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944A - 다면 상영 환경에서 메인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와 호환하여 보조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통합재생장치 및 통합재생방법 - Google Patents

다면 상영 환경에서 메인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와 호환하여 보조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통합재생장치 및 통합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944A
KR20160082944A KR1020160059814A KR20160059814A KR20160082944A KR 20160082944 A KR20160082944 A KR 20160082944A KR 1020160059814 A KR1020160059814 A KR 1020160059814A KR 20160059814 A KR20160059814 A KR 20160059814A KR 20160082944 A KR20160082944 A KR 20160082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main
contents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지형
김수진
박인혜
이단비
강수련
Original Assignee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9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2944A/ko
Publication of KR20160082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투사면을 구비한 다면 상영관에서의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영관련장치들로부터 메인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고 외부서버로부터는 상기 메인 컨텐츠의 편성정보를 획득한 후 위 컨텐츠 정보와 편성정보를 매핑하여 하나의 타임라인을 생성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생성된 타임라인은 복수의 투사면 중 보조 투사면에서 재생될 보조 컨텐츠의 재생스케줄을 정하는 데 활용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 본 발명은 다면 상영 환경에서 메인 컨텐츠와 보조 컨텐츠를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재생시키는 통합재생장치 및 통합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면 상영 환경에서 메인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와 호환하여 보조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통합재생장치 및 통합재생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SUB-CONTENT ACCORDING TO CONTENT INFORMATION OF MAIN-CONTENT WITHIN A MULTI-PROJECTION THEATER}
본 발명은 복수의 투사면을 구비한 다면 상영관에서의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영관련장치들로부터 메인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고 외부서버로부터는 상기 메인 컨텐츠의 편성정보를 획득한 후 위 컨텐츠 정보와 편성정보를 매핑하여 하나의 타임라인을 생성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생성된 타임라인은 복수의 투사면 중 보조 투사면에서 재생될 보조 컨텐츠의 재생스케줄을 정하는 데 활용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 본 발명은 다면 상영 환경에서 메인 컨텐츠와 보조 컨텐츠를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재생시키는 통합재생장치 및 통합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화 컨텐츠 시장의 성장과 맞물려 최근에는 종래 상영관 내 하나의 스크린에 의존하여 컨텐츠를 상영하던 것과 달리 복수의 투사면을 구비시켜 보다 몰입성이 좋은 상영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어 왔으며, 그 결과 전면의 투사면 외에 투사면의 양 측면으로 보조 투사면이 더 구비된 다면(多面) 상영관이 상용화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한편, 현재까지 제작되고 있는 영화 컨텐츠들은 대부분이 단일 스크린에서 재생될 수 있는 형태이며, 이에 따라 복수의 투사면을 갖춘 상영관들의 경우 메인 스크린 외 보조 스크린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컨텐츠 제작사에서 영화 컨텐츠를 일응 완성하여 배급사 등을 통해 각 상영관으로 제공이 완료된 경우, 상영관을 운영하는 운영자로서는 컨텐츠 자체에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없으며, 원본 그 자체로 단일 스크린에 재생을 시킬 수 밖에 없어 보조 스크린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된다.
다른 한편, 컨텐츠 제작사와 배급사, 상영관운영 서비스사 등은 컨텐츠 유출을 예방하기 위한 복수의 보안사항을 계약사항에 포함시키고 있는바, 제공받은 영화 컨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상영관은 DCP(Digital Cinema Package)를 컨텐츠재생서버(또는 시네마 서버)에 삽입(ingest)시켜 재생하여야 하며, 재생시에는 반드시 KDM(Key Delivery Message)를 이용한 인증을 하여야 하는 등 엄중한 보안 솔루션을 요구하고 있어, 컨텐츠 자체의 메타정보 또한 용이하게 획득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 때문에, 단일 스크린 용으로 제작된 컨텐츠의 경우 메타정보, 그 중에서도 특히 컨텐츠 시작시각, 종료시각과 같은 편성정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가 없으며, 결과적으로 해당 컨텐츠의 타임라인을 알 수가 없는바, 상기 컨텐츠의 진행에 따라 보조 컨텐츠를 유기적으로 연동 재생할 수가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메인 컨텐츠의 메타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없음으로 인해 보조 컨텐츠를 유기적으로 연동시켜 재생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앞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13-0132886 (2013.12.05.)
