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835B1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Google Patents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9835B1 KR101619835B1 KR1020150157296A KR20150157296A KR101619835B1 KR 101619835 B1 KR101619835 B1 KR 101619835B1 KR 1020150157296 A KR1020150157296 A KR 1020150157296A KR 20150157296 A KR20150157296 A KR 20150157296A KR 101619835 B1 KR101619835 B1 KR 1016198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wheel
- main
- wagon
- baby wag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the wheel axes being moved from each other during fo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3—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유아용 웨건은 브레이크가 하단에 위치하여 발로 밟아 제어하도록 형성되어 이동 및 정지시 신속한 대응이 어렵고, 경사면에서의 이동 및 정지시 서서히 속력을 줄이는 제어가 불가능하고 보호자의 팔 힘으로만 지지해야 하여 사고의 위험성이 크고, 유모차에 비해 전장의 길이가 길고, 수용할 수 있는 무게가 큰 만큼 이동제어시 보호자의 큰 힘이 요구되는데 축간 거리가 길어 회전반경이 크고, 그에 따른 힘 손실이 커져 폭인 좁은 장소나 유동인구가 많은 도로에서 방향을 전환하기 어렵고, 보호자의 팔에 큰 부담이 작용하여 피로도가 증가하고 체력소모가 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접이식 본체 프레임, 차륜부, 시트부, 캐노피로 이루어져 보호자가 유아용 웨건을 끌고 빠르게 이동하거나 언덕과 같은 경사면에서 속력을 줄이는 제어가 가능하고, 갑작스러운 정지동작시 풋 브레이크에 비해 신속하게 대응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접이식 상태에서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유아용 웨건의 회전반경을 줄여 폭이 좁은 인도나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서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고, 방향전환시 보호자의 힘 손실을 줄여 보호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구동되는 유아용 웨건 구동바퀴의 축간 거리를 절반으로 줄여 회전반경을 줄이고, 회전반경을 줄임에 따라 방향전환이 용이하여 좁은 공간에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방향전환시 보호자의 힘 손실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에 비해 수납공간이 넉넉히 구비되고 보호자 혼자서도 2~3명의 유아를 태우고 외출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 손수레 형식의 유아용 웨건은 어린 자녀를 둔 부모의 입소문을 타고 빠르게 보편화 되어 유아용 이동수단으로서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유아용 웨건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의 유아용 웨건은 브레이크가 구동바퀴와 가까운 하단에 위치하여 발로 밟아 제어하도록 형성되어 이동 및 정지시 빠른 대응이 어렵고, 특히 경사면에서의 이동 및 정지시 서서히 속력을 줄이는 제어가 불가능하고 보호자의 팔 힘으로만 지지해야 하며 브레이크를 발로 밟아야 정지시킬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어렵고 사고의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모차에 비해 전장의 길이가 길고, 수용할 수 있는 무게가 큰 만큼 보호자의 큰 힘이 요구되는데 앞바퀴와 뒷바퀴의 축간 거리가 길어 회전반경이 크고, 그에 따른 힘 손실이 커져 폭인 좁은 장소나 유동인구가 많은 도로에서 방향을 전환하기 어렵고, 보호자의 팔에 큰 부담이 작용하여 피로도가 증가하고 체력소모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보호자가 유아용 웨건을 끌고 빠르게 이동하거나 언덕과 같은 경사면에서 속력을 줄이는 제어가 가능하고, 갑작스러운 정지동작시 풋 브레이크에 비해 신속하게 대응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접이식 상태에서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유아용 웨건의 회전반경을 줄여 폭이 좁은 인도나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서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고, 방향전환시 보호자의 힘 손실을 줄여 보호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은,
접이식 본체 프레임, 차륜부, 시트부, 캐노피부로 구성되고,
상기 접이식 본체 프레임은
전·후방향 끝단에 직립되어 세워진 'ㅁ'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접이식 본체 프레임을 지지하고, 직립된 좌·우측의 원통형 프레임이 실린더형태로 상승 및 하강하며 높이가 가변되는 정면 메인 프레임과 후면 메인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과,
하단면을 이루며 전·후방향에 수평으로 누워진 2개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하단을 지지하는 줄무늬 결합형상 프레임으로, 전·후방향에 형성된 2개의 프레임 끝단이 대칭으로 축 결합되고, 축 결합된 하단 중심축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대칭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받침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되고,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대칭으로 형성된 삼각형상 프레임과 역삼각형상 프레임이 서로 양측 중앙에 삽입된 회전핀을 중심으로 교차되는 형상으로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전면 좌·우측에 직립되고 핸들고정 클립을 통해 정면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고, 좌·우측 상단에 형성된 회전축의 측면에 회전제어 버튼이 결합되어 전면 각도조절 핸들의 단계별 각도를 제어하는 전면 핸들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후면 좌·우측에 직립되고 핸들고정 클립을 통해 후면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고, 좌·우측 상단에 형성된 회전축의 측면에 회전제어 버튼이 결합되어 후면 각도조절 핸들의 단계별 각도를 제어하는 후면 핸들프레임이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핸들 프레임에 형성된 브레이크를 통해 이동중 핸들 프레임을 제어하는 손으로 브레이크를 잡을 수 있어 보호자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손으로 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어 빠르게 이동하거나 언덕과 같은 경사면에서 속력을 줄이는 제어가 가능하고, 갑작스러운 정지동작시 풋 브레이크에 비해 신속하게 대응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접이식 상태에서 큰 부피를 차지하는 구동바퀴를 탈부착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무엇보다도 전·후방향으로 구동되는 유아용 웨건 구동바퀴의 축간 거리를 절반으로 줄여 회전반경을 줄이고, 회전반경을 줄임에 따라 방향전환이 용이하여 좁은 공간에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방향전환시 보호자의 힘 손실을 감소시켜 용이하게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웨건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프레임, 받침 프레임, 측면 프레임을 도시하고, 캐노피 고정 폴대의 삽입형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구니 프레임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핸들 고정 클립에 끼워지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 핸들에 형성된 손잡이 브레이크를 당겨 브레이크 케이블을 당김으로써 브레이크 패드를 좌·우방향으로 이격시키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구동부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단 충격 흡수 프레임의 내부에 탄성 스프링이 내장되고, 하단방향으로 하단 충격 흡수 프레임이 삽입되고, 탄성 스프링에 의해 결합핀 이동홈의 범위 안에서 결합핀이 상승 및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케이블의 당김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가 좌우방향으로 이격되며 마찰제어 홈에 밀착되어 마찰력이 발생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륜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전륜 