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172A -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3172A KR20160083172A KR1020140193025A KR20140193025A KR20160083172A KR 20160083172 A KR20160083172 A KR 20160083172A KR 1020140193025 A KR1020140193025 A KR 1020140193025A KR 20140193025 A KR20140193025 A KR 20140193025A KR 20160083172 A KR20160083172 A KR 201600831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n
- housing
- cover plate
- opening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송풍팬의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팬분리용 개구부;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팬분리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송풍팬의 청소 및 보수 작업시에 하우징의 내부에서 송풍팬의 분리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개시되는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팬분리용 개구부;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팬분리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송풍팬의 청소 및 보수 작업시에 하우징의 내부에서 송풍팬의 분리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팬의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송풍팬 및 공기정화필터가 내장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정화필터는 장시간 사용시 재생 또는 교체가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하우징의 전면에 공기정화필터를 분리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구비하고, 개구부를 덮는 전면커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전면커버를 하우징에서 분리하여 공기정화필터를 하우징의 외부로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공기청정기는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 공기중의 먼지가 송풍팬에 붙거나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송풍팬에 먼지가 쌓이게 된다.
따라서, 송풍팬에 먼지가 쌓이는 경우에 송풍팬을 하우징에서 분리하여 청소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송풍팬을 분리하기 위해서 전면커버를 분리한 후, 공기정화필터를 포함한 여러 개의 부품을 분리하고 하우징의 후단측에 설치된 송풍팬을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송풍팬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제품 본체에서 송풍팬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팬분리용 개구부;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팬분리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팬분리용 개구부는 상기 송풍팬을 외부에 직접 노출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팬분리용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플레이트;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회전이 가능한 회전가능상태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회전이 제한되는 회전불가상태를 구성하는 잠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축 체결부;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축 체결부에 회전샤프트가 결합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개폐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구비되며, 걸림홈이 형성된 록킹프레임;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왕복 이동하여 상기 걸림홈에 삽입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록킹블럭;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록킹블럭을 왕복 이동시키는 록킹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송풍팬의 작동이 중지된 경우에 상기 회전가능상태를 구성하고, 상기 송풍팬이 작동되는 경우에 상기 회전불가상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송풍팬의 청소 및 보수 작업시에 하우징의 내부에서 송풍팬의 분리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커버부가 열리고 송풍팬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커버부를 나타내는 내부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잠금유닛의 잠금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커버부가 열리고 송풍팬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커버부를 나타내는 내부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잠금유닛의 잠금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하우징(110), 송풍팬(120), 팬분리용 개구부(130) 및 커버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후술할 송풍팬(12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공기토출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하우징(110)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송풍팬(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공기가 공기흡입부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흡입된 후 공기토출부(112)를 통해 다시 외부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풍팬(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형 송풍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송풍팬(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 팬모터(125)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팬분리용 개구부(130)는 송풍팬(120)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우징(1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팬분리용 개구부(130)는 사용자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송풍팬(120)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에 마련되는 개구이다.
