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355A - 유아용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보조탑승구 - Google Patents

유아용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보조탑승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355A
KR20160084355A KR1020160084645A KR20160084645A KR20160084355A KR 20160084355 A KR20160084355 A KR 20160084355A KR 1020160084645 A KR1020160084645 A KR 1020160084645A KR 20160084645 A KR20160084645 A KR 20160084645A KR 20160084355 A KR20160084355 A KR 20160084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coupling
plate
center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4575B1 (ko
Inventor
김유현
Original Assignee
김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현 filed Critical 김유현
Publication of KR20160084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8Auxiliary dismountable seats ; Additional platforms for children in standing-up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의 후미에서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에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의자형상의 보조탑승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보호자가 주행조정을 할 수 있게 차체 후미에 밀대봉을 형성한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의 후미측에 연결판을 장치하고, 상기 연결판에 연결대를 형성하여 연결판의 연결대에 착탈되도록 의자형보조탑승구에 연결봉 또는 연결고리를 구성하여 연결하며,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연결봉 또는 연결고리를 연결판의 연결대에 착탈가능케 연결하며, 의자형탑승구의 연결봉을 연결대에 직접연결할 수 없을 때를 대비하고, 보다 견고한 연결을 위해 신축형연결구와 제2신축형연결구를 갖추어서 의자형보조탑승구를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의 후미에 착탈할 수 있게 구성하여 한명의 유아를 안전하게 더 태울 수 있도록 만든 유아용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보조탑승구이다.

Description

유아용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보조탑승구{The secondary vehicle for Infant tricycle and stroller}
본 발명은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의 후미에서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에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의자형상의 보조탑승구에 관한 것인데, 이는 보호자가 주행조정을 할 수 있게 구성한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의 후미측에 의자형상으로 된 의자형보조탑승구를 착탈할 수 있게 설치하여 유아 한명이 더 탑승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아용삼륜차와 유모차의 사용 편리성을 높이고자 한 것이다.
종래의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는 후미측에 바퀴가 있는 발판을 부착하여 발판위에 어린이가 올라탈 수 있도록 탑승대를 형성하고 있으나, 상기 탑승대는 상면이 평판형상으로 되어 둘레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장치가 미약하여 자립력이 미약한 유아를 탑승시킬 수가 없는 불편이 있었다.
선행기술 한국실용신안공보 97-17774