탄성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며 전륜부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 3축 지지 고정구의 구동부 탈착 커버를 열어 하단에 삽입되는 전륜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륜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후륜 탄성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며 후륜부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 3축 지지 고정구의 구동부 탈착 커버를 열어 하단에 삽입되는 후륜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 프레임이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본체 프레임과 차륜부가 접이식 모드 형태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 실시예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웨건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프레임, 받침 프레임, 측면 프레임을 도시하고, 캐노피 고정 폴대의 삽입형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구니 프레임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핸들 고정 클립에 끼워지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 핸들에 형성된 손잡이 브레이크를 당겨 브레이크 케이블을 당김으로써 브레이크 패드를 좌·우방향으로 이격시키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구동부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단 충격 흡수 프레임의 내부에 탄성 스프링이 내장되고, 하단방향으로 하단 충격 흡수 프레임이 삽입되고, 탄성 스프링에 의해 결합핀 이동홈의 범위 안에서 결합핀이 상승 및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케이블의 당김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가 좌우방향으로 이격되며 마찰제어 홈에 밀착되어 마찰력이 발생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륜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전륜 탄성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며 전륜부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 3축 지지 고정구의 구동부 탈착 커버를 열어 하단에 삽입되는 전륜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륜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후륜 탄성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며 후륜부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 3축 지지 고정구의 구동부 탈착 커버를 열어 하단에 삽입되는 후륜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 프레임이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본체 프레임과 차륜부가 접이식 모드 형태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 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접이식 본체 프레임(100), 차륜부(200), 시트부(300), 캐노피(4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본체 프레임(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접이식 본체 프레임(10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유아용 웨건(1)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10), 받침 프레임(120), 측면 프레임(130), 전면 핸들 프레임(140), 후면 핸들 프레임(150)으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프레임(1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전·후방향 끝단에 직립되어 세워진 'ㅁ'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접이식 본체 프레임을 지지하고, 직립된 좌·우측의 원통형 프레임이 실린더형태로 상승 및 하강하며 높이가 가변되는 정면 메인 프레임(110a)과 후면 메인 프레임(100b)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프레임(11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접이식 모드에서는 내부 원통형 프레임(110a-1)이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11)에 결합된 역삼각 프레임의 상단 방향의 회전에 따라 상승되어 외부 원통형 프레임(110a-2)의 상단 방향으로 돌출되고, 웨건 사용 모드에서는 내부 원통형 프레임(110a-1)이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11)에 결합된 역삼각 프레임의 하단 방향의 회전에 따라 하강하여 외부 원통형 프레임(110a-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11), 하단 3축 지지 고정구(112), 핸들 고정 클립(113), 캐노피 고정 폴대(114)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11)는 'ㄱ'자 형상으로 전·후방향에 형성된 메인 프레임의 내부 원통 프레임 상단 좌·우측 끝단에 각각 대칭으로 고정 결합되고, 상단 내부면이 나사골로 이루어진 폴대 삽입 고정홀(111a)이 형성되고, 역삼각형상 프레임(132)의 상단 양 끝단과 핀 결합되어 회전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11)는 폴대 삽입 고정홀(111a)의 하단방향으로 관통되어 캐노피 고정 폴대(114)가 메인 프레임(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폴대 삽입 고정홀의 상단 내부면의 나사골을 통해 캐노피 고정 폴대(114)의 상단 끝단에 형성된 폴대 돌출 고정 나사산(114a)과, 하단 끝단에 형성된 폴대 삽입 고정 나사산(114b)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폴대 삽입 고정홀(111a)은 캐노피(400) 설치시에는 캐노피 고정 폴대의 하단에 위치한 폴대 돌출 고정 나사산(114b)을 고정시켜 메인 프레임의 상단에 직립시키고, 캐노피(400) 분리시에는 캐노피 고정 폴대의 상단에 위치한 폴대 삽입 고정 나사산(114a)을 고정시켜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캐노피 고정 폴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유아용 웨건의 접이식 상태에서 보관 및 이동시 캐노피 고정 폴대(114)가 고정되지 않아 분리되어 분실되거나, 흘러내림을 통해 프레임의 손상 및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단 3축 지지 고정구(112)는 'T'자 형상으로 전·후방향에 형성된 메인 프레임의 외부 원통 프레임 하단 좌우측 끝단에 대칭으로 고정 결합되고, 삼각형상 프레임(131)의 끝단과 핀 결합되어 회전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하단에 타원 원통 형상의 외측 후륜 지지프레임(112a)이 형성되어 하단 내부방향으로 내측면 둘레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내측 후륜 지지프레임(221b)를 삽입하여 내장하고 외측 후륜 지지프레임과 내측 후륜 지지프레임이 겹쳐지는 전방 일측에 외측 관통홀(112a-1)이 형성된다.
또한, 하단 3축 지지 고정구(112)는 도 11,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에 위치한 하단 3축 지지 고정구(112)의 전방 외측면과, 후방에 위치한 하단 3축 지지 고정구(112)의 후방 외측면에 탈착 핀 홈(112b-1)이 이루어진 커버 홈(112b)이 형성되고, 커버 홈(112b)의 끝단 일측에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전륜부의 전륜 축 홈(221a-2)에 삽입되는 구동축 탈착핀(112a-1)이 이루어진 구동부 탈착 커버(112a)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커버 홈(112b)의 상단 일측에 탈착 핀 홈(112b-1)이 형성되고, 구동부 탈착 커버의 내측면 상단 일측에 탈착 핀 홈(112b-1)에 삽입가능한 구동축 탈착핀(112a)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방에 위치한 구동부 탈착 커버(112a)를 커버 홈(112b)에 삽입시켜 닫으면 구동축 탈착핀(112a-1)이 탈착 핀 홈(112b-1)에 삽입되어 관통되고, 내부에 삽입된 전륜 축(221a-1)의 전륜 축 홈(221a-2)에 끼워지며 전륜부(220)를 지지하게 되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 탈착 커버(112a)를 커버 홈(112b)에서 분리시켜 열면 구동축 탈착핀(112a-1)이 탈착 핀 홈(112b-1)과 전륜 축 홈(221a-2)에서 분리되며 전륜부(220)가 하단방향으로 탈착되도록 한다.