본 발명은 단일 스크린에서 메인 컨텐츠 재생시 보조 투사면을 통해 상기 메인 컨텐츠와 연계되는 보조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영관 내부에 구비된 상영관련장치들, 예를 들어 프로젝터, 컨텐츠 재생서버, 음향장치 등으로부터 메인 컨텐츠의 제1데이터를 수집하고, 외부서버들, 예를 들어 웹 서버로부터는 상기 메인 컨텐츠와 관련된 제2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상기 메인 컨텐츠의 타임라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메인 컨텐츠의 타임라인이 명확하게 정의된 이후에는 상기 타임라인 상에 보조 컨텐츠가 연동하여 재생될 수 있도록 보조 컨텐츠의 재생스케줄을 설정함으로써, 본래 메인 컨텐츠와 보조 컨텐츠가 통합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컨텐츠 통합재생방법은 (a) 복수의 상영관련장치들로부터 수집한 메인 컨텐츠의 신호를 기초로 제1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메인 컨텐츠 관련 제2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c)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메인 컨텐츠의 타임라인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타임라인 상에 보조 컨텐츠의 재생스케줄을 설정하는 단계; 및 (e) 설정된 재생스케줄에 따라 상기 보조 컨텐츠를 보조 투사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통합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영관련장치들은 프로젝터, 컨텐츠 재생서버 또는 음향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통합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텐츠의 제1데이터는 총 상영시간 및 현재 재생시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통합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데이터는 상기 메인 컨텐츠의 편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통합재생방법에 있어서, 보조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통합재생방법에 있어서, (a) 단계는, (a-1) 상기 복수의 상영관련장치들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a-2) 아날로그 신호를 컨텐츠 통합재생장치가 처리 가능한 디지털 형식의 제1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컨텐츠 통합재생장치는, 다면 상영관에 있어서, 상영관련장치로부터 메인 컨텐츠의 신호를 수집하여 이로부터 제1데이터를 획득하고, 외부서버로부터 메인 컨텐츠의 편성정보가 포함된 제2데이터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메인 컨텐츠의 타임라인을 생성하고, 상기 타임라인에 보조 컨텐츠의 재생스케줄을 설정하는 재생스케줄 연산부; 보조 컨텐츠가 저장된 컨텐츠DB; 및 상기 정보수집부, 재생스케줄 연산부 및 컨텐츠DB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 때 상기 컨텐츠 통합재생장치는 상영관련장치로부터 수집한 신호를 재생스케줄 연산부에서 처리 가능한 제1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컨텐츠 재생시 상기 메인 컨텐츠와 연계하여 보조 컨텐츠를 정확한 타임라인에 따라 통합하여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컨텐츠와 연동되는 보조 컨텐츠를 임의로 생성할 수 있어 상영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로 하여금 관람객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 스크린용으로만 제작된 메인 컨텐츠를 재생할 시에도 보조 투사면의 활용이 가능하여 관객에게 보다 풍부한 시각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통합재생방법을 순서를 흐름에 따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통합재생장치의 세부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은 각각 수집된 제1데이터, 제2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된 타임라인의 일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면 상영관 내에서의 실시예를 메인 컨텐츠의 진행 정도에 따라 구별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제가 되는 다면 상영관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컨텐츠 통합재생장치(200)란 바람직하게는 상영관 서비스 운영자가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통합재생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각 단계별 순서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전제가 되는 다면 상영관 시스템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을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제가 되는 다면 상영관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메인 컨텐츠, 즉 영화의 재생, 투사, 음향출력 등 메인 컨텐츠의 상영 전반에 관여하는 상영관련장치(100)을 구비한다. 또한, 다면 상영관 시스템은 상영관 전면의 메인 스크린(400) 이외에 메인 스크린(400)의 좌우에 보조 투사면(500)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보조 투사면(500)은 메인 스크린(400)과 독립된 별개 스크린으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영관 건물 내벽을 투사면으로 활용한다. 한편, 보조 투사면(500)은 상영관 건물의 내벽뿐 아니라 천장, 바닥면을 활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제가 되는 다면 상영관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전면의 메인 스크린(400), 양 측면의 보조 투사면(500)이 구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제가 되는 다면 상영관 시스템은 상영관 외부의 서버와도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외부서버(300)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통합재생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영관 외부의 다양한 웹서버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메인 컨텐츠가 재생되는 전면 스크린, 그리고 보조 컨텐츠가 재생되는 측면의 보조 투사면(500)을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개략적으로 언급한 다면 상영관 시스템을 전제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통합재생장치(200) 및 통합재생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통합재생방법을 순서에 따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컨텐츠 통합재생장치(200)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따르면, 컨텐츠 통합재생방법은 우선적으로 현재 상영 중인 메인 컨텐츠에 대한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100 내지 S120)를 포함한다. 이 때 위 단계는 컨텐츠 통합재생장치(200) 내 정보수집부(210)를 통해 수행된다.
