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865A -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865A
KR20160084865A KR1020140149671A KR20140149671A KR20160084865A KR 20160084865 A KR20160084865 A KR 20160084865A KR 1020140149671 A KR1020140149671 A KR 1020140149671A KR 20140149671 A KR20140149671 A KR 20140149671A KR 20160084865 A KR20160084865 A KR 20160084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box
vehicle
voltage
photographing mod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석
Original Assignee
(주)위니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니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위니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40149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4865A/ko
Publication of KR20160084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8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은, 블랙박스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블랙박스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 된 경우, 상기 촬영 모드를 정상촬영 모드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ular black box}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랙박스의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차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교통사고 등 차량 관련사고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차량 운행 중 또는 주정차 중에 다른 차량과 접촉하거나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사고 원인을 규명할 수 없어 분쟁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 내에 사고 당시의 상황 또는 주기적으로 주변 상황들을 저장하는 블랙박스를 탑재하는 차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블랙박스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 등을 구비하여, 차량의 여러 각도에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을 촬영하여 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는 각종 센서들을 구비하여, 차량의 주위 환경 및 차량의 상태들을 감지한다. 상기 촬영된 촬영 정보와 센서에 의한 센싱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고 당시의 상황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랙박스의 구동 전원은 차량 운행 중에는 시거 잭을 통한 연결 케이블을 사용하여 차량 전원을 공급하고, 차량 시동이 오프된 경우에는 차량의 상시 전원에 해당하는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함으로 인하여, 차량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차량 시동이 오프된 경우에 촬영을 중지하거나 또는 촬영 주기를 변경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하지만 차량 시동이 오프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촬영을 중지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차량의 전압이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차량 시동이 온 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오판정함에 따라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가 여전히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블랙박스의 전압 값이 아니라 전압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 시동이 오프된 경우에 촬영 모드를 변경하고, 차량 시동이 온 된 경우에 정상 모드로 복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은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블랙박스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 된 경우, 상기 촬영 모드를 정상촬영 모드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시동 온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전압이 제1 시간 구간 동안 하강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전압이 상기 제1 시간 구간 이후의 제2 시간 구간 동안 임계 전압 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촬영 주기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상기 촬영을 상기 시동이 온 되기 이전까지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장치는 상기 블랙박스의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고,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 된 경우, 상기 촬영 모드를 정상촬영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이 제1 시간 구간 동안 하강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전압이 상기 제1 시간 구간 이후의 제2 시간 구간 동안 임계 전압 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은 블랙박스의 전압 값이 아니라 전압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시동이 오프된 경우에 블랙박스의 지속적인 촬영으로 인하여 차량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제어부의 세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 전원의 시간에 따른 출력 전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100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1000)는 차량 내부에 탑재되어, 차량 등의 교통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사고 경위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얻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1000)는 차량 전원(100), 제어부(200) 및 카메라(30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전원(100)은 차량으로부터의 전력을 블랙 박스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 전원(100)은 DC 12V의 전압을 상기 블랙 박스에 제공한다. 한편, 상기 차량 전원(100)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제어부(200)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 인터페이스부(400) 및 상기 카메라(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상기 카메라(300)로 공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500)를 더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1000)를 구성하는 상기 제어부(200)의 세부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전압 차단기(210), DC 컨버터(220) 및 제어기(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카메라(300)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해 상기 카메라(300)로 전송하고,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 된 경우, 상기 촬영 모드를 정상촬영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해 상기 카메라(300)로 전송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 전원(100)의 시간에 따른 출력 전압을 도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는 시간 t=t1 까지의 시간 구간 A에서 상기 차량 전원(100)으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VO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시간 구간 A에서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VO 이상이면,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차량 주변으로부터의 영상 녹화를 지속하거나 또는 일정 주기마다 영상을 촬영한다.
또한, 상기 시간 t=t1 에서 상기 차량 전원(100)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V0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블랙박스의 촬영모드를 변경한다. 상기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촬영 주기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상기 촬영을 상기 시동이 온 되기 이전까지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시간 t=t1 에서 t=t3 까지의 시간 구간 B (B1 및 B2)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여부를 판단한다. 시간 구간 B1에서 녹화를 중지하거나 또는 촬영 주기를 증가시킴으로 인하여 상기 차량 전원(100)의 출력 전압은 V1까지 증가한다. 즉, 상기 차량 전원(100)의 출력 전압은 기준 전압인 VO보다 큰 V1까지 증가한다. 따라서, 시동 온 여부를 상기 기준 전압인 VO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실제로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가 아님에도, 시동 온 상태인 것으로 오판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촬영을 중지하는 등으로 인하여 추가적인 전력 소모가 없다면 시간 구간 B2에서 상기 출력 전압은 V1을 유지한다.
한편, 시간 t=t3 에서 t=t5 까지의 시간 구간 C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여부를 판단한다. 시간 t=t3 에서 차량의 시동이 온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시간 t=t3 에서에서 t=t4 까지의 시간 구간 T1에서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은 전압 V1 이하의 값으로 하강한다. 다음으로 시간 t=t3 에서에서 t=t4 까지의 시간 구간 T2에서 상기 전압이 상기 제1 시간 구간 T1 이후의 제2 시간 구간 T2 동안 임계 전압인 V2 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시간 구간 T1 및 T2 동안 전압 패턴이 상기 기준 전압 V1 보다 하강한 후 다시 상기 임계 전압 V2 보다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00)는 차량의 시동이 온 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블랙박스의 촬영 모드를 정상촬영 모드로 변경한다. 즉, 상기 카메라(300)를 통해 상기 차량 주변의 녹화를 시작하거나, 이전의 정상 주기 간격으로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카메라(300)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해 상기 카메라(300)로 전송하고,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 된 경우, 상기 촬영 모드를 정상촬영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해 상기 카메라(300)로 전송한다.
한편,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저전압 차단기(210)는 상기 차량 전원(100)이 상기 기준 전압 V0 까지 하강하면 상기 블랙박스의 상기 제어기(23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전원(100)이 DC 12V인 경우에 차량 전원(120)의 전압 값이 12V 까지 하강하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차량 전원(100)이 완전 방전되어 상기 차량을 시동이 불가능한 상황을 미리 방지한다.
상기 DC 컨버터(220)는 상기 차량 전원(100)의 전압을 상기 제어기(230)의 구동 전압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차량 전원(100)의 DC 12V를 상기 제어기(230)의 5V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카메라(230)에 공급한다. 또한, DC 컨버터(220)는 상기 제어기(230)를 통해 배터리(미도시)에도 5V의 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DC 컨버터(220)는 12V를 5V의 전압과 2A의 전류를 각각 분기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5V전압과 1A 전류로 상기 카메라(230)를 구동시키고, 나머지 5V의 전압과 1A의 전류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기(230)는 상기 차량 전원(100)의 전압 값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전압 값이 상기 기준 전압 V0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300)를 구동시킨다.
상기 제어기(230)는 상기 차량 전원(100)이 12V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통해 블랙박스(1000)를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터리와 상기 카메라(300) 사이의 방전 스위치(미도시)를 온 시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상기 카메라(300)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 전원(100)이 12V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 전압 차단기(210)를 동작시켜 전원을 차단하거나 또는 스위치로 구성하여 상기 제어기(230)가 전압을 모니터링 중 12V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 스위치를 오프시켜 차량 전원(100)을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은 블랙박스의 전압 값이 아니라 전압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시동이 오프된 경우에 블랙박스의 지속적인 촬영으로 인하여 차량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12)