선행기술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29148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불편을 해소시키고, 보다 안락하고 안전하게 한명의 유아를 더 탑승시킬 수 있도록 의자형상으로 된 보조탑승구를 개발하여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의 후미에 착탈할 수 있게 연결함으로써,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의 효용성을 더 높이고, 착탈조작이 간편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본 발명은 보호자가 뒤에서 주행조정을 하는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의 뒷바퀴 사이에 연결대(3')가 형성된 연결판(3)을 부착하고, 상기 연결대(3')에 의자형보조탑승구(4)의 연결봉 또는 연결고리를 착탈가능케 연결하여 어린이 한명을 더 태울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호자가 뒤에서 밀고, 방향 조정도 가능토록 차체에 밀대봉(1a)이 결합된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의 뒷바퀴 사이에 연결대(3')가 형성된 연결판(3)을 부착하고, 좌대(4c)에 등판(4h)과 안전가이드바(4i)가 구비되고, 좌대후미 양측 하향으로 지지각(4e)이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 자유회전바퀴(4f)가 장치되며, 좌대전방 양측에 연결고리 또는 하향으로 굽어진 연결봉(4d)이 형성된 의자형보조탑승구(4)를 구비하여 상기 의자형보조탑승구를 연결판(3)의 연결대(3')에 연결하면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의 후미측에 유아 한명을 더 탑승시킬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의 후미에 부착되는 연결판(3)의 연결대(3')는 제1연결대, 제2연결대, 제3연결대로 구성하여 상기 연결대에 맞도록 구성한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연결봉 또는 연결고리를 선택 연결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연결봉 하단부에 자유회전바퀴(4q)를 장치하여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연결봉을 연결대의 연결구멍에 직접 결합할 수 없을 때를 대비하여 별도로 구성한 신축형결합구를 준비하여 연결대와 연결봉을 연결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상기 신축형결합구는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의 후미부에 장치된 밀대봉과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안전가이드바 사이에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신축형결합구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결합구멍을 밀대봉과 안전가이드바의 설치방향과 대응하도록 구성한 제2신축형결합구를 더 구비하여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의 후미측에 연결되는 의자형보조탑승구를 더욱 튼튼하게 연결하여 유아 한명을 더 탑승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의 후미측에 연결대가 형성된 연결판을 장치하고, 연결판의 연결대에 착탈되도록 의자형보조탑승구에 연결봉 또는 연결고리를 구비하고 별도로 신축형결합구를 더 구비함으로써, 의자형보조탑승구를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의 후미에 착탈할 수 있게 되므로 1인승의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에 유아 한명을 더 탑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낼 수 있고,
연결대가 관체로 형성되어 그 상단부에서 아래로 연결구멍을 가지는 제1연결대일 경우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좌대양측 전방에서 하향으로 굽어진 연결봉을 끼워 결합하고, 연결대(3')가 관체 상부에 연결봉이 형성되고, 연결봉 상단면 중심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이탈방지와셔와 고정나사못을 구비하는 제2연결대일 경우나, 연결대가 관체로 되어 상부에 형성된 연결봉 상면판에 이탈방지캡이 장치된 제3연결대일 경우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좌우측지지대 전방에 장치된 연결고리를 끼워 결합하게 되는데, 제2연결대의 경우 연결봉 상단에 이탈방지와셔와 고정나사못이 있어서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연결고리가 링형상의 연결고리일 경우 연결대의 연결봉에 안치하고 연결부 상면에 이탈방지와셔를 결합하여 고정나사못으로 고정하며, 또한 연결고리가 캡(CAP)형으로 될 경우 연결대의 연결봉에 캡형 연결고리를 안치하고 고정나사못으로 고정하며, 제3연결대일 경우 연결봉 상면판에 이탈방지캡이 장치되어 있으므로 연결고리를 제3연결대의 연결봉에 끼울때는 이탈방지캡을 돌려 이탈방지캡에 형성된 걸림돌편이 연결고리 내면에 형성된 요입홈으로 들어가게 하여 연결고리를 연결봉에 끼운다음 연결고리가 연결봉에 안착되면 이탈방지캡을 다시 돌려서 연결고리 상단 외면에 이탈방지캡의 걸림돌편이 걸리도록 조작하여 연결고리가 연결봉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연결봉의 하단부에 자유회전바퀴(4q)를 장치한 경우 연결봉 하단을 연결대의 연결구멍에 끼워 결합할 수 없게 되는데, 이때에는 별도로 준비한 신축형결합구를 사용하게 되며, 신축형결합구는 2개의 결합판이 