또한, 후방에 위치한 구동부 탈착 커버(112a)를 커버 홈(112b)에 삽입시켜 닫으면 구동축 탈착핀(112a-1)이 탈착 핀 홈(112b-1)에 삽입되어 관통되고, 내부에 삽입된 후륜 축(231a-1)의 후륜 축 홈(231a-2)에 끼워지며 후륜부(220)를 지지하게 되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 탈착 커버(112a)를 커버 홈(112b)에서 분리시켜 열면 구동축 탈착핀(112a-1)이 탈착 핀 홈(112b-1)과 후륜 축 홈(231a-2)에서 분리되며 후륜부(220)가 하단방향으로 탈착되도록 한다.
상기 핸들 고정 클립(113)은 전면 핸들프레임(140)과 후면 핸들프레임(150)의 하단 일측과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 일측을 감싸며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면 핸들프레임, 후면 핸들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을 견고하게 결합하여, 보호자가 핸들프레임을 잡고 밀거나 당기는 힘에 의한 이동 또는 방향전환시 힘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보호자 혼자서 이동하더라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불필요한 체력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정면 상단 좌·우측에 형성된 핸들 고정 클립(113)은 양쪽 내측면에 바구니 프레임(115)의 설치되는 고정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이송시키는 안내레일 내측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 장홀(113a)과 바구니 프레임 받침바(113c)가 형성된다.
이때, 핸들 고정 클립(11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레일 후단의 고정핀 삽입 장홀(113a)에 바구니 고정핀(115a)를 삽입하면 바구니 프레임(115)이 메인 프레임과 수직이 되도록 눕혀지면 바구니 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바구니 프레임 받침바(113c)에 의해 지지되며 바구니 사용모드가 되고, 안내레일 상단의 고정핀 삽입구에 바구니 고정핀(115a)를 삽입하면 바구니 프레임(143)이 메인 프레임과 수평이 되도록 직립되면서 바구니 접이식 모드가 된다.
여기서 바구니 프레임(115)은 바구니 고정핀(115a)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핸들 고정 클립(113)의 고정핀 삽입 장홀(113a)의 외곽을 따라 형성된 안내레일의 각도와 일치시키고 바구니 프레임(115)을 잡아당기거나 밀어넣으면 바구니 고정핀(115a)이 안내레일(113b)을 따라 이동되어 탈착 및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 캐노피 고정 폴대(114)는 상단 끝단과 하단 끝단에 동일한 형태의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 봉 형상으로 메인 프레임(110)의 상단방향으로 삽입되고,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11)의 상단에 형성된 폴대 삽입 고정홀(111a)의 나사골에 하단부에 형성된 폴대 돌출 고정 나사산(11b)과, 상단부에 형성된 폴대 삽입 고정 나사산(114a)이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캐노피 설치시에는 하단 끝단의 폴대 돌출 고정 나사산(114b)이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11)의 상단 내부면의 폴대 삽입 고정홀(111a)에 고정되도록 하고, 캐노피 분리 및 접이식 모드에는 상단 끝단의 폴대 삽입 고정 나사산(114a)이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11)의 상단 내부면의 폴대 삽입 고정홀(111a)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캐노피 고정 폴대(114)가 직립되는 캐노피 설치상태뿐만 아니라 메인 프레임(110)의 상단방향 내부로 삽입되는 캐노피 분리 및 접이식 모드에서도 캐노피 고정 폴대(114)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유아용 웨건의 이동시 캐노피 고정 폴대가 돌출되어 발생하는 휘어짐과 같은 손상이나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받침 프레임(1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받침 프레임(120)은 하단면을 이루며 전·후방향에 수평으로 누워진 2개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하단을 지지하는 줄무늬 결합형상 프레임으로, 전·후방향에 형성된 2개의 프레임 끝단이 대칭으로 축 결합되고, 축 결합된 하단 중심축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대칭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받침 전면 프레임(121), 받침 후면 프레임(122), 받침 중심축(12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받침 전면 프레임(121)은 받침 프레임의 전면을 이루며 수평으로 누워진 줄무늬 결합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방의 좌우측 끝단이 받침 중심축에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받침 후면 프레임(122)은 받침 프레임의 후면을 이루며 수평으로 누워진 줄무늬 결합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의 좌우측 끝단이 받침 중심축에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받침 중심축(123)은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하단 중앙의 좌우측에 대칭으로 위치하고, 전후방향으로 받침 전면 프레임과 받침 후면 프레임을 축 형태로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유아용 웨건의 사용모드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의 프레임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시트부(400)가 펼쳐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접이식 모드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의 프레임이 'V'자 형태의 대칭으로 접어지며 부피를 감소시킨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측면 프레임(1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측면 프레임(130)은 메인 프레임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되고,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대칭으로 형성된 삼각형상 프레임(131)과 역삼각형상 프레임(132)이 서로 양측 중앙에 삽입된 회전핀을 중심으로 교차되는 형상으로 결합된다.
이때, 대칭으로 형성된 삼각형상 프레임과 역삼각형상 프레임은 동일한 크기로 사잇각이 동일하며 양측 중앙에 삽입된 회전핀을 중심으로 회전시 사잇각이 동일하게 가변되며 움직인다.
이는 받침 프레임(120)의 중심축이 상승할 경우 회전핀에 의해 회전되며 사잇각이 작아지고 전후방향의 간격이 줄어들며 유아용 웨건이 접혀지고, 중심축이 하강할 경우 회전핀에 의해 회전되며 사잇각이 커지고 전후방향의 간격이 넓어지며 유아용 웨건이 펼쳐진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핸들프레임(1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전면 핸들프레임(140)은 메인 프레임의 전면 좌·우측에 직립되고 핸들고정 클립(113)을 통해 정면 메인 프레임(110a)에 결합되고, 좌·우측 상단에 형성된 회전축의 측면에 회전제어 버튼이 결합되어 전면 각도조절 핸들(142)의 단계별 각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면 각도조절 핸들(142)은 버튼조절식 회전으로 단계별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좌·우측의 전면핸들 회전버튼을 누른 상태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핸들각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전면 핸들은 전면 지지프레임과 수평을 이루며 접어진 상태인 0°에서부터 반대방향으로 직립되는 180°의 각도까지 10단계에 걸쳐 회전이 가능하다.