  1.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블랙박스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 된 경우, 상기 촬영 모드를 정상촬영 모드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온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전압이 제1 시간 구간 동안 하강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전압이 상기 제1 시간 구간 이후의 제2 시간 구간 동안 임계 전압 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촬영 주기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상기 촬영을 상기 시동이 온 되기 이전까지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블랙박스의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도록 하는 제1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촬영 모드로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촬영 모드를 정상촬영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카메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차량의 차량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 및
    상기 차량 전원의 전압을 상기 블랙박스의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한 구동 전압을 상기 블랙박스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차량 전원을 차단하고,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8.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의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고,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 된 경우, 상기 촬영 모드를 정상촬영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이 제1 시간 구간 동안 하강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전압이 상기 제1 시간 구간 이후의 제2 시간 구간 동안 임계 전압 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는, 상기 촬영 주기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상기 촬영을 상기 시동이 온 되기 이전까지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차량의 차량 전원을 차단하는 전압 차단기; 및
    상기 차량 전원의 전압을 상기 블랙박스의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한 구동 전압을 상기 블랙박스에 출력하는 DC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랙박스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차량 전원을 차단하고,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KR1020140149671A 2014-10-30 2014-10-30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KR201600848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671A KR20160084865A (ko) 2014-10-30 2014-10-30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671A KR20160084865A (ko) 2014-10-30 2014-10-30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575A Division KR101708798B1 (ko) 2016-08-02 2016-08-02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865A true KR20160084865A (ko) 2016-07-15

Family

ID=5650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671A KR20160084865A (ko) 2014-10-30 2014-10-30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48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475A (ko) * 2017-12-14 2019-06-24 에스엘 주식회사 불안정한 전압에서 영상을 제어하는 영상제어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475A (ko) * 2017-12-14 2019-06-24 에스엘 주식회사 불안정한 전압에서 영상을 제어하는 영상제어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2969B2 (en) Power management systems for automotive video event recorders
JP6046506B2 (ja) 絶縁状態検出装置
KR101072346B1 (ko)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동작 모드 제어 방법
EP2270994A2 (en)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for vehicle rear and side views independent of the vehicle's body and method thereof
KR100970439B1 (ko) 무인감시 기능이 있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KR102113771B1 (ko) 차량용 배터리 소모전류 차단 장치 및 그 방법
CN107613009A (zh) 一种基于移动互联网的汽车安全监控系统
KR20160111185A (ko) 알터네이터 체결상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101508508B1 (ko)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
CN110356232A (zh) 一种用于车辆的监控装置及车辆
KR101157052B1 (ko) 주차중 움직임감지를 통한 영상 저장방법
KR20140128834A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관리 방법
US10377239B2 (en) Auxiliary battery status determination device and auxiliary battery status determination method
KR20160084865A (ko)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KR101708798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US20200053263A1 (en) Drive recorder
KR101479076B1 (ko) 차량 방전 제어 장치 및 실내 정션 박스와, 차량 방전 제어 방법
TW201934976A (zh) 具有電池電壓變化偵測功能的車載裝置
CN112135098A (zh) 一种低功耗录像方法、设备及系统
JP6134495B2 (ja) サテライト接続介入回避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10120635A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298467B1 (ko) 차량 배터리의 충전량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140147570A (ko) 차량 감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20160066412A (ko)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JP2014011476A (ja) 画像監視装置、車両、プログラム、および故障判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