포개어져 일측 결합판에는 연결판의 연결대에 결합될 결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개의 결합판에는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연결봉에 결합될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포개어진 결합판에는 장방형결합공이 형성되어 체결볼트와 너트로 체결되고, 포개어지는 결합면에는 미끄럼방지돌기가 맞물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시 결합판의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와 의자형보조탑승구간의 연결간격에 차이가 있어도 서로간을 연결할 수 있고, 또 제2신축형결합구는 포개어지는 결합판 양측의 결합구멍 방향이 안전가이드바와 밀대봉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어린이용삼륜차 및 유모차의 밀대봉과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안전가이드바 사이에 제2신축형결합구를 더 연결할 수 있어서 의자형보조탑승구를 더 견고하고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실시되는 유아용삼륜차는 후미측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탈부착형의 바구니틀이 있어서 의자형보조탑승구를 연결할 때는 바구니틀을 상향시켜 의자형보조탑승구에 탑승하는 어린이가 불편하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3은 도 1에서 의자형보조탑승구를 분리한 좌측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연결판과 의자형보조탑승구의 분해 사시도
도 6(a)(b)는 연결판의 연결대에 연결봉을 끼우는 예시도
도 7(a)(b)는 본 발명의 의자형보조탑승구를 접는 상태 예시도
도 8은 연결판의 연결대에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연결고리 부분이 결합된 사용상태도
도 9(a)(b)(c)는 제3연결대에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연결고리가 결합되는 예시도
도 10은 유모차에 실시한 연결판 사시도
도 11(a)(b)(c)는 연결판에 형성된 연결대의 종류를 보이는 사시도
도 12는 제2연결대의 확대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신축형결합구 사용상태 예시도
도 14는 도 13의 제2신축형결합구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조립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탑승구를 신축형결합구와 제2신축형결합구로 연결한 예시도
도 17은 도 16의 일부단면 예시도
도 18은 도 17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탑승구에 신축형결합구가 실시된 예시도
도 20은 도 19의 제3연결대 부분 단면 예시도
도 21은 도 20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후미에서 보호자가 주행조정을 할 수 있도록 차체에 밀대봉(1a)을 장치한 유아용삼륜차(1)나, 유모차(2)의 뒷바퀴(1b)(2b) 사이에 설치되며, 유아용삼륜차 후미 또는 유모차 후미에 형성된 차체(1c) 또는 가로연결대(2c)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만든 연결판(3)과,
상기 연결판 상면에서 좌우로 1개씩 배치되거나, 또는 좌우측에서 다시 전후로 일정거리를 두고 2개씩, 또는 3개씩 형성되는 연결대(3')를 구비하여, 의자형보조탑승구(4)의 연결부를 연결대(3')에 착탈가능케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의자형보조탑승구(4)는 앞바퀴가 없고, 접고 펼수 없는 고정형과, 앞바퀴가 없고 접고 펼수 있게 한 가변형의 것과, 앞바퀴가 있으며 접고 펼수 없는 고정형과, 앞바퀴가 있으며 접고 펼수 있게 한 가변형의 것 중에서 선택되고,
또한 상기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연결부는 앞바퀴가 없는 의자형보조탑승구(4)의 경우 좌대(4c) 전방양측에서 하향으로 굽어지게 연결봉(4d)을 형성하여 연결판(3)에 형성된 연결대중 제1연결대(30)에 결합하는 것과, 좌대 전방양측에 연결고리(40)를 형성하여 연결대의 제2연결대(33) 또는 제3연결대(31)에 결합하게 되며, 또한 좌대(4c) 전방양측에서 하향으로 굽어진 연결봉(4d) 하단부에 자유회전바퀴(4q)를 장착하여 연결봉 하단부를 연결대의 연결구멍(30a)에 끼워 결합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연결봉과 연결판의 연결대(3') 사이에 개입되어 서로를 결합하는 신축형결합구(56)를 구비하게 되고, 접고 펼수 있는 의자형보조탑승구(4)는 좌대(4c)와 등판(4h)을 섬유 또는 접고 펼수 있는 재료로 형성하고, 좌대(4c)후미 양측에서 하향으로 형성된 양측 지지각(4e)을 중간이 접혀 질 수 있게한 가로연결대(4k,4m)로 결합하여 접고 펼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선택된다.