이는 1단계 회전시 18°의 각도로 회전되며 사용자의 신장과 팔의 높이, 오르막길과 내리막길, 전방에서 끌어서 이동하거나 밀어서 이동하는 등 편의에 따라 각도를 가변하여 팔에 작용하는 힘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접이식 모드에서는 전면 핸들과 전면 지지프레임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면 핸들프레임을 밀어서 이동시 전면 핸들의 각도를 수직으로 설정할 경우 보호자의 발과 유아용 웨건의 간격이 최대로 넓혀져 보호자의 걸음걸이에 따라 앞으로 나오는 발이 유아용 웨건에 부딪히는 킥백 현상을 방지하여 보호자의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고, 유아의 승차감 또한 상승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후면 핸들프레임(1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후면 핸들프레임(150)은 메인 프레임의 후면 좌·우측에 직립되고 핸들고정 클립(113)을 통해 후면 메인 프레임(110b)에 결합되고, 좌·우측 상단에 형성된 회전축의 측면에 회전제어 버튼이 결합되어 후면 각도조절 핸들(152)의 단계별 각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후면 각도조절 핸들(152)은 버튼조절식 회전으로 단계별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좌·우측의 후면핸들 회전버튼을 누른 상태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핸들각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후면 핸들은 후면 지지프레임과 수평을 이루며 접어진 상태인 0°에서부터 반대방향으로 직립되는 180°의 각도까지 10단계에 걸쳐 회전이 가능하다.
이는 1단계 회전시 18°의 각도로 회전되며 사용자의 신장과 팔의 높이, 오르막길과 내리막길, 전방에서 끌어서 이동하거나 밀어서 이동하는 등 편의에 따라 각도를 가변하여 팔에 작용하는 힘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접이식 모드에서는 후면 핸들과 후면 지지프레임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후면 핸들프레임을 밀어서 이동시 후면 핸들의 각도를 수직으로 설정할 경우 보호자의 발과 유아용 웨건의 간격이 최대로 넓혀져 보호자의 걸음걸이에 따라 앞으로 나오는 발이 유아용 웨건에 부딪히는 킥백 현상을 방지하여 보호자의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고, 유아의 승차감 또한 상승한다.
본 발명의 후면 핸들프레임(150)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케이블로 연결되어 당김 및 풀림 운동을 통해 브레이크 패드의 간격을 조절하여 메인 바퀴에 마찰력을 전달하는 손잡이 브레이크(153)가 형성된다.
여기서 손잡이 브레이크(15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를 당기면 브레이크 케이블과 연결된 대칭으로 이루어진 1쌍의 브레이크 패드가 좌·우방향으로 이격간격이 커지며 마찰제어 홈(215b)에 밀착되며 마찰력을 통해 메인 바퀴의 회전력을 억제하여 정지되도록 하고, 당기던 손잡이를 풀면 손잡이가 최초의 위치로 회전되며 복원되어 브레이크 케이블과 연결된 대칭으로 이루어진 1쌍의 브레이크 패드가 좌·우방향으로 이격간격이 좁아지며 둘레에 밀착되어 있던 마찰제어 홈(215b)이 이격되어 메인 바퀴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보호자가 손으로 유아용 웨건의 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어 지면에서 빠른 속도로 이동하거나 경사면을 통과할 때 손잡이 브레이크를 잡아당겨 서서히 속력을 줄여 웨건에 탑승한 유아의 승차감을 높이고, 갑작스러운 정지동작시 풋 브레이크에 비해 신속하게 대응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륜부(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차륜부(200)는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전후방향 하단에 체결되어 유아용 웨건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구동부(210), 전륜부(220), 후륜부(23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구동부(2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메인 구동부(210)는 받침 프레임의 중앙 하단에 결합되고, 지면에 맞닿으며 유아용 웨건의 중앙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유아용 웨건의 이동 및 정지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단 충격 흡수 프레임(211), 하단 충격 흡수 프레임(212), 메인바퀴 고정 프레임(213), 브레이크 패드부(214), 메인 바퀴(215)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 충격 흡수 프레임(211)은 받침 프레임의 좌·우측에 형성된 받침 중심축 하단에 대칭으로 결합되고 하단면 내부방향이 비어있는 중공홈 형태의 타원형 프레임으로, 좌·우측면의 전방과 후방에 결합핀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결합핀 이동홈(211a)이 형성되고, 하단면 내측에 탄성 스프링(211b)이 삽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단 충격 흡수 프레임(212)은 상단 충격 흡수 프레임(211)의 내부면 둘레와 동일한 크기의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된 타원형 프레임으로 충격 흡수 프레임(211) 하단방향의 내측홈에 삽입되어 내측에 삽입된 탄성 스프링(211b)의 하단을 지지하며 고정되고, 좌·우측면의 전방과 후방에 결합핀 이동홈(211a)에 삽입되는 결합핀(212a)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핀(212a)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단 충격 흡수 프레임(211)과 하단 충격 흡수 프레임(212)이 끝단이 최대로 이격되어 결합핀 이동홈의 하단에 위치하고, 외부 충격이나 웨건 내부 무게에 비례하여 내부에 삽입된 탄성 스프링의 높이가 줄어들며 상승한다.