제1데이터란 현재 상영 중인 메인 컨텐츠, 즉 영화에 대한 기본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1데이터는 상영관 내 상영관련장치(100)들, 예를 들어 컨텐츠 재생 프로젝터, 컨텐츠 재생서버, 음향장치 들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한편, 이들 상영관련장치(100)들로부터 수집되는 제1데이터는 원시적으로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가 아닌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인데, 이는 메인 컨텐츠의 유출을 예방하고자 도입한 다양한 솔루션에 의해 상기 상영관련장치(100)들로부터는 직접 디지털 포맷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음에 기인한 것이다. 따라서 위 상영관련장치(100)들로부터는 아날로그 데이터, 예를 들어 SMPTE 형식의 아날로그 사운드 타임코드와 같은 원시 데이터를 수집하게 되며, 이후 이를 컨텐츠 통합재생장치(200)가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시켜 향후 메인 컨텐츠의 타임라인 생성을 위한 제1데이터로서 활용하게 된다. (S110) 이 때,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통합재생장치(200)는 데이터변환부(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방식으로 수집된 제1데이터에는 메인 컨텐츠의 총 상영시간(런닝타임) 및 현재 재생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컨텐츠 통합재생장치(200)는 수집된 제1데이터로부터 현재 메인 컨텐츠가 총 몇 분의 상영시간을 가지는지, 그리고 현재까지 몇 분 동안 재생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수집된 제1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총 상영시간 및 현재 재생시간에 대한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따르면, 제1데이터를 통해서는 한 편의 메인 컨텐츠가 재생이 될 때 이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 즉 광고(Pre-Scene), 복수개의 장면들(Scenes), 엔딩 크레딧중 현재 어느 시점을 재생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제2데이터란, 메인 컨텐츠와 관련한 정보를 의미하며, 다만 제1데이터와의 차이점은 제2데이터는 상영관 외부의 서버들로부터 수집된다는 점이다. 즉, 제1데이터가 상영관 내에 구비된 상영관련장치(100)들로부터 수집된 것이라면, 제2데이터는 제1데이터로부터 획득할 수 없는 정보를 얻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방대한 정보에 접근이 가능한 웹서버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보안 솔루션의 영향이 미치는 상영관련장치(100)들과 달리 외부서버(300)들로부터는 자유롭게 정보수집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수집되는 제2데이터의 종류에는 현재 특정 상영관에서 상영 중인 메인 컨텐츠 관련정보, 예를 들어 메인 컨텐츠의 편성정보(메인 컨텐츠의 시작시각, 종료시각. 어느 시각에 어떤 메인 컨텐츠를 재생하는지 여부)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2데이터는 제1데이터와 달리 디지털의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된다.
도 4는 수집대상이 되는 제2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따르면, 현재 상영중인 3관에서 상영 중인 메인 컨텐츠는 “군도: 민란의 시대”로서, 16:30분에 시작하였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컨텐츠 통합재생장치(200)는 이와 같이 웹서버, 즉 인터넷을 통해 현재 특정 상영관에서 상영 중인 메인 컨텐츠가 어느 것인지, 시작시각이 언제인지 등과 같은 정보를 디지털 포맷으로 수집하게 된다.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가 모두 수집된 이후, 컨텐츠 통합재생장치(200), 그 중에서도 재생스케줄 연산부(220)는 위 두 가지 종류의 데이터를 조합하여 하나의 타임라인을 생성하게 된다. (S130)
타임라인이란 현재 재생 중인 또는 앞으로 재생하고자 하는 메인 컨텐츠의 시작시각, 종료시각, 총 상영시간, 장면 별 재생시각이 하나의 시간 기준선에 기초하여 정해져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컨텐츠 통합재생장치(200)는 제1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총 상영시간, 현재 재생시간 정보 및 제2데이터로부터 획득한 현재 재생 중인 메인 컨텐츠의 편성정보를 조합하여 해당 메인 컨텐츠의 타임라인을 생성해 낸다.
앞서 언급한 도 3, 도 4의 예시를 참조하면, 컨텐츠 통합재생장치(200)는 수집한 제2데이터로부터 “군도: 민란의 시대”라는 메인 컨텐츠가 16:30분 시작되어 현재 상영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제1데이터로부터는 해당 메인 컨텐츠의 총 런닝타임은 2시간 16분 32초이고, 현재는 시작점으로부터 2시간 3분 46초가 지난 지점을 재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여 해당 메인 컨텐츠에 대한 하나의 타임라인을 생성해 낸다.