또한, 상기 연결판(3)은 의자형보조탑승구에 앉은 어린이의 발판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그 상면판에 형성되는 연결대(3')는 제1연결대(30), 제2연결대(33), 제3연결대(31)로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인데
제1연결대(30)는 관체로 되어 상단이 개방되어 관체 상단에서 하향으로 연결구멍(30a)이 형성되고 그 주벽에 고정구멍(30b)이 형성된 관체형상으로 된 일정길이의 것이며, 또한 좌우양측에 배치되어 어린이용삼륜차 또는 유모차와 의자형보조탑승구(4)와의 간격 조건 또는 어린이용삼륜차 또는 유모차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뒷바퀴에 어린이 발이 닿지 않게 하기 위하여 전후로 일정거리를 두고 2개 또는 3개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에 결합하는 의자형보조탑승구(4)의 연결봉(4d)은 좌대 전방양측에서 하향으로 형성된 연결봉(4d)의 삽입부(4d') 주벽에 안내공(4d")을 형성하고, 삽입부(4d') 내측에 장치된 탄편(42)의 일단에 고정되어 주벽의 안내공(4d")으로 출입되는 고정구(41)를 장치하여 연결봉(4d)이 제1연결대(30)의 연결구멍(30a)에 삽입되면 고정구(41)가 연결대의 고정구멍(30b)에 끼워져서, 삽입된 연결봉(4d)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며,
제2연결대(33)는 연결판(3)의 상면에서 상향으로 형성된 관체상부에 연결봉이 형성되어 연결봉(33a) 상단면 중심에 나사구멍(33b)를 형성시키고, 연결봉(33a) 상단면에서 일정높이 아래에 상단면의 외치수보다 큰 외주의 단턱(33d)을 형성시킨 것이며, 제1연결대(30)와 같이 연결판(3)의 상면판 좌우양측에 1~3개 범위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이 되고, 연결봉(33a)의 상단면 중심에 형성된 나사구멍(33b)에 고정나사못(33c)으로 나사결합되는 이탈방지와셔(32')를 구비하여서 되는 구성으로, 의자형보조탑승구(4)의 좌대(4c) 전방 양측에 형성된 연결고리(40), 또는 신축형결합구(56)의 결합부(50a)가 결합되는 구성이며, 상기 연결고리(40) 또는 결합부(50a)는 링형상의 것은 이탈방지와셔(32')를 덮어 고정나사못(33c)으로 고정되고, 캡(Cap)형상의 것은 결합홈(50다)에 볼트구멍(50라)을 구비하여 고정나사못(33c)으로 고정하는 구성이고,
제3연결대(31)는 상기 연결판(3) 상면에서 상향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1~3개가 배치되는 관체 상부에 연결봉(31a)을 형성하며 연결봉(31a)의 상면판(31c)중심에 구멍(31d)을 뚫어 중심지지축(31e)을 삽입하고, 연결봉 내부로 삽입한 중심지지축 하단에 하단부걸림턱(31e')을 형성하여 상기 하단부걸림턱(31e')과 상면판(31c) 사이에 코일스프링(31f)을 끼워 중심지지축(31e)의 탄력이 충진되게 하고, 중심지지축의 머리부와 상면판(31c) 사이에는 중심지지축(31e)에 중심구멍이 끼워져 회전하고 외경이 연결봉(31a) 외경과 동일하며 일측에 걸림돌편(32a)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편이 연결고리(40)에 형성시킨 요입홈(40a)으로 삽탈되는 이탈방지캡(32)을 구비하고, 연결봉(31a)과 관체가 이어지는 경계부에 단턱(31b)이 형성되어,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연결고리(40) 또는 신축형결합구(56)의 일측 결합부(50a)가 결합되는 구성이다.
또한 의자형보조탑승구(4)는 의자형상으로 되어 좌우측지지대(4a)(4b)에 결합된 좌대(4c)가 설치되고, 좌우측지지대 후미에서 하향으로 형성시킨 지지각(4e)의 하단에 자유회전바퀴(4f)가 장치되며, 좌우측지지대(4a)(4b) 후미에서 상향으로 등받이지지각(4g)를 형성하고 양측 등받이지지각(4g)에 결합된 등판(4h)이 설치되고, 등판좌우양측에서 전방으로 형성되고 개폐가 가능토록된 안전가이드바(4i)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좌대(4c)와 등판(4h)의 구성 재료를 접을 수 없는 재료로 구성된 고정형의 것과 섬유 또는 접혀질 수 있는 재료로 구성하고 좌대(4c)의 후방 양측 지지각(4e)을 중간이 접어질 수 있게 형성된 가로연결대(4k)(4m)로 결합하여 접을 수 있게 한 가변형의 것 중에서 선택되게 하며, 연결대와의 결합을 위해 좌우측지지대(4a)(4b)전방에 형성되어 제2연결대 또는 제3연결대에 결합되는 연결고리(40)를 구비하거나 좌우측지지대(4a)(4b)전방에서 하향으로 굽어져 제1연결대에 결합되는 연결봉(4d)을 구비하게 되고, 또한 