상기 메인바퀴 고정 프레임(213)은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된 충격 흡수 프레임(211)의 내측홈(211c)에 삽입되어 좌·우방향의 균형을 맞춰주며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214)는 원판 형상의 외측면에 브레이크 손잡이와 브레이크 케이블(214c)로 연결된 반원형 띠 형상의 브레이크 패드(214a)가 대칭으로 결합되고, 중앙에 메인 바퀴를 결합시키는 메인바퀴 결합 축(214b)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부(214)는 하단 충격 흡수 프레임의 하단 외측 방향에 결합되어 브레이크 손잡이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의 간격을 조절하여 메인 바퀴에 마찰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손잡이 브레이크(153)를 잡아당기면 브레이크 케이블에 의해 대칭으로 형성된 반원형 띠 형상의 브레이크 패드의 간격이 벌어지며 둘레면이 메인 바퀴의 마찰제어 홈(215b)에 밀착되며 마찰력이 발생하여 메인 바퀴의 회전을 제어하고, 손잡이 브레이크(153)를 원위치시키면 대칭으로 형성된 반원형 띠 형상의 브레이크 패드의 간격이 좁혀지며 둘레면이 메인 바퀴의 마찰제어 홈(215b)에서 떨어지며 메인 바퀴가 원활하여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메인 바퀴(215)는 브레이크 패드부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고 메인바퀴 결합 축에 내측 홀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지면과 항상 맞닿으며 유아용 웨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바퀴 탈착 버튼(215a), 마찰제어 홈(215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바퀴 탈착 버튼(215a)은 외측면 회전축의 중앙에 형성되어 내측 방향으로 삽입 및 돌출되는 딸깍 걸림식 버튼의 형태로 메인바퀴 회전축의 걸림턱에 탈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접이식 모드에서 돌출부위가 크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메인 바퀴(215)를 브레이크 패드부(214)에서 분리시킬 수 있어 부피를 줄여 유아용 웨건(1)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마찰제어 홈(215b)은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원형 홈으로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면이 브레이크 패드와 밀착되거나 이격되며 메인 바퀴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전륜부(2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전륜부(220)는 정면 메인 프레임의 하단 좌·우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유아용 웨건의 정면 하단을 지지하고, 유아용 웨건이 지면에 수평으로 위치시 메인 구동부의 1~2cm 상단에 위치하고, 수평방향으로 360°회전되는 것으로, 보호자의 제어에 따라 유아용 웨건의 방향을 전환하고 메인 구동부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륜 충격 흡수 프레임(221), 전륜 연결 프레임(222), 전륜 커버 프레임(223), 전륜 바퀴(224)로 구성된다.
상기 전륜 충격 흡수 프레임(221)은 전륜부의 상단을 이루고, 상단에 원기둥 형태의 전륜 축(221b)이 직립되고 하단 3축 지지 고정구(112)의 하단에 축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360°회전되고, 좌·우측면 일측에 대칭으로 이루어진 전륜 연결 프레임이 축 결합되고, 하단면 내측에 전륜 탄성 스프링(221a)이 삽입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원활한 방향전환을 유도하고, 방향전환시 필요한 힘을 줄여주어 보호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주며, 평평하지 못한 도로나 방지턱 등에 의해 유아용 웨건의 전방에 충격이 가해지면 하단면 내측에 삽입된 전륜 탄성 스프링(221a)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반동되며 충격을 흡수하여 유아의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전륜축(221b)은 상단 일측 둘레를 따라 전륜 축 홈(221b-1)이 형성되고, 하단 3축 지지 고정구의 하단에 전륜축이 삽입되었을 때, 전륜 축 홈(221b-1)에 구동부 탈착핀(112a-1)이 삽입되어 하단 3축 지지 고정구에 전륜부를 결합시킨다.
이와 반대로 전륜 축 홈(221b-1)에서 구동부 탈착핀(112a-1)을 분리하면 전륜부의 탈착이 가능하여, 전륜부의 탈부착을 통해 부피를 줄여 웨건의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222)은 전륜 충격 흡수 프레임(221)과 전륜 커버 프레임(223)의 좌·우측면 일측에 각각 축 결합되어 연결시켜주고, 전륜 탄성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며 전륜 충격 흡수 프레임(22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륜 커버 프레임(223)은 전륜 바퀴(224)의 상단 일측에 좌·우방향의 대칭형태로 이격되어 전륜 연결 프레임(222)과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륜 바퀴(224)는 좌·우 회전축이 전륜 연결 프레임의 하단축과 결합되어 회전되며 유아용 웨건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유아용 웨건을 지면에 수평이 되도록 위치시켰을 때 메인 바퀴(215) 높이보다 1~2cm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후륜 바퀴와 대칭으로 형성되어 메인 바퀴(215)의 보조 바퀴 역할을 한다.
이는 보호자가 유아용 웨건을 전방에서 밀어거나 후방에서 당겨서 이동하는 역방향 이동시에는 메인 바퀴(215)를 기준으로 정면방향이 하강하며 메인 바퀴와 같이 지면과 맞닿으며 구동된다.
이와 반대로 보호자가 유아용 웨건을 전방에서 당기거나 후방에서 밀어서 이동하는 정방향 이동시에는 메인 바퀴(215)를 기준으로 정면방향이 시소형태로 2~4cm 높이로 상승하여 구동되지 않고,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도로나 경사면을 지나며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메인 바퀴와 후륜 바퀴가 탄성 스프링에 의해 하강할 경우 일시적으로 지면에 맞닿으며 충격을 완화시켜주고 이동을 보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륜부(230)는 후면 메인 프레임의 하단 좌·우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유아용 웨건의 후면 하단을 지지하고, 유아용 웨건이 지면에 수평으로 위치시 메인 구동부의 1~2cm 상단에 위치하고, 수평방향으로 360°회전되는 것으로, 보호자의 제어에 따라 유아용 웨건의 방향을 전환하고 메인 구동부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231), 후륜 연결 프레임(232), 후륜 커버 프레임(233), 후륜 바퀴(234)로 구성된다.
상기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231)은 후륜부의 상단을 이루고, 상단에 원기둥 형태의 후륜 축(231b)이 직립되고 하단 3축 지지 고정구(112)의 하단에 축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360°회전되고, 좌·우측면 일측에 대칭으로 이루어진 후륜 연결 프레임이 축 결합되고, 하단면 내측에 후륜 탄성 스프링(231a)이 삽입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원활한 방향전환을 유도하고, 방향전환시 필요한 힘을 줄여주어 보호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주며, 평평하지 못한 도로나 방지턱 등에 의해 유아용 웨건의 후방에 충격이 가해지면 하단면 내측에 삽입된 후륜 탄성 스프링(231a)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반동되며 충격을 흡수하여 유아의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후륜축(231b)은 상단 일측 둘레를 따라 후륜 축 홈(231b-1)이 형성되고, 하단 3축 지지 고정구의 하단에 후륜축이 삽입되었을 때, 후륜 축 홈(231b-1)에 구동부 탈착핀(112a-1)이 삽입되어 하단 3축 지지 고정구에 후륜부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반대로 후륜 축 홈(231b-1)에서 구동부 탈착핀(112a-1)을 분리하면 후륜부의 탈착이 가능하여, 후륜부의 탈부착을 통해 부피를 줄여 웨건의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232)은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231)과 후륜 커버 프레임(233)의 좌·우측면 일측에 각각 축 결합되어 연결시켜주고, 후륜 탄성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며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23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륜 커버 프레임(233)은 후륜 바퀴(234)의 상단 일측에 좌·우방향의 대칭형태로 이격되어 후륜 연결 프레임(232)과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륜 바퀴(234)는 좌·우 회전축이 후륜 연결 프레임의 하단축과 결합되어 회전되며 유아용 웨건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유아용 웨건을 지면에 수평이 되도록 위치시켰을 때 메인 바퀴(215) 높이보다 1~2cm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전륜 바퀴와 대칭으로 형성되어 메인 바퀴(215)의 보조 바퀴 역할을 한다.