한편, 특정 메인 컨텐츠에 대한 타임라인이 생성된 이후에는, 컨텐츠 통합재생장치(200) 내 재생스케줄 연산부(220)는 해당 메인 컨텐츠에 대응하여 컨텐츠 DB 등에 기 저장해 둔 보조 컨텐츠를 어느 지점에서 재생할 것인지를 설정, 즉 보조 컨텐츠의 재생스케줄을 설정하게 된다. (S140) 메인 컨텐츠의 타임라인을 생성해 둔 이상 이에 연동하는 보조 컨텐츠의 재생지점을 설정하는 것은 어렵지 아니하며, 도 5에는 제1데이터와 제2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타임라인 및 상기 타임라인 위에 설정된 보조 컨텐츠의 재생스케줄이 표시되어 있다.
한편, 메인 컨텐츠와 연동되어 재생되는 보조 컨텐츠의 종류에는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포함된 화면 등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컨텐츠는 새로이 제작된 것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연결된 외부 서버(300)로부터 기 구현된 상태의 것을 다운로드 등을 통해 수집한 것일 수도 있다.
타임라인 상에 보조 컨텐츠의 재생스케줄이 모두 설정된 이후, 컨텐츠 통합재생장치(200)는 앞서 생성한 메인 컨텐츠의 타임라인 및 위 타임라인 상에 설정된 보조 컨텐츠의 재생스케줄에 따라 보조 컨텐츠를 보조 투사면(500)에 재생하게 된다. (S150)
이상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메인 컨텐츠와 보조 컨텐츠가 통합적으로 재생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위 과정을 수행하는 컨텐츠 통합재생장치(200)는 내부 기능부들, 즉 정보수집부(210), 재생스케줄 연산부(220), 데이터변환부(230) 컨텐츠 DB(24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위 제어부(25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때 연산장치로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컨텐츠 통합재생방법에 따라 실제 다면 상영관에서 메인 컨텐츠 및 보조 컨텐츠가 연동하여 재생되는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6은 메인 컨텐츠의 도입부 재생시 보조 투사면(500)에 보조 컨텐츠가 연동되어 재생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앞선 도 5를 참조할 때, 컨텐츠 통합재생장치(200)는 광고, 비상시 대피경로 안내 등을 포함하는 사전 컨텐츠(Pre-Scene)의 종료시각, 동시에 본격적인 메인 컨텐츠의 시작 시각(16:45:03)을 종전에 생성한 타임라인으로부터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맞추어 해당 재생지점과 연계되는 보조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메인 컨텐츠의 도입부 시작과 함께 관객들에게 현재 시각, 해당 컨텐츠의 상영 종료 예정 시각, 관람 중 유의사항 등을 텍스트의 형태로 보조 투사면(500)에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6과 같이 메인 컨텐츠의 도입부에 보조 컨텐츠를 연동 재생하는 경우, 종래 단면 스크린 상에서 사전 컨텐츠(Pre-Scene) 재생시 관객들의 집중력을 충분히 유도하지 못했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고로서의 효과, 공지로서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메인 컨텐츠의 상영이 진행되는 중 이와 연동되어 재생되는 보조 컨텐츠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즉, 컨텐츠 통합재생장치(200)는 컨텐츠의 각 장면(Scene) 별 재생시각을 인지할 수 있으며, 각 장면에 대응되는 보조 컨텐츠의 재생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는바, 비록 메인 컨텐츠 자체는 단일 스크린용으로 제작된 것이라 하더라도, 사용자는 상기 메인 컨텐츠와 연동되는 별개의 보조 컨텐츠를 제작하여 원하는 지점에서 재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보조 컨텐츠는 현재 재생 중인 메인 컨텐츠의 대응되는 프레임을 기준으로 제작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완성된 상태의 컨텐츠일 수도 있다.