일 실시예에서, 팬분리용 개구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120)을 외부에 직접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팬분리용 개구부(130)는 송풍팬(120)이 팬모터(125)에서 축방향으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우징(11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40)는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팬분리용 개구부(130)를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부(140)는 커버플레이트(142), 구동유닛(145) 및 잠금유닛(14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42)는 팬분리용 개구부(130)를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팬분리용 개구부(130)의 개구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플레이트(142)는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동작을 통해 팬분리용 개구부(13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커버플레이트(1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고정적으로 구비되는 회전축(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155)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결합부(15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플레이트(142)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고, 커버플레이트(142)의 타측에는 후술할 구동유닛(14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플레이트(142)는 팬분리용 개구부(130)를 덮는 경우에 외측면이 하우징(110)의 외관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커버플레이트(142)는 팬분리용 개구부(130)를 덮는 경우에 커버플레이트(142)와 하우징(110) 사이의 간격으로 공기가 유통되지 않도록 팬분리용 개구부(130)를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커버플레이트(142)의 재질, 밀폐구조, 형상 및 회전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유닛(145)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커버플레이트(14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구동유닛(145)은 축 체결부(145a) 및 개폐모터(14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 체결부(145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플레이트(142)의 내측면에 돌출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축 체결부(145a)는 커버플레이트(142)의 힌지결합부(155)에 대칭되는 위치 즉, 상기 회전축(150)의 연장선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모터(145b)는 상기 축 체결부(145a)에 회전샤프트(145c)를 결합하여 작동 신호에 따라 회전샤프트(145c)를 회전시켜 커버플레이트(14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잠금유닛(147)은 커버플레이트(142)의 회전이 가능한 회전가능상태 및 커버플레이트(142)의 회전이 제한되는 회전불가상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잠금유닛(147)은 록킹프레임(147a), 록킹블럭(147b) 및 록킹모터(147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프레임(147a)은 커버플레이트(142)에 구비되며, 후술할 록킹블럭(147b)의 몸체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147d)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록킹블럭(147b)은 하우징(110)에 구비되며, 상기 록킹프레임(147a)의 걸림홈(147d)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걸림홈(147d)에 삽입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모터(147c)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구비되며, 록킹블럭(147b)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록킹블럭(147b)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147e)가 구비될 수 있으며, 록킹모터(147c)는 마찰부(147e)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록킹블럭(147b)을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회전체(147f)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부(147e)는 랙기어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회전체(147f)는 록킹모터(147c)의 축에 결합되고 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록킹블럭(147b)은 하우징(110)의 내측에 돌출형태로 구비되는 지지바(147g)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바(147g)는 록킹블럭(147b)에 형성되는 장공(147h)에 삽입되어 록킹블럭(147b)을 하우징(110)의 내측에 체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공(147h)은 록킹블럭(147b)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유닛(147)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플레이트(142)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잠금유닛(147)은 송풍팬(120)이 작동되는 경우에 커버플레이트(142)의 회전이 불가한 회전불가상태를 구성하고, 송풍팬(120)의 작동이 중지된 경우에 커버플레이트(142)의 회전이 가능한 회전가능상태를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잠금유닛(147)은 송풍팬(120)이 작동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록킹모터(147c)에 명령을 하여도 록킹모터(147c)가 작동되지 않아 록킹블럭(147b)이 록킹프레임(147a)의 걸림홈(147d)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잠금유닛(147)은 송풍팬(120)의 작동이 중지된 경우에 사용자가 록킹모터(147c)에 명령을 하면 록킹모터(147c)가 작동되어 록킹블럭(147b)이 록킹프레임(147a)의 걸림홈(147d)에서 탈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커버부(140)를 열어서 송풍팬(120)을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송풍팬(120)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커버부(140)가 열리지 않고, 송풍팬(120)의 작동이 중지된 경우에는 커버부(140)가 열릴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사용상 안전이 도모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공기청정기
110: 하우징
112: 공기토출부 120: 송풍팬
125: 팬모터 130: 팬분리용 개구부
140: 커버부 142: 커버플레이트
145: 구동유닛 145a: 축 체결부