이는 보호자가 유아용 웨건을 전방에서 당기거나 후방에서 밀어서 이동하는 역방향 이동시에는 메인 바퀴(215)를 기준으로 후면방향이 하강하며 메인 바퀴와 같이 지면과 맞닿으며 구동된다.
이와 반대로 보호자가 유아용 웨건을 전방에서 밀거나 후방에서 당겨서 이동하는 정방향 이동시에는 메인 바퀴(215)를 기준으로 후면방향이 시소형태로 2~4cm 높이로 상승하여 구동되지 않고,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도로나 경사면을 지나며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메인 바퀴와 전륜 바퀴가 탄성 스프링에 의해 하강할 경우 일시적으로 지면에 맞닿으며 충격을 완화시켜주고 이동을 보조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대칭으로 형성된 전륜바퀴와 후륜바퀴의 높이는 유아용 웨건의 축간 거리를 절반으로 줄여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하고, 이로 인해 유아의 승차감이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써, 유아용 웨건(1)이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되고, 메인 바퀴가 지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전륜바퀴와 후륜바퀴는 지면과 1~2cm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때, 대칭으로 형성된 전륜바퀴 및 후륜바퀴의 높이가 메인 바퀴의 높이보다 1cm 이하의 높이에 위치할 경우 메인 구동부, 전륜부, 후륜부가 탄성 스프링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며 높이차이가 상쇄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전륜부와 후륜부가 동시에 지면에 닿는 횟수가 증가하며 축간 거리가 절반으로 줄어듬에 따라 방향전환이 용이하고 보호자의 힘 손실을 줄이는 장점이 퇴색되고, 2cm 이상의 높이에 위치할 경우 메인 구동부를 기준으로 전륜부와 후륜부가 시소형태로 상승 및 하강되어 한쪽이 지면에 닿을 경우 반대쪽은 2배 높이인 4cm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여 탄성 스프링으로 충격을 완화하더라도 덜컹거림이 감지되어 유아의 승차감을 떨어뜨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부(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시트부(300)는 직사각 바구니 형상으로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내부 둘레와 하단에 스냅단추 및 버클, 벨크로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유아가 유아용 웨건에서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시트부의 두께는 5mm~10mm로 형성되고,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접이식 모드에 따라 접어지는 부분에 접힘 골이 형성되어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시트부의 내부면 정중앙에 접이식 고리가 형성된다.
이때 시트부의 두께를 5mm 미만으로 할 경우 시트부가 쿠션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워 이동중 흔들림과 충격이 유아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고, 10mm 이상으로 할 경우 접이식 본체 프레임이 원활하게 접히지 않고 유아용 웨건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부의 정면 내측 방향과 후면 내측 방향에는 5점 결합식 안전밸트가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유아의 양쪽 어깨, 허리, 양쪽 허벅지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5점 결합식 안전벨트는 상체를 모두 감싸주어 몸을 가누기 힘든 유아부터 어린이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유아 및 아동의 탑승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캐노피부(400)는 직사각형상의 측면을 이루고 지붕이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탈부착되는 것으로, 햇빛, 비, 바람 등의 날씨로부터 유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캐노피 프레임(410), 캐노피 시트(420)로 구성된다.
상기 캐노피 프레임(410)은 상단 중앙에 'X"자 형태의 중심축 프레임(411)이 수평으로 누워진 형태로 형성되고, 4방향으로 뻗어진 중심축 프레임에 각각 캐노피 지지봉(412)이 축 결합되고, 각 캐노피 지지봉의 끝단에 캐노피 고정 폴대의 상단과 고정될 수 있는 폴대 고정부(413)가 형성되고, 폴대 고정부의 하단에 수직으로 세워져 상단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캐노피 폴대(4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캐노피 지지봉(412)은 원형 봉 형상으로 상단이 중심축 프레임(411)의 각각의 끝단과 축 결합되고, 하단이 폴대 고정부의 상단 일측과 축 결합되어, 캐노피부 설치시 캐노피 시트(420)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폴대 고정부(413)는 캐노피 지지봉(412)의 하단과 캐노피 폴대(414)의 상단 사이에 축 결합되어 축 방향 회전시키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단 일측이 캐노피 지지봉(412)의 하단과 축 결합되고, 하단 일측이 캐노피 폴대(414)의 상단과 축 결합되며 캐노피 프레임(410)의 관절역할을 하며 설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캐노피 폴대(414)는 폴대 고정부(413)의 하단에 결합되어 직립되고, 상단 지지 프레임의 전후방향 좌·우측에 결합되어 캐노피 프레임(410)이 접이식 본체 프레임(100)의 상단에 직립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 프레임(41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부(400) 설치 상태에서는 중심축 프레임(411)을 기준으로 캐노피 지지봉(412)이 방사형상으로 펼쳐지며 캐노피 프레임(410) 상단의 형태를 유지시켜주고, 캐노피 지지봉의 끝단에 캐노피 지지봉이 직립된 폴대 고정부(413)가 결합되어 캐노피 프레임의 직립되고, 캐노피부(400)의 접이식 상태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 프레임(411)을 기준으로 캐노피 지지봉(412)이 하단방향으로 직립되고, 폴대 고정부가 눕혀진 형태를 유지하며 캐노피 폴대(414)가 상단방향으로 직립되며 캐노피 지지봉(412)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캐노피부(400)의 부피를 최소화시킨다.