도 8은 메인 컨텐츠의 엔딩 크레딧이 재생될 때 보조 컨텐츠를 연동 재생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통합재생장치(200)는 엔딩 크레딧이 재생되는 시각(도 5의 18:43:32 지점)을 인지할 수 있으며, 해당 지점에 재생스케줄이 설정된 보조 컨텐츠를 재생하게 된다. 이 때 재생되는 보조 컨텐츠로는 도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관객들의 퇴관 안내 공지, 메시지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상영관 운영자 등 본 발명을 사용하는 자에 의해 자유로이 제작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상영관련장치
200: 컨텐츠 통합재생장치
210: 정보수집부
220: 재생스케줄 연산부
230: 데이터변환부
240: 컨텐츠DB
250: 제어부
300: 외부서버
400: 메인 스크린
500: 보조 투사면

Claims (8)

  1. 컨텐츠 통합재생장치가
    (a) 복수의 상영관련장치들로부터 수집한 메인 컨텐츠의 신호를 기초로 제1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메인 컨텐츠 관련 제2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c)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메인 컨텐츠의 타임라인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타임라인 상에 보조 컨텐츠의 재생스케줄을 설정하는 단계; 및
    (e) 설정된 재생스케줄에 따라 상기 보조 컨텐츠를 보조 투사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통합재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영관련장치들은 프로젝터, 컨텐츠 재생서버 또는 음향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통합재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텐츠의 제1데이터는 총 상영시간 및 현재 재생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통합재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데이터는 상기 메인 컨텐츠의 편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통합재생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보조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통합재생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a) 단계는,
    (a-1) 상기 복수의 상영관련장치들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a-2) 아날로그 신호를 컨텐츠 통합재생장치가 처리 가능한 디지털 형식의 제1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통합재생방법.
  7. 다면 상영관에 있어서,
    상영관련장치로부터 메인 컨텐츠의 신호를 수집하여 이로부터 제1데이터를 획득하고, 외부서버로부터 메인 컨텐츠의 편성정보가 포함된 제2데이터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메인 컨텐츠의 타임라인을 생성하고, 상기 타임라인에 보조 컨텐츠의 재생스케줄을 설정하는 재생스케줄 연산부;
    보조 컨텐츠가 저장된 컨텐츠DB; 및
    상기 정보수집부, 재생스케줄 연산부 및 컨텐츠DB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통합재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영관련장치로부터 수집한 신호를 재생스케줄 연산부에서 처리 가능한 제1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통합재생장치.
KR1020160059814A 2016-05-16 2016-05-16 다면 상영 환경에서 메인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와 호환하여 보조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통합재생장치 및 통합재생방법 KR20160082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814A KR20160082944A (ko) 2016-05-16 2016-05-16 다면 상영 환경에서 메인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와 호환하여 보조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통합재생장치 및 통합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814A KR20160082944A (ko) 2016-05-16 2016-05-16 다면 상영 환경에서 메인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와 호환하여 보조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통합재생장치 및 통합재생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725A Division KR101868062B1 (ko) 2014-08-22 2014-08-22 다면 상영 환경에서 메인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와 호환하여 보조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통합재생장치 및 통합재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944A true KR20160082944A (ko) 2016-07-11

Family

ID=56499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814A KR20160082944A (ko) 2016-05-16 2016-05-16 다면 상영 환경에서 메인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와 호환하여 보조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통합재생장치 및 통합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294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32886A1 (en) 2009-02-27 2013-05-23 Adobe Systems Incorporated Electronic content workflow review proce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32886A1 (en) 2009-02-27 2013-05-23 Adobe Systems Incorporated Electronic content workflow review proc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93032T3 (es) Audio alternativo para smartphones en una sala de cine
US110061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delivery and usage of audio messages for high quality of experience
JP5026423B2 (ja) 電子メッセージを配信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470904B1 (ko) 동영상 제공 방법 및 동영상 제공 시스템
CA2446860A1 (en) Streamlined methods and systems for scheduling and handling digital cinema content in a multi-theatre environment
US947980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 traffic log having an optional promotion log entry
CN110300314A (zh) 一种视频播放方法、装置及系统
TW201234834A (en) 3D video image encoding apparatus,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29141A (ko) 디지털 시네마에 대한 동적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5524233A (ja) 向上したプレイリストコンテンツ選択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271194B2 (ja) 携帯デバイスへのセカンドスクリーン情報の提供方法
KR101868062B1 (ko) 다면 상영 환경에서 메인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와 호환하여 보조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통합재생장치 및 통합재생방법
Luzuriaga et al. Software-based video–audio production mixer via an IP network
KR101223673B1 (ko) 다방향 프로젝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광고 시스템
KR20160082944A (ko) 다면 상영 환경에서 메인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와 호환하여 보조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통합재생장치 및 통합재생방법
Anderson Old Arts in New Media: Qualified Ontologies of ‘Live’in the Age of Media Casting
JP6324829B2 (ja) 映像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ラム
JP5581437B1 (ja) 映像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ラム
KR102625045B1 (ko) 영상 편집 장치, 영상 편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8208787B2 (en) SMMD media produc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004304489A (ja) 音声映像対出力装置、音声映像対出力方法および音声映像対出力プログラム
JP2010092575A (ja) 設定データによる1画面複数動画表示の方法。
KR20100119167A (ko) 입체 영상 구현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