145b: 개폐모터 145c: 회전샤프트
147: 잠금유닛 147a: 록킹프레임
147b: 록킹블럭 147c: 록킹모터
147d: 걸림홈 147e: 마찰부
147f: 회전체 147g: 지지바
147h: 장공 150: 회전축
155: 힌지결합부
112: 공기토출부 120: 송풍팬
125: 팬모터 130: 팬분리용 개구부
140: 커버부 142: 커버플레이트
145: 구동유닛 145a: 축 체결부
145b: 개폐모터 145c: 회전샤프트
147: 잠금유닛 147a: 록킹프레임
147b: 록킹블럭 147c: 록킹모터
147d: 걸림홈 147e: 마찰부
147f: 회전체 147g: 지지바
147h: 장공 150: 회전축
155: 힌지결합부
Claims (6)
-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팬분리용 개구부;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팬분리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는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분리용 개구부는 상기 송풍팬을 외부에 직접 노출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팬분리용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플레이트;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회전이 가능한 회전가능상태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회전이 제한되는 회전불가상태를 구성하는 잠금유닛;
을 포함하는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축 체결부;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축 체결부에 회전샤프트가 결합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개폐모터;
를 포함하는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구비되며, 걸림홈이 형성된 록킹프레임;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왕복 이동하여 상기 걸림홈에 삽입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록킹블럭;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록킹블럭을 왕복 이동시키는 록킹모터;
를 포함하는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송풍팬의 작동이 중지된 경우에 상기 회전가능상태를 구성하고, 상기 송풍팬이 작동되는 경우에 상기 회전불가상태를 구성하는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3025A KR102332234B1 (ko) | 2014-12-30 | 2014-12-30 |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3025A KR102332234B1 (ko) | 2014-12-30 | 2014-12-30 |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3172A true KR20160083172A (ko) | 2016-07-12 |
KR102332234B1 KR102332234B1 (ko) | 2021-11-30 |
Family
ID=56504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3025A KR102332234B1 (ko) | 2014-12-30 | 2014-12-30 |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223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797449A (zh) * | 2020-12-19 | 2021-05-14 | 绍兴市威可多电器有限公司 | 一种具有侧吸烟口顶吸式油烟机 |
KR20220006862A (ko) | 2020-07-09 | 2022-01-18 | 코웨이 주식회사 | 공기청정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74825A (ja) * | 1996-12-18 | 1998-06-30 | Tennex:Kk | 空気清浄器 |
JP2003343886A (ja) * | 2002-05-23 | 2003-12-03 | Zojirushi Corp | 空気清浄機 |
KR20060131139A (ko) * | 2005-06-15 | 2006-12-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청정기 |
JP2007307508A (ja) * | 2006-05-19 | 2007-11-29 | Zojirushi Corp | 空気清浄機 |
-
2014
- 2014-12-30 KR KR1020140193025A patent/KR1023322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74825A (ja) * | 1996-12-18 | 1998-06-30 | Tennex:Kk | 空気清浄器 |
JP2003343886A (ja) * | 2002-05-23 | 2003-12-03 | Zojirushi Corp | 空気清浄機 |
KR20060131139A (ko) * | 2005-06-15 | 2006-12-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청정기 |
JP2007307508A (ja) * | 2006-05-19 | 2007-11-29 | Zojirushi Corp | 空気清浄機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6862A (ko) | 2020-07-09 | 2022-01-18 | 코웨이 주식회사 | 공기청정기 |
CN112797449A (zh) * | 2020-12-19 | 2021-05-14 | 绍兴市威可多电器有限公司 | 一种具有侧吸烟口顶吸式油烟机 |
CN112797449B (zh) * | 2020-12-19 | 2023-09-12 | 绍兴市威可多电器有限公司 | 一种具有侧吸烟口顶吸式油烟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2234B1 (ko) | 2021-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73165B1 (ko) | 필터 청소 장치 | |
KR102161872B1 (ko) | 필터 청소 부재를 갖는 봉투 없는 진공 청소기 | |
KR101524170B1 (ko) | 먼지털이장치가 장착된 산업진공청소기 | |
KR101622713B1 (ko) | 로봇 청소기 | |
RU2008148166A (ru) | Сверли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с пылесборником | |
EP3348349B1 (en) | Dust collection box | |
JP2003000497A (ja) | 掃除機 | |
SE0600668L (sv) | Handhållen dammsugare | |
US20220338690A1 (en) | Dust Box, Dust Box Assembly and Cleaning Device | |
JP2009050735A (ja) | 電気掃除機 | |
KR20160065683A (ko) | 로봇 청소기 | |
KR20150125223A (ko) | 청소기 | |
KR20160083172A (ko) |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 | |
CN111491710A (zh) | 集尘器 | |
KR20200000159U (ko) | 정화 기능을 구비한 기류팬 | |
JP2016205003A (ja) | 舗装材切断装置における切断ダスト回収方法並びに装置並びにこの装置を具えた舗装材切断装置 | |
JP2005238417A (ja) | ハンドグラインダー | |
KR101158576B1 (ko) | 공기청정기 | |
KR20160142974A (ko) | 공기청정기 | |
KR101076957B1 (ko) | 공기청정기 | |
EP1426004A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JP2008111583A (ja) | フィルタ清掃装置及び空気調和機 | |
KR20200041131A (ko) | 선풍기 겸용 공기청정기 | |
KR102413150B1 (ko) | 공기청정기 | |
JP6346871B2 (ja) | 舗装材切断装置における切断ダスト捕集装置 並びにその舗装材切断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