연결봉 하단에 자유회전바퀴(4q)를 설치한 의자형보조탑승구(4)는 연결봉과 연결대의 결합을 위해 별도로 신축형결합구(56)를 구비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신축형결합구는 직4각형판체로 된 제1결합판(50)과 제2결합판(60)으로 구성되어 제1결합판의 일단에는 제2연결대 또는 제3연결대의 연결봉에 결합하는 결합부(50a)가 형성되고 제2결합판의 일단에는 의자형보조탑승구(4)의 연결봉(4d)에 결합하는 결합부(60a)가 형성되며, 두개의 결합판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장방형결합공(50b)(60b)을 형성하여 두개의 결합판이 포개어지는 결합면에 미끄럼방지돌기(50c)(60c)를 형성시켜 체결볼트(6)와 너트(6a)로 조여지고 풀리게 하여 결합판의 길이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된 신축형결합구(56)가 구성되고,
또한, 신축형결합구(56)의 양측 결합부(50a)(60a)에 형성되는 결합구멍(50가)(60가)의 방향이 유아용삼륜차 및 유모차의 후방 밀대봉(1a)과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안전가이드바(4i) 사이에 결합할 수 있게 밀대봉과 안전가이드바의 설치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한 제2신축형결합구(56')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제2연결대 또는 제3연결대에 결합되는 신축형결합구(56)의 결합부(50a)(60a)는 연결대와 연결봉의 구성에 대응하여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링형상으로 구성하여 이탈방지와셔(32')를 덮어 고정나사못(33c)으로 고정하거나, 또는 결합부(50a)를 볼트구멍(50다)에 볼트구멍(50라)이 구비된 캡(CAP)형상을 구비하여 제2연결대(33)에 결합되게 하며, 또한 신축형결합구(56)의 결합부(50a)는 제3연결대(31)의 연결봉(31a)에 결합되게 결합부(50a) 내주면에 요입홈(50a')을 형성하여 이탈방지캡(32)의 걸림돌편(32a)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는 구성이다.

1 : 유아용삼륜차 1a : 밀대봉
1c : 차체 2 : 유모차
1b,2b : 뒷바퀴 2c : 가로연결대
3 : 연결판 3' : 연결대
4 : 의자형보조탑승구 4a,4b : 좌우측지지대
4c : 좌대 4d : 연결봉
4d' : 삽입부 4d" : 안내공
4e : 지지각 4f,4q : 자유회전바퀴
4g : 등받이지지각 4h : 등판
4i : 안전가이드바 4k,4m : 가로연결대 6 : 체결볼트 6a : 너트
30 : 제1연결대 30a : 연결구멍
30b : 고정구멍 31 : 제3연결대
31a : 연결봉 31b : 단턱
31c : 상면판 31d : 구멍
31e : 중심지지축 31e' : 하단부걸림턱
31f : 코일스프링 32 : 이탈방지캡
32' : 이탈방지와셔 32a : 걸림돌편 33 : 제2연결대 33a : 연결봉
33b : 나사구멍 33c : 고정나사못
33d : 단턱 40 : 연결고리
40a : 요입홈 41 : 고정구
42 : 탄편 50 : 제1결합판
50' : 요입홈 60 : 제2결합판
50a,60a : 결합부 50b,60b : 장방형결합공
50c,60c : 미끄럼방지돌기 56 : 신축형결합구
56' : 제2신축형결합구

Claims (4)

  1. 유아용삼륜차(1) 또는 유모차(2)의 뒷바퀴(1b)(2b)사이에 설치되고 유아용삼륜차 후미 또는 유모차 후미에 형성된 차체(1c) 또는 가로연결대(2c)에 결합하여 고정되며 연결대(3')가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판(3)과,
    의자형상으로 되어 좌우측지지대(4a)(4b)간에 결합된 좌대(4c)가 설치되고, 좌우측지지대 후미에서 하향으로 지지각(4e)을 형성하고, 양측 지지각(4e)의 하단에 자유회전바퀴(4f)가 장치되며, 좌우측지지대 후미에서 상향으로 등받이지지각(4g)을 형성하여 양측 등받이 지지각에 등판(4h)을 형성하고 등판(4h) 좌우양측에서 전방으로 개폐되게 안전가이드바(4i)가 설치되며, 좌우측지지대(4a)(4b) 전방에 장치되어 연결판의 연결대에 상하방향으로 결합하는 연결봉(4d) 또는 연결고리(40)가 형성된 의자형보조탑승구(4)와,
    상기 의자형보조탑승구(4)의 연결봉 또는 연결고리를 연결판의 연결대에 직접 연결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유아용삼륜차 및 유모차 후미부와 의자형보조탑승구간에 개입되어 의자형보조탑승구를 착탈가능케 결합하는 신축형결합구를 더 갖추어서 되는 유아용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보조탑승구.