상기 캐노피 시트(420)는 캐노피 프레임(410)의 상단에 얹혀져 고정됨으로써 유아용 웨건의 상단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된 4개의 캐노피 지지봉과 결합되는 내부면 일측에 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분리되어 보관되어 있는 메인바퀴의 축 삽입홈에 메인바퀴 결합축을 삽입하여 결합하고, 접이식 모드 상태의 유아용 웨건의 정면 메인 프레임과 후면 메인 프레임의 이격간격을 넓히며 펼친다.
이때, 메인 프레임의 내부 원통형 프레임이 하강하며 외부 원통형 프레임에 삽입되고, 접이식 모드 상태에서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받침 프레임이 수평으로 펼쳐지고, 측면 프레임의 삼각형상 프레임과 역삼각형상 프레임이 동일한 사잇각을 가지며 펼쳐진다.
다음으로, 전면 핸들 프레임과 후면 핸들 프레임의 좌·우 측면에 형성된 회전제어 버튼을 누른 상태로 핸들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여 보호자의 신장에 적합한 핸들각을 설정한 후 회전제어 버튼을 복원시켜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메인 프레임의 상단에 캐노피 고정 폴대를 설치하고, 캐노피를 끼움결합하여 설치한다.
다음으로, 5점 결합식 안전벨트로 유아의 양쪽 어깨, 허리, 양쪽 허벅지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다음으로, 유아용 웨건을 이동시켜 제어한다.
이때 보호자가 유아용 웨건을 전방에서 당기거나 후방에서 밀어서 이동하는 정방향 이동시에는 메인 바퀴를 기준으로 후면방향이 하강하며 메인 바퀴와 후륜 바퀴가 지면에 맞닿고 전륜 바퀴가 지면에서 떨어져 구동됨으로써 축간 거리가 절반으로 줄어들어 방향전환이 용이하고 보호자의 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반대로, 보호자가 유아용 웨건을 전방에서 밀거나 후방에서 당겨서 이동하는 역방향 이동시에는 메인 바퀴를 기준으로 정면방향이 하강하며 메인 바퀴와 전륜 바퀴가 지면에 맞닿고 후륜 바퀴가 지면에서 떨어져 구동됨으로써 축간 거리가 절반으로 줄어들어 방향전환이 용이하고 보호자의 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메인 구동부, 전륜부, 후륜부에 각각 탄성 스프링이 내장되어 충격을 완화시켜줌으로써 유아의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이때 경사면을 이동시 손잡이 브레이크의 당김 및 풀림을 통해 브레이크 패드를 마찰제어 홈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켜 속도를 줄이는 제어가 가능하고, 신속한 대응을 가능케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아용 웨건의 사용을 마친 후 유아를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키고, 캐노피를 분리 및 캐노피 고정 폴대를 메인 프레임에 삽입고정시키며, 시트부 중앙에 형성된 원터치 접이식 고리를 잡아당겨 웨건을 접어 접이식 형태로 변경시키고, 바퀴 탈착 버튼을 누른 후 좌·우측에 결합된 메인 바퀴를 분리시킨 후 보관한다.
100 : 접이식 본체 프레임 110 : 메인 프레임
120 : 받침 프레임 130 : 측면 프레임
140 : 전면 핸들프레임 150 : 후면 핸들프레임
151 : 손잡이 브레이크 200 : 차륜부
210 : 메인 구동부 211 : 상단 충격 흡수 프레임
212 :하단 충격 흡수 프레임 213 : 메인 바퀴 고정 프레임
214 : 브레이크 패드부 215 : 메인 바퀴
220 : 전륜부 230 : 후륜부
300 : 시트부 400 : 캐노피
120 : 받침 프레임 130 : 측면 프레임
140 : 전면 핸들프레임 150 : 후면 핸들프레임
151 : 손잡이 브레이크 200 : 차륜부
210 : 메인 구동부 211 : 상단 충격 흡수 프레임
212 :하단 충격 흡수 프레임 213 : 메인 바퀴 고정 프레임
214 : 브레이크 패드부 215 : 메인 바퀴
220 : 전륜부 230 : 후륜부
300 : 시트부 400 : 캐노피
Claims (6)
- 접이식 본체 프레임(100), 차륜부(200), 시트부(300), 캐노피부(400)로 구성되어 유아의 이동수단 역할을 하는 유아용 웨건에서,
상기 접이식 본체 프레임(100)은
전·후방향 끝단에 직립되어 세워진 'ㅁ'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접이식 본체 프레임을 지지하고, 직립된 좌·우측의 원통형 프레임이 실린더형태로 상승 및 하강하며 높이가 가변되는 정면 메인 프레임과 후면 메인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110)과,
하단면을 이루며 전·후방향에 수평으로 누워진 2개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하단을 지지하는 줄무늬 결합형상 프레임으로, 전·후방향에 형성된 2개의 프레임 끝단이 대칭으로 축 결합되고, 축 결합된 하단 중심축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대칭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받침 프레임(120)과,
메인 프레임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되고,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대칭으로 형성된 삼각형상 프레임(131)과 역삼각형상 프레임(132)이 서로 양측 중앙에 삽입된 회전핀을 중심으로 교차되는 형상으로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130)과,
메인 프레임의 전면 좌·우측에 직립되고 핸들고정 클립(113)을 통해 정면 메인 프레임(110a)에 결합되고, 좌·우측 상단에 형성된 회전축의 측면에 회전제어 버튼이 결합되어 전면 각도조절 핸들(142)의 단계별 각도를 제어하는 전면 핸들프레임(140)과,
메인 프레임의 후면 좌·우측에 직립되고 핸들고정 클립(113)을 통해 후면 메인 프레임(110b)에 결합되고, 좌·우측 상단에 형성된 회전축의 측면에 회전제어 버튼이 결합되어 후면 각도조절 핸들(152)의 단계별 각도를 제어하는 후면 핸들프레임(150)으로 구성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외측면에 탈착 핀 홈(112b-1)이 이루어진 커버 홈(112b)이 형성되고, 커버 홈(112b)의 끝단 일측에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전륜부의 전륜 축 홈(221a-2)에 삽입되는 구동축 탈착핀(112a-1)이 이루어진 구동부 탈착 커버(112a)가 형성되는 하단 3축 지지 고정구(112)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차륜부(200)는
받침 프레임의 중앙 하단에 결합되고, 지면에 맞닿으며 유아용 웨건의 중앙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메인 구동부(210)와,
정면 메인 프레임의 하단 좌·우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유아용 웨건의 정면 하단을 지지하고, 유아용 웨건이 지면에 수평으로 위치시 메인 구동부의 1~2cm 상단에 위치하고, 수평방향으로 360°회전되는 전륜부(220)와,
후면 메인 프레임의 하단 좌·우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유아용 웨건의 후면 하단을 지지하고, 유아용 웨건이 지면에 수평으로 위치시 메인 구동부의 1~2cm 상단에 위치하고, 수평방향으로 360°회전되는 후륜부(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제4항에 있어서, 메인 구동부(210)는
받침 프레임의 좌·우측에 형성된 받침 중심축 하단에 대칭으로 결합되고 하단면 내부방향이 비어있는 중공홈 형태의 타원형 프레임으로, 좌·우측면의 전방과 후방에 결합핀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결합핀 이동홈(211a)이 형성되고, 하단면 내측에 탄성 스프링(211b)이 삽입되어 형성되는 상단 충격 흡수 프레임(211)과,
