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4568A (zh) * 2017-07-28 2017-12-08 广船国际有限公司 船舶支撑工装及该船舶支撑工装拆除墩木的方法
WO2019019460A1 (zh) * 2017-07-28 2019-01-31 广船国际有限公司 船舶支撑工装及该船舶支撑工装拆除墩木的方法
CN113291439A (zh) * 2020-02-21 2021-08-24 舟山中远海运重工有限公司 一种砂箱坞墩装置
CN111591412A (zh) * 2020-05-20 2020-08-2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用于矿砂船的钢坞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5057A (ko) 고중량물 레벨 조정용 샌드 잭 구조
CN201428250Y (zh) 应急支撑杆
CN201603966U (zh) 粉粒物料运输车料盖的料口圈焊接定位模
CN210192843U (zh) 一种料罐卸料装置
CN108408274A (zh) 一种外膨胀式乙二醇锑储存装置
KR20170044981A (ko) 유압 램 일체형 스크류 잭을 구비한 서포트 타워 및 그 작업방법
CN107472720B (zh) 粉料贮运罐及具有其的粉料加料装置
CN104952503A (zh) 一种球形核燃料元件运输容器
CN204998955U (zh) 一种化工料桶
CN204760052U (zh) 一种球形核燃料元件运输容器
CN210028001U (zh) 一种环保无尘化干粉材料灌装机
CN107685959A (zh) 料斗及运输装置
CN211443609U (zh) 储料罐
CN203816578U (zh) 卧式双轴无重力混合机的添加剂投料装置
CN207375067U (zh) 料斗及运输装置
JP3181745U (ja) スプレーガンへの流体供給装置
CN108547494A (zh) 一种圆形料仓施工方法
CN206951115U (zh) 轴套内置式底轴承
CN203430070U (zh) 支架施工用落架砂箱
CN105564775B (zh) 一种防爆油桶
CN208099679U (zh) 一种圆形料仓焊接工装
CN210214490U (zh) 一种开式轿厢托盘落地机
CN110792917A (zh) 一种大型高压气体盛放装置
CN205084670U (zh) 一种底轴承外置式搅拌装置
CN211444991U (zh) 一种便携式分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