  2. 청구항 제1항에서,
    의자형보조탑승구(4)는 좌대와 등판을 접을 수 있게 양 지지각(4e) 사이에 접을 수 있는 가로연결대(4k)(4m)를 더 갖추어서 되는 유아용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보조탑승구.
  3. 청구항 제1항에서,
    연결대(3')는 연결판의 상면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게 좌우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관체로 되어 그 상단부에서 하향으로 연결구멍을 가지는 제1연결대로 이루어지거나,
    연결판의 상면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게 좌우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돌출되는 관체 상부에 관체보다 외경이 적은 연결봉이 형성되고 관체와 연결봉의 경계부에 연결봉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단턱이 형성되며, 연결봉의 상단면 중심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이탈방지와셔와 고정나사못을 구비하는 제2연결대로 이루어지거나,
    연결판의 상면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게 좌우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돌출되는 관체 상부에 형성된 연결봉의 상단면 중심에 구멍을 뚫어 중심지지축을 삽입하고 중심지지축 외면에 코일스프링을 끼우고 중심지지축 하단에 하단부걸림턱을 형성하여서 연결봉안에서 코일스프링의 탄력을 받으며 장착되는 중심지지축의 머리부와 연결봉 상면판 사이에 개입되어 중심지지축에 중심구멍이 끼워지고 외경이 연결봉 상단외경과 동일하고 외주면 일측에 연결봉 상단 외경보다 돌출되면서 일정폭을 가지는 걸림돌편이 형성된 이탈방지캡이 장치되어 상기 이탈방지캡이 연결봉 상단에서 회전될 수 있게 한 제3연결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보조탑승구.
  4. 청구항 제1항에서,
    연결대(3')는, 연결판의 상면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게 좌우측에 배치되며, 돌출되는 관체 상부에 관체보다 외경이 적은 연결봉이 형성되고, 관체와 연결봉의 경계부에 연결봉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단턱이 형성되며, 연결봉이 상단면 중심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이탈방지와셔와 고정나사못을 구비하는 제2연결대로 이루어지거나,
    연결판의 상면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게 좌우측에 배치되며, 돌출되는 관체 상부에 형성된 연결봉의 상단면 중심에 구멍을 뚫어 중심지지축을 삽입하고 중심지지축 외면에 코일스프링을 끼우고 중심지지축 하단에 하단부걸림턱을 형성하여서 연결봉안의 코일스프링의 탄력을 받으며 장치되는 중심지지축의 머리부와 연결봉 상면판 사이에 개입되어 중심지지축에 중심구멍이 끼워지고 외경이 연결봉 상단외경과 동일하고, 외주면 일측에 연결봉 상단 외경보다 돌출되면서 일정폭을 가지는 걸림돌편이 형성된 이탈방지캡이 장치되어, 상기 이탈방지캡이 연결봉 상단에서 회전될 수 있게 한 제3연결대로 이루어지고,
    신축형결합구는 직4각형판체로 된 제1결합판과 제2결합판으로 구성되어 제1결합판의 일단에는 연결판의 제2연결대 또는 제3연결대의 연결봉에 결합될 결합부가 형성되고 제2결합판의 일단에는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연결봉에 결합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두개의 결합판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장방형결합공을 형성하고, 두개의 결합판이 포개어지는 상호 결합면에 미끄럼방지돌기(50c)(60c)를 형성시켜 두개의 결합판을 서로 포개어 장방형결합공에 체결볼트를 끼워 반대측에서 너트를 나사조립함으로써, 두 결합판의 길이를 신축 조정할 수 있게 한 신축형결합구(56)와,
    직4각형판체로 된 제1결합판과 제2결합판으로 구성되어 제1결합판의 일단에는 유아용삼륜차 또는 유모차 후미의 밀대봉에 결합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제2결합판의 일단에는 의자형보조탑승구의 안전가이드바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형성하며, 두개의 결합판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형결합공을 형성하고, 서로 포개어지는 결합면에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시켜 두개의 결합판에 형성된 장방형결합공에 체결볼트를 끼워 반대측에서 너트를 나사조립함으로써, 결합판의 길이를 신축시킬 수 있게 한 제2신축형결합구(56')로 이루어지는 유아용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보조탑승구.