타원형 프레임으로 충격 흡수 프레임(211) 하단방향의 내측홈에 삽입되어 내측에 삽입된 탄성 스프링(211b)의 하단을 지지하며 고정되고, 좌·우측면의 전방과 후방에 결합핀 이동홈(211a)에 삽입되는 결합핀(212a)이 형성되는 하단 충격 흡수 프레임(212)과,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된 충격 흡수 프레임(211)의 내측홈에 삽입되어 좌·우방향의 균형을 맞춰주며 지지하는 메인바퀴 고정 프레임(213)과,
원판 형상의 외측면에 브레이크 손잡이와 케이블 형태로 연결된 반원형 띠 형상의 브레이크 패드가 대칭으로 결합되고, 중앙에 메인 바퀴를 결합시키는 메인바퀴 결합 축이 돌출되어 형성된 브레이크 패드부(214)와,
브레이크 패드부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고 메인바퀴 결합 축에 내측 홀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지면과 항상 맞닿으며 유아용 웨건을 지지하는 메인 바퀴(215)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제5항에 있어서, 메인 바퀴(215)는
외측면 회전축의 중앙에 형성되어 내측 방향으로 삽입 및 돌출되는 딸깍 걸림식 버튼의 형태로 메인바퀴 회전축의 걸림턱에 탈결합시키는 바퀴 탈착 버튼(215a)과,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원형 홈으로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면이 브레이크 패드와 밀착되거나 이격되며 메인 바퀴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마찰제어 홈(215b)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7296A KR101619835B1 (ko) | 2015-11-10 | 2015-11-10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PCT/KR2016/005391 WO2017082500A1 (ko) | 2015-11-10 | 2016-05-20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7296A KR101619835B1 (ko) | 2015-11-10 | 2015-11-10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9835B1 true KR101619835B1 (ko) | 2016-05-11 |
Family
ID=56026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7296A KR101619835B1 (ko) | 2015-11-10 | 2015-11-10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9835B1 (ko) |
WO (1) | WO2017082500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505421A4 (en) * | 2016-09-01 | 2020-05-27 | Bran-New International | BABY TROLLEY WITH IMPROVED EASE OF USE |
USD894290S1 (en) | 2019-05-10 | 2020-08-25 | Qingdao Huatian Hand Truck, Co., Ltd. | Folding car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0491Y1 (ko) | 2000-05-30 | 2001-01-15 | 이규주 | 제동장치 유모차 |
US20100090444A1 (en) | 2008-10-10 | 2010-04-15 | Zhaosheng Chen | Folding wago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19183B2 (ja) * | 1997-05-07 | 2007-12-12 | ヤマト・インダストリー株式会社 | 運搬用台車及び昇降キャスター |
KR20120030621A (ko) * | 2010-09-20 | 2012-03-29 | 김현동 | 유모차 |
US8955855B2 (en) * | 2011-01-03 | 2015-02-17 | Radio Flyer Inc. | Infant wagon |
-
2015
- 2015-11-10 KR KR1020150157296A patent/KR10161983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5-20 WO PCT/KR2016/005391 patent/WO201708250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0491Y1 (ko) | 2000-05-30 | 2001-01-15 | 이규주 | 제동장치 유모차 |
US20100090444A1 (en) | 2008-10-10 | 2010-04-15 | Zhaosheng Chen | Folding wago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505421A4 (en) * | 2016-09-01 | 2020-05-27 | Bran-New International | BABY TROLLEY WITH IMPROVED EASE OF USE |
USD894290S1 (en) | 2019-05-10 | 2020-08-25 | Qingdao Huatian Hand Truck, Co., Ltd. | Folding car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082500A1 (ko) | 2017-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7544B1 (ko)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
KR101697545B1 (ko)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
KR101626778B1 (ko)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
KR101573235B1 (ko)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
KR101268358B1 (ko) | 뒤보기가 가능한 자전거 | |
KR101677214B1 (ko) | 유모차 | |
KR101619835B1 (ko)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
KR101951178B1 (ko) |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 | |
CN106114206A (zh) | 全地形越野电动滑板车 | |
KR20170049182A (ko)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
US7188849B2 (en) | Child transport vehicle and carrier adapted therefor | |
KR200459090Y1 (ko) | 유아용 삼륜 자전거 | |
CN214875319U (zh) | 可调节靠背的电动摩托车 | |
KR200459089Y1 (ko) | 유아용 삼륜 자전거 | |
CN102641058A (zh) | 儿童学步车 | |
CN106536321A (zh) | 可折叠童车 | |
CN208658436U (zh) | 一种婴儿学步车摇马装置 | |
CN103407482A (zh) | 一种折叠式婴儿车及方法 | |
KR20160084355A (ko) | 유아용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보조탑승구 | |
CN215193485U (zh) | 一种便携式减震的多功能折叠手推车 | |
JP2018000940A (ja) | 車椅子 | |
CN203332182U (zh) | 多功能两用母婴车 | |
CN105966448A (zh) | 一种减震保护罩儿童手推车 | |
CN210822589U (zh) | 电动车车架及电动车 | |
EP3697364B1 (en) | Person transportation aids and devi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