KR1020160084645A 2012-09-07 2016-07-05 유아용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보조탑승구 KR101654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9184 2012-09-07
KR1020120099184 2012-09-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305A Division KR20150099503A (ko) 2012-09-07 2015-08-13 유아용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보조탑승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355A true KR20160084355A (ko) 2016-07-13
KR101654575B1 KR101654575B1 (ko) 2016-09-06

Family

ID=5064425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144A KR20140032865A (ko) 2012-09-07 2013-03-12 유아용 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 보조 탑승구
KR1020150114305A KR20150099503A (ko) 2012-09-07 2015-08-13 유아용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보조탑승구
KR1020160084645A KR101654575B1 (ko) 2012-09-07 2016-07-05 유아용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보조탑승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144A KR20140032865A (ko) 2012-09-07 2013-03-12 유아용 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 보조 탑승구
KR1020150114305A KR20150099503A (ko) 2012-09-07 2015-08-13 유아용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보조탑승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400328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0643A (zh) * 2018-05-30 2018-12-21 东莞市凯圣自行车有限公司 可转换为自行车的婴儿推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6095A (zh) * 2017-04-28 2017-12-01 平湖智梦科技有限公司 一种童车
CN110116747B (zh) * 2019-05-23 2020-09-01 安徽商贸职业技术学院 一种伴成长婴儿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7774U (ko) * 1997-02-06 1997-05-23 김성경 어린이용 자전거의 연결 장치
KR20050027319A (ko) * 2003-09-15 2005-03-21 강승규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7774U (ko) * 1997-02-06 1997-05-23 김성경 어린이용 자전거의 연결 장치
KR20050027319A (ko) * 2003-09-15 2005-03-21 강승규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0643A (zh) * 2018-05-30 2018-12-21 东莞市凯圣自行车有限公司 可转换为自行车的婴儿推车
CN109050643B (zh) * 2018-05-30 2021-05-04 东莞市凯圣自行车有限公司 可转换为自行车的婴儿推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575B1 (ko) 2016-09-06
KR20150099503A (ko) 2015-08-31
KR20140032865A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3390B2 (ja) カーシート用足載装置
KR101654575B1 (ko) 유아용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보조탑승구
US20090224591A1 (en) Accessory Footrest Attachment
US8191913B1 (en) Center footrest for a wheelchair
US9756962B2 (en) Access-optimized mobile infant support
CN108578091B (zh) 一种脊髓病人康复智能轮椅
SG186693A1 (en) Walking aid device with foldable seat
CN109568092A (zh) 多功能儿童助行器
WO2014037177A1 (en) Child seat with ball shaped infable resilient seating member
CN211431820U (zh) 老人多功能扶手折叠椅
CN203493832U (zh) 一种多功能护理型洗浴椅
CN106218789B (zh) 一种电动滑板车
US20170325600A1 (en) Child seat with immobility elements
KR20160049779A (ko) 래치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US20150202100A1 (en) Walker seat
KR101619835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CN104670385A (zh) 带座位的滑板车
CN209847777U (zh) 一种小儿康复学步车
CN109159724B (zh) 一种可行走的婴孩安全座椅
CN208942618U (zh) 一种折叠式轮椅助行器
CN203819307U (zh) 多功能组合式童车
CN209187431U (zh) 多功能行走辅助架
CN205168720U (zh) 一种新型车筐
CN208301359U (zh) 一种多功能儿童座椅
KR20200142225A (ko) 유아 보조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